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919B1 -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한 친환경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호막의 형성 - Google Patents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한 친환경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호막의 형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919B1
KR101863919B1 KR1020160124992A KR20160124992A KR101863919B1 KR 101863919 B1 KR101863919 B1 KR 101863919B1 KR 1020160124992 A KR1020160124992 A KR 1020160124992A KR 20160124992 A KR20160124992 A KR 20160124992A KR 101863919 B1 KR101863919 B1 KR 101863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acetate
based polymer
concrete
coating composition
v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5029A (ko
Inventor
진선미
성지영
정의덕
최영철
박중득
진종성
Original Assignee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평강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평강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24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919B1/ko
Publication of KR20180035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D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6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sulfo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1/02Polythioethers; Polythioether-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친환경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내수성, 내열성, 내약품성, 내화학성, 난연성, 치수안정성 등의 콘크리트의 물성을 개선할 수 있는 콘크리트 보호용 친환경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콘크리트 보호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한 친환경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호막의 형성{ECO-FRIENDLY PROTECTIVE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SUPER ENGINEERING PLASTIC AND FORMATION PROTECTIVE FILM OF CONCRE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친환경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를 포함하여 내수성, 내열성, 내약품성, 내화학성, 난연성, 치수안정성 등의 콘크리트의 물성을 개선할 수 있는 콘크리트 보호용 친환경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콘크리트 보호막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대형화, 고층화가 되고 있으며, 구조물 자체 기능과 함께 주변 환경과의 조화 등의 외관이 중시되고 있다. 한편, 더욱 다양해진 외부 요인에 의해 표면이 오염되고, 내구성 저하에 따른 손상이 야기되기도 한다. 이렇게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적절한 보수 보강이 필요하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열화, 중성화, 염해, 화학적 침식, 알칼리 골재 반응, 피로, 풍화, 화재 등에 의해 원래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특성이 저하되어 균열이 발생되거나 구조적 안전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보수 보강에 관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내구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표면 도장을 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표면 보호제로는 수용성 무기계, 알칼리 무기염계 등이 있다. 하지만, 이들은 환경적인 문제로 발생되는 산성 조건에서 부식을 야기하거나 침투수로 인하여 부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 등이 있다.
또한, 구조물의 보수용으로 사용되는 재료로 에폭시나 우레탄, 불소 수지 등의 수지계도 있으나, 이들은 외부에 노출 시 황변 현상이 발생하거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에 의한 치수 변화와, 콘크리트 모체에까지 침투하지 못하여 표면이 들뜨거나 충격에 의해 도막이 탈락될 수 있다.
따라서, 환경 친화적이면서 동시에 장기적인 내구성 및 물성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콘크리트 보호용 도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92815호(2014.04.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환경 친화적이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기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부착강도를 획기적으로 높여 외부 요인에 의한 구조물의 물성 저하를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콘크리트 보호용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수성, 내열성, 내약품성, 내화학성, 난연성 및 치수안정성이 뛰어난 친환경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 및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친환경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도료 조성물은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를 2 내지 60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는 ASTM D1238의 규정에 의거하여 측정된 용융지수(315℃, 5㎏ 하중)가 4,000 내지 6,000g/10min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는 선형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중합체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비닐베르사테이트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비닐에스테르/에틸렌 삼원공중합체 및 비닐아세테이트/비닐라우레이트/비닐베르사테이트 삼원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 및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의 혼합 중량비가 1:2 내지 1:2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도료 조성물은 시멘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도료 조성물은 실리카, 항균제, 살균제, 발수제, 소포제, 계면활성제, 안정화제, 안료 및 촉진제로 이루어진 첨가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도료 조성물은 콘크리트 보호용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친환경 도료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것으로, KS F4936에 따른 표준 상태에서의 재령 28일의 피부착물과의 부착강도가 1.5N/㎟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보호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아릴렌술포네이트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친환경 도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콘크리트를 보호하기 위한 내수성, 내열성, 내약품성, 내화학성, 난연성 등의 물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내구성을 증진시켜 수명 향상 효과가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보호 도막에 대한 TOF-SIMS Spectroscopy mode에서의 폴리페닐렌설파이드의 분포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친환경 도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하나의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반드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구현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포함” 또는 “함유”라 함은 어떤 구성요소를 별다른 제한 없이 포함함을 지칭하며, 다른 구성 요소의 부가를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친환경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아릴렌설파이드(arylene sulfide)계 중합체 및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의 성분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성분들의 조합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부착강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비롯하여 내수성, 내열성, 내화학성, 난연성, 치수안정성 등의 물성을 극대화하고, 이로써 적용 대상물의 장기적인 물성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는 -[ Ar - S ]-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이며, Ar은 아릴렌기이다. 