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723A - 허리 샘방지 부재를 구비한 흡수 용품 - Google Patents

허리 샘방지 부재를 구비한 흡수 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723A
KR20190134723A KR1020197032334A KR20197032334A KR20190134723A KR 20190134723 A KR20190134723 A KR 20190134723A KR 1020197032334 A KR1020197032334 A KR 1020197032334A KR 20197032334 A KR20197032334 A KR 20197032334A KR 20190134723 A KR20190134723 A KR 20190134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absorbent article
proximal
waist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2153B1 (ko
Inventor
진호 류
경록 김
지현 홍
어연 황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134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61F13/4901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6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흡수 용품(10, 110, 210)은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72),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74), 근위 부분(76) 및 원위 부분(78)을 갖는 허리 샘방지 부재(54)를 포함할 수 있다. 접힘부(79a)는 원위 부분(78)으로부터 근위 부분(76)을 분리할 수 있다. 근위 부분(76)은 섀시(11)에 결합될 수 있고, 원위 부분(78)은 흡수 용품(10, 110, 210)이 이완된 구조로 있을 때 섀시(11)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여서, 개구(89)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힘부(79a)는 원위 부분(78)의 자유 에지(88)보다 측방향 축(31)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흡수 용품(10, 110, 210)은 한 쌍의 샘방지 플랩(50, 52)을 포함할 수 있다. 샘방지 플랩(50, 52)은 각각 베이스 부분(64) 및 돌출 부분(66)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허리 샘방지 부재를 구비한 흡수 용품
본 개시내용은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하나 이상의 허리 샘방지 부재를 갖는 용품에 관한 것이다.
개인 위생 흡수 용품의 주요 기능은, 흡수 용품으로부터 삼출물이 덜 누출되게 하고 흡수 용품의 착용자가 건조감을 느끼게 하는 원하는 추가 속성을 비롯하여 소변, 분비물, 혈액, 월경 등의 신체 삼출물을 흡수하고 보유하는 것이다. 흡수 용품으로부터 삼출물의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흡수 용품은 신체 삼출물이 착용자 또는 돌보는 사람의 의류 또는 착용자와 접촉할 수 있는 침구류와 같은 다른 용품을 더럽히거나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의도된다.
한 가지 공통 장애 모드는 삼출물이 흡수 용품의 후방 허리 영역 또는 전방 허리 영역에서 누출되는 것이다. 일례로서, 흡수 용품에 의해 흡수 또는 샘방지되지 않은 배설물은 흡수 용품과 후방 허리 영역에서 착용자의 피부 사이 간극을 지나서 이동하고 착용자의 피부와 착용자의 등에 가까운 의류를 더럽히거나 오염시킬 수 있다. 이것은 어린 아이들에게 일반적으로 있을 수 있는 저점도 배설물과 같은 반고체 배설물의 발생시 더욱 통상적일 수 있다. 이러한 삼출물들은, 흡수 용품의 착용자에 의한 중력, 운동, 힘 및 압력의 영향 하에, 흡수 용품의 신체측 라이너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착용자의 흡수 용품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의류 및/또는 침구류를 종종 변경할 필요가 있어서, 돌보는 사람의 추가 작업, 경비 및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특히 신체측 라이너에 또는 후방 허리 영역 가까이에 샘방지 시스템들을 제공하려는 시도가 과거에 있었다. 일례는 허리 탄성 부재를 제공하고 흡수 용품의 측방향 축에 가장 가까운 허리 샘방지 부재의 일부를 신체측 라이너에 부착하지 않아서, 허리 탄성 부재의 비접착 부분이 삼출물을 위한 샘방지 포켓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구조의 일례는 HUGGIES® Little Snugglers 기저귀이다. 이러한 샘방지 부재를 갖는 흡수 용품이 삼출액의 누출을 방지하고 적절하게 기능하도록 의도되었지만, 여전히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흡수 용품의 허리 영역들에서, 삼출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흡수 용품들의 샘방지 시스템들 및 샘방지 부재들을 개선하기 위한 바람이 있다. 또한, 흡수 용품을 바꿀 수 있을 때까지 신체 삼출물을 유지하기 위해서 증가된 보이드 용적을 가지도록 샘방지 시스템들을 개선하기 위한 바람이 있다.
제1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은 전방 허리 에지를 갖는 전방 허리 영역, 후방 허리 에지를 갖는 후방 허리 영역, 가랑이 영역, 길이방향 축 및 측방향 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흡수 용품은 흡수체를 포함하는 섀시로서, 신체 대향면 및 의복 대향면을 포함하는, 상기 섀시, 및 상기 섀시의 신체 대향면에 배치된 허리 샘방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허리 샘방지 부재는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 및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 근위 말단을 포함하는 근위 부분으로, 상기 근위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섀시의 신체 대향면에 결합되는, 상기 근위 부분, 원위 말단을 포함하는 원위 부분으로, 상기 허리 샘방지 부재의 상기 원위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흡수 용품이 이완된 구조로 있을 때 상기 섀시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기 원위 부분, 및 근위 부분으로부터 상기 원위 부분을 분리시키는 접힘부로, 상기 허리 샘방지 부재의 원위 부분의 원위 말단보다 상기 측방향 축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접힘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접힘부는 후방 허리 에지에 가장 근접하는 근위 부분의 영역보다 측방향 축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제1 또는 제2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허리 샘방지 부재는 2개의 물질 층 사이에 둘러싸인 하나 이상의 탄성중합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허리 샘방지 부재는 단일 물질의 웹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서, 제4 실시예의 단일 물질의 웹의 제1 말단은 상기 단일 물질의 웹의 제2 말단과 중첩되어 2개의 물질 층 사이의 탄성중합체 부재들을 둘러쌀 수 있다.
제6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근위 부분의 제1 근위 부분 영역은 섀시에 접합될 수 있고, 근위 부분의 제2 근위 부분 영역에는 섀시에 대한 부착이 없을 수 있다.
제7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6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원위 부분의 제1 원위 부분 영역은 흡수 용품이 이완된 구조로 있을 때 섀시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원위 부분의 제2 원위 부분 영역은 근위 부분에 접합될 수 있다.
제8 실시예에서, 제6 실시예의 제2 근위 부분 영역은 2개의 제1 근위 부분 영역들 사이에 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9 실시예에서, 허리 샘방지 부재는 근위 부분에 근접한 근위 말단 및 원위 부분에 근접한 원위 말단을 포함하는 중간 부분으로, 상기 근위 부분과 상기 원위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여기서 접힘부는 상기 중간 부분과 상기 원위 부분을 직접 분리하는 제1 접힘부일 수 있는, 상기 중간 부분, 및 상기 중간 부분으로부터 상기 근위 부분을 직접 분리하는 제2 접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0 실시예에서, 제9 실시예의 중간 부분은 탄성중합체 가닥이 없을 수 있다.
제11 실시예에서, 제9 실시예의 제2 접힘부는 제1 접힘부보다 후방 허리 에지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12 실시예에서, 제9 실시예의 중간 부분은 단일 물질 층을 포함할 수 있고, 근위 부분 및 원위 부분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적어도 2개의 물질 층을 포함한다.
제13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은 전방 허리 에지를 포함하는 전방 허리 영역, 후방 허리 에지를 포함하는 후방 허리 영역, 가랑이 영역, 길이방향 축 및 측방향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수 용품은 흡수체를 포함하는 섀시로, 신체 대향면과 의복 대향면을 포함하는, 상기 섀시, 제1 샘방지 플랩 및 제2 샘방지 플랩을 포함하는 한 쌍의 샘방지 플랩으로, 상기 제1 샘방지 플랩은 상기 길이방향 축의 제1 측에 있고 상기 제2 샘방지 플랩은 상기 길이방향 축의 제2 측에 있는, 상기 한 쌍의 샘방지 플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샘방지 플랩은 각각 근위 말단 및 원위 말단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분, 및 흡수 용품이 이완된 구조로 있을 때 적어도 가랑이 영역에서 섀시의 신체 대향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도록 구성된 돌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수 용품은 상기 섀시의 신체 대향면에 배치된 허리 샘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허리 샘방지 부재는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 및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 근위 말단을 포함하는 근위 부분으로, 상기 근위 부분의 제1 근위 부분 영역은 상기 섀시의 신체 대향면에 결합되며 상기 근위 부분의 제2 근위 부분 영역은 상기 섀시의 신체 대향면에 결합되지 않아서, 상기 근위 부분과 상기 섀시의 신체 대향면 사이에 제1 개구를 형성하는, 상기 근위 부분, 및 원위 말단을 포함하는 원위 부분으로, 상기 원위 부분의 제1 원위 부분 영역은 상기 근위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원위 부분의 제2 원위 부분 영역은 상기 근위 부분에 결합되지 않아서, 상기 원위 부분과 상기 근위 부분 사이에 제2 개구를 형성하는, 상기 원위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4 실시예에서, 제13 실시예의 제1 개구는 측방향 축에 대면할 수 있다.
제15 실시예에서, 제13 또는 제1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제2 개구는 후방 허리 에지에 대면할 수 있다.
제16 실시예에서, 제13 내지 제1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제1 개구는 제1 측방향 범위를 가질 수 있고, 제2 개구는 제2 측방향 범위를 가질 수 있고, 제1 범위와 제2 범위가 동일하다.
제17 실시예에서, 제13 내지 제16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제1 개구는 제1 측방향 범위를 가질 수 있고, 제2 개구는 제2 측방향 범위를 가질 수 있고, 제1 범위와 제2 범위가 상이하다.
제18 실시예에서, 제17 실시예의 제1 범위는 제2 범위보다 클 수 있다.
제19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은 전방 허리 에지를 포함하는 전방 허리 영역, 후방 허리 에지를 포함하는 후방 허리 영역, 가랑이 영역, 길이방향 축 및 측방향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수 용품은 흡수체를 포함하는 섀시로, 신체 대향면과 의복 대향면을 포함하는, 상기 섀시, 제1 샘방지 플랩 및 제2 샘방지 플랩을 포함하는 한 쌍의 샘방지 플랩으로, 상기 제1 샘방지 플랩은 상기 길이방향 축의 제1 측에 있고 상기 제2 샘방지 플랩은 상기 길이방향 축의 제2 측에 있는, 상기 한 쌍의 샘방지 플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샘방지 플랩은 각각 근위 말단 및 원위 말단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분, 및 흡수 용품이 이완된 구조로 있을 때 적어도 가랑이 영역에서 섀시의 신체 대향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도록 구성된 돌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수 용품은 상기 섀시의 신체 대향면에 배치된 허리 샘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허리 샘방지 부재는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 및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 근위 말단을 포함하는 근위 부분으로, 상기 근위 부분의 제1 근위 부분 영역들은 상기 섀시의 신체 대향면에 결합되며 상기 근위 부분의 제2 근위 부분 영역은 상기 흡수 용품이 이완된 구조로 있을 때 상기 섀시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이고, 여기서 상기 제2 근위 부분 영역은 상기 제1 근위 부분 영역들 사이에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근위 부분, 및 원위 말단을 포함하는 원위 부분으로, 상기 원위 부분의 제1 원위 부분 영역들은 상기 근위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원위 부분의 제2 원위 부분 영역은 상기 흡수 용품이 이완된 구조로 있을 때 상기 섀시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이고, 여기서 상기 제2 원위 부분 영역은 상기 제1 원위 부분 영역들 사이에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원위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0 실시예에서, 제19 실시예의 근위 부분은 제3 근위 부분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3 근위 부분 영역은 섀시의 신체 대향면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근위 부분 영역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1 실시예에서, 제20 실시예의 제3 근위 부분 영역은 제2 근위 부분 영역보다 후방 허리 에지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22 실시예에서, 제19 내지 제21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제2 근위 부분 영역은 약 25mm 내지 약 65mm의 길이방향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약은 본 개시내용의 각각의 실시예 또는 모든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에 대한 더욱 완전한 이해와 함께, 이점 및 성과는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을 참조함으로써 명백해지고 이해될 것이다.
