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501B1 - 3차원 형상 유지 구조를 갖는 흡수 용품 - Google Patents

3차원 형상 유지 구조를 갖는 흡수 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501B1
KR101861501B1 KR1020177028249A KR20177028249A KR101861501B1 KR 101861501 B1 KR101861501 B1 KR 101861501B1 KR 1020177028249 A KR1020177028249 A KR 1020177028249A KR 20177028249 A KR20177028249 A KR 20177028249A KR 101861501 B1 KR101861501 B1 KR 101861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body facing
layer
acquisition layer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8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8957A (ko
Inventor
로저 퀸시
앤드류 티. 해몬드
프라사드 에스. 포트니스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118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n inhibiting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 A61F13/5374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the layer is facing the top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 A61F2013/5378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61F2013/539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with adhes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 용품(10)은 신체 대향 라이너(28), 배면시트(26), 및 신체 대향 라이너(28)와 배면시트(26)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34)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64)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은 또한 신체 대향면(70a) 및 의복 대향면(70b)을 포함하는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을 포함할 수 있다.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90)는 안착된(nested) 구성으로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64)을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엠보싱(64)은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형상 유지 구조를 갖는 흡수 용품
본 발명은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개인 위생 흡수 용품의 주요 기능들 중 하나는 소변, 대변, 혈액 및 생리혈 같은 신체 삼출물을 보유하고 흡수하는 것이다. 이러한 라인을 따라, 개인 위생 흡수 용품의 바람직한 특성은 흡수 용품으로부터의 이러한 삼출물의 누출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개인 위생 흡수 용품이 이러한 방식으로 신체 삼출물을 보유 및 흡수하여 착용자에게 건조한 느낌을 제공하고, 삼출물의 초기 배설 시점에 피부로부터의 삼출물을 제거하고 이러한 배설 후에 피부로부터 멀리 보유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흡수 용품은 전통적으로 원하는 특성의 조합을 소유하는 데에 실패했다. 흡수 용품의 총 흡수 용량이 이용되기 전에 흡수 용품은 일반적으로 실패한다. 통상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문제는 반대 방향으로의 유체의 복귀를 방지하면서 흡수체를 향한 한 방향으로의 빠른 흡입을 허용할 수 있는 신체 대향 라이너의 능력과 관련될 수 있다. 또한, 흡입이 발생하는 비율은 때때로 누출이 감소되는지 또는 체액이 적절하게 함유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어린 아이들에게 있어서 흔할 수 있는 저 점도 배설물 및 월경액 등의 반고체 배설물이 특히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신체 삼출물은 소변 등의 저 점도 삼출물만큼 쉽게 흡수 용품의 신체 대향 물질을 통과하기 어렵고, 신체 대향 물질의 표면을 가로질러 확산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삼출물들은, 흡수 용품의 착용자에 의한 중력, 운동, 압력으로 인해, 흡수 용품의 신체 대향 물질 주위로 이동할 수 있다. 삼출물은, 흔히 흡수 용품의 둘레를 향하여 이동하게 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얼룩과 누출 가능성을 증가시켜, 피부 청결을 어렵게 할 수 있다.
흡수 용품으로부터의 신체 삼출물의 누출 발생을 적절히 감소시킬 수 있는 흡수 용품이 필요하다. 신체 삼출물 관리를 개선할 수 있는 흡수 용품이 필요하다.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신체 삼출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흡수 용품이 필요하다. 흡수 용품의 착용자에게 신체적 및 감정적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흡수 용품이 필요하다.
일 실시예에서는, 흡수 용품은 길이방향 축과 측방향 축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 용품은 전방 허리 영역, 후방 허리 영역, 및 가랑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랑이 영역은 상기 전방 허리 영역과 상기 후방 허리 영역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흡수 용품은 전방 허리 영역 내의 전방 허리 에지, 후방 허리 영역 내의 후방 허리 에지, 및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와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와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의 각각은 전방 허리 에지로부터 후방 허리 에지로 연장될 수 있다. 흡수 용품은 또한 신체 대향면 및 의복 대향면을 포함하는 신체 대향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 대향 라이너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embossment)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 용품은 추가적으로 배면시트, 및 신체 대향 라이너와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수 용품은 신체 대향면 및 의복 대향면을 포함하는 취득층을 포함할 수 있다. 취득층의 신체 대향면은 평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취득층은, 취득층의 신체 대향면으로부터 취득층의 의복 대향면으로 연장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는 안착된(nested) 구성으로 신체 대향 라이너의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을 수용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흡수 용품은 길이방향 축과 측방향 축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 용품은 전방 허리 영역, 후방 허리 영역, 및 가랑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랑이 영역은 상기 전방 허리 영역과 상기 후방 허리 영역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흡수 용품은 전방 허리 영역 내의 전방 허리 에지, 후방 허리 영역 내의 후방 허리 에지, 및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와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와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의 각각은 전방 허리 에지로부터 후방 허리 에지로 연장될 수 있다. 흡수 용품은 또한 신체 대향면 및 의복 대향면을 포함하는 신체 대향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 대향 라이너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엠보싱은 교차하는 슬릿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 용품은 추가적으로 배면시트, 및 신체 대향 라이너와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수 용품은 신체 대향면 및 의복 대향면을 포함하는 취득층을 포함할 수 있다. 취득층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는 안착된 구성으로 신체 대향 라이너의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을 수용할 수 있다.
당업자를 위해 충분히 실시가능한 개시 내용을, 첨부 도면이 참조되는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기재한다.
도 1은 체결된 상태에 있는, 기저귀와 같은 흡수 용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미체결되고, 신장되고, 평평하게 펼친 상태에 있는, 도 1의 흡수 용품의 상부 평면도로, 착용자와 접촉하는 상기 흡수 용품의 신체 대향면이 보는 사람을 대면하고 있고, 명확한 예시를 위해 흡수 용품의 부분들을 잘라낸다.
도 3은 도 2의 3-3 선을 따라 취한 흡수 용품의 단면, 분해도이다.
도 4a는 도 2의 3-3 선을 따라 취한 도 2의 신체 대향 라이너 및 취득층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와 유사하지만 배설 직후 도시된 도 2의 신체 대향 라이너 및 취득층의 단면도로, 교차 슬릿 형성부는 신체 대향 라이너의 평면으로부터 옮겨져 있다.
도 5는 도 4a와 유사하지만, 취득층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흡수 용품용 신체 대향 라이너의 예시적 실시예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7-7 선을 따라 취한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1의 흡수 용품으로부터 취득층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9는 취득층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10a는 10-10 선을 따라 취한 도 8의 취득층의 단면도이다.
도 10b는 채널의 길이를 따라 다양한 깊이를 갖는 채널을 갖는 취득층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a는 2개의 층을 포함하는 취득층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b는 2개의 층을 포함하는 취득층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c는 2개의 층을 포함하는 취득층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여성 위생 제품과 같은 흡수 용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부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참조 문자의 반복적인 사용은 본 발명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 또는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의도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엠보싱을 구비한 신체 대향 라이너 및 오목부를 구비한 취득층을 가질 수 있는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취득층의 오목부는 엠보싱과 따라서 흡수 흡입 구조의 3차원 성질을 보호하는 것을 조력할 수 있다. 각 예는,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 또는 도면의 일부로서 예시되거나 기술된 특징들은 여전히 추가적인 실시예를 만들기 위해 또 다른 실시예 또는 도면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수정과 변경을 포함하려는 것이다.
정의:
"흡수 용품(absorbent article)"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착용자 신체에 맞대거나 또는 근접하게(즉, 신체에 인접하게) 놓여서 신체로부터 배출되는 다양한 액체, 고체, 반고체 삼출물들을 흡수하여 함유할 수 있는 물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흡수 용품은, 본원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재사용을 위해 세탁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복원되는 것이 아니라 제한된 사용 기간 후 폐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기저귀 팬티, 훈련용 팬티, 아동 팬티, 수영 팬티를 포함하지만 이제 한정되지 않는 기저귀류, 월경 패드, 실금 제품, 의료용 의류, 수술용 패드 및 붕대를 포함하지만 이제 한정되지 않는 여성 위생 제품, 및 기타 개인 위생 또는 건강 의류, 기타 등등을 포함하는 각종 일회용 흡수 용품들에 적용할 수 있다고 이해해야 한다.
"취득층(acquisition layer)"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신체의 액체 삼출물의 배설을 감속 및 확산시키고 후속하여 신체의 액체 삼출물을 흡수 용품의 다른 층이나 층들 내로 방출하도록 신체의 액체 삼출물을 수용하고, 분배하고 일시적으로 보유할 수 있는 층을 가리킨다.
"접합된"(bonded)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두 요소의 결합, 접착, 연결, 부착 등을 의미한다. 두 요소는, 그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또는 각각이 중간 요소들에 직접적으로 접합될 때처럼 서로 간접적으로 결합, 접착, 연결, 부착 등이 될 때에 함께 접합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한가지 요소의 다른 것에 대한 접합은 연속적이거나 단속적 접합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
"카디드 웹"(carded web)은, 본원에서, 통상적으로 섬유 길이가 약 100mm 미만인 천연 또는 합성 주요 길이 섬유를 포함하는 웹을 가리킨다. 단섬유들의 더미는, 섬유들을 분리하도록 개방 공정을 거칠 수 있고, 이어서 이러한 섬유들은, 분리 및 코빙(comb)하여 기계 방향으로 정렬한 후 섬유들을 추가 처리를 위해 이동 와이어 상에 적층되는 카딩(carding)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웹은, 일반적으로, 열 및/또는 압력을 이용하는 열적 접합 등의 일부 유형의 접합 공정을 거친다. 또한 또는 대신, 섬유는, 분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섬유들을 함께 접합하는 접착 공정을 거칠 수도 있다. 카디드 웹은, 섬유들을 더욱 뒤엉키게 하여 카디드 웹의 무결성을 개선하도록 수력엉킴(hydroentangling) 등의 유체 엉킴을 거칠 수도 있다. 카디드 웹은, 기계 방향으로의 섬유 정렬 때문에, 일단 접합되면, 통상적으로 교차 기계 방향 세기보다 큰 기계 방향 세기를 갖는다.
"필름"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주조 필름 또는 블로운 필름 압출 공정 등의 압출 및/또는 형성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 열가소성 필름을 가리킨다. 이 용어는, 배리어 필름, 충전된 필름, 통기성 필름, 배향 필름을 포함한 유체를 전달하지 않는 필름뿐만 아니라, 액체 전달 필름을 구성하는, 개구화된 필름, 슬릿 필름, 및 기타 다공성 필름을 포함하지만, 이러한 예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gsm"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제곱 미터당 그램을 가리킨다.
"친수성"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섬유와 접촉하고 있는 수성 액체에 의해 습윤되는 섬유 또는 섬유의 표면을 칭한다. 이에 따라, 물질의 습윤 정도는 연관된 액체 및 물질의 접촉각 및 표면 장력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 특정한 섬유 물질들 또는 섬유 물질들의 혼합물의 습윤성을 측정하기 위한 적합한 장비 및 기술은, Cahn SFA-222 표면력 분석기 시스템(Surface Force Analyzer System) 또는 실질적으로 등가의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 시스템으로 측정될 때, 90 미만의 접촉각을 갖는 섬유는 "습윤성" 또는 친수성인 것으로 지정되고, 90 초과의 접촉각을 갖는 섬유는 "비습윤성" 또는 소수성인 것으로 지정된다.
"액체 불투과성"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소변 등의 신체의 액체 삼출물이 정상 사용 조건 하에서, 액체 접촉점에서 층 또는 적층체의 평면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그 층 또는 적층체를 통과하지 않는 층 또는 다중층 적층체를 칭한다.
"액체 투과성"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액체 불투과성이 아닌 임의의 물질을 칭한다.
"멜트블로운"(meltblown)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용융된 실(thread) 또는 필라멘트로서 복수의 미세한 일반적으로 원형인 다이 모세관을 통해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마이크로섬유 직경일 수 있는 그 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해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의 필라멘트를 가늘게 하는 수렴 고속 가열 가스(예를 들어, 공기) 스트림으로 압출함으로써 형성된 섬유를 칭한다. 그런 다음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 가스 스트림에 의해 운반되고 수집 표면 위에 쌓여서 무작위 분산된 멜트블로운 섬유 웹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정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참조로 원용되는 Butin 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3,849,241호에 개시되어 있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는 마이크로섬유이고, 일반적으로 약 0.6 데니어(denier) 미만이고, 수집면 상에 적층될 때 끈적이면서 자체 접합형일 수 있다.
"부직포"(nonwoven)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직물 직조(weaving) 또는 편직(knitting) 공정의 도움 없이 형성된 물질 및 물질들의 웹을 칭한다. 상기 물질 및 물질들의 웹은, 편직물에서와 같이 식별 가능한 방식은 아니지만 짜일(interlay) 수 있는 개별적인 섬유, 필라멘트, 또는 실(총칭하여 "섬유"라 칭함)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부직포 물질 또는 웹은, 멜트블로운 공정, 스펀본딩 공정, 카디드 웹 공정 등의 많은 공정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지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유연한"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순응적이며 착용자의 신체의 대략적인 형상과 윤곽을 쉽게 따르는 물질을 칭한다.
용어 "스펀본드"(spunbond)는 본원에서, 원형 또는 기타 구성을 갖는 스피너레트(spinnerette)의 복수의 미세 모세관으로부터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필라멘트로서 압출함으로써 형성되는 소 직경의 섬유들을 가리키며, 이어서, 압출된 필라멘트들의 직경은 이덕티브 드로잉(eductive drawing)과 같은 종래의 공정에 의해 급속하게 감소되며, 그 예는, Appel 등의 미국특허 제4,340,563호, Dorschner 등의 미국특허 제3,692,618호, Matsuki 등의 미국특허 제3,802,817호, Kinney의 미국특허 제3,338,992호와 제3,341,394호, Hartman의 미국특허 제3,502,763호, Peterson의 미국특허 제3,502,538호, Dobo 등의 미국특허 제3,542,615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원용된다. 스펀본드 섬유는, 일반적으로 연속적이며, 약 0.3보다 큰 평균 데니어를 종종 가지고, 일 실시예에서는, 약 0.6, 5, 10 내지 약 15, 20, 40의 데니어를 갖는다. 스펀본드 섬유는, 수집면 상에 피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끈적거리지 않는다.
"초흡수성"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0.9 중량 퍼센트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 내에서, 가장 적당한 조건 하에서, 그 중량의 적어도 약 15배를, 일 실시예에서는 그 중량의 적어도 약 30배를 흡수할 수 있는 수팽창성(water-swellable) 수불용성(water-insoluble) 유기 또는 무기 물질을 지칭한다. 초흡수성 물질은, 천연, 합성, 및 개질된 천연 고분자 및 물질일 수 있다. 게다가, 초흡수성 물질은, 실리카 겔 등의 무기 물질 또는 가교 결합된 고분자 등의 유기 화합물일 수 있다.
"열가소성"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열에 노출시 성형될 수 있으며 냉각시 비연성화 상태로 실질적으로 복귀하는 연성화되는 물질을 가리킨다.
용어 "사용자"는 본원에서, 흡수 용품, 예컨대 기저귀, 훈련용 팬티, 아동 팬티, 실금 제품, 또는 이들 흡수 용품 중 하나의 착용자 주변의 기타 흡수 용품이지만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는 것을 착용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사용자 및 착용자는 한 명이고 동일한 사람일 수 있다.
