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104B1 - 전주용 배전 구조물 - Google Patents

전주용 배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104B1
KR101864104B1 KR1020180017048A KR20180017048A KR101864104B1 KR 101864104 B1 KR101864104 B1 KR 101864104B1 KR 1020180017048 A KR1020180017048 A KR 1020180017048A KR 20180017048 A KR20180017048 A KR 20180017048A KR 101864104 B1 KR101864104 B1 KR 101864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and
bolt
bar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식
정경훈
정경민
Original Assignee
정의식
정경훈
정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의식, 정경훈, 정경민 filed Critical 정의식
Priority to KR1020180017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용 배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배전 구조물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서로 대향하여 전주의 둘레를 둘라싸도록 구비되며, 양 단부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제1 완철밴드; 상기 제1 완철밴드의 대응하는 관통구들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간격조절바; 상기 각 간격조절바의 내측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간격조절바의 양 단부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삽입바; 상기 제1 완철밴드의 각각의 외측에 서로 평행한 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삽입바가 관통하는 제2 관통구 및 제3 관통구가 형성되는 한 쌍의 완철; 상기 한 쌍의 삽입바 중 상기 제1 완철밴드의 양 단부 외측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외삽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대응하는 관통구들 간의 간격을 조이거나 풀어주는 제1 너트쌍; 상기 제2 관통구 및 제3 관통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완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바의 중심축이 이동가능하도록 일정 길이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전주용 배전 구조물{Apparatus for power distribution of telegraph pole}
본 발명은 전주용 배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완철 구조를 중심으로 배전선을 지지하고 동시에 금속구 등으로부터 절연시키기 위한 전신주 설치를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각종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기는 1차 변전소에서 송전에 적합한 초고압(154 kV 내지 745 kV)으로 승압하여 송전계통을 통해 송전하고, 다시 2차 변전소에서 특고압(22.9 kV)로 강압하여 수용가의 주변까지 송전한 후 전주에 설치된 주상변압기에 의하여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용전압(230kV 또는 380kV)으로 강압하여 전주에 가설된 가공배전계통을 통해 배전하게 된다.
초고압 송전계통은 인적이 드문 산야에 설치되는 송전탑에 지지되는 가공송전선을 통해 송전하고, 특고압 송전계통은 전주에 지지되는 가공송전선 또는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송전선을 통해 송전하며, 배전계통은 전주에 지지되는 가공배전선 또는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배전선을 통해 배전된다.
이러한 송배전계통에서 초고압 송전계통은 인적이 드문 산야지역에 설치하므로 직접적인 감전사고가 자주 발생하지는 않는 반면, 특고압 송전계통과 상용배전계통에서는 수용가와 인접한 지역에 설치되는 관계로 감전사고가 비교적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절연전선으로 이루어지는 가공배전선과 인류클램프, 현수애자를 포함하는 접속개소를 절연시키는 절연커버를 구비한 배전계통이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9855호 "배전계통의 운용 관리 시스템"(이하 선행문헌 1)을 들 수 있다.
