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420B1 - 잘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잘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420B1
KR101857420B1 KR1020160080734A KR20160080734A KR101857420B1 KR 101857420 B1 KR101857420 B1 KR 101857420B1 KR 1020160080734 A KR1020160080734 A KR 1020160080734A KR 20160080734 A KR20160080734 A KR 20160080734A KR 101857420 B1 KR101857420 B1 KR 101857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antimicrobi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819A (ko
Inventor
신동철
정주은
송선주
박관순
김보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잉글우드랩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잉글우드랩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잉글우드랩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80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4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01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4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잘피 뿌리 추출물의 다양한 용도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잘피 뿌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이용하여 항균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잘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ROOT OF ZOSTERA MARINA}
본 발명은 항균 활성을 갖는 잘피 뿌리 추출물의 다양한 용도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잘피 뿌리 추출물의 항균 조성물, 항균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표를 덮는 신체 기관으로 가장 외각부터 표피층, 진피층 및 피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환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피부장벽 역할을 수행하며 생체의 일차적인 방어 기능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표피층 최외각에 위치한 각질층에는 트리글리세라이트, 지방산, 스쿠알렌과 같은 지질을 분비하여 공기 중으로 수분증발을 막는 역할을 하며 지방산 등의 피지는 피부 표면의 pH를 약산성(pH 5.5)을 유지하여 미생물의 번식을 막는 기능을 한다. 또한 표피의 가장 안쪽에 있는 유극층에는 면역을 담당하는 링게르한스 세포가 존재하며 이물질의 침입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미생물을 차단하고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항원이 진피에 도달한 경우에는 대식세포가 항원 제지의 역할을 맡는다.
피부에 존재하는 상재 구균들은 땀에서 분비되는 면역항체와 결합하여 피부면역력을 높여준다. 건강한 피부에서는 유익균 80%, 유해균 20%의 비율이 유지되며 약산성을 이루며 균형을 유지한다. 이때 잘못된 세정습관이나 과도한 유지공급, 신체의 리듬과 불안정한 호르몬생성은 과도한 피지분비를 유도하여 항상성이 깨지게 된다. 이로 인한 피지선의 막힘은 모낭내의 미생물을 번식하기에 알맞은 조건을 형성하며 혐기성균, 호기성 구균, 진균 등이 번식하게 된다. 특히 혐기성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는 리파아제를 분비하여 피지성분의 중성지방을 유리지방산으로 변화시킨다. 유리지방산은 백혈구를 모낭 주위에 모이게 하여 모낭벽을 자극한 후, 파괴시켜 모낭 내용물이 진피 내로 유입 되어 염증을 일으키며 피부에 구진, 농포, 낭종, 결절 및 반흔(scar)을 형성하게 한다.
미생물의 자극으로 인해 생성된 체내의 Reactive Oxygen Species(ROS)는 미생물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superoxide, lipid peroxyl radical, hydrogenperoxide 등이 포함되어 있는 과량의 ROS가 발생될 경우 세포의 신호전달 과정에서 interleukin-1(IL-1), interleukin-6(IL-6),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등 다양한 cytokine(pro-inflammatory cytokine)의 생산과 분비를 촉진시키고, 조직 손상을 유발하여 피부세포에 과도한 염증반응을 유발하며 피부에 손상을 입히며 이로 인한 피부장벽의 손상은 미생물의 2차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진피와 표피에서의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s(Matrix Metallo proteinase)의 발현을 촉진하고 진피 세포인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유전자 발현을 방해하여 피부내 탄력을 저하시키고 주름이 생성되면서 피부노화가 진행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현대의학의 발달로 인류의 수명이 늘어나면서 수명만큼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사는 것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에 따라 화장품 및 식품,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비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연구개발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으며 식물자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식물자원 유래 추출물의 항균, 항염증, 항산화 등의 효능평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안전성과 기능성을 겸비한 소재로서 소비자들에게 다가서고 있다. 그 중에서 미생물에 대한 방어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염증과 그에 따른 상흔, 미생물 방어시 생성되는 ROS로 인한 노화를 늦춰주어 건강과 아름다움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연구이다.
