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541B1 - Post-tension Anchorage for Reduced Curvature Loss of Tendon - Google Patents

Post-tension Anchorage for Reduced Curvature Loss of Tend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541B1
KR101857541B1 KR1020170102257A KR20170102257A KR101857541B1 KR 101857541 B1 KR101857541 B1 KR 101857541B1 KR 1020170102257 A KR1020170102257 A KR 1020170102257A KR 20170102257 A KR20170102257 A KR 20170102257A KR 101857541 B1 KR101857541 B1 KR 101857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tension
elliptical
fixing plat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2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학
김민숙
윤치호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2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5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5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t-tension anchorage for reducing a curvature loss of a tendon, which includes: an elliptical anchoring plate formed at the inside thereof with a wedge mounting portion coupling hole and disposed vertically; a wedge mounting portion coupled to the wedge mounting portion coupling hole, and having a conical internal passage having an inner diameter, which is enlarged from one end located at one side of the elliptical anchoring plate toward the other end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elliptical anchoring plate with respect to the wedge mounting portion coupling hole; a hollow cylindrical tendon passag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wedge mounting porti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wedge mounting portion and extending on a same center line as the center line of the conical internal passage of the wedge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tendon is inserted into the hollow cylindrical tendon passage; and an anchoring plate extension part horizontally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elliptical mounting plate. The center line is inclin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wedge mounting portion toward the tendon passage, and the elliptical anchoring plate is horizontally cut such that a lower end of the anchoring plate, to which the anchoring plate extension part is extended, and is aligned with the anchoring plate extension part.

Description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Post-tension Anchorage for Reduced Curvature Loss of Tend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t-tension anchorage for reducing curvature loss of a tension member,

본 발명은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긴장재의 곡률에 따른 손실을 저감하기 위한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t-tension fix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st-tension fixing device for reducing a loss due to a curvature of a tension member.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공법은 건물, 교량 등의 건축 또는 토목 공사에 적용되는 시공방법으로서,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긴장재 즉 텐던(tendon)을 매립하여 인장응력에 취약한 콘크리트를 보강하는 수단이다.Generally, a prestressed concrete method is a construction method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r civil engineering of buildings, bridges, etc., and is a means for reinforcing concrete that is weak in tensile stress by embedding a tensile material in a concrete member.

즉, 구조물 완성 후 외부하중이 작용하기 전에 긴장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에 미리 압축응력을 도입함으로써 외부하중의 작용 후에도 콘크리트의 단면 내에 인장응력이 발생하지 않고 역방향(통상 상부방향)의 처짐을 형성하는 압축응력만이 존재하게 하는 시공방법이다.That is, by introducing compressive stress in advance to the concrete by using a tensile material before the external load is applied after completion of the structure, tensile stress is not generated in the section of the concrete even after the external load is applied, It is a construction method that only stress exists.

통상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철근은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사실상 아무런 기능도 하지 않고 있다가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면 그때서야 균열의 폭을 줄이기 위한 인장 보강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콘크리트의 균열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은 하지 못한다.In a conventiona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e reinforcing bars do not function substantially until cracks occur in the concrete, but when the cracks occur in the concrete, they act as tensile reinforcements to reduce the width of the cracks. It does not function to suppress.

이에 반하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서는 미리 도입된 압축력으로 인장응력을 상쇄하므로 애당초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다만 상쇄된 하중만큼 역방향의 처짐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일시적인 과하중에 의해 발생된 작은 균열은 프리스트레스에 의해 자체적으로 곧 폐합되므로 특별한 조치 없이도 원래의 성능이 회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tressed concrete, cracks do not occur in the concrete at first because the tensile stress is canceled by the compressive force introduced in advance, but the deflection in the reverse direction is reduced as much as the canceled load. In addition, the small cracks caused by transient overloads are soon closed by the prestress itself, so the original performance can be restored without any special measures.

이와 같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공법은 크게 프리텐셔닝(pre-tensioning) 공법과 포스트텐셔닝(post-tensioning) 공법으로 구분된다.The prestressed concrete method is divided into a pre-tensioning method and a post-tensioning method.

프리텐셔닝 공법은 거푸집 내의 소정 위치에 긴장재를 미리 긴장시켜 놓고, 그 주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에 긴장재의 긴장력을 제거함으로써, 긴장력이 제거된 긴장재가 수축하려는 성질에 의해 콘크리트에 사전 압축력(Prestress)을 부여하는 공법이다.The pre-tensioning method is a method of pre-tensioning a concrete material in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form, curing and curing the concrete around the concrete material, and then removing the tensile force of the material. Prestress.

포스트텐셔닝 공법은 거푸집 내에 다수의 플라스틱 관(쉬스, sheath)을 배치시키고, 쉬스의 내측에 긴장재를 삽입한 다음,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타설하여 양생이 완료된 후에 긴장재를 긴장시켜 콘크리트에 사전 압축력을 부여하는 방식이다.In the post-tensioning method, a plurality of plastic pipes (sheath) are placed in a mold, a tensile material is inserted in the interior of the sheath, and a concrete is poured into the mold to tighten the tension material after the curing is completed. .

이러한 포스트텐셔닝 공법에서는 긴장재의 말단을 정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정착판, 웨지콘 및 웨지가 구비된 앵커(정착구)와 포켓포머(Pocket Former) 등이 사용된다. 정착판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부에 정착되고, 웨지콘과 웨지는 테이퍼 결합하여 긴장재에 마찰력을 주어 웨지가 긴장재를 물고 긴장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포켓포머는 앵커 후방부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콘크리트 타설 전에 앵커와 거푸집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포스트텐션 앵커의 일례가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2163호(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다.In such a post-tensioning method, an anchor (fixing member) and a pocket former having a fixing plate, a wedge cone, and a wedge are used as a means for fixing the end of the tension member. The fusing plate is fixed to the end of the concrete structure, and the wedge cone and the wedge are tapered to impart frictional force to the tensions, thereby allowing the wedge to hold the tensions and maintain the tense position. The pocket former is designed to form a certain space in the rear of the anchor,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anchor and the formwork before the concrete is poured. One example of such post tension anchors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6-0132163 (Patent Document 1).

