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574B1 - 전조등 고장을 확인하는 avm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조등 고장을 확인하는 avm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574B1
KR101858574B1 KR1020170123675A KR20170123675A KR101858574B1 KR 101858574 B1 KR101858574 B1 KR 101858574B1 KR 1020170123675 A KR1020170123675 A KR 1020170123675A KR 20170123675 A KR20170123675 A KR 20170123675A KR 101858574 B1 KR101858574 B1 KR 101858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image
headlamp
brightness value
head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7577A (ko
Inventor
엄정흠
Original Assignee
(주)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캠시스 filed Critical (주)캠시스
Priority to KR102017012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574B1/ko
Publication of KR20180037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1Atmospheric conditions
    • B60Q2300/314Ambien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전조등 고장을 확인하는 AVM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탑뷰(top-view) 영상을 생성하는 AVM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전조등 고장 확인 방법은 탑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탑뷰 영상에서 좌측 전조등에 대응되는 제1 영역과 우측 전조등에 대응되는 제2 영역의 밝기 수치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밝기 수치를 이용하여 좌측 전조등 또는 우측 전조등의 고장 유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조등 고장을 확인하는 AVM 시스템 및 그 방법{Around view 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trouble of headligh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전조등 고장을 확인하는 AVM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전조등(Headlights)은 야간 운전시 운전자의 전방시야를 밝혀주는데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야간 외에 안개, 비, 눈 등의 악천후 시에도 타 운전자와 보행자 등에게도 차량의 존재를 알려 서로 주의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전조등은 차량 앞단 좌우에 각각 쌍으로 구비된다. 만일 쌍으로 구비된 전조등 모두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라면, 야간에 전방 시야가 어둡기 때문에 운전자가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램프를 교체하는 등의 고장을 수리하게 된다. 그러나, 둘 중 하나만이 고장난 경우에는 다른 하나가 여전히 불빛을 비추게 되므로 인해, 운전자가 고장난 전조등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야간 시내 주행 시 네온사인, 가로등, 타 차량의 전조등 등에 의해 주변이 밝은 경우, 전조등의 일부가 고장난 것을 쉽게 인지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전조등에 고장이 발생된 것을 인지하고 있더라도, 주기적으로 알려 주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수리를 미루고 운행을 하는 경우가 많다
좌측 또는 우측 하나의 전조등만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시야가 좁아질 수 있어 사고가 발생될 소지가 있다. 만일 우측 전조등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우측에서 차선을 변경하여 동일 진로로 진입하는 차량을 확인하지 못하여 충돌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033507 (공개일자 2099년05월15일) 차량 전조등 고장 탐지 경고 장치 및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AVM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생성된 탑뷰 영상을 이용하여 전조등의 고장 발생을 확인하는 방법 및 그 AVM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탑뷰(top-view) 영상을 생성하는 AVM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전조등 고장 확인 방법에 있어서, 탑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탑뷰 영상에서 좌측 전조등에 대응되는 제1 영역과 우측 전조등에 대응되는 제2 영역의 밝기 수치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밝기 수치를 이용하여 좌측 전조등 또는 우측 전조등의 고장 유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조등 고장 확인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영역의 밝기 수치와 상기 제2 영역의 밝기 수치간의 편차가 미리 설정된 비교임계값 이상인 경우, 낮은 밝기 수치를 갖는 영역에 대응되는 전조등에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장 유무를 결정하는 단계는, 좌측 전조등 또는 우측 전조등의 각 밝기 수치를 이용한 고장 유무 확인 단계; 고장이 발생된 것이 존재하는 경우, 전방 카메라에 의한 전방 영상에서 좌측 전조등과 우측 전조등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에 대한 밝기 수치를 더 산출하는 단계; 고장이 발생되지 않은 전조등에 따른 영역의 밝기 수치보다 상기 제3 영역의 밝기 수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 높은지 여부를 확인하여 검증하는 단계; 및 검증 결과에 따라 전조등의 고장 발생을 결정하여 알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임계값은 현재 시각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뷰 영상에서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에 대응되는 영역인 비교영역의 밝기 수치를 산출하고, 상기 비교영역의 밝기 수치에 따라 상기 비교임계값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방, 측면, 후방을 각각 촬영하는 복수개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입력 처리하는 영상 입력부; 상기 카메라에 의한 각각의 영상을 이용하여 탑뷰(top-view)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 