KR101864232B1 - 비접촉식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안전 매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안전 매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232B1
KR101864232B1 KR1020160090593A KR20160090593A KR101864232B1 KR 101864232 B1 KR101864232 B1 KR 101864232B1 KR 1020160090593 A KR1020160090593 A KR 1020160090593A KR 20160090593 A KR20160090593 A KR 20160090593A KR 101864232 B1 KR101864232 B1 KR 101864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groove
safety mat
safety
press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111A (ko
Inventor
정광수
Original Assignee
안협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협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협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0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2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18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use of both h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008Devices for directly stopping or interrupting the drive or gear in case of danger to the machine, e.g. devices with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0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data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or by setting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안전 매트가 개시된다. 상기 안전 매트는 제1외부 표면과 제1홈이 형성된 제1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탄성과 강성을 갖는 상부면와, 제2외부 표면과 제2홈이 형성된 제2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탄성과 강성을 갖는 하부면와, 상기 제1내부 표면과 상기 제2내부 표면이 서로 접착됨에 따라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에 의해 형성된 밀폐 공간과, 상기 밀폐 공간 안에 배치되고 상기 제1외부 표면의 눌림에 의한 상기 밀폐 공간에 밀폐된 기체의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의 결과에 따라 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비접촉식 압력 센서와, 상기 비접촉식 압력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접촉식 압력 센서로 작동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압력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접촉식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안전 매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SAFETY MAT INCLUDING CONTACTLESS TYPE PRESSURE SENSO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안전 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안전 매트 내부의 기체 압력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 매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안전 매트와 이를 이용하여 기계 설비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대부분의 공장에는 자동화된 기계 설비 또는 로봇 등이 설치되어 가동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기계 설비 또는 상기 로봇 등의 도입으로 인하여 심각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따라서, 많은 공장에는 상기 기계 설비 또는 상기 로봇 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 매트를 비롯한 다양한 방호 장치들이 설치되고 있다.
작업 현장에 설치되는 안전 매트는 작업자의 안전 확보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므로, 높은 감도(sensitivity)와 높은 신뢰도(reliability)가 요구된다. 기존의 안전 매트는 상판과 하판의 접촉을 이용한 스위치 접점 방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감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마모로 인해 오작동 발생률이 높아진다.
공개특허공보 10-2003-0025573 (2003. 03. 29.)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37739 (2007. 12. 1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접촉식 압력 센서만을 이용하여 안전 매트 내부에 형성된 밀폐 공간에 밀폐된 기체의 압력이 상기 안전 매트의 눌림에 의해 변화될 때 상기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의 결과에 따라 압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안전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밀폐 공간에 가해진 압력의 수준에 따라 발광하는 패턴이 변화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안전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안전 매트로부터 전송된 압력 신호에 따라 상기 안전 매트가 설치된 기계 설비의 작동을 제어하는 안전 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는 제1외부 표면 및 제1홈이 형성된 제1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탄성과 강성을 갖는 상부면, 제2외부 표면 및 제2홈이 형성된 제2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탄성과 강성을 갖는 하부면, 상기 제1내부 표면과 상기 제2내부 표면이 서로 접착됨에 따라,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에 의해 형성된 밀폐 공간, 상기 밀폐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외부 표면의 눌림에 의한 상기 밀폐 공간에 밀폐된 기체의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의 결과에 따라 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비접촉식 압력 센서 및 상기 비접촉식 압력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접촉식 압력 센서로 작동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압력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 시스템은 안전 매트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매트는 제1외부 표면 및 제1홈이 형성된 제1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탄성과 강성을 갖는 상부면, 제2외부 표면 및 제2홈이 형성된 제2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탄성과 강성을 갖는 하부면, 상기 제1내부 표면과 상기 제2내부 표면이 서로 접착됨에 따라,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에 의해 형성된 밀폐 공간, 상기 밀폐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외부 표면의 눌림에 의한 상기 밀폐 공간에 밀폐된 기체의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의 결과에 따라 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비접촉식 압력 센서 및 상기 비접촉식 압력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접촉식 압력 센서로 작동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압력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안전 매트로부터 전송된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압력 신호를 문턱 압력 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안전 매트가 설치된 기계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 시스템은 복수의 안전 매트들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각 안전 매트들은, 제1외부 표면 및 제1홈이 형성된 제1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탄성과 강성을 갖는 상부면, 제2외부 표면 및 제2홈이 형성된 제2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탄성과 강성을 갖는 하부면, 상기 제1내부 표면과 상기 제2내부 표면이 서로 접착됨에 따라,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에 의해 형성된 밀폐 공간, 상기 