흡수 용품: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흡수 용품(10), 예를 들어 기저귀의 비-제한적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원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과 예시는 일반적으로 이하에서 제품의 기계 방향 제조라 칭하는 제품 길이방향(longitudinal direction)으로 제조되는 흡수 용품들에 적용될 수 있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그 정보를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이하에서 제품의 교차 방향 제조라 칭하는 제품의 위도 방향으로 제조되는 흡수 용품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기 바란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흡수 용품(10)은, 전방 허리 영역(12), 후방 허리 영역(14), 및 전방 허리 영역(12)과 후방 허리 영역(14) 사이에 배치되며 전방 및 후방 허리 영역들(12, 14)을 상호 연결하는 가랑이 영역(16)을 각각 포함한다. 전방 허리 영역(12)을 전방 말단 영역이라고 칭할 수 있으며, 후방 허리 영역(14)을 후방 말단 영역이라고 칭할 수 있으며, 가랑이 영역(16)을 중간 영역이라 칭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은, 한 쌍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18, 20), 및 전방 허리 에지(22)와 후방 허리 에지(24)로 각각 지정된 한 쌍의 대향하는 허리 에지들을 갖는다. 전방 허리 영역(12)은 전방 허리 에지(22)와 인접할 수 있고, 후방 허리 영역(14)은 후방 허리 에지(24)와 인접할 수 있다.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18, 20)은 전방 허리 에지(22)로부터 후방 허리 에지(24)로 연장될 수 있다.
전방 허리 영역(12)은, 착용시 착용자의 전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흡수 용품(10)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는 한편, 후방 허리 영역(14)은, 착용시 착용자의 후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흡수 용품(10)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의 가랑이 영역(16)은, 착용시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 용품(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하반신을 부분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의 허리 에지들(22 및 24)은 착용자의 허리를 에워싸고 함께 중앙 허리 개구부(23)를 규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랑이 영역(16) 내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18, 20)의 부분들은 일반적으로 흡수 용품(10)이 착용될 때에 다리 개구들을 정의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은 배면시트(26) 및 신체 대향 라이너(2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접착제, 초음파 접합, 열 접합, 압력 접합, 또는 기타 통상적인 기술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중첩된 관계로 배면시트(26)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64) 및 적어도 하나의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포함할 수 있다. 배면시트(26)는 길이방향(30)으로의 길이 및 측방향(32)으로의 폭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예시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의 길이 및 폭과 일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 용품(10)은 길이방향(30)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29) 및 측방향(32)으로 연장되는 측방향 축(31)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흡수 용품(10)의 추가 측면들을 설명하기 위해 소정의 부분이 절개된 흡수 용품(10)을 도시한다. 흡수체(34)는 배면시트(26)와 신체 대향 라이너(2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흡수체(34)는, 일 실시예에서는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18, 20)의 부분들을 각각 형성할 수 있는 길이방향 에지들(36, 38)을 가질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는 흡수 용품(10)의 허리 에지들(22, 24)의 부분들을 각각 형성할 수 있는 대향하는 말단 에지들(40, 42)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체(34)는 흡수 용품(10)의 길이 및 폭과 동일하거나 작은 길이 및 폭을 가질 수 있다. 흡수 용품(10)은, 또한, 취득층(70)과 유체 전달층(72)을 포함할 수 있다. 취득층(70)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은, 착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액체, 고체, 및 반고체 신체 삼출물을 함유 및/또는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샘방지 플랩들(44, 46)은 신체 삼출물의 측방 흐름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샘방지 플랩(44, 46)은 탄성 부재(48, 5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48, 50)는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 축(29)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 가닥(2개가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샘방지 플랩(44, 46)은 서로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어서, 샘방지 플랩(44)은 길이방향 축(29)의 한 측면 상에 있고 샘방지 플랩(46)은 길이방향 축(29)의 대향 측면 상에 있도록 된다. 샘방지 플랩(44, 46)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에 접합됨으로써 흡수 용품에 부착될 수 있다. 샘방지 플랩(44, 46)은,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18, 20)로부터 측방향으로 내측으로 위치할 수 있고, 흡수 용품(10)의 전체 길이를 따른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또는 흡수 용품(10)의 길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신체 삼출물의 샘방지 및/또는 흡수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흡수 용품(10)은 당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후방 허리 탄성 부재(52), 전방 허리 탄성 부재(54), 및 다리 탄성 부재들(56, 58)을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다. 허리 탄성 부재들(52, 54)은 대향 허리 에지들(24, 22)을 따라 또는 그 가까이에 배면시트(26) 및/또는 신체 대향 라이너(28)에 부착될 수 있고, 허리 에지들(24, 22)의 부분 또는 전부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후방 허리 탄성 부재(52)는 신체 대향 라이너(28) 및 샘방지 플랩(44, 46)에 부착되고, 전방 허리 탄성 부재(54)는 배면시트(26)에 부착된다. 다리 탄성 부재들(56, 58)은, 대향하는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18, 20)을 따라 배면시트(26) 및/또는 신체 대향 라이너(28)에 부착될 수 있고, 흡수 용품(10)의 가랑이 영역(16)에 위치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하는 흡수 용품(10)의 이러한 요소들의 각각에 대한 추가 세부사항을 하기에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찾을 수 있다.
배면시트:
배면시트(26) 및 그 부분들은 통기성 및/또는 액체 불투과성일 수 있다. 배면시트(26) 및 그 부분들은 탄성,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일 수 있다. 배면시트(26)는 단일 층, 다중 층, 적층체, 스펀본드 직물, 필름, 멜트블로운 직물, 탄성 그물, 미소공성(microporous) 웹, 본디드 카디드 웹 또는 탄성중합체 또는 고분자 물질들에 의해 제공된 발포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배면시트(26)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미소공성 고분자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면시트(26)는 액체 불투과성 물질의 단일 층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면시트(26)는 적절하게는 흡수 용품(10)의 적어도 측면 또는 원주 방향(32)으로 신축성일 수 있고, 보다 적절하게는 탄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면시트(26)는 측방향(32) 및 길이방향(30) 양쪽으로 신축성일 수 있고, 보다 적절하게는 탄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면시트(26)는 적어도 하나의 층이 액체 불투과성인 다층 적층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면시트(26)는 예를 들면 적층체 접착제에 의해 함께 접합될 수 있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부층(60) 물질 및 내부층(62) 물질을 포함하는 2층 구조일 수 있다. 적절한 적층 접착제들은 비드, 스프레이, 병렬 스월(parallel swirl) 등으로서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적절한 접착제는, 미국 위스콘신주 Wauwatosa에 소재하는 Bostik Findlay Adhesives, Inc.에서 얻을 수 있다. 초음파 접합, 열 접합, 압력 접합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른 접합 방법에 의해 내부층(62)을 외부층(60)에 접합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배면시트(26)의 외부층(60)은 임의의 적합한 물질일 수 있고 착용자에게 일반적으로 천과 같은 질감 또는 외관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일례는, 30gsm Sawabond 4185® 또는 균등물 등의 독일 Sandler A.G.에서 시판되고 있는 다이아몬드 접합 패턴을 갖는 100% 폴리프로필렌 접합-카디드 웹일 수 있다. 배면시트(26)의 외부층(60)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질의 다른 예는 20gsm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웹일 수 있다. 외부층(60)은 또한 신체 대향 라이너(28)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다.
배면시트(26)의 액체 불투과성 내부층(62)(또는 배면시트(26)가 단일층 구조의 것인 경우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26))은 증기 투과성(즉, “통기성”) 또는 증기 불투과성일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내부층(62)(또는 배면시트(26)가 단일층 구조의 것인 경우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26))은 얇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다른 액체 불투과성 물질들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액체 불투과성 내부층(62)(또는 배면시트(26)가 단일층 구조의 것인 경우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26))은 흡수 용품(10) 및 침대 시트 및 침구와 같은 습식 용품들 뿐만 아니라, 착용자 및 간병인 밖으로 액체 신체 삼출물이 누출되는 것을 금지시킬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내부층(62) (또는 배면시트(26)가 단일층 구조의 것인 경우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26))용 물질의 예는 미국 인디애나주 에번즈빌의 Berry Plastics Corporation으로부터 상용적으로 입수 가능한 인쇄된 19gsm Berry Plastics XP-8695H 필름 또는 등가물일 수 있다.
배면시트(26)가 단일 층 구조의 것인 경우에는, 더욱 천과 같은 질감 또는 외관을 제공하도록 양각 및/또는 무광택 마감(matte finish)될 수 있다. 배면시트(26)는 증기가 흡수 용품(10)으로부터 빠져나가게 할 수 있는 반면에, 액체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적절한 액체 불투과성 증기 투과성 재료는 코팅되거나 달리 처리되는 미소공성 중합체 필름 또는 부직포 재료로 구성됨으로써 원하는 수준의 액체 불투과성을 부여하게 될 수 있다.
흡수체:
흡수체(34)는, 일반적으로 압축성, 순응성, 유연성을 갖고 착용자의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신체의 액체 분비물을 흡수 및 보유할 수 있도록 적절히 구성될 수 있다. 흡수체(34)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예컨대, 직사각형, 사다리꼴, T자 형상, I자 형상, 모래 시계 형상, 등)으로와 다양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흡수체(34)의 크기와 흡수 용량은 흡수 용품(10)의 용도에 의해 부여되는 액체 로딩과 의도한 착용자의 크기와 호환되어야 한다. 또한, 흡수체(34)의 크기와 흡수 용량은 유아에서 성인에 이르는 착용자들을 수용하도록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흡수체 (34)는 약 150mm 내지 약 520mm 범위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흡수체(34)는 약 30mm 내지 약 180mm 범위의 가랑이 영역(16) 폭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흡수 용품(10)의 전방 허리 영역(12) 및/또는 후방 허리 영역(14) 내에 위치하는 흡수체(34)의 폭 범위는 약 50mm 내지 약 130mm일 수 있다. 본원에서 언급하는 바와 같이, 흡수체(34)는, 흡수 용품(10)의 길이와 폭 이하일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다음 범위의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흡수체(34)의 길이와 폭을 갖는 성인용 실금 의복일 수 있고: 흡수체(34)의 길이 범위는 약 400, 410 또는 415 내지 약 425 또는 450mm일 수 있고; 가랑이 영역(16)의 흡수체(34)의 폭 범위는 약 90, 또는 95mm 내지 약 100, 105, 또는 110mm일 수 있다. 성인 실금 의복의 흡수체(34)가 흡수 용품(10)의 전방 허리 영역(12) 또는 후방 허리 영역(14) 내로 연장될 수도 있고 연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흡수체(34)는 신체 대향면(34a) 및 의복 대향면(34b) 등의 두 개의 표면을 가질 수 있다.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36, 38)과 전방 및 후방 말단 에지들(40, 42) 등의 에지들은 두 개의 면(34a, 34b)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체(34)는, 친수성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예를 들면, 목재 펄프 섬유), 천연 섬유, 합성 섬유, 직물 또는 부직포 시트, 스크림 편직 또는 다른 안정화 구조, 초흡수성 물질, 바인더 물질, 계면활성제, 선택된 소수성 및 친수성 물질, 안료, 로션, 냄새 조절제 등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의 웹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체(34)는 셀룰로오스 플러프와 초흡수성 물질의 매트릭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흡수체(34)의 평량은 약 200gsm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흡수체(34)의 평량은 약 300gsm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체(34)는, 물질들의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대안적인 예에서는 물질들의 두 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흡수체(34)가 두 개의 층을 갖는 실시예에서, 흡수체(34)는, 친수성 섬유들로 적절히 구성된 착용자 대향 층, 및 초흡수성 물질로 흔히 알려져 있는 고 흡수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로 적절히 구성된 의복 대향 층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흡수체(34)의 착용자 대향 층은, 목재 펄프 플러프 등의 셀룰로오스 플러프로 적절히 구성될 수 있고, 흡수체(34)의 의복 대향 층은, 초흡수성 물질로 또는 셀룰로오스 플러프와 초흡수성 물질의 혼합물로 적절히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착용자 대향 층은, 의복 대향 층보다 단위 중량당 낮은 흡수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 착용자 대향 층은, 착용자 대향 층이 의복 대향 층보다 단위 중량당 낮은 흡수 용량을 가질 수 있도록 착용자 대향 층에 존재하는 초흡수성 물질의 농도가 의복를 향하는 층에 존재하는 초흡수성 물질의 농도보다 낮은 한, 친수성 섬유와 초흡수성 물질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의복 대향 층은 본 발명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서 초흡수성 물질 단독으로 구성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두 개의 초흡수성 물질의 흡수 용량이 서로 다를 수 있고 의복 대향 층에서보다 착용자 대향 층에서 낮은 흡수 용량을 흡수체(34)에 제공할 수 있도록 착용자 대향 층과 의복 대향 층의 각각이 초흡수성 물질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수 있다.
흡수체(34)에 습윤성 친수성 섬유들의 다양한 유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적절한 섬유의 예로는 천연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로 구성된 합성 섬유, 예를 들면 레이온 섬유; 본질적으로 습윤성 재료로 구성된 무기 섬유, 예를 들면 유리 섬유; 본질적으로 습윤성 열가소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합성 섬유, 예를 들면 특정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 또는 비습윤성 열가소성 중합체로 구성된 합성 섬유, 예를 들면 적절한 수단에 의해 친수화되는 폴리올레핀 섬유를 포함한다. 섬유들은,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에 의한 처리, 실리카에 의한 처리, 적절한 친수성 부분을 가지면서 섬유로부터 쉽게 제거되지 않는 재료에 의한 처리에 의해, 또는 섬유의 형성 동안 또는 그 후에 비습윤성의 소수성 섬유를 친수성 중합체로 감싸는 것에 의해 친수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적절한 타입의 섬유는 주로 침엽수재 섬유들을 포함하는 표백된 고 흡수성 황산염 목재 펄프인 목재 펄프이다. 그러나, 목재 펄프는 다른 섬유 재료, 예를 들면 합성, 중합, 또는 멜트블로운 섬유로, 또는 멜트블로운 및 천연 섬유들의 조합으로 교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셀룰로오스 플러프는 목재 펄프 플러프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목재 펄프 플러프의 일례는, 주로 남부 침엽수 섬유를 함유하는 표백된 고 흡수성 황산염 목재 펄프인,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그린빌의 Abitibi Bowater에서 입수 가능한 "CoosAbsorbTM S Fluff Pulp" 또는 균등물일 수 있다.
