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098B1 -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098B1
KR101861098B1 KR1020170022830A KR20170022830A KR101861098B1 KR 101861098 B1 KR101861098 B1 KR 101861098B1 KR 1020170022830 A KR1020170022830 A KR 1020170022830A KR 20170022830 A KR20170022830 A KR 20170022830A KR 101861098 B1 KR101861098 B1 KR 101861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terface
physical control
display panel
flexible display
cylindrical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형
김희선
김효영
이동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22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제2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 또는 탈착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 및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위값을 일치시키는 방위 조정부;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 또는 탈착 상태에 따라,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출력 영역 결정부; 및 상기 출력 영역 결정부로부터 결정된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 및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편리한 사용자 경험(UX)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CYLINDRICAL DISPLAY DEVICE INCLUDING DETACHABLE PHYSICAL CONTROL INTERFA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기반의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원통형 형태의 특성상 사용자가 360도 전방향으로 접근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접근 및 위치한 방향에 적합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TV,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더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 더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른바 차세대 디스플레이라고 불리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란 마치 종이처럼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얻을 수 있는 소비자 지향적인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힘을 가해서 벤딩시켜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전자 액자, PDA,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형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 변형 특성을 활용하는 다양한 화면 제공 및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KR 10-0704634 B1 KR 10-1655260 B1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제2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1 지자기 센서 및 상기 제2 지자기 센서의 방위값을 일치시키고,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탈착된 경우, 상기 제1 지자기 센서 및 상기 제2 지자기 센서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방위값을 일치시키는 방위 조정부;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된 경우,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된 터치점과 가장 가까운 방위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탈착된 경우, 상기 가상의 직선과 가장 가까운 방위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출력 영역 결정부; 및 상기 출력 영역 결정부로부터 결정된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 및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는,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된 경우, 휠(wheel) 인터페이스로 기능하고,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탈착된 경우, 가상 드로잉 및 터치 패드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물리적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의 회전 각도만큼 회전된 콘텐츠를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두 터치점이 다른 방향으로 멀어지는 터치 입력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콘텐츠를 확대하고,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콘텐츠를 축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두 터치점이 한 방향으로 가까워지는 터치 입력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콘텐츠를 축소하고,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콘텐츠를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수직방향 드로잉이 입력된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콘텐츠를 수직방향 인덱스로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수평방향 드로잉이 입력된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콘텐츠를 수평방향으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스파이럴(spiral) 드로잉이 입력된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콘텐츠를 스파이럴 형태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터치점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터치점의 드로잉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된 상태인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탈착된 경우,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방위값을 일치시키는 단계; 상기 가상의 직선과 가장 가까운 방위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 및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장착된 경우,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위값을 일치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된 터치점과 가장 가까운 방위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물리적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의 회전 각도만큼 회전된 콘텐츠를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두 터치점이 다른 방향으로 멀어지는 터치 입력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콘텐츠를 확대하고,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콘텐츠를 축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두 터치점이 한 방향으로 가까워지는 터치 입력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콘텐츠를 축소하고,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콘텐츠를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수직방향 드로잉이 입력된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콘텐츠를 수직방향 인덱스로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수평방향 드로잉이 입력된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콘텐츠를 수평방향으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스파이럴(spiral) 드로잉이 입력된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콘텐츠를 스파이럴 형태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터치점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터치점의 드로잉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상기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은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으로, 상기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와의 방향 정보를 계산하여 자동으로 장치를 이용하려는 사용자의 접근 및 위치 방향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방향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는 탈착가능하므로 사용자의 근거리 제어가 가능하고, 