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014B1 -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 Google Patents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014B1
KR101857014B1 KR1020180002076A KR20180002076A KR101857014B1 KR 101857014 B1 KR101857014 B1 KR 101857014B1 KR 1020180002076 A KR1020180002076 A KR 1020180002076A KR 20180002076 A KR20180002076 A KR 20180002076A KR 101857014 B1 KR101857014 B1 KR 101857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insertion pipe
insulating material
pin
inser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80002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0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othe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의 탈형을 편리하게 한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단열재(20)를 관통하는 단열재삽입관(30); 단열재삽입관(30)의 하단으로 출몰되는 거푸집삽입관(40); 거푸집삽입관(40)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수축되는 상부스프링(50); 거푸집삽입관(4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승강바(60); 승강바(60)에 형성되는 스프링간섭방지홈(61); 거푸집삽입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직선안내슬릿(42); 승강바(60)의 타측면에서 직선안내슬릿(42)을 향해 돌출되는 슬라이드부(62); 승강바(60)에 형성되는 클레비스부(63); 승강바(60)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수축되는 하부스프링(52); 승강바(60)에 형성되는 랙기어(65); 랙기어(65)와 맞물려서 회전되는 아이들기어(70); 거푸집삽입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커팅홈(44); 수직으로 위치되거나 거푸집(22)의 밑면에 걸리는 회전래치(80); 랙기어(65)에 맞물려 회전되는 섹터기어(82); 커팅홈(44)과 회전래치(80)에 형성되는 노치부(46)(83); 회전래치(80)의 걸림을 유지하는 꺾쇠(84); 승강바(60)의 하강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66); 스토퍼(66)에 설치되는 중공핀(90); 단열재삽입관(30)에 형성되는 장공(32); 중공핀(9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손잡이핀(91); 단열재삽입관(30)의 상단에 설치되는 볼트캡(33); 단열재(20)를 고정하는 너트(34); 너트(34)와 단열재(20)의 사이에 위치되는 단열재고정판(35)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Insulation Fixture}
본 발명은 건축물의 슬래브 또는 벽체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에 단열재를 고정하는데 이용되는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의 탈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건축물은 층간 또는 외부와의 단열을 위해 슬래브의 하부 또는 벽체의 내측에 판상으로 된 단열재를 부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때 사용하는 거푸집이 목재로 된 경우에는 거푸집의 내측에 유두못을 이용해서 단열재를 고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거푸집을 탈형하면, 단열재가 콘크리트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되므로 단열재의 시공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두못을 이용한 단열재 고정은 못머리가 단열재를 깊게 파고 들어가서 부착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못머리가 작기 때문에 단열재가 목재거푸집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열재 고정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 1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750343호로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 1은 단열재를 목재거푸집을 향해 가압하기 위한 별도의 누름판이 구비되어 있고, 중심에 못삽입통로가 형성된 관체부가 누름판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으며, 누름판의 저면에는 단열재를 관통해서 목재거푸집에 지지되는 지지발이 형성된 것으로, 지지발을 단열재로 삽입해서 목재거푸집에 지지한 다음 무두못을 관체부의 중심에 형성된 못삽입통로에 삽입한 다음 목재거푸집에 박아서 고정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1은 단열재를 고정할 때 사용하는 무두못이 목재거푸집에는 사용할 수 있지만 알루미늄 폼과 같이 금속으로 된 거푸집에는 타격시 휘거나 거푸집을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도가 목재거푸집의 용도로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알루미늄 폼과 같은 금속재 거푸집에 적용할 수 있는 단열재 고정구에 관한 종래기술 2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00886호로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 2는 셀프탭핑 스크류와 같은 단열재 고정구를 전동공구를 이용해서 알루미늄 거푸집에 박아서 고정한 다음 거푸집에 단열재를 밀착시키고 단열재 고정구의 상단에 고정캡을 끼워서 