선행문헌 1은 개폐 가능한 절연커버를 구비하여 현수애자와 접속구를 눈비 및 일광(日光)으로부터 보호하여 누전, 감전, 합선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절연커버를 개폐 가능하게 하여 현수애자와 접속구의 보수유지를 위한 점검이 가능하게 되며, 절연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우수 또는 눈, 그리고 바람에 의하여 기능고장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여 배전계통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 및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인용발명 1의 경우 일 실시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주에 그대로 적용하지 못하고, 전용의 전주를 별도로 제조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절연커버의 개폐작동을 모터에 의해서 수행함으로써 원격지에서의 제어가 가능한 장점은 있으나, 현장에서의 작업 시 오히려 수작업이 용이한 상황에서 전기적인 제어계통을 통하여 개폐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전주의 종류에 관계없이 활선 작업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는 배전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 구조물의 시공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구비하는 배전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구조적 안정성 및 내환경성을 구비하는 배전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배전 구조물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서로 대향하여 전주의 둘레를 둘라싸도록 구비되며, 양 단부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제1 완철밴드; 상기 제1 완철밴드의 대응하는 관통구들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간격조절바; 상기 각 간격조절바의 내측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간격조절바의 양 단부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삽입바; 상기 제1 완철밴드의 각각의 외측에 서로 평행한 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삽입바가 관통하는 제2 관통구 및 제3 관통구가 형성되는 한 쌍의 완철; 상기 한 쌍의 삽입바 중 상기 제1 완철밴드의 양 단부 외측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외삽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대응하는 관통구들 간의 간격을 조이거나 풀어주는 제1 너트쌍; 상기 제2 관통구 및 제3 관통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완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바의 중심축이 이동가능하도록 일정 길이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바의 양 단부는 상기 삽입바의 직경에 비하여 확장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바의 양단부와 상기 완철 사이에는 상기 삽입바에 외삽되는 스프링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철과 상기 스프링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바가 확장된 폭을 구비하는 상기 제2 관통구 또는 제3 관통구를 따라 중심축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클립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부재는 적어도 3방향으로 돌출 확장된 형상의 연장부들이 구비된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 중 인접하는 한 쌍의 연장부 사이의 만입 공간부에는 상기 삽입바가 수용되며, 상기 연장부들에 비하여 상기 만입 공간부의 주변 지점이 돌출된 현상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완철밴드의 양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는 상기 제1 절곡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완철밴드와 상기 제1 절곡부 내측에는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금속부재가 인서트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컨트롤 박스 고정용 완철밴드를 더 구비하되, 상기 컨트롤 박스 고정용 완철밴드는 양 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절곡부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제4 관통구가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4 관통구에 삽입되어 서로 대향하는 컨트롤 박스 고정용 완철밴드 간을 조이거나 릴리즈하는 밴드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 고정볼트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의 이중 머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 고정볼트의 이중 머리 사이의 공간에 일 단부가 고정되고,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제한부; 및 상기 한 쌍의 완철에는 횡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전제한부의 타 단부가 고정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완철의 외측에 나사 머리가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완철을 관통하는 제1 볼트부; 상기 제1 볼트부 머리의 타측에 나사체결하는 제1 너트부; 상기 제1 너트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 볼트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1 너트부와 인접하는 방향으로 체결되어 상기 제1 너트부와의 사이에 결합력이 증가되는 제2 너트부; 및 상기 완철과 상기 제1 볼트부의 머리 사이에 나사 체결하여 상기 제1 볼트부의 머리가 자유 회전하도록 릴리즈 하거나, 상기 완철 측으로 체결되어 상기 제1 볼트부의 머리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3 너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전주의 종류에 관계없이 활선 작업이 가능하며, 또한 배전 구조물의 시공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외부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구조적 안정성 및 내환경성을 구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배전 구조물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에에 따른 완철밴드 일체형 완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완철밴드 일체형 완철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삽입바의 임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클립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부와 완철부의 결합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에에 따른 컨트롤 박스 및 이를 고정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 고정용 완철밴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제한부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일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배전 구조물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배전 구조물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배전 구조물은 완철부(20), 컨트롤 박스(50), 절연커버(40) 및 절연커버 회동부(45)를 포함한다. 완철부(20)는 내측의 제1 완철밴드(30)를 이용하여 전주(10)에 기타 구성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부이고, 컨트롤 박스(50)는 전기적인 제어 등을 목적으로 하는 구성들이 구비된다. 절연커버(40) 및 절연커버 회동부(45)는 절연 대상물들을 커버하여 절연 뿐 아니라 환경오염 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완철부를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에에 따른 완철밴드 일체형 완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완철밴드 일체형 완철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각각 삽입바의 임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클립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제1 완철밴드(30)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제1 완철밴드(30)는 서로 대향한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전주를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제1 완철밴드(30)의 양 단부에는 제1 절곡부(35)가 구비된다. 제1 절곡부(35)는 제1 완철밴드(30)의 양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절곡부(35)에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간격조절바(34)가 삽입 관통되도록 수용한다.
이 때 제1 완철밴드(30)와 제1 절곡부(35)의 내측에는 이러한 절곡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금속부재가 인서트될 수 있다.