당업자를 위해 충분히 실시가능한 개시 내용을, 첨부 도면이 참조되는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기재한다.
도 1은 체결된 상태에 있는, 기저귀와 같은 흡수 용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2는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이고, 미체결된 상태에 있는, 도 1의 흡수 용품의 상부 평면도이고;
도 3a는 이완된 구조로 도시되어 있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허리 샘방지 부재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도 2의 3-3 선을 따라서 본 횡단면도이고;
도 3b는 이완된 구조로 도시되어 있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허리 샘방지 부재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도 2의 3-3 선을 따라서 본 횡단면도이고;
도 4a는 이완된 구조로 도시되어 있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허리 샘방지 부재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도 2의 4-4 선을 따라서 본 횡단면도이고;
도 4b는 이완된 구조로 도시되어 있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허리 샘방지 부재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도 2의 4-4 선을 따라서 본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흡수 용품의 상부, 측면 사시, 분해도이고;
도 6a는 다양한 접합 영역을 도시하는 도 3a의 허리 샘방지 부재의 상부, 측면 사시, 분해도이고;
도 6b는 다양한 접합 영역을 도시하는 도 3b의 허리 샘방지 부재의 상부, 측면 사시, 분해도이고;
도 7은 도 2의 5-5 선을 따라서 본 정면 사시 횡단면도이고, 흡수 용품은 이완된 구조로 되어 있고;
도 8은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이고, 미체결된 상태에 있는, 기저귀와 같은 흡수 용품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상부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흡수 용품의 상부, 측면 사시, 분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8-8 선을 따라서 본 정면 사시 횡단면도이고, 흡수 용품은 이완된 구조로 되어 있고;
도 11은 팬티와 같은 흡수 용품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12는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상태에 있는 도 11의 흡수 용품의 상부 평면도이다.
본 개시내용이 다양한 변형 및 대안적인 형태로 될 수 있지만, 이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이 도면에서 예시로써 도시되었고 본원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측면들을 설명된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본 의도는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형, 균등물 및 대안을 다루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참조 문자의 반복적인 사용은 본 개시내용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 또는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의도된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허리 샘방지 부재를 갖는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각 예는,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 또는 도면의 일부로서 예시되거나 기술된 특징들은 여전히 추가적인 실시예를 만들기 위해 또 다른 실시예 또는 도면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이러한 수정과 변경을 포함하려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요소들 또는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입할 때, "한", "하나", "그", "상기" 라는 구는 그 요소들의 하나 이상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이라는 용어들은, 포괄적인 것이며, 열거된 요소들 외의 다른 추가 요소들이 존재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개시내용의 많은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정의:
"흡수 용품(absorbent article)"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착용자 신체에 맞대거나 또는 근접하게(즉, 신체에 인접하게) 놓여서 신체로부터 배출되는 다양한 액체, 고체, 반고체 삼출물들을 흡수하여 함유할 수 있는 용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흡수 용품은, 본원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재사용을 위해 세탁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복원되는 것이 아니라 제한된 사용 기간 후 폐기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저귀 팬티, 용변 연습용 팬티, 아동 팬티, 수영 팬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기저귀류, 월경 패드 또는 팬티, 실금 제품, 의료용 의복, 수술용 패드 및 붕대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여성 위생 제품, 및 기타 개인 위생 또는 건강 의복, 기타 등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일회용 흡수 용품들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취득층(acquisition layer)"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신체의 액체 삼출물의 배출이나 급증을 감속 및 확산시키고 후속하여 신체의 액체 삼출물을 흡수 용품의 다른 층이나 층들 내로 방출하도록 신체의 액체 삼출물을 수용하고 일시적으로 보유할 수 있는 층을 가리킨다.
"접합된"(bonded) 또는 "결합된"(coupled)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두 요소의 결합, 접착, 연결, 부착 등을 의미한다. 두 요소는, 그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또는 각각이 중간 요소들에 직접적으로 접합될 때처럼 서로 간접적으로 결합, 접착, 연결, 부착 등이 될 때에 함께 접합되거나 결합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한가지 요소의 다른 것에 대한 접합 또는 결합은 연속적이거나 단속적 접합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
"카디드 웹"(carded web)은, 본원에서, 통상적으로 섬유 길이가 약 100mm 미만인 천연 또는 합성 주요 길이 섬유를 포함하는 웹을 가리킨다. 단섬유들의 더미는, 섬유들을 분리하도록 개방 공정을 거칠 수 있고, 이어서 이러한 섬유들은, 분리 및 코빙(comb)하여 기계 방향으로 정렬한 후 섬유들을 추가 처리를 위해 이동 와이어 상에 적층되는 카딩(carding)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웹은, 일반적으로, 열 및/또는 압력을 이용하는 열적 접합 등의 일부 유형의 접합 공정을 거친다. 또한 또는 대신, 섬유는, 분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섬유들을 함께 접합하는 접착 공정을 거칠 수도 있다. 카디드 웹은, 섬유들을 더욱 뒤엉키게 하여 카디드 웹의 무결성을 개선하도록 수력엉킴(hydroentangling) 등의 유체 엉킴을 거칠 수도 있다. 카디드 웹은, 기계 방향으로의 섬유 정렬 때문에, 일단 접합되면, 통상적으로 교차 기계 방향 세기보다 큰 기계 방향 세기를 갖는다.
"필름"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주조 필름 또는 블로운 필름 압출 공정 등의 압출 및/또는 형성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 열가소성 필름을 가리킨다. 이 용어는, 배리어 필름, 충전된 필름, 통기성 필름, 배향 필름을 포함한 유체를 전달하지 않는 필름뿐만 아니라, 액체 전달 필름을 구성하는, 천공화된 필름, 슬릿 필름, 및 기타 다공성 필름을 포함하지만, 이러한 예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gsm"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제곱 미터당 그램을 가리킨다.
"친수성"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섬유와 접촉하고 있는 수성 액체에 의해 습윤되는 섬유 또는 섬유의 표면을 칭한다. 이에 따라, 물질의 습윤 정도는 연관된 액체 및 물질의 접촉각 및 표면 장력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 특정한 섬유 물질들 또는 섬유 물질들의 혼합물의 젖음성을 측정하기 위한 적합한 장비 및 기술은, Cahn SFA-222 표면력 분석기 시스템(Surface Force Analyzer System) 또는 실질적으로 등가의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 시스템으로 측정될 때, 90 미만의 접촉각을 갖는 섬유는 "젖음성" 또는 친수성인 것으로 지정되고, 90 초과의 접촉각을 갖는 섬유는 "비젖음성" 또는 소수성인 것으로 지정된다.
"액체 불투과성"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소변 등의 신체의 액체 삼출물이 정상 사용 조건 하에서, 액체 접촉점에서 층 또는 적층체의 평면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그 층 또는 적층체를 통과하지 않는 층 또는 다중층 적층체를 칭한다.
"액체 투과성"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액체 불투과성이 아닌 임의의 물질을 칭한다.
"멜트블로운"(meltblown)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용융된 실(thread) 또는 필라멘트로서 복수의 미세한 일반적으로 원형인 다이 모세관을 통해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마이크로섬유 직경일 수 있는 그 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해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의 필라멘트를 가늘게 하는 수렴 고속 가열 가스(예를 들어, 공기) 스트림으로 압출함으로써 형성된 섬유를 칭한다. 그런 다음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 가스 스트림에 의해 운반되고 수집 표면 위에 쌓여서 무작위 분산된 멜트블로운 섬유 웹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정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참조로 원용되는 Butin 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3,849,241호에 개시되어 있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는 마이크로섬유이고, 일반적으로 약 0.6 데니어(denier) 미만이고, 수집면 상에 적층될 때 끈적이면서 자체 접합형일 수 있다.
"부직포"(nonwoven)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직물 직조(weaving) 또는 편직(knitting) 공정의 도움 없이 형성된 물질 및 물질들의 웹을 칭한다. 상기 물질 및 물질들의 웹은, 편직물에서와 같이 식별 가능한 방식은 아니지만 짜일(interlay) 수 있는 개별적인 섬유, 필라멘트, 또는 실(총칭하여 "섬유"라 칭함)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부직포 물질 또는 웹은, 멜트블로운 공정, 스펀본딩 공정, 카디드 웹 공정 등의 많은 공정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지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유연한"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순응적이며 착용자의 신체의 대략적인 형상과 윤곽을 쉽게 따르는 물질을 칭한다.
용어 "스펀본드"(spunbond)는 본원에서, 원형 또는 기타 구성을 갖는 스피너레트(spinnerette)의 복수의 미세 모세관으로부터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필라멘트로서 압출함으로써 형성되는 소 직경의 섬유들을 가리키며, 이어서, 압출된 필라멘트들의 직경은 이덕티브 드로잉(eductive drawing)과 같은 종래의 공정에 의해 급속하게 감소되며, 그 예는, Appel 등의 미국특허 제4,340,563호, Dorschner 등의 미국특허 제3,692,618호, Matsuki 등의 미국특허 제3,802,817호, Kinney의 미국특허 제3,338,992호와 제3,341,394호, Hartman의 미국특허 제3,502,763호, Peterson의 미국특허 제3,502,538호, Dobo 등의 미국특허 제3,542,615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원용된다. 스펀본드 섬유는, 일반적으로 연속적이며, 약 0.3보다 큰 평균 데니어를 종종 가지고, 일 실시예에서는, 약 0.6, 5, 10 내지 약 15, 20, 40의 데니어를 갖는다. 스펀본드 섬유는, 수집면 상에 피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끈적거리지 않는다.
"초흡수성"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0.9 중량 퍼센트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 내에서, 가장 적당한 조건 하에서, 그 중량의 적어도 약 15배를, 일 실시예에서는 그 중량의 적어도 약 30배를 흡수할 수 있는 수팽창성(water-swellable) 수불용성(water-insoluble) 유기 또는 무기 물질을 지칭한다. 초흡수성 물질은, 천연, 합성, 및 개질된 천연 고분자 및 물질일 수 있다. 게다가, 초흡수성 물질은, 실리카 겔 등의 무기 물질 또는 가교 결합된 고분자 등의 유기 화합물일 수 있다.
"열가소성"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열에 노출시 성형될 수 있으며 냉각시 비연성화 상태로 실질적으로 복귀하는 연성화되는 물질을 가리킨다.
용어 "사용자" 또는 "돌보는 사람"은 본원에서, 흡수 용품, 예컨대 기저귀, 기저귀 팬티, 용변 연습용 팬티, 아동 팬티, 실금 제품, 또는 이들 흡수 용품 중 하나의 착용자 주변의 기타 흡수 용품이지만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는 것을 착용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사용자 및 착용자는 한 명이고 동일한 사람일 수 있다.
