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576B1 -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 - Google Patents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576B1
KR101857576B1 KR1020170144671A KR20170144671A KR101857576B1 KR 101857576 B1 KR101857576 B1 KR 101857576B1 KR 1020170144671 A KR1020170144671 A KR 1020170144671A KR 20170144671 A KR20170144671 A KR 20170144671A KR 101857576 B1 KR101857576 B1 KR 101857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osition recognition
shipyard
battery module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현
김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탈
Priority to KR1020170144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블럭 조립 작업장에서, 위치 인식 단말기와 중앙 모니터링부를 구비함으로써, 흩어진 블럭들과 부품, 그리고 작업자의 위치를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어, 작업 지시가 용이하고,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며, 위치 파악이 용이함에 따라 인건비 절약 및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배터리 모듈의 일면이 자석으로 구성되어, 작업장 내의 블럭이나 부품에 자력으로 간편하게 탈부착 가능하고, 탈착하여 위치를 옮기더라도 배터리 모듈이 포함된 위치 인식 단말기가 부착된 블럭이나 부품의 위치를 중앙 모니터링부로 재전송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부착된 블럭이나 부품이 위치가 바뀌어도 중앙 모니터링부에 접속하여 해당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의 향상시키는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는 커버,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 현재위치를 기반으로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 모듈, 및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GPS 모듈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수집된 정보를 통신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각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위치 인식 단말기; 위치 인식 단말기로부터 식별코드를 수신하여 분류 저장 및 관리하고, 다수의 위치 인식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 조회 및 이동 궤적 조회가 가능하며, 위치 인식 단말기를 특정 명령으로 제어할 수 있는 중앙 모니터링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Position recognition device for shipyard monitoring}
본 발명은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블럭 조립 작업장에서, 위치 인식 단말기와 중앙 모니터링부를 구비함으로써, 흩어진 블럭들과 설비, 그리고 작업자의 위치를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어, 작업 지시가 용이하고,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며, 위치 파악이 용이함에 따라 인건비 절약 및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배터리 모듈의 일면이 자석으로 구성되어, 작업장 내의 블럭이나 부품에 자력으로 간편하게 탈부착 가능하고, 탈착하여 위치를 옮기더라도 배터리 모듈이 포함된 위치 인식 단말기가 부착된 블럭이나 부품의 위치를 중앙 모니터링부로 재전송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부착된 블럭이나 부품이 위치가 바뀌어도 중앙 모니터링부에 접속하여 해당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의 향상시키는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소들은 선박의 대형화에 따라 선박조립에 사용되는 선박용 블럭들을 조선소 현장 내부에 보관 및 가공을 위해 배치 또는 적층시켜야 하는데 작업장이라는 제한된 부지의 문제로 빠르게 순환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조선소 내의 블록 정보 및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블럭을 조립하기 위한 다양한 설비, 장비, 및 작업자의 위치, 현황을 포함하는 정보가 작업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큰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장에 블록 정보 및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적재적소에 배치하기 위해 계획대비 작업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면 이상적이겠지만 조선소마다 많은 선박의 작업일정과 각 공정 간의 업무 중첩에 의해 현황 파악도 쉽지 않을 뿐더러 계획 대비 돌발 상황들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는 블록의 실시간 파악이 불가하고 작업자의 시수를 증가시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생산성 저하를 야기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 KR공개특허공보 제2012-0100006호(2012.9.12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선소 내에 위치하는 선박 블럭, 설비 및 작업자의 위치를 간편하게 파악하고, 작업 지시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는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는 커버,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 현재위치를 기반으로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 모듈, 및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GPS 모듈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수집된 정보를 통신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각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위치 