상기 특허문헌1에 기재된 종래기술에 관한 도면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특허문헌1에 기재된 종래기술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The prior ar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which is a drawing related to the prior ar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도 1은 종래기술의 포스트텐션 앵커, 포켓포머 및 거푸집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의 포스트텐션 앵커, 포켓포머 및 거푸집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post tension anchor, a pocket former and a formwork of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engagement of a post tension anchor, a pocket former and a formwork of the prior art.

종래기술의 포스트텐션 앵커(1)는, 긴장재(2)가 통과되는 관통공(112)과 웨지(3)가 상단에서 삽입되는 웨지수용부(113) 및 앵커플레이트(114)를 포함하는 앵커본체(11)와, 상기 앵커본체(11)의 외주면을 감싸는 인캡슐부(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캡슐부(12)는 몸체부(111) 상단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결합부(12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2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22)이 형성된다.The post tension anchor 1 of the prior art has an anchor main body 1 including a through hole 112 through which the tension member 2 is passed and a wedge receiving portion 113 into which the wedge 3 is inserted from the upper end and an anchor plate 114, (11) and an encapsulating portion (12)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nchor main body (11). The capsule portion 12 is integrally formed with an engaging portion 121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111 and an arm thread 122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121.

또한, 상기 인캡슐부(12)의 결합부(121)에 형성된 암나사산(122)에 나사 결합되는 제1나사산(511)이 일단 외주면에 형성되고 중앙에 긴장재(2)가 통과되는 관통공(513)이 형성된 포켓포머(5)가 인캡슐부(12)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A first thread 511 screwed to the female thread 122 formed on the engaging portion 121 of the capsule portion 1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one end and a through hole 513 may be detachably screwed to the capsule portion 12. The pocket formers 5,

상기 포켓포머(5)는 콘크리트 양생 후 제거되어 앵커 단부에 소정의 포켓부(61)를 형성하는데, 인캡슐부(12)에 나사 결합된 포켓포머(5)를 회전시켜 나사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인캡슐부(12)에서 포켓포머(5)를 분리하게 된다.The pocket former 5 is removed after concrete curing to form a predetermined pocket portion 61 at the end of the anchor. By rotating the pocket former 5 screwed to the capsule portion 12 to release the threaded connection, And the pocket former 5 is detached from the capsule portion 12.

상기 포켓포머(5)는 고정부(51)와 형태부(52)로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형태부(52) 내측에 위치하여 콘크리트와 접촉되지 않는 고정부(51)를 콘크리트 경화 후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부(51)가 인캡슐부(12)로부터 분리되고, 이로써 포켓포머(5) 전체가 앵커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The pocket former 5 is configured to be separable from the fixed portion 51 and the shape portion 52. The fixed portion 51 which is located inside the shape portion 52 and is not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is rotated after the concrete is hardened The fixing portion 51 is separated from the encapsulating portion 12, whereby the entire pocket former 5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anchor.

도 3의 (a) 내지 (d)는 종래기술의 포스트텐션 앵커를 이용하여 포켓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3 (a) to 3 (d)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process of forming a pocket portion using a post tension anchor of the prior art.

포스트텐션 앵커(1), 포켓포머(5) 및 거푸집(4)이 설치완료되고, 콘크리트(6)가 타설되어 경화된 후에, 포켓포머(5)의 고정부(51)에 형성된 제2나사산(512)으로 부터 너트(53)를 풀어 거푸집(4)을 제거한다(도 3의 (b) 참조).After the post tension anchor 1, the pocket former 5 and the mold 4 have been installed and the concrete 6 has been laid and cured, the second threaded portion (not shown) formed in the fixed portion 51 of the pocket former 5 The mold 4 is removed by loosening the nut 53 from the molds 512 (see Fig. 3 (b)).

이어서 도 3의 (c)에서와 같이 포켓포머(5)의 고정부(51)를 회전시켜 고정부(51)를 인캡슐부(12)의 결합부(121)로부터 분리하며, 고정부(51)를 후방으로 잡아당겨 고정부(51)와 형태부(52)를 같이 제거한다. 즉, 고정부(51) 제거시 고정부(51)의 확관부(514)가 형태부(52)의 걸림부(522)에 걸리게 되므로, 고정부(51)와 형태부(52)가 함께 제거되는 것이다. 포켓포머(5)의 제거에 따라 앵커 단부에 소정의 공간인 포켓부(61)가 형성된다.3 (c), the fixing portion 51 of the pocket former 5 is rotated to separate the fixing portion 51 from the engaging portion 121 of the encapsulating portion 12, and the fixing portion 51 Is pulled backward to remove the fixing portion 51 and the shape portion 52 together. That is, when the fixing portion 51 is removed, the expanded portion 514 of the fixing portion 51 is caught by the engaging portion 522 of the shape portion 52, so that the fixing portion 51 and the shape portion 52 are removed together . As the pocket former 5 is removed, a pocket portion 61, which is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anchor.

이후, 긴장 장치를 이용하여 긴장재(2)를 긴장하고 앵커본체(11)의 웨지수용부(113)에 웨지(3)를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부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다.Thereafter, the tension member 2 is tensed using a tension device, and the wedge 3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wedge receiving portion 113 of the anchor main body 11 to introduce a prestress into the member.

상기 긴장재(2)의 긴장 후에는 도 3의 (d)에서와 같이 긴장재(2)의 후단을 절단하여 긴장재(2)의 후단을 포켓부(61) 내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인캡슐부(12)의 결합부(121)에는 외주면 일부에 나사산(71)이 형성된 엔드캡(7, End Cap)을 나사 결합한다. 상기 엔드캡(7)은 긴장재(2)의 단부를 절단한 후 앵커 후방을 밀폐함으로써 앵커 내로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여 긴장재의 부식을 방지한다. 나머지 포켓부(61) 공간은 통상적으로 무수축몰탈 충진 방식으로 그라우팅 처리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부와 일체화된 균일한 면을 이루도록 마무리한다.3 (d), the rear end of the tensile material 2 is cut to place the rear end of the tensile material 2 inside the pocket portion 61, and the encapsulation portion 12 An end cap 7 having a thread 71 formed on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screwed. The end cap 7 cuts the end of the tension member 2 and seals the rear of the anchor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anchor, thereby preventing corrosion of the tension member. The remaining space of the pocket portion 61 is usually subjected to grouting by a non-shrinkage mortar filling method to finish a uniform surface integrated with the end of the concrete structure.