밀폐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외부 표면의 눌림에 의한 상기 밀폐 공간에 밀폐된 기체의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의 결과에 따라 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비접촉식 압력 센서 및 상기 비접촉식 압력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접촉식 압력 센서로 작동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압력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케이블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각 안전 매트들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압력 신호들을 상기 각 안전 매트들에 대응되는 각 케이블들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의 압력 신호들을 문턱 압력 값과 각각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들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압력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문턱 압력 값을 초과할 때, 상기 복수의 안전 매트들이 설치된 기계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는 접점 방식의 스위치를 사용하는 대신에 비접촉식 압력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안전 매트의 내부에 형성된 밀폐 공간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접점 방식의 스위치가 감지할 수 없는 압력이라도 상기 안전 매트는 쉽게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점 방식의 스위치의 감도(sensitivity)보다 상기 안전 매트의 감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는 접점 방식의 스위치를 사용하는 대신에 비접촉식 압력 센서를 사용하므로, 상기 안전 매트가 장시간 사용되더라도, 상기 접점 방식의 스위치에 비해 융착(fusion) 또는 마모(wear)가 발생할 확률이 낮아진다. 따라서, 상기 안전 매트가 장시간 사용되더라도 오작동을 일으킬 확률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안전 매트의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는 내부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 공간의 내부에는 압력 센서만이 배치될 뿐 다른 구성(들)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상기 안전 매트의 구조가 간단하고 상기 안전 매트에 대한 유지보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는 상기 안전 매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지시하는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점등되는 발광 소자(들)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안전 매트는 상기 발광 소자(들)를 통해 상기 안전 매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는, 상기 안전 매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접합을 지시하는 감지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 매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생성하므로, 상기 안전 매트는 상기 안전 매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를 포함하는 안전 매트 시스템은, 상기 안전 매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접합을 지시하는 감지 전류와 상기 안전 매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 모두를 이용하여 기계 설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안전 매트 시스템의 오작동 확률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들을 포함하는 안전 매트 시스템은, 상기 안전 매트들 각각에 대해 문턱 압력 값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안전 매트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각 압력 신호와 상기 안전 매트들 각각의 문턱 압력 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기계 설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안전 매트 시스템은 안전 매트들 각각의 설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문턱 압력이 요구되는 작업 환경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의 (a)와 도 3의 (b)는 도 1의 도시된 안전 매트의 I-I'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의 (a)와 도 4의 (b)는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가 안전 매트(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를 포함하는 안전 매트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를 포함하는 안전 매트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안전 매트(100)는 상부면(110), 하부면(120), 밀폐 공간(130), 충전재(135),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 및 케이블(150)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매트(100)는 안전 매트(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의 결과에 따라 상기 압력을 지시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실시 예에 따라 안전 매트(100)는 비접촉식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 매트(100)는 상기 비접촉식 압력 센서를 포함하므로, 안전 매트(100)는 기존의 기계식 스위치 방식으로 작동하는 안전 매트에 비하여 오작동 발생률이 낮고 수명이 긴 효과가 있다.
안전 매트(100)는 방수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내열성, 절연성 및 내약품성을 가질 수 있다.
비록 도 1과 도 2에서 안전 매트(100)는 사각기둥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안전 매트(100)는 볼록 다각 기둥, 오목 다각 기둥,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면(110)은 안전 매트(100)의 윗부분(예컨대, 작업자가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하부면(120)은 안전 매트(100)의 아랫부분(예컨대, 바닥과 맞닿아 있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으나, 설치되는 방식에 따라, 상부면(110)이 바닥과 맞닿아 있을 수 있고, 하부면(120)이 상기 작업자가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상부면(110)이 상기 작업자가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한다고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상부면(110)은 작업자가 올라가서 작업을 하는 곳으로, 상기 작업자의 중량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이다. 실시 예에 따라, 상부면(110)은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압력이 제거됨에 따라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하부면(120)은 바닥과 맞닿아 있는 면으로, 상부면(110)의 눌림에 따른 압력을 지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하부면(120)은 상부면(110)보다 더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상부면(110)과 하부면(120)은 탄성(elasticity)과 강성(rigidity)를 가질 수 있다. 탄성(elasticity)는 외력(external force)에 의해 변형된 물체가 상기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성질을 뜻한다. 탄성이 높은 물체일 수록 강한 외력에 의해 변하더라도, 다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
강성은 어떤 물체가 외력에 의해 모양이나 부피가 변하지 아니하는 성질을 뜻한다. 강성이 높은 물체일수록 강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부면(110)과 하부면(120)은 고무(rubber)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면(110)과 하부면(120)은 천연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tyren-butadiene rubber, S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NBR), 폴리클로로프렌, 부틸고무, EP 고무, 티오콜(thiokol), 실리콘 고무 또는 우레탄 고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밀폐 공간(130)은 외부와의 물질 교환이 일어나지 않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밀폐 공간(130)에는 기체가 포함(또는 주입)될 수 있고, 주입된 기체는 밀폐된다.
