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793B1 -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 - Google Patents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793B1
KR101861793B1 KR1020180009314A KR20180009314A KR101861793B1 KR 101861793 B1 KR101861793 B1 KR 101861793B1 KR 1020180009314 A KR1020180009314 A KR 1020180009314A KR 20180009314 A KR20180009314 A KR 20180009314A KR 101861793 B1 KR101861793 B1 KR 101861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user
window frame
power switch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인선
Original Assignee
고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인선 filed Critical 고인선
Priority to KR1020180009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1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08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without separate spac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05B3/86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the heating conductors being embedded in the transparent or reflec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2Heaters specially designed for de-icing or protection against ic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4Heating means manufactured by using nanotechnolo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판의 실내측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은, 상기 유리패널(30)이 강화유리재질로 구성된 내외측 패널(31,32)과, 상기 내외측 패널(31,3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외측 패널(31,32)을 상호 접합하는 접합시트(33)를 포함하는 접합유리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 패널(31)의 외측면에는 나노탄소튜브와 바인더를 혼합한 후 내측 패널(31)의 외측면에 도포 및 경화하여 구성된 발열층(31a)이 적층되고, 상기 발열층(31a)은 전원선(40)을 통해 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선(40)의 중간부에는 전원스위치(4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n시켜 상기 발열층(31a)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발열층(31a)에서 열이 발생되어 유리패널(30)을 가열하게 됨으로, 상기 내측 패널(31)의 내측면에 발생된 결로를 제거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가열하여 창문(B) 주변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windows and doors system using nano material}
본 발명은 유리판의 실내측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사용되는 창호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에 설치된 창틀(A)과, 상기 창틀(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창문(B)으로 구성되며, 상기 창문(B)은 창문프레임(20)과, 상기 창문프레임(20)에 결합된 유리패널(30)로 구성되어, 상기 창문(B)을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리패널(30)은 둘레면이 상기 창문프레임(2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실리콘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창호 시스템에 사용되는 겨울철에 실내를 난방할 경우, 실내외의 기온차에 의해 유리패널(30)의 실내측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겨울철에는 유리패널(30)이 차갑게 냉각되어 창문(B) 주변의 기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을 할 수 있도록 된 나노카본튜브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나노카본튜브는 바인더와 혼합된 상태로 다양한 물체의 표면에 일정한 두께의 층을 이루도록 도포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바인더가 경화된 후 전원선(40)을 연결하여 전원을 인가하면, 발열을 하게 된다.
이러한 나노카본튜브는 다양한 대상물의 표면에 도포할 수 있으며, 투명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등록특허 10-113737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리판의 실내측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된 창틀(A)과, 상기 창틀(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창문(B)을 포함하고, 상기 창문(B)은 창문프레임(20)과, 상기 창문프레임(20)에 결합된 유리패널(30)로 구성된 창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리패널(30)은 강화유리재질로 구성된 내외측 패널(31,32)과, 상기 내외측 패널(31,3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외측 패널(31,32)을 상호 접합하는 접합시트(33)를 포함하는 접합유리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 패널(31)의 외측면에는 나노탄소튜브, 카본블랙 및 그래핀 중 어느 하나와 바인더를 혼합한 후 내측 패널(31)의 외측면에 도포 및 경화하여 구성된 발열층(31a)이 적층되고, 상기 발열층(31a)은 전원선(40)을 통해 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선(40)의 중간부에는 전원스위치(41)가 구비되어,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n시켜 상기 발열층(31a)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발열층(31a)에서 열이 발생되어 상기 내측 패널(31)의 내측면에 발생된 결로를 제거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원선(40)의 중간부에는 상기 창틀(A)의 내측면 일측에 구비된 콘센트(42)와, 상기 창문프레임(20)의 일측에 상기 콘센트(42)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창문(B)을 닫으면 상기 콘센트(42)에 결합되어 전원선(40)의 중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러그(43)가 구비되고, 상기 창틀(A)에는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에는 내부에 상기 