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8816A -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8816A
KR20220158816A KR1020227037455A KR20227037455A KR20220158816A KR 20220158816 A KR20220158816 A KR 20220158816A KR 1020227037455 A KR1020227037455 A KR 1020227037455A KR 20227037455 A KR20227037455 A KR 20227037455A KR 20220158816 A KR20220158816 A KR 20220158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arget
candidate item
candidate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 리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58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8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 장치
본 발명은 통신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20년 4월 3일 중국에서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No.202010260738.7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본 출원에서는 그 모든 내용을 인용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과 진보에 따라, 전자 장치가 날로 보급되고 전자 장치가 구비하는 기능도 날로 다양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통신 기능, 사진 촬영 기능, 비디오 촬영 기능 등은 이미 전자 장치의 필수 기능으로 되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잠금 해제하여 메인 바탕화면으로 진입하고, 전자 장치의 스크린 상에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어느 한 아이콘에 대하여 조작을 진행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열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스크린을 완전히 펼친 후 다시 스크린 상의 내용에 따라 조작을 진행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가 잠금 해제 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대기 바탕화면이고, 현재 잠금 해제 방식은 모두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 제스처에 기반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이용하여 잠금 해제를 완성하여, 잠금 해제 방식이 단일하고 따분하다. 한편, 사용자는 어느 한 애플리케이션 화면으로 진입하려면, 먼저 스크린을 펼치고 잠금 해제를 완성한 후 메인 바탕화면으로 진입한 다음,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여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진입해야 한다. 이는 조작이 번거롭고 사용자 체험이 좋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현재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를 사용할 때 조작이 번거롭고, 사용자 체험이 좋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이 구현된다.
제1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해당 방법은,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해당 전자 장치는 수신 모듈, 응답 모듈과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은 제1 입력을 수신하며; 응답 모듈은 상기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제3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 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제4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 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고, 제1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해당 방안에 따르면, 목표 후보 항목이 잠금 해제에 사용될 경우, 목표 후보 항목과 미리 설정된 후보 항목을 획득하면 잠금 해제가 완성되어 스크린 신축 과정에서 잠금 해제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잠금 해제에 소모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잠금 해제의 재미를 증가시키는 한편, 목표 후보 항목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퀵 기능 입구를 지시하는 경우, 목표 후보 항목을 획득하면 바로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화면 또는 퀵 기능 화면을 열수 있어, 제1 스크린 신장 과정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화면에 진입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여,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가 애플리케이션을 여는데 소모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재미를 증가하며,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사용될 도면을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창조적인 노력 없이도 이러한 도면을 통해 다른 도면을 취득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가능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아키텍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이 사용하는 화면의 모식도 1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이 사용하는 화면의 모식도 2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이 사용하는 화면의 모식도 3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이 사용하는 화면의 모식도 4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이 사용하는 화면의 모식도 5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이 사용하는 화면의 모식도 6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조 모식도 1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조 모식도 2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조 모식도 3이다.
아래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하는 바,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고 전부가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당업계의 기술자들이 창조성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취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용어 “및/또는”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바,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단독으로 A가 존재하거나, 동시에 A와 B가 존재하거나, 단독으로 B가 존재하는 세 가지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문에서 부호 “/”는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인 것을 표시하는 바, 예를 들면 A/B는 A 또는 B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 중의 용어 “제1”과 제2” 등은 서로 다른 객체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객체의 특정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과 제2 영역 등은 서로 다른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 영역의 특정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면” 등 단어는 예를 들고, 예증 또는 설명하는 것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면”으로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설계 방안은 기타 실시예 또는 설계 방안에 비하여 더욱 바람직하거나 또는 더욱 장점을 갖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않된다. 정확하게 말하면,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면” 등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구체적인 방식으로 관련 개념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중에 있어서,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복수개의"는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을 뜻하는 바, 예를 들면, 복수개의 소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소자를 가리키는 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바, 전자 장치는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고, 제1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해당 방안을 통하여, 일 양태로, 목표 후보 항목이 잠금 해제에 사용될 경우, 목표 후보 항목을 획득하고, 목표 후보 항목과 미리 설정된 후보 항목이 매칭될 때, 잠금 해제를 완성하여, 스크린 신축 과정에 잠금 해제를 구현할 수 있어,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잠금 해제에 소모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잠금 해제의 재미를 증가한다. 다른 일 양태로, 목표 후보 항목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퀵 기능 입구를 지시하는 경우, 목표 후보 항목을 획득한 후, 바로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화면 또는 퀵 기능 화면을 열어, 제1 스크린 신장 과정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화면에 진입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여,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가 애플리케이션을 여는데 소모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재미를 증가하며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전자 장치는 운영체제를 구비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해당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일 수 있고, ios 운영체제일 수 있으며, 또한 기타 가능한 운영체제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이 적용되는 소프트웨어 환경을 소개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아키텍처 모식도이다. 도 1에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구조는 4 계층을 포함하는 바, 각각 애플리케이션 계층,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 시스템 런타임 라이브러리 계층과 커널 계층(구체적으로는 Linux 커널 계층일 수 있음)이다.
여기에서,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중의 각 애플리케이션(시스템 애플리케이션과 제3자 애플리케이션 포함)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은 애플리케이션의 프레임워크로서, 개발자들은 애플리케이션의 프레임워크의 개발 원칙을 준수하는 전제 하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에 기반하여 일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시스템 런타임 라이브러리 계층은 라이브러리(또한 시스템 라이브러리라 칭함)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작동 환경을 포함한다. 라이브러리는 주요하게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위하여 이가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 유형의 자원을 제공한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작동 환경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위하여 소프트웨어 환경을 제공한다.