흡수체(34)는, 건식 형성 기술, 공기 형성 기술, 습식 형성 기술, 발포체 형성 기술 등 및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폼 부직포 재료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적절한 초흡수성 물질은 천연, 합성 및 개질된 천연 중합체 및 재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초흡수성 물질은 무기 재료, 예를 들면 실리카 겔, 또는 유기 화합물, 예를 들면 가교결합된 중합체일 수 있다. 가교결합은 공유, 이온, 반 데르 바알스(Van der Waals), 또는 수소 결합일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초흡수성 재료는 그 중량의 적어도 약 10배의 액체를 흡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초흡수성 재료는 그 중량의 24배보다 많은 액체를 흡수할 수 있다. 초흡수성 물질의 예로는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알코올, 에틸렌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폴리비닐 에테르,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말 메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모폴리논, 비닐 설폰산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을 포함한다. 초흡수성 물질에 적절한 추가 중합체들은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 그래프트 전분, 아크릴산 그래프트 전분, 폴리아크릴레이트들 및 이소부틸렌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초흡수성 물질은 개별 입자 형태일 수도 있다. 개별 입자들은 임의의 원하는 형상, 예를 들면 나선형 또는 반나선형, 큐빅, 로드형, 다면체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사용을 위해, 바늘, 플레이크, 섬유 등의 최대 치수/최소 치수 비율을 갖는 형상도 고려할 수 있다. 흡수체(34)에 초흡수성 물질의 입자들의 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체(34)에는 초흡수성 물질이 없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체(34)는 초흡수성 물질의 적어도 약 15%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체(34)는 초흡수성 물질의 약 15 내지 100 중량%를 가질 수 있다. 초흡수성 물질의 예로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그린보로의 Evonik Industries로부터 입수 가능한 FAVOR SXM-9300 또는 균등물, 및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롯의 BASF Corporation로부터 입수 가능한 HYSORB 8760 또는 균등물이 있지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흡수체(34)는 다리 탄성 부재들(56, 58)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배면시트(26)의 내부층(62) 위에 중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접착제로 접합됨으로써, 배면시트(26)의 내부층(62)에 접합될 수 있다. 그러나, 흡수체(34)는 배면시트(26)와 접촉할 수 있고, 그와 접합되지 않을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배면시트(26)는 단일 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흡수체(34)는 배면시트(26)의 단일 층과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 등의 층은, 흡수체(40)와 배면시트(26) 사이에 위치할 수 있지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유체 전달층: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유체 전달층(72)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유체 전달층(72)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흡수체(34)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흡수체(34)에 접합될 수 있다. 유체 전달층(72)을 흡수체(34)에 접합하는 것은, 접착제 등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임의의 수단을 통해 발생할 수 있지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와 흡수체(3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흡수체(34)를 완전하게 둘러쌀 수 있고, 자체적으로 밀봉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열 및/또는 압력을 이용하여 유체 전달층(72) 자체를 접은 후 밀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흡수체(34)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둘러싸는데 이용될 수 있고 초음파 접합기 등의 밀봉 수단 또는 기타 열화학적 접합 수단에 의해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함께 밀봉될 수 있는 물질의 별도의 시트들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흡수체(34)의 착용자 대향면(64)과 접촉 및/또는 접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흡수체(34)의 착용자 대향면과 접촉 및/또는 접합할 수 있고, 에지들(36, 38, 40, 및/또는 42)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 및/또는 접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신체 대향면(34a), 에지들(36, 38, 40, 및/또는 42) 중 적어도 하나, 및 흡수체(34)의 의복 대향면(34b)과 접촉 및/또는 접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체(34)는 유체 전달층(72)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둘러싸일 수 있다.
유체 전달층(72)은, 유연할 수 있고, 흡수체(34) 보다 덜 친수성일 수 있고, 충분한 다공성을 가져 신체의 액체 분비물이 유체 전달층(72)을 관통하여 흡수체(34)에 도달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흡수체(34)와 유체 전달층의 습윤성에 견디는 충분한 구조적 무결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물질의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물질의 두 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적층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아세테이트, 나일론, 고분자 물질, 목재 펄프, 코튼, 레이온, 비스코스, 셀룰로오스 물질, 오스트리아 Lenzing Company의 LYOCELL® 등의 천연 및 합성 섬유, 또는, 이러한 섬유와 기타 셀룰로오스 섬유의 혼합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천연 섬유는, 양모, 코튼, 아마, 대마, 및 목재 펄프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목재 펄프는, 주로 남부 침엽수 섬유를 함유하는 표백된 고 흡수성 황산염 목재 펄프인,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그린빌의 Abitibi Bowater로부터 입수 가능한 "CoosAbsorbTM S Fluff Pulp”와 같은 표준 침엽수 플러핑 등급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유체 전달층(72)은 셀룰로오스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유체 전달층(72)은 크레이핑 뭉치(creped wadding) 또는 고 강도 조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유체 전달층(72)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스펀본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멜트블로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거친 섬유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펀본드 부직포 물질층에 적층체된 미세 섬유들을 갖는 멜트블로운 부직포 물질의 적층체일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스펀본드-멜트블로운("SM") 물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SMS") 물질일 수 있다. 이러한 유체 전달층(72)의 비한정적인 일례는 10gsm SMS 물질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유체 전달층(72)은, 부직포 기재 내에 수력으로 엉킴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유체 전달층(72)은 부직포 기재 내에 수력으로 엉킴된 적어도 두 개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유체 전달층(72)은 부직포 기재 내에 수력으로 엉킴된 적어도 세 개의 물질을 가질 수 있다. 유체 전달층(72)의 비한정적인 일례는 수력으로 엉킴된 33gsm 기재일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12gsm 스펀본드 물질, 약 0.6cm 내지 약 5.5cm 길이의 10gsm 목재 펄프 물질, 및 11gsm의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물질로 구성된, 수력으로 엉킴된 33gsm의 기재일 수 있다. 전술한 유체 전달층(72)을 제조하도록, 12gsm 스펀본드 물질은 기저층을 제공할 수 있는 한편 10gsm 목재 펄프와 11gsm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물질을 균질하게 혼합하여 스펀본드 물질 상에 적층한 후 스펀본드 물질과 수력으로 얽히게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습윤 강도제가 유체 전달층(72)에 포함될 수 있다. 습윤 강도제의 비한정적 예는, 미국 캔터키주 애슐랜드의 Ashland Inc에서 입수 가능한 Kymene 6500 (557LK) 또는 균등물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계면활성제가 유체 전달층(72)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유체 전달층(72)은 친수성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유체 전달층(72)은 소수성을 가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방식에 의해 소수성으로 되도록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초흡수성 물질 등의 미립자 물질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된 흡수체(34)와 접촉 및/또는 접합할 수 있다. 유체 전달층(72)이 흡수체(3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둘러싸는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미립자 물질이 흡수체(34)로부터 빠져나갈 수도 있으므로 과도하게 팽창 또는 연신되어서는 안 된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건조 상태로 있는 동안, 각각 30% 이하 및 40% 이하의 기계 방향과 교차 방향으로 피크 부하에서 각각의 연장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흡수체(34)의 길이방향 길이와 동일한, 큰, 또는 작은 길이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체 전달층(72)은 약 150 내지 약 520mm 범위의 길이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신체 대향 라이너: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신체 대향면(74)과 의복 대향면(76)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의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흡수체(34) 및 배면시트(26)를 덮어씌울 수 있고 흡수체(34)에 의해 보유된 액체 오물로부터 착용자의 피부를 격리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72)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와 흡수체(3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취득층(70)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와 흡수체(34) 또는 존재하는 경우 유체 전달층(7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접착제를 통해 그리고/또는 포인트 융합 접합에 의해, 취득층(70)에, 또는 유체 전달층(72)에 접합될 수 있다. 포인트 융합 접합은 초음파, 열, 압력 접합, 및 그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흡수체(34) 및/또는 유체 전달층(72), 및/또는 취득층(70)을 넘어서 연장될 수 있어 배면시트(26)의 일부분을 덮어씌우고,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것과 같은, 적합하게 여겨지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배면시트에 접합되어, 배면시트(26)와 신체 대향 라이너(28) 사이에 흡수체(34)를 실질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배면시트(26) 보다 좁을 수 있지만, 신체 대향 라이너(28) 및 배면시트(26)가 동일한 치수를 가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흡수체(34)를 넘어서 연장되지 않을 수 있고/있거나 배면시트(26)에 고정되지 않을 수 있음이 고려된다.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하나 이상의 재료 부위로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직사각형, 모래 시계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을 포함하는 상이한 형상일 수 있다.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적절하게 유연하고, 부드러운 느낌이고, 착용자의 피부에 무자극일 수 있고, 흡수체(34)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적은 친수성일 수 있어 신체 삼출물이 흡수체(34)로 쉽게 관통하게 할 수 있고 착용자에게 비교적 건조한 표면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64)을 포함할 수 있다. 엠보싱(64)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에 3차원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흡수 용품(10)과 같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복수의 엠보싱(64)을 포함할 수 있다 (명료화를 위해 단 하나의 엠보싱(64)만 도 2 및 도 6에 라벨링됨). 엠보싱(64)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74)에 오목부를 제공할 수 있다. 상부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엠보싱은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으로 원형 성질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엠보싱(64)이 임의의 적합한 형상 또는 구조로 생성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엠보싱(64)은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30) 및 측방향(32)에 의해 생성된 수평면 내에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2,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음). 예를 들어, 엠보싱(64)이 이러한 2차원 평면에서 성질이 원형인 경우, 엠보싱(64)의 직경 범위는 약 3.0mm 내지 약 50.0mm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엠보싱(64)의 직경 범위는 약 5.0mm 내지 약 20.0mm일 수 있다. 물론, 엠보싱(64)의 직경이 상기 예시적 범위의 밖에 있을 수 있음이 고려된다.
도 3에 도시된 대로, 각각의 엠보싱(64)은 깊이(6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을 위하여, 엠보싱(64)의 깊이(65)는, 엠보싱(64)을 포함하지 않는 위치(74a)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74)과 엠보싱(64)의 최저점을 형성하는 위치(74b)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74) 사이에서, 길이 방향(30)과 측 방향(32)에 의해 생성된 평면에 수직인 수직 방향(33)으로 정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엠보싱(64)의 깊이(65)는 약 0.5mm 내지 약 20.0mm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엠보싱(64)의 깊이(65)는 약 1.0mm 내지 약 10.0mm, 더욱더 바람직하게 약 2.0mm 내지 약 5.0mm일 수 있다. 엠보싱(64)은 이런 예시적 범위 밖에 있지만 여전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깊이(65)를 구비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각각의 엠보싱(64)의 깊이(65)는 대략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러나, 일부 엠보싱(64)이 다른 엠보싱(64)의 깊이(65)와 다른 깊이(65)를 포함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도 6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대로, 엠보싱(64)은 엠보싱(64)의 행(66) 및 엠보싱(64)의 열(68)의 패턴(69)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엠보싱(64)의 행(66)은 측방향 축(31)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길이방향 축(29)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엠보싱(64)의 열(68)은 길이방향 축(29)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측방향 축(31)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물론, 행들(66) 및 열들(68)은 이러한 배향에 한정되지 않음이 고려된다. 일 실시예에서, 엠보싱(64)의 행(66)의 수는 1-50의 범위로부터, 바람직하게는 4-30의 범위로부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6-20의 범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엠보싱(64)의 열(68)의 수는 1-25의 범위로부터, 바람직하게는 2-20의 범위로부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3-15의 범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시적 일 실시예가 보여주는 것처럼,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12개 행(66)의 엠보싱(64) 및 7개 열(68)의 엠보싱(6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대로, 각 행(66)의 엠보싱(64)은 동일한 수량의 엠보싱(64)을 가질 필요가 없고 각 열(68)의 엠보싱(64)은 동일한 수량의 엠보싱(64)을 가질 필요가 없다. 도 6의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엠보싱(64)의 패턴(69)은 4개의 엠보싱(64)을 포함한 일부 행(66), 및 3개의 엠보싱(64)을 포함한 일부 행(66)을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열(68)의 엠보싱(64)은 6개의 엠보싱(64)을 포함하지만, 엠보싱(64)의 패턴(69)은 다른 양의 엠보싱(64)을 갖는 하나 이상의 열(68)을 포함할 수 있다.
엠보싱(64)은 신체 삼출물을 위한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74) 상에 임시 저장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특히, 이것은 소변, 월경, 및 어린 아이에게 흔할 수 있는 저점도의 분비물에 이로울 수 있다. 엠보싱(64)에 신체 삼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엠보싱(64)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74)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신체 삼출물이 흡수 용품(10)으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엠보싱(64)은 또한 신체 삼출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어서, 취득층(70), 유체 전달층(72), 및 흡수체(34)를 포함한 흡수 구조의 나머지가 신체 액체 삼출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엠보싱(64)은 착용자의 피부 편안함을 증가시키는 추가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는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74)의 위치(74a)로부터 이격하여 엠보싱(64)의 깊이(65) 내로 신체 삼출물을 모아줌으로써, 엠보싱(64)은 신체 삼출물과 접촉으로 인한 착용자의 피부의 과민성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흡수 용품(10)에 신체 삼출물이 배설되지 않았을 때에도, 엠보싱(64)은 착용자의 피부와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74) 접촉의 표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가장 잘 나타난 것처럼,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복수의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포함할 수 있다.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다양한 특징은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흡수 용품(10)이 신장되어 평평하게 펼쳐진 구성으로 있을 때에 설명된다. 신체 대향 라이너(28)가 복수의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을 포함한다면,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에 패턴(79)을 형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도 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음). 패턴(79)은 사각형 형상, 모래시계 형상,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형상일 수 있다.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패턴(79)은 길이방향 측면 에지(18)로부터 길이방향 측면 에지(20)까지 그리고 전방 허리 에지(22)로부터 후방 허리 에지(24)까지, 신체 대향 라이너(28) 전반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패턴(79)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79)이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18, 20) 및 하나 이상의 허리 에지(22, 24)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집중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교차 슬릿 형성부(78)는 전혀 반복되지 않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신체 대향 라이너(28) 상에 무작위로 위치할 수 있다.
도 6의 신체 대향 라이너(28)로부터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7의 상세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차 슬릿 형성부(78)는 적어도 2개의 교차 슬릿(80) 및 개구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교차 슬릿(80)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74)으로부터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의복 대향면(76)까지 연장될 수 있다. 교차 슬릿 형성부(78)는, 교차 슬릿 형성부(78)에서 모든 교차 슬릿(80)이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74)으로부터 의복 대향면(76)까지 연장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모든 교차 슬릿(80)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깊이를 통하여 완전히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일부 슬릿(80)은 신체 대향 라이너(28)를 통하여 완전히 연장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교차 슬릿(80) 중 적어도 2개는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74)으로부터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의복 대향면(76)까지연장될 수 있고, 또 다른 슬릿(80)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74)으로부터 단지 부분적으로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의복 대향면(76)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교차 슬릿 형성부(78)는 8개의 교차 슬릿(80)을 포함하고 있다.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2-20 범위의 교차 슬릿(80)으로부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3-15 범위의 교차 슬릿(80)으로부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8 범위의 교차 슬릿(80)으로부터 선택된 특정 수량의 교차 슬릿(80)을 갖는 교차 슬릿 형성부(80)를 구비한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가질 수 있음이 고려된다. 교차 슬릿(80)은, 공통의 교차점(84)에서 교차할 수 있는데, 이 교차점은 교차 슬릿 형성부(78) 내에 하나가 존재하는 경우에 개구부(82) 내부에 있을 수 있다.
교차 슬릿(80)은 선형 세그먼트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그러나, 교차 슬릿(80)은 아치형, 정현파형,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나 형상일 수 있다. 교차 슬릿(80)은, 명료화를 위해서 도 7에서 슬릿(80) 중 단 하나에만 라벨링된 대로, 근위 말단(80a) 및 원위 말단(80b)을 포함할 수 있다. 근위 말단(80a)과 원위 말단(80b) 사이의 선형 거리는 교차 슬릿(80)의 길이를 정의할 수 있다.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교차 슬릿들(8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지만, 그러나,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교차 슬릿들(80)은 서로 비교하여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교차 슬릿(80)은 2-10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25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1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4-6mm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범위로부터 선택된 특정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교차 슬릿(80)의 두께는 0.02-5.00mm의 범위로부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2.00mm의 범위로부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0-1.50mm의 범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교차 슬릿(80)의 두께는 약 0.20mm일 수 있다. 그러나, 슬릿(80)의 특정 길이 및 두께는 바람직한 범위로부터 벗어날 수 있지만 여전히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음이 인정될 수 있다. 또한, 신장되어 평평하게 펼쳐진 구성에서의 흡수 용품(10) 내의 신체 대향 라이너(28) 물질 내의 슬릿(80)의 두께는, 신체 대향 라이너(28) 내의 신장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고려사항으로 인해, 흡수 용품(10)의 제조 동안 또는 그 전의 신체 대향 라이너(28) 내의 슬릿(80)의 두께에 비해서 가변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특징의 측정은,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흡수 용품(10)이 신장되어 평평하게 펼쳐진 구성으로 있을 때에 측정된다.
