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232B1 -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232B1
KR102394232B1 KR1020210092000A KR20210092000A KR102394232B1 KR 102394232 B1 KR102394232 B1 KR 102394232B1 KR 1020210092000 A KR1020210092000 A KR 1020210092000A KR 20210092000 A KR20210092000 A KR 20210092000A KR 102394232 B1 KR102394232 B1 KR 102394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ing member
insulating material
fixture
wall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성보
이배원
Original Assignee
(주)플랜에이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랜에이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플랜에이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092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벽체의 삽입공간에 장착되고, 끝단에는 벽체에 지지되는 고정 날개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벽체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벽체 고정구; 상기 벽체 고정구의 벽체 장착공간에 삽입되고, 중공형상으로 내면에는 내면 나선결합부가 형성되며, 일 단에는 상기 벽체 고정구의 걸림홈에 지지 및 고정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수평 고정구; 상기 수평 고정구의 내면 나선결합부에 외면에 형성되는 외면 나선결합부가 체결되고, 끝단에는 지지 날개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내면 나선결합부가 형성되는 단열재 간격조절구; 중공형상으로 단열 상하부재로 분리형성되고, 상기 벽체 고정구와 단열재 간격조절구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단열재 완충구; 중공형상으로 고정상하부재로 분리형성되면서 단열재 완충구의 외면을 감싸며, 상기 벽체 고정구와 단열재 간격조절구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양측 끝단에는 벽체 고정구와 단열재 간격조절구에 체결구를 통해 각각 고정되는 지지구 날개부가 형성되는 단열재 고정구; 상기 단열재 간격조절구의 내면 나선결합부에 외면에 형성되는 외면 나선결합부가 결합되고 끝단에는 지지 날개부가 형성되는 마감재 간격조절구; 중공형상으로 마감 상하부재로 분리형성되고, 상기 단열재 간격유지구와 마감재 간격조절구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마감재 완충구; 중공형상으로 지지상하부재로 분리형성되면서 마감재 완충구의 외면을 감싸며, 상기 단열재 간격조절구와 마감재 간격조절구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양측 끝단에는 단열재 간격조절구와 마감재 간격조절구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지지구 날개부가 형성되는 마감재 지지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Insulation fixing apparatus for apartment building}
본 발명은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재와 마감재의 두께와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열재란, 각종 건축물의 실내나 외벽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실내 공간에서 열이 손실되거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단열재는, 열의 손실이나 열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나, 대개는 설치가 이루어지는 벽체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종래에는 건축물의 단열을 위하여 판 형태의 보드형 단열재가 많이 사용되어 왔던 것이며, 이러한 보드형 단열재를 건축물의 실내나 외벽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건축물의 단열 효과를 높임은 물론이고, 건축물의 실내 공간으로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여 각종 곰팡이를 예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보드형 단열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벽체와 단열재의 결합력을 높일수 있는 단열재 고정장치 등이 사용되어 왔다.