단열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 2는 고정캡이 단열재 고정구의 상단에 압입된 형태로 끼워져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 중에 고정캡이 쉽게 이탈되면서 단열재가 거푸집으로부터 들뜨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 2는 거푸집을 탈형할 때 단열재 고정구가 거푸집과 함께 탈형되기 때문에 단열재 고정구로 인해 단열재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탈형시 단열재 고정구에 의해 거푸집이 변형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 2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 3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11663호로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 3은 알루미늄 폼에 스크류 형태로 박힌 알폼고정구에 연결되는 별도의 단열재 고정구를 구비해서 두꺼운 단열재를 단열재 고정구가 관통하도록 되어 있고, 단열재 고정구의 외주면에 다수의 스토퍼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토퍼에 걸리는 고정캡을 단열재의 두께에 맞게 단열재 고정구의 상단에 끼워서 단열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3은 단열재 고정구가 알폼고정구에 압입된 형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에 작용되는 진동에 의해 단열재 고정구가 알폼고정구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 3은 알루미늄 폼을 탈형할 때 알폼고정구가 거푸집과 함께 탈형되기 때문에 알폼고정구가 있던 자리의 주변 단열재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탈형시 알폼고정구에 의해 알루미늄 폼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 3은 알루미늄 폼을 재사용하기 위해 알폼고정구를 일일이 알루미늄 폼으로부터 제거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750343호 (공고일자 2007.08.17.)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00886호 (공고일자 2009.06.04.)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11663호 (공고일자 2013.09.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거푸집 탈형시 단열재와 거푸집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탈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는, 단열재를 관통하는 단열재삽입관; 단열재삽입관의 내부에서 하단으로 출몰되고, 거푸집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되는 거푸집삽입관; 단열재삽입관의 상부에 설치된 단방향걸림핀과 거푸집삽입관의 상부에 설치된 양방향걸림핀에 양단 걸리고, 단열재삽입관의 내부에 수용되어 거푸집삽입관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수축되는 상부스프링; 거푸집삽입관의 내주면 일측에 밀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승강바; 승강바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부스프링의 외주면과 간격을 형성하는 원호형의 스프링간섭방지홈; 거푸집삽입관의 타측 하단에서 거푸집삽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직선안내슬릿; 승강바의 타측면에서 직선안내슬릿을 향해 돌출되고, 직선안내슬릿의 상단에 걸리면서 승강바의 상승높이를 제한하는 슬라이드부; 승강바의 일측면 중앙에 형성되는 클레비스부; 클레비스부에 설치된 스프링걸림핀과 양방향걸림핀에 양단이 걸리고, 승강바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수축되는 하부스프링; 승강바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랙기어; 거푸집삽입관에 설치된 피니언축에 의해 지지되고, 랙기어와 맞물려서 회전되는 아이들기어; 거푸집삽입관의 일측 하단에서 거푸집삽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커팅홈; 거푸집삽입관에 설치된 힌지핀에 의해 지지되고, 거푸집삽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위치되거나 커팅홈을 통해 바깥쪽으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거푸집의 밑면에 걸리는 회전래치; 회전래치의 단부에 형성되어 랙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는 섹터기어; 커팅홈과 회전래치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노치부; 노치부로 삽입되어 회전래치의 걸림을 유지하는 꺾쇠; 승강바의 타측면 상단에 형성되고, 거푸집삽입관의 상단에 걸리면서 승강바의 하강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 스토퍼에 설치되는 중공핀; 중공핀을 안내하기 위해 단열재삽입관에 형성되는 장공; 중공핀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손잡이핀; 단열재삽입관의 상단에 설치되는 원추형의 볼트캡; 볼트캡에 결합되어 단열재를 고정하는 너트; 너트와 단열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단열재고정판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스프링의 수축력은 상기 상부스프링의 수축력보다 큰 수축력을 갖도록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거푸집(22)를 탈형하기 전에 꺾쇠(84)를 노치부(46)(83)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하부스프링(52)의 수축력에 의해 회전래치(80)의 걸림이 해제되고, 동시에 상부스프링(50)의 수축력에 의해 거푸집삽입관(40)이 거푸집(22)으로부터 분리되어 단열재삽입관(30)으로 진입되기 때문에 거푸집(22)의 