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050B1 -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and Installation process f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and Installation process f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0050B1 KR101860050B1 KR1020170094569A KR20170094569A KR101860050B1 KR 101860050 B1 KR101860050 B1 KR 101860050B1 KR 1020170094569 A KR1020170094569 A KR 1020170094569A KR 20170094569 A KR20170094569 A KR 20170094569A KR 101860050 B1 KR101860050 B1 KR 1018600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load
- accommodation space
- sound
- upper lay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44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5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11381 foam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35 Galvanized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7 galvanized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8 heat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층- 상기 복수의 층은 하중을 완충하는 제1 층 및 상기 제1 층의 상위 층이며 마감층인 제2 층을 포함함. - 으로 이루어지는 슬라브에 사용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2 층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층으로부터 하중을 전달받는 상층부, 상기 제1 층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상층부로부터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제1 층에 전달하는 하층부 및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층에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하부층으로 전달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방진부는, 상기 하층부에 전달되는 하중을 완화하기 위해 상기 하층부 하부면에 배치되며, 상기 상층부, 상기 하층부 및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층으로 개방된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층으로 개방된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층부로부터 상기 제1 층에 전달하는 하중이 경감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a plurality of layers-the plurality of layers-includes a first layer that dampens the load and a second layer that is a top layer of the first layer and a finish layer. - A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in a slab used in a slab comprising: a body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nd a vibration generated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n upper layer positioned below the second layer and receiving a load from the second layer, an upper layer located above the first layer, receiving the load from the upper layer, And a support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and transmits a load transmitted to the upper layer to the lower layer, wherein the vibration preventing portion includes a lower portion for transmitting a load to the lower portion, Wherein the upper layer portion, the lower layer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are arranged in a first accommodation space opened to the first layer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opened to the second layer, The forming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upport portion, the inclined interlayer noise reducing structure is formed so that the load transferred to the first relief layer from the lower layer can be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및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설치 공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층간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및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설치 공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installing an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and an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cess for installing an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and an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noise generated between layers of a building.
우리나라 전체 주택에서 10 가구 중 7.5 가구는 공동주택에 살고 있으며, 이 중 4.5 가구가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아파트에서 발생되는 층간소음문제는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아파트에서 발생되는 층간소음발생의 주요원인은 아파트가 벽식구조(벽과 바닥의 일체형 구조) 및 상층의 하부층과 하층의 상부층을 공유하는 바닥 슬래브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완충재를 여러겹 포설하는 다층완층구조와 소음원과 바닥슬래브를 이격시키는 뜬바닥구조등이 개발되었다. Since 7.5 out of 10 households in Korea live in apartment houses and 4.5 of them live in apartments, the problem of floor noise generated in apartments is becoming an important social issue. The main reason for the occurrence of the interlayer noise generated in the apartment is that the apartment is a floor slab structure that shares the wall structure (the integral structure of the wall and the floor) and the lower layer of the upper layer and the upper layer of the lower lay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ultilayered structure with multiple layers of cushioning material and a floating floor structure separating the noise source from the floor slab have been developed.
다만 종래의 기술은 바닥마감층이 두꺼워져서, 아파트 천장 높이를 확보하기 위해 아파트 층수가 줄어들고 공사비가 증가되는 문제도 가지고 있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콘크리트 슬래브, 완충재, 경량 기포 콘크리트, 마감몰탈로 구성된 공동주택 표준바닥구조로 시공되고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problem that the floor finish layer becomes thicker and the number of apartment floors is reduced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in order to secure the ceiling height of the apartment. Due to this, recently, it has been constructed as a standard floor structure of apartment house composed of concrete slab, cushioning material, lightweight foamed concrete, and finish mortar.
여기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란 콩자갈 수급 곤란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체 재로써 잔 골재를 쓰지 않고 콘크리트 속에 다공성의 많은 기포를 만들어 무게를 가볍게하고 단열성과 방음성을 높인 콘크리트의 한 종류이다. 다만, 공동주택 표준바닥구조에 이용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는 현장 배합조건과 노무공의 숙련도에 따라 수치상의 열전도율과 실제 타설 후의 열전도율의 차이가 발생되는 문제를 야기시켰다. 또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는 양생되면서 건조 수축되어 크랙이 발생되었고, 이로 인해, 나중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상부에 타설되는 모르타르층에서 물이 빠져서 열교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를 야기시켰다.Her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is a kind of concrete which is used as a substitute material to solve problems such as difficulty in supplying pea gravel, making a lot of porous bubbles in concrete without light aggregate, lightening the weight, and improving heat insulation and soundproofing. However,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used in the standard floor structure of the apartment house caus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merical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after actual pouring depending on the field mixing condition and the skill of the laborer. Also,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was dried and shrunk due to curing and cracks were generated,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water bridging in the mortar layer laid on the upper part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later, causing a thermal bridge phenomenon.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의 층고(層高)를 유지하면서 층간 소음을 균일하게 저감시킬 수 있도록, 경량 기포 콘크리트 대신에 별도의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을 배치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disposing a separate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instead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so as to uniformly reduce the interlayer noise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layer heigh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층- 상기 복수의 층은 하중을 완충하는 제1 층 및 상기 제1 층의 상위 층이며 마감층인 제2 층을 포함함. - 으로 이루어지는 슬라브에 사용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2 층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층으로부터 하중을 전달받는 상층부, 상기 제1 층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상층부로부터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제1 층에 전달하는 하층부 및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층에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하부층으로 전달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방진부는, 상기 하층부에 전달되는 하중을 완화하기 위해 상기 하층부 하부면에 배치되며, 상기 상층부, 상기 하층부 및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층으로 개방된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층으로 개방된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층부로부터 상기 제1 층에 전달하는 하중이 경감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a plurality of layers-the plurality of layers-includes a first layer that dampens the load and a second layer that is a top layer of the first layer and a finish layer. - A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in a slab used in a slab comprising: a body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nd a vibration generated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n upper layer positioned below the second layer and receiving a load from the second layer, an upper layer located above the first layer, receiving the load from the upper layer, And a support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and transmits a load transmitted to the upper layer to the lower layer, wherein the vibration preventing portion includes a lower portion for transmitting a load to the lower portion, Wherein the upper layer portion, the lower layer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are arranged in a first accommodation space opened to the first layer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opened to the second layer, The forming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upport portion, the inclined interlayer noise reducing structure is formed so that the load transferred to the first relief layer from the lower layer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층을 구획하는 제1 콘크리트 상부에 층 간 소음을 차단하거나 열을 차단하는 제1 층을 설치하는 단계, 제1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제공되는 본체부에 제1 물질을 충진하는 단계. 