실시 예에 따라, 밀폐 공간(130)에는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만이 배치될 수있다. 즉, 밀폐 공간(130)에는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를 제외하고는, 안전 매트(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어떠한 구성도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안전 매트(100)의 밀폐 공간(130)에는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만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안전 매트(100)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따라서, 안전 매트(100)에 대한 유지보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밀폐 공간(130)에는 상부면(110)과 하부면(120)을 지지하기 위한 충전재(135)가 포함될 수 있다. 충전재(135)는 밀폐 공간(130)에 위치하여 상부면(110)을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충전재(135)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멍(137)을 포함하고,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는 구멍(137)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재(135)는 폴리에틸렌 폼(스펀지) 또는 라텍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는 밀폐 공간(130)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는 하부면(120)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는 하부면(120)의 외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비록 도 1과 도 2에는 하나의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가 도시되어 있으나, 안전 매트(100)는 복수의 비접촉식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상기 비접촉식 압력 센서의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는 안전 매트(100)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의 결과에 따라 압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는 제1외부 표면(110)의 눌림에 의한 밀폐 공간(130)에 밀폐된 기체의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의 결과에 따라, 상기 압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는 안전 매트(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의 결과에 따라 상기 압력의 세기를 지시하는 상기 압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압력 신호의 세기는 상기 압력의 세기에 기초할 수 있다.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는 기계식 압력 센서, 전자식 압력 센서 또는 반도체식 압력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는 공기압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안전 매트(100)는 스위치 접점 방식을 사용하는 대신 안전 매트(100) 내부에 형성된 밀폐 공간(130)의 압력을 감지하므로, 상기 접점 방식의 스위치가 감지할 수 없는 압력이라도 상기 안전 매트는 쉽게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점 방식의 스위치의 감도보다 상기 안전 매트의 감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케이블(150)은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로 작동 전압을 공급하고,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로부터 전달되는 압력 신호를 외부 장치(예컨대, 컨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케이블(150)은 복수의 절연 전선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블(150)은 안전 매트(100)에 접속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케이블(150)은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케이블(150)은 안전 매트(100)가 교체될 때, 안전 매트(100)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발광 소자(160)는 케이블(15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할 수 있다. 발광 소자(160)는 발광 다이오드(LED), 레이저 다이오드, 할로겐 램프,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 소자(160)는 안전 매트(10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기초하여 발광 할 수 있다.
발광 소자(160)는 상부면(110)과 하부면(12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발광 소자(160)는 상부면(110)과 하부면(120) 중 적어도 하나에 매립되어 배치될 수 있다.
비록 도 2에는 하나의 발광 소자(160)만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발광 소자(160)는 복수의 발광 소자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발광 소자의 개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 예에 따라 발광 소자(160)가 복수의 발광 소자들로 구현된 경우, 각 발광 소자들은 안전 매트(10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예컨대, 점등되는 발광 소자(160)의 수는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로부터 생성된 압력 신호의 크기에 기초할 수 있다.
안전 매트(100)는 안전 매트(10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점등되는 발광 소자(16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안전 매트(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작업자가 손쉽게 안전 매트(1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의 (a)와 도 3의 (b)는 도 1의 도시된 안전 매트의 I-I'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의 (a)와 도 3의 (b)를 참조하면, 상부면(110)은 제1외부 표면(113)과 제1내부 표면(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외부 표면(113)은 상부면(110) 중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내부 표면(113)은 상부면(110) 중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내부 표면(113)에는 제1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17)이 형성됨에 따라, 상부면(110)에는 빈 공간(empty space)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홈(117)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면(120)은 제2외부 표면(123)과 제2내부 표면(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외부 표면(123)은 하부면(120) 중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2내부 표면(123)은 하부면(120) 중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2내부 표면(123)에는 제2홈(127)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홈(127)이 형성됨에 따라, 하부면(120)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2홈(127)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내부 표면(115)과 제2내부 표면(125)은 제1홈(117)과 제2홈(127)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접착될 수 있다.
