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110B1 - 햅틱 피드백을 갖는 입력 - Google Patents

햅틱 피드백을 갖는 입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110B1
KR101862110B1 KR1020160066538A KR20160066538A KR101862110B1 KR 101862110 B1 KR101862110 B1 KR 101862110B1 KR 1020160066538 A KR1020160066538 A KR 1020160066538A KR 20160066538 A KR20160066538 A KR 20160066538A KR 101862110 B1 KR101862110 B1 KR 101862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chanical input
input
mechanical
application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289A (ko
Inventor
카밀 무세트
존 모렐
던칸 로버트 커
벤자민 지. 잭슨
스티븐 제이. 테일러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754,416 external-priority patent/US9921652B2/en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002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26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by pressing one or more vibrators against the driven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전자 디바이스는 기계적 입력부를 포함하고, 기계적 입력부는 기계적 입력부에서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기계적 입력 센서가 기계적 입력부에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의 기계적 입력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기계적 입력부에서의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가 기계적 입력부에 연결되고,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기계적 입력부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들에서,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직교한다. 일부 예들에서, 기계적 입력부는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회전식 입력부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는 기계적 입력부가 제1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동안에 제2 방향으로 기계적 입력부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햅틱 피드백을 갖는 입력{INPUT WITH HAPTIC FEEDBACK}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기계적 입력과 같은 사용자 입력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그러한 입력에 대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현재, 버튼 또는 키, 마우스, 트랙볼, 조이스틱, 터치 센서 패널,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이, 컴퓨팅 시스템에서 조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많은 타입의 입력 디바이스들이 이용 가능하다. 특히, 터치 스크린은 그들의 조작의 용이함 및 다재다능함은 물론 그들의 떨어지는 가격 때문에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다. 터치 스크린은, 터치 감응식 표면을 가진 투명 패널일 수 있는 터치 센서 패널, 및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그의 가시 영역(viewable area)의 적어도 일부를 터치 감응식 표면이 덮도록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터치 센서 패널의 뒤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종종 좌우되는 위치에서 손가락, 스타일러스 또는 다른 물체를 이용하여 터치 센서 패널을 터치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은 터치 센서 패널 상의 터치 및 그 터치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고, 컴퓨팅 시스템은 터치 시에 나타나는 디스플레이에 따라 터치를 해석할 수 있고, 그 후 터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터치 감지 시스템들의 경우에, 터치를 검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상의 물리적 터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부 용량성-타입 터치 감지 시스템들에서는, 터치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되는 프린징 전기장(fringing electrical fields)이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넘어 확장할 수 있고, 표면 가까이에 접근하는 물체들이 실제로 표면을 터치하지 않고 표면 가까이에서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용량성 터치 입력과 같은 비기계적 입력들을 받아들이는 디바이스들은 종종 사용자에게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다.
터치 패널/터치 스크린 이외에, 많은 전자 디바이스들은 버튼 및/또는 스위치와 같은, 기계적 입력부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기계적 입력부들은, 다른 기능들 중에서도,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파워(즉, 온/오프) 및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때때로 이러한 기계적 입력부들은 또한, 노브를 이용해 기계적 알람 시계를 감는 것의 "찰칵-찰칵-찰칵"하는 느낌과 같은, 촉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한다.
일부 전자 디바이스들은, 버튼 및/또는 스위치와 같은 기계적 입력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적 입력부들은, 다른 기능들 중에서도,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파워(즉, 온/오프) 및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때때로 이러한 기계적 입력부들은, 노브를 이용해 기계적 알람 시계를 감는 것의 "찰칵-찰칵-찰칵"하는 느낌과 같은, 촉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의 기계적 입력부와 상호 작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햅틱 또는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여 해당 디바이스와의 더 풍부한 상호 작용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유익할 수 있다. 터치 입력과 같은, 비기계적 입력들을 받아들이는 디바이스들은 또한 그들의 비기계적 입력 메커니즘들을 통해(예컨대, 그들의 터치 스크린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햅틱 또는 촉각 피드백을 이용해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그러한 햅틱 피드백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달리 매끄러운 표면 상의 마루(ridge), 범프(bump) 또는 골(valley) 피처(feature) 위로 움직이고 있다는 감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감각은 사용자가 내부 기어의 치형부(teeth)에 대항하여 기계적 노브를 회전시키는 것의 느낌(예컨대, 기계적 시계를 감는 것의 "찰칵-찰칵-찰칵"하는 느낌과 같이, 회전식 입력부를 돌릴 때 멈춤쇠(detent)의 느낌)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햅틱 피드백은, 사용자의 회전식 입력에 응답하여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줌-스케일을 변경하는 것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의 효과에 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상기 햅틱 피드백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기계적 입력부의 움직임의 방향에 직교하는 기계적 입력부의 변위(예컨대, 회전식 입력부의 회전 움직임에 직교하는 회전식 입력부의 변위)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상기 햅틱 피드백은 (예컨대, 사용자가 터치 감응식 표면 상에서 원형 제스처로 가상 노브 또는 스크롤을 회전시키거나 다른 식으로 조작하고 있을 때) 터치 감응식 표면 상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회전 움직임의 방향에 직교하는, 터치 감응식 표면의, 변위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내용의 다양한 예들이 본 개시내용에서 제공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개시내용의 햅틱 피드백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바이스들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디바이스의 확대도를 예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표면 상의 돌출 피처에 얹혀 있는 예시적인 손가락을 예시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뿐만 아니라 회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예시적인 회전식 입력부를 예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되고 회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변위될 수 있는 회전식 입력부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기계적 입력 센서 및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도 5의 기계적 입력 센서 및 액추에이터 또는 도 6의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의 예시적인 압전 구현을 예시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도 5의 기계적 입력 센서 및 액추에이터 또는 도 6의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의 예시적인 자기 구현(magnetic implementation)을 예시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회전식 입력부 변위 프로파일들을 예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기계적 입력부 변위를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을 예시한다.