개별 교차 슬릿(80)은 각도상으로 서로 균등하게 이격될 수 있어서 연속적인 슬릿(80) 사이의 각도(α)는 교차 슬릿 형성부(78)에서 모든 연속적인 교차 슬릿(80) 사이에서 동일하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도(α)는 약 45°일 수 있다. 그러나, 교차 슬릿(80)은 교차 슬릿 형성부(78)에서 각도상으로 서로 균등하게 이격될 필요가 없음이 고려된다. 일 실시예에서, 교차 슬릿 형성부(78)에서 슬릿(80)의 길이가 가변되는 경우에, 인접한 슬릿(80) 사이 각도(α)는, 한 쌍의 인접한 슬릿(80) 사이 물질의 면적과 상기 인접한 슬릿(80)의 원위 말단(80b) 사이에 연장되는 선형 세그먼트가 다른 인접한 쌍의 슬릿(80) 사이 물질의 면적과 거의 동일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교차 슬릿 형성부(78)는 개구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개구부(82)는 원형 형상일 수 있지만, 상기한 교차 슬릿(80)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개구부(82)는 타원형,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등), 또는 불규칙 형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른 형상일 수 있다. 개구부(82)는 다양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의 개구부(82)는 0.5-10.0mm의 범위로부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0.8-7.0mm의 범위로부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9-2.5mm의 범위로부터 선택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원형 형상의 개구부(82)는 약 1.2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물론, 개구부(82)는, 그것이 이런 예시적 범위 밖에 있고 여전히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도록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대로,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하나 이상의 엠보싱(64)은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엠보싱(6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일부 엠보싱(64)은 임의의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본원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교차 슬릿 형성부(78)는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임의의 엠보싱(64) 외측에 위치될 수 있거나, 임의의 엠보싱(64) 안에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에서 하나의 엠보싱(64) 및 각각의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상세도에 도시된 대로, 엠보싱(64) 및 각각의 교차 슬릿 형성부(78)는, 교차 슬릿 형성부(78)가 완전히 엠보싱(64)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구성에서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적어도 일부는 엠보싱(64) 너머로 연장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교차 슬릿(80)의 일부는 엠보싱(64)에 의해 생성된 오목부 너머로 연장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복수의 교차 슬릿 형성부(78)는 패턴(79)을 형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패턴(79)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엠보싱(64)의 패턴(69)과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패턴(79)은, 도 6에 도시된 대로,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일련의 행(86) 및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일련의 열(88)을 포함할 수 있다.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행들(86)은 측방향 축(31)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길이방향 축(29)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열들(88)은 길이방향 축(29)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측방향 축(31)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물론, 행들(86) 및 열들(88)은 이러한 배향에 한정되지 않음이 고려된다. 일 실시예에서,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행(86) 수는 1-50의 범위로부터, 바람직하게는 4-30의 범위로부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6-20의 범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열(88) 수는 1-25의 범위로부터, 바람직하게는 2-20의 범위로부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3-15의 범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시적 일 실시예가 나타내는 것처럼,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12개 행(86)의 교차 슬릿 형성부(78) 및 7개 열(88)의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각각의 행(86)의 교차 슬릿 형성부(78)는 동일한 수량의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가질 필요가 없고 각각의 열(88)의 교차 슬릿 형성부(78)는 동일한 수량의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가질 필요가 없다. 도 6의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패턴(79)은, 4개의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포함하는 일부 행(86), 및 3개의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포함하는 일부 행(86)을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각 열(88)이 6개의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포함하지만,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패턴(79)은 다른 수량의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갖는 하나 이상의 열(8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또한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위한 잠재적인 개방 영역(89)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일점 쇄선은, 각각의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위한 잠재적인 개방 영역(89)을 제공한다.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잠재적인 개방 영역(89)은 선형 세그먼트와 각 연속 슬릿(80)의 원위 말단(80b)을 연결함으로써 교차 슬릿 형성부(78) 주위에 주변부를 구성함으로써 구성되고, 명료화를 위해 원위 말단(80b) 중 단 하나만 도 7에 라벨링된다.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잠재적인 개방 영역(89)은, 유체 및/또는 입자상 삼출물이 신체 대향 라이너(28) 물질 그 자체를 물리적으로 통과할 필요 없이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74)으로부터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의복 대향면(76)까지 통과할 수 있게 허용할 수 있는 특정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위한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평면 내의 잠재적인 개방 영역과 비슷할 수 있다. 패턴(79)의 각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총 잠재적인 개방 영역(89)의 총합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총 잠재적인 개방 면적을 정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총 잠재적인 개방 영역(89)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총 면적의 약 1% 내지 약 70% 사이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총 면적의 약 3% 내지 약 50% 사이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총 면적의 약 10% 내지 약 40% 사이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총 면적의 약 20% 내지 약 30% 사이일 수 있다.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잠재적인 개방 영역(89)의 이점은 이하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합성 섬유(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천연 섬유(예를 들면, 목재 또는 면 섬유), 천연 및 합성 섬유의 조합, 다공성 발포체, 망형(reticulated) 발포체, 개구형 플라스틱 필름 등과 같은 물질들의 광범위한 선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물질의 예들은 레이온, 목재, 면,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또는 다른 열 접합 가능한 섬유, 한정되지는 않지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의 코폴리머와 같은 폴리올레핀, 선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락틱산, 미세 천공 필름 웹, 그물 물질과 같은 지방족 에스테르 등, 또한 그들의 조합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직물 및 부직포 직물이 신체 대향 라이너(28) 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직포 직물, 부직포 직물, 고분자 필름, 필름-직물 적층체 등, 또한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부직포 직물의 예들은 스펀본드 직물, 멜트블로운 직물, 코폼 직물, 카디드 웹, 본디드 카디드 웹, 이성분 스펀본드 직물, 스펀레이스 등, 또한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단일 층 구조일 필요는 없으며, 따라서 한 층 보다 많은 직물, 필름 및/또는 웹 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수력엉킴될 수 있는 지지층 및 돌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멜트블로운 또는 스펀본드 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천연 및/또는 합성 섬유로 구성된 본디드 카디드 웹일 수 있다.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실질적으로 소수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소수성 물질은 선택적으로 계면 활성제로 처리될 수 있거나, 이와 달리 원하는 수준의 습윤성 및 친수성을 부여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분무, 인쇄, 브러쉬 코팅 등과 같은 임의의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가 전체 신체 대향 라이너(28)에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특정 부위들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부직포 이성분 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직포 이성분 웹은 스펀본디드 이성분 웹, 또는 본디드 카디드 이성분 웹, 또는 수력엉킴 이성분 웹일 수 있다. 이성분 단섬유의 예는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이성분 섬유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정 이성분 섬유에서, 폴리프로필렌은 코어를 형성하고, 폴리에틸렌은 섬유의 시스(sheath)를 형성한다. 다엽(multi-robe),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ide), 말단-대-말단(end-to-end)와 같은, 다른 배향을 갖는 섬유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약 10 또는 12 내지 약 15 또는 20gsm의 평량을 갖는 스펀본드 기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2개의 스펀본드 층 사이에 적용된 10% 멜트블로운 함량을 갖는 12gsm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기재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50%의 2 데니어 폴리에틸렌/폴리에스테르 이성분 단섬유 및 50%의 2 데니어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이성분 단섬유를 가지는 20gsm 본디드 카디드 웹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열가소성 필름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탄성중합체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탄성중합체 열가소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배면시트(26) 및 신체 대향 라이너(28)가 탄성중합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배면시트(26) 및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일반적으로 비탄성중합체인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일 실시예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신축성일 수 있고, 보다 적절하게는 탄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흡수 용품(10)의 적어도 측면 또는 원주 방향으로 적절하게는 신축성일 수 있고, 보다 적절하게는 탄성일 수 있다. 다른 측면들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각각, 측방향 및 길이방향(32 및 30) 양쪽으로 신축성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성일 수 있다.
엠보싱(64) 및 교차 슬릿 형성부(78)는 다양한 제조 기법을 사용해 신체 대향 라이너(28)에 형성될 수 있다. 엠보싱(64)의 패턴(69)은 엠보싱 롤로 신체 대향 라이너(28)를 엠보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패턴(79)은 회전 다이(미도시), 레이저 커터(미도시), 워터 커터(미도시), 또는 펀치 프레스(미도시)에 의해 신체 대향 라이너(28)로 절단될 수 있다. 엠보싱(64) 및/또는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생성은 흡수 용품(10)을 형성하는 기계 라인과 별개로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흡수 용품(10)을 형성하는 기계 라인과 인라인으로 수행될 수 있다.
취득층:
흡수 용품(10)은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을 가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b, 도 8, 및 도 10a는 취득층(70)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5 및 90은 도 2 내지 도 4b, 도 8, 및 도 10a의 취득층(70)의 소정 측면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10b 내지 도 11c는 1개보다 많은 층을 포함하는 취득층들(170, 270, 370, 470)의 추가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각각 도시한다. 소정의 취득층(70, 170, 270, 370, 470)에 대한 본원의 설명은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의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고 여전히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삼출물이 (존재하는 경우) 교차 슬릿 형성부(78)에 의해 형성된 (도 4b에 나타낸 대로) 통로(85)를 관통하든지 또는 신체 대향 라이너(28) 그 자체의 물질을 관통하든지, 신체 대향 라이너(28)를 관통하는 신체 액체 삼출물의 배설을 감속하고 확산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신체 삼출물을 흡입하고 분배하여 흡수체(34)가 흡수하도록 신체 대향 라이너(28)와 흡수체(3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유체 전달층(72)이 존재하는 경우 신체 대향 라이너(28)와 유체 전달층(7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신체 대향면(70a)과 의복 대향면(70b)을 포함할 수 있다. 신체 대향면(70a)은 일반적으로 평면 부분(7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와 접촉 및/또는 접합할 수 있다.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이 신체 대향 라이너(28)와 접합되는 실시예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을 신체 대향 라이너(28)에 접합하는 것은 접착제 사용 및/또는 포인트 융합 접합을 통해 발생할 수 있지만, 이러한 접합 방법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신체 대향 라이너(28)를 취득층(70, 170, 270, 370, 470)과 수력엉킴함으로써 취득층(70, 170, 270, 370, 470)에 접합될 수 있다. 포인트 융합 접합은 초음파 접합, 가압 접합, 열 접합,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포인트 융합 접합은 적절한 경우 임의의 패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1% 내지 90%의 범위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에 접합될 수 있다. 신체 대향 라이너(28)와 취득층(70, 170, 270, 370, 470) 사이의 접합의 백분율은 수직 방향(33)으로 보는 바와 같이 신체 대향 라이너(28)와 취득층(70, 170, 270, 370, 470) 사이의 접합된 물질의 면적을 계산하고 신체 대향 라이너(28)와 취득층(70, 170, 270, 370, 470) 사이의 중첩 면적으로 나누어서 측정할 수 있다.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직사각형 모양, 모래시계 모양일 수 있고, 또는 그밖의 다른 모양일 수 있다.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적절한 경우 임의의 길이방향 길이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약 120 내지 약 520mm의 길이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이 흡수 용품(10)의 허리 에지들(22, 24)과 경계를 서로 접할 수 있도록 임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의 길이방향 길이는 흡수체(34)의 길이방향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의 길이방향 길이의 중간 지점은 흡수체(34)의 길이방향 길이의 중간 지점과 대략 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의 길이방향 길이는 흡수체(34)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흡수체(34)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임의의 소망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일례로, 흡수 용품(10)은, 통상적으로 흡수 용품(10)에서 액체 급증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타겟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구역의 구체적인 위치는 흡수 용품(10)의 착용자의 나이와 성별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남성은 흡수 용품(10)의 더욱 전방 허리 영역(12)을 향하여 소변을 보는 경향이 있고, 타겟 구역은 흡수 용품(10) 내에서 전방으로 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남성 착용자를 위한 타겟 구역은, 흡수체(34)의 길이방향 중간 지점의 약 2 ¾" 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약 ±3"의 길이와 약 ±2"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여성 타겟 구역은 흡수 용품(10)의 가랑이 영역(16)의 중심에 더욱 가깝도록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성 착용자를 위한 타겟 구역은, 흡수체(34)의 길이방향 중간 지점의 약 1" 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약 ±3"의 길이와 약 ±2"의 폭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흡수 용품(10) 내의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의 상대적인 길이방향 배치를, 착용자들의 모든 카테고리 또는 어느 한쪽 카테고리의 타겟 구역에 가장 잘 상응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흡수 용품(10)을 여성 착용자가 착용한다는 전제하에 흡수 용품(10)의 가랑이 영역(16) 내의 중심에 있는 타겟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위치할 수 있어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이 여성 착용자를 위한 흡수 용품(10)의 타겟 구역과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대안으로, 흡수 용품(10)은, 흡수 용품(10)을 남성 착용자가 착용한다는 전제하에 흡수 용품(10)의 가랑이 영역(16)과 전방 허리 영역(12) 사이에 위치하는 타겟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위치할 수 있어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이 남성 착용자를 위한 흡수 용품(10)의 타겟 구역과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흡수 용품(10)의 타겟 구역과 동일한 크기 치수인 크기 치수, 또는 흡수 용품(10)의 타겟 구역의 크기 치수보다 큰 크기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 용품(10)의 타겟 구역 내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와 접촉 및/또는 접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흡수체(34)의 길이방향 길이와 동일한, 짧은, 또는 긴 길이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흡수체(34)의 전방 말단 에지(40)로부터 약 15 내지 약 85mm의 거리만큼 향할 수 있다.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필요시 임의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약 15mm 내지 약 180mm의 폭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의 폭은, 취득층(70)이 위치할 흡수 용품(10)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흡수체(34)의 폭과 동일한, 짧은, 또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흡수 용품(10)의 가랑이 영역(16) 내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흡수체(34)의 폭과 동일한, 짧은, 또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90)를 가질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복수의 오목부(90)를 포함하는 취득층(70)의 2가지 예시적 실시예를 제공한다. 다음 논의가 취득층(70)에 대한 것이지만, 그러나, 본원에 설명한 그밖의 다른 취득층(170, 270, 370, 470)에 적용될 수 있다. 취득층(70)에서 오목부(90)는 취득층(70)의 신체 대향면(70a)의 평면 부분(71)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는다. 복수의 오목부(90)는 복수의 행(94) 및 복수의 열(96)을 형성하는 패턴(92)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취득층(70)에서 오목부(90)는 패턴(92)에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목부(90)는 도 2 및 도 8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 형상일 수 있다. 오목부(90) 중 하나 이상은, 도 9에 도시된 대로, 대안적으로 타원 형상일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득층(70)은 모든 오목부(90)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오목부(90)의 패턴(92)을 가질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득층(70)은 모든 오목부(90)가 동일한 형상을 가지지 않는 오목부(90)의 패턴(92)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취득층(70)에서 오목부(90)는 정다각형 및 불규칙한 다각형(정삼각형 및 불규칙 삼각형, 정사각형 및 불규칙 사각형, 정오각형 및 불규칙 오각형 등) 및 불규칙 형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원형 및 타원형 이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취득층(70, 170, 270, 370, 470) 내의 오목부(90)의 크기는 또한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원형 형상인 오목부(90)는 약 1.0mm 내지 약 100.0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4.0mm 내지 약 50.0mm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0mm 내지 약 20.0mm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0mm 내지 약 12.0mm의 범위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타원형 형상인 오목부(90)에서는, 오목부(90)의 장축(91)이 약 1.0mm 내지 약 100.0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4.0mm 내지 약 50.0mm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0mm 내지 약 20.0mm의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타원형 형상인 오목부(90)의 단축(93)은 약 0.5mm 내지 약 100.0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0.5mm 내지 약 45.0mm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mm 내지 약 15.0mm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타원형 형상의 오목부(90)의 장축(91)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방향(30)과 정렬될 수 있지만, 장축(91)은 측 방향(32)과 평행하거나, 또는 길이 방향(30)에 대하여 예각을 형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간략하게 언급한 바와 같이, 취득층(70) 내의 오목부(90)의 패턴(92)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행(94) 및 복수의 열(96)을 형성할 수 있다. 오목부들(90)의 행들(94)은 측방향 축(31)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길이방향 축(29)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오목부들(90)의 열들(96)은 길이방향 축(29)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측방향 축(31)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물론, 오목부들(90)의 행들(94) 및 열들(96)은 이러한 배향에 한정되지 않음이 고려된다. 일 실시예에서, 오목부들(90)의 행들(94)의 수는 1-50의 범위로부터, 바람직하게는 4-30의 범위로부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6-20의 범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목부들(90)의 열들(96)의 수는 1-25의 범위로부터, 바람직하게는 2-20의 범위로부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3-15의 범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취득층(70)은 오목부(90)의 7개의 행(94) 및 오목부(90)의 3개의 열(9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도시된 오목부(90)의 패턴(92)은 2개의 오목부(90)를 포함하는 일부 행(94) 및 1개의 오목부(90)를 포함하는 일부 행(94)을 갖는다. 도 8 및 도 9에서, 오목부들(90)의 일부 열들(96)은 4개의 오목부들(90)을 포함하고 다른 열들(96)은 3개의 오목부들(90)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오목부들(90)의 패턴(92)은 동일 수량의 오목부들(90)을 갖는 모든 열들(96)을 포함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오목부(90)는, 도 3에 라벨링된 대로, 깊이(95)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오목부(90)는, 예를 들어 도 3, 도 4a, 도 4b, 도 10a, 도 10b,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 대로, 취득층(70, 170, 370, 470)을 통하여 취득층(70, 170, 370, 470)의 신체 대향면(70a)으로부터 의복 대향면(70b)까지 완전히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오목부(90)의 깊이(95)는 수직 방향(33)으로 취득층(70, 170, 370, 470)의 두께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오목부(90)는, 예를 들어 도 5 및 도 11a에 도시된 대로, 취득층(70, 270)을 통하여 취득층(70, 270)의 신체 대향면(70a)으로부터 의복 대향면(70b)까지 완전히 연장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오목부(90)의 깊이(95)는 수직 방향(33)으로 취득층(70, 270)의 두께의 일부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목부(90)의 깊이(95)는 가변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일례로서, 오목부(90)의 일부는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을 통하여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의 신체 대향면(70a)으로부터 의복 대향면(70b)까지 완전히 연장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고 다른 오목부(90)는 동일한 취득층(70) 내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을 통하여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의 신체 대향면(70a)으로부터 의복 대향면(70b)까지 완전히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든 오목부(90)는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을 통하여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의 신체 대향면(70a)으로부터 의복 대향면(70b)까지 완전히 연장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깊이(95)는 다른 오목부(90) 사이에서 가변될 수 있다.