밀폐 공간(130)은 제1내부 표면(115)과 제2내부 표면(125)이 서로 접착(도 3의 (b))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내부 표면(115)와 제2내부 표면(125)이 서로 접착됨으로써 형성된 밀폐 공간(130)은, 외부와 차단되고 밀폐 공간(130)에 밀폐된 기체는 밀폐 공간(130)으로부터 빠져나갈 수 없다.
실시 예에 따라, 안전 매트(100)에 작업자가 위치하면, 상부면(110)에 압력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밀폐 공간(130)에 밀폐된 압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밀폐 공간(130)의 압력을 감지함으로써 상부면(110)에 가해진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안전 매트(100)는 별도의 구성 없이도 상부면(110)과 하부면(120)을 이용하여 밀폐 공간(130)을 형성하고, 밀폐 공간(130)에 배치된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를 이용하여, 밀폐 공간(130)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안전 매트(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의 (a)와 도 4의 (b)는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가 안전 매트(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4의 (a)와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1외부 표면(113)에 작업자가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제1외부 표면(113)에 압력(p)이 가해지게 된다(도 4의 (a)).
제1외부 표면(113)에 압력(p)이 가해지면, 압력(p)에 의해 제1외부 표면(113)이 눌려지게 되고, 밀폐 공간(130)이 수축한다. 밀폐 공간(130)이 수축함에 따라 밀폐 공간(130)에 밀폐된 기체의 부피가 감소하고, 보일의 법칙에 따라 상기 기체의 압력이 증가하므로,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가 감지하는 압력의 세기가 증가한다(도 4의 (b)).
비록 도 4의 (a)와 도 4의 (b)에는 압력(p)이 상부면(110)의 중앙에 가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압력(p)가 가해지는 방향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 따라 압력(p)는 상부면(110)의 어느 위치에 가해질 수 있고,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는 압력(p)가 가해지는 위치에 관계없이 압력(p)를 감지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단면은 도 2에 도시된 단면과 같은 구도를 가지는 단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안전 매트(100B)의 구조와 기능은 제3홈(129)를 제외하고, 도 1에 도시된 안전 매트(100)의 구조와 기능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제2홈(127)에는 제2내부 표면(125)와 수직한 방향으로 제3홈(129)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3홈(129)의 크기는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는 제3홈(129)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는, 제3홈(129)의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제3홈(129)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 매트(100B)에 압력이 가해지고, 상기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부면(110)이 눌려져서 하부면(120)에 접하더라도,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는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안전 매트(100B)가 장기간 사용되더라도, 안전 매트(100B)에 포함된 비접촉식 압력 센서(140) 파손될 확률이 낮으므로, 안전 매트(100B)의 수명이 긴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안전 매트(100C)의 구조와 기능은 제1접면(119)와 제2접면(129)를 제외하고, 도 1에 도시된 안전 매트(100)의 구조와 기능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상부면(110)은 제1접면(1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접면(119)은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도체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접면(119)은 금속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접면(119)은 제1내부 표면(115)의 제1홈(117)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접면(119)는 제1내부 표면(115)의 제1홈(117)에 접착될 수 있다.
제1접면(119)는 제1내부 표면(115)의 일부 또는 전부와 겹쳐지도록(overlapped)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접면(119)는 볼록 다각형(convex polygon) 또는 오목 다각형(concave polygon)평면(plan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있이 하나의 평면 오목 다각형제1접면(119)은 제1홈(117)에 사행(meander)으로 접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비록 도 6에는 제1접면(119)가 'ㄹ'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제1접면(119)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제1접면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 따라, 제1접면(119)은 충전재(135)의 구멍(137)과 적어도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부면(120)은 제2접면(1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접면(129)의 구조와 기능은 위에서 설명한 제1접면(119)의 구조와 기능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제1접면(119)과 제2접면(129)은 케이블(15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접면(119)은 케이블(150)을 통해 전원 단자와 연결될 수 있고, 제2접면(129)은 케이블(150)을 통해 접지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접면(119)과 제2접면(129)은 적어도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접면(119)과 제2접면(129)은 완전히 겹쳐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접면(119)과 제2접면(129)은 상부면(110)의 눌림에 따라 전부 또는 일부가 접할 수 있다.
