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716B1 - W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에서 재밍 신호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W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에서 재밍 신호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716B1
KR101862716B1 KR1020170174300A KR20170174300A KR101862716B1 KR 101862716 B1 KR101862716 B1 KR 101862716B1 KR 1020170174300 A KR1020170174300 A KR 1020170174300A KR 20170174300 A KR20170174300 A KR 20170174300A KR 101862716 B1 KR101862716 B1 KR 101862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jamming
target
probability density
density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호
권준범
김홍락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4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36Means for anti-jamming, e.g. ECCM, i.e. electronic counter-counter meas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209Systems with very large relative bandwidth, i.e. larger than 10 %, e.g. baseband, pulse, carrier-free, ultrawideb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밍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으로서, 특히 채프로 인한 주파수 특성의 차이를 우도비로 산출하여 재밍 신호를 탐지하는 재밍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재밍 신호 처리 장치는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방사된 신호가 반사되어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부; 상기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계산된 제1 확률 밀도 함수 및 기 설정된 제2 확률 밀도 함수의 우도비를 산출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재밍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재밍 신호 탐지부; 및 상기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를 적응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표적과의 상대거리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상대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표적 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 처리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W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에서 재밍 신호 처리 장치 {Apparatus Processing Jamming Signal in W-Band Millimeter Wave Seeker}
본 발명은 재밍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재밍 신호를 탐지하고 이를 회피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표적 추적용 탐색기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며, 유도 무기에 장착되어 ku(12~18Ghz) 대역 및 ka(26~40Ghz) 대역의 송신 주파수를 사용하여 표적을 탐지한다. 이러한 표적 추적용 탐색기는 안테나마다 고유한 편파 특성을 갖는 편파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향의 편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표적을 추적할 수 있다. 표적 추적용 탐색기는 점차 소형화와 높은 해상도의 표적 식별 성능을 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ku(12~18Ghz) 대역 및 ka(26~40Ghz)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인 W대역(56~110Ghz)의 탐색기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탐색기가 추적하는 표적은 생존성을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재밍 수단을 보유하고 있는데, 재밍(Jamming)은 레이더 신호를 감추거나 변형시키기 위해 수신 대역내의 주파수로 송신되는 방해 신호로서 기계적 재밍과 전자적 재밍을 포함한다. 기계적 재밍(Mechanical Jamming)의 대표적인 예로는 채프(Chaff) 및 기만표적(Decoy)이 있다. 채프의 경우 특정 주파수의 레이더 신호를 방해하기 위해 공중에 살포되는 알루미늄등의 금속박을 의미하는데, 미리 정해진 길이의 다양한 채프 조각(Chaff Pieces들이 공중에 방사되어 레이더 신호를 교란한다. 각각의 채프 조각들은 다양한 각도로 방사되어 채프 클라우드(Chaff Cloud)로 나타나고, 채프 클라우드는 레이더 반사 면적(Radar Cross Section)이 커서 유도 비행 무기로 하여금 표적이 아닌 채프 클라우드를 추적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채프 클라우드는 Scintillation 에 대한 상관 시간이 표적보다 짧아 표적에서 반사되는 신호보다 높은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고, 종래 채프 인식 방법은 미리 설정된 차단 주파수를 가지는 고역 통과 필터를 통과하는 신호의 유무를 이용하여 채프를 탐지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챔프 탐지 기술은 고정된 차단 주파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예측한 주파수 특성과 다른 특성의 채프 신호의 경우에 유연하게 채프 신호를 탐지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밀리미터파 대역 탐색기에서 채프로 인한 재밍 신호를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 특허 제 10-1770912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재밍 신호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특히 채프로 인한 주파수 특성의 차이에 기반하여 재밍 신호를 탐지하여 표적 신호를 결정하는 재밍 신호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재밍 신호 처리 장치는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방사된 신호가 반사되어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부; 상기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계산된 제1 확률 밀도 함수 및 기 설정된 제2 확률 밀도 함수의 우도비를 산출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재밍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재밍 신호 탐지부; 및 상기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를 적응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표적과의 상대거리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상대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표적 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 처리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밍 신호 탐지부는 상기 수신 신호를 푸리에 변환하여 레인지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레인지 프로파일 생성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레인지 프로파일에서 계산된 상기 제1 확률 밀도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우도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신호 및 상기 수신 신호는 펄스 타입의 신호로서, 밀리미터파 대역 신호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밍 신호 탐지부는 상기 계산된 제1 확률 밀도 함수 및 상기 제2 확률 밀도 함수를 가우시안 분포로 근사화하는 근사화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근사화된 제1 확률 밀도 함수 및 제2 확률 밀도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상기 재밍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밍 