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525B1 -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525B1
KR101861525B1 KR1020160089108A KR20160089108A KR101861525B1 KR 101861525 B1 KR101861525 B1 KR 101861525B1 KR 1020160089108 A KR1020160089108 A KR 1020160089108A KR 20160089108 A KR20160089108 A KR 20160089108A KR 101861525 B1 KR101861525 B1 KR 101861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image information
unit
short
te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785A (ko
Inventor
김정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디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디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디스텍
Priority to KR1020160089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525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은 특정지역에 설치되어 다수의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미리 정해진 기한 동안 제1영상 정보로 획득하며, 특정지역에서 보행하는 보행자를 실시간으로 제2영상 정보로 획득하는 영상획득부와, 상기 영상획득부에서 전송된 제1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영상DB와, 상기 영상DB에 저장된 제1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다수의 보행자 중에서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를 검출하는 보행자검출부와, 상기 보행자검출부에서 검출된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를 검출 정보로 저장하는 검출DB와, 상기 영상획득부에서 전송된 제2영상 정보와 상기 검출DB에서 전송된 검출 정보를 판독하며, 특정 지역에 상기 검출 정보에 해당하는 보행자가 나타난 것을 인식하면 그 특정 지역으로 진입하는 무인자동차에게 주변에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가 있다는 경고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DB는 상기 제1영상 정보가 제1기준기한 동안 수집된 장기 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장기영상저장부와, 상기 제1영상 정보가 상기 제1기준기한 보다 짧은 제2기준기한 동안 수집된 단기 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단기영상저장부와, 상기 보행자검출부를 이용하여 상기 장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장기 영상 정보를 판독한 보행자의 보행 패턴과 상기 단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단기 영상 정보를 판독한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서로 비교하여, 서로 동일하면 제1신호를 생성하며 서로 다르면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제1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장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장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여 백업DB로 백업하며 상기 단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단기 영상 정보를 유지하는 제1분석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제2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단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며 상기 장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장기 영상 정보를 유지하는 제2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Pedestrian Protection System for autonomous car}
본 발명은 운전자의 제어가 없어도 자동으로 운행할 수 있는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인자동차란, 운전자의 제어가 없어도 자동으로 운행할 수 있는 자동차를 말한다. 이때, 무인자동차에는 신호등과 표지판을 인식하는 카메라와 무인자동차의 위치를 파악하는 GPS센서가 설치된다.
또한, 무인자동차에는 주변 차량의 속도와 위치를 확인하는 스캐너와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센서가 설치된다.
이러한 무인자동차와 관련된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13-0085235호는 차량의 제어컴퓨터에 의해 차량의 스티어링 시스템과, 트로틀 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을 콘트롤하여 자동 운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무인 운전 장치에 있어서, 다단으로 구성되고,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자동차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변 지면 상태, 도로 경계선 및 주변 물체를 인식하기 위한 레이더 장치와; 차량의 전방, 양측면 및 후방의 방향에 대하여 전파 탐지로 주변 사물의 유무 및 사물과의 거리를 인식하기 위한 전파 탐지장치와; 상기 제어 컴퓨터에 의해 차량의 운전조작정보 및 차량의 엔진동력으로 구동되는 구동바퀴의 운동상태를 감시하여 운전정보를 추출하는 운전정보 추출장치와; 차량의 실내외 영상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영상분석에 의해 차선, 교통신호등 변화상태와 주변 차량의 점등 표시상태를 자동으로 분석 판단하는 카메라장치와; GPS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지도정보에 주행 위치를 표시하는 네이게이션장치와; 상기 레이더 장치, 상기 전파 탐지장치, 상기 운전정보 추출장치, 상기 카메라장치 및 상기 네비게이션장치를 제어하여 차량의 무인 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수집 분석된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상기 차량의 제어 컴퓨터로 자동 무인 운전 제어 명령을 하는 무인 운전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차의 무인 운전 시스템을 제시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보행자가 차도로 갑자기 뛰어드는 돌발 행동에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85235호(2013.07.2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지역을 보행하는 다수의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미리 정해진 기한 동안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다수의 보행자 중에서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를 검출한 검출 정보를 특정지역으로 진입하는 무인자동차에게 제공함으로써, 특정 지역을 운행하는 무인자동차에게 검출 정보에 해당되는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의 접근을 미리 알려서 교통사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은 특정지역에 설치되어 다수의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미리 정해진 기한 동안 제1영상 정보로 획득하며, 특정지역에서 보행하는 보행자를 실시간으로 제2영상 정보로 획득하는 영상획득부와, 상기 영상획득부에서 전송된 제1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영상DB와, 상기 영상DB에 저장된 제1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다수의 보행자 중에서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를 검출하는 보행자검출부와, 상기 보행자검출부에서 검출된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를 검출 정보로 저장하는 검출DB와, 상기 영상획득부에서 전송된 제2영상 정보와 