포스트텐션 앵커에 의한 긴장재의 긴장부여시에 긴장재에는 균등한 인장력이 주어져야 하고, 이에 따라 통상적으로 앵커의 정착판은 긴장재의 배치 방향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착 단면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구성은 종래기술에 관한 도면인 도 2 및 도 3에도 도시되어 있다.When tensioning the tension member by the post tension anchor, the tension member should be given a uniform tensile force. Accordingly, the fixing plate of the anchor is usually installed such that the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tension member and the fixing sec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It is also shown in Figs. 2 and 3 which are drawings related to the prior art.

그런데, 긴장재의 자중 등의 이유로 유의미한 수준의 초기 긴장재 처짐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긴장재를 앵커의 정착판이 긴장재의 배치 방향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착 단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종래기술의 포스트텐션 앵커와 조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긴장재가 불필요하게 휘어지는 구간이 하나 이상 발생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러한 긴장재의 휘어짐은 긴장재의 곡률손실을 유발하여 긴장재 전체에 걸쳐 인장력이 균등하게 분포하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However, a significant amount of initial tensioning material deflection may occur due to the weight of the tensioning material, and such tensioning material may be combined with a post tension anchor of the prior art, which is installed so that the anchor fixing plate is orthogonal to the placement direction of the tensioning material and the fixing cross- , One or more sections where the tension member is bent unnecessarily (refer to FIG. 4). Such bending of the tensions may cause a loss of curvature of the tensions, which may cause the tensile forces not to be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tensions.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2163호(2016.11.17.공개) “포스트텐션 앵커”Publication No. 10-2016-0132163 (published on November 17, 2016) " Post tension anchor "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긴장재의 처짐에도 불구하고 긴장재에 불필요한 휘어짐이 유발되지 않도록 하여 곡률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포스트텐션 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st tension fix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a curvature loss by preventing an unnecessary warp in a tension member despite deflection of a tension memb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긴장재의 처짐에 따른 긴장재 긴장력의 수직분력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포스트텐션 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st tension fix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concrete structure from being damaged by a vertical component of a tensile force due to a deflection of a tension memb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는, 내측에 쐐기 안착부 결합공을 구비하고 수직으로 배치된 타원형 정착판; 상기 쐐기 안착부 결합공에 결합되고, 상기 쐐기 안착부 결합공에 대하여 상기 타원형 정착판의 일측에 위치한 일단부에서 상기 타원형 정착판의 타측에 위치한 타단부를 향하여 내경이 확장되는 원추대형 내부 통로를 구비한 쐐기 안착부; 상기 쐐기 안착부의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쐐기 안착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쐐기 안착부의 상기 원추대형 내부 통로의 중심선과 동일한 중심선상에서 연장되며, 긴장재가 삽입되어 통과되는 중공 원통형의 긴장재 통로; 및 상기 타원형 정착판의 상기 타측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정착판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선은 상기 쐐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긴장재 통로를 향하여 소정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타원형 정착판은 상기 정착판 연장부가 연장되는 하단이 상기 정착판 연장부와 일치하도록 수평으로 절단된 형상으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st tension fixing device for reducing a tangential curvature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n elliptical fixing plate vertically disposed with a wedge seating portion coupling hole on an inner side thereof; And a conical large-sized inner passage coupled to the wedge seating portion coupling hole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expanded from one end of the elliptical fixing plate located at one side of the elliptical fixing plate toward the other end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elliptical fixing plate, A wedge seating part; A hollow cylindrical prestressing passage extending from the one end of the wedge seating porti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wedge seating portion and extending over a centerline coinciding with a centerline of the cone large internal passage of the wedge seating portion and inserted therethrough; And a fuselage plate extension part horizontally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elliptical fusing plate, wherein the center line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wedge seat part toward the strainer passage, The fixing plate is formed in a shape cut horizontally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extension portion is aligned with the fixing plate extension portion.

일실시예에서, 상기 쐐기 안착부의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쐐기 안착부의 상기 타단부보다 작게 형성된 포켓포머 결합외경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edge receiv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ocket former coupl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wedge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ther end of the wedge receiving portion.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쐐기 안착부의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며 내경이 상기 쐐기 안착부의 상기 타단부보다 크게 형성된 포켓포머 결합내경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wedge receiv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ocket former coupl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wedge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ther end of the wedge receiving portion.

한편, 상기 쐐기 안착부의 상기 일단부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쐐기 안착부에서 상기 긴장재 통로를 향하여 외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edge receiv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upporting part formed outside the one end of the wedge receiving part, the auxiliary supporting part being formed such that an outer diameter thereof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wedge receiving part toward the channel.

더욱이, 상기 긴장재 통로의 말단부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긴장재의 단부 외측 둘레에 끼워지고,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며, 일측 내부에 상기 긴장재의 피복과 밀착하여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차수막이 형성되고 타측 내부에 상기 긴장재 통로의 숫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슬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a male anchor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trenched passage, is fitt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tender,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and is formed in one sid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ing of the tough material, And a sleeve having an internally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leeve, the sleeve being able to be coupled to the male thread of the tension member passage.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에 의하면, 긴장재 도입시 유의미한 초기 처짐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긴장재에 유발되는 곡률손실 및 그에 따라 유발되는 긴장재의 불균일한 인장력 분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ost tension fixing device for reducing the torsional curvature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significant initial deflection occurs during the introduction of the torsion material, the curvature loss caused by the torsion material and the uneven tensile force distribution of the torsion material caused thereby can be minimized It has excellent effect.

또한, 긴장재의 처짐에 의해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에 작용될 수 있는 긴장력의 수직분력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amage of the concrete structure due to the vertical component of the tensile force that can be applied to the post tension fixing device due to the deflection of the tension member can be prevented.