신호 탐지부는 상기 근사화된 제1 확률 밀도 함수를 상기 근사화된 제2 확률 밀도 함수로 나누어서 상기 우도비를 산출하는 우도비 산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출된 우도비를 상기 재밍 신호에 관한 기 저장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재밍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확률 밀도 함수 및 제2 확률 밀도 함수는 특정 자유도를 갖는 카이 제곱 확률 밀도 함수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반사 객체들의 레이더 반사 면적 특성을 반영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수신 신호로부터 계산되는 상기 표적의 속도 및 상기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표적과의 상대 거리를 예측하는 거리 추적 필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측된 상대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표적 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의 이용 여부를 제어하는 재밍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 경우 상기 재밍 신호가 탐지되기 전의 수신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표적과의 상대거리를 예측하여 상기 표적 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밍 제어부는 상기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 경우 상기 재밍 신호 탐지부로 하여금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 후 상기 수신 신호에 상기 재밍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재 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확률 밀도 함수는 상기 표적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Noise Ratio) 및 신호 대 간섭비(Signal-Interference Ratio)에 따라 서로 다른 분포로 생성되고, 상기 우도비는 상기 제1 확률 밀도 함수 및 제2 확률 밀도 함수의 분포가 얼마나 적합한지에 관한 비율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재밍 신호 처리 방법은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펄스 타입의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방사된 신호가 반사되어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를 푸리에 변환하고, 상기 푸리에 변환된 수신 신호를 상기 표적과의 거리에 관한 레인지 정보에 따라 누적하여 레인지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레인지 프로파일에서 계산된 제1 확률 밀도 함수 및 기 설정된 제2 확률 밀도 함수의 우도비를 산출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재밍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를 적응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표적과의 상대거리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상대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표적 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탐지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제1 확률 밀도 함수 및 상기 제2 확률 밀도 함수를 가우시안 분포로 근사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근사화된 제1 확률 밀도 함수 및 제2 확률 밀도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상기 재밍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탐지하는 단계는 상기 근사화된 제1 확률 밀도 함수를 상기 근사화된 제2 확률 밀도 함수로 나누어서 상기 우도비를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출된 우도비를 상기 재밍 신호에 관한 기 저장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재밍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신호 및 상기 수신 신호는 펄스 타입의 신호로서, 밀리미터파 대역 신호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확률 밀도 함수 및 제2 확률 밀도 함수는 특정 자유도를 갖는 카이 제곱 확률 밀도 함수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반사 객체들의 레이더 반사 면적 특성을 반영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신호로부터 계산되는 상기 표적의 속도 및 상기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표적과의 상대 거리를 예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측된 상대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표적 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의 이용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 경우 상기 재밍 신호가 탐지되기 전의 수신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표적과의 상대거리를 예측하여 상기 표적 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 후 상기 수신 신호에 상기 재밍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재 탐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 신호에 재밍 신호가 탐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수신 신호를 재이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확률 밀도 함수는 상기 표적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Noise Ratio) 및 신호 대 간섭비(Signal-Interference Ratio)에 따라 서로 다른 분포로 생성되고, 상기 우도비는 상기 제1 확률 밀도 함수 및 제2 확률 밀도 함수의 분포가 얼마나 적합한지에 관한 비율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에서 상기한 재밍 신호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측된 주파수 특성과 다른 재밍 신호를 유연하게 탐지할 수 있다.
특히, 통계학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 포함된 재밍 신호를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 신호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재밍 신호 처리 장치가 적용된 밀리미터파 대역 탐색기와 표적과의 조우 상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표적과 채프 클라우드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재밍 신호 탐지부의 확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 예에서 레인지 프로파일 생성부가 레인지 정보에 따라 수신 신호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수신 신호에서 계산된 제1 확률 밀도 함수와 가우시안 분포로 근사화된 제1 확률 밀도 함수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재밍 신호 탐지부가 이용하는 재밍 신호 탐지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신호 대 잡음비 및 신호 대 간섭비에 따라 서로 다른 오경보 확률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실시 예에서 신호 처리부의 확대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 신호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 예에서 탐지하는 단계의 확대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실시 예에서 결정하는 단계의 확대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재밍 신호 처리 방법을 이용한 밀리미터파 탐색기에서 표적 탐지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용어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단계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프트웨어 모듈로도 구비가 되거나 또는 각 기능을 담당하는 하드웨어로도 구현이 가능하며,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복합된 형태로도 가능하다.