탈형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거푸집(22)을 탈형하기 전에 회전래치(80)와 거푸집삽입관(40)이 단열재삽입관(30)의 안쪽으로 진입되기 때문에 거푸집(22) 탈형시 걸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중공핀(90)이 장공(32)을 따라 움직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거푸집삽입관(40)과 승강바(60)의 회전이나 상부스프링(50)과 하부스프링(52)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승강바(60)에 형성된 슬라이드부(62)가 직선안내슬릿(42)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바(60)가 상승 또는 하강되는 동안 옆으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랙기어(65)와 아이들기어(70) 및 랙기어(65)과 섹터기어(82)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승강바(60)가 승강될 때 랙기어(65)에 맞물려 있는 아이들기어(70)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승강바(60)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회전래치(80)가 거푸집(22)에 걸린 다음 손잡이핀(91)을 중공핀(90)에 형성된 삽입구멍(93)으로부터 인출해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핀(91)과 단열재(20)의 간섭을 사전에 회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열재삽입관(30)의 상단에 원추형으로 된 볼트캡(33)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열재(20)를 거푸집(22)에 밀착시킬 때 단열재(20)를 관통하는 단열재삽입관(30)의 관통저항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부스프링(52)의 수축력에 의해 상승되던 승강바(60)가 직선안내슬릿(42)의 상단에 걸리는 슬라이드부(62)에 의해 상승을 멈추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래치(80)를 수직위치에서 멈출 수 있게 되어 거푸집삽입관(40)이 단열재삽입관(30)의 안쪽으로 진입될 때 회전래치(80)에 의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거푸집삽입관(40)이 거푸집(22)에 형성된 구멍(24)을 통과한 후 신장된 상부스프링(50)에 축적된 수축력이 하부스프링(52)과 같아지는 지점에서부터 상부스프링(50)과 하부스프링(52)이 힘의 균형을 이루면서 동시에 신장되기 때문에 손잡이핀(91)에 힘을 가해 중공핀(90)을 장공(32)의 하단 끝까지 하강시키는 동안 회전래치(80)를 거푸집(22)에 자동으로 걸리게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측에서 바라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바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가 거푸집에 설치된 것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를 거푸집을 향해 조립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상태로부터 단열재삽입관이 거푸집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상태로부터 회전래치가 90도 회전되어 거푸집에 걸린 것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에 단열재를 끼우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상태로부터 단열재를 고정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한 것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열재(20)를 관통하는 단열재삽입관(30); 단열재삽입관(30)의 내부에서 하단으로 출몰되고, 거푸집(22)에 형성된 구멍(24)으로 삽입되는 거푸집삽입관(40); 단열재삽입관(30)의 상부에 설치된 단방향걸림핀(31)과 거푸집삽입관(40)의 상부에 설치된 양방향걸림핀(41)에 양단 걸리고, 단열재삽입관(30)의 내부에 수용되어 거푸집삽입관(40)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수축되는 상부스프링(50)을 포함한다.
단열재삽입관(3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20)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하거나 단열재(20)의 두께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거푸집삽입관(40)은, 단열재삽입관(30)의 내부에 헐겁게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설치되며,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22)에 형성된 구멍(24)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해서 단열재삽입관(30)의 중심을 거푸집(22)에 형성된 구멍(24)의 중심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거푸집삽입관(40)이 구멍(24)으로 부드럽게 진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부스프링(50)은, 예를 들면 스프링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만든 일장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스프링(50)의 양단에는 단방향걸림핀(31)과 양방향걸림핀(41)에 걸어서 힘을 전달할 수 있는 고리(부호생략)를 형성한다.
단열재삽입관(30)의 상부 외주면에는 단방향걸림핀(31)을 반경방향으로 삽입해서 단방향걸림핀(31)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 1핀구멍(38)을 형성하며, 거푸집삽입관(40)의 상부 외주면에는 양방향걸림핀(41)을 반경방향으로 삽입해서 양방향걸림핀(41)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 2핀구멍(47)을 형성한다.