이때, 상기 아릴렌기는 달리 구체화되지 않은 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다. 또한, 중합체 내의 설파이드 결합의 임의의 이성질체 관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예로, 아릴렌기가 페닐렌기일 때, 설파이드 결합은 오쏘, 메타, 파라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폴리아릴렌설파이드는 -[ Ar - S ]- 반복 단위를 바람직하게는 8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아릴렌설파이드 단위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94259673-pat00001
상기 화학식 1을 갖는 아릴렌설파이드 단위 내에서, 아릴렌설파이드 단위의 황 원자의 위치와 그 다음 아릴렌설파이드 단위는 오쏘, 메타, 파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일 수 있는 위치 사이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R1,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치환체일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치환체는 독립적으로 C1 내지 C10 알킬기, C2 내지 C10 알케닐기, C1 내지 C10 알키닐기, C1 내지 C10 알콕시기, C3 내지 C10 시클로알킬기, C2 내지 C1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C3 내지 C10 시클로알케닐기, C2 내지 C10 헤테로시클로알케닐기, C6 내지 C20 아릴기, C6 내지 C20 아릴옥시기 또는 C2 내지 C20 헤테로아릴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는 폴리아릴렌설파이드 중합체이며, 일 구현예로, 상기 중합체는 폴리아릴렌설파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릴렌설파이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화합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페닐렌설파이드는 일예로, 파라디클로로벤젠과 황화나트륨을 원료로 하여 극성 유기 용매하에서 용액중합 반응시켜 수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로는 선형 폴리페닐렌설파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와의 조합으로 혼화성 및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도막 전반에 걸쳐 균일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어 좋다. 또한, 피부착물과의 접착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장기적인 내구성 향상에 뛰어난 장점을 구현할 수 있어 더욱 좋다.
상기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는 ASTM D1238의 규정에 의거하여 측정된 용융지수(315℃, 5㎏ 하중)가 바람직하게는 4,000 내지 6,000g/10min, 보다 바람직하게는 4,500 내지 5,500g/10min인 것이 더욱 좋다.
더욱 좋게는 상기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가 선형 폴리페닐렌설파이드인 것이 조성물 내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와의 조합으로 장기간 물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콘크리트를 보호하기 위한 내수성, 내화학성 등의 상승 효과를 구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50,000g/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0,000 g/mol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목적하는 효과를 구현하기에 더욱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는 후술하는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6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도막 형성 시 균일한 물성을 구현하기 어렵고, 부착강도 및 장기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는 상술한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와의 조합으로 대상물인 콘크리트의 표면의 치밀성을 획기적으로 높여 접착성 및 내구성을 비롯하여 내수성, 내열성, 내약품성, 내화학성, 난연성 등의 물성 상승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로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비닐베르사테이트(vinyl versatate)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비닐에스테르/에틸렌 삼원공중합체(terpolymer), 비닐아세테이트/비닐라우레이트/비닐베르사테이트 삼원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단독 또는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는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를 100,000 내지 300,000몰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초기 끓는점이 100℃ 이상이며, 밀도가 1.5 내지 2.0g/cm3, 25 ℃에서 점도가 100 내지 1,000mPa.s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와의 조합으로 물성 상승 효과를 구현하기에 더욱 좋다.
상기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는 더욱 좋게는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와의 혼합비를 조절하여 사용되는 것이 물성 효과 극대화에 더욱 좋다. 바람직한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와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의 중량 혼합비(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의 중량: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의 중량)는 1:2 내지 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1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균일성이 더욱 증진되며, 접착성, 내구성, 내수성, 치수안정성 등의 물성 향상에 더욱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료 조성물은 시멘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멘트는 상술한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 및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와의 조합의 구성에 더하여 함께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 기재 상에 도막 형성이 용이하고 장기 내구성 향상에 더욱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부착강도, 내화학성,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시멘트는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석회질 원료와 점토질 원료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미분쇄한 후 그 일부가 용융할 때까지(약 1,450℃) 소성하여 얻어지는 클링커에 응결조절제로서 석고를 가하여 미분쇄하여 제조되는 포틀랜드 시멘트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좋게는 초기 수화시 발열이 낮아 투수저항성이 크고,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로는 일예로, EN 197-1에 따른 CEM I, Ⅱ, Ⅲ, Ⅳ 또는 V를 들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시멘트는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1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도막 형성 시 균일한 물성을 구현하기 어려워 목적하는 물성 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료 조성물은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리카, 항균제, 살균제, 발수제, 소포제, 계면활성제, 안정화제, 안료 및 촉진제로 이루어진 첨가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기능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친환경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도막을 갖는 제품을 제공한다.