각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와 예시는 각 도면의 순서에 따라 이하 설명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편파를 이용한 표적 탐지 장치의 구성을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 신호 처리 장치(1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재밍 신호 처리 장치(10)는 안테나부(100), 재밍 신호 탐지부(300) 및 신호 처리부(5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재밍 신호 처리 장치(10)는 수신 신호에서 계산된 제1 확률 밀도 함수 및 기 설정된 제2 확률 밀도 함수의 우도비를 산출하여 수신 신호에 재밍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탐지하고,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 경우, 수신 신호를 적응적으로 이용하여 수신 신호가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재밍 신호 처리 장치(10)는 W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2000)에 장착되어, 밀리미터파 대역 신호를 사용하여 표적(3000)을 탐지하는 탐색기가 수신하는 수신 신호에 재밍 신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재밍 신호가 탐지시의 수신 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재밍 신호가 탐지 되기 전의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표적과의 상대 거리를 예측함으로서 표적을 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밍 신호 처리 장치(10)가 탐지하는 재밍 신호(Jamming Singal)는 레이더 신호를 감추거나 변형시키기 위해 수신 대역내의 주파수로 송신되는 방해 신호를 모두 포함하고, 재밍 신호를 야기 하는 요인으로서 채프(Chaff) 및 기만 표적(Decoy)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로서 채프(Chaff)로 야기된 재밍 신호를 처리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한다. 채프는 특정 주파수의 레이더 신호를 방해하기 위해 공중에 살포되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을 의미하는데, 미리 정해진 길이의 다양한 채프 조각(Chaff Pieces들이 공중에 방사되어 레이더 신호를 교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재밍 신호 처리 장치(10)는 유도 비행 무기(1000)에 장착된 W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2000)에 위치하여 대함 표적(3000)에서 발사된 채프 클라우드(4000)로 인한 재밍 신호를 탐지하여 재밍 신호에 교란되지 않고 대함 표적(3000)을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대함 표적(3000)에서 반사된 레이더 신호는 서로 다른 고정된 위치의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산란점들(Scatterer)로 이루어져, 하나 혹은 두개의 산란점들이 레이더 반사 면적(Radar Cross Section)에서 두드러지나, 채프 클라우드(4000)에서 반사된 레이더 신호는 서로 상관되어 러프하게 움직이는 레이더 반사 면적(RCS)로 나타난다. 따라서, 채프 클라우드(4000)에서 반사되는 신호의 Scintillation에 대한 상관된 시간은 대함 표적(3000)에서 반사된 레이더 신호의 Scintillation에 대한 상관된 시간보다 짧고, 채프 클라우드에서 반사된 레이더 신호는 더 높은 주파수 성분들을 포함한다. 종래의 탐색기는 고정된 차단 주파수의 고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재밍 신호를 탐지하였으나 사전에 예측한 주파수 특성과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재밍 신호를 유연하게 탐지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으나, 제안 발명은 기존의 대함 표적과 채프(Chaff) 수신 신호의 주파수 특성의 차이를 이용하여 채프 신호로 인한 재밍 신호를 탐지할 수 있다.
안테나부(100)는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방사된 신호가 반사되어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부(100)는 본 발명에서 재밍 신호 처리 장치(10)가 사용하는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신호 및 상기 수신 신호는 펄스 타입의 신호로서, 밀리미터파 대역 신호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부(100)는 모노펄스 기법을 사용하는 표적 식별 장치인 본 발명에서는 도파관 슬롯 배열 안테나 또는 반사판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100)는 전자파 간섭 영향이 적은 카세그레인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고,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하는 주 반사판, 부 반사판 및 급전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부(100)는 주 반사판만 회전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테나부(100)가 방사하는 신호는 Ku, ka대역의 신호일 수 있고, W대역 또는 밀리미터파(초고주파 영역)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테나부(100)가 방사하는 신호 및 수신하는 신호는 전자기파의 편광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편파 방향을 포함할 수 있고, 수평 편파 및 수직 편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재밍 신호 탐지부(300)는 레인지 프로파일 생성부(320), 근사화부(340) 및 우도비 산출부(36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재밍 신호 탐지부(300)는 안테나부(100)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계산된 제1 확률 밀도 함수 및 기 설정된 제2 확률 밀도 함수의 우도비를 산출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재밍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재밍 신호 탐지부(300)는 안테나부(100)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에서 제1 확률 밀도 함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제1 확률 밀도 함수와 채프 신호 성분이 제거된 일반적인 대함 표적의 수신 신호의 확률 밀도 함수인 제2 확률 밀도 함수의 비를 이용하여 우도비를 산출함으로서 재밍 신호를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밍 신호 탐지부(300)는 특정 자유도를 갖는 카이 제곱 확률 밀도 함수를 기반으로 반사 객체의 레이더 반사 면적(RCS) 특성이 반영된 Swerling Model을 이용하여 제1 확률 밀도 함수 및 제2 확률 밀도 함수를 생성한다. 재밍 신호 처리 장치(10)가 이용하는 수신 신호는 레이더 반사 면적의 통계적 특성을 설명하는 복합적인 Swerling Model을 이용하여 모델링될 수 있다.
Figure 112017125954581-pat00001
여기에서 f(SI)는 제1 확률 밀도 함수이고, SI는 안테나부(100)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a1은 대함 표적 수신 신호 크기의 평균(mean) 성분이고, 하기 수학식 2로 정해지며, s는 대함 표적 수신 신호 크기의 평균의 제곱, 채프에서 반사된 신호 크기의 평균의 제곱 성분이 반영된 변수로서 하기 수학식 6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17125954581-pat00002
여기에서
Figure 112017125954581-pat00003
은 대함 표적 수신 신호의 크기의 평균을 나타내는 함수이고, a1은 대함 표적 수신 신호 크기의 평균 성분이다. 대함 표적 수신 신호의 확률 밀도 함수는 하기와 같다.