사용자는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의 터치 드로잉 및 회전 제어를 통해 효과적인 콘텐츠 탐색 및 제어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편리한 사용자 경험(UX)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된 경우, 방위값을 일치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탈착된 경우, 방위값을 일치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회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확대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축소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멀티 레벨 인덱스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다중 인덱스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포인터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10, 이하 장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기반의 실린더(Cylinder) 형태로서, 해당 원통형의 공간감을 극대화한 3D 콘텐츠를 사용자의 시점에 맞추어 디스플레이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는 상기 장치(10)로부터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를 포함하며,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의 탈착 상태에 따라 방향 정보를 계산하여 자동적으로 장치(10)를 이용하려는 사용자의 접근 및 위치 방향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방향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는 탈착가능하므로 사용자의 근거리 제어가 가능하고, 사용자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의 터치 드로잉 및 회전 제어를 통해 효과적인 콘텐츠 탐색 및 제어 가능하다.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원통형 형태의 특성상 사용자가 360도 전방향으로 접근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접근 및 위치한 방향에 맞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를 제어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가 사용자의 접근 및 위치 방향을 인식하고 장치(10)의 방향을 체크하여 해당 방향으로 어떤 조작이 발생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터치만을 사용자 조작으로 사용하지 않고,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10)와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의 지자기 센서가 자동적으로 각각의 기기의 방향을 체크한다.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를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장착 시에는 사용자가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터치한 방향을 계산하여 사용자 접근 방향으로 인식하며, 탈착 시에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위치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의 방향을 계산하여 사용자의 위치 방향으로 판별한다. 판별된 방향을 화면의 중앙 및 정면으로 결정하며, 결정한 면에 영상 정보를 가공하여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기존 발명의 경우, 사용자 인식을 위해 마커 부착 또는 부가적인 장치를 착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판별하거나,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시선, 손동작, 움직임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판별하였다.
본 발명은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를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장착 또는 탈착 시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접근 방향을 인식하는 데에 그 차별점이 있다.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별도의 사용자 행위가 필요 없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켜 만족스러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는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 방위 조정부(500), 출력 영역 결정부(700) 및 제어부(9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 상기 방위 조정부(500), 상기 출력 영역 결정부(700) 및 상기 제어부(900)의 구성은 상기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위 조정부(500), 상기 출력 영역 결정부(700) 및 상기 제어부(900)의 구성은 통합 모듈로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각 구성은 별도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위 조정부(500), 상기 출력 영역 결정부(700) 및 상기 제어부(900)는 FPCB로 구현되어,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또는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의 내부면 또는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이동성을 갖는다. 상기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포터블 디바이스(portable device), 단말기(terminal),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기구(apparatus)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상기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를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상기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동일한 형태, 즉 실린더(Cylinder) 형태로서, 외부면에서 끊어짐 없이(seamless) 연속된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평면 형태의 패널의 양단이 맞닿아 원통형으로 감긴 형태로, 끊어짐 없는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360도 전면에서 영상을 감상할 수 있으며, 3D 입체 영상을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가령, 고분자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은 기초 소재(base film)에 배리어 코팅(barrier coating)이 양면으로 처리된 구조를 갖는다. 기초 소재의 경우, PI(Polyimide), PC(Polycarboni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thylenenaphthalat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등의 다양한 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배리어 코팅은 기초 소재에서 서로 대향되는 면에 수행되며,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기막 또는 무기막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라스틱 기판 외에도 유리 박막(thin glass) 또는 금속 박막(metal foil) 등과 같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700)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AMOLED, EL, EPD(electrophoretic display), ECD(electrochromic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1 지자기 센서(110)를 포함하고, 0 내지 360도의 방위값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 역시 제2 지자기 센서(310)를 포함하고, 0 내지 360도의 방위값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방위 조정부(500)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장착된 상태인지를 먼저 판단한 후, 장착 상태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방위값을 일치시킨다.
상기 출력 영역 결정부(700)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의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장착 또는 탈착 상태에 따라,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을 결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장착된 경우, 상기 방위 조정부(500)는 상기 제1 지자기 센서(110) 및 상기 제2 지자기 센서(310)의 방위값을 일치시킨다.
이 경우, 상기 출력 영역 결정부(700)는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된 터치점과 가장 가까운 방위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의 장착 시에 원래 저장하고 있던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방위값(a)과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의 방위값(b)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두 장치의 0~360도의 방위값을 일치시킨다.