상기 제1 물질이 충진된 상기 본체부를 상기 제1 층의 상부에 설치하는 단계, 제1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핀을 이용하여 난방용 배관을 상기 본체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본체부 상부에 제2 물질을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물질을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설치 공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oor structure, comprising the steps of installing a first layer on the first concrete partitioning a floor, Filling the body portion provided in the abatement structure with the first substance. Installing the main body portion filled with the first material on the first layer; fixing the heating pip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using the fixing pi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A step of installing a second material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step of curing the second material.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및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설치 공정에 의하면 건축물의 높이 변화 없이 층간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and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installation process can effectively reduce the interlayer noise without changing the height of the build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자와 관계없이 동일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performance can be achieved regardless of the constructo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thermal bridge phenomen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난방용 배관을 용이하게 설치하고, 바닥복사난방의 축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the heating pipe and improve the heat storage performance of the floor radiant heating.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the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이 설치된 슬라브의 단면도.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제공되는 고정핀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5는 도 1의 B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제공되는 본체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제공되는 본체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제공되는 본체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제공되는 고정핀에 대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제공되는 고정핀이 상층부에 체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sectional view of a slab provided with an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pin provided in an interlayer noise reduc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A in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B in Fig. 1;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portion provided in an interlayer noise reduc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portion provided in an interlayer noise reduc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portion provided in the interlayer noise reduc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pin provided in an interlayer noise reduc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pin provided in an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an upper laye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층- 상기 복수의 층은 하중을 완충하는 제1 층 및 상기 제1 층의 상위 층이며 마감층인 제2 층을 포함함. - 으로 이루어지는 슬라브에 사용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2 층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층으로부터 하중을 전달받는 상층부, 상기 제1 층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상층부로부터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제1 층에 전달하는 하층부 및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층에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하부층으로 전달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방진부는, 상기 하층부에 전달되는 하중을 완화하기 위해 상기 하층부 하부면에 배치되며, 상기 상층부, 상기 하층부 및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층으로 개방된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층으로 개방된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층부로부터 상기 제1 층에 전달하는 하중이 경감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a plurality of layers-the plurality of layers-includes a first layer that dampens the load and a second layer that is a top layer of the first layer and a finish layer. - A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in a slab used in a slab comprising: a body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nd a vibration generated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n upper layer positioned below the second layer and receiving a load from the second layer, an upper layer located above the first layer, receiving the load from the upper layer, And a support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and transmits a load transmitted to the upper layer to the lower layer, wherein the vibration preventing portion includes a lower portion for transmitting a load to the lower portion, Wherein the upper layer portion, the lower layer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are arranged in a first accommodation space opened to the first layer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opened to the second layer, The forming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upport portion, the inclined interlayer noise reducing structure is formed so that the load transferred to the first relief layer from the lower layer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충진되는 제1 물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물질은 단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The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material fill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first material is a heat insulating material.
또한,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충진되는 제2 물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물질은 상기 제2 층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The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material fill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econd material is a part of the second layer.
또한, 상기 제2 층에서 상기 제1 층으로 전달되는 소음 또는 상기 제1 층에서 상기 제2 층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 혹은 흡수하기 위한 차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음부는, 상기 제2 물질이 상기 제2 충진공간에 충진되는 과정에서 상기 차음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층부, 상기 지지층 및 상기 하층부 하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And a sound insulating portion for blocking or absorbing nois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layer to the first layer or noise transmitted from the first layer to the second layer, The support lay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layer portion to prevent the sound insulation portion from being damaged during the filling of the second filling space.
또한, 상기 차음부는, 상기 하층부 및 상기 방진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Further, the sound insulating portio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layer portion and the dustproof portion.
또한, 상기 제1 물질은, 상기 제2 층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제1 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방향의 상기 제1 층의 일면을 포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material surrounds one surface of the first layer in the first direction so as to prevent heat generated in the second layer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first layer.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제2 층이 형성되기 위하여, 마감재가 타설되는 동안, 난방용 배관을 상기 상층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을 더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The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in for fixing the heating pipe to the upper layer while the finishing material is being laid to form the second layer.
또한, 상기 고정핀은, 상기 난방용 배관이 상기 상부층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난방용 배관에 외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차음부가 상기 상부층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차음부에 외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The fixing pin provides an external force to the heating pipe so that the heating pip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layer and provides an external force to the sound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sound insulating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layer. An interlayer noise reducing structure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차음부는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차음홈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차음홈에 삽입되어, 상기 차음부가 상기 상부층 하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차음부에 외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The sound insulating part is provided with a sound insulating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in is inserted and the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sound insulating groove to provide an external force to the sound insulating part so that the sound insulating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layer. An interlayer noise reducing structure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차음홈에 삽입되는 받침부, 상기 난방용 배관이 삽입되는 고정부 및 상기 받침부와 상기 고정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난방용 배관이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상기 고정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The fixing pin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sound insulating groove, a fixing portion into which the heating pipe is inserted,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to each other, And an inclined slope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so as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받침부가 상기 차음홈에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n inclined slope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support portion into the sound insulation groove.