Figure 112017125954581-pat00004
여기에서,
Figure 112017125954581-pat00005
은 대함 표적 수신 신호 크기를 입력으로 하는 확률 밀도 함수이고,
Figure 112017125954581-pat00006
은 대함 표적 수신 신호의 크기, a1은 대함 표적 수신 신호 크기의 평균 성분으로 대함 표적 수신 신호의 크기와 상기 수학식 2의 관계를 가진다.
Figure 112017125954581-pat00007
여기에서,
Figure 112017125954581-pat00008
는 채프에서 반사된 신호 크기의 평균을 나타내는 함수이고, a2는 채프에서 반사된 신호 크기의 평균 성분이다. 채프에서 반사된 신호의 확률 밀도 함수는 하기와 같다.
Figure 112017125954581-pat00009
여기에서,
Figure 112017125954581-pat00010
는 채프에서 반사된 신호 크기를 입력으로 하는 확률 밀도 함수이고,
Figure 112017125954581-pat00011
는 채프에서 반사된 신호 크기, a2는 채프에서 반사된 신호 크기의 평균 성분 채프에서 반사된 신호 크기와 상기 수학식 4의 관계를 가진다.
Figure 112017125954581-pat00012
여기에서, s는 대함 표적 수신 신호 크기의 평균의 제곱, 채프에서 반사된 신호 크기의 평균의 제곱 성분이 반영된 변수, a1은 대함 표적 수신 신호 크기의 평균(mean)성분, a2는 채프에서 반사된 신호 크기의 평균(mean)성분,
Figure 112017125954581-pat00013
는 대함 표적 수신 신호 크기의 평균과 채프에서 반사된 신호 크기의 평균 성분을 정의하기 위한 상수이다.
안테나부(100)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는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표적 신호, 채프(Chaff)에서 반사된 채프 신호 및 기타 잡음 신호의 합으로 정의할 수 있고 복합적인 채프 신호의 레이더 반사 면적(RCS)은 SwerlingⅡ 모델,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신호는 SwerlingⅣ 모델, 기타 노이즈 성분은 가우시안 분포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안테나부(100)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는 복합적인 Swerling 모델로 모델링 가능하며, 수신 신호의 구체적인 확률 밀도 함수는 상기 수학식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레인지 프로파일 생성부(320)는 수신 신호를 푸리에 변환하여 레인지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레인지 프로파일 생성부(320)는 푸리에 변환된 수신 신호를 상기 표적과의 거리에 관한 레인지 정보에 따라 누적하여 저장함으로서 레인지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레인지 프로파일 생성부(320)는 단위 펄스 주기(Pulse Repetition Interval, PRI) 간격으로 수신 신호들(324, 326 및 328)을 표적과의 거리에 관한 레인지 정보로서 레인지 빈(Range Bin) 별로 합하여 누적할 수 있고, 상기 레인지 빈 별로 누적된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레인지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인지 프로파일 생성부(320)는 수신된 수신 신호를 레인지 빈 별로 누적하여 저장하기 위하여 펄스 적분기(Pulse Integrator)를 사용하여 다중 펄스를 적분하여 검출 확률의 이득을 개선할 수 있고, 상기 펄스 적분기는 Non-Coherent Integration 및 Coherent Integration 방식을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Figure 112017125954581-pat00014
여기에서 fG(SI)는 근사화 함수를 나타내고, SI는 안테나부(100)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
Figure 112017125954581-pat00015
는 대함 표적 수신 신호 크기의 평균과 채프에서 반사된 신호 크기의 평균 성분, R1
Figure 112017125954581-pat00016
와 대함 표적 수신 신호 크기의 평균(mean)성분 a1을 포함하여 수학식 8로 표현되는 상수, R2
Figure 112017125954581-pat00017
와 채프에서 반사된 신호 크기의 평균(mean)성분 a2를 포함하여 하기 수학식 9로 표현되는 상수이다.
Figure 112017125954581-pat00018
여기에서, R1
Figure 112017125954581-pat00019
와 대함 표적 수신 신호 크기의 평균(mean)성분 a1으로 표현되는 상수,
Figure 112017125954581-pat00020
는 대함 표적 수신 신호 크기의 평균과 채프에서 반사된 신호 크기의 평균 성분을 정의하기 위한 상수, a1은 대함 표적 수신 신호 크기의 평균(mean)성분이다.
