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265B1 - 콩 품종의 종자, 식물체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콩 품종의 종자, 식물체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265B1
KR101862265B1 KR1020160001612A KR20160001612A KR101862265B1 KR 101862265 B1 KR101862265 B1 KR 101862265B1 KR 1020160001612 A KR1020160001612 A KR 1020160001612A KR 20160001612 A KR20160001612 A KR 20160001612A KR 101862265 B1 KR101862265 B1 KR 101862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bean
plant
seed
varieties
vari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2340A (ko
Inventor
이석하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1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2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82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0S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14Vegetable proteins
    • A23J3/16Vegetable proteins from soybe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6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C12N15/827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C12N15/8274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herbicide resi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6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C12N15/827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C12N15/8279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pathogen resistance, disease resistance

Abstract

신품종 콩 식물 및 그의 일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콩 품종의 종자, 식물체 및 그의 용도{Seed and plant of soybean variety and use thereof}
신품종 콩 식물체, 종자, 그의 일부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콩(Glycine max L.)은 한반도를 포함한 중국, 일본 등 동북아 지역이 원산지인 작물로 동양에서 5곡 중의 하나로 동북아 지방을 원산지로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어디서나 널리 재배되어 왔고, 쌀, 보리와 더불어 우리의 식생활에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식량 작물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 콩의 육종목표는 종래 장류콩 중심의 수량성 향상에서 1990년대 들어 용도의 다양화와 품질의 고급화로 뚜렷하게 전환되었다. 이를 통해 현재는 장류콩, 두부용, 나물콩, 풋콩, 밥밑콩 및 떡소용 등으로 용도가 다양화 되었으며, 용도에 따른 가공적성 및 품질 고급화가 진전되는 등 품종면에서 다수의 성과를 이루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콩의 유력한 원산지임에도 불구하고, 2008년 현재 콩 자급률은 약 11% 수준이고, 단위생산성 즉, 10a당 수량도 175㎏ 수준으로 미국 등 주요국보다 훨씬 낮아 안정적인 콩 수급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콩 재배시 콩 품종의 착협고가 낮아 기계를 사용한 수확이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콩 수확량이 많으면서도 기계 수확이 가능한 품종이 요구되고 있다.
일 양상은 콩 품종의 종자를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콩 식물체 또는 그의 일부를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콩 종자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제2 콩 식물체를 개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원하는 형질(trait)을 포함하는 콩 식물체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상품 식물체 산물(commodity plant product)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제1 양상은 착협고가 높고 다수성인 콩 (Glycine max (L.) Merrill) 품종 CJ1의 종자(seed)로서, 상기 콩 품종의 종자의 대표적 시료가 KCTC에 수탁번호 KCTC 12964BP로 기탁되어 있는 것인 콩 품종의 종자를 제공한다.
상기 종자에 있어서, 상기 착협고는 지면으로부터 가장 낮게 달린 꼬투리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상기 착협고는 성숙기에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착협고는 13cm 이상, 예를 들면 15c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착협고는 13cm 내지 20cm일 수 있다. 다수성은 콩 종자(seed)의 수확량이 많은 것을 나타낸다. 상기 수확량은 성숙기에 수확하였을 때 주당 종자 수확량이 15g 이상, 예를 들면 15.42g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수확량은 성숙기에 수확하였을 때 주당 종자 수확량이 15g 내지 24g인 것일 수 있다. 성숙기는 종자가 꼬투리에 분리되는 시기일 수 있다. 상기 품종 CJ1은 주당 꼬투리 수 및 콩알 수가 대조품종으로서 풍산나물콩에 비하여 많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착협고 및 다수성은 대조품종으로서 풍산나물콩에 비하여 높고 다수성인 것일 수 있다. 출원품종과 대조품종은 동일한 재배지에서 동일한 조건에서 재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품종 CJ1은 착협고가 높아 기계 수확이 가능하고, 종자의 수확량이 높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언급이 없으면, 콩 품종의 특성은 식물신품종보호법 제30조 및 동법 시행령 제33조에 의한 종자관리요강 제2조의 별표1에 대한 작물별 품종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사항과 동법 시행규칙 제47조 규정에 의한 재배심사를 위해 필요한 특성검정을 실시하는 요령을 정하고 있는, "신품종 심사를 위한 작물별 특성조사요령, 콩 (soybean Glycine max(L.) Merrill) (농림축산식품부 국립종자원, 2014: http.//www.seed.go.kr)"에 기재된 요령에 따라 측정되고 검정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달리 언급이 없으면 콩 품종의 특성 중 양적 형질은 평균 값을 나타낸다.