인식 단말기; 위치 인식 단말기로부터 식별코드를 수신하여 분류 저장 및 관리하고, 다수의 위치 인식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 조회 및 이동 궤적 조회가 가능하며, 위치 인식 단말기를 특정 명령으로 제어할 수 있는 중앙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인식 단말기의 배터리 모듈은 일면이 자석으로 형성되어 장비, 부품에 자력으로 탈부착 가능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모듈, GPS 모듈, 가속도 센싱 모듈, 제어 모듈은 상단에 전원공급 핀과 데이터 송신 핀의 (+)극과 (-)극이 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전원공급 핀과 데이터 핀에 이격하여 전자석이 돌출 형성되며, 배터리 모듈을 제외한 상기 모듈과 커버 하단에는 전원공급 핀과 데이터 송신 핀, 및 전자석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전원공급 홈과 데이터 송신 홈, 전자석 홈이 형성되어, 핀과 돌기가 홈에 삽입 시 전원 공급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전자석의 자력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선소에서, 위치 인식 단말기와 중앙 모니터링부를 구비함으로써, 흩어진 블럭들과 설비, 그리고 작업자의 위치를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어, 작업 지시가 용이하고,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며, 위치 파악이 용이함에 따라 인건비 절약 및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모듈의 일면이 자석으로 구성되어, 작업장 내의 블럭이나 부품에 자력으로 간편하게 탈부착 가능하고, 탈착하여 위치를 옮기더라도 배터리 모듈이 포함된 위치 인식 단말기가 부착된 블럭이나 부품의 위치를 중앙 모니터링부로 재전송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부착된 블럭이나 부품이 위치가 바뀌어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의 향상시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를 장치에 부착한 사용상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의 위치 인식 단말기의 모듈 결합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선소에서, 위치 인식 단말기(10)와 중앙 모니터링부(20)를 구비함으로써, 흩어진 블럭들과 부품, 그리고 작업자의 위치를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어, 작업 지시가 용이하고,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며, 위치 파악이 용이함에 따라 인건비 절약 및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배터리 모듈(12)의 일면이 자석으로 구성되어, 작업장 내의 블럭이나 부품에 자력으로 간편하게 탈부착 가능하고, 탈착하여 위치를 옮기더라도 배터리 모듈(12)이 포함된 위치 인식 단말기(10)가 부착된 블럭이나 부품의 위치를 중앙 모니터링부(20)로 재전송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부착된 블럭이나 부품이 위치가 바뀌어도 중앙 모니터링부(20)에 접속하여 해당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의 향상시키는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100)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100)를 장치에 부착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100)의 위치 인식 단말기(10)의 모듈 결합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100)은,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위치 인식 단말기(10), 위치 인식 단말기(10)와 통신하는 중앙 모니터링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위치 인식 단말기(10)는 특정 부품, 특정 장비, 및 작업자에 부착 및 착용되어 위치를 중앙 모니터링부(20)에 전송할 수 있고, 중앙 모니터링부(20)로 권한 접속하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는 위치 인식 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로 부품과 장비 및 작업자의 위치, 상태를 확인하여 위치 인식 단말기(10)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위치 인식 단말기(10)부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위치 인식 단말기(10)는 커버(11), 배터리 모듈(12), GPS 모듈(13), 제어 모듈(14), 촬영 모듈(15)<미도시>, 가속도 센싱 모듈(16), 및 알림 모듈(18)<미도시>을 포함하는 모듈과 충격 흡수 부재(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커버(11)부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11)는 최상단에 위치하고,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훼손을 방지하고, 내부를 보호한다.
또한, 위치 인식 단말기(10)의 커버(11)는 외면에 태양광 패널(11a)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태양광으로 얻은 전기를 배터리 모듈(12)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배터리 모듈(12)은 최하단에 위치하고,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위치 인식 단말기(10)의 배터리 모듈(12)은 일면이 자석<미도시>으로 형성되어 장비, 부품에 자력으로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커버(11)는 위치 인식 단말기(10)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태양광 패널(11a)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를 변환하여 배터리 모듈(12)로 공급하고, 배터리 모듈(12)은 위치 인식 단말기(10)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장비, 부품 등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GPS 모듈(13)은 현재위치를 기반으로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제어 모듈(14)로 제공한다.