콘센트(42)가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관체(12)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관체(12)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관체(12)가 전방으로 전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3)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창문(B)을 닫을 때 상기 플러그(43)가 콘센트(42)에 정확히 결합되지 않을 경우, 상기 콘센트(42)가 탄성적으로 후퇴되어 플러그(43) 또는 콘센트(4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원스위치(41)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전원선(40)을 통해 흐르는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릴레이를 이용하며,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50)와, 상기 창문프레임(20)에 구비되어 상기 유리패널(30)에 결로가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는 결로감지센서(60)와, 상기 창틀(A)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창문(B)을 개폐하는 것을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70)과, 상기 지지관체(12)에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42)가 후퇴되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후퇴감지수단(90)과, 상기 개폐감지수단(70)과 온도센서(50)와 결로감지센서(60)와 개폐감지수단(70) 및 후퇴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전원스위치(4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00)과, 상기 제어수단(100)에 연결된 경보수단(1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100)에는 난방모드와 제상모드를 선택하고 설정온도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101)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입력수단(101)을 조작하여 난방모드를 선택하고 설정온도를 입력하면 상기 온도센서(50)에 의해 측정된 실내의 온도를 피드백하고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n-off제어하여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수단(101)을 조작하여 제상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결로감지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유리패널(30)에 결로가 발생되면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n시켜 유리패널(30)에 발생된 결로를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감지수단(70)에 사용자가 창문(B)을 연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ff시키고, 상기 후퇴감지수단(90)에 의해 상기 콘센트(42)가 후퇴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경보수단(110)을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경보를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이 제공된다.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창틀(A)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안전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감지수단(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n시켜 상기 발열층(31a)이 발열되는 상태에서 상기 근접감지수단(80)에 사용자가 안전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것이 감지되면, 경보수단(110)을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발열층(31a)이 발열을 하고 있는 것을 알려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수단(100)은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보일러의 컨트롤러(102)에 연결되어, 난방모드 또는 제상모드에서 사용자가 보일러를 off시키면,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ff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은, 상기 유리패널(30)이 강화유리재질로 구성된 내외측 패널(31,32)과, 상기 내외측 패널(31,3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외측 패널(31,32)을 상호 접합하는 접합시트(33)를 포함하는 접합유리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 패널(31)의 외측면에는 나노탄소튜브와 바인더를 혼합한 후 내측 패널(31)의 외측면에 도포 및 경화하여 구성된 발열층(31a)이 적층되고, 상기 발열층(31a)은 전원선(40)을 통해 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선(40)의 중간부에는 전원스위치(4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n시켜 상기 발열층(31a)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발열층(31a)에서 열이 발생되어 유리패널(30)을 가열하게 됨으로, 상기 내측 패널(31)의 내측면에 발생된 결로를 제거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가열하여 창문(B) 주변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창호 시스템의 실내측면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창호 시스템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의 실내측면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의 회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실내측면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벽면에 설치된 창틀(A)과, 상기 창틀(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창문(B)으로 구성되어, 상기 창문(B)을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개폐할 수 있도록 된 것은 종래의 창호 시스템과 동일하다.
이때, 상기 창문(B)은 창문프레임(20)과, 상기 창문프레임(20)에 결합된 유리패널(30)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리패널(3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화유리재질로 구성된 내외측 패널(31,32)과, 상기 내외측 패널(31,3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외측 패널(31,32)을 상호 접합하는 접합시트(33)를 포함하는 접합유리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 패널(31)의 외측면에는 발열층(31a)이 적층된다.