구체적인 일 양태로,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되어 얻어지는 것으로, KS F4936에 따른 표준 상태에서의 재령 28일의 피부착물과의 부착강도가 1.5N/㎟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8N/㎟ 이상인 콘크리트 표면보호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료 조성물에 대한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
하기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항목에 따른 평가를 실시하였다.
(1) 부착성능 평가
시험체[100 mm × 100 mm 콘크리트 도막, 3조 이상]의 표면에 조성물을 250㎛ 두께로 도포한 후 상부 인장용 강철제 지그를 올려놓고, 상기 인장용 지그의 탈락상태 및 인발 부착강도에 따라 부착 성능을 평가하고 그 평균수치를 기재하였다.
이때, 평가는 한국산업규격 콘크리트 보호용 도막재 (KS F 4936 : 2008)의 5.7 부착 강도 시험 항목에 따라 하기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① 표준 양생 후
② 촉진 내후성 시험 후
③ 냉온 반복 시험 후
④ 내염수성 시험 후
(2) 균열 대응성
-20℃ 및 20℃의 조건에서와, 촉진 내후성 시험 후 각각 균열이 일어났는지를 한국산업규격 콘크리트 보호용 도막재 (KS F 4936 : 2008)의 5.8 균열 대응성 시험 항목에 따라 실시하였다. 시험 결과, 기준치를 통과하면 ○, 그렇지 않으면 ×로 표기하였다. 단, 잔갈림 및 파단에는 해당되지 않으나 미세한 균열(1mm 미만)이 있는 경우 △로 표시하였다.
(3) 겉모양, 중성화깊이, 염화물 이온 침투 저항성, 투습도 및 내투수성
하기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겉모양, 염화물 이온 침투 저항성 및 내투수성 항목의 경우에는 기준치를 통과하면 ○, 그렇지 않으면 ×로 표기하였고, 중성화깊이 및 투습도는 그 결과를 수치로 표기하였다.
[표 1]
Figure 112016094259673-pat00002
(실시예 1)
하기 표 2의 성분 조성비와 같이, 폴리페닐렌설파이드(Linear PPS, ASTM D1238, 용융지수(315℃, 5㎏ 하중)가 5,000g/10min)(PPS-1) 및 폴리비닐아세테이트(Aldrich, CAS No.9003-20-7)(PVAc)를 물과 함께 혼화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및 물의 함량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50중량부 및 30중량부로 조절하였다. 제조된 도료 조성물을 시험체의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도막층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평가항목에 따라 시험하였다.
(실시예 2)
폴리페닐렌설파이드의 함량을 30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폴리페닐렌설파이드의 함량을 10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
폴리페닐렌설파이드의 함량을 5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5)
폴리페닐렌설파이드의 함량을 1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6)
폴리페닐렌설파이드의 함량을 70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대신에, 용융지수(ASTM D1238, 315℃, 5㎏ 하중 조건으로 측정)가 3,800g/10min인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대신에, 용융지수(ASTM D1238, 315℃, 5㎏ 하중 조건으로 측정)가 6,300g/10min인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3)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서 포틀랜드 시멘트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폴리페닐렌설파이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2)
폴리비닐아세테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표 2]
Figure 112016094259673-pat00003
[표 3]
Figure 112016094259673-pat00004
상기 표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9는 내수성, 내화학성 등이 우수하며, 특히 탁월한 부착강도 및 순간적인 균열에도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실시예 5 내지 8은 실시예 1 내지 4에 비하여 다소 부착강도가 낮거나 저온에서의 균열대응성이 저하되었다. 반면, 비교예 1은 실시예에 비해 부착강도가 낮거나, 균열대응성이 좋지 않게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2는 도막이 형성되지 않았다.