흡수 용품: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흡수 용품(10, 110), 예를 들어 기저귀의 비-제한적인 예가 도시되어 있다. 흡수 용품의 다른 실시예는 용변 연습용 팬티, 아동 팬티, 성인용 실금 의류 및 여성용 위생 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과 예시는 일반적으로 이하에서 제품의 기계 방향 제조라 칭하는 제품 길이방향(longitudinal direction)으로 제조되는 흡수 용품들에 적용될 수 있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그 정보를 본 개시내용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이하에서 제품의 교차 방향 제조라 칭하는 제품의 위도 방향으로 제조되는 흡수 용품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의 흡수 용품(210)은 교차 방향 제조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는 흡수 용품(210)의 예시적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흡수 용품(10), 도 8에서의 흡수 용품(110) 및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흡수 용품(210)은 각각 섀시(11)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 용품(10, 110, 210)은, 전방 허리 영역(12), 후방 허리 영역(14), 및 전방 허리 영역(12)과 후방 허리 영역(14) 사이에 배치되며 전방 및 후방 허리 영역들(12, 14)을 상호 연결하는 가랑이 영역(16)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허리 영역(12)을 전방 말단 영역이라고 칭할 수 있으며, 후방 허리 영역(14)을 후방 말단 영역이라고 칭할 수 있으며, 가랑이 영역(16)을 중간 영역이라 칭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210)의 3-피스 구조가 도시되고 여기서 흡수 용품(210)은 전방 허리 영역(12)을 한정하는 전방 허리 패널(13), 후방 허리 영역(14)을 한정하는 후방 허리 패널(15), 및 흡수 용품(210)의 가랑이 영역(16)을 한정하는 흡수 패널(17)을 포함하는 섀시(11)를 가질 수 있다. 흡수 패널(17)은 전방 허리 패널(13)과 후방 허리 패널(15) 사이에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흡수 패널(17)은 전방 허리 패널(13) 및 후방 허리 패널(15)과 중첩될 수 있다. 흡수 패널(17)은 전방 허리 패널(13) 및 후방 허리 패널(15)에 접합될 수 있어서 3-피스 구조를 한정한다. 그러나, 흡수 용품은 3-피스 구조의 의복이 아니라 교차 방향으로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흡수 용품(10, 110, 210)은, 한 쌍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18, 20), 및 전방 허리 에지(22)와 후방 허리 에지(24)로 각각 지정된 한 쌍의 대향하는 허리 에지들을 가질 수 있다. 전방 허리 영역(12)은 전방 허리 에지(22)와 인접할 수 있고, 후방 허리 영역(14)은 후방 허리 에지(24)와 인접할 수 있다.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18, 20)은 전방 허리 에지(22)로부터 후방 허리 에지(24)로 연장될 수 있다.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18, 20)은,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흡수 용품들(10, 110)과 같이, 에지들의 전체 길이에 대해 길이방향(30)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18, 20)은 전방 허리 에지(22)와 후방 허리 에지(24) 사이에서 만곡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의 흡수 용품(210)에서,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18, 20)은 전방 허리 패널(13), 흡수 패널(17) 및 후방 허리 패널(15)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허리 영역(12)은, 착용시 착용자의 전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흡수 용품(10, 110, 210)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는 반면, 후방 허리 영역(14)은, 착용시 착용자의 후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흡수 용품(10, 110, 210)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 용품(10, 110, 210)의 가랑이 영역(16)은, 착용시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 용품(10, 110, 210)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착용자의 하반신을 부분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흡수 용품(10, 110, 210)의 허리 에지들(22 및 24)은 착용자의 허리를 에워싸고 착용자의 허리에 대한 중앙 허리 개구부(23)(도 1 및 도 11에서 라벨링됨)를 함께 한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랑이 영역(16) 내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18, 20)의 부분들은 일반적으로 흡수 용품(10, 110, 210)이 착용될 때 착용자의 다리에 대한 다리 개구들을 한정할 수 있다.
흡수 용품(10, 110, 210)은 외부 커버(26)와 신체측 라이너(28)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커버(26)와 신체측 라이너(28)는 섀시(11)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체측 라이너(28)는, 접착제, 초음파 접합, 열 접합, 압력 접합, 또는 기타 종래의 기술 등의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중첩된 관계로 외부 커버(26)에 접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수단의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로서, 도 3a 내지 도 4b는 접착제(27)로 외부 커버(26)에 접합된 신체측 라이너(28)를 도시한다. 외부 커버(26)는, 길이방향(30)으로의 길이 및 측방향(32)으로의 폭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예시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 110)의 길이 및 폭과 일치할 수 있다. 도 2,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 용품(10, 110, 210)은 길이방향(30)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29) 및 측방향(32)으로 연장되는 측방향 축(31)을 가질 수 있다.
섀시(11)는 흡수체(34)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체(34)는 외부 커버(26)와 신체측 라이너(2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흡수체(34)는 일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 110, 210)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18, 20)의 부분들을 각각 형성할 수 있는, 길이방향 에지들(36, 38)을 가질 수 있다. 흡수체(34)는 일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 110)의 허리 에지들(22, 24)의 부분들을 각각 형성할 수 있는, 제2 말단 에지(42) 반대쪽에 있는 제1 말단 에지(40)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말단 에지(40)는 전방 허리 영역(12)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말단 에지(42)는 후방 허리 영역(14)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체(34)는 흡수 용품(10, 110, 210)의 길이 및 폭과 동일하거나 작은 길이 및 폭을 가질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28), 외부 커버(26) 및 흡수체(34)는 흡수 조립체(44)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의 흡수 용품(210)에서, 흡수 패널(17)은 흡수 조립체(44)를 형성할 수 있다. 흡수 조립체(44)는 또한 당 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유체 전달층(46)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음) 및 신체측 라이너(28)와 유체 전달층(46) 사이에 유체 취득층(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 조립체(44)는 또한 흡수체(34)와 외부 커버(26)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 층(48) (도 5,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음)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 용품(10, 110, 210)은, 착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액체, 고체, 및 반고체 신체 삼출물을 함유 및/또는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샘방지 플랩들(50, 52)은 신체 삼출물의 측방향 흐름에 대한 배리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체 삼출물의 샘방지 및/또는 흡수를 더욱 향상시키도록, 흡수 용품(10, 110, 210)은 허리 샘방지 부재(54)를 적절히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흡수 용품(10, 110, 210)의 후방 허리 영역(14)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내용의 흡수 용품(10, 110, 210)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방 허리 영역(12)에 배치된 허리 샘방지 부재(5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흡수 용품(10, 110, 210)은 후방 허리 영역(14), 전방 허리 영역(12), 또는 후방 허리 영역(14)과 전방 허리 영역(12) 양쪽 모두에 허리 샘방지 부재(54)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용품의 후방 허리 영역(14)에만 도시될 것이다.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섀시(11)의 신체 대향면(19)에 배치될 수 있어서 신체 삼출물을 샘방지 및/또는 흡수하는 것을 돕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컨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흡수 용품들(10, 110)에서와 같이, 허리 샘방지 부재(54)가 흡수 조립체(44)의 신체 대향면(45)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신체측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56)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컨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흡수 용품(210)에서와 같이, 허리 샘방지 부재(54)가 후방 허리 패널(15)의 신체 대향면(58)에 배치될 수 있다.
흡수 용품(10, 110, 210)은 당 업계에 숙련된 자들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다리 탄성 부재들(60, 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리 탄성 부재들(60, 62)은, 대향하는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18, 20)을 따라 외부 커버(26) 및/또는 신체측 라이너(28)에 부착될 수 있고, 흡수 용품(10, 110, 210)의 가랑이 영역(16)에 위치할 수 있다. 다리 탄성 부재들(60, 62)은 도 2,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축(29)에 평행할 수 있거나, 또는 당 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만곡될 수 있다. 다리 탄성 부재들(60, 62)은 탄성 다리 커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흡수 용품(10, 110, 210)은 도 2,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대로 길이방향 연장 접힘선들(25a, 25b)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길이방향 연장 접힘선(25a)은 흡수 용품(10, 110, 210)의 길이방향 축(29)의 일측에 있을 수 있고, 제2 길이방향 연장 접힘선(25b)은 길이방향 축(29)의 반대측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길이방향 연장 접힘선들(25a, 25b)은 일반적으로 흡수 용품(10, 110, 210)의 길이방향 축(29)에 평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흡수 용품(10, 110, 210)은 측방향 연장 접힘선(27)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측방향 연장 접힘선(27)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흡수 용품(10, 110, 210)의 측방향 축(31)과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하는 흡수 용품(10, 110, 210)의 이러한 요소들의 각각에 대한 추가 세부사항을 하기 및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찾을 수 있다.
외부 커버:
외부 커버(26) 및/또는 그 부분들은 통기성 및/또는 액체 불투과성일 수 있다. 외부 커버(26) 및/또는 그 부분들은 탄성,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일 수 있다. 외부 커버(26)는, 단일층, 다수의 층, 적층체, 스펀본드 직물, 멜트블로운 직물, 탄성 편직(netting), 미공성(microporous) 웹, 접합-카디드 웹, 또는 탄성중합체나 고분자 물질에 의해 제공되는 폼(foa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외부 커버(26)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미공성 고분자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커버(26)는 고분자 필름 같은, 액체 불투과성 물질의 단일 층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커버(26)는, 흡수 용품(10, 110, 210)의 적어도 측방향(32)으로 적절하게는 연신 가능하며, 더욱 적절하게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커버(26)는, 측방향(32)과 길이방향(30) 모두에 있어서 연신 가능하며, 더욱 적절하게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커버(26)는, 다중층 중 적어도 한 층이 액체 불투과성을 갖는 다중층 적층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외부 커버(26)는, 예를 들면 적층체 접착제에 의해 함께 접합될 수 있는 외부층(미도시) 및 내부층(미도시)을 포함하는, 2층 구조일 수도 있다. 적절한 적층체 접착제는 비드, 스프레이, 평행한 소용돌이 등으로서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도포될 수 있지만, 내부층은 초음파 접합, 열 접합, 압력 접합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접합 방법들에 의해 외부층에 접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외부 커버(26)의 외부층은, 임의의 적절한 물질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의복형 텍스처나 외관을 착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일례는, 30gsm Sawabond 4185® 또는 균등물 등의 독일 Sandler A.G.에서 시판되고 있는 다이아몬드 접합 패턴을 갖는 100% 폴리프로필렌 접합-카디드 웹일 수 있다. 외부 커버(26)의 외부층으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다른 물질의 예는 20gsm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웹일 수 있다. 외부층은 또한 신체측 라이너(28)가 본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커버(26)(또는, 외부 커버(26)가 단일층 구성인 경우 액체 불투과성 외부 커버(26))의 액체 불투과성 내부층은 증기 투과성(즉, "통기성") 또는 증기 불투과성일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내부층(또는 외부 커버(26)가 단일층 구성인 경우 액체 불투과성 외부 커버(26))은 얇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내부층(또는 외부 커버(26)가 단일층 구성인 경우 액체 불투과성 외부 커버(26))은, 착용자와 돌보는 사람뿐만 아니라 흡수 용품(10, 110, 210) 및 침대 시트와 의류 등의 습윤성 용품으로부터 액체 신체 삼출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 커버(26)가 단일층 구성인 몇몇 실시예에서, 더욱 의류형 텍스처 또는 외관을 제공하도록 양각될 수 있고 및/또는 무광택 마감처리될 수 있다. 외부 커버(26)는, 액체가 흡수 용품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기체가 흡수 용품(10)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한다. 적절한 액체 불투과성 증기 투과성 물질은 코팅되거나 달리 처리되는 미소공성 중합체 필름 또는 부직포 물질로 구성됨으로써 원하는 수준의 액체 불투과성을 부여하게 될 수 있다.