커널 계층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운영체제 계층으로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계층의 최저층에 속한다. 커널은 Linux 커널에 기반하여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위하여 핵심 시스템 서비스 및 하드웨어와 관련된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예로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발자들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시스템 프레임워크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방법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기반하여 실행하게 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 또는 전자 장치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해당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전자 장치는 이동 단말 장치일 수 있고, 또한 비이동 단말 장치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이동 단말 장치는 핸드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팜탑, 차량탑재 단말 장치, 웨어러블 장치, 울트라 모바일 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 또는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일 수 있고, 비이동 단말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텔레비전(television, TV), 현금 자동 입출금기 또는 셀프 서비스 장치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종래 기술에서,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스크린을 모두 펼친 후 다시 스크린 상의 내용에 따라 조작을 진행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가 잠금 해제 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대기 바탕화면이고, 현재 잠금 해제 방식은 모두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 제스처에 기반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이용하여 잠금 해제를 완성하여, 잠금 해제 방식이 단일하고 따분하다. 다른 일 양태로, 사용자는 어느 한 애플리케이션 화면으로 진입하려 하면, 먼저 스크린을 펼치고 잠금 해제를 완성한 후 메인 바탕화면으로 진입하며, 다시 상응한 아이콘을 클릭하여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진입한다. 조작이 번거롭고 사용자 체험이 좋지 않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바, 사용자가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를 사용할 때, 전자 장치의 스크린 신장 또는 축소를 제어하고, 스크린 상에서 후보 항목(여기에서 후보 항목은 숫자 또는 캐릭터에 대응되어 잠금 해제에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되어 빠르게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열 수 있음)을 디스플레이하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목표 후보 항목에 대응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스크린을 펼칠 때 바로 잠금 해제 또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여는 것을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 조작 단계를 절약하고, 사용자 체험도를 향상시키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잘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의 두 가지 응용 시나리오이다.
첫번째 가능한 시나리오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사용할 때, 빠른 잠금 해제를 원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매칭을 위한 후보 항목을 미리 설정할 수 있고, 해당 후보 항목의 수량은 하나 또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해당 후보 항목의 내용은 숫자, 부호 등일 수 있다(예를 들면 매칭을 위한 후보 항목을 1, 2, 정방형, 이미지 1로 설정함).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며, 스크린 상에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후보 항목은 미리 설정된 후보 항목의 내용 및 미리 설정되지 않은 후보 항목의 내용을 포함하고, 후보 항목의 순서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으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예를 들면, 사용자의 목표 후보 항목에 대한 입력을 수신), 해당 목표 후보 항목을 선택하고, 미리 설정된 후보 항목이 복수개인 경우, 사용자는 목표 후보 항목을 선택한 후 계속하여 제2 목표 후보 항목을 선택하며(예를 들면, 사용자가 첫번째로 선택한 목표 후보 항목이 1이면, 사용자는 계속하여 목표 후보 항목 2를 선택함),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또는 복수의 목표 후보 항목과 미리 설정된 후보 항목이 매칭되는 경우, 잠금 해제를 완성하고, 잠금 해제 후의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두번째 가능한 시나리오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사용할 때, 빠르게 애플리케이션 화면 또는 퀵 기능 화면으로 진입한다.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며, 스크린 상에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후보 항목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퀵 기능 아이콘 또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대응되는 기타 아이콘일 수 있는 바,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후보 항목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내용일 수 있고, 또한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사용 상황, 사용 기록에 의하여 결정한 것일 수 있으며, 또한 전자 장치 메인 바탕화면의 모든 내용일 수 있고,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예를 들면, 사용자의 목표 후보 항목에 대한 입력을 수신), 해당 목표 후보 항목(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1)을 선택하고, 전자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1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한다.
아래 실행 주체가 전자 장치인 것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하여 예시적인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해당 방법은 하기의 S101 내지 S103을 포함할 수 있다.
S101: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을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입력은 스크린의 신장 또는 축소에 대한 입력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크린의 변두리를 파지하고 당기거나 밀어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입력은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일 수 있고, 전자 장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스크린이 신장 또는 축소되도록 제어하는 바, 만일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슬라이드 입력을 수신하면 스크린이 신장되게 제어하고,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클릭 입력을 수신하면 스크린이 수축되게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입력은 전자 장치 기타 부분에 대한 입력일 수 있는 바, 만일 전자 장치가 좌측을 향한 스윙 입력을 검출하면,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고, 전자 장치가 우측을 향한 스윙 입력을 검출하면, 스크린이 수축되도록 제어하며; 만일 전자 장치가 스크린의 위를 향한 뒤집기 입력을 검출하면,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고, 스크린의 아래를 향한 뒤집기 입력을 검출하면, 스크린에 수축되도록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입력은 또한 전자 장치가 수신한 통지 메시지, 콜 등일 수 있고, 구체적인 입력 방식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의 제어 조작은 본 실시예에서 제한하지 않는다.
S102: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후보 항목은 신장된 스크린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또한 미리 설정된 스크린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후보 항목은 캐릭터 예를 들면 문자, 숫자, 부호 등일 수 있고, 상기 후보 항목은 또한 이미지, 그래픽 등일 수 있으며, 상기 후보 항목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폴더 아이콘, 퀵 기능 아이콘 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린을 구비한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전자 장치가 신축 스크린을 구비한 핸드폰인 것을 예로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의 제1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고, 핸드폰의 제2 스크린 상에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후보 항목은 숫자인 바, 만일 목표 숫자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목표 숫자와 미리 설정된 숫자가 매칭되는 경우, 잠금 해제 후의 화면 예를 들면 스크린의 메인 바탕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선택적으로, 핸드폰의 제1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한 후, 핸드폰의 제2 스크린 상에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후보 항목은 그래픽 예를 들면 삼각형, 정방형, 장방형, 삼각형과 정방형의 조합 그래픽 등이며, 만일 목표 그래픽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목표 그래픽과 미리 설정된 그래픽이 매칭되는 경우, 잠금 해제 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선택적으로, 핸드폰의 제1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한 후, 핸드폰의 제2 스크린 상에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후보 항목은 그래픽과 숫자의 조합 예를 들면 1, 2, 3, 삼각형, 정방형, 4, 5, ...이며, 만일 목표 객체(목표 그래픽 또는 목표 숫자)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목표 숫자와 미리 설정된 숫자가 매칭되는 경우, 잠금 해제 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일 예시에서,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는 연성 스크린을 구비한 핸드폰일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스크린의 신장된 영역에서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스크린이 신장된 일부 영역에서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후보 항목은 이미지일 수 있고, 만일 목표 이미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목표 이미지와 미리 설정된 이미지가 매칭되는 경우, 잠금 해제 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선택적으로, 후보 항목이 이미지인 경우, 만일 목표 이미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면, 앨범 중 목표 이미지에 대응되는 페이지 또는 시스템 중 목표 이미지에 대응되는 기타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미지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이미지일 수 있고, 또한 시스템이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한 이미지일 수 있으며, 또한 시스템이 핸드폰 앨범으로부터 획득할 이미지일 수 있고, 이미지의 출처에 대해서 본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일 예시에서, 후보 항목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이고, 만일 목표 아이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면, 목표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예를 들면 목표 아이콘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이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의 메인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브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선택적으로, 후보 항목이 퀵 기능 아이콘이고, 만일 목표 퀵 기능 아이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면, 퀵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목표 퀵 기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만일 목표 퀵 기능 아이콘이 지불 아이콘이라면, 지불 메인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선택적으로, 후보 항목은 숫자, 그래픽,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퀵 기능 아이콘 등 적어도 한 가지일 수 있고, 만일 목표 객체(목표 숫자, 목표 그래픽, 목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목표 퀵 기능 아이콘 등)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면, 목표 객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한다.