상기 발열층(31a)은 나노탄소튜브, 카본블랙 및 그래핀 중 어느 하나와 바인더를 혼합한 후 내측 패널(31)의 외측면에 도포 및 경화하여 구성된 것으로, 전원선(40)을 통해 전원에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을 하여 상기 내측 패널(31)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가팅, 상기 전원선(40)의 중간부에는 전원스위치(41)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스위치(4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창틀(A)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수동식 토글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전원스위치(41)를 조작하여 상기 발열층(31a)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발열층(31a)이 on되어 발열되거나, 발열층(31a)이 off되도록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선(40)의 중간부에는 상기 창틀(A)의 내측면 일측에 구비된 콘센트(42)와, 상기 창문프레임(20)의 일측에 상기 콘센트(42)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창문(B)을 닫으면 상기 콘센트(42)에 결합되어 전원선(40)의 중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러그(43)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창문(B)을 밀어 닫으면, 상기 콘센트(42)가 플러그(43)에 결합되어 전원선(40)의 중간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원스위치(41)는 전원과 콘센트(4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원선(40)에 연결되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왁 kx이, 상기 창틀(A)에는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에는 내부에 상기 콘센트(42)가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관체(12)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관체(12)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관체(12)가 전방으로 전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은, 상기 유리패널(30)이 강화유리재질로 구성된 내외측 패널(31,32)과, 상기 내외측 패널(31,3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외측 패널(31,32)을 상호 접합하는 접합시트(33)를 포함하는 접합유리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 패널(31)의 외측면에는 나노탄소튜브와 바인더를 혼합한 후 내측 패널(31)의 외측면에 도포 및 경화하여 구성된 발열층(31a)이 적층되고, 상기 발열층(31a)은 전원선(40)을 통해 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선(40)의 중간부에는 전원스위치(4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n시켜 상기 발열층(31a)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발열층(31a)에서 열이 발생되어 유리패널(30)을 가열하게 됨으로, 상기 내측 패널(31)의 내측면에 발생된 결로를 제거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가열하여 창문(B) 주변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선(40)의 중간부에는 상기 창틀(A)의 내측면 일측에 구비된 콘센트(42)와, 상기 창틀(A)의 일측에 상기 콘센트(42)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창문(B)을 닫으면 상기 콘센트(42)에 결합되어 전원선(40)의 중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러그(43)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창문(B)을 열면, 상기 콘센트(42)와 플러그(43)가 분리되어 상기 발열층(31a)으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됨으로, 창문(B)이 열려서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발열층(31a)이 발열하여 전기를 낭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창틀(A)에는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에는 내부에 상기 콘센트(42)가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관체(12)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관체(12)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관체(12)가 전방으로 전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3)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창문(B)을 닫을 때 상기 플러그(43)가 콘센트(42)에 정확히 결합되지 않을 경우, 상기 콘센트(42)가 탄성적으로 후퇴되어 플러그(43) 또는 콘센트(4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창문(B)은 상기 창틀(A)에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결합되어, 사용자가 창문(B)을 닫을 때, 상기 플러그(43)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플러그(43)가 콘센트(42)에 정확히 결합되지 못하고 콘센트(42)의 전면에 충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콘센트(42)가 탄성적으로 후퇴되면서 플러그(43)와 콘센트(4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50)와, 상기 창문프레임(20)에 구비되어 상기 유리패널(30)에 결로가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는 결로감지센서(60)와, 상기 창틀(A)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창문(B)을 개폐하는 것을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70)과, 상기 창틀(A)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안전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감지수단(80)과, 상기 지지관체(12)에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42)가 후퇴되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후퇴감지수단(90)과, 상기 개폐감지수단(70)과 온도센서(50)와 결로감지센서(60)와 개폐감지수단(70)과 근접감지수단(80) 및 후퇴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전원스위치(4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00)과, 상기 제어수단(100)에 연결된 경보수단(110)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원스위치(41)는 상기 제어수단(1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on-off됨으로써 상기 전원선(40)을 통해 흐르는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릴레이를 이용한다.
상기 온도센서(50)는 상기 창틀(A)이 설치되는 건축물의 실내 일측에 구비되어,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로감지센서(6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리패널(30)의 내외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창문프레임(20)에 구비된 발광부(61)와 수광부(62)로 구성되어, 상기 발광부(61)에서 조사된 빛이 수광부(62)로 수광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상기 유리패널(30)에 결로가 발생되었는지를 감지한다.
즉, 상기 유리패널(30)에 결로가 발생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발광부(61)에서 조사된 빛이 수광부(62)로 수신되며, 유리패널(30)에 결로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61)에서 조사된 빛이 결로에 의해 산란되어 수광부(62)로 수광되는 빛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광부(62)로 수광되는 빛의 양이 미리 설정된 양 이하로 저하될 경우, 상기 유리패널(30)에 결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결로감지센서(60)는 전술한 발광부(61)와 수광부(62)로 구성된 것 이외에,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개폐감지수단(7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창틀(A)의 양측에 구비된 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창문(B)을 측방향으로 밀어 닫으면, 상기 리미트스위치에 구비된 푸쉬버튼(71)이 눌리면서 창문(B)이 닫힌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근접감지수단(80)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창문(B)의 유리패널(30)에 안전거리 이내로 근접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00)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후퇴감지수단(90)은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관체(12)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42)가 후퇴되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한다.