제1접면(119)과 제2접면(129)은 충전재(135)의 구멍(137)과 적어도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1접면(119)과 제2접면(129)은 구멍(137)을 통해 전부 또는 일부가 접할 수 있다
작업자가 안전 매트(100C) 위에 위치함에 따라, 안전 매트(100C)에 압력이 가해지고, 상기 압력에 의해 제1접면(119)과 제2접면(129)이 접하게 되면, 케이블(150)을 통해 감지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 전류를 이용 안전 매트(100C)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를 포함하는 안전 매트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안전 매트 시스템(10)은 제1압력 신호(PS-1)와 제2압력 신호(PS-2)를 이용하여, 안전 매트들(100-1 또는 100-2)에, 작업자가 위치함으로써 문턱 압력 값(P_VALUE)을 초과하는 압력이 가해졌을 때, 기계 설비(300)를 제어(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전 매트 시스템(10)은 기계 설비(300) 주변에서 작업하는 상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안전 매트 시스템(10)은 제1안전 매트(100-1), 제2안전 매트(100-2), 컨트롤러(200) 및 기계 설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7에는 2개의 안전매트(100-1과 100-2)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안전 매트의 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안전 매트 시스템(10)은 하나의 안전 매트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3개 이상의 안전 매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각 안전매트(100-1과 100-2)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안전 매트 들(100 또는 100B) 중 하나로 구현될 있다.
컨트롤러(200)는 제1압력 신호(PS-1)와 제2압력 신호(PS-2)를 이용하여 안전 매트들(100-1과 100-2)이 설치된 기계 설비(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200)는 압력 신호들(PS-1 또는 PS-2)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기계 설비(300)를 제어할 수 있다.
기계 설비(300)는 공장에서 사용되는 일련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기계 설비(300)는 프레스(press), 전단기(shear), 크레인(crane), 절곡기(bending machine), 리프트(lift), 롤러(roller), 산업용 로봇(industrial robot), 컨베이어 벨트(conveyor belt) 또는 서출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계 설비(300)는 컨트롤러(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컨트롤러(200)의 제어에 따라 운전을 시작하거나 또는 운전을 정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200)는 안전 매트(100-1과 100-2)들 중 적어도 하나에, 문턱 압력 값(P_VALUE) 이상의 압력이 가해졌을 때, 기계 설비(30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수신 모듈(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210)은 케이블(150-1과 150-2)로부터 압력 신호(PS-1과 PS-2)들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수신 모듈(210)은 수신된 압력 신호들(PS-1과 PS-2)을 이용하여 각 안전 매트(100-1과 100-2)를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 모듈(210)은 제1압력 신호(PS-1)이 수신된 경우, 프로세서(230)로 제1안전 매트(100-1)의 연결을 지시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수신 모듈(210)은 압력 신호들(PS-1과 PS-2)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230)의 아이들(IDLE)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압력 신호들(PS-1과 PS-2)은 인터럽트(interrupt) 신호로서 작동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컨트롤러(200)의 작동에 필요한 여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2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또는 DRAM(dynamic RAM)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불휘발성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또는 저항성 RAM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220)는 기계 설비(300)의 작동의 중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문턱 압력 값(P_VALUE)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220)는 복수의 문턱 압력 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2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턱 압력 값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220)는 제1안전 매트(100-1)에 대응하는 제1개별 문턱 압력 값(P_VALUE1)과 제2안전 매트(100-2)에 대응하는 제2개별 문턱 압력 값(P_VALUE2)을 저장할 수 있다.