간격조절바(23)는 제1 완철밴드(30)의 제1 절곡부(35)에 형성된 관통구들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양 단부는 완철(21)에 각각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간격조절바(23)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을 삽입바(24)가 관통하도록 수용한다. 간격조절바(23) 및 삽입바(24)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완철(21)을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이 때 삽입바(24)의 양 단부는 완철(21)의 양 외측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며, 삽입바(24)의 양 단부에는 볼트가 삽입되거나 외경이 확장된 상태로 가공된다. 이 때 삽입바(24)의 양 단부와 완철(21) 사이에는 스프링 부재(241)가 구비된다.
완철(2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1 완철배드(30) 등의 기타 구성들을 지지한다.
제1 너트쌍(241)은 한 쌍의 삽입바(24) 및 간격조절바(23)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외삽된다. 이 때 제1 너트쌍(231)은 제1 절곡부(35)의 양 단부 외측에서 제1 절곡부(35) 간의 간격을 조이거나 풀어준다.
한편, 완철(21)의 양 측면에는 상술한 삽입바(24)가 관통 삽입되기 위한 제2 관통구(211)와 제3 관통구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 때 제2 관통구(211)는 완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바(24)의 중심축이 이동가능하도록 일정 길이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완철(21)은 외측 방향으로 스프링 부재(241)의 탄성에 의한 반발력을 갖기 때문에 초기 설치 시 완철(21)의 간격을 벌려 제1 완철밴드(30) 사이의 공간을 확대하고, 이를 전주에 삽입한 후 완철(21)을 릴리즈 한다. 이 때 제1 완철밴드(30)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제1 완철밴드(30)가 전주에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제1 너트쌍(231)을 조여 제1 완철밴드(30)가 전주를 조여 고정되도록 한다. 동시에 제2 관통구(211)에 삽입된 삽입바(24)의 중심축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주의 두께에 적절한 위치를 선정하게 된다.
한편, 위치가 선정된 삽입바(24)의 경우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 중심축 방향의 이동이 임의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립부재(90)를 완철(21)과 스프링 부재(241) 사이에 삽입한다. 클립부재(90)는 완철(21)과 스프링 부재(241)사이에 삽입되어 해당 삽입바(24)의 중심축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클립부재는 적어도 3방향으로 돌출 확장된 형상의 연장부들이 구비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901, 9021)들이 형성된 예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연장부(901, 9021) 중 인접하는 한 쌍의 연장부 사이의 만입 공간부(G1)에는 상술한 삽입바가 수용된다. 삽입바는 만입 공간부(G1)에 삽입된 후 삽입 제한부(903)에 접촉하여 삽입이 끝나게 된다. 이 때 만입 공간부(G1) 또는 삽입 제한부(903)에 인접한 영역(R1)은 연장부(901, 9021)들에 비하여 돌출된 현상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클립부재(90)가 삽입바에 외삽되는 경우 스프링 부재의 탄성반발력을 증가시켜 삽입바의 중심축 이동을 제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동시에 연장부(901, 9021)들은 완철(21)에 모서리 부분으로 접촉함으로써 최대 운동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삽입바의 중심축 수평 이동을 더욱 제한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절연커버부를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부와 완철부의 결합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커버부 상판(40)은 한 쌍의 완철(21) 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커머부 후판(42)은 커버부 상판(40)으로부터 일측면으로 하향 연장된다. 힌지부(421)는 커버부 후판의 양측 하부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커버 회동부(45)의 회동 중심으로 기능한다.
커버 회동부(45)는 힌지부(421)를 중심으로 상향 회동하여 커버부 상판 (40) 및 커버부 후판(42)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거나, 힌지부(421)를 중심으로 하향 회동하여 커버부 상판(40) 및 커버부 후판(42)의 개방된 면을 개방한다.