사용자가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를 터치한 터치점의 방위값이 기준점(0도)이 되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방위값(a')과,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의 방위값 정보(b')가 기준점에 따라 업데이트(조정 및 일치)된다.
또한, 기준점(0도)의 방향이 사용자의 접근 방향으로 판단되고 사용자 정면으로 결정된다. 기준점(0도)이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 내 출력 영역의 중앙점이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탈착된 경우, 상기 제1 지자기 센서(110) 및 상기 제2 지자기 센서(310)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210)을 기준으로 방위값을 일치시킨다.
이 경우, 상기 출력 영역 결정부(700)는 상기 가상의 직선(210)과 가장 가까운 방위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의 탈착 시에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기 제1 지자기 센서(110)로부터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의 상기 제2 지자기 센서(310)의 위치를 잇는 가상의 직선(210)을 그어 상기 직선의 방위값을 계산한다.
상기 직선이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기 제1 지자기 센서(110)(원점 A)와 만나는 방위값(a)을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기준점(0도)으로 하여 기존에 저장하고 있던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방위값을 업데이트(조정 및 일치)한다(a').
또한,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기준점(0도)의 방향이 사용자의 위치 방향으로 판단되고 사용자 정면으로 결정된다.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기준점(0도)이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 내 출력 영역의 중앙점이 된다.
또한, 상기 직선이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의 상기 제2 지자기 센서(310)(목표지점 B)와 만나는 방위값(b)을 B의 기준점(180도)으로 하여, 기존에 저장하고 있던 B의 방위값 정보(b')를 업데이트한다. 원점 A와 목표지점 B, a'와 b'는 모두 일직선에 놓인다.
사용자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의 터치 드로잉 및 회전 제어를 통해 효과적인 콘텐츠 탐색 및 제어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터치 드로잉 방향과 회전 조합에 따라 콘텐츠 인덱스 표시 방법 결정하거나 콘텐츠 회전 및 깊이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드로잉 또는 텍스트 인풋이 가능하다.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의 장착 시, 물리적인 휠(wheel) 인터페이스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주요 기능의 예로서,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의 콘텐츠 인덱스를 탐색하는 물리기반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거나, 콘텐츠의 회전 및 깊이감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의 탈착 시, 가상 드로잉 및 터치 패드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주요 기능의 예로서,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의 콘텐츠 인덱스를 탐색하는 가상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거나, 콘텐츠의 회전 및 깊이감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근거리에서 화면상의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가상 포인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출력 영역 결정부(700)로부터 결정된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 및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상에 2D 이미지 또는 3D 이미지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황에서, 컨트롤 패드(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를 회전시키는 경우, 현재 화면 상의 콘텐츠의 회전 명령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가 물리적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의 회전 각도만큼 회전된 콘텐츠를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디스플레이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상에 2D 이미지 또는 3D 이미지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상황에서, 두 개의 멀티 터치 입력 시, 현재 화면 상의 2D 또는 3D 이미지의 깊이감을 변화하기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입력된 두 터치점이 다른 방향으로 멀어지는 경우, 현재 화면 상의 콘텐츠의 확대(zoom in)를 수행하고, 멀티 터치 후 정방향(시계 방향)으로 컨트롤 패드를 물리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계속해서 확대(zoom in)를 수행한다. 반면, 멀티 터치 후 역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컨트롤 패드를 물리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축소(zoom out)를 수행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상에 2D 이미지 또는 3D 이미지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상황에서, 두 개의 멀티 터치 입력 시, 현재 화면상의 2D 또는 3D 이미지의 깊이감을 변화하기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입력된 두 터치점의 벡터가 한 점으로 수렴이 되는 경우, 현재 화면상의 콘텐츠의 축소(zoom out)를 수행하고, 멀티 터치 후 정방향(시계 방향)으로 컨트롤 패드를 물리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계속해서 축소(zoom out)를 수행한다. 반면, 멀티 터치 후 반대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컨트롤 패드를 물리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확대(zoom in)를 수행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에 수직방향 드로잉이 입력된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콘텐츠를 수직방향 인덱스로 디스플레이 한다.