상기 탑뷰 영상에서 좌측 전조등에 대응되는 제1 영역과 우측 전조등에 대응되는 제2 영역의 밝기 수치를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각 밝기 수치를 이용하여 좌측 전조등 또는 우측 전조등의 고장 유무를 확인하는 영상 분석부; 및 전조등의 고장 발생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전조등 고장을 확인하는 AVM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제1 영역의 밝기 수치와 상기 제2 영역의 밝기 수치간의 편차가 미리 설정된 비교임계값 이상인 경우, 낮은 밝기 수치를 갖는 영역에 대응되는 전조등에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좌측 전조등 또는 우측 전조등의 각 밝기 수치를 이용한 고장 유무 확인을 수행한 결과 고장이 발생된 것이 존재하는 경우, 전방 카메라에 의한 전방 영상에서 좌측 전조등과 우측 전조등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에 대한 밝기 수치를 더 산출하고, 고장이 발생되지 않은 전조등에 따른 영역의 밝기 수치보다 상기 제3 영역의 밝기 수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 높은지 여부를 확인하여 고장 발생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탑뷰 영상에서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에 대응되는 영역인 비교영역의 밝기 수치를 산출하고, 상기 비교영역의 밝기 수치에 따라 상기 비교임계값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AVM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탑뷰 영상의 분석으로 인해 전조등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비용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운전자에게 주기적으로 안내하여 고장난 전조등을 수리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AVM 시스템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고장을 확인하기 위한 탑뷰 영상의 분석 영역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고장을 확인하는 AVM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M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전조등 고장 확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VM 시스템에서 전방 영상을 함께 이용하여 전조등 고장을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밝기 수치가 산출되는 제3 영역을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술될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등의 용어는 실질적으로는 각각 상이하거나 일부는 동일한 값인 임계값들로 미리 지정될 수 있으나, 임계값이라는 동일한 단어로 표현될 때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구분의 편의상 제1, 제2 등의 용어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AVM 시스템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0)의 전후방, 좌우측면에는 각각 카메라(110a, 110b, 110c, 110d)(이하 110으로 통칭함)가 설치된다. 카메라들(110) 각각은 차량(100)의 전후방 및 좌우측면의 영상(A, B, C, D)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차량(100)을 상방향에서 내려다보는 형태의 영상(도 1의 (b) 참조)으로 재구성하여 차량(100)에 장착된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한다.
재구성된 AVM 영상은 차량의 전후방, 좌우측면에 설치된 카메라(110)에 의해 지면에 수평 방향으로 촬영된 영상을 지면에 수직 방향인 형태의 영상으로 변환시켜 생성되는 것으로, 변환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는 거리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탑 뷰 영상은 주차를 할 때, 장애물이 많은 곳 또는 좁은 골목에서의 운전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화면 내의 장애물 등을 확인하며 주차 또는 주행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좁은 골목을 이동 중이거나 주차 시, 한번에 지나갈 수 없는 공간의 경우에는 여러 번 방향을 틀어야 하거나 앞뒤로 번갈아 가며 주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 때 차량이 장애물이 긁히거나 접촉사고가 일어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운전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는 경우에 비해 상술한 AVM 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사고 발생률이 떨어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이러한 AVM 시스템에서 전조등의 고장을 확인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AVM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고장을 확인하기 위한 탑뷰 영상의 분석 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고장을 확인하는 AVM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먼저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M 시스템은 영상 입력부(310), 저장부(315), 영상 생성부(320), 영상 분석부(325), 고장정보 생성부(330) 및 디스플레이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AVM 시스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영상 입력부(310)는 차량(100) 또는 본체 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촬상되어 입력되는 카메라 영상 신호를 카메라 영상 데이터로 생성하여 저장부(315)에 저장한다. 여기서, 카메라는 적은 수량으로 차량 주변 환경을 촬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광각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315)에는 예를 들어 AVM 시스템의 운용 프로그램, 영상 입력부(310)에 의해 생성된 카메라 영상 데이터, 후술될 영상 생성부(320)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 후술될 고장정보 생성부(330)에 의해 생성된 고장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315)는 데이터를 영구 저장하는 영구 저장 메모리와 동작 시 필요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여 운용하는 임시 저장 메모리로 분리하여 운용될 수 있다.