일례로, 종래의 단열재 고정장치는 벽체에 설치된 단열재가 벽체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할 수 있는 단열재 고정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단열재 고정장치는 벽체와 단열재의 결합을 용이하게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벽체에 결합되는 단열재의 두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벽체와 단열재의 결합을 이루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고 제10-127159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701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열재의 두께와 마감재의 두께에 따라 단열재 간격조절구와 마감재 간격조절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는 벽체의 삽입공간에 장착되고, 끝단에는 벽체에 지지되는 고정 날개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벽체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벽체 고정구; 상기 벽체 고정구의 벽체 장착공간에 삽입되고, 중공형상으로 내면에는 내면 나선결합부가 형성되며, 일 단에는 상기 벽체 고정구의 걸림홈에 지지 및 고정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수평 고정구; 상기 수평 고정구의 내면 나선결합부에 외면에 형성되는 외면 나선결합부가 체결되고, 끝단에는 지지 날개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내면 나선결합부가 형성되는 단열재 간격조절구; 중공형상으로 단열 상하부재로 분리형성되고, 상기 벽체 고정구와 단열재 간격조절구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단열재 완충구; 중공형상으로 고정상하부재로 분리형성되면서 단열재 완충구의 외면을 감싸며, 상기 벽체 고정구와 단열재 간격조절구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양측 끝단에는 벽체 고정구와 단열재 간격조절구에 체결구를 통해 각각 고정되는 지지구 날개부가 형성되는 단열재 고정구; 상기 단열재 간격조절구의 내면 나선결합부에 외면에 형성되는 외면 나선결합부가 결합되고 끝단에는 지지 날개부가 형성되는 마감재 간격조절구; 중공형상으로 마감 상하부재로 분리형성되고, 상기 단열재 간격유지구와 마감재 간격조절구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마감재 완충구; 중공형상으로 지지상하부재로 분리형성되면서 마감재 완충구의 외면을 감싸며, 상기 단열재 간격조절구와 마감재 간격조절구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양측 끝단에는 단열재 간격조절구와 마감재 간격조절구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지지구 날개부가 형성되는 마감재 지지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 고정구, 단열재 간격조절구, 마감재 간격조절구가 맞닿는 부분에 핀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핀 결합공에는 고정핀이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 고정구의 끝단과 단열재 간격조절구의 지지 날개부의 사이에는 간격 유지구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는 단열재의 두께와 마감재의 두께에 따라 단열재 간격조절구와 마감재 간격조절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벽체 고정구와 수평 고정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단열재 간격조절구와 마감재 간격조절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벽체 고정구와 수평 고정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단열재 간격조절구와 마감재 간격조절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인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10)는 벽체 고정구(20), 수평 고정구(30), 단열재 간격조절구(40), 단열재 완충구(50), 단열재 고정구(60), 마감재 간격조절구(70), 마감재 완충구(80), 마감재 고정구(90)를 포함한다.
상기 벽체 고정구(20)는 벽체의 삽입공간에 장착된다.
즉, 상기 벽체 고정구(20)는 벽체(1)에 형성되는 삽입공간에 각각 장착되어,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10)를 고정 및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벽체 고정구(20)는 일단이 개방되는 원통형상으로 끝단에 벽체에 지지되는 고정 날개부(2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걸림홈(26)이 형성된 벽체 장착공간(24)이 형성된다.
즉, 상기 벽체 고정구(20)는 벽체 장착공간(24)에 형성되는 걸림홈(26)을 통해 수평 고정구(30)와 고정 및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벽체 장착공간(24)의 내부에는 수평 고정구(30)의 회전작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멈춤돌기(미도시) 또는 공지된 지지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수평 고정구(30)는 벽체 고정구(20)의 벽체 장착공간(24)에 삽입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고정구(30)는 중공형상으로 내면에 내면 나선결합부(32)가 형성되며 일 단에는 상기 벽체 고정구(20)의 걸림홈(26)에 지지 및 고정되는 걸림돌기(3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수평 고정구(30)는 벽체 고정구(20)의 걸림홈(26)에 걸림돌기(34)가 끼움 결합되고, 내면에 형성되는 내면 나선결합부(32)를 통해 단열재 간격조절구(40)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 단열재 간격조절구(40)는 수평 고정구(30)와 결합된다.
즉, 상기 단열재 간격조절구(40)는 수평 고정구(30)와 나선결합된 후 단열재(3)의 두께와 따라 길이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 간격조절구(40)는 상기 수평 고정구(30)의 내면 나선결합부(32)에 외면에 형성되는 외면 나선결합부(42)가 체결되고, 끝단에는 지지 날개부(44)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내면 나선결합부(46)가 형성된다.