상기 제어수단(100)은 사용자가 조작하여 모드를 선택하고 설정온도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101)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입력수단(101)에는 사용자가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된 모드선택스위치와, 설정온도를 입력하는 온도설정스위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수단(101)은 사용자가 상기 모드선택스위치를 조작하여, 정지모드와 난방모드와 제상모드 및 가열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어수단(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상기 모드선택스위치를 조작하여 정지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ff시켜 상기 발열층(31a)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모드선택스위치를 조작하여 난방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온도설정스위치를 조작하여 설정온도를 입력하면, 사용자는 상기 온도센서(50)의 신호를 피드백하여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n-off시킴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로 상승되도록 조절한다.
즉, 상기 온도센서(50)에 의해 측정된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n시켜 발열층(31a)으로 전원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발열층(31a)이 발열되도록 한다.
반대로, 온도센서(50)에 의해 측정된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ff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선택스위치를 조작하여 제상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결로감지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유리패널(30)에 결로가 발생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n시켜 발열층(31a)이 발열되도록 함으로써, 유리패널(30)에 발생된 결로가 제거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결로감지센서(60)에 결로가 모두 제거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ff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선택스위치를 조작하여 가열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n시켜 상기 발열층(31a)이 지속적으로 발열되어, 유리패널(30)을 지속적으로 가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전원스위치(41)가 on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감지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폐감지수단(70)에 창문(B)이 열린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ff시킨다.
즉, 상기 전원스위치(41)가 on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창문(B)을 열면, 상기 플러그(43)와 콘센트(42)가 분리되어, 발열층(31a)으로 인가되는 전원은 차단되지만, 상기 콘센트(42)에는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 사용자의 실수로 상기 콘센트(42)에 접촉할 경우, 감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감지수단에 창문(B)이 열린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ff시킴으로써, 상기 콘센트(42)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고,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전원스위치(41)가 on된 상태에서 상기 근접감지수단(80)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창문(B)에 안전거리 이내로 근접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수단(110)을 제어하여 경보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창문(B)에 근접하지 않도록 경고한다.
즉, 상기 발열층(31a)은 전원이 인가되면 유리패널(30)을 90℃ 이상으로 가열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유리패널(30)이 가열된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유리패널(30)에 접촉할 경우, 화상을 입을 수 있다.
이때, 제어수단(100)은 상기 근접감지수단(80)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안전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수단(110)을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발열층(31a)이 발열을 하고 있는 것을 알려줌으로서, 사용자가 가열된 유리패널(30)에 접촉하여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후퇴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센트(42)가 후퇴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기를 제어하여 경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콘센트(42)가 후퇴되어, 상기 플러그(43)가 콘센트(42)에 정확히 결합되지 않은 것을 알려주도록 한다.
즉, 상기 창문(B)을 닫을 때, 상기 플러그(43)에 의해 콘센트(42)가 후방으로 밀릴 경우, 플러그(43)가 콘센트(42)에 정확히 결합되지 못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전원스위치(41)가 on되더라도 상기 발열층(31a)에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후퇴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와 같이 콘센트(42)가 후방으로 밀린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수단(110)을 제어하여 경보를 울림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고, 콘센트(42)가 플러그(43)에 정확히 결합되도록 창문(B)을 다시 닫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100)은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보일러의 컨트롤러(102)에 연결되어, 난방모드 또는 제상모드에서 사용자가 보일러를 off시키면,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ff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보일러가 off된다는 것은 상기 발열층(31a)을 이용하여 난방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게 됨으로, 난방모드 또는 제상모드에서 상기 보일러가 off되면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ff시킴으로써, 불필요하게 상기 발열층(31a)이 발열을 하게 전기를 낭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경보수단(110)은 상기 제어수단(100)의 신호에 따라 미리 입력된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가 창문(B)에 근접될 때 출력되는 경보음과, 상기 콘센트(42)가 후퇴되었을 때 출력되는 경보음은 서로 다르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은, 상기 전원스위치(41)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전원선(40)을 통해 흐르는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릴레이를 이용하며,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50)와, 상기 창문프레임(20)에 구비되어 상기 유리패널(30)에 결로가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는 결로감지센서(60)와, 상기 창틀(A)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창문(B)을 개폐하는 것을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70)과, 상기 지지관체(12)에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42)가 후퇴되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후퇴감지수단(90)과, 상기 개폐감지수단(70)과 온도센서(50)와 결로감지센서(60)와 개폐감지수단(70) 및 후퇴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전원스위치(4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00)과, 상기 제어수단(100)에 연결된 경보수단(11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100)에는 난방모드와 제상모드를 선택하고 설정온도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101)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입력수단(101)을 조작하여 난방모드를 선택하고 설정온도를 입력하면 상기 온도센서(50)에 의해 측정된 실내의 온도를 피드백하고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n-off제어하여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수단(101)을 조작하여 제상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결로감지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유리패널(30)에 결로가 발생되면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n시켜 유리패널(30)에 발생된 결로를 제거한다.