도 1은 종래기술의 포스트텐션 앵커, 포켓포머 및 거푸집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포스트텐션 앵커, 포켓포머 및 거푸집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의 포스트텐션 앵커를 이용하여 포켓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의 포스트텐션 앵커를 이용한 긴장재 시공의 일례로서 긴장재에 휘어짐이 발생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의 일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의 변형예로서, 정면도, 측면도 및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9는 긴장재의 곡률손실 계산을 위한 긴장재의 각도 변화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기술의 포스트텐션 정착장치를 사용하여 긴장재롤 도입할 때의 긴장재 각도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를 사용하여 긴장재를 도입할 때의 긴장재 각도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를 사용한 긴장재 시공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post tension anchor, a pocket former and a formwork of the prior art.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engagement of a post tension anchor, a pocket former, and a die in the prior art.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forming a pocket portion using a post tension anchor of the prior art.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arpage occurs in a tension member as an example of a tension member using the post tension anchor of the related art.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post tension fixing device for reducing a torsional curvature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a post tension fixing device for reducing a torsional curvature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 side sectional view of a post tension fixing device for reducing a torsional curvature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ost tension fixing device for reducing the torsional curvature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illustration of an example of angular variation of a tie for calculation of curvature loss of a tie.
10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angle of a tension member when a tension member roll is introduced using a conventional post tension fixing device.
11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angle of a tension member when a tension member is introduced using a post tension fixing device for reducing a torsional curvature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pplication of the tension member using the post tension fixing device for reducing the torsional curvature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ost tension fixing device for reducing a torsional curvature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측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post tension fixing device for reducing a torsional curvature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ide view.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는 타원형 정착판(600), 쐐기 안착부(700), 긴장재 통로(800) 및 정착판 연장부(6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ost-tension fixing device for reducing the tangential curvature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liptical fixing plate 600, a wedge seating portion 700, a tension member passage 800, and a fixing plate extension portion 690.

타원형 정착판(600)은 긴장재의 긴장력에 따른 압력을 콘크리트 구조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외곽 테두리가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내측에는 쐐기 안착부 결합공(610)을 구비한다. 상기 타원형 정착판(600)은 기하학적 의미에서 엄밀한 타원형을 형성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정착판 연장부(690) 부분을 제외하고는 외곽 테두리를 따라서 전체적으로 직선 구간이 없고 일방향으로 길쭉하게 형성된 대략 타원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The elliptical fixing plate 600 is provided so as to disperse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tensile force of the tension member into the concrete structure. The outer edge of the elliptical fixing plate 600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elliptical shape and the wedge seating part coupling hole 610 is formed in the inner side. The elliptical fixing plate 600 does not have to be rigidly elliptical in geometric sense but may have a generally elliptical shape with a straight line section along the outer rim except for the fixing plate extension portion 690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에서 상기 정착판을 타원형으로 형성한 이유 중 하나는, 종래기술(특허문헌1 참조)의 대략 직사각형 정착판의 경우 모서리 부분이 응력이 집중되는 특이점으로 작용하여 모서리 부근의 콘크리트에 크랙이 종종 발생함으로써 수분 침투를 허용하고 철근 부식을 초래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이다.One of the reasons why the fusing plate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in the post-tens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the case of a roughly rectangular fixing plate of the prior art (see Patent Document 1), the corner portion acts as a singular point where stress is concentrated, This is to compensate for the fact that cracks often occur in the concrete of the concrete, thereby allowing moisture penetration and causing corrosion of the reinforcing steel.

또한, 다수의 정착구, 즉 정착장치를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는 경우,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타원형 정착판(600)이 상하로 기다란 형상이 되도록 하여 다수의 정착구를 배치하게 되면, 동일한 지지면적을 가지는 원형 정착판을 구비한 정착구와 비교할 때 정착구의 배치간격을 더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정착구의 배치간격을 더 좁게 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하여 더 많은 개수의 정착구를 설치할 수 있게 되고, 이는 곧 포스트텐션 정착구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a case where a plurality of fixing ports, that is, fixing device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when the plurality of fixing holes are arranged in a vertically long shape so that the elliptical fixing plate 600 has the same supporting area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fixing holes as compared with the fixing holes having circular circular fixing plates. The spacing of the fixing holes can be made narrower, so that a larger number of fixing holes can be provided for the same concrete structure, which means that the effect of the prestress by the post tension fixing holes can be maximized.

쐐기 안착부(700)는 상기 타원형 정착판(600)의 상기 쐐기 안착부 결합공(610)에 결합되되, 상기 쐐기 안착부 결합공(610)에 대하여 상기 타원형 정착판(600)의 일측에 위치한 일단부(720)에서 상기 타원형 정착판(600)의 타측에 위치한 타단부(730)를 향하여 내경이 확장되는 원추대형 내부 통로(710)를 구비한다.The wedge seating portion 700 is coupled to the wedge seating portion coupling hole 610 of the elliptical fixing plate 600 and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lliptical fixing plate 600 with respect to the wedge seating portion coupling hole 610 And a conical large internal passage 710 having an inner diameter expanded from the one end 720 toward the other end 730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liptical fixing plate 600.

쐐기 안착부(700)의 상기 원추대형 내부 통로(710)는 내측에 긴장재(T)가 통과될 수 있는 대략 원통형의 긴장재통과홀을 구비한 쐐기(도시되지 않음)가 테이퍼 결합하여 안착되는 곳으로, 긴장재통과홀에 긴장재를 물고 있는 쐐기가 상기 쐐기 안착부(700)에 테이퍼 결합됨으로써 긴장재에 마찰력을 주어 긴장재의 긴장 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ne-shaped internal passageway 710 of the wedge seating portion 700 has a wedge (not shown) having an approximately cylindrical prong passage hole through which a tension member T can pass, A wedge holding the tension member in the through hole is tapered to the wedge receiving portion 700 so that a fric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so that the tension position of the tension member can be maintained.

긴장재 통로(800)는 중공(中空)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쐐기 안착부(700)의 상기 일단부(720)로부터 상기 쐐기 안착부(7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긴장재 통로(800)는, 상기 긴장재 통로(800)의 중심선(860)이 상기 쐐기 안착부(700)의 상기 원추대형 내부 통로(710)의 중심선(760)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장재 통로(800)의 말단에서 내측으로 긴장재(T)가 삽입되어 통과되며, 상기 긴장재(T)는 다시 상기 쐐기 안착부(700)의 상기 원추대형 내부 통로(710)로 통과된다. 상기 긴장재 통로(800)를 지나 쐐기 안착부(700)의 상기 원추대형 내부 통로(710)로 통과된 긴장재(T)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쐐기 안착부(700)에 안착된 쐐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긴장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The tongue passage 800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extends from the one end portion 720 of the wedge seating portion 70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wedge seating portion 700. Preferably, the tautomeric channel 800 is formed such that the centerline 860 of the tongue channel 800 is aligned with the centerline 760 of the conical large internal channel 710 of the wedge seating portion 700. The tension member T is inserted and passed from the distal end of the tongue passage 800 to the inside of the tongue passage 800 and the tongue T is again passed through the cone large internal passage 710 of the wedge seating portion 700. The tension member T passed through the tongue passage 800 and passed through the conical large internal passage 710 of the wedge seating portion 700 is inserted into the wedge seating portion 700 through a wedge The tension position can be maintained.

