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768B1 - 휴대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휴대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휴대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768B1
KR101857768B1 KR1020110079714A KR20110079714A KR101857768B1 KR 101857768 B1 KR101857768 B1 KR 101857768B1 KR 1020110079714 A KR1020110079714 A KR 1020110079714A KR 20110079714 A KR20110079714 A KR 20110079714A KR 101857768 B1 KR101857768 B1 KR 101857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program
user interface
display device
external displa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7340A (ko
Inventor
오충록
Original Assignee
오충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충록 filed Critical 오충록
Priority to KR1020110079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768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휴대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휴대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기기는, 외부표시장치가 연결되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던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실행영상을 외부표시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통신부; 및 외부표시장치로 실행영상의 전송이 시작되면, 터치스크린에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휴대 전자기기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따른 실행화면을 연결된 외부표시장치를 통해 보다 큰 화면으로 시청할 수 있으며 동시에 휴대 전자기기로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어, 휴대 전자기기만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큰 화면을 보며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휴대 전자기기{Portable electric device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연결된 외부표시장치로 실행 영상을 전송할 때 구비된 터치스크린에 실행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휴대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통화 기능뿐 아니라,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폰(smart-phone) 및 태블릿PC(예를 들어, 아이패드, 갤럭시 탭 등) 등의 휴대 전자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한 휴대 전자기기의 가장 큰 장점은 기존의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노트북과 같은 랩탑 컴퓨터에 비해 컴퓨팅 기기로서 작은 크기를 가져 휴대성이 좋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으로 인한 제약으로는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이 이용됨)을 갖는다는 것이다.
즉, 많은 사용자들이 전화 기능뿐 아니라, 인터넷 기능, 동영상 플레이어, 게임 등을 주로 이용하고 있는데, 게임의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는 작은 터치스크린으로 인해 이용의 불편이 있으며, 게임 제작사의 경우에도 작은 화면에 따른 제약으로 인해 보다 다양한 게임을 만들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실행 영상을 외부표시장치로 전송하여 보다 큰 화면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외부표시장치가 연결되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던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실행영상을 상기 외부표시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통신부; 및 상기 외부표시장치로 상기 실행영상의 전송이 시작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휴대 전자기기는 상기 데이터통신부로 전달되는 상기 실행영상을 버퍼링하기 위한 제1 버퍼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버퍼링하기 위한 제2 버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복수개가 존재하며, 사용자의 선택 또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상응하는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이 게임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조이스틱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상응하는 기능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기능부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외부표시장치로의 영상 전달 명령이 입력되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던 현재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에 따른 실행영상에 대해 연결된 상기 외부표시장치로의 전송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종류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상응하는 기능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기능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능부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휴대 전자기기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따른 실행화면을 연결된 외부표시장치를 통해 보다 큰 화면으로 시청할 수 있으며 동시에 휴대 전자기기로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어, 휴대 전자기기만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큰 화면을 보며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표시장치로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실행영상을 전송하게 되면, 카메라, 가속도 센서 등 휴대전자기기에 구비된 다른 기능부를 이용하여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는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게임과 같은 응용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표시장치를 이용한 휴대 전자기기의 운용에 대한 개념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표시장치를 이용한 휴대 전자기기의 운용에 대한 개념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10)는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210)을 구비한 전자장치이며, 도면과 같이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TV, 모니터와 같은 외부표시장치(3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10)는 외부표시장치(30)가 연결되면, 터치스크린(210)에 출력되던 임의의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출력영상을 연결된 외부표시장치(30)로 전송하고,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휴대 전자기기(10)는 해당 게임 프로그램에 따른 실행영상을 외부표시장치(30)로 전송하며, 터치스크린(210)에는 해당 게임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조이스틱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용어인 조이스틱(joy stick)이란, 화면 위에서 점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데 쓰는 입력 장치로서, 지팡이 모양의 손잡이가 달려 있으며, 여러 개의 버튼이 붙어 있기도 하다. 주로 컴퓨터 오락에서 쓰며, 그래픽을 입력할 때도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 화면은 터치스크린(210) 상에 표시되는 형태로서, 상하좌우에 따른 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방향버튼(100)과 다양한 키 입력을 위한 키버튼(110)이 구비된 형태일 수 있다. 많은 게임 기기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으므로, 상기한 예 외에도 그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전자기기(10)에 설치된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결된 외부표시장치(30)를 통해 보다 큰 화면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동시에 휴대 전자기기(10)는 게임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조이스틱으로서 이용할 수 있어, 휴대 전자기기(10)만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큰 화면을 보며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휴대 전자기기(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10)는 터치스크린(210), 데이터통신부(220), 버퍼부(230), 제어부(240) 및 저장부(250)를 포함하며, 제어부(240)는 그 기능에 따라 영상 처리부(242), 프로그램 운용부(244) 및 입력 처리부(246)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210)은 현재에도 많은 기종의 전자기기에 탑재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그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데이터통신부(220)는 무선 근거리통신 기능 또는 유선케이블을 이용한 방식으로 외부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한 TV, 모니터와 같은 외부표시장치(3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즉, 데이터통신부(220)를 통해 휴대 전자기기(10)는 영상 데이터를 외부표시장치(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외부표시장치(3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출력한다.