제1개별 문턱 압력 값(P_VALUE1)과 제2개별 문턱 압력 값(P_VALUE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을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안전 매트 시스템(10)은 각 안전 매트(100-1과 100-2)마다 문턱 압력 값들(P_VALUE1과 P_VALUE2)을 각각 설정할 수 있으므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문턱 압력들이 요구되는 작업 환경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프로세서(230)는 컨트롤러(2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압력 신호들(PS-1과 PS-2)을 이용하여 기계 설비(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수신 모듈(210)로부터 전달된 압력 신호들(PS-1과 PS-2)을 메모리(220)에 저장된 문턱 압력 값(P_VALUE) 또는 개별 문턱 압력 값들(P_VALUE1 과 P_VALUE2)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기계 설비(30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CTR)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압력 신호들(PS-1과 PS-2) 중 적어도 하나가 문턱 압력 값(P_VALUE)를 초과할 때, 기계 설비(3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 신호(CTR)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제1압력 신호(PS-1)가 제1개별 문턱 압력 값(P_VALUE1)을 초과하거나 제2압력 신호(PS-2)가 제2개별 문턱 압력 값(P_VALUE2)를 초과할 때 기계 설비(3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 신호(CTR)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30)는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제1압력 신호(PS-1)가 제1개별 문턱 압력 값(P_VALUE1)을 초과하고 제2압력 신호(PS-2)가 제2개별 문턱 압력 값(P_VALUE2)를 초과할 때 기계 설비(3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 신호(CTR)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제1안전 매트(100-1)에 포함된 제1발광 소자(160-1)와 제2안전 매트(100-2)에 포함된 제2발광 소자(160-2)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각 압력 신호(PS-1과 PS-2)가 문턱 압력 값(P_VALUE)를 초과할 때, 각 발광 소자(160-1과 160-2)를 점등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30)는 제1압력 신호(PS-1)가 제1개별 문턱 압력 값(P_VALUE1)을 초과할 때 제1발광 소자(160-1)를 점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수신된 압력 신호들(PS-1과 PS-2)에 따라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30)는 각 압력 신호(PS-1과 PS-2)의 세기에 기초하여, 각 발광 소자(160-1과 160-2)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비록 도 7의 각 안전 매트(100-1과 100-2)에는 각각 하나의 발광 소자(160-1과 160-2)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 예에 따라 각 발광 소자(160-1과 160-2)는 복수의 발광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각 발광 소자(160-1과 160-2)가 복수의 발광 소자로 구현되는 경우, 프로세서(230)는 각 압력 신호(PS-1과 PS-2)에 기초하여, 각 발광 소자(160-1과 160-2)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각 압력 신호(PS-1과 PS-2)의 세기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160-1과 160-2)를 순차적으로 점등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30)는 제1압력 신호(PS-1)의 세기에 기초하여, 점등되는 발광 소자(160-1)의 수를 조절할 수 있고, 제2압력 신호(PS-2)의 세기에 기초하여, 점등되는 발광 소자(160-2)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매트를 포함하는 안전 매트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안전 매트 시스템(10-C)은 제1안전 매트(100C-1), 제2안전 매트(100C-2), 컨트롤러(200C) 및 기계 설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안전 매트 시스템(10C)은 도 7의 안전 매트 시스템(10)이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비록 도 8에는 2개의 안전매트(100C-1와 100C-2)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안전 매트의 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안전 매트 시스템(10-2)은 하나의 안전 매트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3개 이상의 안전 매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각 안전매트들(100C-1와 100C-2)은 도 6에 도시된 안전 매트 (100C)를 나타낼 수 있다.
컨트롤러(200C)는 각 압력 신호(PS-1과 PS-2)와 이에 대응하는 각 감지 전류(DCT1과 DCT2)를 이용하여 안전 매트들(100C-1와 100C-2)이 설치된 기계 설비(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비록 도 8에는 각 압력 신호(PS-1과 PS-2)와 이에 대응하는 각 감지 전류(DCT1과 DCT2)가 별도의 신호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제1압력 신호(PS-1)와 제1감지 전류(DCT1)는 하나의 신호로 구현될 수 있고, 제2압력 신호(PS-2)와 제2감지 전류(DCT2)는 하나의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수신 모듈(210C)은 케이블(150-1과 150-2)로부터 압력 신호(PS-1과 PS-2)들과 감지 전류들(DCT1과 DCT2)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수신 모듈(210C)은 감지 전류들(DCT1과 DCT2)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230C)의 상기 아이들(IDLE)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감지 전류들(DCT1과 DCT2)은 인터럽트(interrupt) 신호로서 작동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C)는 각 압력 신호(PS-1과 PS-2)와 각 감지 전류(DCT1과 DCT2)를 이용하여 기계 설비(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30C)는 각 압력 신호(PS-1과 PS-2)를 문턱 압력 값(P_VALUE)과 비교하고, 각 감지 전류(DCT1과 DCT2)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와 상기 판단의 결과를 종합하여 기계 설비(30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CTR)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30C)는 제1압력 신호(PS-1)가 문턱 압력 값(P_VALUE)을 초과하고, 제1감지 전류(DCT1)가 수신되거나 혹은 제2압력 신호(PS-2)가 문턱 압력 값(P_VALUE)을 초과하고, 제2감지 전류(DCT2)가 수신되었을 때 기계 설비(30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 신호(CTR)를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C)는 압력 신호들(PS-1과 PS-2)과 감지 전류들(DCT1과 DCT2)을 모두 이용하므로, 안전 매트들(100C-1와 100C-2)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기계 설비(300)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 매트 시스템(10C)의 오작동 확률이 낮은 효과가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30C)는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제1압력 신호(PS-1)가 제1개별 문턱 압력 값(P_VALUE1)을 초과하고, 제1감지 전류(DCT1)가 수신되거나 혹은 제2압력 신호(PS-2)가 제2개별 문턱 압력 값(P_VALUE2)를 초과하고, 제2감지 전류(DCT2)가 수신되었을 때 기계 설비(3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 신호(CTR)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C)는 제1안전 매트(100C-1)에 포함된 제1발광 소자(160-1)와 제2안전 매트(100C-2)에 포함된 제2발광 소자(160-2)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30C)는 제1압력 신호(PS-1)가 제1개별 문턱 압력 값(P_VALUE1)을 초과하고, 제1감지 전류(DCT1)가 수신되었을 때 제1발광 소자(160-1)을 점등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C)는 제2압력 신호(PS-2)가 제2개별 문턱 압력 값(P_VALUE2)를 초과하고, 제2감지 전류(DCT2)가 수신되었을 때 제2발광 소자(160-2)를 점등할 수 있다.