단방향걸림핀(31)과 양방향걸림핀(41)이 제 1핀구멍(38)과 제 2핀구멍(47)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방향걸림핀(31)과 양방향걸림핀(41)을 각각 제 1핀구멍(38)과 제 2핀구멍(47)에 압입하거나 결합부위에 접착제 주입, 양단을 확장시켜서 가공하는 리벳머리 가공 등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거푸집삽입관(40)의 내주면 일측에 밀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승강바(60); 승강바(6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부스프링(50)의 외주면과 간격을 형성하는 원호형의 스프링간섭방지홈(61); 거푸집삽입관(40)의 타측 하단에서 거푸집삽입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직선안내슬릿(42); 승강바(60)의 타측면에서 직선안내슬릿(42)을 향해 돌출되고, 직선안내슬릿(42)의 상단에 걸리면서 승강바(60)의 상승높이를 제한하는 슬라이드부(62)를 포함한다.
스프링간섭방지홈(61)은, 상부스프링(50)이 승강바(6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승강바(60)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승강바(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드부(62)는, 직선안내슬릿(42)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승강바(60)를 상하 직선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동시에 승강바(60)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승강바(60)의 일측면 중앙에 형성되는 클레비스부(63); 클레비스부(63)에 설치된 스프링걸림핀(64)과 양방향걸림핀(41)에 양단이 걸리고, 승강바(60)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수축되는 하부스프링(52); 승강바(6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랙기어(65); 거푸집삽입관(40)에 설치된 피니언축(43)에 의해 지지되고, 랙기어(65)와 맞물려서 회전되는 아이들기어(70)를 포함한다.
거푸집삽입관(40)의 중앙 외주면에는 피니언축(43)을 반경방향으로 삽입해서 피니언축(43)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 3핀구멍(48)을 형성하며, 거푸집삽입관(40)의 하부 외주면에는 힌지핀(45)을 반경방향으로 삽입해서 힌지핀(45)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 4핀구멍(49)을 형성한다.
피니언축(43)과 힌지핀(45)이 제 3핀구멍(48)과 제 4핀구멍(49)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 피니언축(43)과 힌지핀(45)을 제 3핀구멍(48)과 제 4핀구멍(49)에 각각 압입하거나 결합부위에 접착제 주입, 양단을 확장시켜서 가공하는 리벳머리 가공 등을 할 수 있다.
스프링걸림핀(64)을 클레비스부(63)에 설치하기 위해 클레비스부(63)에 제 5핀구멍(69)을 형성하고, 스프링걸림핀(64)을 제 5핀구멍(69)에 압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부스프링(52)의 수축력이 상부스프링(50)의 수축력보다 큰 수축력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거푸집삽입관(40)이 거푸집(22)에 형성된 구멍(24)을 통과한 후 신장된 상부스프링(50)에 축적된 수축력이 하부스프링(52)과 같아지는 지점에서 상부스프링(50)과 하부스프링(52)이 힘의 균형을 이루도록 형성하면, 손잡이핀(91)에 힘을 가해 중공핀(90)을 장공(32)의 하단 끝까지 하강시키는 동안 상부스프링(50)과 하부스프링(52)이 동시에 신장되면서 회전래치(80)가 수평위치로 90도 회전되어 거푸집(22)에 자동으로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거푸집삽입관(40)의 일측 하단에서 거푸집삽입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커팅홈(44); 거푸집삽입관(40)에 설치된 힌지핀(45)에 의해 지지되고, 거푸집삽입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위치되거나 커팅홈(44)을 통해 바깥쪽으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거푸집(22)의 밑면에 걸리는 회전래치(80); 회전래치(80)의 단부에 형성되어 랙기어(65)에 맞물려 회전되는 섹터기어(82)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기어(70)의 중심에 제 1축구멍(72)을 형성해서 피니언축(43)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회전래치(80)에 형성된 섹터기어(82)의 중심에는 제 2축구멍(86)을 형성해서 힌지핀(45)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승강바(60)는 아이들기어(70)와 섹터기어(82)에 의해 지지되어 거푸집삽입관(40)의 일측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본 발명은 커팅홈(44)과 회전래치(8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노치부(46)(83); 노치부(46)(83)로 삽입되어 회전래치(80)의 걸림을 유지하는 꺾쇠(84); 승강바(60)의 타측면 상단에 형성되고, 거푸집삽입관(40)의 상단에 걸리면서 승강바(60)의 하강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66)를 포함한다.
