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655B1 -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655B1
KR101861655B1 KR1020170108107A KR20170108107A KR101861655B1 KR 101861655 B1 KR101861655 B1 KR 101861655B1 KR 1020170108107 A KR1020170108107 A KR 1020170108107A KR 20170108107 A KR20170108107 A KR 20170108107A KR 101861655 B1 KR101861655 B1 KR 101861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icropattern
image film
pattern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주얼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주얼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주얼넷
Priority to KR1020170108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655B1/ko
Priority to EP17922678.2A priority patent/EP3674075A4/en
Priority to CN201780052536.XA priority patent/CN109982835B/zh
Priority to PCT/KR2017/013720 priority patent/WO201903966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655B1/ko
Priority to US16/447,590 priority patent/US1145318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278Lenticula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7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article consisting of a material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porous, brittle
    • B29C45/14811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788Producing optical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12Array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02B3/0068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arranged in a single integral body or plate, e.g. laminates or hybrid structures with othe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2045/009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jection moulding of small-sized articles, e.g. microarticles, ultra thin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65Production of micro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16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31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미지 필름은 희생층, 상기 희생층 상에 형성된 제1 마이크로 패턴층,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 상에 형성된 제2 마이크로 패턴층,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 상에 형성된 초점거리층, 및 상기 초점거리층 상에 형성된 마이크로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오목한 곡면은 상기 희생층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의 볼록한 곡면은 상기 초점거리층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과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은 서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IMAGE FILM BASED ON MICRO PATTERN LAYERS AND METHOD FOR MAKING THE FILM}
본 발명은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미크론 단위의 얇은 두께로 형성할 수 있는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투명 플라스틱제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와 같은 마이크로 패턴을 이용한 렌즈를 통하여 하부 패턴이 확대되어 입체 이미지로 육안 식별이 가능하게 되는 입체 필름 제조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입체 필름 제조방법은 정품을 표시하기 위한 라벨 또는 각종 보안 사업에 적용되고 있으며, 고정밀 마이크로 금형을 이용한 마이크로 옵틱 보안 필름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다. 입체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투명 플라스틱제 렌티큘러 렌즈의 집합을 인쇄면에 정확히 겹쳐 맞춤으로써 렌티큘러 렌즈의 작용에 의해서 입체 화상으로 보이게 된다.
렌티큘러 렌즈인 플라스틱 렌즈 밑에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의 상을 번갈아 인쇄해 두면 좌우 눈의 방향 차에 의해 입체감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렌티큘러 스테레오 방식이라 일컫는다. 이것은 특수 카메라(2안 카메라)로 원근감이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원고를 작성하며, 제판인쇄는 300선 스크린의 평판으로 오프셋 인쇄한다.
하지만, 종래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마이크로 렌즈를 통하여 하부 패턴이 확대되어 입체 이미지로 육안 식별이 가능하게 되기 위해서는 그 입체 필름의 두께가 상당하여 오토 라벨러와 같이 실제 제품에 기계적으로 자동 부착하는 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재층에 순차적으로 렌티큘러 렌즈를 적층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이 경우에도 2층의 렌티큘러 층으로 인하여 초점 거리가 멀어져 이미지 필름의 전체 두께를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두께가 얇고 수율이 높을 뿐만아니라 보다 선명한 패턴을 얻을 수 있는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은 희생층, 상기 희생층 상에 형성된 제1 마이크로 패턴층,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 상에 형성된 제2 마이크로 패턴층,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 상에 형성된 초점거리층, 및 상기 초점거리층 상에 형성된 마이크로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오목한 곡면은 상기 희생층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의 볼록한 곡면은 상기 초점거리층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과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은 서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 제2 마이크로 패턴층 및 초점거리층은 자외경화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희생층은 PC(poly-carbonate)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초점거리층의 두께는 5㎛이상 120㎛이하일 수 있다.