예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실시될 수 있는 구체적인 예들이 예시로서 도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들이 참조된다. 다른 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개시된 예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구조적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전자 디바이스들은, 버튼 및/또는 스위치와 같은 기계적 입력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적 입력부들은, 다른 기능들 중에서도,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파워(즉, 온/오프) 및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때때로 이러한 기계적 입력부들은, 노브를 이용해 기계적 알람 시계를 감는 것의 "찰칵-찰칵-찰칵"하는 느낌과 같은, 촉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의 기계적 입력부와 상호 작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햅틱 또는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여 해당 디바이스와의 더 풍부한 상호 작용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유익할 수 있다. 터치 입력과 같은, 비기계적 입력들을 받아들이는 디바이스들은 또한 그들의 비기계적 입력 메커니즘들을 통해(예컨대, 그들의 터치 스크린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햅틱 또는 촉각 피드백을 이용해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그러한 햅틱 피드백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달리 매끄러운 표면 상의 마루, 범프 또는 골 피처 위로 움직이고 있다는 감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감각은 사용자가 내부 기어의 치형부에 대항하여 기계적 노브를 회전시키는 것의 느낌(예컨대, 기계적 시계를 감는 것의 "찰칵-찰칵-찰칵"하는 느낌과 같이, 회전식 입력부를 돌릴 때 멈춤쇠의 느낌)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햅틱 피드백은, 사용자의 회전식 입력에 응답하여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줌-스케일을 변경하는 것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의 효과에 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상기 햅틱 피드백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기계적 입력부의 움직임의 방향에 직교하는 기계적 입력부의 변위(예컨대, 회전식 입력부의 회전 움직임에 직교하는 회전식 입력부의 변위)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상기 햅틱 피드백은 (예컨대, 사용자가 터치 감응식 표면 상에서 원형 제스처로 가상 노브 또는 스크롤을 회전시키거나 다른 식으로 조작하고 있을 때) 터치 감응식 표면 상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회전 움직임의 방향에 직교하는, 터치 감응식 표면의, 변위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내용의 다양한 예들이 본 개시내용에서 제공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개시내용의 햅틱 피드백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바이스들을 도시한다. 도 1a는 터치 스크린(124)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이동 전화(136)를 예시한다. 도 1b는 터치 스크린(126)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140)를 예시한다. 도 1c는 터치 스크린(128)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시계(144)를 예시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들은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들에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들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기계적 입력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터치 스크린들(124, 126 및 128)은 자기-커패시턴스(self-capacitance)에 기초할 수 있다. 자기-커패시턴스 기반의 터치 시스템은 터치 픽셀 전극들이라고 불릴 수 있는 도전성 재료의 작은 개별 플레이트들의 행렬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은 복수의 개별 터치 픽셀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터치 픽셀 전극은 터치 또는 근접(즉, 터치 또는 근접 이벤트)이 감지될 터치 스크린 상의 고유 위치를 식별하거나 나타내고, 각각의 터치 픽셀 전극은 터치 스크린 내의 다른 터치 픽셀 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픽셀화된 자기-커패시턴스 터치 스크린(pixelated self-capacitance touch screen)이라고 불릴 수 있다. 동작 중에, 터치 픽셀 전극은 AC 파형으로 자극을 받을 수 있고, 터치 픽셀 전극의 접지와의 자기-커패시턴스가 측정될 수 있다. 물체가 터치 픽셀 전극에 접근함에 따라, 터치 픽셀 전극의 접지와의 자기-커패시턴스는 변할 수 있다. 터치 픽셀 전극의 자기-커패시턴스의 이러한 변화를 터치 감지 시스템에 의해 검출하고 측정하여 다수의 물체가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거나, 터치 스크린에 근접할 때 그 물체들의 위치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자기-커패시턴스 기반의 터치 시스템의 전극들은 도전성 재료의 행들과 열들로 형성될 수 있고, 그 행들 및 열들의 접지와의 자기-커패시턴스의 변화들이 위와 유사하게 검출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터치 스크린은 다중-터치, 단일 터치, 프로젝션 스캔, 풀-이미징 다중-터치, 용량성 터치 등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터치 스크린들(124, 126 및 128)은 상호 커패시턴스(mutual capacitance)에 기초할 수 있다. 상호 커패시턴스 기반의 터치 시스템은, 상이한 층들에서 서로 교차할 수 있는, 또는 동일한 층에서 서로 인접할 수 있는, 구동 및 감지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교차하는 또는 인접한 위치들은 터치 픽셀들이라고 불릴 수 있다. 동작 중에, 구동 라인은 AC 파형으로 자극을 받을 수 있고 터치 픽셀의 상호 커패시턴스가 측정될 수 있다. 물체가 터치 픽셀에 접근함에 따라, 터치 픽셀의 상호 커패시턴스는 변할 수 있다. 터치 픽셀의 상호 커패시턴스의 이러한 변화를 터치 감지 시스템에 의해 검출하고 측정하여 다수의 물체가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거나, 터치 스크린에 근접할 때 그 물체들의 위치들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디바이스(200)의 확대도를 예시한다. 디바이스(200)는 이동 전화(136),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140), 시계(144), 또는 임의의 다른 착용 가능한 및/또는 전자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경계 영역(208)으로 둘러싸인 터치 스크린(206)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계 영역(208)은 터치 스크린(206)과 디바이스(200)의 가장자리 사이의 영역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디바이스(200)는 경계 영역(208)을 갖지 않을 수 있고, 대신에 실질적으로 터치 스크린(206)으로 구성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또한 버튼(202), 슬라이드 스위치(203) 및 회전식 입력부(204)와 같은 기계적 입력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202)은, 예를 들어, 선형 버튼일 수 있고, 이것은, 동작 중에, 선형 방식으로 디바이스(200)의 안팎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회전식 입력부(204)는, 예를 들어, 노브일 수 있다. 슬라이드 스위치(203)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으로 슬라이딩하는 스위치일 수 있다. 