이때 상기 중심선, 즉 상기 긴장재 통로(800)의 중심선(860)이자 상기 원추대형 내부 통로(710)의 중심선(760)인 공통 중심선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쐐기 안착부(700)로부터 상기 긴장재 통로(800)를 향하여 소정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 각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장치가 시공될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를 고려하여 산정된 각도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The center line, that is, the center line 860 of the trenched material channel 800 and the common center line 760 of the cone-shaped inner channel 710 are connected to the tangent passage 700 through the wedge- 800)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inclination angle can be selected in the range of angles calculated considering the design of the concrete structure in which the post tens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nstalled.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쐐기 안착부(700)는 상기 쐐기 안착부(700)의 상기 타단부(730)로부터 연장되며 내경이 상기 쐐기 안착부(700)의 상기 타단부(730)보다 크게 형성된 포켓포머 결합내경부(7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포켓포머 결합내경부(740)에는 다양한 결합구조, 예를 들어 포켓포머에 형성된 숫나사산과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산(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거푸집 설치 및 콘크리트 타설 이전에 포켓포머(도시되지 않음)가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포켓포머 결합방식의 일례가 앞서 배경기술 항목에서 언급한 특허문헌1에 제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특허문헌1의 기재는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본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wedge seating portion 700 extends from the other end portion 730 of the wedge seating portion 700 and has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ther end portion 730 of the wedge seating portion 700 And may further include a pocket former engagement inner diameter portion 740. The pocket former combined inner diameter portion 740 can be formed with various coupling structures, for example, female threads (not shown) that can be combined with a male thread formed on the pocket former, whereby the pocket former (Not shown)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post tens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xample of such a pocket former coupling method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mentioned in the Background Art section, and accordingly, the description of Patent Document 1 is considered to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장치는 정착장치가 긴장재의 긴장력에 따른 압력을 콘크리트 구조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재로서 상기 타원형 정착판(600) 외에 보조지지부(770), 즉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부(770)는 상기 쐐기 안착부(700)의 상기 일단부(720)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쐐기 안착부(700)에서 상기 긴장재 통로(800)를 향하여 외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조지지부(770)는 1차적으로 상기 타원형 정착판(600)에 의해 지지되는 긴장재의 긴장력에 따른 압력을 추가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 분산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의 구조건전성에 기여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ost-tens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mber that allows the fixing device to disperse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tension of the tension material into the concrete structure, and besides the elliptical fixing plate 600,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770 Ribs. ≪ / RTI >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770 is formed outside the one end portion 720 of the wedge seating portion 700 and is form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tongue passage 800 from the wedge seating portion 700.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770 primarily serves to disperse the pressure of the tension member supported by the elliptical fixing plate 600 into the concrete structur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post tens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상기 타원형 정착판(600)은 수직인 상태로 콘크리트에 매설되므로 긴장재 긴장력의 수평 분력을 지지하고, 상기 보조지지부(770)는 수평도 수직도 아닌 비스듬한 상태로 콘크리트에 매설되므로 긴장력의 수평 분력과 수직 분력 모두를 지지할 수 있다.Since the elliptical fixing plate 600 is embedded in the concrete in a vertical state, it supports the horizontal component of the tensile force, and the auxiliary support 770 is embedded in the concrete in an oblique state with neither horizontal nor vertical. Therefore, It can support both of the components.

이하 긴장재(T) 긴장력의 지지에 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upport of the tensile force (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장치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시공된 경우의 일례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정착장치의 원추대형 내부 통로(710), 긴장재 통로(800) 등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긴장재(T)의 초기 처짐량을 감안하여 그 중심축이 소정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장재(T)는 수평이 아닌 소정 각도로 본 발명의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에 결합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수평이 아닌 소정 각도로 정착장치에 결합되어 긴장된 긴장재(T)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정착장치에 인가되는 긴장력은 수직 분력과 수평 분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An example of when the post-tens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oncrete structure is shown in Fig. 12, wherein the conical large internal passage 710, the tangential passage 800, etc. of th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described above In consideration of the initial amount of deflection of the tensile member T, the center axis thereof is inclin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ly, the tension member T is coupled to the post tension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not horizontal,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tension applied to th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tension member T coupled to the fixing device at a predetermined angle other than horizontal can be divided into a vertical component and a horizontal component.

수평 분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의 타원형 정착판(600)과 보조지지부(77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horizontal component force can be supported by the elliptical fixing plate 600 and the auxiliary support 770 of the post-tens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수직 분력은 상기 보조지지부(770)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나, 수직 분력의 충분한 지지를 위한 추가 구성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의 일측에는 상기 수직 분력을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 부가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타원형 정착판(600)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정착판 연장부(69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수직 분력이 충분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 vertical force can be partially supported by the auxiliary support 770, but additional configuration may be needed for sufficient support of the vertical force. Accordingly, the post-tens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vertical component force, an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xing plat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elliptical fixing plate 600 And the vertical force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by providing the portion 690.

상기 정착판 연장부(690)가 상기 타원형 정착판(600)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므로, 상기 타원형 정착판(600)은 상기 정착판 연장부(690)가 연장되는 상기 하단이 상기 정착판 연장부(690)와 일치하도록 수평으로 절단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타원형 정착판(600)에서 상기 정착판 연장부(690)가 형성된 부분은 직선으로 형성되고, 다른 부분은 모두 타원 또는 타원 유사 폐곡선의 일부를 이루는 곡선으로 형성된다.The fixing plate extension portion 690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elliptical fixing plate 600 so that the elliptical fixing plate 600 is positioned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extension portion 690, And is formed in a shape cut horizontally so as to coincide with the portion 690. That is, the portion of the elliptical fixing plate 600 where the fixing plate extension portion 690 is formed is formed as a straight line, and the other portions are all formed as curved lines forming part of an elliptical or elliptic curved line.