영상 생성부(320)는 저장부(315)에 저장된 카메라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335)에 의해 출력되는 탑뷰 영상과 같은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영상 생성부(320)가 AVM 영상 정보, 즉 예를 들어 차량의 전후방, 좌우측면에 각각 설치된 카메라들(110)에 의해 지면에 수평 방향으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지면에 수직 방향인 형태의 영상으로 변환시켜 생성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는 거리가 있고, 또한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영상 분석부(325)는 영상 생성부(320)에 의한 탑뷰 영상뿐 아니라, 각 카메라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조등의 고장 여부를 검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야간에 생성되는 탑뷰 영상(200)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우측 전조등이 고장난 경우, 좌측 전조등에 대응되는 제1 영역(210)에 비해, 우측 전조등에 대응되는 제2 영역(220)은 어두울 것이다. 따라서, 영상 분석부(325)는 탑뷰 영상(200)의 제1 영역(210)과 제2 영역(220)의 밝기 수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밝기 수치를 이용함으로써 각 전조등의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325)에서 수행되는 보다 상세한 영상 분석 방식은 차후 관련 도면(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고장정보 생성부(330)는 영상 분석부(325)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기반으로, 좌측 또는 우측 전조등 중 고장난 것이 존재하는 경우, 운전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고장정보를 생성한다. 고장정보는 디스플레이부(335) 또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화면으로 또는 음원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고장정보는 영상 생성부(320)에 의한 탑뷰 영상의 일측에 합성 또는 오버레이(overlay)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탑뷰 영상을 확인함으로써 전조등의 고장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AVM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전조등의 고장을 확인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M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전조등 고장 확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VM 시스템에서 전방 영상을 함께 이용하여 전조등 고장을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밝기 수치가 산출되는 제3 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AVM 시스템은 다수의 카메라에 의한 전방, 후방, 측방 영상을 이용하여 탑뷰 영상을 생성한다(S10). 탑뷰 영상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AVM 시스템은 탑뷰 영상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밝기 수치를 산출하고, 이를 서로 비교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영역은 좌측 전조등에 대응되는 영역이며, 제2 영역은 우측 전조등에 대응되는 영역으로서, AVM 시스템 탑뷰 영상에서 각 영역의 밝기 수치를 산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밝기 수치는 픽셀의 휘도값 또는 RGB에 따른 특정한 값(예를 들어, 흰색을 나타내는 값을 이용 등)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영역에 속하는 각 픽셀의 값을 평균한 값, 또는 가장 큰 값과 작은 값의 중간값 등이 밝기 수치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AVM 시스템은 제1 영역의 밝기 수치와 제2 영역의 밝기 수치간의 편차가 미리 설정된 비교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30), 그 편차가 비교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낮은 밝기 수치를 갖는 영역에 대응되는 전조등에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결정하여 전조등 고장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S40).
즉, 좌측 및 우측 전조등의 불빛이 비추는 영역의 밝기 값을 서로 비교하여, 일정 수준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엔, 작은 밝기 수치를 갖는 하나의 전조등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여기서, 비교임계값은 고정된 값일 수도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조등 하나만이 고장난 상황에서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밝기 수치는 상황(시간, 날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비교임계값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교임계값은 현재 시각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저녁 보다는 밤늦은 시각일수록 비교임계값은 높아질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AVM 시스템은 탑뷰 영상에서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에 대응되는 영역을 비교영역으로서 설정하여, 그 비교 영역의 밝기 수치를 더 산출하고, 비교영역의 밝기 수치에 따라 비교임계값을 가변적으로 설정한다. 차량의 전조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차량 측면에 대응되는 영역의 밝기 수치를 산출함으로써, 현재 외부의 조명상태를 추측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비교임계값을 달리하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비교영역의 밝기 수치가 높을 수록, 외부가 현재 가로수 등에 의해 밝은 상태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이때에는 비교임계값을 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탑뷰 영상만을 이용하여 전조등의 고장을 확인하는 방식을 위주로 설명하였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탑뷰 영상에 의한 전조등의 고장 확인과 함께, 보다 정확한 고장 확인을 위해 전방영상을 함께 이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 5를 참조하면, AVM 시스템은 탑뷰 영상의 분석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일측의 전조등에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인식하면(S510), 전방 카메라에 의한 전방 영상에서의 제3 영역에 대한 밝기 수치를 산출한다(S520).