버튼(202), 슬라이드 스위치(203) 및 회전식 입력부(204)는 디바이스(200)와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식 입력부(204)는: 사용자가 디바이스(200)에 포함될 수 있는 스피커들에 의한 볼륨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노브; 터치 스크린(206) 상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통하여 위/아래로 스크롤하는 데 이용되는 노브; 및/또는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줌인/줌아웃을 위해 이용되는 노브일 수 있다. 버튼(202)은 사용자가 디바이스(200)를 켜거나 끌 수 있는 파워 버튼일 수 있다. 슬라이드 스위치(203)는 디바이스를 뮤팅(muting)하기 위한 슬라이드 스위치일 수 있다. 버튼(202), 슬라이드 스위치(203) 및 회전식 입력부(204)는 단지 예로서 제공된다. 디바이스(200)는 예시된 것들보다 더 적은 또는 더 많은 기계적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어, 온/오프 푸시/푸시 버튼들 및 다중-위치 회전식 입력부들(예컨대,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슬라이드 스위치의 회전식 버전)과 같이, 버튼, 슬라이드 스위치 또는 회전식 입력부 외의 기계적 입력부들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다른 타입의 기계적 입력부들도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터치 입력과 같은, 비기계적 입력들이 터치 스크린(206)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디바이스와 상호 작용하고 있는(예컨대, 디바이스에 기계적 입력을 제공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햅틱 또는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여, 해당 디바이스와의 더 풍부한 상호 작용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유익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그러한 햅틱 피드백은 사용자가 내부 기어의 치형부에 대항하여 기계적 노브를 회전시키고 있는 느낌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달리 매끄러운 표면 상의 마루, 범프 또는 골 피처 위로 움직이고 있다는 감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표면(310) 상의 돌출 피처(312)에 얹혀 있는 예시적인 손가락(314)을 예시한다. 피처(312)는 표면(310)으로부터 z-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임의의 피처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피처(312)는 대신에 표면(310) 내의 오목 피처(예컨대, 골)일 수 있다 - 다음의 논의는 이러한 오목 피처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손가락(314)은 피처(312) 및 표면(310)에 대해 얹혀 있거나 가압될 수 있다. 피처(312)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피처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손가락(314)의 영역들(316 및 318)의 신장 및/또는 압축을 야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처(312)로부터 생기는 사용자의 손가락(314)의 신장 및/또는 압축의 결과로서 표면(310) 상의 피처(312)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예들에서, (예컨대, 사용자가 내부 기어의 치형부에 대항하여 기계적 노브를 회전시키고 있다는 느낌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z 또는 -z 방향의 피처가 표면(310) 상에 존재한다는 감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표면(310)은 +z 또는 -z 방향으로 편향되거나 다른 식으로 움직여서 그러한 햅틱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예들에서, +z 또는 -z 방향의 피처의 존재는 대신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얹혀 있는 표면을 z-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향시키거나 움직이는 것(예컨대, x- 또는 y-축을 따른 움직임)에 의해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비록 z-축을 따른 것은 아니지만, z-축을 따른 움직임에 의해 야기되는 신장 및/또는 압축을 실질적으로 흉내낼 수 있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부분들의 신장 및/또는 압축을 야기하여, +z 또는 -z 방향의 피처가 주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감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직교 변위가 z 방향의 변위보다 더 쉽게 제공될 수 있어, 전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기계적 입력 메커니즘들의 더욱 단순한 설계를 허용할 수 있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직교 변위는 사용자가 내부 기어의 치형부에 대항하여 기계적 노브를 회전시키고 있는 감각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회전 방향(424)으로 회전할 뿐만 아니라 회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424)으로 변위될 수 있는 예시적인 회전식 입력부(404)를 예시한다. 손가락(414)은 회전식 입력부(404)에 얹혀 있을 수 있고, 회전식 입력부에 회전 방향(422)으로 회전 입력을 제공하고 있을 수 있다. 회전 방향(422)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 외에도, 회전식 입력부는 또한 회전 방향(422) 및 손가락(414)의 움직임에 직교하는, 방향(424)(도 4에서 y-축을 따른 움직임에 대응)을 따라 변위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방향(424)을 따른 회전식 입력부의 변위는 회전식 입력부(404)를 터치하고 있는 손가락(414)의 부분(416)의 신장 및/또는 압축을 야기할 수 있고, 회전식 입력부와 관련된 마루 또는 멈춤쇠의 느낌(예컨대, 회전식 입력부의 찰칵거림)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방향(424)을 따른 회전식 입력부(404)의 변위를 비교적 작은 변위(예컨대, 1 밀리미터 이하)로 제한하는 것은 상기 마루들 또는 멈춤쇠들을 시뮬레이션하는 데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 방향(424)을 따른 회전식 입력부(404)의 변위의 속도, 지속기간, 강도, 밀도 및 임의의 다른 특성은, 연속적인 텍스처 같은 감각에서 회전식 입력부 상의 개별적인 클릭들 또는 마루들 내지 회전식 입력부의 매끄러운 회전을 제공하도록 햅틱 피드백이 전혀 없는 것까지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게다가, 본 개시내용의 예들은 회전식 입력부의 컨텍스트에서 제공되지만, 본 개시내용의 예들은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제2의 직교 방향을 따라 변위되는 슬라이더들과 같은 다른 기계적 입력부들의 컨텍스트에서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고, 비기계적 입력들(예컨대, 터치 감응식 표면을 통해 제공되는 입력들)의 컨텍스트에서 구현되어,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회전 방향(522)을 따라 회전되고 회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524)을 따라 변위될 수 있는 회전식 입력부(504)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디바이스(500)를 예시한다. 일부 예들에서, 디바이스(500)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볼륨 출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통하여 스크롤 업/다운하고, 그리고/또는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줌인/줌아웃을 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입력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한 회전식 입력부(504)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기능들이 유사하게 고려된다. 회전식 입력부(504)는 디바이스(500) 내의 기계적 입력 센서 및 액추에이터(526)에 연결될 수 있고, 이는 회전 방향(522)을 따른 회전식 입력부의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과, 방향(524)을 따른 회전식 입력부의 변위를 제공하는 것 양쪽 모두를 수행한다. 