또한,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의 끝 단부를 포위하는 마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감부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층을 실링하도록,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상층부, 상기 하층부 및 상기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는 실링부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And a finishing portion surrounding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to seal the first layer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sealing portion into which at least one of the upper layer portion, the lower layer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층을 구획하는 제1 콘크리트 상부에 층 간 소음을 차단하거나 열을 차단하는 제1 층을 설치하는 단계, 제1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제공되는 본체부에 제1 물질을 충진하는 단계, 상기 제1 물질이 충진된 상기 본체부를 상기 제1 층의 상부에 설치하는 단계, 제1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핀을 이용하여 난방용 배관을 상기 본체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본체부 상부에 제2 물질을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물질을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설치 공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oor structure, comprising the steps of installing a first layer on the first concrete partitioning a floor, 14.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duced structure, comprising: filling a body portion provided in a reduction structure with a first material; installing the body portion filled with the first material on top of the first layer; A step of fixing the heating pip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by using a fixing pin, a step of installing a second material on the main body, and a step of curing the second material, Can be provided.
또한, 동일한 층에서 공간을 구획하는 제2 콘크리트와 상기 제1 층 사이 공간을 채우도록, 상기 제1 층의 단부들을 포위하도록 마감부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마감부에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실링부에 상기 제1 물질이 충진된 상기 본체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단열 공정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installing a finishing portion to surround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layer so as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concrete and the first layer partitioning the space in the same layer and a sealing portion formed as a groove in the finish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serting the body portion filled with the first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이 설치된 슬라브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lab provided with an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제1 방향(W1)은 상측 방향을 나타낼 수 있고, 제2 방향(W2)은 하측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Here, the first direction W1 may indicate an upward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W2 may indicate a downward direction.
이러한 점은 이하 개시되는 내용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is point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following disclosure.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슬라브에 사용될 수 있다.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can be used for a slab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여기서, 상기 복수의 층은 하중을 완충하는 제1 층(F1) 및 상기 제1 층(F1)의 상위 층이며 마감층인 제2 층(F2)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layers may include a first layer F1 buffering a load and a second layer F2 which is an upper layer and a finish layer of the first layer F1.
구체적인 일례로, 복수의 층은 층간 간을 구획하는 제1 콘크리트(C1), 상기 제1콘크리트 상층에 위치되는 제1 층(F1), 상기 제1 층(F1) 상층에 위치되는 제2 층(F2)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As a concrete example, the plurality of layers may include a first concrete (C1) partitioning the interstices, a first layer (F1) located in the first concrete upper layer, a second layer (F1) F2).
여기서, 상기 제1 층(F1)은 단열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first layer F1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performing an adiabatic buffer function.
일례로, 상기 제1 층(F1)은 비드법 보온판 2종 1호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For example, the first layer F1 may be composed of two types of bead heat insulating plat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제2 층(F2)은 마감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The second layer (F2) may be formed of a finishing material.
여기서, 상기 제2 층(F2)은 모르타르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ere, the second layer (F2) may be made of morta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that is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은 상기 제1 층(F1) 및 상기 제2 층(F2)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층(F1) 및 상기 제2 층(F2)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부(600), 상기 제2 층(F2)에서 상기 제1 층(F1)으로 전달되는 소음 또는 상기 제1 층(F1)에서 상기 제2 층(F2)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 혹은 흡수하기 위한 차음부(500), 상기 제2 층(F2)이 형성되기 위하여 마감재가 타설되는 동안, 난방용 배관(800)을 상기 상층부(1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400) 및 상기 제1 층(F1) 및 상기 제2 층(F2) 끝 단부를 포위하는 마감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includes a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상기 제2 층(F2)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층(F2)으로부터 하중을 전달받는 상층부(110), 상기 제1 층(F1)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상층부(110)로부터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제1 층(F1)에 전달하는 하층부(130) 및 상기 상층부(110) 및 상기 하층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상층부(110)에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하층부(130)로 전달하는 지지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여기서, 본체부(100)는 복수의 상층부(110), 복수의 하층부(130) 및 복수의 지지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Here, the
여기서, 본체부(100)는 층간 소음(상층 및 하층)을 차단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Here, the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아연도 강판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For example, the
상기 상층부(110), 상기 하층부(130) 및 상기 지지부(120)는 제1 층(F1)으로 개방된 제1 수용공간(S100) 및 상기 제2 층(F2)으로 개방된 제2 수용공간(S200)을 형성할 수 있다 The
제1 수용공간(S100)에는 제1 물질(200)이 충진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제1 물질(200)은 완충재일 수 있다.Here, the
또한, 상기 제1 물질(200)은 단열 기능 및 차음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물질 일 수 있다. Also, the
또한, 상기 제1 물질(200)은 상기 제2 층(F2)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제1 층(F1)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방향(W1, 도 1참조)의 상기 제1 층(F1)의 일면을 포위할 수 있다.The
즉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방향(W1)의 상기 제1 층(F1)의 일면은 상기 제1 물질(200)과 상기 하층부(130)에 의해 포위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one side of the first layer F1 in the first direction W1 may be surrounded by the
여기서, 상기 제1 방향(W1)이란 상기 제1 층(F1)에서부터 상기 제2 층(F2)에 대한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Here, the first direction W1 may indicate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layer F1 to the second layer F2.