상기 희생층과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 사이에는 분리가능한 이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의 굴절률을 n1,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의 굴절률을 n2, 상기 초점거리층의 굴절율을 n3라고 할 때, 상기 n1, n2 및 n3는 n1< n2 > n3를 만족하고, 상기 n1은 1.2 이상 1.5이하, 상기 n2는 1.51이상 1.75이하, 상기 n3는 1.2 이상 1.5 이하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의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피치의 크기는 5㎛ 이상 60㎛이하이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산의 높이는 3㎛ 이상 30㎛이하이고,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의 상기 복수의 볼록부의 피치의 크기는 5㎛ 이상 60㎛이하이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의 산의 높이는 3㎛ 이상 30㎛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의 피치의 크기를 P1이라 하고,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의 피치의 크기를 P2라 할때, 상기 P1과 P2의 차의 절대값은 1㎛이하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이미지 패턴의 피치의 크기를 P3라고 할 때, 상기 P1과 P2의 차의 절대값은 1㎛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오목부와 상기 복수의 볼록부 간의 거리는 10㎛ 이내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제조방법은 희생층 상에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 상에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 상에 초점거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초점거리층 상에 마이크로 이미지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오목한 곡면은 상기 희생층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의 볼록한 곡면은 상기 초점거리층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과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은 서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희생층 상에 자외경화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및 마이크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금형의 패턴면을 상기 도포된 자외경화수지 상에 위치시키고 가압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마이크로렌즈 을 상기 자외경화수지 상면에 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의 패턴면은 연속된 복수의 볼록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 상에 자외경화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및 마이크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금형의 패턴면을 상기 도포된 자외경화수지 상에 위치시키고 가압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마이크로 패턴을 상기 자외경화수지 상면에 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의 패턴면은 연속된 복수의 오목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희생층은 PC(poly-carbonate)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초점거리층의 두께는 5㎛이상 150㎛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희생층 상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의 굴절률을 n1,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의 굴절률을 n2, 상기 초점거리층의 굴절율을 n3라고 할 때, 상기 n1, n2 및 n3는 n1< n2 > n3를 만족하고, 상기 n1은 1.2 이상 1.5이하, 상기 n2는 1.51이상 1.75이하, 상기 n3는 1.2 이상 1.5 이하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의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피치의 크기는 1㎛ 이상 60㎛이하이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산의 높이는 1㎛ 이상 30㎛이하이고,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의 상기 복수의 볼록부의 피치의 크기는 1㎛ 이상 60㎛이하이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의 산의 높이는 3㎛ 이상 30㎛이하일 수 있다.
삭제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의 피치의 크기를 P1이라 하고,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의 피치의 크기를 P2라 할때, 상기 P1과 P2의 차의 절대값은 1㎛이하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이미지 패턴의 피치의 크기를 P3라고 할 때, 상기 P1과 P2의 차의 절대값은 1㎛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오목부와 상기 복수의 볼록부 간의 거리는 10㎛ 이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벱에 의하면 제1 마이크로 패턴층과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이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의 광학 필름에서 초점 거리를 줄임으로써, 이미지 필름의 두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과 비교예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과 비교예의 시뮬레이션 제1 결과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과 비교예의 시뮬레이션 제2 결과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과 비교예의 시뮬레이션 제3 결과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의 구조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은 희생층(100), 상기 희생층(100) 상에 형성된 분리 가능한 이형층(110), 상기 희생층 상에 형성된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 상에 형성된 제2 마이크로 패턴층(130) 및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 상에 형성된 초점거리층(140)과 상기 초점거리층(140) 상에 형성된 마이크로 이미지 패턴(15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희생층(100)을 바라보는 방향이 시선의 방향이다.