버퍼부(230)는 터치스크린(210)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버퍼링(buffering)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연결된 외부표시장치(30)로 전송될 영상 데이터를 버퍼링하기 위한 것이다.
버퍼부(230)의 제1 버퍼(232)는 터치스크린(210)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버퍼링되고, 제2 버퍼(234)는 외부표시장치(30)로 전송될 데이터가 버퍼링된다. 물론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뿐이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스크린(210)으로 출력되는 영상이 제1 버퍼(232)에 버퍼링되다가, 외부표시장치(30)가 연결되면 제1 버퍼(232)에는 외부표시장치(30)로 전성될 영상데이터가 버퍼링되고, 터치스크린(210)으로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따른 영상데이터가 제2 버퍼(234)로 버퍼링될 수 있다. 즉, 버퍼부(230)는 두 개의 버퍼를 구비하여, 외부표시장치(30)로 전송할 영상 데이터와 터치스크린(210)으로 출력될 영상 데이터를 각각 버퍼링할 수 있다. 물론 이도 하나의 실시예일뿐이며, 더 많은 버퍼가 이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저장부(250)는 상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부(250)에는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중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어느 하나가 선택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프로그램이 실행 중이었다면 상기한 바와 같은 조이스틱 화면이, 또는 문서작성 프로그램이 실행된 경우엔 문자 입력 화면이 터치스크린(210)에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의 응용프로그램은 상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한 정보가 미리 설정 및 저장되어 있다가, 해당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프로그램 제작사의 경우, 자사의 게임 프로그램에 보다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작하여 게임 프로그램과 함께 배포함으로써, 보다 최적의 환경에서 해당 게임을 사용자들이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저장부(250)에는 설치된 응용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등, 다양한 다른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는 터치스크린(210) 상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휴대 전자기기(10)의 다른 기능부(미도시, 예를 들어 자이로센서, 가속도 센서, 카메라 등)가 구동되어, 사용자가 해당 기능부를 이용하여 특정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게임 프로그램이 실행중인 경우, 가속도 센서를 구동시켜, 휴대 전자기기(10)의 본체 흔들림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해당 게임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휴대 전자기기(10)만을 이용하여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 때는 구동되지 않던 임의의 기능부가 외부표시장치(30)로 실행영상의 전송이 시작되면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는 것이다. 휴대 전자기기(10)의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되던 실행영상이 외부의 장치(즉 외부표시장치(30))에서 출력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터치스크린(210)을 바라보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다양한 입력(본체 기울기, 흔들기 또는 카메라로 영상 찍기 등)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예를 하나 더 들자면,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에 따른 실행영상이 외부표시장치(30)로 전송되는 도중, 카메라 기능의 작동에 따라 촬영된 촬영영상이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촬영영상이 편집되어 실행영상에 포함된 상태로 외부표시장치(30)에서 표시되는 경우도 예상해 볼 수 있다.
제어부(240)는 예를 들어 임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디스플레이 수단에 출력되는 영상을 처리하는 등 휴대 전자기기(1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제어부(240)는 버퍼부(230)를 통해 외부표시장치(30)로 실행영상을 전송하며, 터치스크린(210)에는 해당 응용프로그램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되도록 하며, 터치스크린(210) 등에 의해 입력된 입력정보를 해당 응용프로그램에 반영한다.
제어부(240)의 프로그램 운용부(244)는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입력된 입력정보를 해당 응용프로그램에 반영하도록 기능하는데, 예를 들어 게임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터치스크린(210) 등에 의한 입력정보를 해당 게임의 실행에 반영하는 것이다.
영상 처리부(242)는 외부표시장치(30) 또는 터치스크린(210)을 통해 출력될 출력영상을 처리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이미지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운용부(244)에 의해 실행되는 내용에 따른 영상을 생성하여 버퍼부(230)를 통해 외부표시장치(30) 또는 터치스크린(210)으로 출력한다.
입력 처리부(246)는 터치스크린(210)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상응하는 입력정보를 생성하여 프로그램 운용부(244)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210)이 터치된 경우, 입력 처리부(246)는 어떠한 위치에 어떤 방식(터치 또는 슬라이딩(터치된 상태로 움직인 경우) 등)으로 입력되었는지에 대해 인식하고, 이에 대한 입력정보를 프로그램 운용부(244)로 전달하는 것이다.