상기 검출DB에서 전송된 검출 정보를 판독하며, 특정 지역에 상기 검출 정보에 해당하는 보행자가 나타난 것을 인식하면 그 특정 지역으로 진입하는 무인자동차에게 주변에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가 있다는 경고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DB는 상기 제1영상 정보가 제1기준기한 동안 수집된 장기 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장기영상저장부와, 상기 제1영상 정보가 상기 제1기준기한 보다 짧은 제2기준기한 동안 수집된 단기 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단기영상저장부와, 상기 보행자검출부를 이용하여 상기 장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장기 영상 정보를 판독한 보행자의 보행 패턴과 상기 단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단기 영상 정보를 판독한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서로 비교하여, 서로 동일하면 제1신호를 생성하며 서로 다르면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제1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장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장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여 백업DB로 백업하며 상기 단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단기 영상 정보를 유지하는 제1분석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제2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단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며 상기 장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장기 영상 정보를 유지하는 제2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행자검출부는 상기 제1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차도 무단횡단, 횡단보도 신호 위반 보행, 보행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 보행 패턴을 가진 보행자를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로 검출하는 돌발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행자검출부는 상기 제1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키가 기준키 이하인 보행자를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로 검출하는 아동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DB는 상기 제1분석부에서 유지된 단기 영상 정보를 상기 장기영상저장부로 전송하는 병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영상DB는 상기 장기영상저장부에서 상기 제2분석부에 의해 유지된 장기 영상 정보에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다시 상기 제2기준기한 동안 수집한 단기 영상 정보가 병합된 장기 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서브장기영상저장부와,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또 다시 상기 제2기준기한 동안 수집한 단기 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서브단기영상저장부와, 상기 보행자검출부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장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장기 영상 정보를 판독한 보행자의 보행 패턴과 상기 서브단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단기 영상 정보를 판독한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서로 비교하여, 서로 동일하면 제3신호를 생성하며 서로 다르면 제4신호를 생성하는 서브비교부와, 상기 서브비교부에서 제3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브장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장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여 백업DB로 백업하며 상기 서브단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단기 영상 정보를 유지하는 서브제1분석부와, 상기 서브비교부에서 제4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브단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단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며 상기 서브장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장기 영상 정보를 유지하는 서브제2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DB는 상기 제1기준기한이 10개월 내지 14개월이며, 상기 제2기준기한이 2개월 내지 4개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은 특정 지역을 보행하는 다수의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미리 정해진 기한 동안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다수의 보행자 중에서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를 검출한 검출 정보를 특정지역으로 진입하는 무인자동차에게 제공함으로써, 특정 지역을 운행하는 무인자동차에게 검출 정보에 해당되는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의 접근을 미리 알려서 교통사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검출부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DB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1000)은 영상획득부(100), 영상DB(210), 보행자검출부(220), 검출DB(230), 정보전송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획득부(100)는 특정 지역에 설치되어 특정 지역을 보행하는 다수의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미리 정해진 기한 동안 제1영상 정보로 획득하며 특정지역에서 보행하는 다수의 보행자를 실시간으로 제2영상 정보로 획득한다. 이 때, 상기 영상획득부(100)는 특정 지역에 설치되는 다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DB(210)는 상기 영상획득부(100)에서 전송된 제1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일종의 메모리이다.
상기 보행자검출부(220)는 상기 영상DB(210)에 저장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다수의 보행자 중에서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를 검출한다. 이 때, 상기 보행자검출부(220)는 일종의 마이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는 차도 무단횡단, 횡단보도 신호 위반 보행, 보행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 이력이 있는 보행자나, 아동 보행자를 의미한다.
상기 검출DB(230)는 상기 보행자검출부(220)에서 검출된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를 검출 정보로 저장하는 일종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전송부(300)는 상기 영상DB(210)에 저장된 제1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다수의 보행자 중에서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를 검출한다. 즉, 특정지역을 보행하는 다수의 보행자 중에서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에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를 선별하는 것이다. 한편,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란, 주변 차량에 사고 유발을 하는 보행 패턴이 있는 보행자를 의미한다.