제2 양상은 착협고가 높고 다수성인 콩 (Glycine max (L.) Merrill) 품종 CJ1의 생리적 및 형태학적 특징을 모두 포함하는 콩 식물체 또는 그의 일부로서, 상기 콩 품종의 종자의 대표적 시료가 KCTC에 수탁번호 KCTC 12964BP로 기탁되어 있는 것인 콩 식물체 또는 그의 일부를 제공한다.
상기 콩 식물체는 콩 종자를 발아시켜 얻어지는 콩나물(soybean sprout)을 포함한다. 상기 식물체의 일부는 화분(pollen), 뿌리(root), 종피(seed coat), 세포, 잎(leaf), 줄기(stem), 꽃밥(anther), 또는 밑씨(ovule)일 수 있다. 상기 식물체는 대조품종 대비 키가 크고 도복에 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키는 잎이 최대 크기에 도달한 시기, 즉 성숙기에 조사된 것일 수 있다.
제2 양상에 따른 식물체는 다음과 같은 형태적 특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1) 배축색은 없거나 매우 약하다.
(2) 경장은 매우 크다.
(3) 엽색은 녹색이다.
(4) 화색은 백색이다.
(5) 제색(hilum color)은 갈색이다.
(6) 개화시기는 다소 늦다.
(7) 성숙기는 늦다.
제2 양상에 따른 하기와 같은 대조품종과 구별되는 특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대조품종은 풍산나물콩이다.
(1) 출원품종의 배축색은 없거나 매우 약하지만, 대조품종은 중간이다.
(2) 출원품종의 경장은 매우 크지만, 대조품종의 경장은 중간이다.
(3) 출원품종의 엽색은 녹색이나, 대조품종의 엽색은 농록색이다.
(4) 출원품종의 화색은 백색이나, 대조품종의 화색은 담자색이다.
(5) 출원품종의 제색(hilum color)은 갈색이나, 대조품종의 제색은 황색이다.
(6) 출원품종의 개화시기는 다소 늦지만, 대조품종의 개화시기는 늦다.
상기 콩 품종CJ1의 종자의 대표적 시료를 2015년 12월 14일자로 부다페스트 조약에 따른 국제기탁기관인 미생물자원센터(KCTC)에 KCTC 12964BP로 기탁하였다.
제3 양상은 상기한 콩 식물체 또는 그의 일부를 형질전환시켜서 얻어지는 콩 식물체를 제공한다.
제4 양상은 제3 양상에 따른 상기 콩 식물체의 종자를 제공한다.
제5 양상은 콩 식물체를 교배시키는(crossing) 단계 및 그 결과 얻어지는 콩 종자를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콩 식물체는 제2 양상의 콩 식물체인 것인 콩 종자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교배 및 수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a) 상기 그 결과 얻어지는 콩 종자로부터 성장한 식물체를 그 자체 또는 다른 콩 식물체와 교배시켜서 다음 세대(subsequent generation)의 자손 식물체(progeny plant)의 종자를 생산하는 단계; (b) 다음 세대의 자손 식물체의 상기 종자로부터 다음 세대의 자손 식물체를 성장시키고 상기 다음 세대의 자손 식물체를 그 자체 또는 제2 식물체와 교배시켜서 더 다음 세대(further subsequent generation)의 자손 식물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단계 (a)의 상기 그 결과 얻어지는 콩 종자로부터 성장한 상기 식물체 대신 단계 (b)의 더 다음 세대의 자손 식물체를 사용하여 단계 (a) 및 (b)를 반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단계 (a) 및 (b)는 착협고가 높고 다수성인 콩 품종 CJ1로부터 유래된 근계교배 식물체(inbred plant)를 생산하기에 충분한 근계교배(inbreeding)로 반복하는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6 양상은 제5 양상의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F1 콩 종자를 제공한다.
제7 양상은 제5 양상의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F1 콩 종자로서 상기 콩 식물체의 하나 이상은 유전가능한 형질전환 사건(transgenic event)을 보유하는 것인 F1 콩 종자를 제공한다.
제8 양상은 제6 양상의 상기 콩 종자를 성장시켜서 생산된, F1 콩 식물체 또는 그의 일부를 제공한다.