따라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개폐감지수단(70)에 사용자가 창문(B)을 연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ff시키고, 상기 후퇴감지수단(90)에 의해 상기 콘센트(42)가 후퇴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경보수단(110)을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경보를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콘센트(42)에 인가된 전기에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플러그(43)가 콘센트(42)에 정확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창틀(A)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안전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감지수단(80)이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n시켜 상기 발열층(31a)이 발열되는 상태에서 상기 근접감지수단(80)에 사용자가 안전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것이 감지되면, 경보수단(110)을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발열층(31a)이 발열을 하고 있는 것을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열된 유리패널(30)에 접촉하여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100)은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보일러의 컨트롤러(102)에 연결되어, 난방모드 또는 제상모드에서 사용자가 보일러를 off시키면,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ff시킴으로써, 불필요하게 전기를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창틀 B. 창문
20. 창문프레임 30. 유리패널
40. 전원선 50. 온도센서
60. 결로감지센서 70. 개폐감지수단
80. 근접감지수단 90. 후퇴감지수단
100. 제어수단 110. 경보수단

Claims (5)

  1. 삭제
  2. 벽면에 설치된 창틀(A)과,
    상기 창틀(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창문(B)을 포함하고, 상기 창문(B)은 창문프레임(20)과,
    상기 창문프레임(20)에 결합된 유리패널(30)로 구성된 창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리패널(30)은 강화유리재질로 구성된 내외측 패널(31,32)과, 상기 내외측 패널(31,3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외측 패널(31,32)을 상호 접합하는 접합시트(33)를 포함하는 접합유리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 패널(31)의 외측면에는 나노탄소튜브, 카본블랙 및 그래핀 중 어느 하나와 바인더를 혼합한 후 내측 패널(31)의 외측면에 도포 및 경화하여 구성된 발열층(31a)이 적층되고,
    상기 발열층(31a)은 전원선(40)을 통해 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선(40)의 중간부에는 전원스위치(41)가 구비되어,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n시켜 상기 발열층(31a)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발열층(31a)에서 열이 발생되어 상기 내측 패널(31)의 내측면에 발생된 결로를 제거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전원선(40)의 중간부에는 상기 창틀(A)의 내측면 일측에 구비된 콘센트(42)와,
    상기 창문프레임(20)의 일측에 상기 콘센트(42)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창문(B)을 닫으면 상기 콘센트(42)에 결합되어 전원선(40)의 중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러그(43)가 구비되고,
    상기 창틀(A)에는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에는 내부에 상기 콘센트(42)가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관체(12)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관체(12)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관체(12)가 전방으로 전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3)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창문(B)을 닫을 때 상기 플러그(43)가 콘센트(42)에 정확히 결합되지 않을 경우, 상기 콘센트(42)가 탄성적으로 후퇴되어 플러그(43) 또는 콘센트(4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치(41)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전원선(40)을 통해 흐르는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릴레이를 이용하며,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50)와,
    상기 창문프레임(20)에 구비되어 상기 유리패널(30)에 결로가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는 결로감지센서(60)와,
    상기 창틀(A)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창문(B)을 개폐하는 것을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70)과,
    상기 지지관체(12)에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42)가 후퇴되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후퇴감지수단(90)과,
    상기 개폐감지수단(70)과 온도센서(50)와 결로감지센서(60)와 개폐감지수단(70) 및 후퇴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전원스위치(4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00)과,