상기 이형층(110)은 상기 희생층(100)을 상기 이미지 필름에서 제거하기 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은 복수의 오목부(121)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121)의 오목한 곡면은 상기 희생층(100)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130)은 복수의 볼록부(131)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131)의 볼록한 곡면은 상기 초점거리층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의 복수의 오복부(121)의 패턴과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130)의 복수의 볼록부(131)는 마이크로 렌즈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과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130)이 소정 각도를 이루며 교차하는 것을 표현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과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130)은 패턴의 길이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88도 이상 92도 이내의 각도로 서로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과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130)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직교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의 복수의 오목부(121)와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130)의 복수의 볼록부(131)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계란 형상을 구성하며, 상기 복수의 오목부(121)와 상기 복수의 볼록부(131)는 서로 맞 닿아 있거나 거리가 10u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130) 및 상기 초점거리층(140)은 자외경화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희생층은 PC(poly-carbonate) 또는 PET(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초점거리층의 두께는 5㎛이상 120㎛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 제2 마이크로 패턴층(130), 상기 초점거리층(140)은 소정의 굴절률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초점거리층(140) 상에 형성된 마이크로 이미지 패턴(150)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의 굴절률을 n1,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130)의 굴절률을 n2, 상기 초점거리층(140)의 굴절율을 n3라고 정의할 때, 상기 n1, n2 및 n3는 n1< n2 > n3를 만족하고, 상기 n1은 1.2 이상 1.5이하, 상기 n2는 1.51이상 1.75이하, 상기 n3는 1.2 이상 1.5 이하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의 상기 복수의 오목부(120)의 피치의 크기는 5㎛ 이상 60㎛이하이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120)의 산의 높이는 3㎛ 이상 30㎛이하로 구성하고,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130)의 상기 복수의 볼록부(131)의 피치의 크기는 5㎛ 이상 60㎛이하이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131)의 산의 높이는 3㎛ 이상 30㎛이하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피치는 오목부(120) 또는 볼록부(131)에 있어서 상기 오복부(120)의 이웃한 두 개의 산 또는 상기 볼록부(131)의 이웃한 두 개의 산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의 피치의 크기를 P1이라 하고,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130)의 피치의 크기를 P2라 할때, 상기 P1과 P2의 차의 절대값은 1㎛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이미지 패턴(151)의 피치의 크기를 P3라 할 때, 상기 P1과 P3의 차의 절대값은 1㎛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은 위에서 설명한 마이크로 패턴층의 패턴의 배열과, 굴절률, 마이크로 패턴층의 두께, 피치의 크기 및 산의 높이를 통해 다층 구조의 광학계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이미지 필름의 두께는 줄이면서 마이크로 이미지 패턴(150)의 상이 정확하게 맺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희생층(100) 상에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을 형성한다(S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제조방법은 희생층(100) 상에 순차적으로 다층을 형성하여 이미지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희생층(100)의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층이 형성되는 방식을 채택한다.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을 형성하는 단계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희생층(100) 상에 자외경화수지를 도포하고 나서, 마이크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금형의 패턴면을 상기 도포된 자외경화수지 상에 위치시키고 가압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마이크로 패턴을 상기 자외경화수지 상면에 전사시킨다.이때, 상기 제1 금형의 패턴면은 연속된 복수의 볼록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의 패턴은 복수의 오목부(121)을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 상에 제2 마이크로 패턴층(130)을 형성한다(S200).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130)은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 상에 자외경화수지를 도포하고 나서, 마이크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금형의 패턴면을 상기 도포된 자외경화수지 상에 위치시키고 가압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마이크로 패턴을 상기 자외경화수지 상면에 전사시킨다.이때, 상기 제2 금형의 패턴면은 연속된 복수의 오목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130)의 패턴은 복수의 볼록부(131)을 포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과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130)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과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130)은 서로에 대해 88도 이상 92도 이내의 각도로 서로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과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130)은 서로 직교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130) 상에 초점거리층(140)을 형성하고(S300), 상기 초점거리층(140) 상에 마이크로 이미지 패턴(150)을 형성한다(S400).