상기 정착판 연장부(690)는 상기 타원형 정착판(600)의 상기 타측에, 즉 상기 긴장재 통로(800)와 반대쪽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The fusing plate extension 690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liptical fusing plate 600, that is, opposite to the torsion channel 800. This is to facilitate the manufacture of the post tens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A modification of the post tension fixing device for reducing the torsional curvature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의 변형예로서, 정면도, 측면도 및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다만, 도 7에서는 정면도, 측면도 및 측단면도를 상호 연계해서 도시하기 위하여 정면도를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상태로 도시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7 is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 side sectional view of a post tension fixing device for reducing a torsional curvature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FIG. 7 shows the front view rotated counterclockwise by 90 degrees in order to show the front view, the side view, and the side sectional view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도 7에 도시된 변형실시예는 앞서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점에서 상이하다. 우선, 본 변형예는 보조지지부(770)를 구비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변형예의 쐐기 안착부(700)의 외경부는 상기 원추대형 내부 통로(710)와 유사하게 대략 원추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변형예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장치는 앞서의 실시예에 비하여 정착장치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modified embodiment shown in Fig. 7 is similar to the previous embodiment, but differs in several respects. First, the present modification does not include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770. [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wedge seating portion 700 of this modification is formed into a substantially truncated cone shape similar to the cone-shaped internal passage 710. The post-tens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is modified example thus formed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material required for manufacturing the fixing device can be saved 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embodiment.

또한, 도 7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앞서의 실시예와 달리, 상기 쐐기 안착부(700)의 상기 타단부(730)로부터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쐐기 안착부(700)의 상기 타단부(730)보다 작게 형성된 포켓포머 결합외경부(7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포켓포머 결합외경부(750)는 예를 들어 외경부에 숫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암나사산이 형성된 포켓포머(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7, the wedge receiving portion 700 may extend from the other end portion 730 of the wedge receiving portion 700 and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other end portion 730 of the wedge receiving portion 700 And a pocket-shaped mating outer diameter portion 750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portion. The pocket former combined outer diameter portion 750 may be formed by forming a male screw thread on the outer diameter portion, for example, so that a pocket former (not shown) formed with a female screw thread can be engag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8 shows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ost tension fixing device for reducing the torsional curvature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장치는, 콘크리트 내부에 침투된 수분이 긴장재(T)를 형성하는 강연선에 침투하여 강연선을 부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리브(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900)는 긴장재(T)의 단부 외측 둘레에 끼워지고, 연질의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900)의 일측(910) 내부에는 긴장재(T)의 피복과 밀착하여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차수막(913)이 형성되고 타측(920) 내부에는 상기 긴장재 통로(800)의 말단부에 형성된 숫나사산(830)에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산(923)이 형성될 수 있다. The post tens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leeve 900 to prevent the water penetrated into the concrete from permeating the strand forming the tensile material T to corrode the strand. The sleeve 900 is fitt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tension member T and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A wastewater film 913 is formed in one side 910 of the sleeve 90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ing of the tension member T to prevent water infiltration and is provided inside the other side 920 at the distal end of the tension member passage 800 A female thread 923 can be formed which can be coupled to the male threaded tooth 830 formed.

상기 슬리브(900)의 차수막(9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900)의 내주둘레를 따라 돌출된 고리형 돌출부가 상기 슬리브(9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단면에서 볼 때 톱니모양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annular protrusions protrud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leeve 900 are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900, Shape. ≪ / RTI >

상기 차수막(913)이 긴장재(T)의 피복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900)는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차수막(913)을 이루는 상기 고리형 돌출부는 긴장재(T)의 피복의 외경보다 미세하게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annular projection 913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so that the annular projection 913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ing of the tension member T. The annular protrusion 913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Is formed so as to have a finer inn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heath of the cover.

한편, 상기 암나사산(923)은 상기 숫나사산(830)과 수밀결합되어 그 자체로 차수막을 형성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emale thread 923 is watertightly coupled with the male screw thread 830 to form a wrist strap itself.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장치는 전체적으로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장치는 주조 등의 방법으로 1차 제조된 후에, 원추대형 내부 통로(710)나 긴장재 통로(800)의 내주부 등 정밀가공이 필요한 부위의 경우에는 별도의 기계가공을 거쳐서 만들어질 수 있다.The post tens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grally manufactured as a whole. For example, in the post-tens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primary manufacturing process is performed by casting or the like, in the case of a portion requiring precision machining, such as the conical large internal passage 710 or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tangential passage 800, It can be made through machin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장치는 부식방지를 위해 코팅피막을 입힐 수 있고, 또는 정착장치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의 일례는 배경기술 항목에서 언급한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ost-tens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with a coating film for preventing corrosion or a housing (not shown) formed to surround the entire fixing device. An example of such a housing i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mentioned in the Background Art sec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에 의한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duction of the curvature curvature loss by the post-tens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9는 긴장재의 곡률손실 계산을 위한 긴장재의 각도 변화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종래기술의 포스트텐션 정착장치를 사용하여 긴장재롤 도입할 때의 긴장재 각도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를 사용하여 긴장재를 도입할 때의 긴장재 각도변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를 사용한 긴장재 시공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ngle change of a tension member for calculation of a curvature loss of a tension member, FIG. 10 is a view showing an angle change of a tension member when a tension member roll is introduced using a conventional post tension fixing device, FIG. 11 is a view showing an angle change of a tension member when a tension member is introduced by using a post tension fixing device for reducing a torsional curvature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post tension fixing device for reducing a tension member curvature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struction of a tightening material using

통상적으로 구조물 설계에 있어서 프리스트레스 손실량은 엄밀한 계산에 의하기보다는 참고자료 등에 의하여 추산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일례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은 도로교 설계기준에 따른 대략의 프리스트레스 손실 값을 나타낸다.Typically, the amount of prestress loss in the design of structures is often estimated by reference materials rather than rigorous calculations. An example thereof is shown in Table 1 below. Table 1 shows the approximate prestress loss values according to the design standards for the highway bridges.