제9 양상은 식물체 육종(plant breeding)을 통하여 제2 콩 식물체를 개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8 양상에 따른 식물체 또는 그의 일부에 식물 육종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제10 양상은 원하는 형질(trait)을 포함하는 콩 식물체를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2 양상의 상기 콩 품종 내로 원하는 형질(desired trait)을 부여하는 하나 이상의 전이유전자(transgene) 또는 유전자좌(locus)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원하는 형질은 웅성 불임성(male sterility), 제초제 관용(herbicide tolerance), 곤충, 선충(nematode), 또는 페스트 저항성, 질병 저항성, 곰팡이 저항성, 변형된 지방산 대사, 변형된 탄수화물 대사, 가뭄 관용(drought tolerance), 비생물적 스트레스 관용(abiotic stress tolerance), 및 변형된 영양 결손 관용(modified nutrient deficiency toleranc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원하는 형질은 제초제 관용이고, 상기 관용은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아세토락테이트 신타제(ALS) 저해제, 히드록시페닐피루베이트 디옥시게나제(HPPD) 저해제, 프로토포르피리노겐 옥시다제(PPO) 저해제, 피토엔 데사투라제(PDS) 저해제, 포토시스템 II(PSII) 저해제, 디캄바 및 2,4-D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초제에 대하여 부여되는 것일 수 있다.
제11 양상은 제10 양상의 상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곤충, 질병 또는 제초제 저항성 식물체로서, 상기 콩 식물체는, 상기 전이유전자 또는 유전자좌에 의하여 변경되는 특성들을 제외하고, 동일한 위치(location) 및 동일한 환경에서 성장한 경우, 상기 착협고가 높고 다수성인 콩 품종 CJ1의 형태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characteristics)을 모두 가진 것인 콩 식물체를 제공한다.
제12 양상은 제10 양상의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콩 식물체로서, 상기 식물체는 상기 원하는 형질과 상기 전이유전자 또는 유전자좌에 의하여 변경되는 특성들을 제외하고 상기 착협고가 높고 다수성인 콩 품종 CJ1의 형태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을 모두 가진 것인 콩 식물체를 제공한다.
제13 양상은 착협고가 높고 다수성인 콩 품종 CJ1로부터 유래된 콩 변종(soybean variety) 내에 원하는 형질을 도입하는 방법으로서, (a) 청구항 2의 착협고가 높고 다수성인 콩 품종 CJ1의 식물체를 상기 원하는 형질을 포함하는 다른 콩 변종(another soybean variety)의 식물체와 교배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원하는 형질은 웅성 불임성, 제초제 저항성, 질병 저항성, 곤충 저항성, 선충 저항성, 변형된 지방산 대사, 변형된 탄수화물 대사, 박테리아 질병, 곰팡이 질병, 또는 바이러스 질병에 대한 저항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단계; (b) 상기 원하는 형질을 가진 하나 이상의 새로운 자손을 선발하여 선발된 자손 식물체(selected progeny plants)를 생산하는 단계; (c) 선발된 자손 식물체를 자식(selfing)하거나 선발된 자손 식물체를 착협고가 높고 다수성인 콩 품종 CJ1과 교배시켜 늦은 세대(late generation) 선발된 자손 식물체를 생산하는 단계; (d) 상기 원하는 형질 및 착협고가 높고 다수성인 콩 품종 CJ1의 형태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을 가진 더 늦은 세대(later generation) 선발된 자손 식물체를 위하여 교배시키거나 더 선발하여 선발된 다음 더 늦은 세대 자손 식물체(selected next later generation progeny plant)를 생산하는 단계; 및 선택적으로, (e) 더 늦은 세대(later generation) 자손 식물체의 교배 또는 선발을 반복하여 상기 원하는 형질 및 동일한 위치 및 환경에서 성장한 경우 상기 원하는 형질 및 착협고가 높고 다수성인 콩 품종 CJ1의 형태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 모두를 포함하는 자손 식물체를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제14 양상은 상기 원하는 형질 및 동일한 위치 및 환경에 성장한 경우 상기 원하는 형질 및 착협고가 높고 다수성인 콩 품종 CJ1의 형태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 모두를 포함하는, 제13 양상의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식물체를 제공한다.
제15 양상은 상품 식물체 산물(commodity plant product)을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2 양상의 식물체 또는 그의 부분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식물체로부터 단백질 농축물(protein concentrate), 단백질 분리물(protein isolate), 콩 껍질(soybean hulls), 음식(meal), 가루(flour), 또는 오일을 포함하는 상기 상품 식물체 산물을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제16 양상은 제12 양상의 식물체를 생산하는 콩 종자를 제공한다.