기계적 입력 센서 및 액추에이터(526)는, 방향(524)을 따른 회전식 입력부(504)의 변위의 임의의 수의 특성이, 원하는 대로, 조절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500)를 통한 원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변위의 진폭, 변위의 지속기간, 변위의 빈도(frequency)(예컨대, 30도의 회전마다), 변위의 속도, 및 변위의 임의의 다른 특성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방향(524)을 따른 회전식 입력부(504)의 변위의 특성들은 디바이스(500)의 컨텍스트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500)가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디스플레이하고 있다면, 회전식 입력부(504)는 디스플레이된 지도의 줌인 및 줌아웃을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기계적 입력 센서 및 액추에이터(526)는 회전식 입력부의 회전 입력에 응답하여 지도의 축척이 변경될 때마다(예컨대, 5 마일 축척에서 1 마일 축척으로 전환) 방향(524)를 따른 회전식 입력부(504)의 선형 변위를 제공하여, 회전식 입력부의 클릭(예컨대, 멈춤쇠)을 시뮬레이션하고 지도의 축적이 변경되었다는 햅틱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바이스(500)가 타이밍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디스플레이하고 있다면, 회전식 입력부(504)는 타이머의 지속기간을 설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기계적 입력 센서 및 액추에이터(526)는 회전식 입력부의 회전 입력에 응답하여 타이머의 지속기간이 미리 결정된 양만큼 변경될 때마다(예컨대, 1분마다, 5분마다 등) 방향(524)를 따른 회전식 입력부(504)의 선형 변위를 제공하여, 회전식 입력부의 클릭(예컨대, 멈춤쇠)을 시뮬레이션하고 타이머의 지속 시간이 미리 결정된 양만큼 변경되었다는 햅틱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방향(524)을 따른 회전식 입력부(504)의 변위의 특성들이 디바이스(500)의 컨텍스트(예컨대, 디바이스의 현재 상태, 디바이스에서 어떤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고 있는지, 디바이스에 어떤 사용자 인터페이스(들)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지 등)에 기초하는 다른 상황들도 유사하게 본 개시내용의 범위 안에 있다. 비기계적 예들에서, 요소(526)는 특정 타입의 터치 입력이 검출되고 있는 것(예컨대, 회전 또는 원형 터치 입력들)을 나타내는 터치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신호들에 응답하는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액추에이터는 디바이스 전체에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거나, 디바이스의 구조적 요소들에 의해 허용된다면 국소적인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디바이스는 별개의 기계적 입력 센서 및 별개의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기계적 입력 센서(628) 및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630)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디바이스(600)를 예시한다. 도 5의 단일 기계적 입력 센서 및 액추에이터(526) 대신에, 디바이스(600)는 별개의 기계적 입력 센서(628) 및 별개의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6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적 입력 센서(628)는 회전식 입력부(604)에 연결될 수 있고 회전 방향(622)을 따른 회전식 입력부의 회전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630)는 기계적 입력 센서(628)에 연결될 수 있고, 방향(624)을 따른, 기계적 입력 센서(628)의 변위, 따라서 회전식 입력부(604)의 변위를 제공할 수 있다.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630)는 기계적 입력 센서(628)와 통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는 회전식 입력부(604)의 회전에 의해 제공된 입력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630) 및/또는 기계적 입력 센서(628)는, 도 5에 관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방향(624)을 따른 회전식 입력부(604)의 변위의 임의의 수의 특성이 조절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도 5의 기계적 입력 센서 및 액추에이터(526) 또는 도 6의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630)의 예시적인 압전 구현을 예시한다.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730)(또는 기계적 입력 센서 및 액추에이터)는 샤프트(732)에 연결된 압전 요소(734)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732)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예컨대, 도 6의 기계적 입력 센서(628)를 경유하여), 회전식 입력부(704)에 연결될 수 있다. 압전 요소(734)는 하나 이상의 압전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압전 요소(734)의 하나 이상의 압전 층을 가로질러 전압이 인가되면, 압전 층들은 팽창하거나 수축하여, 방향(724)을 따른 샤프트(732)의 변위를 야기할 수 있다. 압전 층들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샤프트(732)의 변위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732)의 변위는,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방향(724)을 따른 회전식 입력부(704)의 변위를 야기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도 5의 기계적 입력 센서 및 액추에이터(526) 또는 도 6의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630)의 예시적인 자기 구현을 예시한다.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830)(또는 기계적 입력 센서 및 액추에이터)는 샤프트(832)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832)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예컨대, 도 6의 기계적 입력 센서(628)를 경유하여), 회전식 입력부(804)에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832)는 하나 이상의 자석(836)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자석들의 같은 극들이 서로를 향해 배향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예컨대, 자석의 북극은 인접한 자석의 북극에 인접하고, 자석의 남극은 인접한 자석의 남극에 인접한다). 자석들(836)의 같은 극들이 서로를 향해 배향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강도의 자기장들(840)이 자석들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830)는 코일들(838)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샤프트(832)가 중립(즉, 비변위) 위치에 있을 때 자기장들(840)과 실질적으로 정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코일들(838) 중 하나 이상을 통과하는 전류는 자기장들(840)을 변조할 수 있고, 샤프트(832)가 방향(824)을 따라 변위되게 할 수 있다. 코일들(838)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는 샤프트(832)의 변위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832)의 변위는,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방향(824)을 따른 회전식 입력부(804)의 변위를 야기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회전식 입력부의 변위는 임의의 수의 변위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회전식 입력부 변위 프로파일들을 예시한다. 도 9a는 예시적인 스텝-펄스 변위 프로파일(900)을 예시한다. 스텝-펄스 변위 프로파일(900)에서, 회전식 입력부의 완전한 변위는 실질적으로 즉시 발생할 수 있고, 이어서 회전식 입력부는 비교적 짧은 기간(예컨대, 수십 밀리초) 안에 비변위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스텝-펄스 변위 프로파일(900), 및 도 9b 내지 도 9d의 변위 프로파일들은 회전식 입력부의 변위를 구동하는 데 이용되는 (예컨대, 도 7에서 이용된 것과 같은) 전압 또는 (예컨대, 도 8에서 이용된 것과 같은) 전류 프로파일들에 대응할 수 있다.