일 예시에서, 제2 스크린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는 후보 항목의 수량은 제1 스크린이 신장된 길이와 관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제1 스크린이 신장될 때, 후보 항목을 업데이트시켜 디스플레이하여, 후보 항목의 수량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후보 항목의 구체적인 내용은 사용자가 수요에 의하여 자체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린을 펼치는 동시에 잠금 해제를 구현하려면, 후보 항목은 숫자, 부호, 그래픽 등일 수 있으며; 스크린을 펼치는 동시에 빠르게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여는 것을 구현하려면, 후보 항목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퀵 기능 아이콘, 이미지 등일 수 있다.
S103: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화면은 목표 후보 항목과 관련되는 바, 즉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목표 후보 항목에 의하여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목표 화면은 반드시 고정된 화면인 것은 아닌 바, 즉 동일한 후보 항목에 대응되게, 서로 다른 경우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때, 목표 화면은 서로 다른 화면일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잠금 해제의 경우, 후보 항목을 그래픽으로 설정하고, 그래픽을 정방형으로 미리 설정하며, 정방형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때, 잠금 해제 후의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여기에서 목표 화면은 전자 장치의 메인 바탕화면일 수 있고, 또한 전자 장치의 잠금 전에 디스플레이한 애플리케이션 화면일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 후보 항목을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으로 설정하고, 목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때, 목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여기에서 목표 화면은 목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메인 화면일 수 있고, 또한 목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백 버퍼 페이지일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퀵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후보 항목을 퀵 기능 아이콘으로 설정하고, 목표 퀵 기능 아이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때, 목표 퀵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여기에서 목표 화면은 목표 퀵 기능의 메인 화면일 수 있고, 또한 목표 퀵 기능에 대응되는 목표 윈도우 화면일 수 있는 바, 만일 목표 퀵 기능 아이콘이 지불 아이콘이라면, 윈도우 화면은 스캔 화면, 지불 코드 화면 등을 포함한다. 전자 장치는 역사 기록 또는 최근 사용 상황에 의하여 목표 윈도우 화면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후보 항목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여, 목표 후보 항목을 결정하고, 목표 후보 항목에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목표 후보 항목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킨 후,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면, 예를 들면 스크린의 변두리를 당겨 스크린이 신장되게 하면, 해당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스크린이 신장되게 제어하고, 스크린의 신장 영역에 숫자 즉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후보 항목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숫자 클릭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면, 예를 들면 사용자가 숫자 3을 클릭하면, 미리 설정된 숫자가 3인 경우, 전자 장치가 잠금 해제를 구현하고, 잠금 해제 후의 메인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므로, 전자 장치는 스크린을 펴는 과정에 잠금 해제를 완성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잠금 해제의 경우, 목표 후보 항목(여기에서는 제1 후보 항목으로 간주할 수 있음)을 선택한 후, 계속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계속하여 목표 후보 항목(여기에서는 제2 후보 항목으로 간주할 수 있음)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1 후보 항목과 제2 후보 항목의 조합이 미리 설정된 후보 항목과 매칭되는 경우, 잠금 해제 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잠금 해제 시나리오 하에 있어서, 설정된 후보 항목 수량은 본 실시예에서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후보 항목을 선택한 후, 스크린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목표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선택한 내용을 알릴 수 있다.
선택적으로, 목표 후보 항목을 선택한 후, 스크린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목표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후 목표 후보 항목을 숨기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으며, 숨김 방식은 디스플레이를 취소하는 것일 수 있고, 또한 제2 형식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잠금 해제의 경우, 설정된 후보 항목 수량이 2보다 작지 않을 때, 목표 후보 항목을 선택한 후,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한 목표 후보 항목을 삭제하여, 사용자가 잘못 선택한 후 재차 입력하게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면, 예를 들면 스크린의 변두리를 당겨 스크린이 신장되게 하면, 해당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스크린이 신장되게 제어하고, 스크린의 신장 영역에 숫자 즉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목표 후보 항목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목표 마크에 대한 드래그 입력을 수신한 후, 목표 마크와 목표 후보 항목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숫자 즉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목표 마크를 드래그하면, 목표 마크와 숫자 3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숫자 3을 선택한 것으로 간주하고, 미리 설정된 숫자가 3인 경우, 전자 장치가 잠금 해제를 구현하고, 잠금 해제 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예시적으로,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기 전, 전자 장치는 스크린의 제1 위치에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고,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면, 해당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스크린이 신장되게 제어하고, 스크린에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즉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제1 위치에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한다. 목표 후보 항목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은, 목표 마크와 목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일부 중첩되는 경우, 목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하는 바,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크린 변두리 위치에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고,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지시하는 위젯을 클릭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고, 스크린의 신장된 영역 상에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며, 목표 마크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키며, 목표 마크와 목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목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마크와 목표 후보 항목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것은, 목표 마크가 소재하는 제1 영역과 목표 후보 항목이 소재하는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고, 제1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해당 방안을 통하여, 일 양태로, 목표 후보 항목이 잠금 해제에 사용될 경우, 목표 후보 항목과 미리 설정된 후보 항목을 획득할 때, 잠금 해제를 완성하여, 스크린 신축 과정에 잠금 해제를 구현할 수 있어,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잠금 해제에 소모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잠금 해제의 재미를 증가한다. 다른 일 양태로, 목표 후보 항목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퀵 기능 입구를 지시하는 경우, 목표 후보 항목을 획득한 후, 바로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화면 또는 퀵 기능 화면을 열어, 제1 스크린 신장 과정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화면에 진입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여,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가 애플리케이션을 여는데 소모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재미를 증가하며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예시적으로, 상기 103 단계 전, 해당 방법이 하기 104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04 단계: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한다.