일 양상에 따른 콩 품종의 종자는, 착협고가 높고 다수성인 콩 품종 CJ1의 식물체 및 그 일부를 효율적으로 얻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콩 식물체 또는 그의 일부는 콩 식물체 또는 그의 일부 유래 상품을 제조하는데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콩 종자를 생산하는 방법에 의하면, 콩 종자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제2 콩 식물체를 개발하는 방법에 의하면, 제2 콩 식물체를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원하는 형질(trait)을 포함하는 콩 식물체를 생산하는 방법에 의하면, 원하는 형질(trait)을 포함하는 콩 식물체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상품 식물체 산물(commodity plant product)을 생산하는 방법에 의하면, 상품 식물체 산물(commodity plant product)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콩 품종 CJ1의 육성 계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콩 품종 CJ1의 육성 계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콩 품종CJ1(좌측)과 대조품종 풍산나물콩(우측)의 종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출원 품종의 착협기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5는 대조품종인 풍산나물콩의 착협기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6은 출원 품종의 성숙기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7은 대조품종인 풍산나물콩의 성숙기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8은 출원 품종과 풍산나물콩의 배축색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출원 품종과 풍산나물콩의 꽃색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출원 품종(좌)과 풍산나물콩(우)의 경장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11은 출원 품종과 풍산나물콩의 경장의 측정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출원 품종과 풍산나물콩의 마디수 및 착협고의 측정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출원 품종과 풍산나물콩의 단일 꼬투리 및 식물체에서의 꼬투리 및 주당 꼬투리 수 및 주당 콩알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특성 3의 식물체의 신육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특성 4의 식물체의 초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특성 8의 측생소엽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특성 17의 종실의 배꼽색, 및 특성 18의 종실의 배꼽 주병의 색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신품종의 육성 및 특성
1. 품종의 육성
콩 품종 CJ1은 나물용 다수성 품종인 '풍산나물콩'을 모본, 초다근류인자를 보유한 'SS2-2'를 부본으로 2004년 태국에서 인공교배하여, 2004년에서 2006년까지 F1~F5 세대를 단립후대법(SSD)으로 경과한 후 2007년 F6 종자 86계통이 국내로 도입되었다. 2007년 이후 수원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농장에서 세대 진전과 특성 조사를 수행하였다. 2007년 F6 86계통을 재배하여 49계통을 선발하였으며, 2008년 F7 49계통을 재배하여 착협이 양호한 'SS0404-T5-63'을 선발하였다. 2009년 생산력 검정 예비시험과 2010년 생산력 검정 본 시험을 수원에서 수행하였고, 2011년에는 수원과 나주에서 지역 적응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2012년에는 제주에서 농가실증시험을 실시하여 다수성이 인정되어 2013년에는 수원, 나주, 정읍에서 지역적응 시험을 추가 수행하였다. 'SS0404-T5-63'을 콩 품종 CJ1로 명명하였다. 콩 품종 CJ1의 주요 특성은 유한 신육형으로 만생 품종이며 풍산나물콩과 성숙기가 같으며 풍산나물콩에 비하여 경장이 길고 주경절수가 많으나 풍산나물콩에 비하여 도복에 강하며 다수성이다.
도 1은 콩 품종 CJ1의 육성 계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콩 품종 CJ1의 육성 계보도를 나타낸다.
2. 육성된 품종의 특성
표 1은 본 발명의 콩 품종CJ1과 대조 품종인 풍산나물콩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6001351023-pat00001
Figure 112016001351023-pat00002
표 1의 결과는, CJ1과 풍산나물콩을 수원(수원시 권선구)의 콩의 재배적지인 중동통 특성을 갖는 토양에 2013년 6월 5일에 파종하고, 재배한 후 수확적기로 판단된 파종일로부터 147일 후인 10월 30일에 수확하여 측정한 것이다. 이때 재배는 노지에서 재식 간격 70x15cm, 1주당 2개체씩 파종에 의하여 수행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콩 품종CJ1은 다음과 같은 형태학적 특성을 갖는다.
(1) 배축색은 없거나 매우 약하다.
(2) 경장은 매우 크다.
(3) 엽색은 녹색이다.
(4) 화색은 백색이다.
(5) 제색(hilum color)은 갈색이다.
(6) 개화시기는 다소 늦다.
(7) 성숙기는 늦다.
또한, 본 발명의 콩 품종CJ1은 다음과 같은 대조품종과 구별되는 특성을 갖는다. 대조품종은 풍산 나물콩이다.
(1) 출원품종의 배축색은 없거나 매우 약하지만, 대조품종은 중간이다.
(2) 출원품종의 경장은 매우 크지만, 대조품종의 경장은 중간이다.
(3) 출원품종의 엽색은 녹색이나, 대조품종의 엽색은 농록색이다.
(4) 출원품종의 화색은 백색이나, 대조품종의 화색은 담자색이다.