흡수체:
흡수체(34)는, 일반적으로 압축성, 순응성, 유연성을 갖고 착용자의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신체의 액체 분비물을 흡수 및 보유할 수 있도록 적절히 구성될 수 있다. 흡수체(34)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예컨대, 직사각형, 사다리꼴, T자 형상, I자 형상, 모래 시계 형상, 등)으로와 다양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흡수체(34)의 크기와 흡수 용량은 의도한 착용자(유아 내지 성인)의 크기 및 흡수 용품(10, 110, 210)의 의도한 용도에 의해 부여되는 액체 로딩과 상용가능해야 한다. 흡수체(34)는, 흡수 용품(10, 110, 210)의 길이와 폭 이하일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체(34)는, 친수성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예를 들면, 목재 펄프 섬유), 천연 섬유, 합성 섬유, 직물 또는 부직포 시트, 스크림 편직 또는 다른 안정화 구조, 초흡수성 물질, 바인더 물질, 계면활성제, 선택된 소수성 및 친수성 물질, 안료, 로션, 냄새 조절제 등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의 웹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체(34)는 셀룰로오스 플러프와 초흡수성 물질의 매트릭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체(34)는, 물질들의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대안적인 예에서는 물질들의 두 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흡수체(34)에 습윤성 친수성 섬유들의 다양한 유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적절한 섬유의 예로는 천연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로 구성된 합성 섬유, 예를 들면 레이온 섬유; 본질적으로 습윤성 물질로 구성된 무기 섬유, 예를 들면 유리 섬유; 본질적으로 습윤성 열가소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합성 섬유, 예를 들면 특정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 또는 비습윤성 열가소성 중합체로 구성된 합성 섬유, 예를 들면 적절한 수단에 의해 친수화되는 폴리올레핀 섬유를 포함한다. 섬유들은,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에 의한 처리, 실리카에 의한 처리, 적절한 친수성 부분을 가지면서 섬유로부터 쉽게 제거되지 않는 물질에 의한 처리에 의해, 또는 섬유의 형성 동안 또는 그 후에 비습윤성의 소수성 섬유를 친수성 중합체로 감싸는 것에 의해 친수성화될 수 있다. 적절한 초흡수성 물질은 천연, 합성 및 개질된 천연 중합체 및 재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초흡수성 물질은 무기 물질, 예를 들면 실리카 겔, 또는 유기 화합물, 예를 들면 가교결합된 중합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체(34)에는 초흡수성 물질이 없을 수 있다.
스페이서 층(48)이 존재한다면, 흡수체(34)는 스페이서 층(48)에 배치되고 외부 커버(26) 위에 중첩될 수 있다. 스페이서 층(48)은,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외부 커버(26)에 접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페이서 층(48)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흡수체(34)는 외부 커버(26)와 직접 접촉할 수 있고 외부 커버(26)에 직접 접합될 수 있다. 그러나, 흡수체(34)가 외부 커버(26)와 접촉할 수도 있고 접촉하지 않을 수 있으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기 바란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커버(26)는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흡수체(34)는 외부 커버(26)의 단일층과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체 전달층(46) 및/또는 스페이서 층(48)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층의 적어도 일부분은, 흡수체(34)와 외부 커버(2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흡수체(34)는 유체 전달층(46) 및/또는 스페이서 층(48)에 접합될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
흡수 용품(10, 110, 210)의 신체측 라이너(28)는 흡수체(34) 및 외부 커버(26)를 덮어씌울 수 있고 흡수체(34)에 의해 보유된 액체 오물로부터 착용자의 피부를 격리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46)은 신체측 라이너(28)와 흡수체(3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취득층(미도시)은 신체측 라이너(28)와 흡수체(34) 또는 존재하는 경우 유체 전달층(4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신체측 라이너(28)는 접착제를 통해 그리고/또는 포인트 융합 접합에 의해, 취득층에, 또는 취득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유체 전달층(46)에 접합될 수 있다. 포인트 융합 접합은 초음파, 열, 압력 접합, 및 그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체측 라이너(28)는 흡수체(34) 및/또는 존재하는 경우, 유체 전달층(46), 및/또는 존재하는 경우, 취득층, 및/또는 존재하는 경우 스페이서 층(48)을 넘어서 연장될 수 있어 외부 커버(26)의 일부분을 덮어씌우고,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것과 같은, 적합하게 여겨지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외부 커버에 접합되어, 외부 커버(26)와 신체측 라이너(28) 사이에 흡수체(34)를 실질적으로 에워쌀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대로, 신체측 라이너(28)는 외부 커버(26)보다 좁을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신체측 라이너(28)와 외부 커버(26)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7에 예시된 실시예들에서 도시된 대로, 폭과 길이에서 동일한 치수를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신체측 라이너(28)는 외부 커버(26)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신체측 라이너(28)는 흡수체(34)를 넘어서 연장되지 않을 수 있고/있거나 외부 커버(26)에 고정되지 않을 수 있음이 고려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흡수 용품(110)에서, 신체측 라이너(28)는, 흡수체(34)의 길이방향 에지들(36, 38) 양자 및/또는 말단 에지들(40, 42) 중 하나 이상 둘레에 둘러싸는 것을 포함해, 흡수체(34)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28)는 하나 이상의 재료 부위로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신체측 라이너(28)는 직사각형, 모래 시계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을 포함하는 상이한 형상일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28)는, 적절하게 유연하고, 부드러운 느낌이고, 착용자의 피부에 무자극일 수 있고, 흡수체(34)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적은 친수성일 수 있어 신체 삼출물이 흡수체(34)로 쉽게 관통하게 할 수 있고 착용자에게 비교적 건조한 표면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28)는 합성 섬유(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천연 섬유(예를 들면, 목재 또는 면 섬유), 천연 및 합성 섬유의 조합, 다공성 폼, 망형(reticulated) 폼, 개구형 플라스틱 필름 등과 같은 물질들의 광범위한 선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물질의 예들은 레이온, 목재, 면,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또는 다른 열 접합 가능한 섬유, 한정되지는 않지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의 코폴리머와 같은 폴리올레핀, 선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락틱산, 미세 천공 필름 웹, 그물 물질과 같은 지방족 에스테르 등, 또한 그들의 조합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직포 및 부직포 직물이 신체측 라이너(28) 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28)는 직포 직물, 부직포 직물, 고분자 필름, 필름-직물 적층체 등, 또한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부직포 직물의 예들은 스펀본드 직물, 멜트블로운 직물, 코폼 직물, 카디드 웹, 본디드 카디드 웹, 이성분 스펀본드 직물, 스펀레이스 등, 또한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28)는 단일 층 구조일 필요는 없으며, 따라서 한 층 보다 많은 직물, 필름 및/또는 웹 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측 라이너(28)는 수력엉킴될 수 있는 지지층 및 돌출층을 포함할 수 있다. Kirby, Scott S.C. 등에 의한 미국 특허 번호 9,474,660에 개시된 것들과 같은 중공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전문은 본원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예를 들면, 신체측 라이너(28)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멜트블로운 또는 스펀본드 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신체측 라이너(28)는 천연 및/또는 합성 섬유로 구성된 본디드 카디드 웹일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28)는 실질적으로 소수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소수성 물질은 선택적으로 계면 활성제로 처리될 수 있거나, 달리 원하는 수준의 습윤성 및 친수성을 부여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분무, 인쇄, 브러쉬 코팅 등과 같은 임의의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가 전체 신체측 라이너(28)에 도포될 수 있거나, 또는 신체측 라이너(28)의 특정 부위들에 선택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체측 라이너(28)는 부직포 이성분 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직포 이성분 웹은 스펀본디드 이성분 웹, 또는 본디드 카디드 이성분 웹일 수 있다. 이성분 단섬유의 예는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이성분 섬유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정 이성분 섬유에서, 폴리프로필렌은 코어를 형성하고, 폴리에틸렌은 섬유의 시스(sheath)를 형성한다. 다엽(multi-robe),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ide), 말단-대-말단(end-to-end)와 같은, 다른 배향을 갖는 섬유가 본 개시내용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체측 라이너(28)는 약 10 또는 12 내지 약 15 또는 20gsm의 평량을 갖는 스펀본드 기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체측 라이너(28)는 2개의 스펀본드 층 사이에 도포된 10% 멜트블로운 함량을 갖는 12gsm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기재일 수 있다.
외부 커버(26) 및 신체측 라이너(28)가 탄성중합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지만, 외부 커버(26) 및 신체측 라이너(28)는 일반적으로 비탄성중합체인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일 실시예에서, 신체측 라이너(28)는 신축성일 수 있고, 보다 적절하게는 탄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체측 라이너(28)는 흡수 용품(10, 110, 210)의 적어도 측방향 또는 원주 방향으로 적절하게는 신축성일 수 있고, 보다 적절하게는 탄성일 수 있다. 다른 측면들에서, 신체측 라이너(28)는 각각, 측방향 및 길이방향(32 및 30) 양쪽으로 신축성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성일 수 있다.
샘방지 플랩들:
일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 110, 210)은 한 쌍의 샘방지 플랩들(50, 52)을 포함할 수 있다. 샘방지 플랩들(50, 52)은 흡수성 섀시(11)와 별도로 형성되어 섀시(11)에 부착될 수 있거나 섀시(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샘방지 플랩들(50, 52)은 다리 개구부들의 측방향으로 안쪽으로 서로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관계로 흡수 용품(10, 110, 210)의 섀시(11)에 고정될 수 있어, 신체 삼출물의 흐름에 대한 장벽을 제공한다. 하나의 샘방지 플랩(50)은 길이방향 축(29)의 제1 측에 있을 수 있고 다른 샘방지 플랩(52)은 길이방향 축(29)의 제2 측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샘방지 플랩들(50, 52)은 흡수 용품(10, 110)의 전방 허리 영역(12)으로부터 가랑이 영역(16)을 통해 흡수 용품(10)의 후방 허리 영역(14)으로 일반적으로 길이방향(30)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샘방지 플랩들(50, 52)은 흡수 용품(10, 110, 210)의 길이방향 축(29)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지만,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샘방지 플랩들(50, 52)은 당 업계에 공지된 대로 만곡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의 흡수 용품(210)과 같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샘방지 플랩들(50, 52)은 가랑이 영역(16)에서 흡수 패널(17)에 배치될 수 있다.
샘방지 플랩들(50, 52)이 섀시(11)에 결합된 실시예들에서, 샘방지 플랩들(50, 52)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대로, 장벽 접착제(49)로 신체측 라이너(28)에 접합될 수 있고, 또는 샘방지 플랩들(50, 52)은, 도 9에 도시된 대로, 장벽 접착제(49)로 외부 커버(26)에, 또는, 도 10에 도시된 대로, 스페이서 층(48)에 접합될 수 있다. 물론, 샘방지 플랩들(50, 52)은 섀시(11)의 다른 성분들에 접합될 수 있고 장벽 접착제(49) 이외의 다른 적절한 수단으로 접합될 수 있다. 샘방지 플랩들(50, 52)은 신체측 라이너(28)를 형성하는 물질과 유사할 수 있는 섬유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고분자 필름과 같은 다른 통상적인 물질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샘방지 플랩들(50, 52)은 각각 베이스 부분(64) 및 돌출 부분(66)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64)은 섀시(11)에, 예를 들어, 전술한 대로 신체측 라이너(28) 또는 외부 커버(26)에 접합될 수 있다. 베이스 부분(64)은 근위 말단(64a) 및 원위 말단(64b)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부분(66)은 베이스 부분(64)의 근위 말단(64a)에서 베이스 부분(64)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문맥에서 사용되는 대로, 베이스 부분(64)의 근위 말단(64a)이 돌출 부분(66)과 베이스 부분(64) 사이 전이부를 한정하므로 돌출 부분(66)은 베이스 부분(64)의 근위 말단(64a)에서 베이스 부분(64)으로부터 분리된다. 베이스 부분(64)의 근위 말단(64a)은 장벽 접착제(49) 가까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분(64)의 원위 말단(64b)은 흡수 용품(10, 110, 210)의 각각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18, 20)로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베이스 부분(64)의 원위 말단(64b)은 흡수 용품(10, 110, 210)의 각각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18, 20)의 측방향으로 안쪽으로 종단될 수 있다.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대로, 흡수 용품(10, 110, 210)이 이완된 구조로 있을 때 샘방지 플랩들(50, 52)은 또한 각각 적어도 가랑이 영역(16)에서 섀시(11)의 신체 대향면(19)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돌출 부분(66)을 포함할 수 있다. 샘방지 플랩들(50, 52)은 전방 허리 영역(12) 및 후방 허리 영역(14)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에 고정(tack-down) 영역(71)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돌출 부분(66)은 섀시(11)의 신체 대향면(19)에 결합된다.