바다로 둘러싸인 한국은 다양한 해양자원을 활용하는데 유리하며 최근 산업어서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해양자원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해양생물은 식용 및 제약, 화장품등 다양한 산업에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미역, 다시마, 김, 청각, 파래, 톳 등의 해조류는 식품재료 및 약재로 항산화,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 항암, 항염증 등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잘피(Zostera marina)는 바다 식물 가운데 유일하게 뿌리로 영양을 흡수하고 햇볕을 받아 꽃을 피우는 현화식물로, 해양생물의 산란 및 보육장 구실을 한다. 잘피는 바다 속에서 광합성작용으로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므로 어류의 먹이인 플랑크톤을 풍부하게 하여 어장 형성에 큰 기여를 하는 해양식물이다.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경제적 가치가 상승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해양생물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잘피 양식을 통해 인공적으로 잘피 군락을 형성하고 있다.
잘피의 지표성분으로 잘 알려져 있는 루테올린(Luteolin)은 항산화, 항염증, 미백 효능 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루테올린 유도체의 항우울 효과에 대한 연구 또한 발표된 바 있다. 또한 잘피에는 높은 항산화능과, 항염 효능을 갖는 카페인산과 로즈마린산을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잘피 관련 연구로는 항산화 활성, 항염증,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밝혀졌으며 인체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 등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식품 분야에 국한하여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피부에서의 생리활성 검증 혹은 화장품 소재로서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1. 한국등록특허 제161369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질피 뿌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이용하여 질피 뿌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항균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잘피 뿌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잘피 뿌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잘피 뿌리 추출물이 뛰어난 항균 활성을 가짐을 입증하고, 이러한 항균 활성을 이용하여 항균 조성물, 항균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잘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녹농균, 대장균, 진균, 여드름균 등과 같은 다양한 피부염 유발 균에 대하여 강력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어, 화장료 조성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피부염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세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잘피 뿌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잘피 뿌리 추출물은 항균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약 0.001 ~ 4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잘피 뿌리 추출물의 함량은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본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적절한 함량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피부상재균, 녹농균, 대장균, 진균, 여드름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 Propionibacterium acnes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항균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약 0.001 ~ 40 중량%의 잘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잘피 뿌리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항균 화장료 조성물이 적용되는 화장품의 종류에 따라 본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적절한 함량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항균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상재균, 녹농균, 대장균, 진균, 여드름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 Propionibacterium acnes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진다.
화장품은 주로 물과 고분자성 지질로 구성되어 있어, 세균 및 진균에 탄소원과 질소원을 제공하기 때문에 보관을 잘못할 경우 미생물에 오염되기 쉽다. 오염된 화장품은 미생물의 대사산물에 의해 지방산과 탄화수소, 아미노산 유도체들이 변성되어 변취, 변색, 물성을 변화시켜 상품가치를 떨어트린다. 또한 화장품 사용 중에 오염이 된다면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화장품의 특성상 피부에 미생물이 감염되어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을 오염시킬 수 있는 미생물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화장품의 오염, 변취, 변색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염된 화장품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염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항균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용액, 젤, 고체,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리포좀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스킨, 로션, 크림, 파우더, 연고 또는 스프레이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등을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잘피 뿌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잘피 뿌리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약 0.001 ~ 4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잘피 뿌리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항균 화장료 조성물이 적용되는 화장품의 종류에 따라 본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적절한 함량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잘피 뿌리 추출물의 함량은 환자의 성별,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증상, 투여 빈도, 투여 방법에 따라 본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적절한 함량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상재균, 녹농균, 대장균, 진균, 여드름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 Propionibacterium acnes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진다. 