도 9b는 예시적인 스텝 변위 프로파일(902)을 예시한다. 스텝 변위 프로파일(902)에서, 회전식 입력부의 완전한 변위는 실질적으로 즉시 발생할 수 있지만; 회전식 입력부는 비교적 긴 기간(예컨대, 수 초) 동안 비변위 상태로 복귀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회전식 입력부가 비변위 상태로 복귀하는 것 자체는 회전식 입력부에 대한 햅틱 피드백을 요구하는 또 다른 햅틱 이벤트를 위해 예비될 수 있다.
도 9c는 예시적인 삼각-펄스 변위 프로파일(904)을 예시한다. 삼각-펄스 변위 프로파일(904)에서, 회전식 입력부의 완전한 변위는 서서히 발생할 수 있고, 회전식 입력부는 완전한 변위에 도달할 때 실질적으로 즉시 비변위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9d는 예시적인 가우스-펄스 변위 프로파일(906)을 예시한다. 가우스-펄스 변위 프로파일(906)에서, 회전식 입력부의 완전한 변위는 가우스 함수에 따라 서서히 발생할 수 있고, 유사하게, 회전식 입력부는 가우스 함수에 따라 서서히 비변위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에 제공된 변위 프로파일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개시내용의 범위 안에서 다른 변위 프로파일들이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기계적 입력부 변위를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1000)을 예시한다. 컴퓨팅 시스템(1000)은, 기계적 입력 메커니즘(예컨대, 회전식 입력부(204))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이동 전화(136), 미디어 플레이어(140), 시계(144) 또는 임의의 이동 또는 비이동 컴퓨팅 디바이스 및/또는 착용 가능한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0)은 하나 이상의 터치 프로세서(1002), 터치 제어기(1006) 및 터치 스크린(1004)을 포함하는 터치 감지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004)은, 본 개시내용에 설명된 바와 같이, 터치 입력들을 감지하도록 적응된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터치 제어기(1006)는 터치 스크린(1004) 상의 터치 입력들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회로 및/또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터치 제어기(1006) 및 터치 프로세서(1002)는 단일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통합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0)은 또한 터치 프로세서(1002)로부터의 출력들을 수신하고 그 출력들에 기초하여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호스트 프로세서(1028)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프로세서(1028)는 프로그램 저장소(103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프로세서(1028)는 터치 스크린(1004) 상에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고(예컨대, 터치 스크린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제어기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터치 프로세서(1002) 및 터치 제어기(1006)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1004) 상의 또는 그 가까이의 하나 이상의 터치를 검출할 수 있다. 호스트 프로세서(1028)는 또한, 본 개시내용에 설명된 바와 같이, 기계적 입력부들(1008)(예컨대, 회전식 입력부(204))을 감지 및/또는 처리하고,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1010)(예컨대, 회전식 입력부 변위)를 제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004)으로부터의 터치 입력들 및/또는 기계적 입력부들(1008)은 프로그램 저장소(1032)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들이 터치 및/또는 기계적 입력들에 응답하여 동작들을 수행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들은 프로그램 저장소(1032)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들이 커서 또는 포인터와 같은 객체를 움직이는 것, 스크롤하는 것 또는 패닝하는 것, 제어 설정들을 조절하는 것, 파일 또는 문서를 여는 것, 메뉴를 보는 것, 선택을 하는 것,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것, 호스트 디바이스에 연결된 주변 디바이스를 조작하는 것, 전화 통화에 응답하는 것, 전화 통화를 거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동작들, 및 터치 입력들에 응답하여 수행될 수 있는 다른 동작들을 수행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기계적 입력부들(1008)은 프로그램 저장소(1032)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들이 볼륨 레벨을 변경하는 것, 터치 스크린을 잠그는 것, 터치 스크린을 켜는 것, 사진을 찍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동작들, 및 기계적 입력들에 응답하여 수행될 수 있는 다른 동작들을 수행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호스트 프로세서(1028)는,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기계적 입력들 및/또는 컴퓨팅 시스템(1000)의 컨텍스트(예컨대, 컴퓨팅 시스템에서 어떤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고 있는지,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어떤 사용자 인터페이스(들)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지 등)에 기초하여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1010)에 의한 기계적 입력부들(1008)의 변위를 야기할 수 있다. 호스트 프로세서(1028)는 또한 터치 및/또는 기계적 입력 처리에 관련되지 않을 수 있는 추가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은 컴퓨팅 시스템(100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터치 프로세서(1002)에 의해 실행되는, 또는 프로그램 저장소(1032)에 저장되어 호스트 프로세서(1028)에 의해 실행되는 펌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 펌웨어는 또한 컴퓨터 기반 시스템, 프로세서 포함 시스템과 같은,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그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로부터 명령어들을 페치하여 그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다른 시스템에 의한 이용을 위해 또는 그와 관련하여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내에서 저장 및/또는 운반될 수 있다. 이 문서의 컨텍스트에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한 이용을 위해 또는 그와 관련하여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신호들은 제외)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전자, 자기, 광,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자기),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자기), 판독 전용 메모리(ROM)(자기),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자기), CD, CD-R, CD-RW, DVD, DVD-R, 또는 DVD-RW와 같은 휴대용 광 디스크, 또는 콤팩트 플래시 카드, 보안 디지털 카드, USB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스틱과 같은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펌웨어는 또한 컴퓨터 기반 시스템, 프로세서 포함 시스템과 같은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그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로부터 명령어들을 페치하여 그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다른 시스템에 의한 이용을 위해 또는 그와 관련하여 임의의 전송 매체 내에서 전파될 수 있다. 이 문서의 컨텍스트에서, "전송 매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한 이용을 위해 또는 그와 관련하여 프로그램을 전달, 전파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일 수 있다. 전송 매체는 전자, 자기, 광, 전자기 또는 적외선 유선 또는 무선 전파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예들은 한 방향으로 기계적 입력부를 변위시켜 다른 방향으로 햅틱 피처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상기 내용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은, 기계적 입력부 - 상기 기계적 입력부는 상기 기계적 입력부에서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됨 -; 상기 기계적 입력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기 기계적 입력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적 입력부에서의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기계적 입력 센서; 및 상기 기계적 입력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부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위에 개시된 예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에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한다. 위에 개시된 예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에서, 상기 기계적 입력부는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회전식 입력부를 포함한다. 위에 개시된 예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에서,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는 상기 기계적 입력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부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다. 