취득층(70, 170, 270, 370, 470)에서 각각의 오목부(90)는 취득층(70, 170, 270, 370, 470)에서 개방 영역(98)을 제공한다. 복수의 오목부(90) 각각에 대한 개방 영역(98)의 총합은 취득층(70, 170, 270, 370, 470)에 대한 총 개방 면적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의 총 개방 면적은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의 총 면적의 약 1% 내지 약 70%의 범위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의 총 면적의 약 5% 내지 약 45%의 범위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의 총 면적의 약 10% 내지 약 40%의 범위일 수 있다.
신체 대향 라이너(28) 및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엠보싱(64) 또는 엠보싱들(64)이, 도 2에 도시된 대로 취득층(70)에 대해 나타낸 것과 같이, 취득층(70, 170, 270, 370, 470)에서 오목부(90) 또는 오목부들(90)과 정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대로,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은 취득층(70)의 오목부(90) 또는 오목부들(90)과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엠보싱들(64)의 패턴(69)의 설계 및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의 패턴(79)의 설계는 취득층(70)에서 오목부들(90)의 패턴(92)과 정렬되어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엠보싱들(64)의 패턴(69) 및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의 패턴(79)은, 오목부들(90)의 행들(94)의 수량 및 간격과 동일한 수량 및 간격의 엠보싱들(64)의 행들(66) 및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의 행들(86)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엠보싱들(64)의 패턴(69) 및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의 패턴(79)은, 오목부들(90)의 열들(96)의 수량 및 간격과 동일한 수량 및 간격의 엠보싱들(64)의 열들(68) 및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의 열들(88)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엠보싱들(64)의 행들(66)과 열들(68) 및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의 행들(86)과 열들(88) 전부 오목부들(90)의 행들(94) 및 열들(96)과 동일하게 정렬되고 이격될 필요는 없지만, 엠보싱들(64)의 행들(66) 및 열들(68) 중 적어도 일부와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의 행들(86) 및 열들(88) 중 적어도 일부가 오목부들(90)의 행들(94) 및 열들(96)과 동일하게 정렬되고 이격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엠보싱들(64)의 행들(66) 및 열들(68) 대부분과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의 행들(86) 및 열들(88) 적어도 대부분은 오목부들(90)의 행들(94) 및 열들(96) 대부분과 동일하게 정렬되고 이격될 수 있다.
신체 대향 라이너(28) 내의 엠보싱(64) 또는 복수의 엠보싱(64)이 취득층(70) 내의 오목부(90) 또는 오목부들(90)에 정렬하거나 대응하도록 신체 대향 라이너(28) 및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을 구성하는 것은 흡수 용품(10)에 대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이 신체 대향 라이너(28)에 존재한다면,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이 취득층(70, 170, 270, 370, 470)에서 오목부(90) 또는 오목부들(90)과 정렬되거나 대응하도록 신체 대향 라이너(28) 및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을 구성하는 것은 또한 흡수 용품(10)에 대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엠보싱들(64)은 취득층(70)의 오목부들(90)과 정렬 및 대응할 수 있어서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엠보싱들(64) 중 적어도 일부는 안착된 구성으로 취득층(70)에서 각각의 오목부들(90)에 의해 수용된다. 또한,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은 또한 취득층(70)의 오목부들(90)과 정렬되고 대응할 수 있다. 도 4a는 흡수 용품(10)이 착용자로부터의 배설을 받기 전 신체 대향 라이너(28) 및 취득층(70)을 도시하는데, 엠보싱들(64)은 안착된 구성으로 오목부들(90)에 의해 수용된다.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엠보싱들(64)은, 안착된 구성으로 있을 때 취득층(70)에서 각각의 오목부들(9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대로, 엠보싱(64)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의복 대향면(76)은, 도 4a 내지 도 5의 신체 대향 라이너(28) 및 취득층에 도시된 것과 같이, 흡수 용품(10)이 신장되어 평평하게 펼쳐진 구성으로 있을 때 (수직 방향 (33))으로 취득층(70)의 신체 대향면(70a)의 평면 부분(71)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신체 대향 라이너(28) 및 취득층(70)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복수의 엠보싱(64)은 취득층(70)에서 복수의 오목부(90)과 대응하고 정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러한 구성에서, 복수의 엠보싱(64) 대부분은 도 3 및 도 4a에 대해 전술한 대로 안착된 구성으로 각각의 오목부들 (9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엠보싱들(64)의 깊이(65)는 취득층(70)에서 오목부들(90)의 깊이(95)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엠보싱들(64)은 취득층(70)에서 각각의 오목부들(90)에 의해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엠보싱들(64)이 취득층(70)에서 오목부들(9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든지 또는 완전히 수용되든지, 오목부들(90)은 엠보싱들(64)이 신체 대향 라이너(28) 에 제공하는 3차원 성질을 보호할 수 있다. 취득층(70)의 특성 때문에, 흡수체(34)와 같은, 흡수 구조의 다른 성분들과 비교해, 취득층(70)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엠보싱들(64)의 3차원 성질에 대한 유리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취득층(70)은, 취득층(70)에 벌크와 강성을 제공하는 열적으로 접합된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벌크와 강성은, 엠보싱들(64)이 본원에 설명한 대로 안착된 구성으로 오목부들(90)에 수용될 때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엠보싱들(64)의 3차원 성질에 대한 향상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취득층(70)은 편심 5 데니어 폴리에틸렌/폴리에스테르 이성분 단섬유로 만들어진 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을 통하여 30gsm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취득층(70)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엠보싱들(64)의 3D 형상의 보호를 향상시키도록 섬유 크기 구배로 만들어진 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을 통하여 65gsm일 수 있다. 이 구조는, 15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와 6 데니어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이성분 단섬유와 같은 큰 데니어 섬유의 50/50 블렌드를 포함한 취득층(70)의 신체 대향면(70a)에 일반적으로 가까운 섬유, 및 3 데니어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이성분 단섬유와 같은 작은 데니어 섬유를 포함하는 취득층(70)의 의복 대향면(70b)에 일반적으로 가까운 섬유를 함유할 수 있다. 취득층(70)의 신체 대향면(70a)에 가까운 더 큰 데니어 섬유는 취득층(70)의 전체 평량 대부분을 포함하여서 취득층(70)에서 오목부들(90)에 의해 수용된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엠보싱들(64)을 보호하도록 벌크와 강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취득층(70)의 신체 대향면(70a)에 가까운 더 큰 데니어 섬유는 이런 섬유 크기 구배 구조의 65gsm 총 평량의 약 50을 차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 5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엠보싱들(64)의 깊이(65)는 취득층(70)에서 오목부들(90)의 깊이(95)와 거의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엠보싱(64)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의복 대향면(76)은 오목부(90)에서 취득층(70)의 의복 대향면(70b)의 위치결정과 거의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취득층(70)의 일부이든 아니든, 오목부(90) 아래 물질을 갖는 엠보싱들(64)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의복 대향면(76), (존재하는 경우) 유체 전달층(72), 또는 흡수체(34) 사이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은 신체 삼출물의 개선된 전달을 제공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이 착용자로부터 신체 삼출물의 배설을 수용할 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엠보싱들(64)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는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74)의 위치(74a)로부터 이격하여 엠보싱들(64)의 깊이(65) 내로 신체 삼출물을 모을 수 있다. 이것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74)에서 배설의 확산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신체 삼출물이 분비물을 포함한다면, 엠보싱들(64)은 삼출물의 배설 후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74)에 잔류 분비물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흡수 용품(10)의 착용자의 피부 자극이 이러한 정렬에 의해서도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향상된 특성은, 개별적으로 또한 집합적으로, 유체 및/또는 입자상 물질 삼출물이 흡수 용품(10)의 가스켓화 시스템, 예를 들어 샘방지 플랩(44, 46)을 손상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취득층(70, 170, 270, 370, 470)에서 오목부들(90)과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엠보싱들(64)을 정렬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는 다른 장점은,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을 통하여, 차례로, 흡수체(34)로 신체 삼출물의 향상된 분산을 포함할 수 있다.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신체 삼출물을 흡수하지 않고 신체 삼출물을 분배하도록 구성되므로, 흡수 물질의 국부화된 포화를 이끌 수 있는, 흡수체(34)와 같은, 흡수 물질에 오목부들(90)이 위치하는 경우와 비교해,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엠보싱들(64)에 모으거나 수집할 수 있는 신체 삼출물이 취득층(70, 170, 270, 370, 470) 전체에 걸쳐 흡수체(34)와 같은 흡수 구조의 다른 성분들로 보다 효과적으로 확산될 수 있다. 취득층(70, 170, 270, 370, 470)에 각각의 오목부들(90)을 갖는 안착된 구성으로 되도록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엠보싱들(64)을 구성함으로써, 흡수체(34)는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이것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보다 편안한 건조 신체 대향면(74)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또한,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포함하는 엠보싱(64), 또는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포함하는 복수의 엠보싱(64)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교차 슬릿 형성부(78)는 신체 삼출물을 위한 통로(85)를 제공하도록 개방될 수 있어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 (존재하는 경우) 유체 전달층(72) 및/또는 흡수체(34)를 비롯한 흡수 용품(10)의 다른 층들 또는 성분들로 보다 빠르게 그리고/또는 효과적으로 통과시킨다. 교차 슬릿 형성부(78)는,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교차 슬릿들(80)의 이동에 의해 통로(85)를 제공하도록 개방될 수 있고, 도 7에 대해 전술한 대로 잠재적 개방 영역(89)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통로(85)를 제공하는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개방은, 삼출물이 신체 배향 라이너(28)로부터 흡수 용품(10)의 다른 층들 또는 성분들로 이동함에 따라 삼출물의 배설에 대한 더 적은 저항을 제공할 수 있어서 유체 및/또는 입자상 물질 삼출물의 배설의 흡입 및 분배 효율성 및 속도를 증가시켜서, 신체 삼출물의 배설의 확산 영역 감소에 대해 전술한 이점을 추가로 향상시키고 잔류 신체 삼출물, 예컨대 분비물을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74)에서 감소시킨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엠보싱들(64) 중 아무 것도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포함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위에서 논의된 도 5는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가지지 않는 엠보싱들(64)을 포함하는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포함하는 엠보싱(64)을 갖는 실시예들에서, 엠보싱들(64)의 깊이(65) 및 오목부들(90)의 깊이(95)는 선택적으로 삼출물의 전달을 위한 이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대로,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엠보싱들(64)의 깊이(65)가 취득층(70)에서 오목부들(90)의 깊이(95)보다 작다면, 오목부들(90)은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의 교차 슬릿들(80)을 위해 수직 방향(33)으로 적어도 약간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서 기초 물질로부터 저항 없이 통로(85)를 제공하도록 개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의 슬릿들(80)은, 교차 슬릿 형성부(78)가 개방되어서 통로(85)를 제공한 후 취득층(70) 아래에 흡수 용품(10)의 성분들과, 예로 유체 전달층(72) 또는 흡수체(34)와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은 흡수체(34)로 향상된 액체 삼출물 전달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교차 슬릿 형성부(78)에서 각각의 슬릿(80)의 길이는 선택적으로 엠보싱들(64)의 깊이(65) 차이 및 오목부들(90)의 깊이(95) 차이를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유사하게, 엠보싱들(64)의 깊이(65)는 오목부들(90)의 깊이(95)보다 작을 수 있다.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슬릿들(80)은, 교차 슬릿 형성부(78)에서 최대 길이를 갖는 슬릿들(80)이 엠보싱들(64)의 깊이(65)와 오목부들(90)의 깊이(95) 간 차이와 같거나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교차 슬릿들(80)을 제공하여서 기초 물질의 저항 없이 통로(85)를 제공하도록 개방할 수 있다. 일례로서, 엠보싱들(64)의 깊이(65)가 5mm이고 오목부들(90)의 깊이(95)가 10mm라면, 교차 슬릿 형성부(78)에서 슬릿(80)의 최대 길이가 5mm 이하일 수 있도록 교차 슬릿 형성부(78)가 구성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5에 라벨링된 대로,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각각의 엠보싱(64)은 부피(67)를 제공할 수 있고 취득층(70)에서 각각의 오목부(90)는 부피(97)를 제공할 수 있다. 엠보싱(64)의 부피(67)는 오목부(90)의 부피(97)와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어서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개방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엠보싱(64)의 부피(67)는 취득층(70)에서 오목부(90)의 부피(97)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엠보싱(64)의 부피(67)는 취득층(70)에서 오목부(90)의 부피(97)보다 적어도 약 10% 작을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엠보싱(64)의 부피(67)는 취득층(70)에서 오목부(90)의 부피(97)보다 약 10% 내지 약 70% 작을 수 있다. 신체 대향 라이너(28)가 교차 슬릿 형성부들(78) 없이 구성될지라도, 취득층(70)에서 오목부(90)의 부피(97)보다 작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엠보싱(64)의 부피(67)는 신체 삼출물을 위한 추가 보이드 부피를 제공할 수 있어서 흡수체(34)와 같은 흡수 용품(10)의 다른 성분들로 전달되기 전 취득층(70)의 오목부(90)로 일시적으로 전달되어 보관될 수 있다.