상기 검출DB(230)는 상기 보행자검출부(220)에서 검출된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를 검출 정보로 저장하는 일종의 메모리이다.
상기 정보전송부(300)는 상기 영상획득부(100)에서 전송된 제2영상 정보와 상기 검출DB(230)에서 전송된 검출 정보를 판독하며, 특정 지역에 상기 검출 정보에 해당하는 보행자가 나타난 것을 인식하면 그 특정 지역으로 진입하는 무인자동차에게 주변에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가 있다는 경고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무인자동차는 경고 정보를 전송받고, 운행속도가 자동으로 저하되어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와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1000)은 특정 지역을 보행하는 다수의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미리 정해진 기한 동안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다수의 보행자 중에서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를 검출한 검출 정보를 특정지역으로 진입하는 무인자동차에게 제공함으로써, 특정 지역을 운행하는 무인자동차에게 검출 정보에 해당되는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의 접근을 미리 알려서 교통사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검출부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행자검출부(220)는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를 좀 더 구체적으로 규정하기 위한 것으로, 돌발검출부(221) 및 아동검출부(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발검출부(221)는 상기 제1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차도 무단횡단, 횡단보도 신호 위반 보행, 보행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 보행 패턴을 가진 보행자를 돌발 보행 패턴이 있는 보행자로 검출한다.
상기 아동검출부(222)는 상기 제1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키가 기준키 이하인 보행자를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로 검출한다. 이 때, 상기 기준키는 차량에서 보행자가 보일 수 있는 120cm인 게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DB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DB(210)는 일종의 제어용 소프트웨어로서, 장기영상저장부(211), 단기영상저장부(212), 비교부(213), 제1분석부(214), 제2분석부(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기영상저장부(211)는 상기 제1영상 정보가 제1기준기한 동안 수집된 장기 영상 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제1기준기한은 10개월 내지 14개월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단기영상저장부(212)는 상기 제1영상 정보가 상기 제1기준기한보다 짧은 제2기준기한 동안 수집된 단기 영상 정보가 저장된다. 이 때, 상기 제2기준기한은 2개월 내지 4개월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단기영상저장부(212)는 상기 장기영상저장부(211)에 상기 기 제1영상 정보가 제1기준기한 동안 수집된 장기 영상 정보가 저장된 이후에, 상기 제1영상 정보가 상기 제1기준기한보다 짧은 제2기준기한 동안 수집된 단기 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교부(213)는 상기 보행자검출부(220)를 이용하여 상기 장기영상저장부(211)에 저장된 장기 영상 정보를 판독한 보행자의 보행 패턴과 상기 단기영상저장부(212)에 저장된 단기 영상 정보를 판독한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서로 비교하여 서로 동일하면 제1신호를 생성하며 서로 다르면 제2신호를 생성한다.
좀 더 상세하게, 상기 비교부(213)는 상기 보행자검출부(220)를 이용하여 상기 장기 영상 정보와 단기 영상 정보를 판독하여, 보행자가 상기 제1기준기한 동안에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지의 여부와 보행자가 상기 제2기준기한 동안에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지의 여부를 서로 비교하여, 각자의 여부가 서로 동일하면 제1신호를 생성하며 각자의 여부가 서로 다르면 제2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1분석부(214)는 상기 비교부(213)에서 제1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장기영상저장부(211)에 저장된 장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여 백업DB로 백업하며 상기 단기영상저장부(212)에 저장된 상기 단기 영상 정보를 유지한다. 좀 더 상세하게, 상기 제1분석부(214)는 상기 비교부(213)에서 보행자가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지의 여부가 상기 제1기준기한과 제2기준기한 간에 서로 동일한 것을 인식하여 제1신호를 생성하였으므로, 상기 제1기준기한에 수집된 장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는 것이다.