위에 개시된 예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에서, 상기 기계적 입력 센서와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는 별개의 컴포넌트들이고,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 센서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부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다. 위에 개시된 예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에서,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는, 상기 기계적 입력부에 연결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연결된 압전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압전 요소에 인가되는 전압은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샤프트와 상기 기계적 입력부의 변위를 야기시킨다. 위에 개시된 예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에서,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는, 상기 기계적 입력부에 연결된 샤프트 - 상기 샤프트는 복수의 자기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요소들은 상기 자기 요소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자기장을 변조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자기장의 변조, 및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샤프트와 상기 기계적 입력부의 변위를 야기시킨다. 위에 개시된 예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에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기계적 입력 센서와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기계적 입력부의 변위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위에 개시된 예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에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1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기계적 입력부에서의 상기 입력에 따른 제1 특성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것;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는 상이한 제2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기계적 입력부에서의 상기 입력에 따른, 상기 제1 특성과는 상이한 제2 특성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또한 행할 수 있다. 위에 개시된 예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에서, 상기 변위의 하나 이상의 특성은, 상기 변위의 진폭, 상기 변위의 지속기간, 상기 변위의 빈도 및 상기 변위의 속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은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기계적 입력 수단;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에서의 상기 입력을 감지하는 기계적 입력 센서 수단; 및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을 변위시키는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위에 개시된 예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에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한다. 위에 개시된 예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에서,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은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위에 개시된 예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에서,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 수단은 상기 기계적 입력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부를 변위시키기 위한 것이다. 위에 개시된 예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에서, 상기 기계적 입력 센서 수단과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 수단은 별개의 컴포넌트들이고,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 수단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 센서 수단을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을 변위시키기 위한 것이다. 위에 개시된 예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에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의 변위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프로세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위에 개시된 예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에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 상에 제1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에서의 상기 입력에 따른 제1 특성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을 상기 제2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 수단을 제어하는 것; 및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 상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는 상이한 제2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에서의 상기 입력에 따른, 상기 제1 특성과는 상이한 제2 특성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을 상기 제2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또한 행할 수 있다. 위에 개시된 예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에서, 상기 변위의 하나 이상의 특성은, 상기 변위의 진폭, 상기 변위의 지속기간, 상기 변위의 빈도 및 상기 변위의 속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은 기계적 입력부에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기계적 입력부는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됨 -;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기 기계적 입력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적 입력부에서의 상기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부를 변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예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충분히 설명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들에게는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명백할 것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한 변경들 및 수정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개시내용의 예들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전자 디바이스로서,
    기계적 입력부 - 상기 기계적 입력부는 상기 기계적 입력부에서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됨 -;
    상기 기계적 입력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기 기계적 입력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적 입력부에서의 상기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기계적 입력 센서;
    상기 기계적 입력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부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 및
    상기 기계적 입력 센서,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 및 디스플레이에 연결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계적 입력부에서의 상기 입력이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입력을 제공하고 있다는 결정에 따라, 제1 모션 특성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것, 및
    상기 기계적 입력부에서의 상기 입력이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입력을 제공하고 있다는 결정에 따라 -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함 -, 상기 제1 모션 특성과 상이한 제2 모션 특성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것
    을 행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입력부는,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회전식 입력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는, 상기 기계적 입력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부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입력 센서 및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는 별개의 컴포넌트들이고,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 센서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부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는,
    상기 기계적 입력부에 연결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연결된 압전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압전 요소에 인가되는 전압은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샤프트와 상기 기계적 입력부의 변위를 야기시키는, 전자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는,