목표 마크는 그래픽, 위젯, 마스크, 선택 박스 등일 수 있고, 목표 마크의 구체적인 형식에 대하여 본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을 수신하기 전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고, 또한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첫번째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예시적으로, 전자 장치는 신축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이고, 여기에서 제2 스크린은 신축 스크린이고,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을 수신하기 전, 제1 스크린은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한다. 전자 장치는 제2 입력을 수신한 후, 제2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고, 제1 스크린에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한다. 목표 마크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목표 마크를 통하여 목표 후보 항목을 선택하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마크를 통하여 목표 후보 항목을 선택하는 것은, 먼저 목표 마크를 클릭하고, 다시 후보 항목을 클릭하여 목표 후보 항목을 선택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목표 마크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여, 목표 마크가 이동하게 하고, 목표 마크와 후보 항목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목표 부호 항목을 선택하는 것일 수도 있다. 목표 마크를 통하여 목표 후보 항목을 선택하는 방식에 대하여, 본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두번째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예시적으로, 전자 장치는 스크롤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이고,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고, 스크린의 신장 영역에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한다. 목표 마크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목표 마크를 통하여 목표 후보 항목을 선택하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동시에 목표 마크와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한 먼저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고, 다시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또는 먼저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다시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목표 마크와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순서에 대하여, 본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상기 103 단계는 구체적으로 하기 103a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03a 단계: 상기 목표 마크와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상기 목표 마크와 목표 후보 항목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것은, 목표 마크가 소재하는 일부 영역과 상기 목표 후보 항목이 소재하는 목표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것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가 스크린 상에서 후보 항목과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사용자의 목표 마크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여, 목표 마크가 이동하게 하고, 목표 마크와 후보 항목 중 목표 후보 항목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에 대응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가 스크린 상에서 후보 항목과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사용자의 후보 항목 중 목표 후보 항목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여, 후보 항목 중 목표 부호 항목이 이동하게 하고, 목표 마크와 후보 항목 중 목표 후보 항목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에 대응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목표 마크와 목표 후보 항목의 중첩 면적 역치를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목표 마크와 상기 목표 후보 항목의 중첩 면적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목표 후보 항목에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상기 목표 마크와 상기 목표 후보 항목이 완전히 중첩되는 경우, 목표 후보 항목에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은 목표 마크를 추가하고, 목표 마크와 목표 후보 항목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목표 후보 항목에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은, 목표 마크와 목표 후보 항목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것을 만족시키는 경우, 비로소 목표 후보 항목에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사용 과정의 오조작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켰다.
예시적으로, 상기 104 단계는 구체적으로 하기 104a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104a 단계는 상기 102 단계 전이다.
104a 단계: 상기 스크린의 제1 위치에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위치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위치일 수 있고, 또한 전자 장치 시스템이 무작위로 선택한 위치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제2 스크린은 신축가능한 스크린이다. 상기 스크린의 제1 위치에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제1 스크린의 중심 영역에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도 있고, 시스템이 무작위로 선택한 영역 예를 들면 스크린의 변두리 영역에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102 단계는 구체적으로 하기 102a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02a 단계: 상기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스크린의 제2 위치에 상기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가 다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위치는 스크린 신장 또는 수축과 관련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2 위치는 스크린 신장 또는 수축의 길이와 관련된다.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며, 예를 들면, 스크린의 신장 길이가 제1 길이이면, 제2 위치는 스크린의 신장 방향에 따라 제1 위치로부터 제1 길이 떨어진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스크린 신장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따라, 제1 위치로부터 제1 길이 떨어진 위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위치와 제1 위치의 거리는 스크린의 신장 길이와 미리 설정된 비례 관계를 가질 수 있는 바, 만일 미리 설정된 비례가 2:1이면, 스크린의 신장 길이가 제1 길이인 경우, 제2 위치는 스크린의 신장 방향에 따라 제1 위치로부터 2배 제1 길이 떨어진 위치일 수 있다.
제2 위치와 스크린의 신장 또는 축소 길이의 대응 관계에 대하여, 본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7을 참조하여,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인 것을 예로 들며, 제2 스크린이 신축가능하다. 제1 스크린 상의 변두리 영역에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고,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을 수신하며, 제2 스크린이 5 cm 신장되도록 제어하고,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며, 변두리로부터 5 cm 떨어진 위치(도면 중의 제2 위치)에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때 목표 마크와 목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일부 중첩되며, 전자 장치는 목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2 위치는 스크린 신장 또는 수축에 필요한 시간과 관련된다. 이동 속도가 v라고 미리 설정하고,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며, 만일 제1 스크린이 제1 미리 설정된 길이 신장되는 필요한 시간이 t이면, 제2 위치는 스크린의 신장 방향에 따라 제1 위치로부터 t*v 떨어진 위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위치와 제1 위치의 거리를 계산할 때, 스크린이 제2 미리 설정된 길이 신장되는 평균 속도 v2를 사용하면, 제2 위치는 스크린의 신장 방향에 따라 제1 위치로부터 t*v2 떨어진 위치일 수 있다.
제2 위치와 스크린의 신장 또는 축소 시간의 대응 관계에 대하여, 본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인 것을 예로 들며, 제2 스크린이 신축가능하다. 제1 스크린 상의 변두리 영역에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고,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을 수신하며, 제2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고,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며, 여기에서 제1 미리 설정된 길이는 5 cm이고, 미리 설정된 속도는 1 cm/s이며, 제2 스크린이 5 cm 신장되는 필요한 시간이 2s이면, 변두리로부터 2 cm 떨어진 위치에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때 목표 마크와 목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일부 중첩되며, 전자 장치는 목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은, 스크린이 신장 또는 축소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에서, 목표 마크의 위치를 개변하고, 목표 마크와 목표 후보 항목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은 스크린의 신장 또는 축소가 목표 마크의 위치를 개변시키는 것을 트리거시키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목표 마크의 위치를 개변시킬 필요가 없어, 목표 화면을 여는 조작 단계를 감소시켜, 사용자의 사용에 편리를 가져다 준다.