상기 제2분석부(215)는 상기 비교부(213)에서 제2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기영상저장부(212)에 저장된 단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며 상기 장기영상저장부(211)에 저장된 장기 영상 정보를 유지한다. 좀 더 상세하게, 상기 제2분석부(215)는 상기 비교부(213)에서 보행자가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지의 여부가 상기 제1기준기한과 제2기준기한 간에 서로 다른 것을 인식하여 제2신호를 생성하였으므로, 상기 제2기준기한에 수집된 단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영상DB(210)는 상기 제1분석부(214)에서 유지된 단기 영상 정보를 상기 장기영상저장부(211)로 전송하는 병합부(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기영상저장부(211)는 상기 병합부(216)에서 전송된 단기 영상 정보에 이어서 상기 제1영상 정보가 상기 제1기준기한에서 제2기준기한을 뺀 기간 동안 수집된 장기 영상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영상DB(210)는 상기 장기영상저장부(211)에서 상기 제2분석부(215)에 의해 유지된 장기 영상 정보에 대하여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좀 더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서브장기영상저장부(211`), 서브단기영상저장부(212`), 서브비교부(213`), 서브제1분석부(214`), 서브제2분석부(215`), 서브병합부(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장기영상저장부(211`)는 상기 장기영상저장부(211)에서 상기 제2분석부(215)에 의해 유지된 장기 영상 정보에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다시 상기 제2기준기한 동안 수집한 단기 영상 정보가 병합된 장기 영상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서브단기영상저장부(212`)는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또 다시 상기 제2기준기한 동안 수집한 단기 영상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서브비교부(213`)는 상기 서브장기영상저장부(211`)에 저장된 장기 영상 정보를 판독한 보행자의 보행 패턴과 상기 서브단기영상저장부(212`)에 저장된 단기 영상 정보를 판독한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서로 비교하여 서로 유사하면 제3신호를 생성하며 서로 다르면 제4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서브제1분석부(214`)는 상기 서브비교부(213`)에서 제3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브장기영상저장부(211`)에 저장된 장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여 백업DB로 백업하며 상기 서브단기영상저장부(212`)에 저장된 상기 단기 영상 정보를 유지한다.
상기 서브제2분석부(215`)는 상기 서브비교부(213`)에서 제4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브단기영상저장부(212`)에 저장된 단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며 상기 서브장기영상저장부(211`)에 저장된 장기 영상 정보를 유지한다.
상기 서브병합부(216`)는 상기 서브제1분석부(214`)에서 유지된 단기 영상 정보를 상기 서브장기영상저장부(211`)로 전송한다.
한편, 다른 서브장기영상저장부(211`)는 상기 서브장기영상저장부(211`)에서 상기 서브제2분석부(215`)에 의해 유지된 장기 영상 정보에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다시 상기 제2기준기한 동안 수집한 단기 영상 정보가 병합된 장기 영상 정보가 저장된다. 즉, 상기 서브장기영상저장부(211`) 내지 서브병합부(216`)의 기능 수행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
100 : 영상획득부
210 : 영상DB
211 : 장기영상저장부
211` : 서브장기영상저장부
212 : 단기영상저장부
212` : 서브단기영상저장부
213 : 비교부
213` : 서브비교부
214 : 제1분석부
214` : 서브제1분석부
215 : 제2분석부
215` : 서브제2분석부
216 : 병합부
216` : 서브병합부
220 : 보행자검출부
221 : 돌발검출부
222 : 아동검출부
230 : 검출DB
300 : 정보전송부

Claims (7)

  1. 특정지역에 설치되어 다수의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미리 정해진 기한 동안 제1영상 정보로 획득하며, 특정지역에서 보행하는 보행자를 실시간으로 제2영상 정보로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상기 영상획득부에서 전송된 제1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영상DB;
    상기 영상DB에 저장된 제1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다수의 보행자 중에서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를 검출하는 보행자검출부;
    상기 보행자검출부에서 검출된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를 검출 정보로 저장하는 검출DB; 및
    상기 영상획득부에서 전송된 제2영상 정보와 상기 검출DB에서 전송된 검출 정보를 판독하며, 특정 지역에 상기 검출 정보에 해당하는 보행자가 나타난 것을 인식하면 그 특정 지역으로 진입하는 무인자동차에게 주변에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가 있다는 경고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전송부;
    상기 영상DB는,
    상기 제1영상 정보가 제1기준기한 동안 수집된 장기 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장기영상저장부와,
    상기 제1영상 정보가 상기 제1기준기한 보다 짧은 제2기준기한 동안 수집된 단기 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단기영상저장부와,
    상기 보행자검출부를 이용하여 상기 장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장기 영상 정보를 판독한 보행자의 보행 패턴과 상기 단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단기 영상 정보를 판독한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서로 비교하여, 서로 동일하면 제1신호를 생성하며 서로 다르면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제1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장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장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여 백업DB로 백업하며 상기 단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단기 영상 정보를 유지하는 제1분석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제2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단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며 상기 장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장기 영상 정보를 유지하는 제2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검출부는
    상기 제1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차도 무단횡단, 횡단보도 신호 위반 보행, 보행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 보행 패턴을 가진 보행자를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로 검출하는 돌발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검출부는
    상기 제1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키가 기준키 이하인 보행자를 돌발 보행 패턴을 보이는 보행자로 검출하는 아동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DB는