전자기기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실행중인 프로그램에 반영하는 내용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상기한 입력 처리부(246) 및 프로그램 운용부(244)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휴대 전자기기(10)에서의 마우스 모드 기능 실행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전자기기(10)는 외부표시장치(30)로의 영상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S310),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표시장치(30)로부터 디스플레이 정보(예를 들어, 해상도, 디스플레이 사이즈 등)를 취득한다(S320).
휴대 전자기기(10)는 임의의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터치스크린(210)을 통해 출력되던 실행영상을 외부표시장치(30)로 전송하기 이전에, 상기한 디스플레이 정보에 상응하도록 상기 실행영상을 변환한다(S330). 쉬운 예를 들자면, 터치스크린(210)의 해상도가 800*1200 이고, 외부표시장치(30)의 해상도가 1680*1050인 경우, 외부표시장치(30)의 해상도에 적합하도록 실행영상을 변환할 수 있다. 물론, 터치스크린(210)에 출력되던 실행영상 그대로 외부표시장치(30)로 전송될 수 있어, S320 내지 S330은 생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휴대 전자기기(10)는 실행영상에 대한 외부표시장치(30)로의 전송을 시작하며(540), 해당 응용프로그램의 종류 또는 그 자체를 식별한다(S350).
휴대 전자기기(10)는 식별된 응용프로그램 또는 그 종류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식하고(S360), 인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른 화면을 터치스크린(210)에 출력한다(S36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인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특정 기능부의 구동이 설정된 경우, 해당 기능부를 구동시킨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차후 사용자 입력이 인식되면, 휴대 전자기기(10)는 해당 입력정보를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에 반영하여, 해당 입력정보가 반영된 실행영상이 외부표시장치(30)로 전송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휴대 전자기기
30 : 외부표시장치
210 : 터치스크린

Claims (9)

  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외부표시장치가 연결되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던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영상을 상기 외부표시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통신부; 및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종류 또는 자체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실행화면은 상기 데이터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표시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각각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에 반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부로 전달되는 상기 실행영상을 버퍼링하기 위한 제1 버퍼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버퍼링하기 위한 제2 버퍼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복수개가 존재하며, 사용자의 선택 또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상응하는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이 게임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조이스틱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상응하는 기능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기능부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6.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외부표시장치로의 영상 전달 명령이 입력되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던 현재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영상에 대해 연결된 상기 외부표시장치로의 전송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종류 또는 자체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실행화면은 상기 외부표시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각각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상응하는 기능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기능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능부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하며,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8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110079714A 2011-08-10 2011-08-10 휴대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휴대 전자기기 KR101857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714A KR101857768B1 (ko) 2011-08-10 2011-08-10 휴대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휴대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714A KR101857768B1 (ko) 2011-08-10 2011-08-10 휴대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휴대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340A KR20130017340A (ko) 2013-02-20
KR101857768B1 true KR101857768B1 (ko) 2018-05-15

Family

ID=47896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714A KR101857768B1 (ko) 2011-08-10 2011-08-10 휴대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휴대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7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878B1 (ko) * 2020-04-21 2021-09-1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외장형 입출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340A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4530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creen Selection Method
US1006380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display apparatus
RU2591671C2 (ru) Краевой жест
JP5204286B2 (ja) 電子機器および入力方法
WO2020063091A1 (zh) 一种图片处理方法及终端设备
JP5295839B2 (ja) 情報処理装置、フォーカス移動制御方法及びフォーカス移動制御プログラム
US11755186B2 (en) Screen captur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2012029984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on support method
CN105144069A (zh) 对于显示内容的基于语义缩放的导航
JP6226225B2 (ja) 画像閲覧システム、調停端末、画像閲覧方法および調停方法
WO2020151460A1 (zh) 对象处理方法及终端设备
US201200422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ntent Display System
WO2021115103A1 (zh) 显示控制方法和终端设备
US10785441B2 (en) Running touch screen applications on display device not having touch capability using remote controller having at least a touch sensitive surface
WO2021175143A1 (zh) 图片获取方法及电子设备
WO2020215967A1 (zh) 内容选中方法及终端设备
KR20220158816A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20259162A1 (zh) 图片显示方法及终端
WO2020238357A1 (zh) 图标显示方法及终端设备
KR20170074782A (ko)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US20130135177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program for electronic device
KR102030669B1 (ko) 로그인 관리 방법 및 휴대 단말
US9665232B2 (en)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storage medium,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processing system for enlarging or reducing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CN111064896A (zh) 设备控制方法及电子设备
WO2021082718A1 (zh) 内容滚动显示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