이때, 상기 300단계와 상기 400단계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며, 초점거리층(140)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마이크로 이미지 패턴(150)을 형성함으로써, 제조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100) 상에 이형층(12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과 비교예의 구조도이다.
상기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과 비교하기 위한 종래의 이미지 필름의 구조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의 구조도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미지 필름의 경우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의 볼록한 패턴의 볼록한 곡선과 제2 마이크로 패턴층(130)의 오목한 패턴의 오목한 곡선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로 된 반면에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의 경우에, 제1 마이크로 패턴층(120)의 오복부(121)의 오목한 곡선과 제1 마이크로 패턴층(130)의 볼록부(131)의 볼록한 곡선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이때, 종래의 이미지 필름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에 있어서 패턴의 구조를 다르게 하고 굴절률은 동일하게 하여 다음과 같이 시뮬레이션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과 비교예의 시뮬레이션 제1 결과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광학현상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광학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도 4에서는 상기 도 3의 (a) 구조와 상기 도 3의 (b)의 구조에서 정점(제2 마이크로 패턴층의 패턴의 골 또는 산)을 기준으로 하여 각 거리별 빛의 초점을 확인하였다.
4 단계로 나누어 20,40,60 및 70mm의 거리에서 각각의 빔분포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이 빔 분포가 훨씬 우수하고, 종래 이미지 필름에 비해 초점거리가 짧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과 비교예의 시뮬레이션 제2 결과도이다.
상기 도 5는 거리 60mm에서의 빔 분포도를 확인한 것으로서 (a)는 종래의 이미지 필름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고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이 종래의 이미지 필름에 비해 상이 더 작게 맺혀지고 초점거리가 짧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과 비교예의 시뮬레이션 제3 결과도이다.
상기 도 6은 거리 70mm에서의 빔 분포도를 확인한 것으로서 (a)는 종래의 이미지 필름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고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이 종래의 이미지 필름에 비해 상이 더 작게 맺혀지고 초점거리가 짧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에 의하면 초점거리를 종래보다 짧게 만들어서 초점거리층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이미지 필름 전체의 두께를 종래보다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희생층 110: 이형층
120: 제1 마이크로 패턴층 121: 오목부
130: 제2 마이크로 패턴층 131: 볼록부
140: 초점거리층 150: 마이크로 이미지 패턴

Claims (21)

  1. 희생층;
    상기 희생층 상에 형성된 제1 마이크로 패턴층;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 상에 직접 형성된 제2 마이크로 패턴층;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 상에 형성된 초점거리층; 및
    상기 초점거리층 상에 형성된 마이크로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오목한 곡면은 상기 희생층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은 하부에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의 복수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제1 볼록부와, 상부에 일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제2 볼록부는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이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 상에 형성될 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볼록부의 볼록한 곡면은 상기 초점거리층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과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은 서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 제2 마이크로 패턴층 및 초점거리층은 자외경화수지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은 PC(poly-carbonate)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거리층의 두께는 5㎛이상 1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과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 사이에는 분리가능한 이형층을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의 굴절률을 n1,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의 굴절률을 n2, 상기 초점거리층의 굴절율을 n3라고 할 때, 상기 n1, n2 및 n3는 n1< n2 > n3를 만족하고,
    상기 n1은 1.2 이상 1.5이하,
    상기 n2는 1.51이상 1.75이하,