제3 영역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 6을 참조하면, 좌측 전조등에 의한 빛과 우측 전조등에 의한 빛이 중첩되는 위치에 제3 영역(600)이 설정되는 것이다. 좌측 및 우측 전조등이 모두 정상적으로 구동하게 되면 제3 영역(600)의 밝기 수치는 다른 영역들에 비해 높을 것이다.
따라서, AVM 시스템은 전방 영상에서 좌측 및 우측 전조등에 의한 빛이 중첩되는 위치인 제3 영역(600)의 밝기 수치를 산출하는 것이며, 이를 정상 전조등에 따른 영역의 밝기 수치와 비교한다(S530). 예를 들어, 탑뷰 영상 분석 결과, 좌측 전조등에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AVM 시스템은 우측 전조등에 따른 제2 영역과 전방영상에서의 제3 영역의 밝기 수치를 서로 비교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비교 결과에 따른 차이값(예를 들어, 제3 영역의 밝기 수치에서 정상 전조등에 대응되는 영역의 밝기 수치를 뺀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540), 미만인 경우 S510에서 인식한 전조등 고장에 따른 고장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S550).
S530에서의 비교 결과값이 임계값 이상이라는 것은, 좌측 및 우측 전조등에 의한 빛이 중첩되는 영역인 제3 영역의 밝기 수치가 일정 수준 이상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보다 크다는 것이며, 이는 두 전조등이 모두 정상적으로 구동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차이값이 임계값보다 작다는 것은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의 밝기 수치와 제3 영역의 밝기 수치가 서로 유사하다는 것이므로, 두 전조등에 의한 중첩이 일어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뜻하며, 이는 하나의 전조등에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조등 고장 확인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a, 110b, 110c, 110d : 카메라
200 : 탑뷰 영상 210 : 제1 영역
220 : 제2 영역 310 : 영상 입력부
315 : 저장부 320 : 영상 생성부
325 : 영상 분석부 330 : 고장정보 생성부
335 : 디스플레이부

Claims (6)

  1.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탑뷰(top-view) 영상을 생성하는 AVM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전조등 고장 확인 방법에 있어서,
    탑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탑뷰 영상에서 좌측 전조등에 대응되는 제1 영역과 우측 전조등에 대응되는 제2 영역의 밝기 수치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밝기 수치를 이용하여 좌측 전조등 또는 우측 전조등의 고장 유무를 결정하되, 상기 제1 영역의 밝기 수치와 상기 제2 영역의 밝기 수치간의 편차가 미리 설정된 비교임계값 이상인 경우, 낮은 밝기 수치를 갖는 영역에 대응되는 전조등에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장 유무를 결정하는 단계는,
    좌측 전조등 또는 우측 전조등의 각 밝기 수치를 이용한 고장 유무 확인 단계;
    고장이 발생된 것이 존재하는 경우, 전방 카메라에 의한 전방 영상에서 좌측 전조등과 우측 전조등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에 대한 밝기 수치를 더 산출하는 단계;
    고장이 발생되지 않은 전조등에 따른 영역의 밝기 수치보다 상기 제3 영역의 밝기 수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 높은지 여부를 확인하여 검증하는 단계; 및
    검증 결과에 따라 전조등의 고장 발생을 결정하여 알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 고장 확인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교임계값은 현재 시각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 고장 확인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3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기록된 기록 매체.