예시적으로, 상기 102 단계는 구체적으로 하기 102b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02b 단계: 상기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고, 제1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스크린의 신장 길이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제2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본 실시예에서, 제1 후보 항목과 제2 후보 항목이 다르고, 여기에서 제1 후보 항목과 제2 후보 항목은 일부 다를 수 있고, 또한 모든 내용이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제1 후보 항목과 제2 후보 항목의 내용이 일부 다른 바, 즉 스크린 신장 길이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후, 후보 항목의 일부 내용을 업데이트시킨다.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한 후, 제2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후보 항목 내용은 아이콘 1, 아이콘 2, 아이콘 3, 아이콘 4이며, 제1 미리 설정된 값이 3 cm이고, 스크린의 신장 길이가 3 cm보다 클 때, 제2 부호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후보 항목의 내용은 아이콘 2, 아이콘 3, 아이콘 4, 아이콘 5이다.
예시적으로, 제1 후보 항목과 제2 후보 항목의 내용이 모두 다른 바, 즉 스크린 신장 길이가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후, 후보 항목의 모든 내용을 업데이트시킨다.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한 후, 제2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후보 항목 내용은 아이콘 1, 아이콘 5, 아이콘 3, 아이콘 4이며, 제1 미리 설정된 값이 6 cm이고, 스크린의 신장 길이가 3 cm보다 클 때, 제2 부호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후보 항목의 내용은 아이콘 5, 아이콘 6, 아이콘 7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103 단계는 구체적으로 하기 103b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03b 단계: 상기 스크린의 길이가 불변하도록 유지하는 기간이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상기 목표 후보 항목은 상기 제2 후보 항목의 상기 제1 후보 항목에 대하여 증가한 후보 항목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의 길이 불변하도록 유지하는 기간은 바로 제1 입력을 수신하지 못한 기간이고, 상기 제2 후보 항목의 상기 제1 후보 항목에 대하여 증가한 후보 항목은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개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만일 상기 제2 후보 항목의 상기 제1 후보 항목에 대하여 증가한 후보 항목이 하나이면, 증가한 후보 항목은 목표 후보 항목이고, 스크린의 길이 불변하도록 유지하는 기간이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예시적으로, 만일 잠금 해제 시나리오에서, 만일 증가한 부호 항목이 복수개이면, 복수개의 후보 항목과 미리 설정된 후보 항목을 비교하고, 만일 미리 설정된 후보 항목과 매칭되면 잠금 해제 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선택적으로, 복수개 후보 항목은 순서를 구분하지 않는 바, 즉 후보 항목의 내용과 미리 설정된 후보 항목이 대응되면 바로 잠금 해제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미리 설정된 값이 2s이고, 미리 설정된 후보 항목은 7, 3, 5, 1이다.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한 제1 후보 항목이 2, 4, 6이고, 전자 장치의 스크린이 개변되지 않은 기간이 2s보다 큰 경우, 디스플레이하는 제2 후보 항목 내용이 1, 2, 3, 4, 5, 6, 7이면, 제2 후보 항목의 제1 후보 항목에 대하여 증가한 내용은 1, 3, 5, 7이고, 이때 증가한 후보 항목은 미리 설정된 후보 항목에 대하여 대응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전자 장치 잠금 해제에 성공하고, 잠금 해제 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선택적으로, 제2 후보 항목이 제1 후보 항목에 대하여 복수개의 후보 항목을 증가한 경우, 후보 항목의 순서는 미리 설정된 방향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제2 미리 설정된 값이 2s이고, 미리 설정된 후보 항목이 7, 3, 5, 1이며, 미리 설정된 방향이 스크린의 신장 방향이다.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한 제1 후보 항목이 2, 4, 6이고, 전자 장치의 스크린이 개변되지 않은 기간이 2s보다 큰 경우, 스크린이 신장되는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제2 후보 항목 내용이 1, 2, 3, 4, 5, 6, 7이면, 제2 후보 항목의 제1 후보 항목에 대하여 증가한 내용은 1, 3, 5, 7이고, 이때 증가한 후보 항목과 미리 설정된 후보 항목이 매칭되지 않기 때문에, 전자 장치 잠금 해제에 실패한다.
예시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여는 경우, 만일 증가한 후보 항목이 복수개이면, 스크린을 나누어 목표 후보 항목에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제2 후보 항목이 제1 후보 항목에 대하여 복수개의 후보 항목을 증가한 경우, 제2 미리 설정된 값이 2s이다.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한 제1 후보 항목이 아이콘 1, 아이콘 2이고, 전자 장치의 스크린이 개변되지 않은 기간이 2s보다 큰 경우, 디스플레이하는 제2 후보 항목 내용이 아이콘 3, 아이콘 4이면, 제2 후보 항목의 제1 후보 항목에 대하여 증가한 내용은 아이콘 3, 아이콘 4이고, 이때 스크린은 두 부분으로 구분되어 각각 아이콘 3과 아이콘 4에 대응되는 목표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의 스크린이 일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후보 항목의 내용에 대하여 업데이트를 진행하여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하는 후보 항목이 사용자가 수요하는 후보 항목을 포함하지 않을 때, 사용자가 수요하는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할 때까지 디스플레이하는 내용을 업데이트할 수 있어,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예시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202 단계는 구체적으로 하기 102c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02c 단계: 상기 제2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스크린에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후보 항목은 상기 제1 스크린 상에서 이동하고, 상기 후보 항목의 이동 거리는 상기 제2 스크린의 신장 길이 또는 수축 길이와 상관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스크린은 신축가능한 스크린이고,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실시예에서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은 모두 경성 스크린을 수 있고, 또한 모두 연성 스크린일 수 있으며, 또한 하나는 연성 스크린이고, 하나는 경성 스크린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제1 스크린이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후보 항목이 제1 스크린 상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먼저 제1 스크린 상에서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한 후, 후보 항목을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제2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게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후보 항목을 이동하는 것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으며, 제2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순서에 대하여, 본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스크린이 그 중의 상기 후보 항목을 신장 또는 수축하는 이동 거리는 상기 제2 스크린의 신장 또는 수축하는 길이와 관련되는 바, 제2 스크린이 신장되는 경우, 후보 항목은 스크린의 신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제2 스크린이 수축하는 경우, 후보 항목은 스크린의 수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제2 스크린이 신장되는 경우, 후보 항목은 스크린의 신장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제2 스크린이 수축하는 경우, 후보 항목은 스크린의 수축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후보 항목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본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보 항목의 이동 거리는 상기 제2 스크린의 신장 길이 또는 수축 길이와 관련되는 바, 후보 항목의 이동 거리가 제2 스크린의 신장 길이 또는 수축 길이와 같을 수 있고, 또한 후보 항목의 이동 거리가 제2 스크린의 신장 길이 또는 수축 길이가 미리 설정된 비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제2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며, 제1 스크린은 변두리에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스크린 신장 길이가 3 cm인 것을 획득하면, 후보 항목은 제2 스크린의 신장 방향을 따라 3 cm 이동한다.