제2 수용공간(S200)에는 제2 물질(300)이 충진될 수 있다.The
상기 제2 물질(300)은 단열재일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제2 물질(300)은 상기 제2 층(F2)의 일부일 수 있다.Also, the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1 층(F1) 위에 상기 본체부(100)가 배치된 후 제2 물질(300)인 모르타르가 타설될 수 있다. 상기 모르타르는 상기 제2 수용공간(S200)에 충진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2 층(F2)을 형성할 수 있다.As a concrete example, after the
즉 다시 말해서, 상기 본체부(100)는 모르타르의 거푸집 역할을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상기 제1 수용공간(S100)에 상기 제1 물질(200)이 충진되고, 상기 제2 수용공간(S200)에 상기 제2 물질(300)이 충진되어,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의 단열성을 더욱 높일수 있다.The
상기 상층부(110)는 상기 제2 층(F2)의 하부면과 접촉될 수 있다. The
여기서, 상기 상층부(110)는 복수의 면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상층부(110)는 상기 제2 층(F2)의 하부면과 선 접합할 수 있다. Here, the
상기 상층부(110)는 상기 제2 층(F2)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하층부(130)로 전달 할 수 있다. The
상기 상층부(110)는 고정핀(400)이 연결되는 고정홀(111)을 구비할 수 있다. The
상기 고정홀(111)은 상기 상층부(110)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상층부(110)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일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또한, 상기 하층부(130)는 상기 제1 층(F1)의 상부면과 접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하층부(130)는 복수의 면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하층부(130)는 상기 1 층의 상부면과 선 접합할 수 있다.Here, the
상기 하층부(130)는 상기 지지부(12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제1 층(F1)으로 전달 할 수 있다. The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상층부(110)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일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여기서 상기 상층부(110)와 상기 하층부(130)가 상기 제2 층(F2) 및 상기 제1 층(F1) 각각과 선접합을 하기때문에, 상기 제1 층(F1)에서 상기 제2 층(F2)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Since the
또한,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하층부(130)로부터 상기 제1 층(F1)에 전달되는 하중이 경감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제1 층(F1)으로부터 상기 제2 층(F2)에 대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상층부(110)와 상기 하층부(130)가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즉 다시 말해서,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제1 층(F1)으로부터 상기 제2 층(F2)에 대한 방향으로 상기 상층부(110)와 상기 하층부(130)가 오버랩되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상기 지지부(120)가 경사지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상층부(110)와 상기 하층부(130)는 효과적으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Since the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지지부(120)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또한, 방진부(600)는 상기 하층부(130)에 전달되는 하중을 완화하기 위해 상기 하층부(130)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즉, 다시 말해서, 상기 방진부(600)는 상기 하층부(130)의 하부면과 및 상기 제2 층(F2)의 상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상기 방진부(600)는 상기 하층부(130)의 하부면 전부에 위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하층부(130)의 하부면 일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The
일례로, 상기 방진부(600)는 방진 고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모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또한, 차음부(500)는 상기 제2 물질(300)이 상기 제2 충진공간에 충진되는 과정에서 상기 차음부(5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층부(110), 상기 지지부(120) 및 상기 하층부(130)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차음부(500)는 소음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The
상기 차음부(500)는 상기 고정핀(400)이 삽입되는 차음홈(510)을 구비할 수 있다. The
상기 차음부(500)는 상기 제1 물질(200)과 상기 상층부(110), 상기 하층부(130) 및 상기 지지부(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차음부(500)는 상기 하층부(130) 및 상기 방진부(6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마감부(700)는 상기 제1 층(F1) 및 상기 제2 층(F2)과 제2 콘크리트(C2) 사이의 공간을 메꾸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finishing
여기서, 제2 콘크리트(C2)는 상기 제1 콘크리트와 직교하는 콘크리트 층으로서, 동일한 층에서 공간을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concrete (C2) is a concrete layer orthogonal to the first concrete, and can function to partition a space in the same layer.
상기 마감부(700)는 상기 제1 층(F1) 및 상기 제2 층(F2)과 상기 제2 콘크리트(C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nishing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마감부(700)는 상기 제1 층(F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부(700)는 상기 제1 층(F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finishing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마감부(700)는 상기 제1 층(F1)과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nishing
고정핀(400)은 상기 난방용 배관(800)을 상기 상층부(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xing
이하, 상기 고정핀(400)의 구조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fixin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제공되는 고정핀(400)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도 3 및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핀(400)은 상기 차음홈(510)에 삽입되는 받침부(430), 상기 난방용 배관(800)이 삽입되는 고정부(410) 및 상기 받침부(430)와 상기 고정부(41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3 and 4A, the fixing
또한, 상기 고정핀(400)은 상기 난방용 배관(800)이 상기 상층부(11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난방용 배관(800)에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xing
고정부(410)는 상기 난방용 배관(800)이 삽입되는 고정공간(S410)을 제공하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The fixing part 4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to provide a fixing space S410 into which the
또한, 상기 고정부(410)는 상기 난방용 배관(800)이 상기 고정공간(S410)으로 위치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개구공간(S420)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410 may provide an opening space S420 having one side opened so that the
상기 고정부(410)는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The fixing part 41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고정부(410)는 상기 난방용 배관(800)이 삽입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어, 상기 고정공간(S410)과 상기 개구공간(S420)을 확장할 수 있다.When the
또한 상기 고정부(410)는 상기 난방용 배관(800)이 삽입된 경우, 상기 난방용 배관(800)이 상기 고정부(4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난방용 배관(800)을 압착할 수 있다. The fixing part 410 may press the