커버부 상판(40), 커버부 후판(42) 및 커버 회동부(45)가 구획하는 내측 공간에는 배전선의 접속구(6) 및 현수애자(7)가 수용된다. 커버 회동부(45)는 중심축으로 부터 일정 각도만큼 일부 절개된 형상의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커버부 상판(40) 및 커버부 후판(42)에 인접한 위치에 커버 회동부(45)가 상향 회동하는 경우 커버 회동부(45)와 형합하여 하나의 원통형상을 형성하는 보조 커버(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커버 회동부(45) 및 보조 커버는 절연재질 등 공지된 기존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컨트롤박스 고정용 완철밴드 및 회전제한부를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에에 따른 컨트롤 박스 및 이를 고정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 고정용 완철밴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제한부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일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501)를 구비하여 개폐가능한 컨트롤 박스(50)와 이를 고정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 고정용 완철밴드를 포함한다.
컨트롤 박스 고정용 완철밴드(60)는 앞서 설명한 제1 완철밴드(6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양 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가 구비되고, 제2 절곡부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제4 관통구가 형성된다. 이 때 제4 관통구에 결합되어 컨트롤 박스 고정용 완철밴드(60) 간을 조이거나 릴리즈하는 밴드 고정볼트(603)를 포함하여, 고정볼트(603)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의 이중 머리(6063, 6033)를 구비할 수 있다.
이중 머리(6063, 6033) 사이에는 후술할 회전 제한부(70)가 고정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제한부(70)는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단부가 밴드 고정볼트(603)의 이중 머리 사이의 공간에 고정된다. 한편, 회전 제한부(70)의 타단부는 완철에 고정된 장력 조절부(211)에 고정된다.
장력 조절부(211)는 완철에는 횡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볼트부(211), 제1 너트부(213), 제2 너트부(213), 제3 너트부(215)를 포함한다. 제1 너트부(211)는 완철(21)의 외측에 나사 머리가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완철(21)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제1 너트부(213)는 제1 볼트부 머리의 타측에 나사체결하고, 추가의 제2 너트부(213)가 더 결합하여 제1 너트부와의 사이에 결합력이 증가되도록 체결된다.
제3 너트부(215)는 완철(21)과 제1 볼트부의 머리(211) 사이에 나사 체결하여 제1 볼트부의 머리(211)가 자유 회전하도록 릴리즈 하거나, 완철(21) 측으로 체결되어 제1 볼트부의 머리(211)의 회전을 구속한다.
제1 볼트부의 머리(211)에는 돌출부(2111)가 형성되어 회전 제한부(70)의 단부에 형성된 올가미(701)에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제1 볼트부의 머리(211)가 자유 회전하여 회전 제한부(70)가 제1 볼트부의 머리(211)와 제3 너트부(215) 사이에 감기게 되면, 회전 제한부(70)의 장력이 증가하게 된다. 적절한 장력 상태에서 제3 너트부(215)를 완철(21) 측으로 체결시키게 되면, 제1 볼트부의 머리(211)가 고정 구속되어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 전주
20: 완철부
30: 제1 완철밴드
40: 절연커버
45: 절연커버 회동부
60: 컨트롤박스 고정용 완철밴드
70: 회전제한부
90: 클립부

Claims (9)

  1. 한 쌍으로 구비되고, 서로 대향하여 전주의 둘레를 둘라싸도록 구비되며, 양 단부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제1 완철밴드;
    상기 제1 완철밴드의 대응하는 관통구들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간격조절바;
    상기 각 간격조절바의 내측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간격조절바의 양 단부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삽입바;
    상기 제1 완철밴드의 각각의 외측에 서로 평행한 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삽입바가 관통하는 제2 관통구 및 제3 관통구가 형성되는 한 쌍의 완철;
    상기 한 쌍의 삽입바 중 상기 제1 완철밴드의 양 단부 외측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외삽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대응하는 관통구들 간의 간격을 조이거나 풀어주는 제1 너트쌍;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관통구 및 제3 관통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완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바의 중심축이 이동가능하도록 일정 길이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컨트롤 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컨트롤 박스 고정용 완철밴드를 더 구비하되,
    상기 컨트롤 박스 고정용 완철밴드는 양 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절곡부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제4 관통구가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4 관통구에 삽입되어 서로 대향하는 컨트롤 박스 고정용 완철밴드 간을 조이거나 릴리즈하는 밴드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 고정볼트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의 이중 머리를 구비하며,
    상기 밴드 고정볼트의 이중 머리 사이의 공간에 일 단부가 고정되고,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제한부; 및
    상기 한 쌍의 완철에는 횡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전제한부의 타 단부가 고정되는 장력 조절부; 를 포함하는 전주용 배전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철밴드의 양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는 상기 제1 절곡부에 각각 형성되는 전주용 배전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철밴드와 상기 제1 절곡부 내측에는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금속부재가 인서트되는 전주용 배전 구조물.