샘방지 플랩들(50, 52)은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5의 샘방지 플랩들(50, 52)은 전방 및 후방 허리 영역들(12, 14) 모두에서 고정 영역(71)과 수직 샘방지 플랩(50, 52)을 도시하고 여기에서 각각의 샘방지 플랩(50, 52)의 돌출 부분(66)은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 축(29)을 향하여 또는 멀리 신체측 라이너(28)에 고정된다. 그러나, 샘방지 플랩들(50, 52)은 도 7에 도시된 대로 고정 영역(71)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서 샘방지 플랩들(50, 52) 각각의 돌출 부분(66)은, Robert L. Popp 등의 미국 특허 번호 5,895,382에서 설명되고 당 업계에 공지된 대로, 자체적으로 접히고 "C-형상" 구조로 그 자체와 신체측 라이너(28)에 결합된다. 또 다른 대안예로서, Robert L. Popp 등에 의한 미국 특허 번호 9,259,362에 설명한 바와 같이, 샘방지 플랩들(50, 52)이 "T-형상"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구조는 또한 전방 및 후방 허리 영역들(12, 14)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에서 각각 고정 영역(71)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샘방지 플랩들(50, 52)의 다른 구조들이 흡수 용품(10, 110, 210)에서 사용될 수 있고 여전히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샘방지 플랩들(50, 52)은 도 2, 도 7,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2개의 플랩 탄성 가닥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플랩 탄성 부재들(68)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랩 탄성 부재들(68)을 위한 적합한 탄성 물질들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물질들의 시트, 가닥 또는 리본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2개의 탄성 부재들(68)이 각각의 샘방지 플랩(50, 52)에 나타나 있지만, 샘방지 플랩들(50, 52)은 1개 또는 3개 이상의 탄성 부재들(68)을 가지고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샘방지 플랩들(50, 52)은 자체 탄성 특성을 보이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도 7,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 탄성 부재들(68)은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관계로 샘방지 플랩들(50, 52)의 돌출 부분(66)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중합체 물질의 2개의 가닥을 가질 수 있다. 탄성 부재들(68)은, 가닥들의 수축이 샘방지 플랩들(50, 52)의 돌출 부분들(66)을 길이방향(30)으로 모아 단축시키도록 탄성 수축 가능한 조건으로 있는 동안에, 샘방지 플랩들(50, 52) 내에 있을 수 있다. 그 결과, 탄성 부재들(68)은 샘방지 플랩들(50, 52)의 돌출 부분들(66)을 편향시켜서, 흡수 용품(10)이 이완 구조로 될 때, 특히 흡수 용품(10, 110, 210)의 가랑이 영역(16)에서, 샘방지 플랩들(50, 52)의 일반적으로 직립 배향으로 흡수 조립체(44)의 신체 대향면(45)으로부터 멀리 연장될 수 있다.
샘방지 플랩들(50, 52)의 제조 중 탄성 부재들(68)이 신장되는 동안 탄성 부재들(68)의 적어도 일부는 샘방지 플랩들(50, 52)에 접합될 수 있다. 탄성 부재들(68)의 신장율은, 예를 들어, 약 110% 내지 약 35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들(68)은, 탄성 부재들(68)을 샘방지 플랩들(50, 52)에 부착하기 전 지정된 길이로 신장되면서 접착제로 코팅될 수 있다. 펼쳐진 상태에서, 접착제가 결합된 탄성 부재들(68)의 길이는, 흡수 용품(10, 110)의 이완시 모이는, 도 2 및 도 8에 라벨링된 대로, 샘방지 플랩들(50, 52)에서 능동 플랩 탄성 영역(70)을 제공할 수 있다. 샘방지 플랩들(50, 52)의 능동 플랩 탄성 영역(70)은 흡수 용품(10, 110, 210)의 길이 미만인 길이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탄성 부재들(68)을 샘방지 플랩들(50, 52)에 접합하는 이런 예시적 방법에서, 접착제로 코팅되지 않은 탄성 부재들(68)의 일부는, 탄성 부재들(68) 및 흡수 용품(10)이 제조시 절단되어서 개별 흡수 용품(10, 110)을 형성한 후 후퇴할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흡수 용품(10, 110, 210)이 이완된 상태로 있을 때 능동 플랩 탄성 영역(70)에서 탄성 부재들(68)의 이완은,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대로, 각각의 샘방지 플랩(50, 52)이 모이도록 할 수 있고 각각의 샘방지 플랩(50, 52)의 돌출 부분(66)이 섀시(11)의 신체 대향면(19) (예컨대, 흡수 조립체(44)의 신체 대향면(45) 또는 신체측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56))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탄성 부재들(68)이 당 업계의 숙련된 자들에 의해 공지된 대로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샘방지 플랩들(50, 52)에 접합될 수 있어서 능동 플랩 탄성 영역(70)을 제공하는데, 이것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부가적으로, 능동 플랩 탄성 영역들(70)은, 전방 허리 에지(22)와 후방 허리 에지(24)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해, 본원에 도시된 것보다 더 짧거나 더 길 수 있고, 여전히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다리 탄성체들:
다리 탄성 부재들(60, 62)은, 흡수 용품(10, 110, 210)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18, 20)의 일반적으로 측방향으로 안쪽으로, 예를 들면 적층체 접착제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외부 커버(26)에 고정될 수 있다. 다리 탄성 부재들(60, 62)은 신체 삼출물을 함유하는 데에 추가로 조력하는 탄성화된 다리 커프스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리 탄성 부재들(60, 62)은 외부 커버(26)의 내부 및 외부층들(미도시) 사이 또는 흡수 용품(10)의 다른 층들 사이,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대로 각각의 샘방지 플랩(50, 52)의 베이스 부분(64)과 신체측 라이너(28) 사이, 도 10에 도시된 대로 각각의 샘방지 플랩(50, 52)의 베이스 부분(64)과 외부 커버(26) 사이, 또는 신체측 라이너(28)와 외부 커버(26)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리 탄성 부재들(60, 62)은 각각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18, 20)에 가까운 하나 이상의 탄성 성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도시된 대로 다리 탄성 부재들(60, 62)은 각각 2개의 탄성 가닥들을 포함한다. 광범위한 탄성 물질들이 다리 탄성 부재들(60, 62)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탄성 물질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열 가소성 탄성중합체 물질들의 시트, 가닥 또는 리본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물질들은 신축되고 기재에 고정될 수 있거나, 주름진 기재에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기재에 고정되고 나서 예를 들면 열 인가로 탄성화 또는 수축될 수 있어, 탄성 수축력이 기재에 부여된다. 부가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리 탄성 부재들(60, 62)이 샘방지 플랩들(50, 52)과 형성된 후 섀시(11)에 부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물론, 다리 탄성 부재들(60, 62)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흡수 용품(10, 110, 210)으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허리 샘방지 부재:
일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 110, 210)은 하나 이상의 허리 샘방지 부재들(54)을 가질 수 있다. 허리 탄성 부재(들)(54)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허리 영역(14)에 배치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검토되는 바와 같이,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신체 삼출물, 특히 저점도 배설물을 함유 및/또는 흡수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이와 같이, 후방 허리 영역(14)에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 110, 210)은 전방 허리 영역(12)에 배치된 허리 샘방지 부재(54)를 가질 수 있다. 전방 허리 영역(12)에서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전방 허리 영역(12)에서 소변과 같은 신체 삼출물을 함유 및/또는 흡수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후방 허리 영역(14)에서처럼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일부 경우에, 배설물은 또한 전방 허리 영역(12)으로 퍼질 수 있고, 따라서, 전방 허리 영역(12)에 배치된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신체 삼출물을 또한 함유 및/또한 흡수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흡수 용품(10, 110, 210)은 후방 허리 영역(14)과 전방 허리 영역(12) 양쪽에 허리 샘방지 부재(54)를 가질 수 있다.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흡수 조립체(44)의 신체 대향면(45)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로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신체측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56)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1 및 도 12에서 흡수 용품(210)과 같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후방 허리 패널(15)의 신체 대향면(58)에 배치될 수 있다.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72) 및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72)는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74)의 반대쪽에 있을 수 있다.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72)와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74) 사이 거리는, 도 2에 도시된 대로, 측방향(32)으로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폭(51)을 한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72)는 흡수 용품(10, 110, 210)의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18)와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74)는 흡수 용품(10, 110, 210)의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20)와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 2, 도 7,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대로,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72)가 샘방지 플랩(50)의 베이스 부분(64)의 근위 말단(64a)의 측방향으로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74)가 샘방지 플랩(52)의 베이스 부분(64)의 근위 말단(64a)의 측방향으로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대로,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폭(51)이 길이방향 연장 접힘선들(25a, 25b) 사이 측방향 거리보다 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72)는 제1 길이방향 연장 접힘선(25a)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74)는 제2 길이방향 연장 접힘선(25b)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일반적으로 말단(105a, 107a, 또는 105b, 107b)을 갖는 물질(103), 및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들(86)을 포함한다. 물질(103)은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들(86)을 둘러싸도록 접힌 단일 물질 웹의 사용을 통해서나, 2개의 물질 웹 사이에 개재된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들(86)을 갖는 2개의 개별 물질 웹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들(86)을 둘러싸는 적층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들(86)을 둘러싸도록 접힌 단일 물질 웹(103)으로 그려져 있지만, 본 개시내용을 이러한 특정한 접힌 구조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말단(105a, 107a)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말단들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오히려, 말단(105a, 107a)은 탄성 부재들(86)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지만 적층체 구조의 제1 부분들 전체에 걸쳐서 2개의 물질 층을 포함하고 적층체 구조의 하나 이상의 제2 부분들 전체에 걸쳐서 단일 물질 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구조를 형성하도록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제2 부분들은 허리 샘방지 부재(54)를 통해 더 큰 통기성을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전체 적층체 구조 전체에 걸쳐서 2개의 물질 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구조를 형성하도록 중첩되는 말단(105b, 107b)을 가질 수 있다.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일반적으로 도 3a 내지 도 4b,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탄성 부재들(8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10개의 탄성 부재들(86)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다른 양의 탄성 부재들(86)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탄성 부재들(86)은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원위 부분(78)에서 길이방향(30)으로 균등하게 이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원위 부분(78)은 근위 부분(76)보다 큰 수의 탄성 부재들(8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위 부분(76)이 1 내지 4개의 탄성 부재들(86)을 함유할 수 있지만, 원위 부분(78)은 2 내지 14개의 탄성 부재들(86)을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추가 실시예들에서, 근위 부분(76)은 어떠한 탄성 부재들(86)도 함유하지 않을 수 있는 한편, 원위 부분(76)은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들(86)을 함유한다. 탄성 부재들(86)은 일반적으로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72)로부터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74)까지 실질적으로 걸쳐 있을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4b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탄성 부재들(86)을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일부 부분들에, 예를 들어, 고정 영역(84)에, 물질 층(103) 사이에 접착제를 함유할 수 있다.