(5) 출원품종의 제색(hilum color)은 갈색이나, 대조품종의 제색은 황색이다.
(6) 출원품종의 개화시기는 다소 늦지만, 대조품종의 개회시기는 늦다.
본 발명의 콩 품종CJ1(이하 '출원 품종'이라고도 함)은 성숙기는 늦은 편이므로 중북부 지방에서는 6월 중순까지는 파종하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본 발명의 콩 품종CJ1은 풍산나물콩에 비하여 평균 수량이 높았으며, 발아율은 약간 낮았으나 발아세는 매우 높았다. 또한, 본 발명의 콩 품종CJ1은 풍산나물콩에 비하여 총 이소플라본 함량이 종실과 콩나물에서 모두 높았으며, 항산화 활성도 높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콩 품종CJ1(좌측)과 대조품종 풍산나물콩(우측)의 종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출원 품종의 착협기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5는 대조품종인 풍산나물콩의 착협기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6은 출원 품종의 성숙기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7은 대조품종인 풍산나물콩의 성숙기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8은 출원 품종과 풍산나물콩의 배축색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에서, A, 및 B는 출원 품종의 배축이며, C 및 D는 풍산나물콩의 배축이다. 도 8의 B 및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원 품종의 배축색은 색이 없거나 매우 약하지만, 풍산나물콩의 배축색은 자색이다.
도 9는 출원 품종과 풍산나물콩의 꽃색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원 품종(좌측)의 꽃색은 백색이며, 풍산나물콩(우측)의 꽃색은 담자색이다.
도 10은 출원 품종(좌)과 풍산나물콩(우)의 경장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11은 출원 품종과 풍산나물콩의 경장의 측정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원 품종은 풍산나물콩 대비 경장이 2.4 내지 3.9cm 크다. 아울러, 출원 품종은 풍산나물콩 대비 도복에 강하였다.
도 12는 출원 품종과 풍산나물콩의 마디수 및 착협고의 측정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의 좌측은 출원 품종의 사진으로서 마디수와 착협고를 표시한 것이고, 우측은 주당 (per plant) 마디수 및 착협고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원 품종는 마디수가 풍산나물콩 대비 3 마디 증가하였으며, 착협고는 3.8cm 높았다. 따라서, 출원 품종은 착협고가 콤바인과 같은 기계를 사용하여 수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예기치 못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2의 측정치는 2013년 제주 3 지역에서 재배한 것으로서 평균값이다.
도 13은 출원 품종과 풍산나물콩의 단일 꼬투리 및 식물체에서의 꼬투리 및 주당 꼬투리 수 및 주당 콩알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서, A, B, C, D, 및 E는 각각 재배 중인 출원 품종의 꼬투리, 단일 꼬투리, 식물체에서의 꼬투리, 주당 꼬투리 수 및 주당 콩알수를 각각 나타낸다.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원 품종은 주당 꼬투리 수가 풍산나물콩 대비 23.8개 증가하였으며, 주당 콩알수는 41.4개 증가하였다. 또한, 출원 품종과 풍산나물콩의 백립 종자의 무게는 13.6g 및 13.2g이었다. 그 결과, 주당 꼬투리 수, 주당 콩알수, 및 백립 중자 무게를 고려하면, 출원 품종은 대조품종 대비 주당 5.9g의 콩 종자 수확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출원 품종은 착협고가 콤바인과 같은 기계를 사용하여 수확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콩 종자 수확량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3의 측정치는 2013년 수원(수원시) 권선구에서 재배한 것으로서 평균값이다.
그 외 출원 품종의 안정성 및 균일성에 대하여 검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콩 품종CJ1은 2011년과 2013년 수원에서 각각 3반복으로 조사한 결과, 협당립수는 ANOVA 분석 결과 연차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협당립수의 CV는 6.69%이고, LSD(5%)는 0.0742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콩 품종CJ1은 안정성이 있다.
표 2는 콩 품종 CJ1의 연차간 협당립수의 변이를 나타낸다. 콩 품종 CJ1은 2011년 6월 7일과 2013년 6월 5.일에 각각 파종하고, 2011년 10월 23일과 2013년 10월 30일에 수확하고 협당립수를 확인한 결과이다.