꺾쇠(84)는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금속띠를 L자 모양으로 절곡해서 형성할 수 있으며, 꺾쇠(84)를 분리할 때 절곡된 부위에 손가락을 걸고 당기면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토퍼(66)에 설치되는 중공핀(90); 중공핀(90)을 안내하기 위해 단열재삽입관(30)에 형성되는 장공(32); 중공핀(9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손잡이핀(91)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 도 5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66)에 카운터홀(68)과 탭구멍(67)을 형성하고, 중공핀(90)의 단부에는 수나사부(92)를 형성해서 수나사부(92)는 탭구멍(67)에 결합하고, 중공핀(90)은 카운터홀(68)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한다.
중공핀(90)의 중심에는 손잡이핀(91)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멍(93)을 형성하며, 손잡이핀(91)은 삽입구멍(93)에 헐겁게 끼워지도록 해서 손잡이핀(91)을 중공핀(90)으로부터 분리와 결합이 자유롭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단열재삽입관(30)의 상단에 설치되는 원추형의 볼트캡(33); 볼트캡(33)에 결합되어 단열재(20)를 고정하는 너트(34); 너트(34)와 단열재(20)의 사이에 위치되는 단열재고정판(35)을 포함한다.
볼트캡(33)의 하단에는 단열재삽입관(30)의 상단으로 압입되는 압입부(37)를 형성하고, 볼트캡(33)의 하단에는 원추형으로 된 원추헤드(36)를 형성할 수 있으며, 압입부(37)를 단열재삽입관(30)에 삽입한 후 결합라인을 용접해서 영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면 중 부호 26은 단열재(20) 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26)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핀(90)에 형성된 삽입구멍(93)으로 손잡이핀(91)을 삽입해서 손잡이핀(91)과 중공핀(90)을 결합한 다음 단열재삽입관(30)의 하단부를 거푸집(22)의 상면에 수직으로 밀착시키고, 단열재삽입관(30)의 중심을 거푸집(22)에 천공된 구멍(24)의 중심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핀(91)을 아래쪽으로 하강시키게 되면, 거푸집삽입관(40)이 단열재삽입관(30)의 하단을 통해 인출되면서 거푸집(22)에 형성된 구멍(24)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부스프링(50)이 신장되면서 수축방향으로 탄성에너지가 점점 크게 축적되고, 중공핀(90)은 장공(32)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승강바(60)와 거푸집삽입관(40)이 아래쪽을 향해 직선 방향으로 움직이는데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하부스프링(52)의 수축력이 상부스프링(50)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스프링(50)이 신장되어 하부스프링(52)의 수축력과 같아지는 동안 하부스프링(52)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신장된 상부스프링(50)에 축적된 수축력이 하부스프링(52)이 지니고 있던 수축력과 같아지는 지점에서부터 상부스프링(50)과 하부스프링(52)이 서로 힘의 균형을 이루면서 동시에 신장되기 시작한다.
이때 양방향걸림핀(41)에는 상부스프링(50)과 하부스프링(52)에 의해 상승방향과 하강방향으로 동시에 힘이 작용되면서 거푸집삽입관(40)의 하강속도는 줄어들게 되고, 승강바(60)의 하강속도는 거푸집삽입관(40)의 하강속도보다 빠르게 유지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삽입관(40)과 승강바(60)의 속도차에 의해 랙기어(65)에 맞물려 있던 섹터기어(82)가 힌지핀(45)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섹터기어(82)와 일체로 되어 있는 회전래치(80)가 커팅홈(44)을 통해 거푸집삽입관(40)의 외부로 돌출된 후 거푸집(22)의 밑면에 밀착되어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바(60)가 하강되는 동안 슬라이드부(62)가 직선안내슬릿(42)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승강바(60)의 수직하강을 돕게 되며, 회전래치(80)가 거푸집(22)에 걸렸을 때 중공핀(90)은 장공(32)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고, 스토퍼(66)는 거푸집삽입관(40)의 상단부에 걸리게 된다.