선택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2 입력을 수신하고 제2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며, 제1 스크린은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후보 항목을 이동하며, 여기에서 제2 스크린의 신장 속도는 후보 항목의 이동 속도와 같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비례를 2:1로 설정하며,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제2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며, 제1 스크린은 변두리에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스크린 신장 길이가 3 cm인 것을 획득하면, 후보 항목은 제2 스크린의 신장 방향을 따라 1.5 cm 이동한다.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된 비례를 2:1로 설정하며, 전자 장치는 제2 입력을 수신하고 제2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며, 제1 스크린은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후보 항목을 이동하며, 여기에서 제2 스크린의 신장 속도가 2 cm/s이면, 후보 항목의 이동 속도는 1 cm/s이다.
예시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103 단계는 구체적으로 하기 103c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03c 단계: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과 상기 제1 스크린의 목표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실시예에서, 목표 영역은 미리 설정된 영역일 수 있고, 또한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하여 결정한 영역일 수 있다. 목표 영역의 형상은 정방형, 원형 등 임의의 형상일 수 있고, 목표 영역의 크기는 사용자의 수요에 의하여 정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영역은 제1 스크린 원형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제2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며, 제1 스크린이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후보 항목은 제2 스크린의 신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제1 스크린 중심의 원형 영역과 목표 부호 항목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목표 후보 항목에 대응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선택적으로, 목표 후보 항목과 목표 영역의 중첩 면적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목표 후보 항목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된 영역은 복수의 후보 항목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바, 즉 복수의 목표 후보 항목을 가진다. 예를 들면, 잠금 해제 시나리오에서, 미리 설정된 후보 항목이 1, 2, 3이고,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제2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며, 제1 스크린이 숫자 1, 2, 3, 4, 5, 6, 즉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후보 항목은 제2 스크린의 신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제1 스크린 중심의 원형 영역과 1, 2, 3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목표 후보 항목은 1, 2, 3이고, 목표 후보 항목 1, 2, 3과 미리 설정된 후보 항목이 매칭되면, 전자 장치는 잠금 해제 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목표 후보 항목과 미리 설정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목표 후보 항목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여는 경우,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제2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며, 제1 스크린이 아이콘 1, 아이콘 2, 아이콘 3, 아이콘 4 즉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후보 항목은 제2 스크린의 신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제1 스크린 중심의 원형 영역과 아이콘 1, 아이콘 2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목표 후보 항목은 아이콘 1과 아이콘 2이고, 전자 장치는 스크린을 나누어 아이콘 1과 아이콘 2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제2 스크린은 신축가능한 스크린이고, 후보 항목은 제2 스크린의 신장 또는 수축 이동에 의하여, 목표 영역과 목표 후보 항목이 매칭되는 경우, 목표 후보 항목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하고,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방법을 응용하여 복수의 목표 후보 항목을 선택하여 사용자의 사용 시나리오를 증가할 수 있고, 빠른 잠금 해제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을 구현하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각 도면에 도시된 제어 방법은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일 도면을 결부시켜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구체적 구현 시, 상기 각 도면이 도시하는 제어 방법은 또한 상기 실시예 중에 예시된 기타 결합가능한 임의의 도면을 결부시켜 구현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장치(900)를 제공한다. 해당 전자 장치는 수신 모듈(901), 응답 모듈(902)과 제1 디스플레이 모듈(90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901)은 제1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응답 모듈(902)은 수신 모듈(901)이 수신한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제1 디스플레이 모듈(903)은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선택적으로, 도 9를 결부시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9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듈(904)은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듈(903)은 또한 상기 목표 마크와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디스플레이 모듈(904)은 구체적으로 제1 입력을 수신하기 전, 상기 스크린의 제1 위치에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903)은 또한 상기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스크린의 제2 위치에 상기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가 다르다.
선택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모듈(903)은 또한 상기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고, 제1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상기 스크린의 신장 길이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모듈(903)은 또한 제2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904)은 또한 상기 스크린의 길이가 불변하도록 유지하는 기간이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상기 목표 후보 항목은 상기 제2 후보 항목의 상기 제1 후보 항목에 대하여 증가한 후보 항목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903)은 또한 상기 제2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스크린에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후보 항목은 상기 제1 스크린 상에서 이동하고, 상기 후보 항목의 이동 거리는 상기 제2 스크린의 신장 길이 또는 수축 길이와 상관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904)은 또한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과 상기 제1 스크린의 목표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방법 실시예 중 전자 장치가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바, 일 양태로, 목표 후보 항목이 잠금 해제에 사용될 경우, 목표 후보 항목을 획득하고, 목표 후보 항목과 미리 설정된 후보 항목이 매칭될 때, 잠금 해제를 완성하여, 스크린 신축 과정에 잠금 해제를 구현할 수 있어,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잠금 해제에 소모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잠금 해제의 재미를 증가한다. 다른 일 양태로, 목표 후보 항목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퀵 기능 입구를 지시하는 경우, 목표 후보 항목을 획득한 후, 바로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화면 또는 퀵 기능 화면을 열어, 제1 스크린 신장 과정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화면에 진입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여,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가 애플리케이션을 여는데 소모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재미를 증가하며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일 전자 장치를 구현하는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전자 장치(200)는 무선 주파수 유닛(201), 네트워크 모듈(202), 오디오 출력 유닛(203), 입력 유닛(204), 센서(205), 디스플레이 유닛(206), 사용자 입력 유닛(207), 인터페이스 유닛(208), 메모리(209), 프로세서(210) 및 전원(211) 등 부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도 11에 도시된 전자 장치 구조가 전자 장치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전자 장치는 도시된 것보다 더욱 많거나 더욱 적은 부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부품 또는 서로 다른 부품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핸드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 차량 탑재 전자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계보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프로세서(210)는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206)이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도록 제어한다.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프로세서(210)는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206)이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210)는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206)이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 마크와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프로세서(210)는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206)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210)는 또한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기 전, 디스플레이 유닛(206)이 상기 스크린의 제1 위치에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프로세서(210)는 또한 상기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206)이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크린의 제2 위치에 상기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가 다르다.