Figure 112016001351023-pat00003
표 2 및 표 3은 10개체(10주)를 3반복한 실험데이터로 조사형질 1~10은 각 개체 번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콩 품종CJ1은 2013년 수원에서 3반복으로 조사한 결과, 주경절수를 ANOVA 분석한 결과, 반복간의 유의성이 없었다. 협당립수의 CV는 6.73%이고, LSD(5%)는 0.1309이고, 주경절수의 CV는 8.23%이고, LSD(5%)는 1.6069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콩 품종CJ1은 균일성이 있다. 표 3은 콩 품종 CJ1의 협당립수 및 주경절수의 변이를 나타낸다. 콩 품종 CJ1은 2013년 6월 7일에 파종하고, 2013년 10월 30일에 수확하고 협당립수를 확인한 결과이다. 주경절수는 성숙기 시기에 확인하였다.
Figure 112016001351023-pat00004
표 1에 나타낸 콩 품종의 특성은 식물신품종보호법 제30조 및 동법 시행령 제33조에 의한 종자관리요강 제2조의 별표1에 대한 작물별 품종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사항과 동법 시행규칙 제47조 규정에 의한 재배심사를 위해 필요한 특성검정을 실시하는 요령을 정하고 있는, "신품종 심사를 위한 작물별 특성조사요령, 콩 (soybean Glycine max(L.) Merrill) (농림축산식품부 국립종자원, 2014: http.//www.seed.go.kr)"에 기재된 요령에 따라 측정되고 검정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달리 언급이 없으면 콩 품종의 특성 중 양적 형질은 평균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식물체의 식육형의 관찰은 개화시 즉, 주경에서 처음 개화 시에 개체의 생장점 즉 정단부를 표시해 둔다. 성숙기 즉, 종실이 꼬투리에 분리되는 시기에 표시한 부분과 개체 최상부 사이의 마디 수를 센다. 개화시 이후 증가된 마디수가 많으면 무한신육형, 적으면 유한신육형으로 판단하되, 품종의 증가된 평균 마디수를 표준품종과 비교하여 특성을 판단한다. 추가로, 유한신육형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정엽의 크기도 고려해야 한다. 유한신육형 품종의 정엽은 주경의 하위 잎과 비교하여 크기가 비슷해야 한다. 다른 신육형은 정엽의 크기가 현저히 작다.
도 14는 특성 3의 식물체의 신육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특성 4의 식물체의 초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특성 8의 측생소엽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특성 17의 종실의 배꼽색, 및 특성 18의 종실의 배꼽 주병의 색을 나타낸 도면이다.
3. 평균 수량
(1) 생산력 검정
2009년 수원에서 수행된 생산력 검정 예비 시험에서 콩 품종 CJ1는 361kg/10a의 수량성을 보여 대조품종인 풍산나물콩 (287kg/10a)에 비하여 26% 증수되었다. 2010년 수원에서 수행된 생산력 검정 본 시험에서 콩 품종 CJ1는 308kg/10a의 수량성을 보여 대조품종인 풍산나물콩(262kg/10a)에 비하여 18% 증수되었다.
품종 및 계통명
생산력 검정 예비 시험('09) 생산력 본 시험('10)
수량(kg/10a) 지수 수량(kg/10a) 지수
콩 품종 CJ1 361 126 308 118
풍산나물콩(대조) 287 100 262 100
(2) 지역적응시험
2011, 2013년 2개년 간에 걸쳐 수원, 나주, 정읍(2013년만 수행)에서 수행된 지역 적응 시험에서 콩 품종 CJ1은 333kg/10a의 수량성을 보여 대조품종인 풍산나물콩(312kg/10a)에 비하여 7% 증수되었다.
장소
CJ1호(kg/10a) 지수
풍산나물콩(대조)(kg/10a)
2011 2013 평균 2011 2013 평균
수원 280 358 319 112 259 308 284
나주 265 481 373 102 268 466 367
정읍 - 279 279 108 - 258 258
평균 273 373 333* 107 264 344 312*
지수 103 108 107 - 100 100 100
*2011년 2개소와 2013년 3개소 등의 총 평균임.
(3) 내도복성 및 내병성
콩 품종 CJ1의 내도복성은 중 정도로 대조품종인 풍산나물콩에 비하여 약간 강하였다. 콩 품종 CJ1는 불마름병에 대하여 다소 강하였으나 대조품종인 풍산나물콩에 비하여 약간 약하였다.
장소
내도복(0~9) 불마름병(0~9)
CJ1호 풍산나물콩 CJ1호 풍산나물콩
수원('10,'11,'13) 5 6 2 1
나주('11,'13) 4 5 2 1
평균 4.5 5.5 2 1
(4) 이소플라본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콩 품종 CJ1는 종실의 총 이소플라본 함량, 콩나물의 제니스테인 (genistein) 함량과 총 이소플라본 함량이 대조품종인 풍산나물콩의 약 2배에 달하였고, 종실의 제니스테인 (genistein) 함량은 대조품종인 풍산나물콩이 존재하지 않는데 비하여 소량 존재하였다.