승강바(60)가 하강될 때 랙기어(65)에 맞물려 있던 아이들기어(70)도 회전되는데, 이때 아이들기어(70)는 승강바(60)를 지지해서 승강바(60)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위와 같이 회전래치(80)가 거푸집(22)의 밑면에 밀착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래치(80)와 커팅홈(44)에 각각 형성된 노치부(46)(83)가 상하 대칭을 이루면서 서로 만나게 되는데,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꺾쇠(84)를 노치부(46)(83)로 삽입하면, 회전래치(80)의 걸림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핀(91)을 중공핀(90)으로부터 분리한 후 단열재(20)를 거푸집(22)의 상면을 향해 밀착시키게 되면, 단열재삽입관(30)의 상단에 설치된 볼트캡(33)에 의해 단열재(20)에 구멍(부호생략)이 천공되면서 단열재(20)가 거푸집(22)에 밀착된다.
단열재(20)에 구멍이 천공될 때 볼트캡(33)에 형성된 원추헤드(36)에 의해 천공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잡이핀(91)도 이미 분리되었기 때문에 손잡이핀(91)으로 인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20)가 거푸집(22)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캡(33)에 단열재고정판(35)을 끼우고 너트(34)를 볼트캡(33)에 결합해서 타이트 하게 조이면, 단열재(20)가 거푸집(22)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콘크리트 타설시에 부력에 의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20) 위에 콘크리트 구조물(26)를 타설한 다음 거푸집(22)을 탈형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꺾쇠(84)를 당겨서 회전래치(80)의 걸림을 해제하게 되면, 상부스프링(50)과 하부스프링(52)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빠르게 수축되는데,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래치(80)는 랙기어(65)과 섹터기어(82)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고, 거푸집삽입관(40)은 거푸집(22)에 형성된 구멍(24)으로부터 인출되어 단열재삽입관(30)으로 진입된다.
이후 중공핀(90)이 장공(32)의 상단에 걸리면, 상부스프링(50)의 수축이 정지되고, 승강바(60)에 형성된 슬라이드부(62)의 상단부가 직선안내슬릿(42)의 상단부에 걸리는 순간 하부스프링(52)의 수축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거푸집삽입관(40)이 거푸집(22)에 형성된 구멍(24)으로부터 빠져서 분리되기 때문에 거푸집(22)의 탈형을 부드럽고 편리할 수 있게 된다.
20 : 단열재 22 : 거푸집
24 : 구멍 26 : 콘크리트 구조물
30 : 단열재삽입관 31 : 단방향걸림핀
32 : 장공 33 : 볼트캡
34 : 너트 35 : 단열재고정판
36 : 원추헤드 37 : 압입부
38 : 제 1핀구멍 40 : 거푸집삽입관
41 : 양방향걸림핀 42 : 직선안내슬릿
43 : 피니언축 44 : 커팅홈
45 : 힌지핀 46,83 : 노치부
47 : 제 2핀구멍 48 : 제 3핀구멍
49 : 제 4핀구멍 50 : 상부스프링
52 : 하부스프링 60 : 승강바
61 : 스프링간섭방지홈 62 : 슬라이드부
63 : 클레비스부 64 : 스프링걸림핀
65 : 랙기어 66 : 스토퍼
67 : 탭구멍 68 : 카운터홀
69 : 제 5핀구멍 70 : 아이들기어
72 : 제 1축구멍 80 : 회전래치
82 : 섹터기어 84 : 꺾쇠
86 : 제 2축구멍 90 : 중공핀
91 : 손잡이핀 92 : 수나사부
93 : 삽입구멍

Claims (2)

  1. 단열재(20)를 관통하는 단열재삽입관(30);
    상기 단열재삽입관(30)의 내부에서 하단으로 출몰되고, 거푸집(22)에 형성된 구멍(24)으로 삽입되는 거푸집삽입관(40);
    상기 단열재삽입관(30)의 상부에 설치된 단방향걸림핀(31)과 상기 거푸집삽입관(40)의 상부에 설치된 양방향걸림핀(41)에 양단 걸리고, 상기 단열재삽입관(3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거푸집삽입관(40)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수축되는 상부스프링(50);
    상기 거푸집삽입관(40)의 내주면 일측에 밀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승강바(60);
    상기 승강바(6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스프링(50)의 외주면과 간격을 형성하는 원호형의 스프링간섭방지홈(61);
    상기 거푸집삽입관(40)의 타측 하단에서 상기 거푸집삽입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직선안내슬릿(42);
    상기 승강바(60)의 타측면에서 상기 직선안내슬릿(42)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직선안내슬릿(42)의 상단에 걸리면서 상기 승강바(60)의 상승높이를 제한하는 슬라이드부(62);
    상기 승강바(60)의 일측면 중앙에 형성되는 클레비스부(63);
    상기 클레비스부(63)에 설치된 스프링걸림핀(64)과 상기 양방향걸림핀(41)에 양단이 걸리고, 상기 승강바(60)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수축되는 하부스프링(52);
    상기 승강바(6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랙기어(65);