프로세서(210)는 또한 상기 스크린이 신장되게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유닛(206)이 상기 스크린의 신장 길이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제1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스크린의 신장 길이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제2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스크린의 길이가 불변하도록 유지하는 기간이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 유닛(206)이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바, 상기 목표 후보 항목은 상기 제2 후보 항목의 상기 제1 후보 항목에 대하여 증가한 후보 항목이다.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국비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210)는 또한 상기 제2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스크린에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후보 항목은 상기 제1 스크린 상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후보 항목의 이동 거리는 상기 제2 스크린의 신장 길이 또는 수축 길이와 상관되며;
프로세서(210)는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206)이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과 상기 제1 스크린의 목표 영역이 중첩되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바, 일 양태로, 목표 후보 항목이 잠금 해제에 사용될 경우, 목표 후보 항목을 획득하고, 목표 후보 항목과 미리 설정된 후보 항목이 매칭될 때, 잠금 해제를 완성하여, 스크린 신축 과정에 잠금 해제를 구현할 수 있어, 신축 연성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잠금 해제에 소모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잠금 해제의 재미를 증가한다. 다른 일 양태로, 목표 후보 항목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퀵 기능 입구를 지시하는 경우, 목표 후보 항목을 획득한 후, 바로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화면 또는 퀵 기능 화면을 열어, 제1 스크린 신장 과정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화면에 진입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여, 연성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가 애플리케이션을 여는데 소모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재미를 증가하며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201)은 정보 송수신 또는 통신 과정의 신호의 수신과 송신을 진행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지국으로부터 온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210)로 전송하여 처리를 진행하며; 그리고,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2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소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 주파수 유닛(20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네트워크 및 기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네트워크 모듈(202)을 통하여 사용자를 위하여 무선의 광대역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바, 예를 들면 사용자를 도와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 접속하며, 스트림 미디어를 접속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203)은 무선 주파수 유닛(201) 또는 네트워크 모듈(202)이 수신한 또는 메모리(2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전환하고 또한 소리로 출력한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유닛(203)은 또한 전자 장치(200)가 실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를 들면, 콜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203)은 스피커, 부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2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입력 유닛(204)은 그래픽 처리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2041)와 마이크(204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처리장치(2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가 취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수행한다. 처리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유닛(206)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미지 처리장치(2041)의 처리를 거친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2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201) 또는 네트워크 모듈(202)을 거쳐 송신을 진행한다. 마이크(20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 후의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 무선 주파수 유닛(201)을 거쳐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는 포맷으로 전환되어 출력된다.
전자 장치(200)는 또한 적어도 한 가지 센서(205)를 포함하는 바, 예를 들면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광 센서는 환경 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바, 여기에서, 환경 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암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61)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전자 장치(200)가 귀가로 이동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2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닫을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 센서는 각 방향 상(일반적으로 3축)의 가속도의 크기를 탐지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탐지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 자세(예를 들면 가로/세로 스크린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조절), 진동 식별 관련 기능(예를 들면 계보기, 두드림) 등을 식별할 수 있으며; 센서(205)는 또한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유닛(206)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유닛(206)은 디스플레이 패널(2061)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식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2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전자 장치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사용자 입력 유닛(207)은 터치 패널(2071) 및 다른 입력 장치(2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2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칭하고, 사용자의 그 위 또는 부근에서의 터치 조작(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부속품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2071) 상 또는 터치 패널(2071) 부근에서의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2071)은 터치 탐지 장치와 터치 제어기 두 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향을 검출하고, 또한 터치 조작에 의한 신호를 검출하며, 신호를 터치 제어기로 전송하며;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이를 터치 포인트 좌표로 전환시켜, 다시 프로세서(210)로 전송하고, 프로세서(210)가 전송하는 명령을 수신 및 실행한다. 그리고, 저항식, 전기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 음파 등 여러 유형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20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2071) 외, 사용자 입력 유닛(207)은 또한 다른 입력 장치(20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다른 입력 장치(2072)는 물리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면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스틱 등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나아가, 터치 패널(2071)은 디스플레이 패널(2061) 상에 커버될 수 있고, 터치 패널(2071)이 그 위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을 감지한 후, 프로세서(210)로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결정하고, 그 후 프로세서(210)가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61) 상에서 상응한 시각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서 터치 패널(2071)과 디스플레이 패널(2061)은 두 개의 독립적인 부품으로서 전자 장치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하였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2071)과 디스플레이 패널(2061)을 집적시켜 전자 장치의 입력과 플레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여기에서 제한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유닛(208)은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20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폰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저장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입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20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또한 수신된 입력을 전자 장치(200)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소자로 전송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200)와 외부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2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여러 가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9)는 주요하게 프로그램 저장 구역과 데이터 저장 구역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서, 프로그램 저장 구역에는 운영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를 들면 사운드 플레이 기능, 이미지 플레이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구역에는 핸드폰의 사용에 따라 구성된 데이터(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 통신록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209)는 고속 무작위 접속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기억 소자, 플래시 소자 또는 기타 휘발성 고체 기억 소자이다.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의 제어 센터로서, 여러 가지 인터페이스와 선로를 이용하여 전체 전자 장치의 각 부분을 연결하고, 메모리(209)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작동 또는 실행하며, 메모리(209)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을 통하여, 단말기기의 여러 가지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여, 전자 장치에 대하여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10)에는 응용 프로세서와 변조/복조 프로세서가 집적될 수 있고, 그 중에서, 응용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운영 시스템, 유저 인터페이스와 어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또한 프로세서(210)에 집적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전자 장치(200)는 또한 각 부품을 위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211)(예를 들면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전원(2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프로세서(210)와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모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200)는 일부 도시되지 않은 기능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세서(210), 메모리(209), 메모리(209)에 저장되고 프로세서(210)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 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 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그 중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예를 들면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이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문에서, 용어 “포함하다” 또는 이의 임의의 기타 변형체는 비 배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뜻함으로써,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이러한 요소를 포함할 뿐 아니라, 또한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은 기타 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상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를 포함하도록 한다. 더욱 많은 제한이 없는 경우, “하나의... 을(를)을 포함하다”는 구절로 한정되는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또한 기타 동일한 요소가 포함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방식에 대한 기재를 통하여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하드웨어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여러 경우 중에서 전자가 더욱 바람직한 실시방식이다. 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를 들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전자 장치(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는 도면을 결부시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단지 예시적일 뿐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힌트 하에서 본 발명의 사상과 청구항이 보호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 하에서, 얼마든지 더욱 많은 형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4)

  1.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적용되고,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전에,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마크와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기 전에, 상기 스크린의 제1 위치에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스크린의 제2 위치에 상기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가 다른 디스플레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의 신장 길이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제1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의 신장 길이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제2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의 길이가 불변하도록 유지하는 기간이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 상기 목표 후보 항목은 상기 제2 후보 항목의 상기 제1 후보 항목에 대하여 증가한 후보 항목인 디스플레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제2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스크린에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후보 항목의 상기 제1 스크린 상의 디스플레이 위치는 상기 제2 스크린의 신장 길이 또는 수축 길이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과 상기 제1 스크린의 목표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6. 길이 또는 너비가 신축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고,
    제1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응답 모듈;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은 또한 상기 목표 마크와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기 전, 상기 스크린의 제1 위치에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또한 상기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스크린의 제2 위치에 상기 목표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가 다른 전자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또한 상기 스크린이 신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스크린의 신장 길이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제1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스크린의 신장 길이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제2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은 또한 상기 스크린의 길이가 불변하도록 유지하는 기간이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상기 목표 후보 항목은 상기 제2 후보 항목의 상기 제1 후보 항목에 대하여 증가한 후보 항목인 전자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또한 상기 제2 스크린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스크린에 후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후보 항목은 상기 제1 스크린 상에서 이동하고, 상기 후보 항목의 이동 거리는 상기 제2 스크린의 신장 길이 또는 수축 길이와 상관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은 또한 상기 후보 항목 중의 목표 후보 항목과 상기 제1 스크린의 목표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목표 후보 항목과 대응되는 목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11.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전자 장치.