콩 품종 CJ1는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분석에서 항산화활성이 대조품종인 풍산나물콩에 비하여 종실과 콩나물 모두에서 높았다.

품종 및 계통명
이소플라본 함량(mg/g) 항산화 활성(DPPH분석)(mg VCEAC/1g FW)
종실 콩나물
제니스테인 (genistein) 총 제니스테인 (genistein) 제니스테인 (genistein) 총 제니스테인 (genistein) 종실 콩나물
CJ1호 0.0069 3.6556 11.1562 13.0058 13.6 6.25
풍산나물콩 0.0000 1.9401 6.1781 6.9995 12.2 5.39
미생물자원센터(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 KCTC12964BP 20151214

Claims (14)

  1. 착협고가 높고 다수성인 콩 (Glycine max (L.) Merrill) 품종 CJ1의 종자 (seed)로서, 상기 콩 품종의 종자의 대표적 시료가 미생물자원센터에 수탁번호 KCTC 12964BP로 기탁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착협고는 13 cm 내지 20 cm인 것인 콩 품종의 종자.
  2. 착협고가 높고 다수성인 콩 (Glycine max (L.) Merrill) 품종 CJ1의 생리적 및 형태학적 특징을 모두 포함하는 콩 식물체로서, 상기 콩 품종의 종자의 대표적 시료가 미생물자원센터에 수탁번호 KCTC 12964BP로 기탁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착협고는 13 cm 내지 20 cm인 것인 콩 식물체.
  3. 삭제
  4. 청구항 2의 콩 식물체를 형질전환시켜서 얻어지는 콩 식물체.
  5. 청구항 4에 따른 상기 콩 식물체의 종자.
  6. 콩 식물체를 교배시키는(crossing) 단계 및 그 결과 얻어지는 콩 종자를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콩 식물체는 청구항 2의 콩 식물체인 것인 콩 종자를 생산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상기 그 결과 얻어지는 콩 종자로부터 성장한 식물체를 그 자체 또는 다른 콩 식물체와 교배시켜서 다음 세대(subsequent generation)의 자손 식물체(progeny plant)의 종자를 생산하는 단계;
    (b) 다음 세대의 자손 식물체의 상기 종자로부터 다음 세대의 자손 식물체를 성장시키고 상기 다음 세대의 자손 식물체를 그 자체 또는 제2 식물체와 교배시켜서 더 다음 세대(further subsequent generation)의 자손 식물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단계 (a)의 상기 그 결과 얻어지는 콩 종자로부터 성장한 상기 식물체 대신 단계 (b)의 더 다음 세대의 자손 식물체를 사용하여 단계 (a) 및 (b)를 반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단계 (a) 및 (b)는 착협고가 높고 다수성인 콩 품종 CJ1로부터 유래된 근계교배 식물체(inbred plant)를 생산하기에 충분한 근계교배(inbreeding)로 반복하는 것인 방법.
  8. 청구항 6의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F1 콩 종자.
  9. 청구항 6의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F1 콩 종자로서 상기 콩 식물체의 하나 이상은 유전가능한 형질전환 사건(transgenic event)을 보유하는 것인 F1 콩 종자.
  10. 청구항 8의 상기 콩 종자를 성장시켜서 생산된, F1 콩 식물체.
  11. 식물체 육종(plant breeding)을 통하여 제2 콩 식물체를 개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청구항 10에 따른 식물체에 식물 육종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원하는 형질(trait)을 포함하는 콩 식물체를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청구항 2의 상기 콩 품종 내로 원하는 형질(desired trait)을 부여하는 하나 이상의 전이유전자(transgene) 또는 유전자좌(locus)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청구항 12의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곤충, 질병 또는 제초제 저항성 식물체로서, 상기 콩 식물체는, 상기 전이유전자 또는 유전자좌에 의하여 변경되는 특성들을 제외하고, 동일한 위치(location) 및 동일한 환경에서 성장한 경우, 상기 착협고가 높고 다수성인 콩 품종 CJ1의 형태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characteristics)을 모두 가진 것이고, 상기 착협고는 13 cm 내지 20 cm인 것인 콩 식물체.