상기 미생물 중, S. aureus의 경우 상처를 통해 화농, 부스럼, 종기의 원인균이며 모공, 땀샘이 막힐 경우 피부에 침입하여 발병되며 아토피 피부염의 요인으로서 정상인은 10%, 아토피 환자 90%가 피부에서 발견되고 있다. S. epidermidis또한 정상인 피부에서도 관찰되지만 모공이 막힌 경우 급격하게 증식하여 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 aeruginosa와 E. coli는 항온동물의 이나 토양, 물, 사람의 피부 등 주변에서 흔히 발견되나 E. coli의 O157:H7 같은 균주의 경우 식중독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andida. A는 효모류로 구강과 성기에 칸디다증을 일으키는 병원균이며 P. acnes는 혐기성 세균으로 여드름의 주 원인균이며 리파아제와 leukocyte chemotatic 인자들로 인한 자극으로 염증이 생기고 여드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은 화농, 부스럼, 종기, 구진, 농포, 낭종, 결절,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칸디다증,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붕해제, 충진제, 감미료,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료 등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항균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용액, 젤, 고체,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리포좀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스킨, 로션, 크림, 파우더, 연고 또는 스프레이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등을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정맥내, 피내, 피하,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며, 과립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현탁제, 유제, 점적제, 연고, 스프레이, 분말 또는 주사액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과립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등과 같은 고형 제제는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제, 시럽, 현탁제, 유제 등과 같은 액상 제제는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잘피는 (주)마린에코텍에서 제공받았으며, 인천 옹진군 대청면 대청리에서 2015년 06월에 채취하였고 10일간 건조한 잘피를 전체, 뿌리, 잎·줄기로 나누어 밀봉한 뒤 제공받았다. 에탄올은 주정판매월드(주)(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실험에 사용된 배지 Tryptic soybean broth(TSB)와 Tryptic soybean agar(TSA), Potato dextrose broth(PDB), Potato dextrose agar(PDA)는 BD Difco(USA)에서 구입하였고 Differential reinforced clostridial broth (DRCM), Reinforced clostridia agar(RCA)는 Merck(German)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혐기성균 배양조는 Gaspak system(BD Ltd., U.S.A)과 anaerogen(Oxoid Ltd., England)를 이용하였고 기기는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U.S.A), Rotary vaccum evaporator (Eyela Co., JAPAN), 항온조(S&T Co.,Ltd, Korea) 등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1>
잘피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잘피를 전체, 뿌리, 잎·줄기 부분으로 나누어 분쇄한 다음 이를 70% 에탄올에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 추출한 후 여과지로 추출물을 2회 감압 여과하고 회전증발농축기로 55℃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수득한 추출물을 사용 전까지 4℃에서 보관하였다.
<실험예 1>
잘피 추출물의 항균 활성 평가
항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Staphylococcus aureus(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E. coli), Pseudomonas aeruginosa(P. aeruginosa.), 병원성 진균인 Candida albicans(Candida. A.), Propionibacterium acnes(P. acnes)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KCTC, Korea)에서 입수하여 계대배양하여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전 배양 및 본 배양을 위한 배지는 S. aureus, S. epidermidis, E. coli, P. aeruginosa에 대해서는 각각 TSB, TSA를 사용하였으며, Candida A. 는 PDB, PDA를 사용하였다. P. acnes의 배지는 각각 DRCM, RCA를 사용하였고 모든 균주는 항온조에서 37℃로 배양하였다. 각 미생물의 생육배지는 121℃에서 15분 동안 고압멸균하여 사용하였고 항균시험을 위한 고체배지는 멸균된 배지액을 패트리 디쉬에 15ml씩 분주하여 응고시킨 후 사용하였다. 여드름균인 P. acnes는 Gaspak system에 anaerogen을 넣은 후, 밀봉하여 37℃ 인큐베이터에서 72 시간 동안 혐기 배양하였다. 단일 균의 집락 1개를 루프로 취하여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P. acnes는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고체배지를 멸균하여 50℃로 냉각한 다음, 액체배지에 세균은 1 × 10 CFU/ml, 진균은 1 × 10CFU/ml이 포함되도록 균액을 접종하여 현탁시켰다. 균액의 세포수는 microplate reader로 흡광도(Optical density, O.D=595)를 측정하였으며 세균의 경우 O.D값을 0.20, 진균의 경우 O.D값을 0.10로 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추출물의 항균력 측정을 하기 위해 disc diffusion 방법을 이용하였다. 세균 1 × 10 CFU/ml, 진균 1 × 10 CFU/ml이 포함되도록 현탁시킨 액체배지를 멸균한 면봉으로 고체배지 표면에 균일하게 도말하였다. 고체 배지 위에 멸균된 paper disc를 밀착시킨 후 잘피 전체, 뿌리, 잎·줄기 추출물을 각각 25, 50, 100, 200 mg/ml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35 ㎕씩 흡수시켰다. 대조군으로 화장품 방부에 사용되는 합성방부제 메틸파라벤을 사용하였다. 배양 후 disc 주변에 생성된 clear zone의 직경을 측정하여 각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비교 분석하고 그 결과를 표 1 내지 3에 나타냈다.