100: 안전 매트
110: 상부면
120: 하부면
130: 밀폐 공간
140: 비접촉식 압력 센서
150: 케이블
160: 발광 소자

Claims (10)

  1. 제1외부 표면 및 제1홈이 형성된 제1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탄성과 강성을 갖는 상부면;
    제2외부 표면 및 제2홈이 형성된 제2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탄성과 강성을 갖는 하부면;
    상기 제1내부 표면과 상기 제2내부 표면이 서로 접착됨에 따라,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에 의해 형성된 밀폐 공간;
    상기 밀폐 공간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지지하고,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하는 충전재;
    상기 충전재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멍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외부 표면의 눌림에 의한 상기 밀폐 공간에 밀폐된 기체의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의 결과에 따라 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비접촉식 압력 센서; 및
    상기 비접촉식 압력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접촉식 압력 센서로 작동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압력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안전 매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에는 상기 제2내부 표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3홈이 형성되고,
    상기 비접촉식 압력 센서는 상기 제3홈에 배치되는 안전 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부 표면에 부착된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 패턴이 변화하는 안전 매트.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발광 소자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들은, 상기 압력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안전 매트.
  6. 안전 매트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안전 매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전 매트는,
    제1외부 표면 및 제1홈이 형성된 제1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탄성과 강성을 갖는 상부면;
    제2외부 표면 및 제2홈이 형성된 제2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탄성과 강성을 갖는 하부면;
    상기 제1내부 표면과 상기 제2내부 표면이 서로 접착됨에 따라,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에 의해 형성된 밀폐 공간;
    상기 밀폐 공간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지지하고,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하는 충전재;
    상기 충전재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멍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외부 표면의 눌림에 의한 상기 밀폐 공간에 밀폐된 기체의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의 결과에 따라 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비접촉식 압력 센서; 및
    상기 비접촉식 압력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접촉식 압력 센서로 작동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압력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안전 매트로부터 전송된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압력 신호를 문턱 압력 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안전 매트가 설치된 기계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안전 매트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매트는 상기 제1외부 표면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패턴을 제어하는 안전 매트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매트는,
    상기 제1내부 표면에 접착되고, 상기 케이블과 연결된 제1접면; 및
    상기 제2내부 표면에 접착되고, 상기 케이블과 연결된 제2접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접면과 상기 제2접면의 접합에 따라, 상기 제1접면과 상기 제2접면의 접합을 지시하는 감지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압력 신호와 상기 감지 전류 모두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안전 매트 시스템.
  9. 복수의 안전 매트들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안전 매트 시스템에 있어서,
    각 안전 매트들은,
    제1외부 표면 및 제1홈이 형성된 제1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탄성과 강성을 갖는 상부면;
    제2외부 표면 및 제2홈이 형성된 제2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탄성과 강성을 갖는 하부면;
    상기 제1내부 표면과 상기 제2내부 표면이 서로 접착됨에 따라,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에 의해 형성된 밀폐 공간;
    상기 밀폐 공간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지지하고,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하는 충전재;
    상기 충전재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멍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외부 표면의 눌림에 의한 상기 밀폐 공간에 밀폐된 기체의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의 결과에 따라 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비접촉식 압력 센서; 및
    상기 비접촉식 압력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접촉식 압력 센서로 작동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압력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케이블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각 안전 매트들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압력 신호들을 상기 각 안전 매트들에 대응되는 각 케이블들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의 압력 신호들을 문턱 압력 값과 각각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들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압력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문턱 압력 값을 초과할 때, 상기 복수의 안전 매트들이 설치된 기계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안전 매트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수신된 복수의 압력 신호들 각각을 상기 복수의 안전 매트들 각각에 대해 설정된 개별 문턱 압력 값과 각각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들에 따라 상기 압력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대응하는 개별 문턱 압력 값을 초과할 때, 상기 기계 설비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안전 매트 시스템.