    상기 제어수단(100)에 연결된 경보수단(1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100)에는 난방모드와 제상모드를 선택하고 설정온도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101)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입력수단(101)을 조작하여 난방모드를 선택하고 설정온도를 입력하면 상기 온도센서(50)에 의해 측정된 실내의 온도를 피드백하고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n-off제어하여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수단(101)을 조작하여 제상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결로감지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유리패널(30)에 결로가 발생되면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n시켜 유리패널(30)에 발생된 결로를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감지수단(70)에 사용자가 창문(B)을 연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ff시키고, 상기 후퇴감지수단(90)에 의해 상기 콘센트(42)가 후퇴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경보수단(110)을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경보를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A)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안전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감지수단(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n시켜 상기 발열층(31a)이 발열되는 상태에서 상기 근접감지수단(80)에 사용자가 안전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것이 감지되면, 경보수단(110)을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발열층(31a)이 발열을 하고 있는 것을 알려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00)은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보일러의 컨트롤러(102)에 연결되어, 난방모드 또는 제상모드에서 사용자가 보일러를 off시키면, 상기 전원스위치(41)를 off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
KR1020180009314A 2018-01-25 2018-01-25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 KR101861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314A KR101861793B1 (ko) 2018-01-25 2018-01-25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314A KR101861793B1 (ko) 2018-01-25 2018-01-25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793B1 true KR101861793B1 (ko) 2018-05-28

Family

ID=62451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314A KR101861793B1 (ko) 2018-01-25 2018-01-25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7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073B1 (ko) * 2018-08-31 2019-01-22 (주)중원종합건축사사무소 친환경 건축용 창호
KR102103819B1 (ko) * 2018-12-05 2020-04-23 주식회사 에이피씨개발 단열 창호 시스템
KR20210045142A (ko) * 2019-10-16 2021-04-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새싹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CN113335495A (zh) * 2020-03-02 2021-09-03 中航西飞民用飞机有限责任公司 一种飞机活动窗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530Y1 (ko) 2003-09-23 2004-02-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선이 구비된 복층유리 창호
KR101000040B1 (ko) 2009-05-01 2010-12-10 김대수 나노 보온단열층이 형성된 복층 창호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KR101562321B1 (ko) * 2015-01-13 2015-10-21 정혜진 램프점등 기능을 갖는 방범창
KR101751927B1 (ko) * 2016-12-27 2017-07-05 넥스트뷰 주식회사 나노소재를 이용한 복층창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530Y1 (ko) 2003-09-23 2004-02-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선이 구비된 복층유리 창호
KR101000040B1 (ko) 2009-05-01 2010-12-10 김대수 나노 보온단열층이 형성된 복층 창호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KR101562321B1 (ko) * 2015-01-13 2015-10-21 정혜진 램프점등 기능을 갖는 방범창
KR101751927B1 (ko) * 2016-12-27 2017-07-05 넥스트뷰 주식회사 나노소재를 이용한 복층창호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073B1 (ko) * 2018-08-31 2019-01-22 (주)중원종합건축사사무소 친환경 건축용 창호
KR102103819B1 (ko) * 2018-12-05 2020-04-23 주식회사 에이피씨개발 단열 창호 시스템
KR20210045142A (ko) * 2019-10-16 2021-04-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새싹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2291823B1 (ko) 2019-10-16 2021-08-20 대한민국 새싹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CN113335495A (zh) * 2020-03-02 2021-09-03 中航西飞民用飞机有限责任公司 一种飞机活动窗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793B1 (ko) 나노소재를 이용한 접합유리를 갖는 면상발열 창호시스템
CN104373980B (zh) 一种压感触摸式键控操作的吸油烟机
CN105757110A (zh) 一种自动抽气吸盘
CN108209798B (zh) 洗碗机的控制方法及洗碗机
WO2018041048A1 (zh) 手自一体化的电子烟
CN206790627U (zh) 一种安防监控系统
CN105737886A (zh) 矿井用多参数测定器
DE60218836D1 (de) Laminiervorrichtung mit einer verbesserten schneideinrichtung
KR101311169B1 (ko) 투명 온수기
KR20050103121A (ko) 자동모드기능을 갖는 절전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211401A (ja)
CN206959056U (zh) 一种吸油烟机
KR101751927B1 (ko) 나노소재를 이용한 복층창호 시스템
KR101763299B1 (ko) 나노소재를 이용한 면상발열 유리패널
CN109017662A (zh) 客车火灾智能爆窗装置的使用方法
CN103306567A (zh) 具有双重检测模块的电动门系统
JP2007236667A (ja) 便座装置
CN206162804U (zh) 一种门控安防报警电路
CN206387772U (zh) 一种拉链边缘缺陷检测仪
CN100470414C (zh) 智能型集成吊顶
CN101566833A (zh) 具有自检功能的远红外桑拿房控制系统
CN207629220U (zh) 一种控制版辊钢辊尺寸的erp数控车床
CN213075517U (zh) 一种通用型马桶垫自动加热装置
CN206510252U (zh) 切粒机
CN207753695U (zh) 二次结构构造柱模板支设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