또한,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4의 경우에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가 도막 전반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어, 조성물 내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와의 혼화성이 뛰어나고 이로써 물성 극대화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 및 상기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를 2 내지 60중량부 포함하며, KS F4936에 따른 표준 상태에서 재령 28일의 콘크리트 구조물과 부착 시 부착강도가 1.5N/㎟이상인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도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는 ASTM D1238의 규정에 의거하여 측정된 용융지수(315℃, 5㎏ 하중)가 4,000 내지 6,00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도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는 선형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도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비닐베르사테이트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비닐에스테르/에틸렌 삼원공중합체 및 비닐아세테이트/비닐라우레이트/비닐베르사테이트 삼원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도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릴렌설파이드계 중합체 및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의 혼합 중량비가 1:2 내지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도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시멘트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도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실리카, 항균제, 살균제, 발수제, 소포제, 계면활성제, 안정화제, 안료 및 촉진제로 이루어진 첨가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도료 조성물.
  9.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도료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며, KS F4936에 따른 표준 상태에서의 재령 28일의 피부착물과의 부착강도가 1.5N/㎟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보호재.
KR1020160124992A 2016-09-28 2016-09-28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한 친환경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호막의 형성 KR101863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992A KR101863919B1 (ko) 2016-09-28 2016-09-28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한 친환경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호막의 형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992A KR101863919B1 (ko) 2016-09-28 2016-09-28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한 친환경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호막의 형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029A KR20180035029A (ko) 2018-04-05
KR101863919B1 true KR101863919B1 (ko) 2018-06-01

Family

ID=6197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992A KR101863919B1 (ko) 2016-09-28 2016-09-28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한 친환경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호막의 형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9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2214A (en) 1991-05-07 1993-05-18 Phillips Petroleum Company Arylene sulfide coating having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US6849338B2 (en) 2000-11-29 2005-02-01 Pacific Northwest Coatings Coating system for a porous substrate using an asphalt-containing thermosetting basecoat composition and a thermoplastic top coat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626A (ja) * 1993-06-21 1995-01-13 Toubu Kagaku Kk 熱可塑性セメント組成物及びセメント成形物の製造方法
AU2001260613A1 (en) * 2000-05-25 2001-12-03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Thermoplastic hydraulic composition, formed product prepared from the composition by hardening through hydration thereof,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formed product
KR101392815B1 (ko) 2013-08-09 2014-05-27 피엔에이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표면 보수 및 보강용 중성화 방지 도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2214A (en) 1991-05-07 1993-05-18 Phillips Petroleum Company Arylene sulfide coating having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US6849338B2 (en) 2000-11-29 2005-02-01 Pacific Northwest Coatings Coating system for a porous substrate using an asphalt-containing thermosetting basecoat composition and a thermoplastic top coat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029A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073B1 (ko) 내구성 및 기능성이 개선된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방법
KR101347793B1 (ko)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속경성 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54788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보호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공법
KR101816756B1 (ko) 고성능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공법
KR101873488B1 (ko) 염해방지 및 중성화방지 기능을 갖는 친환경 보수용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A3124895C (en) Highly water-resistant, flexible cementitious coating
KR101621355B1 (ko) 함침용 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하수관거 보수보강용 라이닝재
KR101807104B1 (ko) 다기능 친환경 표면 마감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마감 코팅 방법
KR101194554B1 (ko) 아크릴계 에멀젼 및 유황폴리머를 혼입한 개질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670413B1 (ko) 해조류를 이용한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29475B1 (ko)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보호공법
KR101219010B1 (ko) 수성 실리콘 에멀젼 수지 조성물, 수성 실리콘 에멀젼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공법
KR102589186B1 (ko) 소성변형 저항성이 향상된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7963830B (zh) 一种防开裂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405295B1 (ko)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교량포장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40089074A (ko) 유·무기 복합 친환경 방오코팅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50075466A (ko) 방수성 혼화제를 구비하는 방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KR10239083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계 속경형 실링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공법
KR100916306B1 (ko) 수용성 합성고무 라텍스 개질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공법
KR101863919B1 (ko)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한 친환경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호막의 형성
KR10077262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CN107955476A (zh) 一种水性丙烯酸酯彩色柔韧性防水隔热涂料及其制备方法
KR20170115376A (ko) 난연 고강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화플라스틱 보강패널
KR102454474B1 (ko) 상온 속경화형 콘크리트 균열 보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 콘크리트 보수 방법
KR101885608B1 (ko) 구조물 균열 보수용 상온 경화형 균열 주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균열 보수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