긴장재의 형태Form of tension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따른 손실량(MPa)Loss due to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MPa)

Figure 112017077659220-pat00001
Figure 112017077659220-pat00001
Figure 112017077659220-pat00002
Figure 112017077659220-pat00002
프리텐션 긴장재 Pretension tension -- 315315 포스트텐션 강선과 강연선 Post tension wire and strand 225225 230230 포스트텐션 강봉 Post tension bar 155155 160160

포스트텐션 방식에서는 PS 강재와 쉬스 사이의 마찰로 인해 PS 강재의 인장력은 긴장재 끝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한다. 이러한 감소를 마찰에 의한 손실이라고 한다. 마찰은 잭 내부에서도 일어나고 정착장치 내부에서도 일어나지만, 이러한 마찰로 인한 손실량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 그러나 쉬스와 PS 강재 사이의 마찰로 인한 손실량은 매우 크므로 적절한 보완 조치가 필요하게 된다.In the post-tensioning metho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PS steel de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PS steel and the sheath increases. This reduction is called loss due to friction. The friction occurs inside the jack and also inside the fixing device, but the loss due to such friction is negligibly small. However, the amount of loss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sheath and the PS steel is very large, so proper remedial measures are required.

PS 강재와 쉬스 사이의 마찰로 인한 인장력의 손실은 두 가지 원인에 의하여 일어난다. 즉,PS Loss of tensile force due to friction between steel and sheath is caused by two causes. In other words,

1) 긴장재의 각도 변화(Curvature Effect)에 의한 손실 = 곡률마찰(Curvature Friction)1) Loss by Curvature Effect of Tension Material = Curvature Friction

2) PS 강재의 길이의 영향(Length Effect)에 의한 손실 = 파상마찰(Wobble Friction)2) Loss due to the length effect of PS steel (Wobble Friction)

이러한 마찰에 의한 인장력 손실(

Figure 112017077659220-pat00003
)을 2016년 도로교설계기준에 따라 나타낸 것이 아래 수학식 1이다(도 9 참조).Such tensile loss due to friction (
Figure 112017077659220-pat00003
) Is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 standard of the bridge in 2016 as follows (see FIG. 9).

Figure 112017077659220-pat00004
Figure 112017077659220-pat00004

여기서, here,

Figure 112017077659220-pat00005
: 인장단으로부터 거리
Figure 112017077659220-pat00006
인 곳에서의 긴장재의 인장력
Figure 112017077659220-pat00005
: Distance from tensile end
Figure 112017077659220-pat00006
Tensile strength of tensile material in

Figure 112017077659220-pat00007
: 인장단(잭의 위치)에서의 긴장재의 인장력
Figure 112017077659220-pat00007
: Tensile strength of tensile material at tensile end (position of jack)

Figure 112017077659220-pat00008
: 각변화 1 radian에 대한 곡률 마찰계수(Curvature Coefficient)
Figure 112017077659220-pat00008
: Curvature Coefficient for each change 1 radian (Curvature Coefficient)

Figure 112017077659220-pat00009
: 각변화(radian)
Figure 112017077659220-pat00009
: Angular variation (radian)

Figure 112017077659220-pat00010
: 긴장재의 길이 1 m에 대한 파상 마찰계수(Wobble Coefficient)
Figure 112017077659220-pat00010
: Wobble Coefficient for 1 m length of tension

Figure 112017077659220-pat00011
: 인장단으로부터 생각하는 단면까지의 긴장재의 길이
Figure 112017077659220-pat00011
: Length of the tension from the tensile end to the section considered

상기 수식에 근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의 긴장재 도입의 경우와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의 긴장재 도입의 경우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A comparison of the case of introducing the tension member of the post tens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the case of introducing the tension member of the post tens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above equations.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초기 도입 각도를 종래기술(도 10)처럼 수평으로 하는 것에서 본 발명(도 11)과 같이 곡선에 평행하게 (또는 곡선에 접하도록) 도입하는 것으로 변경함으로써 포스트텐션 긴장재 양단에서 각도 변화를 한 차례씩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써 마찰에 의한 인장력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 수학식 2 내지 4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변수값은 윗첨자 *로 구별하였다.10 and 11, by changing the initial introduction angle to be parallel to (or contact with) a curv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from horizontal as in the prior art (Fig. 1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ngle change at each end of the tension member by one time, thereby reducing the loss of tensile force due to friction. This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s (2) to (4). Variable valu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tinguished by superscript *.

Figure 112017077659220-pat00012
Figure 112017077659220-pat00012

Figure 112017077659220-pat00013
Figure 112017077659220-pat00013

Figure 112017077659220-pat00014
Figure 112017077659220-pat00014

포스트텐션 방식에서는 상기 언급한 마찰로 인해 PS 강재의 인장력이 긴장재 단부에서 최대가 되는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에 의하여 긴장재의 손실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Considering that the tensile force of the PS steel is maximized at the ends of the tensile member due to the above-mentioned friction in the post tension system, the loss of the tensile member can be effectively reduced by the post tension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장치가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례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의 시공방법은 종래기술에 따른 정착장치의 시공방법과 대동소이하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다.An example of a concrete structure in which the post-tens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s shown in FIG.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post tens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can be applied, for example, in a manner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본 발명은 건물에 도입되는 긴장재의 긴장력을 최적화하는 것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평으로 도입되는 강연선을 고려하지 않는 설계기준을 충족하기에 용이하고, 손실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긴장력을 도입하는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로 시공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to optimize the tensional force of the tensions introduced into the building, and it is easy to satisfy the design standard that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trand introduced horizontally through the tires, and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additional tensions in consideration of the loss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ability with a technique that can be minimized.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하기의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claims.

600 : 타원형 정착판 610 : 쐐기 안착부 결합공
690 : 정착판 연장부 700 : 쐐기 안착부
710 : 원추대형 내부 통로 720 : 쐐기 안착부 일단부
730 : 쐐기 안착부 타단부 740 : 포켓포머 결합내경부
750 : 포켓포머 결합외경부 760 : 쐐기 안착부 중심선
770 : 보조지지부 800 : 긴장재 통로
830 : 숫나사산 860 : 긴장재 통로 중심선
900 : 슬리브 913 : 차수막
923 : 암나사산 T : 긴장재
600: elliptical fixing plate 610: wedge seating part bonding hole
690: Fixing plate extension part 700: Wedge seat part
710: cone large inner passage 720: one end of the wedge seating part
730: wedge seating part, other end part 740: pocket former coupling inner neck part
750: Pocket former combination outer diameter 760: Wedge seat center line
770: Auxiliary support 800: Tension passage
830: male screw mount 860: taut passage center line
900: Sleeve 913:
923: Female thread T: Tension material

Claims (5)