반면,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에 수평방향 드로잉이 입력된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콘텐츠를 수평방향으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세로로 긴 원통형 스크린 특성을 고려하여, 콘텐츠 인덱스를 탐색 시 원형(circle) 또는 스파이럴(spiral) 드로잉(drawing) 후 컨트롤 인터페이스(300)를 빠르게 회전시키는 경우, 다중 콘텐츠 인덱스가 아래로 뽑아져 나와 여러 콘텐츠 인덱스를 동시에 볼 수 있는 멀티뷰(multi view)를 제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300)에 터치점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터치점의 드로잉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와의 방향 정보를 계산하여 자동으로 장치를 이용하려는 사용자의 접근 및 위치 방향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방향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는 탈착가능하므로 사용자의 근거리 제어가 가능하고, 사용자는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의 터치 드로잉 및 회전 제어를 통해 효과적인 콘텐츠 탐색 및 제어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편리한 사용자 경험(UX)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형 스마트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1 및 도 2의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의 장치(10)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원통형 형태의 특성상 사용자가 360도 전방향으로 접근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접근 및 위치한 방향에 맞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를 제어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의 접근 및 위치 방향을 인식하고 장치의 방향을 체크하여 해당 방향으로 어떤 조작이 발생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된 상태인지 체크한다(단계 S10).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터치만을 사용자 조작으로 사용하지 않고,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의 지자기 센서가 자동적으로 각각의 기기의 방향을 체크한다.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탈착된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제1 지자기 센서 및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제2 지자기 센서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방위값을 일치시킨다(단계 S30).
또한, 상기 출력 영역 결정부는 상기 가상의 직선과 가장 가까운 방위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을 결정한다(단계 S50).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장착된 경우,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위값을 일치시킨다(단계 S20).
이 경우,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된 터치점과 가장 가까운 방위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을 결정한다(단계 S40).
결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 및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제어한다(단계 S70).
일 실시예로,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물리적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의 회전 각도만큼 회전된 콘텐츠를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두 터치점이 다른 방향으로 멀어지는 터치 입력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콘텐츠를 확대하고,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콘텐츠를 축소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두 터치점이 한 방향으로 가까워지는 터치 입력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콘텐츠를 축소하고,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콘텐츠를 확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수직방향 드로잉이 입력된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콘텐츠를 수직방향 인덱스로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수평방향 드로잉이 입력된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콘텐츠를 수평방향으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스파이럴(spiral) 드로잉이 입력된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콘텐츠를 스파이럴 형태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터치점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터치점의 드로잉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와의 방향 정보를 계산하여 자동으로 장치를 이용하려는 사용자의 접근 및 위치 방향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방향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는 탈착가능하므로 사용자의 근거리 제어가 가능하고, 사용자는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의 터치 드로잉 및 회전 제어를 통해 효과적인 콘텐츠 탐색 및 제어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편리한 사용자 경험(UX)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원통형 디스플레이 및 장치의 경우, 원통형 형태의 특성상 사용자가 360도 전방향으로 접근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접근 및 위치한 방향에 맞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제어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의 접근 및 위치 방향을 인식하고 기기의 방향을 체크하여 해당 방향으로 요구되는 기능이 발생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별도의 사용자 행위가 필요 없으므로, 편리하고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켜 만족스러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10: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
100: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300: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
500: 방위 조정부
700: 출력 영역 결정부
900: 제어부
110: 제1 지자기 센서
310: 제2 지자기 센서
210: 가상의 직선

Claims (17)

  1. 제1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제2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1 지자기 센서 및 상기 제2 지자기 센서의 방위값을 일치시키고,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탈착된 경우, 상기 제1 지자기 센서 및 상기 제2 지자기 센서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방위값을 일치시키는 방위 조정부;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된 경우,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된 터치점과 가장 가까운 방위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탈착된 경우, 상기 가상의 직선과 가장 가까운 방위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출력 영역 결정부; 및
    상기 출력 영역 결정부로부터 결정된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 및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는,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된 경우, 휠(wheel) 인터페이스로 기능하고,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탈착된 경우, 가상 드로잉 및 터치 패드로 기능하는,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물리적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의 회전 각도만큼 회전된 콘텐츠를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하는,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두 터치점이 다른 방향으로 멀어지는 터치 입력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콘텐츠를 확대하고,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콘텐츠를 축소하는,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두 터치점이 한 방향으로 가까워지는 터치 입력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콘텐츠를 축소하고,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콘텐츠를 확대하는,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수직방향 드로잉이 입력된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콘텐츠를 수직방향 인덱스로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수평방향 드로잉이 입력된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콘텐츠를 수평방향으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스파이럴(spiral) 드로잉이 입력된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콘텐츠를 스파이럴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터치점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터치점의 드로잉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