    상기 n3는 1.2 이상 1.5 이하를 만족하는,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의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피치의 크기는 5㎛ 이상 60㎛이하이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산의 높이는 3㎛ 이상 30㎛이하이고,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의 상기 복수의 볼록부의 피치의 크기는 5㎛ 이상 60㎛이하이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의 산의 높이는 3㎛ 이상 3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의 피치의 크기를 P1이라 하고,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의 피치의 크기를 P2라 할때, 상기 P1과 P2의 차의 절대값은 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이미지 패턴의 피치의 크기를 P3라고 할 때, 상기 P1과 P3의 차의 절대값은 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와 상기 복수의 볼록부 간의 거리는 1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11. 희생층 상에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 상에 직접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 상에 초점거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초점거리층 상에 마이크로 이미지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오목한 곡면은 상기 희생층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은 하부에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의 복수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제1 볼록부와, 상부에 일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제2 볼록부는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이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 상에 형성될 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볼록부의 볼록한 곡면은 상기 초점거리층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과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은 서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희생층 상에 자외경화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및
    마이크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금형의 패턴면을 상기 도포된 자외경화수지 상에 위치시키고 가압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마이크로 패턴을 상기 자외경화수지 상면에 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의 패턴면은 연속된 복수의 볼록형상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 상에 자외경화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및
    마이크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금형의 패턴면을 상기 도포된 자외경화수지 상에 위치시키고 가압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마이크로 패턴을 상기 자외경화수지 상면에 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의 패턴면은 연속된 복수의 오목형상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은 PC(poly-carbonate)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거리층의 두께는 5㎛이상 1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제조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희생층 상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제조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의 굴절률을 n1,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의 굴절률을 n2, 상기 초점거리층의 굴절율을 n3라고 할 때, 상기 n1, n2 및 n3는 n1< n2 > n3를 만족하고,
    상기 n1은 1.2 이상 1.5이하,
    상기 n2는 1.51이상 1.75이하,
    상기 n3는 1.2 이상 1.5 이하를 만족하는,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제조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의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피치의 크기는 5㎛ 이상 60㎛이하이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산의 높이는 3㎛ 이상 30㎛이하이고,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의 상기 복수의 볼록부의 피치의 크기는 5㎛ 이상 60㎛이하이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의 산의 높이는 3㎛ 이상 3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제조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 패턴층의 피치의 크기를 P1이라 하고, 상기 제2 마이크로 패턴층의 피치의 크기를 P2라 할때, 상기 P1과 P2의 차의 절대값은 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이미지 패턴의 피치의 크기를 P3라고 할 때, 상기 P1과 P3의 차의 절대값은 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제조방법.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와 상기 복수의 볼록부 간의 거리는 1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제조방법.
KR1020170108107A 2017-08-25 2017-08-25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KR101861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107A KR101861655B1 (ko) 2017-08-25 2017-08-25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EP17922678.2A EP3674075A4 (en) 2017-08-25 2017-11-28 FILM-IMAGE BASED ON MICROSTRUCTURED LAYERS
CN201780052536.XA CN109982835B (zh) 2017-08-25 2017-11-28 基于微图案层的图像薄膜
PCT/KR2017/013720 WO2019039660A1 (ko) 2017-08-25 2017-11-28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US16/447,590 US11453185B2 (en) 2017-08-25 2019-06-20 Micropattern layer based image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107A KR101861655B1 (ko) 2017-08-25 2017-08-25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655B1 true KR101861655B1 (ko) 2018-05-28