또한 상기 고정부(410)는 상기 난방용 배관(800)이 삽입되는 원통부(411) 및 상기 난방용 배관(800)이 삽입된 경우, 상기 난방용 배관(800)이 상기 고정부(4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부(412)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4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상기 체결부(412) 상기 원통부(411)의 끝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체결부(412)는 상기 개구공간(S420)을 제공할 수 있다.The
상기 고정핀(400)이 상기 상층부(110)에 결합되었을 경우에 형성되는 상기 개구공간(S420)은 상기 고정핀(400)이 상기 상층부(110)에 결합되기 전에 형성되는 상기 개구공간(S420)보다 작을 수 있다. The opening space S420 formed when the fixing
상기 받침부(430)는 상기 연결부(42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받침부(430)는 상기 차음부(50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차음홈(510)에 삽입될 수 있다. The receiving
상기 받침부(430)는 상기 차음부(500)가 상기 상층부(110) 하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차음부(500)에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receiving
상기 고정핀(400)이 상기 상층부(1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핀(400)과 상기 차음재 간에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에 의해 상기 차음재는 상기 상층부(110)의 하면에 완벽하게 접착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차음재가 상기 상층부(110)에 하면에 완벽하게 접착이 되지 않는다면 차음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fixing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기 고정핀(400)은 상기 차음홈(510)에 삽입되어, 상기 차음재가 상기 상층부(110) 하면에 완벽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차음재에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fixing
연결부(420)는 상기 난방용 배관(800)이 상기 고정부(410)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상기 고정부(41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연결부(420)는 제1 연결부(421) 및 제2 연결부(42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421) 및 상기 제2 연결부(426)는 상기 개구공간(S420)과 연동되는 삽입공간(S430)을 제공할 수 있다.The
상기 제1 연결부(421) 및 상기 제2 연결부(426)는 상기 원통부(411)의 양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연결부(420)는 상기 삽입공간(S430)이 상기 개구공간(S420)과 연통되는 부분과 가까워질수록 상기 삽입공간(S430)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연결부(420)의 경사로 인해, 상기 난방용 배관(800)은 상기 고정공간(S410)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또한, 상기 원통부(411), 상기 연결부(420) 및 상기 받침부(430)는 모두 같은 재질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일례로, 상기 원통부(411), 상기 연결부(420) 및 상기 받침부(430)는 탄성적인 재질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또한, 상기 원통부(411), 상기 연결부(420) 및 상기 받침부(430)는 상기 난방용 배관(800)에서 발산되는 열이 상기 고정핀(400)을 통해 상기 상층부(110)로 이동되지 않도록 단열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The
도 5는 도 1의 B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5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B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마감부(700)는 상기 제1 방향(W1)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W2)으로 상기 제1 층(F1)을 실링하도록, 상기 제1 방향(W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상층부(110), 상기 하층부(130) 및 상기 지지부(120)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는 실링부(710)를 구비할 수 있다. 5, the finishing
상기 실링부(710)는 상기 마감부(700)에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aling
또한, 상기 상층부(110)에 고정핀(400)이 연결된 경우, 상기 고정핀(400)이 삽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xing
상기 실링부(710)에 상기 상층부(110), 상기 하층부(130), 상기 지지부(120) 및 상기 고정부(410)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제1 층(F1) 및 상기 제2 층(F2)과 상기 제2 콘크리트(C2)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에 이물질(예를 들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따라서, 상기 이물질에 의해 상기 차음부(500), 상기 제1 물질(200), 상기 방진부(600) 및 상기 제1 층(F1)이 파손되거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이하, 본 발명과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서술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ther tha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생략할 수 있다. Here, the technical features overlapping wit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제공되는 본체부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provided in an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제공되는 본체부(1100)는 상기 제2 층(F2)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층(F2)으로부터 하중을 전달받는 상층부(1110), 상기 제1 층(F1)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상층부(1110)로부터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제1 층(F1)에 전달하는 하층부(1130) 및 상기 상층부(1110) 및 상기 하층부(1130)와 연결되어 상기 상층부(1110)에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하층부(1130)으로 전달하는 지지부(1121, 1122, 1123)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상기 상층부(1110)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진 복수의 판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The
상기 상층부(1110)는 상기 제2 층(F2)의 하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층(F2)에 작용되는 하중을 전달받을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하층부(1130)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진 복수의 판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The
상기 하층부(1130)는 상기 제1 층(F1)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상층부(111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제1 층(F1)에 전달할 수 있다. The
상기 상층부(1110)와 상기 하층부(1130)는 상기 지지부(1121, 1122, 1123)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층(F1)으로부터 상기 제2 층(F2) 방향으로 서로 오버랩 되지 않을 수 있다. The
상기 지지부(1120)는 상기 상층부(1110)와 연결되는 제1 지지부(1121), 상기 하층부(1130)와 연결되는 제2 지지부(1122) 및 상기 제1 지지부(1120)와 상기 제2 지지부(1120)에 연결되는 제3 지지부(1123)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1120 includes a
상기 제1 지지부(1120)와 상기 제2 지지부(1120)는 상기 상층부(1110)와 상기 하층부(1130)가 오버랩되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portion 112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120 may be inclined so that the
상기 제1 지지부(1120)는 상기 상층부(1110)의 단부들을 포위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ortion 1120 may surround the end portions of the
또한, 상기 제2 지지부(1120)는 상기 하층부(1130)의 단부들을 포위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1120 may surround the end portions of the
즉 다시 말하면, 상기 상층부(1110)의 하면, 상기 제1 지지부(1120)의 내면, 상기 제3 지지부(1120) 및 상기 제2 지지부(1120)의 외면은 상기 제1 층(F1)으로 개방된 제1 수용공간(S1100)을 형성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112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120 are opened to the first layer F1,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S1100 can be formed.