  12.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3.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KR1020227037455A 2020-04-03 2021-03-30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201588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260738.7A CN111459367B (zh) 2020-04-03 2020-04-03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202010260738.7 2020-04-03
PCT/CN2021/083911 WO2021197315A1 (zh) 2020-04-03 2021-03-30 显示方法及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816A true KR20220158816A (ko) 2022-12-01

Family

ID=71682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455A KR20220158816A (ko) 2020-04-03 2021-03-30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415228A1 (ko)
EP (1) EP4130950A4 (ko)
JP (1) JP7469502B2 (ko)
KR (1) KR20220158816A (ko)
CN (1) CN111459367B (ko)
WO (1) WO2021197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9367B (zh) * 2020-04-03 2022-04-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2269555A (zh) * 2020-11-16 2021-01-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2506404B (zh) * 2020-12-02 2023-12-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解锁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3204304B (zh) * 2021-04-28 2023-07-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介质和电子设备
CN114125307B (zh) * 2021-12-30 2024-02-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拍摄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4285980A (zh) * 2021-12-30 2022-04-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视频录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2993A (en) * 1991-12-17 1995-06-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irect manipulation operations in a computer system
US7760187B2 (en) * 2004-07-30 2010-07-20 Apple Inc. Visual expander
EP2060970A1 (en) 2007-11-12 2009-05-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User interface for touchscreen device
US9383775B2 (en) * 2012-02-07 2016-07-05 Lg Electronics Inc. Icon display method for a pull-out display device
US20130234951A1 (en) 2012-03-09 2013-09-12 Jihwan Kim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47690B1 (ko) * 2013-01-24 2019-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US9891662B2 (en) * 2013-03-04 2018-02-13 Lg Electronics Inc. Double unlocking apparatus of a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an expanda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860656B1 (en) * 2013-04-18 2014-10-14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60139320A (ko) * 2015-05-27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19684B1 (ko) * 2015-06-22 2021-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85147B1 (ko) * 2015-07-06 2023-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59550B1 (ko) * 2015-08-26 2022-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00060B1 (ko) 2015-11-18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458751B2 (ja) * 2016-03-03 2019-0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US20180137840A1 (en) 2016-11-17 2018-05-17 Fuji Xerox Co., Ltd. Terminal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6648382B (zh) * 2017-02-28 2019-03-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片浏览方法和移动终端
CN107562336A (zh) * 2017-08-01 2018-01-0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悬浮球的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705708B (zh) * 2017-10-19 2019-12-13 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显示屏的显示控制方法及系统
CN108536411A (zh) * 2018-04-12 2018-09-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8810210B (zh) * 2018-06-29 2021-02-19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变形方法
CN109116983B (zh) * 2018-07-23 2021-10-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CN109325336B (zh) * 2018-10-19 2024-04-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解锁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597551B (zh) 2018-11-21 2021-03-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09725773B (zh) * 2018-12-29 2021-09-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柔性屏的控制方法及终端
CN109976657A (zh) * 2019-03-28 2019-07-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10764575A (zh) * 2019-10-08 2020-02-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CN110837296B (zh) * 2019-10-24 2021-09-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分身管理方法及电子设备
CN111459367B (zh) * 2020-04-03 2022-04-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0950A1 (en) 2023-02-08
WO2021197315A1 (zh) 2021-10-07
CN111459367A (zh) 2020-07-28
JP7469502B2 (ja) 2024-04-16
EP4130950A4 (en) 2023-10-18
JP2023519184A (ja) 2023-05-10
CN111459367B (zh) 2022-04-22
US20220415228A1 (en)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61574B (zh) 一种对象分享方法及电子设备
CN111596845B (zh) 显示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20158816A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21093717A1 (zh) 显示控制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0063091A1 (zh) 一种图片处理方法及终端设备
WO2021169959A1 (zh) 应用程序启动方法及电子设备
CN111142747B (zh) 群组管理方法及电子设备
WO2021057337A1 (zh) 操作方法及电子设备
CN109828850B (zh) 一种信息显示方法及终端设备
WO2021012927A1 (zh) 图标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10874147B (zh)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WO2021129536A1 (zh) 图标移动方法及电子设备
WO2020151460A1 (zh) 对象处理方法及终端设备
WO2021004327A1 (zh) 应用权限设置方法及终端设备
CN109828731B (zh) 一种搜索方法及终端设备
CN110703972B (zh) 一种文件控制方法及电子设备
WO2020215967A1 (zh) 内容选中方法及终端设备
CN110908554B (zh) 长截图的方法及终端设备
CN111026350A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20210320995A1 (en) Conversation creat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10989896A (zh)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1190517B (zh) 分屏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0851098B (zh) 一种视频窗口显示方法及电子设备
WO2020168882A1 (zh) 界面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11638822A (zh) 图标操作方法、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