    상기 제1분석부에서 유지된 단기 영상 정보를 상기 장기영상저장부로 전송하는 병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기영상저장부에서 상기 제2분석부에 의해 유지된 장기 영상 정보에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다시 상기 제2기준기한 동안 수집한 단기 영상 정보가 병합된 장기 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서브장기영상저장부와,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또 다시 상기 제2기준기한 동안 수집한 단기 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서브단기영상저장부와,
    상기 보행자검출부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장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장기 영상 정보를 판독한 보행자의 보행 패턴과 상기 서브단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단기 영상 정보를 판독한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서로 비교하여, 서로 동일하면 제3신호를 생성하며 서로 다르면 제4신호를 생성하는 서브비교부와,
    상기 서브비교부에서 제3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브장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장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여 백업DB로 백업하며 상기 서브단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단기 영상 정보를 유지하는 서브제1분석부와,
    상기 서브비교부에서 제4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브단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단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며 상기 서브장기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장기 영상 정보를 유지하는 서브제2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DB는
    상기 제1기준기한이 10개월 내지 14개월이며, 상기 제2기준기한이 2개월 내지 4개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
KR1020160089108A 2016-07-14 2016-07-14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 KR101861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108A KR101861525B1 (ko) 2016-07-14 2016-07-14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108A KR101861525B1 (ko) 2016-07-14 2016-07-14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785A KR20180007785A (ko) 2018-01-24
KR101861525B1 true KR101861525B1 (ko) 2018-05-28

Family

ID=6102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108A KR101861525B1 (ko) 2016-07-14 2016-07-14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5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3334A (zh) * 2020-01-19 2020-06-02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无人驾驶车辆的行人提醒方法及装置
CN111653125B (zh) * 2020-05-28 2021-09-28 长安大学 一种无人驾驶汽车斑马线礼让行人模式的确定方法
KR102310433B1 (ko) * 2021-03-29 2021-10-08 쿨사인 주식회사 보행자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310434B1 (ko) * 2021-03-29 2021-10-08 쿨사인 주식회사 보행자의 보행패턴을 저장하여 보행패턴에 따라 도로 횡단을 예측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599120B1 (ko) * 2022-06-03 2023-11-06 에이치엔아이엑스 주식회사 도로를 영역별로 구분하여 무단 횡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무단 횡단 방지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708B1 (ko) * 2013-12-23 2014-11-2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약자 사고다발지역 교통안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708B1 (ko) * 2013-12-23 2014-11-2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약자 사고다발지역 교통안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785A (ko) 201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7133B2 (en) Dynamic routing for autonomous vehicles
KR101861525B1 (ko) 무인자동차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
US10955846B1 (en) Stop sign detection and response
US9786166B2 (en) Method and control and detection unit for checking the plausibility of a wrong-way driving incident of a motor vehicle
US9594379B1 (en) Detecting sensor degradation by actively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US973439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lassifying a behavior of a pedestrian when crossing a roadway of a vehicle as well as passenger protection system of a vehicle
US9682707B1 (en) Detecting and responding to parking behaviors in autonomous vehicles
KR101040118B1 (ko) 교통사고 재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014416B2 (ja) 運転支援システムおよび車両の周辺物のモデル作成方法
US20130147955A1 (en) Warning system, vehicular apparatus, and server
CN109345829B (zh) 无人车的监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5210128A (zh) 地图构建活跃的和不活跃的施工地带以用于自主驾驶
JP6962604B2 (ja) 極限状況でフォールトトレランス及びフラクチュエーションロバスト性のある、自動車間通信基盤の協業的なブラインドスポット警報方法及び装置
CN106558247A (zh) 驾驶历史停车障碍警报
US9443426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nsing traffic flow and notifying motor vehicle drivers of the same
CN109478065A (zh) 用于车辆的自主驾驶方法
US20200019173A1 (en) Detecting activity near autonomous vehicles
CN111094097A (zh) 用于为车辆提供远程辅助的方法和系统
CN112249011A (zh) 车辆自动控制装置及方法
CN110648547A (zh) 运输基础设施通信和控制
US11866068B2 (en) Detecting and responding to malfunctioning traffic signals for autonomous vehicles
CN109559503B (zh) 信息提供系统、车载装置和信息提供方法
CN111886167A (zh) 通过碰撞风险图执行自动驾驶车辆控制
JP2020042353A (ja) 運転評価システム
JP2018169667A (ja) 運転情報記録システム、運転情報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