광범위한 탄성 물질들이 허리 샘방지 부재(54)에서 탄성 부재(들)(86)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탄성 물질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탄성 폼, 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물질들(예컨대, 필름)의 시트, 가닥 또는 리본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물질들은 신축되고 허리 샘방지 부재(54)를 형성하는 기재에 고정될 수 있고, 주름진 기재에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기재에 고정되고 나서 예를 들면 열 인가로 탄성화 또는 수축될 수 있어, 탄성 수축력이 허리 샘방지 부재(54)를 형성하는 기재에 부여된다.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또한 근위 부분(76) 및 원위 부분(78)을 포함할 수 있다. 근위 부분(76)의 제1 근위 부분 영역(77)은 섀시(11)의 신체 대향면(19)(예를 들어, 흡수 조립체(44)의 신체 대향면(45) 또는 신체측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56))에 결합될 수 있지만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 용품(10, 110, 210, 310)이 이완된 구조로 있을 때 근위 말단을 갖는, 제2 근위 부분 영역(81), 또는 자유 에지(101)는, 섀시(11) 및 흡수 조립체(44)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원위 말단을 갖는,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원위 부분(78), 또는 자유 에지(88)는, 또한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 용품(10, 110, 210)이 이완된 구조로 있을 때 섀시(11) 및 흡수 조립체(44)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도 2의 3-3 선을 따라서 본 바와 같이 허리 샘방지 부재(54)가 이완된 구조로 있는 제1 실시예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도 3a를 참조하면, 길이방향 축(29) 및 측방향 축(31)에 의해 한정된 평면과 수직인, 수직 방향(33)으로 섀시(11) 및 흡수 조립체(44)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원위 부분(78)을 볼 수 있다.
접힘부(79a)는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원위 부분(78)으로부터 근위 부분(76)을 분리할 수 있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힘부(79a)는 용품(10, 110, 210)이 이완된 구조로 있을 때 원위 부분(78)의 자유 에지(88)보다 측방향 축(31)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이 문맥에서 사용되는 대로, 접힘부(79a)는 근위 부분(76)과 원위 부분(78) 사이 전이부를 한정하므로 접힘부(79a)는 원위 부분(78)으로부터 근위 부분(76)을 분리한다.
근위 부분(76)은 접착제(80)로 섀시(11)의 신체 대향면(19)에 결합될 수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근위 부분(76)은 흡수 조립체(44)의 신체 대향면(45)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근위 부분(76)은 신체측 라이너(28)와 샘방지 플랩(66) 모두에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여, 섀시(11)의 신체 대향면(19)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근위 부분(76)은 샘방지 플랩(66) 아래의 신체측 라이너(28)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로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근위 부분(76)은 신체측 라이너(28)의 신체 대향면(56)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2의 흡수 용품(210)과 같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근위 부분(76)은 후방 허리 패널(15)의 신체 대향면(58)에 결합될 수 있다.
접착제(80)는 접착제 길이(83)를 가질 수 있고, 근위 부분(76)은 길이방향(30)으로 근위 부분 길이(87)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근위 부분(76)은 흡수 조립체(44)의 신체 대향면(45)에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접착제 길이(83)는 근위 부분 길이(87)와 동일하다. 그러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길이(83)는 근위 부분 길이(87)보다 작을 수 있으며, 여기에서 근위 부분이 섀시(11)에 접합된 제1 근위 부분 영역(77) 및 섀시에 접합되지 않은 제2 근위 부분 영역(81)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제1 근위 부분 영역(77)은 제2 근위 부분 영역(81)보다 후방 허리 에지(24)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접착제 길이(83)가 근위 부분 길이(87)보다 작은 이 실시예들에서, 제2 근위 부분 영역(81)은 흡수 용품(10, 110, 210)의 제2 근위 부분 영역(81)과 섀시(11) 사이에 제1 개구(89)를 형성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개구(89)는 흡수 용품(10, 110, 210)의 측방향 축(31)과 대면하고, 후방 허리 에지(24)로부터 먼 쪽을 대면하고 있다. 개구(89)는 자유 에지(101)와 접착제(80) 사이의 길이방향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약 25mm 내지 약 65mm이다.
물론,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근위 부분(76)은, 접착제(80) 이외에 의해, 예로 압력 접합, 열 접합 및 이의 조합들에 의해, 섀시(11)의 신체 대향면(19) 또는 흡수 조립체(44)의 신체 대향면(45)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근위 부분(76)은 간헐적인 방식과 달리 연속적인 방식으로 측방향(32)으로 섀시(11)의 신체 대향면(19)에 결합되어서, 신체 삼출물에 대한 장벽이 근위 부분(76)과 섀시(11)의 신체 대향면(19) 사이에 형성된다. 간결함을 위해, 본 개시내용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제2 구성요소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에 대한 설명을 사용하지만, 이는 부착 수단을 오로지 접착제만으로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접착제 길이(83)가 근위 부분 길이(87)보다 작은 이들 실시예들 중 일부에서, 접착제 길이(83)는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측방향(32)의 일부분을 따라서만 근위 부분 길이(87)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위 부분(76)의 중간,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은 접착제 길이(83)보다 큰 근위 부분 길이(87)를 가질 수 있는 반면에 또한 접착제 길이(83)가 근위 부분 길이(87)와 동일한 중간 영역의 어느 한 면에 배치된 측방향 영역을 가짐으로써, 포켓, 또는 3개의 폐쇄된 측면을 갖는 개구를 형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제1 및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72, 74)에 근접하여 배치된 고정 영역들(84)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 영역들(84)은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가장 측방향으로 바깥쪽에 있는 영역일 수 있지만, 이는 모든 실시예에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 특징부는, 허리 샘방지 부재(54)와 상이한 접착제 영역들의 사시도, 분해도를 도시하는, 도 6a에 대하여 더욱 쉽게 볼 수 있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설명된 중간 영역 내의 접착제 길이를 정의하는, 접착제 길이(83a)는 근위 부분 길이(87)보다 작다. 설명된 측방향 영역들 내의 접착제 길이를 정의하는, 길이(83b)는, 근위 부분 길이(87)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도 4a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는 필수적인 요구사항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도 4a는 도 2의 4-4 선을 따라 본 바와 같이 이완된 구조로 있는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제1 실시예의 다른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볼 수 있듯이, 선 4-4는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고정 영역(84)을 통해 전개된다. 추가적으로, 고정 영역(84)에서, 접착제 길이(83)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고정 영역(84)에서의 접착제 길이(83)와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영역(84)에서, 접착제 길이(83)는 근위 부분 길이(87)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흡수 용품(10, 110, 210)의 허리 샘방지 부재(54)와 섀시(11) 사이에 접착제(80)를 적용하는 것은, 도 6a에서 더욱 명백한 것처럼, 신체 배출물을 함유하도록 3개의 폐쇄된 측면을 갖는 개구(89)를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측방향 영역에서, 접착제 길이(83)는 접착제 길이(83)와 정확히 동일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다른 고려된 실시예들에서, 고정 영역들(84)과 같은 측방향 영역 내의 접착제 길이(83)는, 중간 영역 내의 접착제 길이(83)보다 클 수 있지만, 여전히 근위 부분 길이(87)보다 작을 수 있다.
도 4a는 또한 도 6a에서 볼 수 있는 접착제(93)를 도시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착제(93)는, 고정 영역(84) 내의 근위 부분(76)에 원위 부분(78)을 부착시킨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착제(93)는 섀시(11)의 신체 대향면(19)에, 또는 섀시(11)의 근위 부분(76)과 신체 대향면(19) 둘 모두에 원위 부분(78)을 부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착제(93)는 고정 영역(84) 내의 접착제 길이(8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접착제 길이(95)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모든 실시예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접착제 길이(95)는 고정 영역(84) 내의 접착제 길이(83)의 약 10% 내지 약 90%일 수 있다. 접착제 길이(95)가 고정 영역(84) 내의 접착제 길이(83)보다 작은 경우, 접착제(93)는 원위 부분(78)과 근위 부분(76)에 상대적으로 배치될 수 있어 자유 말단(88)에 근접한 원위 부분(78)의 제1 영역을 근위 부분(76)에 접합시키고, 그에 의해 접힘부(79a)에 근접한 원위 부분(78)의 제2 영역을 근위 부분(76)에 접합되지 않은 채로 남긴다. 그러나, 다른 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접착제(93)는 자유 말단(88)에 근접한 원위 부분(78)의 제1 영역을 근위 부분(76)에 접합되지 않은 채로 남기면서 접힘부(79a)에 근접한 원위 부분(78)의 제2 영역을 근위 부분(76)에 접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93)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3개의 폐쇄된 측면을 갖는, 도 3a 및 도 6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개구(112)를 형성한다. 볼 수 있듯이, 개구(112)는 후방 허리 에지(24)를 향하여 대면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접착제 길이(83)가 (예를 들어, 고정 영역(84) 내에서)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중간 영역에서의 접착제 길이(83)보다 큰,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측방향 영역은, 도 4a 및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착제(93)가 원위 부분(78)을 근위 부분(76)에 접합하도록 위치되는 영역과 반드시 정렬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원위 부분(78)을 근위 부분(76)에 접합하는 접착제(9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착제 길이(83)가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중간 영역에서 접착제 길이(83)보다 큰,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측방향 영역의 측방향으로 안쪽에 또는 측방향으로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접착제(93)는 접착제 길이(83)가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중간 영역에서 접착제 길이(83)보다 큰 영역에서 접착제(80)의 측방향 범위보다 더 작거나 더 큰 측방향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접착제(93)가 원위 부분(78)을 근위 부분(76)에 접합하기 위해 위치되는 영역이, 접착제 길이(83)가 중간 영역에서 접착제 길이(83)보다 큰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측방향 영역의 측방향으로 안쪽이나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우라면 개구(89)의 측방향 범위는 개구(112)의 측방향 범위와 상이할 수 있다 - 개구(112)의 측방향 범위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물론, 접착제(93)가 원위 부분(78)을 근위 부분(76)에 접합하기 위해 위치되는 영역과, 접착제 길이(83)가 중간 영역에서 접착제 길이(83)보다 큰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측방향 영역 사이에 정렬이 있는 경우에, 개구(89, 112)의 측방향 연장부들이 동일할 수도 있다.
도 3b 및 도 4b는 선 3-3 및 4-4를 따라 보이는 본 개시내용의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제2 실시예의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6b는 허리 샘방지 부재(54) 및 다른 접착제 영역들의 사시, 분해도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도 3b, 도 4b 및 도 6b의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실시예는 도 3a, 도 4a 및 도 6b의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실시예와 유사하며, 주된 차이점은 도 3b, 도 4b 및 도 6b의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실시예가 수직 방향(33)으로 근위 부분(76)과 원위 부분(78) 사이에 배치된 중간 부분(102)을 더 포함한다는 점이다.
도 3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도 3b, 도 4b, 및 도 6b의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물질(103)이 자체로 중첩되어 탄성 부재들(86)을 둘러싸는 영역과, 물질(103)이 자체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허리 샘방지 부재(54)가 예를 들어 중간 부분(102) 전체에 걸쳐, 단지 단일 층 두께이다. 단지 단일 층 두께인 중간 부분(102)은 용품(10, 110, 210)이 착용자 위에 착용된 구조로 있을 때 용품(10, 110, 210)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향상된 기류를 허용할 수 있다.
도 3b, 도 4b 및 도 6b의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실시예 및 도 3a, 도 4a 및 도 6b의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실시예 사이의 또 다른 주된 차이점은 도 3b, 도 4b 및 도 6b의 허리 샘방지 부재(54)가 부가적인 접힘부들 및 개구들을 포함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도 3b의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접힘부(79a)는 중간 부분(102)으로부터 근위 부분(76)을 분리시킨다. 도 3b의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힘부(79a)는 용품(10, 110, 210)이 이완된 구조로 있을 때 근위 부분(76)의 자유 에지(101)보다 후방 허리 에지(24)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도 3b, 도 4b 및 도 6b의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중간 부분(102)을 원위 부분(78)으로부터 분리시킨는 접힘부(79c)를 더 포함한다. 볼 수 있듯이, 접힘부(79c)는 용품(10, 110, 210)이 이완된 구조로 있을 때 원위 부분(78)의 자유 에지(88)보다 측방향 축(31)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추가된 접힘부(79c)는 허리 샘방지 부재(54)에 추가 개구(106, 108)를 형성하는 것을 더 돕는다. 도 3a, 도 4a 및 도 6a의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접착제(80)는 여전히 근위 부분(76)과 섀시(11)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개구(89)를 형성한다. 제2 개구(106)는 중간 부분(102)과 근위 부분(76) 사이에 배치되며, 제2 개구(106)는 측방향 축(31)과 대면하고 있다. 제3 개구(108)는 중간 부분(102)과 원위 부분(78) 사이에 배치되며, 제3 개구(108)는 후방 허리 에지(24)와 대면하고 있다.