Figure 112017125954581-pat00021
여기에서, R2
Figure 112017125954581-pat00022
와 채프에서 반사된 신호 크기의 평균(mean)성분 a2 로 표현되는 상수,
Figure 112017125954581-pat00023
는 대함 표적 수신 신호 크기의 평균과 채프에서 반사된 신호 크기의 평균 성분을 정의하기 위한 상수, a2는 채프에서 반사된 신호 크기의 평균(mean)성분이다.
근사화부(340)는 제1 확률 밀도 함수를 가우시안 분포로 근사화한다. 근사화부(340)의 근사화 과정은 상기 수학식 7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사화부(340)는 연속 확률 분포의 한 종류로서 정규 분포 특성을 나타내는 가우시안 분포를 이용하여 신호 대 잡음비(Signal-Noise Ratio) 및 신호 대 간섭비(Signal-Interference Ratio)에 따라 서로 다른 분포로 제1 확률 밀도 함수를 근사화 할 수 있다. 근사화부(340)는 신호 대 간섭비가 0.3이고 신호 대 잡음비가 10dB인경우 레인지 프로파일에서 계산된 제1 확률 밀도 함수(344)를 근사화하여 근사화된 제1 확률 밀도 함수(342)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확률 밀도 함수(344, 348 및 354)와 근사화된 제1 확률 밀도 함수(342, 346 및 352)는 신호 대 잡음비(Signal-Noise Ratio) 및 신호 대 간섭비(Signal-Interference Ratio)에 따라 서로 다른 분포로 생성될 수 있다.
우도비 산출부(360)는 상기 근사화된 제1 확률 밀도 함수를 상기 제2 확률 밀도 함수로 나누어서 상기 우도비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우도비 산출부(360)가 산출하는 우도비(Liklihood Ratio)는 제1 확률 밀도 함수 및 제2 확률 밀도 함수의 분포가 얼마나 적합한지를 비율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 확률 밀도 함수의 분포와 채프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함 표적의 수신신호에 대한 확률 밀도 함수인 제2 확률 밀도 함수의 분포가 통계적으로 얼마나 적합한지 여부를 나타낸다. 우도비는 하기의 수학식 10에서 도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7125954581-pat00024
여기에서, fG(SI)/f(St)는 우도비, a1은 대함 표적 수신 신호 크기의 평균(mean)성분, SI는 안테나부(100)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
Figure 112017125954581-pat00025
는 대함 표적 수신 신호 크기의 평균과 채프에서 반사된 신호 크기의 평균 성분을 정의하기 위한 상수, R1은 상기 수학식 8에서 정의되는 상수, R2는 상기 수학식9에서 정의되는 확률 밀도 함수를 위한 상수이다.
우도비 산출부(360)가 산출하는 우도비는 fG(SI)/f(St)로 구할 수 있고, 재밍 신호 탐지부(300)는 상기 산출된 우도비를 기 저장된 임계치(Chaff_th)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재밍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재밍 신호 탐지부(300)가 재밍 신호를 탐지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기 저장된 임계치(Chaff_th)는 실제 채프(Chaff)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 신호와 채프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함 표적의 수신신호에 대한 확률 밀도 함수의 우도비를 미리 저장한 값으로서 사전 모의 비행 시험(CFT)를 통해서 마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 신호 탐지부(300)가 재밍 신호를 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702에서, 재밍 신호 탐지부(300)는 안테나부(100)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를 푸리에 변환하여 거리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S704에서, 재밍 신호 탐지부(300)는 생성된 거리 프로파일에서 제1 확률 밀도 함수를 생성한다. S708에서, 재밍 신호 탐지부(300)는 생성된 제1 확률 밀도 함수를 근사화한다. S710에서, 재밍 신호 탐지부(300)는 근사화된 제1 확률 밀도 함수와 제2 확률 밀도 함수의 비를 이용하여 우도비를 산출한다. S712에서 재밍 신호 탐지부(300)는 산출된 우도비가 미리 저장된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여 재밍 신호(채프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재밍 신호 탐지부(300)는 신호 대 잡음비(Signal-Noise Ratio), 신호 대 간섭비(Signal-Interference Ratio) 및 매개 변수(u1, u2)에 따라 서로 다른 재밍 신호 탐지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밍 신호 탐지부(300)는 특정 신호 대 잡음비(Signal-Noise Ratio), 신호 대 간섭비(Signal-Interference Ratio) 및 매개 변수(u1, u2)에서 재밍 신호를 탐지할 수 있는데, 재밍 신호 탐지부(300)는 신호 대 간섭비(SIR)가 0.4, 매개 변수
Figure 112017125954581-pat00026
이 0.5, 매개 변수
Figure 112017125954581-pat00027
이 -0.2, 적분된 수신 펄스수를 4로 가정하면, 오경보 확률이 Pfa(1/1000000, 810) 인 경우 신호 대 잡음비(SNR)이 16dB에서 99%의 확률로 재밍 신호를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재밍 신호 탐지부(300)는 상기 동일 조건에서 신호대 잡음비(SNR)이 21dB인경우 100%의 확률로 재밍 신호를 탐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재밍 신호 탐지부(300)가 이용하는 특정 신호 대 잡음비(Signal-Noise Ratio)는 대함 표적 전력/ 노이즈 전력으로, 신호 대 간섭비(Signal-Interference Ratio)는 표적 전력/ 채프 전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신호 처리부(500)는 거리 추적 필터(520) 및 재밍 제어부(54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500)는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를 적응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표적과의 상대거리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상대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표적 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500)는 재밍 신호가 탐지되지 않는 경우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표적과의 상대거리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상대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표적 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하지만, 신호 처리부(500)는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 경우에는 재밍 신호가 탐지 되기 전의 수신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표적과의 상대거리를 예측하여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500)는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안테나부(100)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재밍 신호 탐지부(300)로 하여금 상기 수신 신호에 재밍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재 탐지하도록 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재밍 신호가 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수신 신호를 다시 이용하여 표적과의 상대거리를 예측한다.