  9.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된 상태인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탈착된 경우,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방위값을 일치시키는 단계;
    상기 가상의 직선과 가장 가까운 방위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 및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장착된 경우,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와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위값을 일치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된 터치점과 가장 가까운 방위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물리적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의 회전 각도만큼 회전된 콘텐츠를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하는,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두 터치점이 다른 방향으로 멀어지는 터치 입력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콘텐츠를 확대하고,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콘텐츠를 축소하는,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두 터치점이 한 방향으로 가까워지는 터치 입력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콘텐츠를 축소하고,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콘텐츠를 확대하는,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수직방향 드로잉이 입력된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콘텐츠를 수직방향 인덱스로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수평방향 드로잉이 입력된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콘텐츠를 수평방향으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스파이럴(spiral) 드로잉이 입력된 후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콘텐츠를 스파이럴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터치점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터치점의 드로잉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70022830A 2017-02-21 2017-02-21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101861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830A KR101861098B1 (ko) 2017-02-21 2017-02-21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830A KR101861098B1 (ko) 2017-02-21 2017-02-21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098B1 true KR101861098B1 (ko) 2018-05-29

Family

ID=62452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830A KR101861098B1 (ko) 2017-02-21 2017-02-21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09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189A (ko) * 2009-03-25 2010-10-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전의 화면 각도 조절 장치
KR20110117490A (ko) * 2010-04-21 2011-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40028083A (ko) * 2011-06-05 2014-03-07 애플 인크. 물리적 터치 기능이 없는 경우 터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150071257A (ko) * 2013-12-18 2015-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조 입력 장치를 이용한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US9460469B1 (en) * 2013-11-13 2016-10-04 Jpmorgan Chase Bank, N.A. System and method for financial services device usage
KR20160139647A (ko) * 2015-05-28 2016-12-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화면분할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189A (ko) * 2009-03-25 2010-10-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전의 화면 각도 조절 장치
KR20110117490A (ko) * 2010-04-21 2011-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40028083A (ko) * 2011-06-05 2014-03-07 애플 인크. 물리적 터치 기능이 없는 경우 터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9460469B1 (en) * 2013-11-13 2016-10-04 Jpmorgan Chase Bank, N.A. System and method for financial services device usage
KR20150071257A (ko) * 2013-12-18 2015-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조 입력 장치를 이용한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160139647A (ko) * 2015-05-28 2016-12-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화면분할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4244B2 (en) Multi-window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9646407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US8378985B2 (en) Touch interface for three-dimensional display control
KR10218216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535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9927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터치 인식 방법
KR10199003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2000757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35376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2293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US2011026104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 dimensional image
KR20160050682A (ko)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331340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character input through the same
US20150331569A1 (en) Device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controlling user interface thereof
KR2011001858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1619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6376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10114501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ing a touch input and a hovering inpu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769865B1 (ko) 다각도 뷰 지원을 위한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CN106980379A (zh) 一种显示方法及终端
KR101902968B1 (ko)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물리적 회전 기반 콘텐츠 제어 방법, 그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1861098B1 (ko) 탈착가능한 물리적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20160084629A (ko) 콘텐트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KR201300782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2118406B1 (ko) 단말에서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