도 3b, 도 4b 및 도 6b의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실시예 및 도 3a, 도 4a 및 도 6b의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실시예 간의 또 다른 차이점은, 예를 들어 도 4b의 고정 영역(84)과 같은, 측방향 영역에서 도 4b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97, 99)의 추가이다. 도 3a, 도 4a, 및 도 6a의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실시예의 고정 영역(84)에서, 접착제(93)는 원위 부분(78)을 근위 부분(76)에 접합하는 반면에, 도 3b, 도 4b, 및 도 6b의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실시예에서는, 접착제(97)는 중간 부분(102)을 근위 부분(76)에 접합하고, 접착제(99)는 중간 부분(102)을 원위 부분(78)에 접합한다. 이들 접착제(97, 99)는 개구(106, 108)가 3개의 폐쇄된 측면을 갖도록 개구(106, 108)의 측방향 측면 에지를 정의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접착제(97)는 중간 부분(102)을 섀시(11)의 신체 대향면(19)에 부착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접착제(99)는 원위 부분(78)을 섀시(11)의 신체 대향면(19)에 부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접착제(97)는 중간 부분(102)을 섀시(11)의 근위 부분(76)과 섀시(11)의 신체 대향면(19)에 부착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접착제(99)는 원위 부분(78)을 중간 부분(102)과 섀시(11)의 신체 대향면(19)에 부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접착제(93)에서와 같이, 접착제(97, 99)는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가변하는 길이방향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착제(97, 99)는 접착제 길이(83)(접착제(97, 99)가 위치하는 영역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접착제 길이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접착제(97, 99)의 길이방향 길이는 접착제(97, 99)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접착제 길이(83)의 약 10% 내지 약 90%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접착제(97, 99)도 서로 다른 길이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접착제(97, 99)의 길이방향 길이(97)가 접착제(97, 99)가 위치되는 영역에서 접착제 길이(83)보다 작은 경우, 접착제(97, 99)는 바람직하게는 측방향 축(31)에 가장 가까운 영역에서 중간 부분(102)과 근위 부분(76) 사이, 및 후방 허리 에지(24)에 가장 가까운 영역에서 중간 부분(102)과 원위 부분(78)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후방 허리 에지(24)에 가장 근접한 중간 부분(102)과 근위 부분(76) 사이, 및 측방향 축(31)에 가장 근접한 영역에서 중간 부분(102)과 원위 부분(78) 사이에 위치한 영역들을 접합되지 않은 채로 남길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중간 부분(102)과 근위 부분(76) 및 원위 부분(78) 사이의 접착제(97, 99)의 위치는 반대로 될 수 있다.
비록 도 3a 내지 도 4b에서 일반적으로 길이방향 길이가 동일하게 도시되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근위 부분(76)은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원위 부분(78)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더 짧은 길이방향(30)으로 측정된 길이방향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근위 부분(76)의 길이방향 길이는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원위 부분(78)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심지어 클 수 있다. 본원을 위해, 근위 부분(76)의 길이방향 길이 및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원위 부분(78)의 길이방향 길이는, 흡수 용품(10, 110, 210)이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조로 있을 때 측정된다.
도 3a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측방향 축(31)과 대면하고 신체 삼출물을 함유하고 및/또는 흡수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장벽을 제공하기 위한 샘방지 포켓으로서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89 및/또는 106)를 가질 수 있다. 개구(들)(89 및/또는 106)은, 어린 아이들에게 일반적일 수 있는 저점도 배설물을 함유 및/또는 흡수하는데 특히 이로울 수 있다.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72)는 샘방지 플랩(50)의 베이스 부분(64)의 근위 말단(64a)의 측방향으로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개구(들)(89 및/또는 106)은 샘방지 플랩(50)의 근위 말단(64a)의 측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74)는 샘방지 플랩(52)의 베이스 부분(64)의 근위 말단(64a)의 측방향으로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고 개구(들)(89 및/또는 106)은 샘방지 플랩(52)의 근위 말단(64a)의 측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신체 삼출물을 함유 및/또는 흡수하도록 넓은 개구(들)(89 및/또는 106)을 허리 샘방지 부재(54)에 제공한다. 설명한 바와 같이,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개구(들)(89 및/또는 106)에 의해 함유되는 신체 삼출물의 측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조력하도록,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원위 부분(78)은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근위 부분(76) 및/또는 제1 및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72, 74)에 각각 가까운 섀시(11)의 신체 대향면(19)에 접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에서 라벨링된 대로) 섀시(11)의 폭(53)과 비교해 측방향(32)으로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폭(51)은 약 0.85 대 약 1.00의 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섀시(11)의 폭(53)과 비교해 측방향(32)으로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폭(51)은 약 0.87 대 약 1.00의 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들에서, 섀시(11)의 폭(53)과 비교해 측방향(32)으로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폭(51)은 약 0.90 대 약 1.00의 비를 가질 수 있다. 본원을 위해, 이 비로 사용하기 위해 섀시(11)의 폭(53)은, 허리 샘방지 부재(54)가 배치되고 측방향(32)과 평행한 방향으로 두 폭 측정이 이루어지는 허리 영역에서 섀시(11)의 폭이다. 따라서, 본원에 예시된 실시예들에 대해,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폭(51)은 후방 허리 영역(14)에서 섀시(11)의 폭(53)과 비교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원의 비들에 대해 검토된 대로 측방향(32)으로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폭(51) 및 섀시(11)의 폭(53)은, 흡수 용품(10, 110, 210)이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조로 있을 때 측정될 것이다.
도 2,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대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섀시(11)의 신체 대향면(19)에 배치될 수 있어서 흡수체(34)의 제2 말단 에지(42)와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근위 부분(76)의 자유 에지(101) 사이에 간극(85)이 제공된다. 간극(85)을 제공함으로써, 개구(들)(89 및/또는 106)은 신체 삼출물을 위한 더 큰 보이드 용적을 가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간극(85)은 신체 삼출물이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개구(들)(89 및/또는 106)에 들어가는 것을 도울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샘방지 플랩들(50, 52) 위 또는 샘방지 플랩들(50, 52) 아래 중 어느 하나에 배치시킴으로써 섀시(11)에 결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2,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대로,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섀시(11)의 신체 대향면(19)에 배치될 수 있어서,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근위 부분(76)은 제1 및 제 2 샘방지 플랩들(50, 52) 각각의 베이스 부분(64) 위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예시된 대로,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섀시(11)의 신체 대향면(19)에 배치될 수 있어서,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근위 부분(76)은 제1 및 제 2 샘방지 플랩들(50, 52) 각각의 베이스 부분(64) 아래에 배치된다. 두 구조는 신체 삼출물을 샘방지 및/또는 흡수하도록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기능에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근위 부분(76)이 샘방지 플랩들(50, 52)의 베이스 부분(64) 위에 배치되는 실시예(도 1, 도 2, 도 5 및 도 7)는, 흡수 용품(10)이 착용자에게 적용될 때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근위 부분(76)이 흡수 조립체(44)의 신체 대향면(45)으로부터 멀리 연장됨으로써, 신체 삼출물을 수용하기 위해 개구(89)에 더 큰 부피를 생성하도록 샘방지 플랩들(50, 52)이 도울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흡수 용품(10)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조일 때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근위 부분(76)과 길이방향으로 중첩되는 능동 플랩 탄성 영역(70)을 가지도록 샘방지 플랩들(50, 52)을 구성함으로써 개구(들)(89 및/또는 106)은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개구(들)(89 및/또는 106)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후방 허리 에지(24)로부터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근위 부분(76)의 자유 에지(101)까지 연장되지 않는 고정 영역(71)을 가지도록 샘방지 플랩들(50, 52)을 구성함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구조의 고정 영역(71)은 요구되지 않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 영역(71)은 후방 허리 에지(24)로부터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근위 부분(76)의 자유 에지(101)를 지나 연장될 수 있다.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근위 부분(76)이 샘방지 플랩들(50, 52)의 베이스 부분(64) 아래에 배치되는 실시예(도 8 내지 도 10)는, 허리 샘방지 부재(54)에 의해 형성된 개구(들)(89 및/또는 106)이 샘방지 플랩들(50, 52)의 돌출 부분(66)이 없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대로, 각각의 샘방지 플랩(50, 52)의 베이스 부분(64)과 돌출 부분(66) 둘 다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신체 대향면(55)에 결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신체 삼출물은 허리 샘방지 부재(54)에 의해 형성된 개구(들)(89 및/또는 106)의 전체 폭을 통하여 보다 자유롭게 퍼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외부 커버(26) (또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신체측 라이너(28))에 샘방지 플랩들(50, 52)의 베이스 부분(64)의 결합은 장벽 접착제(49)의 위치 너머 측방향으로 퍼지는 삼출물을 위한 개구(들)(89 및/또는 106) 밖으로 신체 삼출물의 흐름에 대한 길이방향 장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샘방지 플랩들(50, 52) 각각의 돌출 부분(66)의 고정 영역(71)은, 도 8에 도시된 대로,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원위 부분(78)과 길이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샘방지 플랩들(50, 52) 각각의 돌출 부분(66)의 고정 영역(71)은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근위 부분(76)의 자유 에지(101)로 연장될 수 있어서 허리 샘방지 부재(54)에 의해 형성된 개구(들)(89 및/또는 106)에 삼출물을 담는 것을 추가로 보조한다.
허리 샘방지 부재(54)의 물질(103)은 다양한 물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물질(103)은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SMS")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물질(103)은 스펀본드-필름-스펀본드("SFS"), 접합된 소면된 웹("BCW"), 또는 임의의 부직포 물질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물질들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물질(103)은 이런 예시적 물질들 중 하나 초과, 또는 다른 물질들의 적층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물질(103)은 액체 불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물질(103)은 소수성 코팅으로 코팅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물질(103)의 평량은 가변될 수 있고, 평량은, 허리 샘방지 부재(54)에 탄성 부재들(86)을 포함하지 않고, 약 8 gsm 내지 약 120 gsm 사이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물질(103)의 평량은 약 10 gsm 내지 약 40 gsm, 더욱 더 바람직하게, 약 15 gam 내지 약 25 gsm일 수 있다.
체결 시스템:
일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 110)은 체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후방 체결기구(91) 및 하나 이상의 전방 체결기구(9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하나의 전방 체결기구(92)를 구비한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체결 시스템의 부분은, 전방 허리 영역(12), 후방 허리 영역(14), 또는 양측 허리 영역 모두에 포함될 수 있다.