또한, 상기 하층부(1130)의 상면, 상기 제2 지지부(1120)의 내면, 상기 제3 지지부(1123) 및 상기 제1 지지부(1120)의 외면은 상기 제2 층(F2)으로 개방된 제2 수용공간(S1200)을 형성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차음부(1500)는 상기 상층부(1110)의 하면, 상기 제1 지지부(1120)의 내면, 상기 제2 지지부(1120)의 외면, 상기 하층부(113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방진부(1600)는 상기 하층부(113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제공되는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provided in an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제공되는 본체부(2100)는 상기 제2 층(F2)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층(F2)으로부터 하중을 전달받는 상층부(2110), 상기 제1 층(F1)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상층부(2110)로부터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제1 층(F1)에 전달하는 하층부(2130) 및 상기 상층부(2110) 및 상기 하층부(2130)와 연결되어 상기 상층부(2110)에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하층부(2130)으로 전달하는 지지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상기 상층부(2110)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진 복수의 판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The
상기 상층부(2110)는 상기 제2 층(F2) 하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층(F2)에 작용되는 하중을 전달받을 수 있다. The
상기 지지부(2120)는 상기 상층부(2110)의 단부들을 포위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The
상기 지지부(2120)는 상기 제2 층(F2)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하층부(2130)는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서, 상기 지지부(2120)가 제공하는 복수개의 공간과 연통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The
이를 위해, 상기 하층부(2130)는 복수 개의 사각홀을 형성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상기 상층부(2110)의 하면, 상기 지지부(2120)의 내면 및 상기 하층부(2130)의 사각홀은 상기 제1 층(F1)으로 개방된 제1 수용공간(S2100)을 형성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지지부(2120)의 외면 및 상기 하층부(2130)의 상면은 제2 층(F2)으로 개방된 제2 수용공간(S2200)을 형성할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차음부(2500)는 상기 상층부(2110)의 하면, 상기 지지부(2120)의 내면 및 상기 하층부(2130)의 사각홀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방진부(2600)는 상기 하층부(213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제공되는 본체부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provided in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제공되는 본체부(3100)는 상기 제2 층(F2)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층(F2)으로부터 하중을 전달받는 상층부(3110), 상기 제1 층(F1)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상층부(3110)로부터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제1 층(F1)에 전달하는 하층부(3130) 및 상기 상층부(3110) 및 상기 하층부(3130)과 연결되어 상기 상층부(3110)에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하층부(3130)으로 전달하는 지지부(312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상기 상층부(3110)는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복수의 사각홀을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상층부(3110)는 상기 제2 층(F2)의 하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층(F2)에 작용되는 하중을 전달받을 수 있다. The
상기 지지부(3120)는 상기 사각홀이 제공하는 공간과 연통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상층부(3110)의 사각홀과 연결될 수 있다. The
상기 지지부(3120)는 상기 제2 층(F2)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ing
상기 하층부(3130)는 상기 제1 층(F1)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상층부(311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제1 층(F1)에 전달할 수 있다. The
상기 하층부(3130)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진 복수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상기 하층부(3130)는 상기 제1 층(F1)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상층부(311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제1 층(F1)으로 전달 할 수 있다. The
상기 지지부(3120)의 외면, 상기 상층부(3110)의 하면은 상기 제1 층(F1)으로 개방된 제1 수용공간(S3100)을 형성할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상층부(3110)의 사각홀, 상기 지지부(3120)의 내면 및 상기 하층부(3130)의 상면은 상기 제2 층(F2)으로 개방된 제2 수용공간(S3200)을 형성할 수 있다.The square hole of the
차음부(3500)는 상기 지지부(3120)의 외면, 상기 상층부(31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방진부(3600)는 상기 하층부(313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제공되는 고정핀에 대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pin provided in an interlayer noise reduc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고정핀(1400)의 받침부(1430)는 상기 받침부(1430)가 차음홈(510, 도 4 참조)에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9, the receiving
상기 받침부(1430)는 연결부(1420)와 연결되어 있는 일단부로부터 상기 받침부(1430)의 타단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receiving
상기 받침부(14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면 및 하면 모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receiving
상기 받침부(1430)가 경사지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받침부(1430)는 상기 차음홈(51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Since the receiving
또한, 받침부(1430)가 경사지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받침부(1430)가 상기 차음홈(5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차음재(500, 도 4 참조)에 효과적으로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ceiving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에 제공되는 고정핀이 상층부에 체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pin provided in an interlayer noise reduc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an upper layer. FIG.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핀(2400)의 체결부(2412)는 상기 고정핀(2400)의 원통부(2411) 끝 단부로부터 더욱 연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핀(2400)이 상기 상층부(110)에 결합되었을 경우에 개구공간이 제공되지 못할 수 있다.10, the
즉, 다시 말하면 상기 난방용 배관(800)이 상기 고정핀(2400)에 의해 상기 상층부(110)에 결합되었을 경우, 상기 고정핀(2400)은 상기 난방용 배관(800)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난방용 배관(800)을 포위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따라서, 상기 체결부(2412)는, 상기 난방용 배관(800)이 상기 고정핀(2400)에 의해 본체부에 고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개구공간을 통하여 상기 난방용 배관(800)이 상기 상층부(110) 방향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난방용 배관(800)이 고정핀(2400)에 의해 상기 상층부(110) 상면에 고정된 후, 모르타르가 타설될 수 있다. 모르타르 양생되는 동안에, 상기 난방용 배관(800)은 자체의 무게 때문에, 상기 상층부(110) 방향으로 내려갈 수 있다.Specifically, after the
상기 체결부(2412)는 상기 난방용 배관(800)을 효과적으로 고정시켜주기에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을 이용하여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설치 공정에 대해 살펴본다. Hereinafter,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using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설치 공정은 층을 구획하는 제1 콘크리트(C1) 상부에 층 간 소음을 차단하거나 열을 차단하는 제1 층(F1)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본체부(100)에 상기 제1 물질(200)을 충진하는 단계, 상기 제1 물질(200)이 충진된 상기 본체부(100)를 상기 제1 층(F1)의 상부에 설치하는 단계, 고정핀(400)을 이용하여 난방용 배관(800)을 상기 본체부(10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본체부(100) 상부에 제2 물질(300)을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물질(300)을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5, the step of installing an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includes the steps of providing a first layer F1 blocking or interrupting the interlayer noise on the first concrete C1 partitioning the layers, Filling the
이러한 제조 방법은 기존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바, 경량 기포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시간을 생략할 수 있다. 이로써, 종전 공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This manufacturing method does not use the conventional lightweight foamed concrete, so that it is possible to omit the time for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to be cured. This makes it possible to shorten the construction time in the past.