    상기 기계적 입력부에 연결된 샤프트 - 상기 샤프트는 복수의 자기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요소들은 상기 자기 요소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자기장을 변조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코일
    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자기장의 변조, 및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샤프트와 상기 기계적 입력부의 변위를 야기시키는, 전자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기계적 입력부의 변위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의 하나 이상의 특성은, 상기 변위의 진폭, 상기 변위의 지속기간, 상기 변위의 빈도(frequency) 및 상기 변위의 속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전자 디바이스로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기계적 입력 수단;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에서의 상기 입력을 감지하는 기계적 입력 센서 수단;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을 변위시키는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 수단; 및
    상기 기계적 입력 센서 수단,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 수단, 및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된 프로세서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수단은,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에서의 상기 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입력을 제공하고 있다는 결정에 따라, 제1 모션 특성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을 상기 제2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 수단을 제어하는 것, 및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에서의 상기 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입력을 제공하고 있다는 결정에 따라 -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함 -, 상기 제1 모션 특성과 상이한 제2 모션 특성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을 상기 제2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 수단을 제어하는 것
    을 행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전자 디바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은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 수단은,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을 변위시키는, 전자 디바이스.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입력 센서 수단 및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 수단은 별개의 컴포넌트들이고, 상기 기계적 입력 액추에이터 수단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 센서 수단을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을 변위시키는, 전자 디바이스.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수단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기계적 입력 수단의 변위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조절하는 것을 더욱 행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의 하나 이상의 특성은, 상기 변위의 진폭, 상기 변위의 지속기간, 상기 변위의 빈도 및 상기 변위의 속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9. 방법으로서,
    기계적 입력부에서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기계적 입력부는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됨 -;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기 기계적 입력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적 입력부에서의 상기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부를 변위시키는 단계;
    상기 기계적 입력부에서의 상기 입력이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입력을 제공하고 있다는 결정에 따라, 제1 모션 특성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계적 입력부에서의 상기 입력이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입력을 제공하고 있다는 결정에 따라 -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함 -, 상기 제1 모션 특성과 상이한 제2 모션 특성으로 상기 기계적 입력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60066538A 2015-06-29 2016-05-30 햅틱 피드백을 갖는 입력 KR101862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54,416 US9921652B2 (en) 2015-06-29 2015-06-29 Input with haptic feedback
US14/754,416 2015-06-29
US14/974,606 2015-12-18
US14/974,606 US9535501B1 (en) 2015-06-29 2015-12-18 Input with haptic feedb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289A KR20170002289A (ko) 2017-01-06
KR101862110B1 true KR101862110B1 (ko) 2018-05-30

Family

ID=5608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538A KR101862110B1 (ko) 2015-06-29 2016-05-30 햅틱 피드백을 갖는 입력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35501B1 (ko)
EP (1) EP3112990A1 (ko)
JP (1) JP2017016643A (ko)
KR (1) KR101862110B1 (ko)
CN (2) CN205721636U (ko)
AU (3) AU201610049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3436B2 (en) 2013-06-11 2017-09-05 Apple Inc. Rotary input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EP3014400B1 (en) 2013-08-09 2020-06-03 Apple Inc. Tactile switch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048802B2 (en) 2014-02-12 2018-08-14 Apple Inc. Rejection of false turns of rotary inputs for electronic devices
KR102130259B1 (ko) 2014-09-02 2020-07-03 애플 인크.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US9430921B2 (en) 2014-09-24 2016-08-30 Taction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damped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planar motion for audio-frequency vibrations
KR101993073B1 (ko) 2015-03-08 2019-06-25 애플 인크. 회전가능 및 병진가능한 입력 메커니즘을 위한 압축성 밀봉부
US10573139B2 (en) 2015-09-16 2020-02-25 Taction Technology, Inc. Tactile transducer with digital signal processing for improved fidelity
US9971407B2 (en) 2015-09-30 2018-05-15 Apple Inc. Haptic feedback for rotary inputs
KR102485356B1 (ko) * 2016-02-02 2023-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WO2017152139A1 (en) 2016-03-04 2017-09-08 Apple Inc. Input with haptic feedback
US10061399B2 (en) 2016-07-15 2018-08-28 Apple Inc. Capacitive gap sensor ring for an input device
US10019097B2 (en) 2016-07-25 2018-07-10 Apple Inc. Force-detecting input structure
US10962935B1 (en) 2017-07-18 2021-03-30 Apple Inc. Tri-axis force sensor
RU2708949C2 (ru) * 2017-07-26 2019-12-12 Фёдор Валентинович Беломоев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митации и передачи контактных экстероцептивных ощущений
US10852697B2 (en) 2017-09-11 2020-12-01 Apple Inc. Crown assembly for watches
WO2019148505A1 (en) 2018-02-05 2019-08-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ouble-wheel assembly
US10409379B1 (en) * 2018-06-15 2019-09-10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actuator assembly having a magnetic pre-load device
US11360440B2 (en) 2018-06-25 2022-06-1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1561515B2 (en) 2018-08-02 2023-01-2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DE102018213384A1 (de) * 2018-08-09 2020-02-13 Robert Bosch Gmbh Berührungsempfindliche Oberfläche mit haptischen Elementen
CN211293787U (zh) 2018-08-24 2020-08-18 苹果公司 电子表
US11181863B2 (en) 2018-08-24 2021-11-23 Apple Inc. Conductive cap for watch crown
US11194298B2 (en) 2018-08-30 2021-12-07 Apple Inc. Crown assembly for an electronic watch
CN209625187U (zh) 2018-08-30 2019-11-12 苹果公司 电子手表和电子设备
US11194299B1 (en) 2019-02-12 2021-12-07 Apple Inc. Variable frictional feedback device for a digital crown of an electronic watch