체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된 상태로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흡수 용품(10, 110)을 고정하고 흡수 용품(10, 110)을 사용시 제 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방 체결기구(91)는, 함께 접합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해서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듯이 복합재 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재 체결기구는, 도 2 및 도 8에 라벨링된 대로, 신장 성분(94), 부직포 캐리어 또는 후크 베이스(96), 및 체결 성분(98)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대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후방 체결기구(91)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후방 체결기구(91)의 신축 성분(94)으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허리 샘방지 부재(54)는 흡수 용품(10, 110, 210)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18, 20)로 연장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된 모든 문헌은 관련 부분에서,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되며; 임의의 문헌 인용이 본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이라는 점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 내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가 참고로 원용된 문헌에서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와 모순되는 정도까지 본 명세서 내의 용어에 할당된 의미 또는 정의가 적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다른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2)

  1. 전방 허리 에지를 갖는 전방 허리 영역, 후방 허리 에지를 갖는 후방 허리 영역, 가랑이 영역, 길이방향 축 및 측방향 축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으로, 상기 흡수 용품은,
    흡수체를 포함하는 섀시로서, 신체 대향면 및 의복 대향면을 포함하는, 상기 섀시; 및
    상기 섀시의 신체 대향면에 배치된 허리 샘방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허리 샘방지 부재는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 및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
    근위 말단을 포함하는 근위 부분으로, 상기 근위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섀시의 신체 대향면에 결합되는, 상기 근위 부분;
    원위 말단을 포함하는 원위 부분으로, 상기 허리 샘방지 부재의 상기 원위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흡수 용품이 이완된 구조로 있을 때 상기 섀시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기 원위 부분; 및
    상기 근위 부분으로부터 상기 원위 부분을 분리시키는 접힘부로, 상기 허리 샘방지 부재의 원위 부분의 원위 말단보다 상기 측방향 축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접힘부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상기 후방 허리 에지에 가장 근접하는 근위 부분의 영역보다 상기 측방향 축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흡수 용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샘방지 부재는 2개의 물질 층 사이에 둘러싸인 하나 이상의 탄성중합체 부재를 더 포함하는, 흡수 용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샘방지 부재는 단일 물질의 웹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물질의 웹의 제1 말단은 상기 단일 물질의 웹의 제2 말단과 중첩되어 상기 2개의 물질 층 사이의 탄성중합체 부재들을 둘러싸는, 흡수 용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부분의 제1 근위 부분 영역은 상기 섀시에 접합되고, 상기 근위 부분의 제2 근위 부분 영역에는 상기 섀시에 대한 부착이 없는, 흡수 용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의 제1 원위 부분 영역은 상기 흡수 용품이 이완된 구조로 있을 때 상기 섀시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이고, 상기 원위 부분의 제2 원위 부분 영역은 상기 근위 부분에 접합되는, 흡수 용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근위 부분 영역은 2개의 제1 근위 부분 영역들 사이에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흡수 용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샘방지 부재는
    상기 근위 부분에 근접한 근위 말단 및 상기 원위 부분에 근접한 원위 말단을 포함하는 중간 부분으로,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근위 부분과 상기 원위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여기서 상기 접힘부는 상기 중간 부분과 상기 원위 부분을 직접 분리하는 제1 접힘부인, 상기 중간 부분; 및
    상기 중간 부분으로부터 상기 근위 부분을 직접 분리하는 제2 접힘부를 더 포함하는, 흡수 용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분은 탄성중합체 가닥이 없는, 흡수 용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힘부는 상기 제1 접힘부보다 상기 후방 허리 에지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흡수 용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분은 단일 물질 층을 포함하고, 상기 근위 부분 및 상기 원위 부분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적어도 2개의 물질 층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13. 전방 허리 에지를 갖는 전방 허리 영역, 후방 허리 에지를 갖는 후방 허리 영역, 가랑이 영역, 길이방향 축 및 측방향 축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으로, 상기 흡수 용품은,
    흡수체를 포함하는 섀시로, 신체 대향면과 의복 대향면을 포함하는, 상기 섀시;
    제1 샘방지 플랩 및 제2 샘방지 플랩을 포함하는 한 쌍의 샘방지 플랩으로, 상기 제1 샘방지 플랩은 상기 길이방향 축의 제1 측에 있고 상기 제2 샘방지 플랩은 상기 길이방향 축의 제2 측에 있되, 상기 제1 및 제2 샘방지 플랩은 각각
    근위 말단 및 원위 말단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분; 및
    상기 흡수 용품이 이완된 구조로 있을 때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서 상기 섀시의 신체 대향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도록 구성된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한 쌍의 샘방지 플랩; 및
    상기 섀시의 신체 대향면에 배치된 허리 샘방지 부재로, 상기 허리 샘방지 부재는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 및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
    근위 말단을 포함하는 근위 부분으로, 상기 근위 부분의 제1 근위 부분 영역은 상기 섀시의 신체 대향면에 결합되며 상기 근위 부분의 제2 근위 부분 영역은 상기 섀시의 신체 대향면에 결합되지 않아서, 상기 근위 부분과 상기 섀시의 신체 대향면 사이에 제1 개구를 형성하는, 상기 근위 부분; 및
    원위 말단을 포함하는 원위 부분으로, 상기 원위 부분의 제1 원위 부분 영역은 상기 근위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원위 부분의 제2 원위 부분 영역은 상기 근위 부분에 결합되지 않아서, 상기 원위 부분과 상기 근위 부분 사이에 제2 개구를 형성하는, 상기 원위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허리 샘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측방향 축에 대면하는, 흡수 용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후방 허리 에지에 대면하는, 흡수 용품.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제1 측방향 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2 개구는 제2 측방향 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1 범위와 상기 제2 범위는 동일한, 흡수 용품.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제1 측방향 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2 개구는 제2 측방향 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1 범위와 상기 제2 범위는 상이한, 흡수 용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범위는 상기 제2 범위보다 큰, 흡수 용품.
  19. 전방 허리 에지를 갖는 전방 허리 영역, 후방 허리 에지를 갖는 후방 허리 영역, 가랑이 영역, 길이방향 축 및 측방향 축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으로, 상기 흡수 용품은,
    흡수체를 포함하는 섀시로, 신체 대향면과 의복 대향면을 포함하는, 상기 섀시;
    제1 샘방지 플랩 및 제2 샘방지 플랩을 포함하는 한 쌍의 샘방지 플랩으로, 상기 제1 샘방지 플랩은 상기 길이방향 축의 제1 측에 있고 상기 제2 샘방지 플랩은 상기 길이방향 축의 제2 측에 있되, 상기 제1 및 제2 샘방지 플랩은 각각
    근위 말단 및 원위 말단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분; 및
    상기 흡수 용품이 이완된 구조로 있을 때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서 상기 섀시의 신체 대향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도록 구성된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한 쌍의 샘방지 플랩; 및
    상기 섀시의 신체 대향면에 배치된 허리 샘방지 부재로, 상기 허리 샘방지 부재는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 및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
    근위 말단을 포함하는 근위 부분으로, 상기 근위 부분의 제1 근위 부분 영역들은 상기 섀시의 신체 대향면에 결합되며 상기 근위 부분의 제2 근위 부분 영역은 상기 흡수 용품이 이완된 구조로 있을 때 상기 섀시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이고, 여기서 상기 제2 근위 부분 영역은 상기 제1 근위 부분 영역들 사이에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근위 부분; 및
    원위 말단을 포함하는 원위 부분으로, 상기 원위 부분의 제1 원위 부분 영역들은 상기 근위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원위 부분의 제2 원위 부분 영역은 상기 흡수 용품이 이완된 구조로 있을 때 상기 섀시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이고, 여기서 상기 제2 원위 부분 영역은 상기 제1 원위 부분 영역들 사이에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원위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허리 샘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부분은 제3 근위 부분 영역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3 근위 부분 영역은 상기 섀시의 신체 대향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근위 부분 영역들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 용품.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근위 부분 영역은 상기 제2 근위 부분 영역보다 상기 후방 허리 에지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흡수 용품.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근위 부분 영역은 약 25mm 내지 약 65mm의 길이방향 범위를 갖는, 흡수 용품.
KR1020197032334A 2017-04-25 2017-04-25 허리 샘방지 부재를 구비한 흡수 용품 KR1024621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7/029282 WO2018199918A1 (en) 2017-04-25 2017-04-25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containment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723A true KR20190134723A (ko) 2019-12-04
KR102462153B1 KR102462153B1 (ko) 2022-11-04

Family

ID=6391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334A KR102462153B1 (ko) 2017-04-25 2017-04-25 허리 샘방지 부재를 구비한 흡수 용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462153B1 (ko)
CN (1) CN110505858B (ko)
AU (1) AU2017412281B2 (ko)
WO (1) WO20181999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33775A (ja) * 2021-03-02 2022-09-14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着用物品
WO2023137205A1 (en) * 2022-01-14 2023-07-20 Nike Innovate C.V. Lower-body garment with leak protection features
EP4295826A1 (en) * 2022-06-20 2023-12-27 Fameccanica.Data S.p.A. An absorbent sanitary article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EP4356889A1 (en) * 2022-10-17 2024-04-24 Ontex BV Absorbent articles having a containment pocke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2117A (ko) * 1995-02-10 1998-07-15 낸시 리 카터 샘방지 개스킷을 구비한 흡수 용품
US5827259A (en) * 1995-10-25 1998-10-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elastic and containment system
JP2009011685A (ja) * 2007-07-06 2009-01-22 Kao Corp 吸収性物品
WO2016159981A1 (en) * 2015-03-31 2016-10-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selectively positioned waist containment member
WO2017058165A1 (en) * 2015-09-29 2017-04-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selectively positioned waist containment member having an improved waist sea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6823A (en) * 1984-07-02 1989-07-11 Kimberly-Clark Corporation Diapers with elasticized side pockets
JP3563417B2 (ja) * 1992-06-01 2004-09-08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ポケット構造をもつオムツおよびその製造法
US5558660A (en) * 1994-09-08 1996-09-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pocket cuff with a gluteal groove spacer
JPH09122174A (ja) * 1995-11-06 1997-05-13 Oji Paper Co Ltd 使い捨ておむつ
AU5086999A (en) * 1999-06-30 2001-01-22 Procter & Gamble Company, The Disposable, absorbent, pull-on pants
US20060058768A1 (en) * 2004-09-14 2006-03-16 Fen Zhang Diapers with improved leak prevention
US8114059B2 (en) * 2005-10-14 2012-02-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including barrier leg cuff structure and absorbent core with superabsorbent material
US8795250B2 (en) * 2010-03-30 2014-08-05 First Quality Baby Products, Llc Absorbent article having leg cuff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2117A (ko) * 1995-02-10 1998-07-15 낸시 리 카터 샘방지 개스킷을 구비한 흡수 용품
US5827259A (en) * 1995-10-25 1998-10-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elastic and containment system
JP2009011685A (ja) * 2007-07-06 2009-01-22 Kao Corp 吸収性物品
WO2016159981A1 (en) * 2015-03-31 2016-10-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selectively positioned waist containment member
WO2017058165A1 (en) * 2015-09-29 2017-04-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selectively positioned waist containment member having an improved waist se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412281A1 (en) 2019-11-14
CN110505858A (zh) 2019-11-26
AU2017412281B2 (en) 2023-07-27
CN110505858B (zh) 2022-01-18
WO2018199918A1 (en) 2018-11-01
KR102462153B1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90542A1 (en) Absorbent article with selectively positioned waist containment member
KR101973345B1 (ko) 개선된 허리 밀봉부를 갖는 선택적으로 위치된 허리 샘방지 부재를 구비한 흡수 용품
KR101927036B1 (ko) 허리 샘방지 부재의 샘방지 포켓에 대한 개선된 접근성을 제공하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 용품
KR102041177B1 (ko) 전방 및 후방 영역을 분할하는 포켓을 구비한 흡수 용품
KR102462153B1 (ko) 허리 샘방지 부재를 구비한 흡수 용품
KR102166751B1 (ko) 배리어 영역을 제공하는 신체측 라이너를 구비한 흡수 용품
KR102523795B1 (ko) X자 형의 감소된 흡수 부위를 포함하는 흡수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KR102336234B1 (ko) 부분 적층형 허리 탄성 부재를 갖는 흡수 용품
KR20190093208A (ko) 개선된 다리 및 플랩 탄성체를 갖는 흡수 용품
KR20230124005A (ko) 허리 밴드를 갖는 흡수 용품
KR20220003034A (ko) 개선된 유체 분포를 위한 채널을 포함하는 물질
KR20190093206A (ko) 후방 포켓 디자인을 갖는 흡수 용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