Family

ID=62451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107A KR101861655B1 (ko) 2017-08-25 2017-08-25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53185B2 (ko)
EP (1) EP3674075A4 (ko)
KR (1) KR101861655B1 (ko)
CN (1) CN109982835B (ko)
WO (1) WO201903966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779B1 (ko) 2019-04-23 2020-01-10 유정찬 광 확산을 이용한 한글 시계
KR20200023580A (ko) * 2018-08-24 2020-03-05 주식회사 상보 이미지 필름 및 전사재
US11505779B2 (en) 2016-03-01 2022-11-22 The Fynder Group, Inc. Filamentous fungal biomats, methods of their production and methods of their 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5938B (zh) * 2019-08-26 2022-07-05 昇印光电(昆山)股份有限公司 立体成像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642B1 (ko) * 2010-03-24 2012-03-28 김장규 입체이미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644830B1 (ko) * 2016-01-29 2016-08-11 주식회사 우리옵토 미크론 단위 두께를 가지는 마이크로 렌즈 기반의 보안 이미지 필름 제조 방법
KR101666819B1 (ko) * 2016-01-29 2016-10-28 주식회사 비주얼넷 미크론 단위 두께를 가지는 렌티큘러 렌즈 기반의 보안 이미지 필름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1179A (en) * 1996-01-23 2000-05-09 Canon Kabushiki Kaish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two-/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switching function
KR101203199B1 (ko) * 2012-02-03 2012-11-21 (주)쓰리에스엠케이 입체 보안요소가 구비된 사출품과 그 제작 방법
KR101341072B1 (ko) * 2013-09-04 2013-12-19 안재광 복수의 나노 구조물 및 입체 렌즈를 이용한 진품 확인용 라벨
CN105425406A (zh) * 2015-12-17 2016-03-23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3d显示膜及立体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642B1 (ko) * 2010-03-24 2012-03-28 김장규 입체이미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644830B1 (ko) * 2016-01-29 2016-08-11 주식회사 우리옵토 미크론 단위 두께를 가지는 마이크로 렌즈 기반의 보안 이미지 필름 제조 방법
KR101666819B1 (ko) * 2016-01-29 2016-10-28 주식회사 비주얼넷 미크론 단위 두께를 가지는 렌티큘러 렌즈 기반의 보안 이미지 필름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5779B2 (en) 2016-03-01 2022-11-22 The Fynder Group, Inc. Filamentous fungal biomats, methods of their production and methods of their use
KR20200023580A (ko) * 2018-08-24 2020-03-05 주식회사 상보 이미지 필름 및 전사재
KR102101628B1 (ko) 2018-08-24 2020-04-20 주식회사 상보 이미지 필름 및 전사재
KR102064779B1 (ko) 2019-04-23 2020-01-10 유정찬 광 확산을 이용한 한글 시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53185B2 (en) 2022-09-27
CN109982835B (zh) 2021-04-27
EP3674075A4 (en) 2020-09-02
EP3674075A1 (en) 2020-07-01
US20190299506A1 (en) 2019-10-03
WO2019039660A1 (ko) 2019-02-28
CN109982835A (zh)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655B1 (ko) 마이크로 패턴층 기반의 이미지 필름
US7394596B1 (en) Plane lens sheet using light transmission rate difference
US8503083B2 (en) Lens sheet for microlens and lenticular lens
US10126537B2 (en) Marker
US10007122B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substrate,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KR101042501B1 (ko) 광 투과 조정 필터가 형성된 렌즈 어레이 시트
KR101803401B1 (ko) 다중 물체상 생성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광학 필름
AU2015317844A1 (en) Secure lens layer
CN105005106A (zh) 一种蜂窝状微凸光栅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H06347613A (ja) フィルム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60299263A1 (en) Microlens arra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JP6357361B2 (ja) 再帰性反射体及びこれを利用した立体像表示装置
US10539734B2 (en) Directional backlight uni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3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644830B1 (ko) 미크론 단위 두께를 가지는 마이크로 렌즈 기반의 보안 이미지 필름 제조 방법
CN216387438U (zh) 组合式微透镜阵列匀光结构及装设有该结构的镜头、设备
KR102342056B1 (ko) 반사 집광 입체시트
KR101666819B1 (ko) 미크론 단위 두께를 가지는 렌티큘러 렌즈 기반의 보안 이미지 필름 제조 방법
US20180149879A1 (en) Display body including partially-provided optical element array
KR101164229B1 (ko) 모아레 패턴 형상을 갖는 시트의 제조 방법
CN113406734A (zh) 一种反射微透镜阵列成像装置及制造方法
JP6116534B2 (ja) 再帰性反射体の製造方法
TWM505616U (zh) 3d顯示層及3d顯示結構
RU262915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динамическ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US20220179227A1 (en) Optical imaging film
CN204374526U (zh) 3d显示层及3d显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