제어 모듈(14)은 장비, 부품, 및 작업자에게 부착된 위치 인식 단말기(10)의 구별을 위해, 부착된 후, 각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GPS 모듈(13)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GPS 모듈(13)과 촬영 모듈(15), 가속도 센싱 모듈(16) 등으로 수집된 정보로 각 모듈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 모듈(14)은 중앙 모니터링부(20) 또는 다른 위치 인식 단말기(10)와 브로드 캐스팅 방식으로 통신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상호 통신하며, 중앙 모니터링부(20)로부터 명령을 수신받아 위치 인식 단말기(10)의 각 모듈을 제어하거나, 위치 인식 단말기(10) 간의 통신으로 상호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 특정 블럭과 블럭 내부에 설치될 장치에 각각 위치 인식 단말기(10)가 부착되고, 블럭과 장비는 작업의 편의를 위해,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도록 중앙 모니터링부(20)에서 제어 명령을 발신하면, 블럭과 블럭 내부에 설치될 장치는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것이 정상이나, 상기 블럭과 장치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게 되면, 위치 인식 단말기(10) 간 무선통신으로 경고등, 경고음을 포함하는 신호를 알림 모듈(18)을 통해 작업자에게 알리고, 중앙 모니터링부(20)와도 통신하여 일정 거리 이상 떨어졌다는 신호를 제어 모듈(14)에서 발신하여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례에 따라 GPS 모듈(13)의 위치 정보 오인식이나 제어 모듈(14)의 거리 계산 오작동으로 블럭과 장치가 일정 거리 이내에 있지만, 일정 거리를 벗어났다고 판단하는 오류에 대비하여 제어 모듈(14)에 카운팅 타임(counting time)이 프로그램화되어 있어 감지된 거리 값이 일정 거리 이상일 경우라도, 감지된 거리 값에 따라 카운트를 달리 적용하여 카운트 내에 거리 값이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하지 못할 경우에만 알림 모듈(18)을 작동시키고, 중앙 모니터링부(20)로 상기 데이터를 송부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 모듈(14)이 일정거리를 벗어난 것을 중앙 모니터링부(20)로 전송하는 거리가 10m라고 가정하면, 센싱된 거리가 11m일 경우, 즉시 중앙 모니터링부(20)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센싱된 거리가 10m ~ 15m로 센싱된 경우에는 1분 이상 그 기울기 값이 유지되어야 하는 카운팅 타임(counting time)을 적용시켜, 1분 이상 유지하지 않을 시에는 제어 모듈(14)이나 거리 측정의 오류라 판단하고, 제어 모듈(14)에서 중앙 모니터링부(20)나 알림 모듈(18)로 신호를 발신하지 않도록 하여 기기적 오류에 대한 알림 모듈(18) 작동을 방지하여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촬영 모듈(15)은 제어 모듈(14)의 제어 신호에 따라 특정 부분을 촬영하고, 촬영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어모듈로 발신한다.
일례로, 중앙 모니터링부(20)에서 조선소 내 특정 위치에 위치 인식 단말기(10)가 부착되어 GPS 모듈(13)로 확인된 설비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싶을 경우, 해당 설비의 위치에서 가까운 위치 인식 단말기(10)의 촬영 모듈(15)을 작동시켜 해당 설비를 촬영하여 중앙 모니터링부(20)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고, 만약, 촬영 모듈(15)로 해당 위치가 촬영이 불가하다면, 중앙 모니터링부(20)에서 가속도 센싱 모듈(16)로 센싱되어 해당 설비로 가장 빠른 속도로 이동중인 설비나 장비, 또는 작업자에게 부착된 위치 인식 단말기(10)로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해당 위치로 이동시켜 촬영 모듈(15)로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가속도 센싱 모듈(16)은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여 위치 인식 단말기(10)의 이동속도를 감지한다.
알림 모듈(18)<미도시>은 제어 모듈(14)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경고등, 경고음을 포함하는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위치 인식 단말기(10)의 배터리 모듈(12), GPS 모듈(13), 제어 모듈(14), 촬영 모듈(15)<미도시>, 가속도 센싱 모듈(16), 알림 모듈(18)<미도시>, 을 포함하는 모듈의 내부는 고무, 스펀지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 부재(17)<미도시>가 구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12), GPS 모듈(13), 제어 모듈(14), 촬영 모듈(15)<미도시>, 가속도 센싱 모듈(16), 및 알림 모듈(18)<미도시>은 상단에 전원공급 핀(10a)과 데이터 송신 핀(10b)의 (+)극과 (-)극이 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전원공급 핀(10a)과 데이터 핀에 이격하여 전자석(10c)이 돌출 형성되며, 배터리 모듈(12)을 제외한 상기 모듈과 커버(11) 하단에는 전원공급 핀(10a)과 데이터 송신 핀(10b), 및 전자석(10c)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전원공급 홈(10a')과 데이터 송신 홈(10b'), 전자석 홈(10c')이 형성되어, 핀과 돌기가 홈에 삽입 시 전원 공급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전자석(10c)의 자력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1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의 커버(11), 배터리 모듈(12), GPS 모듈(13), 가속도 센싱 모듈(16), 촬영 모듈(15), 및 제어 모듈(14)의 상단과 하단의 모서리 또는 구석을 비스듬하게 깎은 모따기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모따기로, 커버(11) 및 모듈들이 결합된 위치 인식 단말기(10)를 해체 시 상부에 위치한 커버(11) 또는 모듈과 하부 모듈 사이에 형성된 각 모따기를 중심으로 외력을 가하여 보다 편리하게 분리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중앙 모니터링부(20)는 위치 인식 단말기(10)로부터 식별코드를 수신하여 분류 저장 및 관리하고, 다수의 위치 인식 단말기(10)의 실시간 위치 조회 및 이동 궤적 조회가 가능하며, 위치 인식 단말기(10)를 특정 명령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위치 인식 단말기
10a - 전원공급 핀
10b - 데이터 송신 핀
10c - 전자석