Figure 112016062358331-pat00001
Figure 112016062358331-pat00002
Figure 112016062358331-pat00003
상기 표 1 내지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잘피 뿌리 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S. epidermidis에서 최대 13.00±0.50 mm clear zone을 형성하여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S. aureus에서는 최대 농도에서 11.75±0.25 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으며 농도 의존적인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P. acnes에서도 최대 농도에서 12.0±0.50 mm로 농도 의존적으로 clear zone을 형성하였으며, 50mg/ml 이하에서는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P. aeruginosa에서는 최대 농도에서 12.25±0.25 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으며, E. coli 및 Candida. A에서는 항균 활성을 관찰할 수 없었다. 나머지 잘피 전체, 잎줄기 추출물의 경우 6개의 균주에 항균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잘피 뿌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Pseudomonas aeruginosa, Propionibacterium acne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잘피 뿌리 추출물은 항균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4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인, 항균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잘피 뿌리 추출물은 에탄올에 의해 침지 추출된 것인, 항균 조성물.
  6. 제 1 항의 항균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Pseudomonas aeruginosa, Propionibacterium acne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잘피 뿌리 추출물은 상기 항균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4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인, 항균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의 오염, 변취 및 변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인, 항균 화장료 조성물.
  11. 잘피 뿌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Pseudomonas aeruginosa, Propionibacterium acne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잘피 뿌리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4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인, 여드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5. 삭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잘피 뿌리 추출물은 에탄올에 의해 침지 추출된 것인, 여드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60080734A 2016-06-28 2016-06-28 잘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57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734A KR101857420B1 (ko) 2016-06-28 2016-06-28 잘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734A KR101857420B1 (ko) 2016-06-28 2016-06-28 잘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19A KR20180001819A (ko) 2018-01-05
KR101857420B1 true KR101857420B1 (ko) 2018-05-15

Family

ID=61001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734A KR101857420B1 (ko) 2016-06-28 2016-06-28 잘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4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8496A (ja) 2004-03-30 2005-10-13 Mie Prefecture アマモ類の無菌培養法および該方法により作出されるアマモ類
JP2006306816A (ja) 2005-04-28 2006-11-09 Kyoei Kagaku Kogyo Kk テストステロン−5α−リダクターゼ阻害剤及びテストステロン−5α−リダクターゼ阻害剤を含有する化粧料。
JP2010064986A (ja) 2008-09-11 2010-03-25 Pola Chem Ind Inc 保湿用化粧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8496A (ja) 2004-03-30 2005-10-13 Mie Prefecture アマモ類の無菌培養法および該方法により作出されるアマモ類
JP2006306816A (ja) 2005-04-28 2006-11-09 Kyoei Kagaku Kogyo Kk テストステロン−5α−リダクターゼ阻害剤及びテストステロン−5α−リダクターゼ阻害剤を含有する化粧料。
JP2010064986A (ja) 2008-09-11 2010-03-25 Pola Chem Ind Inc 保湿用化粧料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lgae,제24권,3호,179-184면 (20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19A (ko) 2018-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3023A (zh) 植物乳杆菌cncm i‑4026制备物及其皮肤健康益处
US20090238782A1 (en) Cosmetic composition which includes at least one polysaccharide derived from bacteria of hydrothermal origin
KR101864409B1 (ko) 한방 추출물 및 미생물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살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CN106727097A (zh) 一种具有强效广谱抑菌活性的天然化妆品防腐组合物
CN104738033A (zh) 一种植物来源的防腐剂组方
KR102194315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9973B1 (ko) 유제놀 및 갈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1442083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배양액을 방부제 또는 기능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59392B1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20130128888A (ko) 연잎, 연꽃, 연씨 및 연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KR101433823B1 (ko) 부챗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063777A (ko) 항균펩타이드를 이용한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7420B1 (ko) 잘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Yang et al. Antimicrobial effects of various red ginger (Zingiber officinale) extract concentrations on Escherichia coli bacteria
KR20230061274A (ko) 큐티박테리움 속 균주를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9612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1507533B1 (ko) 백호은침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가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KR102009604B1 (ko) 인동덩굴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488864B1 (ko)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KR101683631B1 (ko) 니아울리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803148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227751B1 (ko) 오미자, 백리향 및 꽃향유의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대체제 및 이의 용도
KR102619073B1 (ko)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기능의 식물 복합 추출물 기반 화장료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085292B1 (ko) 모하비유카, 모란뿌리, 지치뿌리 및 밀배아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989681B1 (ko) 소포로리피드, 윈터체리뿌리, 고수 및 프로폴리스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여드름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