엠보싱들(64)의 깊이(65) 및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교차 슬릿들(80)의 길이는 또한 신체 대향 라이너(28)에 이점을 제공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교차 슬릿 형성부(78)에서 최대 슬릿 길이보다 크도록 엠보싱(64)의 깊이(65)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것은 교차 슬릿 형성부(78)를 형성하는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피스들이 엠보싱(64)의 깊이(65) 위로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것이고 여기에서 교차 슬릿 형성부(78)가 도 4b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반전되고 착용자의 피부를 향해 위로 연장되는 경우에,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이러한 피스들이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엠보싱(64)의 깊이(65)는 교차 슬릿 형성부(78)에서 최대 슬릿 길이보다 적어도 2배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엠보싱(64)의 깊이(65)가 약 8mm이라면, 약 4mm인 교차 슬릿 형성부(78)에서 최대 슬릿 길이를 가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엠보싱(64)의 깊이(65)를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최대 길이보다 더 길도록,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최대 길이보다 적어도 2배 더 크도록 구성하는 것은,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74)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여 배치될 부드럽고 매끄러운 면을 제공하도록 보장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배설의 유체 및/또는 입자상 물질 삼출물이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을 통과한 후, 배설을 위한 통로(85)를 생성한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의 슬릿들(80) 중 적어도 일부는, 도 4a에 도시된 대로, 신체 대향 라이너(28)에서 그것의 위치로 완전히 복귀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귀할 수 있다. 교차 슬릿 형성부들(78) 각각의 잠재적 개방 영역(89)에 의해 생성된 통로들(85)의 이런 폐쇄 또는 적어도 부분적 폐쇄는, 배설로부터 유체 및/또는 입자상 물질이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의복 대향면(76)으로부터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74)까지 통과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감소시켜서, 착용자의 피부의 건조 상태를 개선하는 것을 돕고 배설로부터 유체 및/또는 입자상 물질이 샘방지 플랩들(44, 46)과 같은 흡수 용품(10)의 가스켓화 시스템을 바이패스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은,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의 개수와 수량이 유사하고 각각의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잠재 개방 영역(89)과 유사한 면적, 또는 가능하다면 심지어 더 작은 면적을 각각 제공하는 개구부들을 가지는 신체 대향면(28)이 수행하는 것보다 착용자에게로 역류하는 배설의 유체 및/또는 입자상 물질 삼출물에 대한 더 큰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유체 및 신체의 입자상 삼출물이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74)으로부터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의복 대향면(76)으로 흐를 수 있도록 허용하지만,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의복 대향면(76)으로부터 다시 신체 대향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74)을 향해 쉽게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의 경향은 (도 3에서 라벨링된 대로) 엠보싱들(64)의 하향 경사 측벽(64a)에서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교차 슬릿들(80)의 위치에 의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교차 슬릿들(80)이 취득층(70)으로부터 멀어지는 반대 배향으로 개방될 때와 비교해 교차 슬릿들(80)이 취득층(70)을 향해 개방될 때 엠보싱들(64)의 하향 경사측면(64a)은 더 적은 저항을 통로(85)에 제공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이런 저항 증가는, 신체 삼출물이 착용자에게 역류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 교차 슬릿 형성부들(78)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 및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대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하나 이상의 채널(1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취득층(70)은 12개의 채널(100)을 포함하고 있다(명료화를 위해서 4개만이 라벨링되어 있음). 도 10a는 도 8로부터의 10-10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를 제공하며, 3개의 오목부(90) 및 오목부(90) 사이에서 연장되는 2개의 채널(100)을 도시하고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1개의 오목부(90)는 적어도 2개의 채널(1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 오목부(90)는 4개의 채널(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목부(90)는 4개보다도 많은 채널(100)에 연결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도 8 및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채널(100)은 용품(10)이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신장되고, 평평하게 펼친 상태에 있을 때에 흡수 용품(10)에 평행한 수평면에서 측정되는 길이(10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평면은 길이방향 및 측방향 축(30, 32)을 각각 포함한다. 채널(100)의 길이(102)는 상기한 수평면에서 측정했을 때 근위 말단(103)과 원위 말단(104) 사이에서 정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100)의 근위 말단(103)은 예를 들어 도 10a에 나타낸 오목부(9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동일한 채널(100)의 원위 말단(104)은 다른 오목부(90)에 연결되어, 채널(100)의 길이(102)가 취득층(70, 170, 270, 370, 470) 내의 복수의 오목부(90) 중 2개의 오목부(90) 사이에서 연장되거나, 그들을 연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 내의 대부분의 채널(100)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90)에 연결되는 근위 말단(103) 및 다른 오목부(90)에 연결되는 원위 말단(10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일부 실시예에서, 취득층(70) 내의 모든 채널(100)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90)에 연결되는 근위 말단(103) 및 다른 오목부(90)에 연결되는 원위 말단(104)을 포함할 수 있다. 취득층(70, 170, 270, 370, 470) 내의 채널(100)의 길이(102)는 가변될 수 있지만,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채널(100)의 길이(102)는 약 1 내지 약 100mm 사이,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30mm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20mm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1개보다도 많은 채널(100)을 포함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각 채널(100)의 길이(102)는 유체 취득층(70, 170, 270, 370, 470)에 대해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그 길이(102)는 동일한 유체 취득층(70, 170, 270, 370, 470) 내의 상이한 채널(100)을 따라 가변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각 채널(100)은 용품(10)이 신장되어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에 흡수 용품(10)에 평행한 수평면에서 측정한 두께(105)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수평면 내의 채널(100)의 배향에 상관 없이, 채널(100)의 길이(102)는 채널(100)의 두께(105) 이상일 것이다. 취득층(70, 170, 270, 370, 470) 내의 채널(100)의 두께(105)는 가변될 수 있지만,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채널(100)의 두께(105)는 약 1 내지 약 30mm 사이,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15mm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8mm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1개보다도 많은 채널(100)을 포함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각 채널(100)의 두께(105)는 유체 취득층(70, 170, 270, 370, 470)에 대해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두께(105)는 동일한 유체 취득층(70, 170, 270, 370, 470) 내의 상이한 채널(100) 간에서 가변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각 채널(100)은 수직 방향(33)으로 정의되는 깊이(106)를 또한 가질 수 있다. 채널(100)의 깊이(106)는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의 신체 대향면(70a)으로부터 취득층(70)의 의복 대향면(70b)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10a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널(100)의 깊이(106)는 채널(100)의 길이(102)를 따라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유체 취득층(170)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채널(100)의 깊이(106)가 채널(100)의 길이(102)를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채널(100)의 원위 말단(104)에서, 그 깊이(106)가 취득층(170)의 신체 대향면(70a)으로부터 취득층(170)의 의복 대향면(70b)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100)의 근위 말단(103)에서의 깊이(106)는 채널(100)의 원위 말단(104)에서의 깊이(106)보다 작을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는 채널(100)의 근위 말단(103)에서의 깊이(106)가 채널(100)의 원위 말단(104)에서의 깊이(106)를 초과할 수 있음이 고려되고, 이와 같이,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 있다. 1개보다도 많은 채널(100)을 포함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각 채널(100)의 깊이(106)는 유체 취득층(70, 170, 270, 370, 470)에 대해 동일할 수 있다. 그 깊이(106)는 동일한 유체 취득층(70, 170, 270, 370, 470) 내의 상이한 채널(100) 간에서 가변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 및 도 8 내지 도 10b에 나타낸 실시예에 도시된 취득층(70, 170) 내의 채널(100)은 흡수 용품(10) 내의 삼출물 분포에 있어서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삼출물이 신체 대향 라이너(28)를 통해 흡수체(34)를 향해서 전달될 때, 삼출물은 취득층(70, 170)의 신체 대향면(70a)과 접촉할 수 있다. 오목부(90)는 취득층(70, 170)에 개방 영역(98)을 제공하여서 삼출물을 수용하고 삼출물을 흡수 용품(10)의 다른 층으로, 예를 들어 (존재하는 경우에) 유체 전달층(72) 및/또는 흡수체(34)로 전달할 수 있다. 삼출물이 취득층(70, 170)의 임의의 특정 영역 내에 집중되는 경우, 취득층(70, 170) 내의 채널(100)은 삼출물에 대하여 취득층(70, 170)의 감소된 저항을 제공하여 취득층(70, 170) 전반에 걸쳐 흘러서 확산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달리 취득층(70, 170) 전반에 걸쳐 침투 및 확산이 어려울 수 있는, 특히 반고체 분비물을 갖는 삼출물의 취득층(70, 170) 내의 분포 유효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취득층(70, 170) 내의 삼출물의 더욱 효과적인 분포는 흡수체(34)의 유효성 증가를 제공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신체 대향 라이너(28)로 복귀할 수 있는 삼출물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착용자의 피부 자극에 대한 잠재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취득층(70, 170) 전반에 걸친 삼출물의 분포 증가는 흡수 용품(10)의 가스켓화(gasketing)가 손상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이제 도 11a 내지 도 11c로 돌아가서, 1개보다도 많은 층을 포함하는 유체 취득층(270, 370, 470)의 대안적인 실시예 및 구성이 이제 논의될 것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각각 도 10a 및 도 10b의 단면도와 유사한 단면도를 제공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각각 제1 층(107) 및 제2 층(108)을 포함할 수 있는 유체 취득층(270, 370, 470)을 도시하고 있다. 제1 층(107)의 최상부면(107a)은 취득층(270, 370, 470)의 신체 대향면(70a)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층(108)의 바닥부면(108b)은 취득층(270, 370, 470)의 의복 대향면(70b)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층(107)의 바닥부면(107b)은 접착제, 압력 접합, 초음파 접합, 및 당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진 다른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제2 층(108)의 최상부면(108a)에 직접 접합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취득층(270)의 실시예에서, 제1 층(107)은 제1 층(107)을 통해 완전히, 또는 제1 층(107)의 최상부면(107a)으로부터 바닥부면(107b)까지 연장되는 오목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107)은 채널(100)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채널(100)은 도 8 내지 도 10b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들(90)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채널(100)은 제1 층(107)의 최상부면(107a)으로부터 제1 층(107)의 바닥부면(107b)까지 연장되는 깊이(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층(108)은 오목부(90) 및 채널(100)이 없을 수 있다. 제2 층(108)은 어떠한 오목부(90) 또는 채널(100)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도 11a에서 취득층(270)은 증가된 강도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롤 형태로 있을 때 취득층(270)의 향상된 제조성을 제공하면서, 여전히 삼출물 분포의 증가된 유효성에 대하여 상기한 이점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b는 다층 구조를 포함하는 취득층(370)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11b에서, 취득층(370)은 제1 층(107)의 최상부면(107a)으로부터 제2 층(108)의 바닥부면(108b)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다시 말해 취득층(370)의 신체 대향면(70a)으로부터 취득층(370)의 의복 대향면(70b)까지 연장되는 오목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107)은 적어도 1개의 채널(100)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제2 층(100)도 적어도 1개의 채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1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취득층(370) 내의 인접한 오목부들(90)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층(107) 내의 채널(100)은 제1 층(107)의 최상부면(107a)으로부터 제1 층(107)의 바닥부면(107b)까지 연장되는 깊이(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층(108) 내의 채널(100)은 제2 층(108)의 최상부면(108a)으로부터 제2 층(108)의 바닥부면(108b)까지 연장되는 깊이(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107) 내에 일부 채널(100)과 제2 층(108) 내에 일부 채널(100)을 포함하는 취득층(370)을 구성하는 것은 도 11a에 나타낸 것에 대한 대안적인 구성을 제공하여, 취득층(370)의 강도를 개선하는 것을 도우면서, 여전히 취득층(370) 내의 삼출물의 향상된 분포를 추구할 수 있다.
도 11c는 1개보다도 많은 층을 포함하는 취득층(470)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11c에서, 취득층(470)은 제1 층(107)의 최상부면(107a)으로부터 제2 층(108)의 바닥부면(108b)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다시 말해 취득층(470)의 신체 대향면(70a)으로부터 취득층(470)의 의복 대향면(70b)까지 연장되는 오목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취득층(470)은 오목부들(90) 사이에서 연장되는 채널(100)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채널(100)은 제1 층(107)의 최상부면(107a)으로부터 제2 층(108)의 바닥부면(108b)까지, 또는 달리 말해 취득층(470)의 신체 대향면(70a)으로부터 취득층(470)의 의복 대향면(70b)까지 연장되는 깊이(10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되고 상기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취득층(270, 370, 470)의 제1 층(107) 및 제2 층(108)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층(107) 및/또는 제2 층(108)은 다음과 같은 물질, 즉 스펀본드 웹, 에어레이드 웹과 같은 멜트블로운 웹과 카디드 웹, 본디드 카디드 웹, 및 코폼 물질과 같은 섬유상 부직포; 바인더와 캘린더 본디드 웹; 중합체 필름; 부직포/중합체 필름 적층체; 개방-셀 발포체를 포함한 발포체; 및 스크림 물질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유형의 습윤성 친수성 섬유가 제1 층(107) 및/또는 제2 층(108)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섬유의 예로는 천연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로 구성된 합성 섬유, 예를 들면 레이온 섬유; 본질적으로 습윤성 재료로 구성된 무기 섬유, 예를 들면 유리 섬유; 및 본질적으로 습윤성 열가소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합성 섬유, 예를 들면 특정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 또는 비습윤성 열가소성 중합체로 구성된 합성 섬유, 예를 들면 적절한 수단에 의해 친수화되는 폴리올레핀 섬유를 포함한다. 섬유들은,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에 의한 처리, 실리카에 의한 처리, 적절한 친수성 부분을 가지면서 섬유로부터 쉽게 제거되지 않는 재료에 의한 처리에 의해, 또는 섬유의 형성 동안 또는 그 후에 비습윤성의 소수성 섬유를 친수성 중합체로 감싸는 것에 의해 친수성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층(107) 및/또는 제2 층(98)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부직포 웹 등의 실질적으로 소수성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층(107) 및 제2 층(108)은 동일하거나 다른 평량을 가질 수 있다. 제1 층(107) 및 제2 층(108)은 동일하거나 다른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층(108)은 제1 층(107)보다 큰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층(107) 및/또는 제2 층(108)은 약 10gsm 내지 약 300gsm 범위의 평량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층(107) 및 제2 층(108)은 동일하거나 다른 밀도, 및 동일하거나 다른 다공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층(107)은 제2 층(108)에서 섬유의 평균 데니어보다 큰 평균 데니어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층(107)의 섬유의 평균 데니어는 약 5 내지 약 30의 범위에 있을 수 있고 제2 층(108)의 섬유의 평균 데니어는 약 1 내지 약 1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제1 층(107)에서의 보다 큰 평균 섬유 데니어는, 제2 층 (108)의 보다 작은 평균 섬유 데니어와 비교해 신체 삼출물의 향상된 흡입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층(107)과 제2 층(108) 사이 이러한 섬유 데니어 분포는 향상된 신체 삼출물의 흡입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체 대향 라이너(28)로 삼출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채널(100)의 다양한 패턴이 취득층(70, 170, 270, 370, 470)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는 채널(100)이 취득층(70) 내의 오목부들(90) 중 일부의 오목부 사이에서만 연장되는 취득층(7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제공한다(명료화를 위해서 도 9에서는 1개의 채널(100)만이 라벨링되어 있음). 추가적으로 그리고/또는 대안적으로, 채널(100)은 취득층(70)의 채널형 영역(99) 내에 위치할 수 있고, 취득층(70)은 채널(100)이 없을 수 있는 비채널형 영역(101)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형 영역(99)은 일반적으로 삼출물, 또는 특정 형태의 삼출물을 수용할 가능성이 많은 흡수 용품(10)의 일부분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취득층(70)은 채널형 영역(99)이 반고체 분비물이 배출될 가능성이 많은 후방 허리 영역(14) 및/또는 가랑이 영역(16) 근처에 위치하도록 흡수 용품(10)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취득층(70)은 채널형 영역(99)이 가랑이 영역(16) 및/또는 전방 허리 영역(12) 근처에 위치하도록 흡수 용품(10)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득층(70) 내의 채널(100)의 이러한 그리고 유사한 구성은 전술한 취득층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직포 물질; 스펀본드 웹, 에어레이드 웹과 같은 멜트블로운 웹과 카디드 웹, 본디드 카디드 웹, 및 코폼 물질과 같은 섬유상 부직포; 바인더와 캘린더 본디드 웹; 개방-셀 발포체를 포함한 발포체; 및 스크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다양한 유형의 섬유, 예를 들어 천연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로 구성된 합성 섬유, 예를 들면 레이온 섬유; 본질적으로 습윤성 재료로 구성된 무기 섬유, 예를 들면 유리 섬유; 및 본질적으로 습윤성 열가소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합성 섬유, 예를 들면 특정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 또는 비습윤성 열가소성 중합체로 구성된 합성 섬유, 예를 들면 적절한 수단에 의해 친수화되는 폴리올레핀 섬유 를 포함할 수 있다. 섬유들은,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에 의한 처리, 실리카에 의한 처리, 적절한 친수성 부분을 가지면서 섬유로부터 쉽게 제거되지 않는 재료에 의한 처리에 의해, 또는 섬유의 형성 동안 또는 그 후에 비습윤성의 소수성 섬유를 친수성 중합체로 감싸는 것에 의해 친수성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 및 이들의 조합 등의 실질적으로 소수성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약 10gsm 내지 약 300gsm 범위의 평량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100gsm 미만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취득층(70, 170, 270, 370, 470)은, 75gsm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 50gsm 미만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오목부(90)는 다양한 제조 기술을 이용하여 취득층(70, 170, 270, 370, 47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취득층(70)의 신체 대향면(70a)으로부터 의복 대향면(70b)까지 연장되는 오목부들(90)의 패턴(92)은 회전 다이(미도시), 레이저 커터(미도시), 워터 커터(미도시), 또는 펀치 프레스(미도시)에 의해 취득층(70)으로 절단될 수 있다. 취득층(70)의 신체 대향면(70a)으로부터 의복 대향면(70b)까지 취득층(70)을 통하여 완전히 연장되지 않는 오목부들(90)의 패턴(92)은 엠보싱 롤러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채널(100)은 회전 다이, 레이저 커터, 워터 커터, 펀치 프레스 등을 비롯한 다양한 제조 기술과 장비로 취득층(70, 170, 270, 370, 470)에 또한 형성될 수 있다 (미도시).