KR1020160090593A 2016-07-18 2016-07-18 비접촉식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안전 매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864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593A KR101864232B1 (ko) 2016-07-18 2016-07-18 비접촉식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안전 매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593A KR101864232B1 (ko) 2016-07-18 2016-07-18 비접촉식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안전 매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111A KR20180009111A (ko) 2018-01-26
KR101864232B1 true KR101864232B1 (ko) 2018-06-05

Family

ID=6102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593A KR101864232B1 (ko) 2016-07-18 2016-07-18 비접촉식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안전 매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2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485B1 (ko) * 2019-05-03 2020-12-23 안협전자주식회사 안전 매트와 이를 포함하는 산업용 로봇 방호 장치
KR20210006584A (ko) * 2019-07-09 2021-01-19 복정제형 주식회사 끼임 방지 구조의 마사지 장치
JP2023109650A (ja) * 2022-01-27 2023-08-08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安全マットおよび型締装置ならびに射出成形機
KR102538944B1 (ko) * 2022-08-19 2023-05-31 주식회사 네오엠텍 가압에 따라 점멸되는 소음 방지 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822Y1 (ko) * 2003-07-29 2003-11-01 이을재 안전 매트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KR100430072B1 (ko) 2001-09-21 2004-05-03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스위치가 설치된 안전매트
JP2006226826A (ja) * 2005-02-17 2006-08-31 Ando Corp 可搬式床騒音テスタおよびマット型荷重受け構造
JP2010089928A (ja) 2008-10-09 2010-04-22 Ishida Co Ltd 異常検出装置および棚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739Y1 (ko) 2006-10-31 2007-12-26 주영율 안전매트스위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072B1 (ko) 2001-09-21 2004-05-03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스위치가 설치된 안전매트
KR200331822Y1 (ko) * 2003-07-29 2003-11-01 이을재 안전 매트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JP2006226826A (ja) * 2005-02-17 2006-08-31 Ando Corp 可搬式床騒音テスタおよびマット型荷重受け構造
JP2010089928A (ja) 2008-10-09 2010-04-22 Ishida Co Ltd 異常検出装置および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111A (ko)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232B1 (ko) 비접촉식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안전 매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578429B1 (ko) 에너지 체인의 작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
ES2903094T3 (es) Dispositivo para asegurar una zona de seguridad alrededor de al menos una máquina que funciona automáticamente
CN102003612A (zh) 用于对机械部件进行环境监测的传感器系统以及用于控制和分析该传感器系统的方法
US9807892B2 (en) Drive unit
KR101399045B1 (ko)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보호패널
US9994333B2 (en) Rotorcraft winch ligh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rotorcraft winch lighting device
CN109074973B (zh) 用于电气控制的设备的控制系统
KR101418768B1 (ko) 지중배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KR102231041B1 (ko) 스마트 볼트
KR101663810B1 (ko)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KR101291102B1 (ko)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보호패널
US11875956B2 (en) Contact point monitoring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and vacuum circuit breaker comprising same
WO2017083901A1 (en) Voltage detection device
JP2021092940A (ja) 自己発電型漏水検知器
KR102459316B1 (ko) 스마트 볼트
KR102231042B1 (ko) 스마트 볼트 중계 관리 시스템
KR101318396B1 (ko)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737869B1 (ko) 발광 스틱을 이용하여 연료 레벨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실시간 연료 레벨 모니터링 장치
KR102368687B1 (ko) 스마트 바닥재
KR100430072B1 (ko) 스위치가 설치된 안전매트
CN108233286B (zh) 电子式静态电缆桥架
KR102607884B1 (ko) 안전 밸트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 장치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0331822Y1 (ko) 안전 매트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KR102256168B1 (ko) 작업대 파지상태 검출용 센서를 구비하는 고소작업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