  14. 상품 식물체 산물(commodity plant product)을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청구항 2의 식물체 또는 그의 부분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식물체로부터 단백질 농축물(protein concentrate), 단백질 분리물(protein isolate), 콩 껍질(soybean hulls), 음식(meal), 가루(flour), 또는 오일을 포함하는 상기 상품 식물체 산물을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KR1020160001612A 2016-01-06 2016-01-06 콩 품종의 종자, 식물체 및 그의 용도 KR101862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612A KR101862265B1 (ko) 2016-01-06 2016-01-06 콩 품종의 종자, 식물체 및 그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612A KR101862265B1 (ko) 2016-01-06 2016-01-06 콩 품종의 종자, 식물체 및 그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340A KR20170082340A (ko) 2017-07-14
KR101862265B1 true KR101862265B1 (ko) 2018-05-29

Family

ID=59358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612A KR101862265B1 (ko) 2016-01-06 2016-01-06 콩 품종의 종자, 식물체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2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739A1 (en) * 2018-06-29 2020-01-02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eed of new soybean cultivar scel-1, plant body of the seed and part of the plant body, and extract obtained from the seed
WO2020009290A1 (en) * 2018-07-05 2020-01-0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ion including extract of seed of new soybean cultivar scel-1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235B1 (ko) * 2018-03-30 2020-05-13 씨제이브리딩 주식회사 신품종 녹두 식물
KR102201400B1 (ko) * 2018-11-29 2021-01-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높고 불마름병 내병성이며 다수성인 콩 신품종 및 이의 육종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8632A (ja) * 2006-05-31 2009-11-12 ビーエーエスエフ、アグロケミカル、プロダクツ、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穀粒蛋白質含量の増加を有するコムギ植物の作出及び使用の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8632A (ja) * 2006-05-31 2009-11-12 ビーエーエスエフ、アグロケミカル、プロダクツ、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穀粒蛋白質含量の増加を有するコムギ植物の作出及び使用の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739A1 (en) * 2018-06-29 2020-01-02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eed of new soybean cultivar scel-1, plant body of the seed and part of the plant body, and extract obtained from the seed
US10716822B2 (en) 2018-06-29 2020-07-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eed of new soybean cultivar SCEL-1, plant body of the seed and part of the plant body, and extract obtained from the seed
WO2020009290A1 (en) * 2018-07-05 2020-01-0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ion including extract of seed of new soybean cultivar scel-1
US11426421B2 (en) 2018-07-05 2022-08-30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ion including extract of seed of new soybean cultivar SCEL-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340A (ko) 2017-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265B1 (ko) 콩 품종의 종자, 식물체 및 그의 용도
Kumar et al. 5 Pointed Gourd: Botany and Horticulture
Ikram-ul-Haq et al. Genetic basis of variation for salinity tolerance in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CN104620874A (zh) 一种大豆对烟粉虱病毒病抗性的接种鉴定方法
Aminpanah et al. Competitive ability of two rice cultivars (Oryza sativa L.) with barnyardgrass (Echinochloa crus-galli (L.) p. beauv.) in a replacement series study
Yol et al. Inheritance of number of capsules per leaf axil and hairiness on stem, leaf and capsule of sesame (Sesamum indicum L.)
US20180220609A1 (en) Carrot plants with a high anthocyanin level
TW201933991A (zh) 稱為仁伯(rehnborg)的奇亞(chia)品種
Tucak et al. Implementation of molecular markers diversity in parental selection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germplasm
Jasani et al. Identification of peanut interspecific pre-breeding lines resistance to peanut bud necrosis disease (PBND): Field screening,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Cardoso et al. Early generation selection for drought stress tolerance during vegetative stage in tomato
US9012724B2 (en) Hybrid carrot variety PURPLE SNAX
US9131650B2 (en) Hybrid carrot variety trooper
Steyn et al. Evaluation of Amaranthus species for their host suitability to the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incognita race 2 and Meloidogyne javanica in South Africa
KR20130137563A (ko) 신품종 딸기 담향 및 이의 육종 방법
KR102110235B1 (ko) 신품종 녹두 식물
USPP32142P2 (en) Sweetpotato plant named ‘Charleston-163’
US9012725B2 (en) Hybrid carrot variety slendercut
US9000266B2 (en) Hybrid carrot variety purple elite
WO2022196801A1 (ja) 新規カボチャ植物及びその製造方法
Chakraborty Assessing the cropping and weediness potential of two potentially new oilseed species in southern Ontario: Euphorbia lagascae and Centrapalus pauciflorus
Jovović et al. Influence of different organic fertilizers on the quality of lavender (Lavandula officinalis Chaix) seedlings
Jou-Nteufa Determination of Some Agricultural Characters and Their Heredity Through Diallel Analysis Method in Cowpea
US20130260011A1 (en) Hybrid carrot variety red 42
Golijan et al. Effects of the production methods on vigour of soybean se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