    상기 거푸집삽입관(40)에 설치된 피니언축(43)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랙기어(65)와 맞물려서 회전되는 아이들기어(70);
    상기 거푸집삽입관(40)의 일측 하단에서 상기 거푸집삽입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커팅홈(44);
    상기 거푸집삽입관(40)에 설치된 힌지핀(45)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거푸집삽입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위치되거나 상기 커팅홈(44)을 통해 바깥쪽으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상기 거푸집(22)의 밑면에 걸리는 회전래치(80);
    상기 회전래치(8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랙기어(65)에 맞물려 회전되는 섹터기어(82);
    상기 커팅홈(44)과 상기 회전래치(8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노치부(46)(83);
    상기 노치부(46)(83)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래치(80)의 걸림을 유지하는 꺾쇠(84);
    상기 승강바(60)의 타측면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거푸집삽입관(40)의 상단에 걸리면서 상기 승강바(60)의 하강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66);
    상기 스토퍼(66)에 설치되는 중공핀(90);
    상기 중공핀(90)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단열재삽입관(30)에 형성되는 장공(32);
    상기 중공핀(9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손잡이핀(91);
    상기 단열재삽입관(30)의 상단에 설치되는 원추형의 볼트캡(33);
    상기 볼트캡(33)에 결합되어 상기 단열재(20)를 고정하는 너트(34);
    상기 너트(34)와 상기 단열재(20)의 사이에 위치되는 단열재고정판(35);
    을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스프링(52)의 수축력이 상기 상부스프링(50)의 수축력보다 큰 수축력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KR1020180002076A 2018-01-08 2018-01-08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KR101857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076A KR101857014B1 (ko) 2018-01-08 2018-01-08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076A KR101857014B1 (ko) 2018-01-08 2018-01-08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014B1 true KR101857014B1 (ko) 2018-05-11

Family

ID=6218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076A KR101857014B1 (ko) 2018-01-08 2018-01-08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01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095B1 (ko) * 2018-03-26 2018-08-23 김환성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1958391B1 (ko) * 2018-09-13 2019-07-04 주식회사 우영에스티 기어형 고정체를 갖는 먹줄 병
CN110217694A (zh) * 2019-06-17 2019-09-10 浙江安格鲁传动系统有限公司 一种用于皮带成型模具的吊具
CN112482596A (zh) * 2020-12-08 2021-03-12 湖北长欣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框剪结构外墙应用装配式结构自保温条板
KR102394232B1 (ko) 2021-07-14 2022-05-04 (주)플랜에이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20220086446A (ko) 2020-12-16 2022-06-23 신승정밀 주식회사 적응형 단열재 고정장치
CN114704079A (zh) * 2022-03-22 2022-07-05 浙江均泰建设有限公司 一种铝模板结构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252B1 (ko) * 2006-12-30 2007-04-16 양내문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20090019232A (ko) * 2007-08-20 2009-02-25 주식회사 네오폴리텍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KR101270011B1 (ko) * 2010-07-29 2013-05-31 마상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1271597B1 (ko) * 2013-01-25 2013-06-11 (주)무한에이앤디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KR101311663B1 (ko) * 2012-11-30 2013-09-25 양근영 높이조절이 가능한 알루미늄폼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1587163B1 (ko) * 2015-11-30 2016-01-20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1604116B1 (ko) * 2016-02-12 2016-03-16 (주)천일건축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1807251B1 (ko) * 2017-09-05 2017-12-11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단열재 고정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252B1 (ko) * 2006-12-30 2007-04-16 양내문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20090019232A (ko) * 2007-08-20 2009-02-25 주식회사 네오폴리텍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KR101270011B1 (ko) * 2010-07-29 2013-05-31 마상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1311663B1 (ko) * 2012-11-30 2013-09-25 양근영 높이조절이 가능한 알루미늄폼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1271597B1 (ko) * 2013-01-25 2013-06-11 (주)무한에이앤디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KR101587163B1 (ko) * 2015-11-30 2016-01-20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1604116B1 (ko) * 2016-02-12 2016-03-16 (주)천일건축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1807251B1 (ko) * 2017-09-05 2017-12-11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단열재 고정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095B1 (ko) * 2018-03-26 2018-08-23 김환성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1958391B1 (ko) * 2018-09-13 2019-07-04 주식회사 우영에스티 기어형 고정체를 갖는 먹줄 병
CN110217694A (zh) * 2019-06-17 2019-09-10 浙江安格鲁传动系统有限公司 一种用于皮带成型模具的吊具
CN110217694B (zh) * 2019-06-17 2023-12-01 浙江安格鲁传动系统有限公司 一种用于皮带成型模具的吊具
CN112482596A (zh) * 2020-12-08 2021-03-12 湖北长欣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框剪结构外墙应用装配式结构自保温条板
KR20220086446A (ko) 2020-12-16 2022-06-23 신승정밀 주식회사 적응형 단열재 고정장치
KR102394232B1 (ko) 2021-07-14 2022-05-04 (주)플랜에이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CN114704079A (zh) * 2022-03-22 2022-07-05 浙江均泰建设有限公司 一种铝模板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014B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US5688428A (en) Holder for vertical steel rebar
US5216862A (en) Concrete dowel placement sleeves
US5487249A (en) Dowel placement apparatus for monolithic concrete pour and method of use
KR101656247B1 (ko) 요철 슬라이드 단열재 고정 유지구
EP0489988A1 (en) Concrete dowel placement sleeves
US20130269277A1 (en) Masonry Insulation and Siding Connector
KR101777189B1 (ko) 옹벽용 슬라이드식 단열재 간격조절구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
EP3056634B1 (en) Concrete anchor
US1954788A (en) Mold for forming apertures in concrete construction
KR101807251B1 (ko) 공동주택용 단열재 고정구
KR200427895Y1 (ko)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
KR20090126407A (ko) 콘크리트 매설용 인서트
KR20190019654A (ko) 폼타이에 결합되는 거푸집 고정구
KR101643398B1 (ko)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고정장치
KR20090019232A (ko)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US9393942B2 (en) Composite spring retainer and method of assembly in a brake master cylinder
US265745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tie rods for concrete wall forms
KR20150120074A (ko) 말뚝압입장치 및 압입말뚝공법
KR101370702B1 (ko) 자동으로 길이조절이 되면서 견고한 고정설치가 되는 관통슬리브
KR20070042937A (ko) 판상단열재용 고정구
US1547169A (en) Insert for concrete construction
JPH041203Y2 (ko)
JP4860402B2 (ja) アンカー
KR102234356B1 (ko) 슬라브용 입상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