또한, 상기 난방용 배관(800)은 상기 고정핀(40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상기 고정핀(400)은 상기 본체부(10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난방용 배관(800)의 위치 설정이 용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xing
또한, 기존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는 양생하는 과정에서 수축 건조되어, 제2 물질(300)이 양생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물질(300) 함유하고 있는 물이 빠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로 인해 열교현상이 야기되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lightweight foamed concrete is shrunk and dried during the curing process, so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본 발명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열교 현상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such a heat bridging phenomenon can be effectively solved.
또한,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설치 공정은 동일한 층에서 공간을 구획하는 제2 콘크리트(C2)와 상기 제1 층(F1) 사이 공간을 채우도록, 상기 제1 층(F1)의 단부들을 포위하도록 마감부(700)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마감부(700)에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실링부(710)에 상기 제1 물질(200)이 충진된 상기 본체부(100)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may include a second concrete (C2) partitioning a space in the same layer and a second concrete (C2) covering a space between the first layer (F1) (700), and inserting the body part (100) filled with the first material (200) into a sealing part (710) formed as a groove in the finishing part (700) .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lurred.
100 : 본체부 200 : 제1 물질
300 : 제2 물질 400 : 고정핀100: Body part 200: First material
300: second material 400: fixing pin
Claims (14)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부;
단열재인 제1 물질;
상기 제2 층의 일부인 제2 물질;
상기 제2 층에서 상기 제1 층으로 전달되는 소음 또는 상기 제1 층에서 상기 제2 층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 혹은 흡수하기 위한 차음부; 및
상기 제2 층이 형성되기 위하여, 마감재가 타설되는 동안, 난방용 배관을 상기 본체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2 층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층으로부터 하중을 전달받는 상층부;
상기 제1 층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상층부로부터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제1 층에 전달하는 하층부; 및
상기 상층부 및 상기 하층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층부에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하층부로 전달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방진부는,
상기 하층부에 전달되는 하중을 완화하기 위해 상기 하층부 하부면에 배치되며,
상기 상층부, 상기 하층부 및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층으로 개방된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층으로 개방된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층부로부터 상기 제1 층에 전달하는 하중이 경감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물질은,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충진되며,
상기 제2 물질은,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충진되며,
상기 차음부는,
상기 제2 물질이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충진되는 과정에서 상기 차음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층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하층부의 하부면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난방용 배관이 상기 상층부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난방용 배관에 외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차음부가 상기 상층부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차음부에 외력을 제공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A plurality of layers, said plurality of layers including a first layer that buffers the load and a second layer that is a top layer of said first layer and a finish layer. - < tb >< sep >
A main body dis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 dustproof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absorbing vibration generated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 first material that is a thermal insulator;
A second material that is part of the second layer;
A sound receiving portion for blocking or absorbing nois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layer to the first layer or noise transmitted from the first layer to the second layer; And
And a fixing pin for fixing the heating pipe to the main body part while the finishing material is being poured to form the second layer,
Wherein,
An upper layer positioned below the second layer and receiving a load from the second layer;
A lower layer positioned above the first layer and receiving a load from the upper layer and delivering the load to the first layer; And
And a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layer portion and the lower layer portion and transmitting a load transmitted to the upper layer portion to the lower layer portion,
The dust-
A lower layer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layer to reduce a load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The upper layer portion, the lower layer portion,
Forming a first accommodation space open to the first layer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open to the second layer,
The support portion
The first layer being inclined so as to reduce a load transmitted from the lower layer portion to the first layer,
The first material may include,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fill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second material comprises,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fill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The sound-
The support portion and the lower layer portion to prevent the sound insulation portion from being damaged in filling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with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fixing pin includes:
Wherei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heating pipe so that the heating pip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an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ound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sound insulating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상기 차음부는,
상기 하층부 및 상기 방진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und-
Wherein the noise absorbing structure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layer portion and the dustproof portion.
상기 차음부는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차음홈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차음홈에 삽입되어, 상기 차음부가 상기 상층부 하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차음부에 외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insulating portion has a sound insulating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in is inserted,
Wherein the fixing pin includes:
An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ound insulation part so that the sound insulation par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sound insulation part.