긴장재를 이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포스트텐션 정착장치로서,
내측에 쐐기 안착부 결합공을 구비하고 수직으로 배치된 타원형 정착판;
상기 쐐기 안착부 결합공에 결합되고, 상기 쐐기 안착부 결합공에 대하여 상기 타원형 정착판의 일측에 위치한 일단부에서 상기 타원형 정착판의 타측에 위치한 타단부를 향하여 내경이 확장되는 원추대형 내부 통로를 구비한 쐐기 안착부;
상기 쐐기 안착부의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쐐기 안착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쐐기 안착부의 상기 원추대형 내부 통로의 중심선과 동일한 중심선상에서 연장되며, 긴장재가 삽입되어 통과되는 중공 원통형의 긴장재 통로;
상기 타원형 정착판의 상기 타측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정착판 연장부; 및
상기 쐐기 안착부의 상기 일단부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쐐기 안착부에서 상기 긴장재 통로를 향하여 외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 보조지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심선은 수평에서 벗어나 상기 쐐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긴장재 통로를 향하여 소정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타원형 정착판은 상기 정착판 연장부가 연장되는 하단이 상기 정착판 연장부와 일치하도록 수평으로 절단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수평이 아닌 상기 소정 각도로 결합된 긴장재에 의해 정착장치에 가해지는 긴장력의 수평 분력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수직인 상태로 매설된 상기 타원형 정착판과, 상기 소정 각도만큼 하향 경사진 상기 중심선에 따라 비스듬한 상태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된 상기 보조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긴장재에 의해 정착장치에 가해지는 긴장력의 수직 분력은, 비스듬한 상태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된 상기 보조지지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지되고, 또한 상기 타원형 정착판의 상기 타측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정착판 연장부에 의해 추가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
A post tension fixing device for a concrete structure using a tension member,
An elliptical fusing plate disposed vertically with a wedge seat fitting hole inside;
And a conical large-sized inner passage coupled to the wedge seating portion coupling hole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expanded from one end of the elliptical fixing plate located at one side of the elliptical fixing plate toward the other end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elliptical fixing plate, A wedge seating part;
A hollow cylindrical prestressing passage extending from the one end of the wedge seating porti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wedge seating portion and extending over a centerline coinciding with a centerline of the cone large internal passage of the wedge seating portion and inserted therethrough;
A fixing plate extension unit horizontally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elliptical fixing plate; And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formed outside the one end of the wedge seating portion and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in outer diameter from the wedge seating portion toward the tension member passage;
, ≪ / RTI >
Wherein the center line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wedge seating portion toward the tensional material passage,
Wherein the elliptical fixing plate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horizontally cut so that a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extension portion is aligned with the fixing plate extension portion,
The horizontal component of the tension force applied to the fixing device by the tension member coupled at the predetermined angle other than horizontal may be determined by the elliptical fixing plate buried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concrete structure and the elliptical fixing plate inclined downward Supported by the auxiliary support embedded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vertical component of the tension force applied to the fixing device by the tension member is partially supported by the auxiliary support embedded in the concrete structure in an oblique state and the fusing plate extension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at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elliptical fusing plate Wherein the post tension fixing device is further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쐐기 안착부의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쐐기 안착부의 상기 타단부보다 작게 형성된 포켓포머 결합외경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cket former combined diamet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wedge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ther end of the wedge receiving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쐐기 안착부의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며 내경이 상기 쐐기 안착부의 상기 타단부보다 크게 형성된 포켓포머 결합내경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cket former coupling inner diamet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wedge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wedge receiving por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 통로의 말단부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긴장재의 단부 외측 둘레에 끼워지고,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며, 일측 내부에 상기 긴장재의 피복과 밀착하여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차수막이 형성되고 타측 내부에 상기 긴장재 통로의 숫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le screw acid is formed 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trained material passage,
A water receiving layer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d portion of the tension member and formed of a soft material and closely contacting the coating of the tension member to prevent water infiltration therein and being coupled to the inner thread of the tension member passage And a sleeve having a female screw thread formed thereon.
KR1020170102257A 2017-08-11 2017-08-11 Post-tension Anchorage for Reduced Curvature Loss of Tendon KR1018575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257A KR101857541B1 (en) 2017-08-11 2017-08-11 Post-tension Anchorage for Reduced Curvature Loss of Tend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257A KR101857541B1 (en) 2017-08-11 2017-08-11 Post-tension Anchorage for Reduced Curvature Loss of Tend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541B1 true KR101857541B1 (en) 2018-05-14

Family

ID=6218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257A KR101857541B1 (en) 2017-08-11 2017-08-11 Post-tension Anchorage for Reduced Curvature Loss of Tend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541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3702B2 (en) PC steel connection method and bridge widening method
KR101174206B1 (en) Pocket Former and Post-tentioned Anchorage System Using Same
US20160340902A1 (en) Post-tension concrete leave out splicing system and method
US20140360129A1 (en) Device for introducing a force into tension members made of fiber-reinforced flat-strip plastic lamellas
KR101468584B1 (en) Fixing supporter being adjustable its length for post grouting
US948197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licing pile segments
JP6491030B2 (en) Anchor cable fixing structure
KR101857541B1 (en) Post-tension Anchorage for Reduced Curvature Loss of Tendon
KR102079574B1 (en) Composite multi-cap for finishing fixture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using the same
JP7355644B2 (en) How to adjust the tension of PC steel materials
JP2011032725A (en) Column leg structure
JP6721940B2 (en) Widening structure of existing PC floor slab
JP2007255149A (en) Tensional material anchoring tool and tensional material anchoring method
JP3014069B2 (en) Fiber reinforced concrete wall at the start of the tunnel shaft
JP2011043025A (en) Method for reinforcing structure using tensional material
JP3272320B2 (en) Tension fixing structure and tension fixing method
KR101074085B1 (en) A compressed and dispersed composite anchor removable the tension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 same
JP4870004B2 (en) Fixing structure
KR100546434B1 (en) Joint unit for turnbuckle connection
JP2006112189A (en) Tensional material anchoring tool
JP2007070895A (en) Composite structure anchorage body for introducing prestress and structure using the same
JP6022997B2 (en) Tensile anchor and tension member
KR101674103B1 (en) Anchorage zon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cm bridge using the same
JP3817095B2 (en) Construction method of non-embedded column base of stee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JP5908787B2 (en) Pre-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