  5. 전방, 측면, 후방을 각각 촬영하는 복수개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입력 처리하는 영상 입력부;
    상기 카메라에 의한 각각의 영상을 이용하여 탑뷰(top-view)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
    상기 탑뷰 영상에서 좌측 전조등에 대응되는 제1 영역과 우측 전조등에 대응되는 제2 영역의 밝기 수치를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각 밝기 수치를 이용하여 좌측 전조등 또는 우측 전조등의 고장 유무를 확인하되, 상기 제1 영역의 밝기 수치와 상기 제2 영역의 밝기 수치간의 편차가 미리 설정된 비교임계값 이상인 경우, 낮은 밝기 수치를 갖는 영역에 대응되는 전조등에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결정하는 영상 분석부; 및
    전조등의 고장 발생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분석부는 좌측 전조등 또는 우측 전조등의 각 밝기 수치를 이용한 고장 유무 확인을 수행한 결과 고장이 발생된 것이 존재하는 경우, 전방 카메라에 의한 전방 영상에서 좌측 전조등과 우측 전조등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에 대한 밝기 수치를 더 산출하고, 고장이 발생되지 않은 전조등에 따른 영역의 밝기 수치보다 상기 제3 영역의 밝기 수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 높은지 여부를 확인하여 고장 발생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 고장을 확인하는 AVM 시스템.
  6. 삭제
KR1020170123675A 2017-09-25 2017-09-25 전조등 고장을 확인하는 avm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58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675A KR101858574B1 (ko) 2017-09-25 2017-09-25 전조등 고장을 확인하는 avm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675A KR101858574B1 (ko) 2017-09-25 2017-09-25 전조등 고장을 확인하는 avm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371A Division KR101834807B1 (ko) 2016-10-04 2016-10-04 전조등 고장을 확인하는 avm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577A KR20180037577A (ko) 2018-04-12
KR101858574B1 true KR101858574B1 (ko) 2018-05-16

Family

ID=6196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675A KR101858574B1 (ko) 2017-09-25 2017-09-25 전조등 고장을 확인하는 avm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5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7757A (ja) * 2008-12-12 2010-06-24 Denso Corp 故障検出装置
JP2012126228A (ja) * 2010-12-15 2012-07-05 Panasonic Corp 灯火監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7757A (ja) * 2008-12-12 2010-06-24 Denso Corp 故障検出装置
JP2012126228A (ja) * 2010-12-15 2012-07-05 Panasonic Corp 灯火監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577A (ko) 2018-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807B1 (ko) 전조등 고장을 확인하는 avm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8092709A1 (ja) 撮像装置状態監視装置、撮像装置状態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312729B2 (ja) フェールセーフ機能を有する車外監視装置
US10567673B2 (en) On-vehicle display control device, on-vehicle display system, on-vehicle displa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CN111462474A (zh) 斑马线的控制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4980970B2 (ja) 撮像手段の調整装置および物体検出装置
JP2009265842A (ja) 車両用警告装置、警告方法
JP2020123339A (ja) 極限状況でフォールトトレランス及びフラクチュエーションロバスト性のある、自動車間通信基盤の協業的なブラインドスポット警報方法及び装置
US10696228B2 (en) On-vehicle display control device, on-vehicle display system, on-vehicl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662432B1 (ko) 철도차량용 고휘도 led 전조등 자동제어 시스템
KR101660254B1 (ko) 주차차단기의 번호인식시스템
KR101268282B1 (ko)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차선 이탈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2187021B1 (ko) 전방 저속 차량 알림 시스템
CN116569016A (zh) 光学设备验证
CN113682319B (zh) 摄像头调整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9987025B (zh) 用于夜晚环境的车辆驾驶辅助系统及方法
JP2012126228A (ja) 灯火監視装置
KR101858574B1 (ko) 전조등 고장을 확인하는 avm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55993B1 (ko) 차선 이탈 경보장치 및 방법
US11450028B2 (en) Car lens offset detection method and car lens offset detection system based on image processing of multiple cameras
KR20180058505A (ko) 주차선 가이드라인 정보를 제공하는 avm 시스템 및 방법
KR102061210B1 (ko) 차량 측 전방 사각 영역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US201102423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lind spots of vehicles
KR20220124329A (ko) 후방 카메라를 이용한 후미등 고장 판별 장치 및 방법
CN111477025B (zh) 信号灯盲区辅助系统及其控制单元和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