US11402925B2 (en) 2019-09-25 2022-08-02 Apple Inc. Crown input and feedback for head-mountable devices
US11550268B2 (en) 2020-06-02 2023-01-10 Apple Inc. Switch module for electronic crown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5153A (ja) * 2006-12-27 2010-05-06 イマージョン コーポレイション 振動触感フィードバックによる仮想回り止め機構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4133A (en) * 1980-03-28 1981-12-08 Feamster Iii William C Positioning device for scanner
US5483261A (en) 1992-02-14 1996-01-09 Itu Research, Inc. Graphical input controller and method with rear screen image detection
US5488204A (en) 1992-06-08 1996-01-30 Synaptics, Incorporated Paintbrush stylus for capacitive touch sensor pad
US5880411A (en) 1992-06-08 1999-03-09 Synaptics, Incorporated Object position detector with edge motion feature and gesture recognition
US5734373A (en) * 1993-07-16 1998-03-31 Immersion Human Interfac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orce feedback interface systems utilizing a host computer
US5625576A (en) * 1993-10-01 1997-04-2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Force reflecting haptic interface
WO1995020787A1 (en) * 1994-01-27 1995-08-03 Exos, Inc. Multimode feedback display technology
US7027032B2 (en) * 1995-12-01 2006-04-11 Immersion Corporation Designing force sensations for force feedback computer applications
US5825352A (en) 1996-01-04 1998-10-20 Logitech, Inc. Multiple fingers contact sensing method for emulating mouse buttons and mouse operations on a touch sensor pad
US5835079A (en) 1996-06-13 1998-1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rtual pointing device for touchscreens
US7489309B2 (en) 1996-11-26 2009-02-10 Immersion Corporation Control knob with multiple degrees of freedom and force feedback
US6956558B1 (en) 1998-03-26 2005-10-18 Immersion Corporation Rotary force feedback wheels for remote control devices
US6686911B1 (en) 1996-11-26 2004-02-03 Immersion Corporation Control knob with control modes and force feedback
US6636197B1 (en) 1996-11-26 2003-10-21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effects for control, knobs and other interface devices
US6211861B1 (en) * 1998-06-23 2001-04-03 Immersion Corporation Tactile mouse device
US6310610B1 (en) 1997-12-04 2001-10-30 Nortel Networks Limited Intelligent touch display
US8479122B2 (en) 2004-07-30 2013-07-02 Apple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KR100595917B1 (ko) 1998-01-26 2006-07-05 웨인 웨스터만 수동 입력 통합 방법 및 장치
US7663607B2 (en) 2004-05-06 2010-02-16 Apple Inc. Multipoint touchscreen
US6188391B1 (en) 1998-07-09 2001-02-13 Synaptics, Inc. Two-layer capacitive touchpad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542637B2 (ja) 1998-11-25 2010-09-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携帯情報機器及び情報記憶媒体
JP3012644B1 (ja) * 1999-03-18 2000-02-28 株式会社コミュータヘリコプタ先進技術研究所 サ―ボアクチュエ―タ装置および航空機操縦制御装置
US6822635B2 (en) * 2000-01-19 2004-11-23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interface for laptop computers and other portable devices
JP3800984B2 (ja) 2001-05-21 2006-07-26 ソニー株式会社 ユーザ入力装置
JP2003173237A (ja) 2001-09-28 2003-06-20 Ricoh Co Ltd 情報入出力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6690387B2 (en) 2001-12-28 2004-02-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ouch-screen image scrolling system and method
US11275405B2 (en) 2005-03-04 2022-03-15 Apple Inc.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EP1816545A3 (en) 2003-05-30 2007-08-15 Immersi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ow power haptic feedback
US7063636B2 (en) * 2003-06-16 2006-06-20 Delphi Technologies, Inc. Mechanically linked active steering system
JP2005056267A (ja) * 2003-08-06 2005-03-03 Sony Corp 力覚フィードバック装置
US7907121B2 (en) * 2003-11-19 2011-03-15 Qualcomm Incorporated Portable device with versatile keyboard
JP4799421B2 (ja) 2004-11-09 2011-10-26 孝彦 鈴木 触覚フィードバックコントローラ
US9182837B2 (en) * 2005-11-28 2015-11-10 Synaptics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implementing modal changes in a device in response to proximity and force indications
US8405618B2 (en) 2006-03-24 2013-03-26 Northwestern University Haptic device with indirect haptic feedback
US8174512B2 (en) * 2006-06-02 2012-05-08 Immersion Corporation Hybrid haptic device utilizing mechanical and programmable haptic effects
FR2950166B1 (fr) 2009-09-16 2015-07-17 Dav Dispositif de commande rotatif a retour haptique
EP2415669B1 (en) * 2010-08-04 2015-05-13 AIRBUS HELICOPTERS DEUTSCHLAND GmbH Control system
US9170650B2 (en) * 2012-11-21 2015-10-27 Novasentis, Inc. EMP actuators for deformable surface and keyboard application
KR102187307B1 (ko) 2013-06-11 2020-12-07 애플 인크.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회전 입력 메커니즘
US9639158B2 (en) * 2013-11-26 2017-05-02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friction and vibrotactile effec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5153A (ja) * 2006-12-27 2010-05-06 イマージョン コーポレイション 振動触感フィードバックによる仮想回り止め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93054B (zh) 2020-10-09
CN106293054A (zh) 2017-01-04
AU2016202805A1 (en) 2017-01-19
US9535501B1 (en) 2017-01-03
EP3112990A1 (en) 2017-01-04
JP2017016643A (ja) 2017-01-19
AU2017100279A4 (en) 2017-04-06
AU2016100498B4 (en) 2017-02-09
AU2016202805B2 (en) 2018-03-08
CN205721636U (zh) 2016-11-23
KR20170002289A (ko) 2017-01-06
AU2016100498A4 (en) 2016-05-26
US20160378189A1 (en)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110B1 (ko) 햅틱 피드백을 갖는 입력
US10503258B2 (en) Input mechanism with force and rotation inputs and haptic feedback
US9921652B2 (en) Input with haptic feedback
US9904410B2 (en) Touch-sensitive button with two levels
US9703435B2 (en) Touchpad combined with a display and having proximity and touch sensing capabilities to enable different functions or interfaces to be displayed
JP6392747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5260506B2 (ja) タッチパッド上における挙動を認識してスクロール機能を制御し既定の場所でのタッチダウンによってスクロールを活性化する方法
KR101521337B1 (ko) 재배치가능한 터치면 상의 제스처 방위의 검출
US201101570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n a User Interface Object
US10564770B1 (en) Predictive touch detection
JP2012521027A (ja) 触覚によるフィードバックを有するデータ入力機器
WO2008085789A2 (en) Gestures for devices having one or more touch sensitive surfaces
US20140282279A1 (en) Input interaction on a touch sensor combining touch and hover actions
JP2015060303A (ja) 情報処理装置
US10474255B2 (en) Input element with integrated function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