  7. 삭제
  8. 삭제
  9. 제1항 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완철의 외측에 나사 머리가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완철을 관통하는 제1 볼트부;
    상기 제1 볼트부 머리의 타측에 나사체결하는 제1 너트부;
    상기 제1 너트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 볼트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1 너트부와 인접하는 방향으로 체결되어 상기 제1 너트부와의 사이에 결합력이 증가되는 제2 너트부; 및
    상기 완철과 상기 제1 볼트부의 머리 사이에 나사 체결하여 상기 제1 볼트부의 머리가 자유 회전하도록 릴리즈 하거나, 상기 완철 측으로 체결되어 상기 제1 볼트부의 머리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3 너트부;를 포함하는 전주용 배전 구조물.
KR1020180017048A 2018-02-12 2018-02-12 전주용 배전 구조물 KR101864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048A KR101864104B1 (ko) 2018-02-12 2018-02-12 전주용 배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048A KR101864104B1 (ko) 2018-02-12 2018-02-12 전주용 배전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104B1 true KR101864104B1 (ko) 2018-06-01

Family

ID=62635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048A KR101864104B1 (ko) 2018-02-12 2018-02-12 전주용 배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1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534U (ja) * 1993-08-06 1995-03-17 大谷櫻井鐵工株式会社 電柱取付用自在バンド
KR20080001122U (ko) * 2006-11-13 2008-05-16 성화금속 주식회사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KR101799855B1 (ko) * 2017-08-10 2017-11-23 (주)진성전기공사 배전계통의 운용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534U (ja) * 1993-08-06 1995-03-17 大谷櫻井鐵工株式会社 電柱取付用自在バンド
JP2600941Y2 (ja) * 1993-08-06 1999-11-02 株式会社大谷工業 電柱取付用自在バンド
KR20080001122U (ko) * 2006-11-13 2008-05-16 성화금속 주식회사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KR101799855B1 (ko) * 2017-08-10 2017-11-23 (주)진성전기공사 배전계통의 운용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6259C (en) Portable self powered line mountable device for measuring and transmitting the undisturbed conductor temperature of electric power line conductors
KR100851432B1 (ko) 송·배전용 철탑의 현수애자
KR100519934B1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 애자
KR102433446B1 (ko) 가공배전선 지지용 애자활용 고정기기
JP4822749B2 (ja) ルーズ式電線把持部
KR100514720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1344039B1 (ko) 송전 특고압 전선의 철탑 고정용 홀더
KR101810407B1 (ko) 풀림방지 및 서지 전압 접지(Gronding)유도 구조를 갖는 절연애자용 상단 금구 취부구조
KR101864106B1 (ko) 전주용 배전 구조물
KR101885223B1 (ko) 가공송전 철탑의 스페이서장치
KR101864104B1 (ko) 전주용 배전 구조물
US9343204B2 (en) Electrical insulator apparatus and methods of retaining an electrical conductor with an electrical insulator apparatus
KR101864105B1 (ko) 전주용 배전 구조물
US4407601A (en) Cross-arm brace
US9362733B2 (en) Insulator cover for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s
EP2865061B1 (en) Corona-free cap assembly
CN109244878B (zh) 一种具有防雷击功能的变电箱及配电箱的防雷方法
KR200468964Y1 (ko) 케이블 장력 인장클램프 장치
US4645867A (en) Guy wire dead end assembly
KR20190077845A (ko) 전선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 구조
KR100667627B1 (ko)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KR101955312B1 (ko) 초고압 송전선로의 스페이서 댐퍼장치
US3139482A (en) Cable spreader
KR20210155665A (ko)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
KR100466699B1 (ko) 컷아웃스위치 완철 절연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