샘방지 플랩들:
일 실시예에서, 샘방지 플랩들(44, 46)은 다리 개구부들로의 안쪽으로 측방으로 서로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관계로 흡수 용품(10)의 신체 대향 라이너(28)에 고정될 수 있어, 신체 삼출물의 흐름에 대한 배리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샘방지 플랩들(44, 46)은 흡수 용품(10)의 전방 허리 영역(12)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가랑이 영역(16)을 통해 흡수 용품(10)의 후방 허리 영역(14)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샘방지 플랩들(44, 46)의 근위 말단(120)은 접착제(122)의 솔기로 신체 대향 라이너(28)에 접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샘방지 플랩들(44, 46)은 배면시트(26)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신체 대향 라이너(28) 이외의 흡수 용품(10)의 다른 구성요소에 접합될 수 있다.
샘방지 플랩들(44, 46)은 신체 대향 라이너를 형성하는 물질과 유사할 수 있는 섬유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고분자 필름과 같은 다른 통상적인 물질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각 샘방지 플랩(44, 46)은 플랩 탄성체들(48, 50)과 같은 플랩 탄성체(elastic)들을 각각 포함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원위 말단(124)을 가질 수 있다. 플랩 탄성체(48, 50)를 위한 적합한 탄성 물질들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물질들의 시트, 가닥 또는 리본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 탄성체들(48, 50)은 서로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관계로 샘방지 플랩들(44, 46)의 원위 말단(124)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중합체 물질의 2개의 가닥을 가질 수 있다. 탄성 가닥들은, 이 가닥들의 수축이 샘방지 플랩들(44, 46)의 원위 말단(124)을 끌어당기고 단축시키도록 하는 탄성 수축 가능한 조건에 있는 동안에, 샘방지 플랩들(44, 46) 내에 있을 수 있다. 그 결과, 탄성 가닥들은 각 샘방지 플랩(44, 46)의 원위 말단(124)을 샘방지 플랩들(44, 46)의 근위 말단(12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향해서 바이어싱할 수 있어, 흡수 용품(10)이 착용자에게 맞을 때, 샘방지 플랩들(44, 46)은 특히 흡수 용품(10)의 가랑이 영역(16)에서 샘방지 플랩들(44, 46)의 일반적으로 직립 배향으로 신체 대향 라이너(28)로부터 멀리 연장될 수 있다. 샘방지 플랩들(44, 46)의 원위 말단(124)은, 플랩 탄성체들(48, 50)을 둘러싸기에 충분할 수 있는 양만큼 스스로 뒷받침하는 샘방지 플랩들(44, 46) 물질을 부분적으로 이중화함으로써 플랩 탄성체들(48, 5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샘방지 플랩들(44, 46)은 탄성중합체 물질의 임의의 수의 가닥을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흡수 용품(10)으로부터 생략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리 탄성체들:
다리 탄성 부재들(56, 58)은,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18, 20)의 일반적으로 측방향 안쪽으로, 예를 들면 적층체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으로써, 배면시트(26)에 고정될 수 있다. 다리 탄성 부재들(56, 58)은 신체 삼출물을 함유하는 데에 추가로 조력하는 탄성화된 다리 커프스(57, 59)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리 탄성 부재들(56, 58)은 배면시트(26)의 내부층(62)과 외부층(60) 사이 또는 흡수 용품(10)의 다른 층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리 탄성 부재들(56, 58)은 본원에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탄성 부재일 수 있거나, 각각의 다리 탄성 부재들(56, 58)은 한 개 보다 많은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광범위한 탄성 물질들이 다리 탄성 부재들(56, 58)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탄성 물질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열 가소성 탄성중합체 물질들의 시트, 가닥 또는 리본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물질들은 신축되고 기재에 고정될 수 있거나, 주름진 기재에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기재에 고정되고 나서 예를 들면 열 인가로 탄성화 또는 수축될 수 있어, 탄성 수축력이 기재에 부여된다.
체결 시스템:
일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체결기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기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후면 체결기구(130) 및 하나 이상의 전면 체결기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기구 시스템 부분은, 전면 허리 영역(12), 후면 허리 영역(14), 또는 양측 허리 영역 모두에 포함될 수 있다. 체결기구 시스템은,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흡수 용품(10)을 고정하고 흡수 용품(10)을 사용시 제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면 체결기구(130)는, 함께 접합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해서 당해 기술에 공지되어 있듯이 복합재 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재 체결기구는 신축 성분(134), 부직포 캐리어 또는 후크 기재(136), 및 체결 성분(138)으로 구성될 수 있다.
허리 탄성 부재들:
일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임의의 적합한 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 허리 탄성 부재들(52, 54)을 가질 수 있다. 허리 탄성 부재(52)는 흡수 용품(10)의 후방 허리 영역(14)에 있을 수 있고 허리 탄성 부재(54)는 흡수 용품(10)의 전방 허리 영역(12)에 있을 수 있다. 허리 탄성 부재들(52, 54) 용으로 적합한 탄성 물질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고분자의 시트, 가닥 또는 리본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 물질은 신축되고 기재에 접합될 수 있거나, 주름진 기재에 접합될 수 있거나, 또는 기재에 접합되고 나서 예를 들면 열 인가로 탄성화 또는 수축될 수 있어, 탄성 수축력이 기재에 부여된다. 그러나, 허리 탄성 부재들(52, 54)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흡수 용품(10)으로부터 생략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여성 위생 제품:
도 12는, 월경 패드 또는 여성 성인용 실금 제품 등의 여성 위생 제품의 형태로 된 흡수 용품(10)의 비한정적인 예시를 제공한다. 흡수 용품(10)은 세로, 길이 방향(30) 및 가로, 측 방향(32)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흡수 용품(10)은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전방 및 후방 말단 영역(12, 14) (전방 허리 영역 및 후방 허리 영역으로 각각 지칭될 수 있음), 및 상기 말단 영역(12 및 14) 사이에 위치한 중간 영역(또는 가랑이 영역)(16)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은, 세장형의 흡수 용품(10)의 길이 방향 측면들일 수 있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측면 에지들(18, 20)을 가질 수 있다. 길이 방향 측면 에지들(18, 20)은 흡수 용품(10)의 형상에 일치하는 윤곽을 가질 수 있다. 흡수 용품(10)은, 소망하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개뼈 형상, 레이스 트랙 형상, 모래 시계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흡수 용품(10)은 대략 길이 방향으로 대칭일 수 있고, 또는 필요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비대칭일 수 있다.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 용품(10)의 길이 방향 치수는 흡수 용품(10)의 가로 방향 측면 치수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흡수 용품(10)의 구성은, 본원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신체 대향 라이너(28)와 배면시트(26)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흡수체(34)는 신체 대향 라이너(28)와 배면시트(2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신체 대향 라이너(28)와 배면시트(26)의 경계부는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경계부를 공유할 수 있고, 또는, 신체 대향 물질(28)과 배면시트(26)의 경계부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경계부를 공유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본원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취득층(7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본원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취득층(170, 270, 370, 470)의 다른 변형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 대향 라이너(28)는 본원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은 엠보싱(64)의 패턴(69) 및 교차 슬릿 형성부(78)의 패턴(79)을 포함할 수 있다. 취득층(70)은 오목부(90)의 패턴(92)을 포함할 수 있다. 신체 대향 라이너(28) 내의 엠보싱(64)과 교차 슬릿 형성부(78)는 전술한 바와 같이 흡수 용품(10)에 대한 이점을 제공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취득층(70) 내의 오목부(90)와 정렬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이 여성 위생 제품일 수 있는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흡수 용품(10)의 중간 영역(16)에서 흡수 용품(10)의 측면 에지들(18, 20)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 부분들(15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 부분들(156)은, 흡수 용품(10)의 중간 영역(16)에 후속하여 부착되거나 그 외에는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별도로 제공된 부재들일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날개 부분들(156)은 흡수 용품(1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과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날개 부분들(156)은, 신체 대향 라이너(28), 배면시트(26), 및 이들의 조합의 대응하는 동작 가능 연장 부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날개 부분들(156)은, 날개 부분들(156)이 길이방향 축(29)을 향해 일반적으로 내측으로 향하는 지정된 보관 위치(도시하지 않음)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측면 에지(18) 등의 하나의 측면 에지에 연결되는 날개 부분(156)은, 축(29)을 지나서 연장되고 연속되기에 충분한 교차 방향 길이를 가져서 흡수 용품(10)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에지(20)에 접근하게 될 수도 있다. 날개 부분들(156)의 보관 위치는, 일반적으로 포장지 또는 패키징으로부터 흡수 용품(10)을 처음 제거할 때 관찰되는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여성 위생 제품 등의 흡수 용품(10)을 사용전 속옷의 신체측에 배치하기 전에, 날개 부분들(156)을 선택적으로 배치하여 흡수 용품(10) 중간 영역(16)의 측면 에지들(18, 20)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당해 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방식으로, 흡수 용품(10)을 속옷에 배치한 후, 날개 부분들(156)을 속옷의 측면 에지들(18, 20) 주위로 동작 가능하게 감싸 고정하여 흡수 용품(10)을 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날개 부분들(156)은, 임의의 동작 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임의의 동작 가능한 물질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날개 부분(156)은 복합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 부분(156)은, 스펀본드 직물 물질, 이성분 스펀본드 물질, 네크형 스펀본드 물질, 네크-연신형-본디드 적층체(NBL) 물질, 멜트블로운 직물 물질, 본디드 카디드 웹, 열적 본디드 카디드 웹, 통기 본디드 카디드 웹 등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날개 부분(156)은, 연관된 날개 부분(156)의 지정된 체결 면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패널-체결기구 구성요소(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체결기구 구성요소는, 상호체결 기계식 체결기구들의 시스템, 접착제 체결기구들의 시스템 등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날개 부분들(156) 중 하나 또는 모두는 동작 가능 접착제를 포함하는 패널-체결기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는, 용제계 접착제, 고온 용융 접착제, 감압형 접착제 등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복 부착 접착제 등의 의복 부착 기구(도시하지 않음)는, 흡수 용품(10)의 의복측에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복 접착제는 배면시트(26)의 흡수 용품(10)의 의복측에 공급될 수 있고, 분리 물질의 하나 이상의 층이나 시트는 사용전 보관을 위해 의복 접착제 위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복 부착 기구는 기계식 체결 시스템의 동작 가능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의복 부착 기구는 체결 시스템의 후크 앤 루프(hook-and-loop)형의 동작 가능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탈색 조성물:
일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에 의해 포획되는 신체 삼출물의 색을 변경하도록 화학적 처리를 채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상기 처리는, 혈액과 월경 분비물 내의 적혈구를 응집시키고(뭉치게 하고) 월경 분비물의 붉은 색이 보이는 정도를 제한하는 탈색 조성물일 수 있다. 이러한 한 조성물은 Potts 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6,350,71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이 문헌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원용된다.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비한정적인 예는, Pluronic® 계면활성제(삼블록 공중합체 계면활성제), 다가 음이온(예를 들어, 2가, 3가 등), 예컨대 황산염(SO42-), 인산염(PO43-), 탄산염(CO32-), 옥시드(O2-) 등, 및 1가 양이온, 예컨대 나트륨(Na+), 칼륨(K+), 리튬(Li+), 암모늄(NH4+) 등을 함유하는 무기 염을 포함한다. 알칼리 금속 양이온도 유익하다. 이러한 이온으로부터 형성된 염의 일부 예는, 황산나트륨(Na2SO4), 황산칼륨(K2SO4), 탄산나트륨(Na2CO3), 탄산칼륨(K2CO3), 인산이수소나트륨(NaH2PO4), 인산수소이나트륨(Na2HPO4), 인산이수소칼륨(KH2PO4), 인산수소칼륨(K2HPO4)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염들의 혼합물도, 적혈구들의 물리적 분리를 촉진하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황산나트륨(Na2SO4) 및 인산이수소칼륨(KH2PO4)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응집제 외에도 추가로, 탈색 조성물은 헤모글로빈의 화학 구조를 변경시켜 그 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의 예는 MacDonald 등에 의한 미국특허출원공개 제2009/0062764호에 기술되어 있고, 이 문헌의 전문은 본원에 참고로 원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신체 삼출물의 원치 않는 색의 원인인 헤모글로빈 또는 기타 물질을 산화할 수 있는 산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산화제의 일부 예로는, 퍼옥시전 표백제(예를 들어, 과산화수소, 퍼카르보네이트, 퍼술페이트, 퍼보레이트, 퍼옥시산, 알킬 히드로퍼옥시드, 퍼옥시드, 디아실 퍼옥시드, 오조나이드, 슈퍼옥시드, 옥소-오조나이드, 및 페리오데이트); 히드로퍼옥시드(예를 들어, 삼차-부틸 히드로퍼옥시드, 쿠밀 히드로퍼옥시드, 2,4,4-트리메틸펜틸-2-히드로퍼옥시드, 디-이소프로필벤젠-모노히드로퍼옥시드, 삼차-아밀 히드로퍼옥시드 및 2,5-디메틸-헥산-2,5-디히드로퍼옥시드); 퍼옥시드(예를 들어, 리튬 퍼옥시드, 소듐 퍼옥시드, 포타슘 퍼옥시드, 암모늄 퍼옥시드, 칼슘 퍼옥시드, 루비듐 퍼옥시드, 세슘 퍼옥시드, 스트론튬 퍼옥시드, 바륨 퍼옥시드, 마그네슘 퍼옥시드, 수은 퍼옥시드, 은 퍼옥시드, 지르코늄 퍼옥시드, 하프늄 퍼옥시드, 티탄 퍼옥시드, 인 퍼옥시드, 황 퍼옥시드, 루테늄 퍼옥시드, 철 퍼옥시드, 코발트 퍼옥시드, 및 니켈 퍼옥시드); 퍼보레이트(예를 들어, 소듐 퍼보레이트, 칼륨 퍼보레이트, 및 암모늄 퍼보레이트); 퍼술페이트(예를 들어, 소듐 퍼술페이트, 포타슘 디퍼술페이트 및 포타슘 포술페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적당한 산화제로는, 오메가-3 및 -6 지방산, 예컨대, 리놀레산, α-리놀레산, 아라키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헥사엔산, 에이코사디엔산, 에이코사트리엔산 등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탈색 조성물은, 신체에 의해 배출되는 수용성 유체, 예컨대, 월경 분비물과 접촉할 수 있는 흡수 용품(10)의 임의의 액체 투과성 층에, 예를 들어, 신체 대향 라이너(28), 취득층(70), 유체 전달층(72), 흡수체(34), 배면시트(26), 및 이들의 조합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탈색 조성물은, 그 층(들)의 표면의 일부에만 적용되어서, 적용되는 층(들)이 충분한 흡수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탈색 조성물이 흡수체(40)에 가깝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추가 층(도시하지 않음)을, 흡수 용품(10)에 채택할 수 있고, 흡수체(40)와 접촉하는 탈색 조성물과 함께 적용할 수 있다. 추가 층은, 서로 다른 다양한 다공성 물질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천공된 필름, 부직포 웹(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웹, 스펀본드 웹, 멜트블로운 웹 등), 발포체 등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추가 층은 흡수체(40)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싸도록 접혀지는 중공 봉투(예컨대, 봉지, 백 등)의 형태일 수 있다. 탈색 조성물은, 사용전에 밀봉 상태로 유지되도록 이 인클로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길이방향 축과 측방향 축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흡수 용품은 전방 허리 영역, 후방 허리 영역, 가랑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랑이 영역은 전방 허리 영역과 후방 허리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전방 허리 영역 내의 전방 허리 에지, 후방 허리 영역 내의 후방 허리 에지, 및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 및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와 상기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는 각각 전방 허리 에지로부터 후방 허리 에지로 연장되고; 신체 대향면과 의복 대향면을 포함하는 신체 대향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 대향 라이너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을 포함하고; 배면시트를 포함하고; 신체 대향 라이너와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포함하고; 신체 대향면과 의복 대향면을 포함하는 취득층을 포함하고, 상기 취득층의 신체 대향면은 평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취득층은 취득층의 신체 대향면으로부터 취득층의 의복 대향면까지 연장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는 안착된(nested) 구성으로 신체 대향 라이너의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을 수용한다.