10a' - 전원공급 홈
10b' - 데이터 송신 홈
10c' - 전자석 홈
11 - 커버
11a - 태양광 패널
12 - 배터리 모듈
13 - GPS 모듈
14 - 제어 모듈
15 - 촬영 모듈
16 - 가속도 센싱 모듈
17 - 충격 흡수 부재
18 - 알림 모듈
20 - 중앙 모니터링부
100 -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

Claims (3)

  1.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는 커버,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
    현재위치를 기반으로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 모듈, 및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GPS 모듈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수집된 정보를 통신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각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위치 인식 단말기;
    위치 인식 단말기로부터 식별코드를 수신하여 분류 저장 및 관리하고, 다수의 위치 인식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 조회 및 이동 궤적 조회가 가능하며, 위치 인식 단말기를 특정 명령으로 제어할 수 있는 중앙 모니터링부
    를 포함하고,
    배터리 모듈, GPS 모듈, 가속도 센싱 모듈, 제어 모듈은 상단에 전원공급 핀과 데이터 송신 핀의 (+)극과 (-)극이 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전원공급 핀과 데이터 핀에 이격하여 전자석이 돌출 형성되며,
    배터리 모듈을 제외한 상기 모듈과 커버 하단에는 전원공급 핀과 데이터 송신 핀, 및 전자석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전원공급 홈과 데이터 송신 홈, 전자석 홈이 형성되어, 핀과 돌기가 홈에 삽입 시 전원 공급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전자석의 자력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위치 인식 단말기의 배터리 모듈은
    일면이 자석으로 형성되어 장비, 부품에 자력으로 탈부착 가능한 것
    을 포함하는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
  3. 삭제
KR1020170144671A 2017-11-01 2017-11-01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 KR101857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671A KR101857576B1 (ko) 2017-11-01 2017-11-01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671A KR101857576B1 (ko) 2017-11-01 2017-11-01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576B1 true KR101857576B1 (ko) 2018-05-14

Family

ID=62188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671A KR101857576B1 (ko) 2017-11-01 2017-11-01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5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127A (ko) * 2020-10-07 2022-04-14 주식회사 이에스피 도크 블록 정보 및 작업지원 설비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068B1 (ko) * 2013-02-07 2013-09-25 주식회사 이피피인터랙티브 위치데이터를 원격으로 전송하는 독립형 위치인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068B1 (ko) * 2013-02-07 2013-09-25 주식회사 이피피인터랙티브 위치데이터를 원격으로 전송하는 독립형 위치인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127A (ko) * 2020-10-07 2022-04-14 주식회사 이에스피 도크 블록 정보 및 작업지원 설비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75976B (zh) 自主高空电缆检查系统
US20170248272A1 (en) Safety Garment
CN112213979A (zh) 一种场站智能机器人巡检系统及方法
US20190027002A1 (en) Anti-Theft Module for a Rechargeable Battery-Operated Electric Machine Tool, and Rechargeable Battery-Operated Electric Machine Tool Comprising an Anti-Theft Module
KR101196802B1 (ko) 안전모 및 그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CN102554890A (zh) 带电气缓冲件的用蓄电池运行的便携工具和蓄电池更换法
CN108027950B (zh) 基于位置的质量保证系统
JP2018506475A (ja) ドローンの着陸および充電システム
CN114604761B (zh) 实现智能塔吊辅助的操控安全性警示系统及方法
CN114604763B (zh) 用于智能塔吊吊钩导向的电磁定位装置及方法
CN105138002A (zh) 基于激光与双目视觉的无人机避险探测系统及方法
KR20170034087A (ko) 전력설비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센서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101857576B1 (ko) 조선소 모니터링용 위치 인식 장치
CN207268846U (zh) 电力巡检机器人
US11902851B2 (en) Smart cord for corded power tools
KR101450169B1 (ko) 사용 로그가 기록되는 개인전자선량계, 개인전자선량계 사용 로그 기록 전송시스템 및 개인전자선량계 사용 로그 기록 전송방법
CN114604787B (zh) 用于无人驾驶智能塔吊的物料自动特征识别方法和装置
CN114604772B (zh) 用于任务时态模型的智能塔吊集群协同控制方法及系统
KR101857574B1 (ko) 조선소 내 위치 데이터 기반 작업 지시 시스템
CN104392323A (zh) 一种智能化生产作业指导方法及系统
EP3907040B1 (en) Real-time monitoring of usage and wear of tools for mechanical machining for intelligent management thereof
CN114604771B (zh) 用于智能塔吊的物料传输优化路径规划方法和系统
CN114604756B (zh) 用于智能塔吊运行数据的云端信息系统及其方法
CN114604773B (zh) 用于智能塔吊的安全性警示辅助系统及方法
Thomas et al. Electromagnetic energy harvesting for sensing, communication, and actu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