거리 추적 필터(520)는 안테나부(100)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로부터 계산되는 상기 표적의 속도 및 상기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표적과의 상대 거리를 예측한다. 예를 들어, 거리 추적 필터(520)는 복수의 적분기와 곱셈기를 포함하여 재밍 신호 처리 장치(10)가 포함된 W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의 속도와 표적의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표적과의 상대 거리를 예측할 수 있다.
재밍 제어부(540)는 상기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의 이용 여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재밍 제어부(540)는 재밍 신호 탐지부(300)가 재밍 신호를 탐지하는 경우 안테나부(100)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재밍 신호가 탐지되기 전의 수신 신호를 기준으로 현재 재밍 신호 처리 장치(10)가 탑재된 W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의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표적과의 상대거리를 예측하도록 제어한다. 재밍 제어부(540)는 상기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 경우 재밍 신호 탐지부(300)로 하여금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 후에 상기 수신 신호에 재밍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재 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재밍 신호 처리 장치가 적용된 밀리미터파 대역 탐색기와 표적과의 조우 상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재밍 신호 처리 장치(10)는 W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2000)에 탑재되어 표적(3000)으로부터 방사된 채프 클라우드(4000)로 인한 재밍 신호를 탐지하여 유도 비행 무기(1000)로 하여금 대함 표적(3000)을 효과적으로 탐지하게 할 수 있다. 일반 적으로 채프 클라우드(4000)는 대함 표적(3000)보다 큰 레이더 반사 면적(RCS)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W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2000)가 탑재된 유도 비행 무기(1000)는 채프 클라우드를 표적으로 인식하여 잘못 추적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재밍 신호 처리 장치(10)가 탑재된 W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2000)는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 경우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였다가 재밍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재 탐지하여 상기 대함 표적(3000)을 추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밍 신호 처리 장치(10)가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 경우 대기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00ms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표적과 채프 클라우드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채프 클라우드에서 반사되는 신호의 Scintillation에 대한 상관된 시간은 대함 표적(3000)에서 반사된 레이더 신호의 Scintillation에 대한 상관된 시간보다 짧기 때문에, 채프 클라우드에서 반사된 레이더 신호는 표적에서 반사된 레이더 신호 보다 일반적으로 더 높은 주파수 성분을 가진다. 따라서, 종래의 탐색기는 상대적으로 고주파 영역에 있는 채프로 인한 재밍 신호만을 검출하기 위하여 고정된 차단 주파수를 가지는 고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재밍 신호를 검출하였고, 따라서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따라 채프의 주파수 특성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유연하게 채프로 인한 재밍 신호를 검출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재밍 신호 탐지부(300)의 확대 블록도이다.
재밍 신호 탐지부(300)는 레인지 프로파일 생성부(320), 근사화부(340) 및 우도비 산출부(36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재밍 신호 탐지부(300)는 안테나부(100)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를 복합 Swerling 모델로 모델링하여 제1 확률 밀도 함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확률 밀도 함수를 근사화하여 제2 확률 밀도 함수와의 우도비를 산출한다. 본 발명에서 재밍 신호 탐지부(300)는 매개 변수 추정의 맥락에서 간단한 가설에만 적용되는 LRT(Likelihood Ratio Test) 기법이 아닌, GLRT(Generalized Likelihood Ratio Test) 기법을 이용하여 특정 신호 대 잡음비(Signal-Noise Ratio), 신호 대 간섭비(Signal-Interference Ratio) 및 매개 변수하에서 재밍 신호를 탐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실시 예에서 레인지 프로파일 생성부가 레인지 정보에 따라 수신 신호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레인지 프로파일 생성부(320)는 수신 신호를 푸리에 변환하여 레인지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재밍 신호 처리 장치(10)가 사용하는 방사된 신호 및 수신 신호는 펄스 타입의 신호로 마련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레인지 프로파일 생성부(320)는 펄스 적분기(Pulse Ingetrator)를 포함하여 펄스 타입의 푸리에 변환된 수신 신호를 상기 표적과의 거리에 관한 레인지 정보에 따라 누적 적분하여 저장함으로서 레인지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레인지 프로파일 생성부(320)는 펄스 타입의 수신 신호를 Non-Coherent Interation 하여 상기 표적과의 거리에 관한 레인지 정보에 따라 레인지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수신 신호에서 계산된 제1 확률 밀도 함수와 가우시안 분포로 근사화된 제1 확률 밀도 함수를 나타낸다.