상기 고정핀은,
상기 차음홈에 삽입되는 받침부;
상기 난방용 배관이 삽입되는 고정부; 및
상기 받침부와 상기 고정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난방용 배관이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상기 고정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xing pi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sound insulating groove;
A fixing unit into which the heating pipe is inserted; And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heating pipe is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so as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4569A KR101860050B1 (en) | 2017-07-26 | 2017-07-26 |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and Installation process f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4569A KR101860050B1 (en) | 2017-07-26 | 2017-07-26 |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and Installation process f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60050B1 true KR101860050B1 (en) | 2018-07-06 |
Family
ID=62920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4569A KR101860050B1 (en) | 2017-07-26 | 2017-07-26 |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and Installation process f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0050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2140B1 (en) * | 2021-10-15 | 2022-04-29 | 김원중 | Construction slab structure for interlayer noise prevention of apartment building |
KR102449005B1 (en) * | 2021-06-28 | 2022-09-29 | (주)포스코건설 | Resonant resistance module plate and floo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20230083175A (en) * | 2021-12-02 | 2023-06-09 | 티에스아이(주) | Floor buffer structure with buffer plate |
KR102553707B1 (en) * | 2023-01-17 | 2023-07-07 | 채창현 | Floor Soundproof Assembly |
KR20230123113A (en) * | 2022-02-16 | 2023-08-23 | 송상현 | Construction slab structure for interlayer noise prevention of apartment building |
KR20240022233A (en) * | 2022-08-11 | 2024-02-20 | 조성건 | Noise-Interception Structure in Apartment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7908B1 (en) * | 2005-11-24 | 2006-11-23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Noise Reduction Dry Floor System using Multi-deck Plate |
KR20090123491A (en) * | 2008-05-28 | 2009-12-02 | 김갑철 | Heat pipe pipe panel for hot water ondol |
KR20090132705A (en) * | 2008-06-23 | 2009-12-31 | 김갑철 | Hot Water Ondol Construction Structure |
KR20110020099A (en) * | 2009-08-21 | 2011-03-02 | 박상민 | System for noise neduction of between floors |
KR20120101834A (en) * | 2011-03-07 | 2012-09-17 | (주)엘지하우시스 | Sound insulation floor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KR101380710B1 (en) * | 2013-02-28 | 2014-04-02 | 이용준 | Structure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
KR20140134051A (en) * | 2013-05-13 | 2014-11-21 | (주) 포유엔지니어링 | The structure for soundproof interlayer |
KR20150139265A (en) * | 2014-06-03 | 2015-12-11 | (주)세기경영기술연구원 | Water heating panels for interlayer noise reduction construction method |
KR20160112397A (en) * | 2015-03-19 | 2016-09-28 | 유인섭 | Interlayer Sound Insulation Panel |
-
2017
- 2017-07-26 KR KR1020170094569A patent/KR10186005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7908B1 (en) * | 2005-11-24 | 2006-11-23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Noise Reduction Dry Floor System using Multi-deck Plate |
KR20090123491A (en) * | 2008-05-28 | 2009-12-02 | 김갑철 | Heat pipe pipe panel for hot water ondol |
KR20090132705A (en) * | 2008-06-23 | 2009-12-31 | 김갑철 | Hot Water Ondol Construction Structure |
KR20110020099A (en) * | 2009-08-21 | 2011-03-02 | 박상민 | System for noise neduction of between floors |
KR20120101834A (en) * | 2011-03-07 | 2012-09-17 | (주)엘지하우시스 | Sound insulation floor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KR101380710B1 (en) * | 2013-02-28 | 2014-04-02 | 이용준 | Structure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
KR20140134051A (en) * | 2013-05-13 | 2014-11-21 | (주) 포유엔지니어링 | The structure for soundproof interlayer |
KR20150139265A (en) * | 2014-06-03 | 2015-12-11 | (주)세기경영기술연구원 | Water heating panels for interlayer noise reduction construction method |
KR20160112397A (en) * | 2015-03-19 | 2016-09-28 | 유인섭 | Interlayer Sound Insulation Panel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9005B1 (en) * | 2021-06-28 | 2022-09-29 | (주)포스코건설 | Resonant resistance module plate and floo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2392140B1 (en) * | 2021-10-15 | 2022-04-29 | 김원중 | Construction slab structure for interlayer noise prevention of apartment building |
KR20230083175A (en) * | 2021-12-02 | 2023-06-09 | 티에스아이(주) | Floor buffer structure with buffer plate |
KR102613870B1 (en) * | 2021-12-02 | 2023-12-15 | 티에스아이(주) | Floor buffer structure with buffer plate |
KR20230123113A (en) * | 2022-02-16 | 2023-08-23 | 송상현 | Construction slab structure for interlayer noise prevention of apartment building |
KR102605092B1 (en) * | 2022-02-16 | 2023-11-23 | 송상현 | Construction slab structure for interlayer noise prevention of apartment building |
KR20240022233A (en) * | 2022-08-11 | 2024-02-20 | 조성건 | Noise-Interception Structure in Apartment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2724965B1 (en) * | 2022-08-11 | 2024-11-13 | 김창근 | Noise-Interception Structure in Apartment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2553707B1 (en) * | 2023-01-17 | 2023-07-07 | 채창현 | Floor Soundproof Assembl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60050B1 (en) |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and Installation process f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 |
KR101128873B1 (en) | Floor impact sound cut-off construction of a build | |
KR102210028B1 (en) | Structure for reducing floor impact sound using heat pipe pa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527209B1 (en) | Structure for noise reduction of between floors in building | |
KR101480328B1 (en) | The structure for soundproof interlayer | |
KR101006837B1 (en) | Leveling vibration and noise prevention device for easy leveling | |
KR101639555B1 (en) | Shock absorbing pad assembly for blocking floor noise | |
KR101991089B1 (en) |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stairs | |
KR20190076174A (en) | Floor noise prevention, mesh airball | |
KR101462969B1 (en) | Noiseproof measures between floors applying double floating structures and hollow core | |
KR200404398Y1 (en) | Bottom structure of building | |
KR20220031828A (en) | Dry heating panel structure for noise reduce between floors of building | |
KR102028754B1 (en) | Floo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on of inter-floor noise | |
KR20120126445A (en) | Insulating meterial for floor and floor structure of building using the same | |
KR100995303B1 (en) | Floor shock sound absorber between apartments using dustproof mat | |
KR100473834B1 (en) | Floating structure and method of carrying out construction with thereof | |
KR101892020B1 (en) | Construction hypocaust slab structure having noise isolation structure for bu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119407B1 (en) | Vibration dampener for reduction of crashing sound | |
KR101424593B1 (en) | Floor space noise prevention structure for apart and thereof | |
KR100491188B1 (en) | Method of hypocaust and it's Apparatus for an apartment house | |
KR101105627B1 (en) | Floor shock sound blocking structure of building | |
KR101380710B1 (en) | Structure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 |
KR200453109Y1 (en) | crashing sound preventing structure of building | |
KR100827426B1 (en) | Dry Ondol Floo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Reduction of Floor Noise in Apartment Houses | |
KR100778659B1 (en) | Soundproof, Dustproof Flooring of Buil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7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