실시예 2: 길이방향 축과 측방향 축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흡수 용품은 전방 허리 영역, 후방 허리 영역, 가랑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랑이 영역은 전방 허리 영역과 후방 허리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전방 허리 영역 내의 전방 허리 에지, 후방 허리 영역 내의 후방 허리 에지, 및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 및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와 상기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는 각각 전방 허리 에지로부터 후방 허리 에지로 연장되고; 신체 대향면과 의복 대향면을 포함하는 신체 대향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 대향 라이너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을 포함하고, 상기 엠보싱은 교차 슬릿 형성부를 포함하고; 배면시트를 포함하고; 신체 대향 라이너와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포함하고; 신체 대향면과 의복 대향면을 포함하는 취득층을 포함하고, 상기 취득층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는 안착된 구성으로 신체 대향 라이너의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을 수용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안착된 구성은, 흡수 용품이 신장되어 평평하게 펼쳐진 구성으로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에서 신체 대향 라이너의 의복 대향면이 취득층의 신체 대향면의 평면 부분보다 낮게 배치되도록 제공한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은 교차 슬릿 형성부를 포함한다.
실시예 5: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중 어느 하나의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신체 대향 라이너는 복수의 엠보싱을 포함하고 상기 취득층은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적어도 일부는 안착된 구성으로 신체 대향 라이너의 복수의 엠보싱 중 하나를 수용한다.
실시예 6: 실시예 5의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복수의 엠보싱 대부분은 교차 슬릿 형성부를 포함한다.
실시예 7: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중 어느 하나의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은 제1 깊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는 제2 깊이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깊이는 제2 깊이보다 작다.
실시예 8: 실시예 5의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복수의 엠보싱 대부분은 제1 깊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 대부분은 제2 깊이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깊이는 제2 깊이보다 작다.
실시예 9: 실시예 5의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복수의 엠보싱 대부분은 제1 깊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 대부분은 제2 깊이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깊이는 제2 깊이와 거의 동일하다.
실시예 10: 실시예 6의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복수의 엠보싱 대부분은 제1 깊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깊이는 교차 슬릿 형성부에서 최대 슬릿 길이보다 길다.
실시예 11: 실시예 6의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복수의 엠보싱 대부분은 제1 깊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 대부분은 제2 깊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깊이는 제2 깊이보다 작고, 상기 교차 슬릿 형성부에서 최대 슬릿 길이는 제2 깊이와 제1 깊이간 차이 이하이다.
실시예 12: 실시예 2의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취득층의 오목부는 상기 취득층을 통해서 상기 취득층의 신체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취득층의 의복 대향면으로 연장된다.
실시예 13: 실시예 2의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신체 대향 라이너는 복수의 엠보싱을 포함하고 상기 취득층은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적어도 일부는 안착된 구성에서 상기 신체 대향 라이너의 복수의 엠보싱 중 하나를 수용하고, 상기 취득층의 복수의 오목부 대부분은 취득층을 통하여 취득층의 신체 대향면으로부터 취득층의 의복 대향면까지 연장된다.
실시예 14: 실시예 5의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취득층의 복수의 오목부 대부분은 상기 취득층을 통해서 상기 취득층의 신체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취득층의 의복 대향면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실시예 15: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4 중 어느 하나의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취득층은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한다.
실시예 16: 실시예 15의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제1 층은 제1 평균 데니어의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제2 평균 데니어의 섬유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평균 데니어는 상기 제2 평균 데니어보다 크다.
실시예 17: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6 중 어느 하나의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취득층은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포함한다.
실시예 18: 실시예 5의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취득층은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은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제1 오목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제2 오목부로 연장된다.
실시예 19: 실시예 5의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취득층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채널 중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오목부 중 제1 오목부로부터 제2 오목부로 연장된다.
실시예 20: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은 제1 부피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는 제2 부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피는 제2 부피보다 적어도 약 10% 작다.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모든 문헌은, 관련 부분에서, 본원에 참고로 원용되며, 이러한 임의의 문헌 인용을, 이러한 문헌이 본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이라는 점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원의 용어에 지정된 의미 또는 정의는, 본원에서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가 참고로 원용된 문헌에서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와 상충하는 정도까지, 좌우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다른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고자 하는 것이다.

Claims (20)

  1. 길이방향 축과 측방향 축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흡수 용품은
    전방 허리 영역, 후방 허리 영역, 상기 전방 허리 영역과 상기 후방 허리 영역 사이에 배치된 가랑이 영역;
    상기 전방 허리 영역 내의 전방 허리 에지, 상기 후방 허리 영역 내의 후방 허리 에지, 및 각각 상기 전방 허리 에지로부터 상기 후방 허리 에지로 연장되는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 및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
    신체 대향면과 의복 대향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을 포함하는 신체 대향 라이너;
    배면시트;
    상기 신체 대향 라이너와 상기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 및
    평면 부분을 포함하는 신체 대향면과, 의복 대향면을 포함하는 취득층으로, 상기 취득층의 신체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취득층의 의복 대향면까지 연장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는 안착된(nested) 구성으로 상기 신체 대향 라이너의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을 수용하는, 상기 취득층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2. 길이방향 축과 측방향 축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으로서, 상기 흡수 용품은
    전방 허리 영역, 후방 허리 영역, 상기 전방 허리 영역과 상기 후방 허리 영역 사이에 배치된 가랑이 영역;
    상기 전방 허리 영역 내의 전방 허리 에지, 상기 후방 허리 영역 내의 후방 허리 에지, 및 각각 상기 전방 허리 에지로부터 상기 후방 허리 에지로 연장되는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 및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
    신체 대향면과 의복 대향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을 포함하되, 상기 엠보싱은 교차 슬릿 형성부를 포함하는, 신체 대향 라이너;
    배면시트;
    상기 신체 대향 라이너와 상기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 및
    신체 대향면과 의복 대향면을 포함하는 취득층으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는 안착된(nested) 구성으로 상기 신체 대향 라이너의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을 수용하는, 상기 취득층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된 구성은, 상기 흡수 용품이 신장되어 평평하게 펼쳐진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에서 상기 신체 대향 라이너의 의복 대향면이 상기 취득층의 신체 대향면의 평면 부분보다 낮게 배치되도록 제공하는, 흡수 용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은 교차 슬릿 형성부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대향 라이너는 복수의 엠보싱을 포함하고 상기 취득층은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적어도 일부는 안착된 구성으로 상기 신체 대향 라이너의 복수의 엠보싱 중 하나를 수용하는, 흡수 용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엠보싱 중 적어도 일부는 교차 슬릿 형성부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은 제1 깊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는 제2 깊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깊이는 상기 제2 깊이보다 작은, 흡수 용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엠보싱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깊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깊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깊이는 상기 제2 깊이보다 작은, 흡수 용품.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엠보싱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깊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깊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깊이는 상기 제2 깊이와 거의 동일한, 흡수 용품.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엠보싱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깊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깊이는 상기 교차 슬릿 형성부에서 최대 슬릿 길이보다 큰, 흡수 용품.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엠보싱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깊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깊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깊이는 상기 제2 깊이보다 작고, 상기 교차 슬릿 형성부에서 최대 슬릿 길이는 상기 제2 깊이와 상기 제1 깊이간 차이 이하인, 흡수 용품.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층의 오목부는 상기 취득층을 통해서 상기 취득층의 신체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취득층의 의복 대향면으로 연장되는, 흡수 용품.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대향 라이너는 복수의 엠보싱을 포함하고 상기 취득층은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적어도 일부는 안착된 구성에서 상기 신체 대향 라이너의 복수의 엠보싱 중 하나를 수용하고, 상기 취득층의 복수의 오목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취득층을 통해서 상기 취득층의 신체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취득층의 의복 대향면으로 연장되는, 흡수 용품.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층의 복수의 오목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취득층을 통해서 상기 취득층의 신체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취득층의 의복 대향면으로 연장되지 않는, 흡수 용품.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층은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제1 평균 데니어의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제2 평균 데니어의 섬유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평균 데니어는 상기 제2 평균 데니어보다 큰, 흡수 용품.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층은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층은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은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제1 오목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제2 오목부로 연장되는, 흡수 용품.
  1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층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채널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제1 오목부로부터 제2 오목부로 연장되는, 흡수 용품.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은 제1 부피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는 제2 부피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부피는 상기 제2 부피보다 적어도 약 10% 작은, 흡수 용품.
KR1020177028249A 2015-03-30 2015-03-30 3차원 형상 유지 구조를 갖는 흡수 용품 KR1018615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5/023298 WO2016159952A1 (en) 2015-03-30 2015-03-30 Absorbent article with three dimensional shape retain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957A KR20170118957A (ko) 2017-10-25
KR101861501B1 true KR101861501B1 (ko) 2018-05-28

Family

ID=57005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8249A KR101861501B1 (ko) 2015-03-30 2015-03-30 3차원 형상 유지 구조를 갖는 흡수 용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80049928A1 (ko)
KR (1) KR101861501B1 (ko)
CN (1) CN107405235B (ko)
AU (1) AU2015390007B2 (ko)
BR (1) BR112017019595B1 (ko)
MX (1) MX2017011772A (ko)
RU (1) RU2650062C1 (ko)
WO (1) WO20161599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16434A1 (en) 2016-03-08 2017-09-1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topsheet/acquisition web laminate
CN110366489B (zh) 2017-03-09 2021-07-30 宝洁公司 具有孔和空隙的三维材料
WO2019190501A1 (en) * 2018-03-28 2019-10-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EP3560465A1 (en) * 2018-04-27 2019-10-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having an acquisition layer with stretch openings and process to make them
EP3560466B1 (en) * 2018-04-27 2023-08-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multi-pieces acquisition layer
CN109009684A (zh) * 2018-09-05 2018-12-18 露乐健康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超薄复合吸收芯体
GB2614154B (en) * 2018-11-30 2023-09-20 Kimberly Clark Co Three-dimensional nonwoven material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3254A1 (en) 2005-09-23 2007-03-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sublayer
JP2009508620A (ja) 2005-09-23 2009-03-0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有孔の液体獲得二重層
US20120136329A1 (en) 2010-11-30 2012-05-31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an acquisition distribution layer with channel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9415B1 (en) * 1998-06-08 2002-11-12 Bki Holding Corporation Absorbent structures having fluid acquisition and distribution layer
US6534149B1 (en) * 1999-04-03 2003-03-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ntake/distribution material for personal care products
US20070135787A1 (en) * 2005-12-14 2007-06-14 Maria Raidel Extensible absorbent layer and absorbent article
EP2173298B1 (en) * 2007-06-12 2014-08-20 DSG Technology Holdings Ltd. Absorbent article with a slit absorbent co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3254A1 (en) 2005-09-23 2007-03-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sublayer
JP2009508620A (ja) 2005-09-23 2009-03-0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有孔の液体獲得二重層
US20120136329A1 (en) 2010-11-30 2012-05-31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an acquisition distribution layer with chan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390007B2 (en) 2020-02-27
WO2016159952A1 (en) 2016-10-06
KR20170118957A (ko) 2017-10-25
CN107405235B (zh) 2019-02-01
AU2015390007A1 (en) 2017-10-19
BR112017019595B1 (pt) 2022-07-12
BR112017019595A2 (pt) 2018-05-02
RU2650062C1 (ru) 2018-04-06
CN107405235A (zh) 2017-11-28
US20180049928A1 (en) 2018-02-22
MX2017011772A (es)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501B1 (ko) 3차원 형상 유지 구조를 갖는 흡수 용품
AU2013390291B2 (e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containment flaps
KR101837921B1 (ko) 선택적으로 위치된 허리 샘방지 부재를 구비한 흡수 용품
US9259362B2 (en) Absorbent article with containment flaps
US9168181B2 (en) Method of forming a containment system for an absorbent article
US9789013B2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ide lying leakage improvement
KR101886392B1 (ko) 탄성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KR101927036B1 (ko) 허리 샘방지 부재의 샘방지 포켓에 대한 개선된 접근성을 제공하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 용품
RU2674705C2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поглощающим текучую среду слоем, имеющим каналы
KR20190117797A (ko) 흡수 용품으로의 천공 구역의 통합
AU2012274992A1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ide lying leakage improvement
KR102166751B1 (ko) 배리어 영역을 제공하는 신체측 라이너를 구비한 흡수 용품
KR20190134723A (ko) 허리 샘방지 부재를 구비한 흡수 용품
KR101779751B1 (ko) 성별이 구분된 흡수 용품
KR20190093208A (ko) 개선된 다리 및 플랩 탄성체를 갖는 흡수 용품
KR20220003034A (ko) 개선된 유체 분포를 위한 채널을 포함하는 물질
WO2016122558A1 (en) Absorbent article with pocket having a first material component and a second materia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