재밍 신호 탐지부(300)는 신호 대 잡음비(Signal-Noise Ratio) 및 신호 대 간섭비(Signal-Interference Ratio)가 달라지는 경우 서로 다른 제1 확률 밀도 함수(344, 348 및 354)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가우시안 분포로 근사화 하여 서로 다른 근사화된 제1 확률 밀도 함수(342, 346 및 352)를 생성할 수 있다. 가우시안 분포를 이용하여 근사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재밍 신호 탐지부(300)가 이용하는 재밍 신호 탐지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재밍 신호 탐지부(300)는 근사화된 제1 확률 밀도 함수와 기 설정된 일반적인 대함 표적의 수신 신호의 확률 밀도 함수인 제2 확률 밀도 함수의 비를 이용하여 우도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우도비를 사전 CFT 시험을 통하여 저장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안테나부(100)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에 재밍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탐지한다. 재밍 신호 탐지부(300)가 제1 확률 밀도 함수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도 8은 신호 대 잡음비 및 신호 대 간섭비에 따라 서로 다른 오경보 확률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재밍 신호 탐지부(300)는 신호 대 잡음비(Signal-Noise Ratio), 신호 대 간섭비(Signal-Interference Ratio) 및 매개 변수(u1, u2)에 따라 서로 다른 재밍 신호 탐지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오경보 확률이 Pfa(1/100000, 808) 인 경우 100000번 중에 1번경우로 재밍 신호 탐지 여부를 잘못 판단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즉, 오경보확률 Pfa(1/100000, 808)은 100000번 중에 1번 Chaff 신호가 있는데, 없다고 판단하거나, Chaff 신호가 없는데 있다고 판단하는 확률을 의미한다.
도 9는 도 1의 실시 예에서 신호 처리부(500)의 확대 블록도이다.
신호 처리부(500)는 거리 추적 필터(520) 및 재밍 제어부(54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500)는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를 적응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표적과의 상대거리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상대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표적 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신호 처리부(500)가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 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재밍 신호가 탐지되기 전의 수신 신호를 기반으로 표적과의 상대거리를 예측하며,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재밍 신호 탐지부(300)로 하여금 상기 수신 신호에 재밍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재 탐지하도록 하여, 재밍 신호가 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안테나부(100)의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상대 거리를 예측하도록 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방법의 전체 또는 일부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방법의 전체 또는 일부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며,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방사된 신호가 반사되어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부;
    상기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계산된 제1 확률 밀도 함수 및 기 설정된 제2 확률 밀도 함수의 우도비를 산출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재밍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재밍 신호 탐지부; 및
    상기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를 적응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표적과의 상대거리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상대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표적 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는 재밍 신호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신호 탐지부는
    상기 수신 신호를 푸리에 변환하여 레인지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레인지 프로파일 생성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레인지 프로파일에서 계산된 상기 제1 확률 밀도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우도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신호 및 상기 수신 신호는
    펄스 타입의 신호로서, 밀리미터파 대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신호 탐지부는
    상기 계산된 제1 확률 밀도 함수를 가우시안 분포로 근사화하는 근사화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근사화된 제1 확률 밀도 함수 및 상기 제2 확률 밀도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상기 재밍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신호 탐지부는
    상기 근사화된 제1 확률 밀도 함수를 상기 제2 확률 밀도 함수로 나누어서 상기 우도비를 산출하는 우도비 산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출된 우도비를 상기 재밍 신호에 관한 기 저장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재밍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 처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률 밀도 함수 및 제2 확률 밀도 함수는
    특정 자유도를 갖는 카이 제곱 확률 밀도 함수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반사 객체들의 레이더 반사 면적 특성을 반영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수신 신호로부터 계산되는 상기 표적의 속도 및 상기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표적과의 상대 거리를 예측하는 거리 추적 필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측된 상대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표적 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의 이용 여부를 제어하는 재밍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 경우 상기 재밍 신호가 탐지되기 전의 수신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표적과의 상대거리를 예측하여 상기 표적 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제어부는
    상기 재밍 신호가 탐지되는 경우 상기 재밍 신호 탐지부로 하여금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 후 상기 수신 신호에 상기 재밍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재 탐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 처리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률 밀도 함수는 상기 표적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Noise Ratio) 및 신호 대 간섭비(Signal-Interference Ratio)에 따라 서로 다른 분포로 생성되고,
    상기 우도비는 상기 제1 확률 밀도 함수 및 제2 확률 밀도 함수의 분포가 얼마나 적합한지에 관한 비율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 처리 장치.
KR1020170174300A 2017-12-18 2017-12-18 W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에서 재밍 신호 처리 장치 KR101862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300A KR101862716B1 (ko) 2017-12-18 2017-12-18 W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에서 재밍 신호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300A KR101862716B1 (ko) 2017-12-18 2017-12-18 W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에서 재밍 신호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716B1 true KR101862716B1 (ko) 2018-05-30

Family

ID=6230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300A KR101862716B1 (ko) 2017-12-18 2017-12-18 W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에서 재밍 신호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7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096B1 (ko) * 2019-02-13 2019-09-19 울산과학기술원 양산되는 집적 회로의 성능 지표를 통합적으로 확률 해석하는 방법
KR102053254B1 (ko) * 2019-08-16 2020-01-08 한화시스템(주) 재밍 회피 모노펄스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66579B1 (ko) * 2019-03-06 2020-01-1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프랙탈 차원을 이용한 표적 인식용 밀리미터파 탐색기 및 이를 이용한 표적 인식방법
KR20220046533A (ko) * 2020-10-07 2022-04-14 에스티엑스엔진 주식회사 수신감도 시간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8968A (ja) 2008-06-30 2010-01-14 Ricoh Co Ltd 転写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4137226A (ja) 2013-01-15 2014-07-28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移動体、音響源マップ作成システムおよび音響源マップ作成方法
JP2016166802A (ja) 2015-03-10 2016-09-15 株式会社東芝 位置検出システム、位置検出装置、および位置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8968A (ja) 2008-06-30 2010-01-14 Ricoh Co Ltd 転写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4137226A (ja) 2013-01-15 2014-07-28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移動体、音響源マップ作成システムおよび音響源マップ作成方法
JP2016166802A (ja) 2015-03-10 2016-09-15 株式会社東芝 位置検出システム、位置検出装置、および位置検出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096B1 (ko) * 2019-02-13 2019-09-19 울산과학기술원 양산되는 집적 회로의 성능 지표를 통합적으로 확률 해석하는 방법
KR102066579B1 (ko) * 2019-03-06 2020-01-1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프랙탈 차원을 이용한 표적 인식용 밀리미터파 탐색기 및 이를 이용한 표적 인식방법
KR102053254B1 (ko) * 2019-08-16 2020-01-08 한화시스템(주) 재밍 회피 모노펄스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46533A (ko) * 2020-10-07 2022-04-14 에스티엑스엔진 주식회사 수신감도 시간제어방법
KR102412904B1 (ko) 2020-10-07 2022-06-24 에스티엑스엔진 주식회사 수신감도 시간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716B1 (ko) W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에서 재밍 신호 처리 장치
CA2774377C (en) Knowledge aided detector
CN107462873B (zh) 一种雷达干扰快速识别方法
US10502822B2 (en) Wind turbine rejection in non-scanning radar
Rohling Some radar topics: waveform design, range CFAR and target recognition
KR101929512B1 (ko) 밀리미터파 공대지레이다의 각도 정보 융합 기법을 이용한 표적의 타격 각도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KR101872017B1 (ko) W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에서 1차원 산란점 추출을 통한 표적 식별 방법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29511B1 (ko) W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에서 이중 편파를 이용하는 산란점 기반 표적 식별 방법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WO2011123310A2 (en) Iterative clutter calibration with phased array antennas
KR101929510B1 (ko) 이중 편파 채널을 이용하는 w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에서 표적 식별 장치
CN112835026B (zh) 雷达镜像目标检测方法、装置、雷达设备和车辆
KR102088426B1 (ko) 이중 편파 레이더의 타겟 검출 장치 및 방법
JP2023519529A (ja) 信号プロキシに基づく多目標一定誤警報確率検出方法
CN108957419A (zh) 基于陷波滤波处理的异步干扰抑制方法
US20190107613A1 (en) Radar detection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moving objects
Park et al. Modeling and simulation for the investigation of radar responses to electronic attacks in electronic warfare environments
Hinz et al. Presegmentation-based adaptive CFAR detection for HFSWR
KR101843532B1 (ko) W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에서 채프 재밍 신호 처리 방법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60072574A (ko)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05099B1 (ko) W대역 밀리미터파 공대지레이더에서 단일 채널 신호의 표적 식별률이 반영된 이중편파 채널 신호를 이용하는 표적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KR101872016B1 (ko) W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에서 표적 식별 장치
RU2694366C1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преднамеренных активных сигналоподобных имитационных помех радиоэлектронным средствам
KR101828246B1 (ko) 차량용 fmcw 레이더의 표적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2207003B1 (ko) 해상 표적 탐지 방법
CN112630744B (zh) 一种多相参积累方法融合的海上小目标检测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