즉, 상기 단열재 간격조절구(40)는 외면 나선결합부(42)를 통해 수평 고정구(30)와 결합하고, 내면 나선결합부(46)를 통해 마감재 간격조절구(70)와 결합하며, 지지 날개부(44)를 통해 단열재(3)를 간접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단열재 완충구(50)는 수평 고정구(30)의 외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 완충구(5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며, 중공형상으로 단열 상하부재(51, 52)로 분리형성되고, 상기 벽체 고정구(20)와 단열재 간격조절구(4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즉, 상기 단열재 완충구(50)는 수평 고정구(30)의 외면에 장착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 및 감소시키면서도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열 상하부재(51, 52)는 맞닿는 부분으로 공지된 끼움 홈과 끼움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원활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열재 고정구(60)는 단열재 완충구(50)의 외면을 감싸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 고정구(60)는 중공형상으로 고정상하부재(61, 62)로 분리형성되며, 상기 벽체 고정구(20)와 단열재 간격조절구(3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양측 끝단에는 벽체 고정구(20)와 단열재 간격조절구(30)에 체결구를 통해 각각 고정되는 지지구 날개부(63)가 형성된다.
즉, 상기 단열재 고정구(60)는 벽체 고정구(20)와 단열재 간격조절구(3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면서 상기 단열재 완충구(50)를 감싸며, 상기 지지구 날개부(63)가 이웃하는 벽체 고정구(20) 또는 단열재 간격조절구(30)와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열재 간격조절구(30)와 결합되는 지지구 날개부(63)는 마감재 고정구(90)와 함께 체결구를 통해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열재 고정구(6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구 공간(64)은 단열재(3)의 두께에 맞춰 형성되고, 틈새가 발생할 경우에는 공지된 반원 형상의 플레이트를 통해 고정하게 된다.
상기 마감재 간격조절구(70)는 단열재 간격조절구(40)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마감재 간격조절구(70)는 외면에 나선결합부(72)가 형성되고, 끝단에는 지지 날개부(74)가 형성된다.
즉, 상기 마감재 간격조절구(70)는 외면 나선결합부(72)를 통해 단열재 간격조절구(40)와 결합하고, 끝단에 형성되는 지지 날개부(74)를 통해 마감재(5)를 간접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마감재 완충구(80)는 마감재 간격조절구(70)의 외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 완충구(8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며, 중공형상으로 마감 상하부재(81, 82)로 분리형성되고, 상기 단열재 간격유지구(40)와 마감재 간격조절구(7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즉, 상기 마감재 완충구(80)는 마감재 간격조절구(70)의 외면에 장착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 및 감소시키면서도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감 상하부재(81, 82)는 맞닿는 부분으로 공지된 끼움 홈과 끼움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원활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감재 고정구(90)는 마감재 완충구(80)의 외면을 감싸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 고정구(90)는 중공형상으로 지지상하부재(91, 92)로 분리형성되며, 상기 단열재 간격조절구(40)와 마감재 간격조절구(7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양측 끝단에는 단열재 간격조절구(40)와 마감재 간격조절구(70)에 체결구를 통해 각각 고정되는 지지구 날개부(93)가 형성된다.
즉, 상기 마감재 고정구(90)는 단열재 간격조절구(40)와 마감재 간격조절구(7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면서 상기 마감재 완충구(80)를 감싸며, 상기 지지구 날개부(93)가 이웃하는 단열재 간격조절구(40) 또는 마감재 간격조절구(70)와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감재 고정구(9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구 공간(94)은 마감재(5)의 두께에 맞춰 형성되고, 틈새가 발생할 경우에는 공지된 반원 형상의 플레이트를 통해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10)는 도시된 도 6과 같이 수평 고정구(30), 단열재 간격조절구(40), 마감재 간격조절구(7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 고정구(30), 단열재 간격조절구(40), 마감재 간격조절구(70)가 맞닿는 부분에 핀 결합공(36, 48, 76)을 형성하고, 상기 핀 결합공(36, 48, 76)에 고정핀(110)이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핀 결합공(36, 48, 76)은 고정핀(110)의 원활한 결합을 위하여 외면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벽체(1)의 삽입공간으로 원통형상으로 끝단으로 벽체(1)에 지지되는 고정 날개부(2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걸림홈(26)이 형성된 벽체 장착공간(24)이 형성되는 벽체 고정구(2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벽체 고정구(20)의 벽체 장착공간(24)에 중공형상으로 내면에 내면 나선결합부(32)가 형성되며 일 단에는 상기 벽체 고정구(20)의 걸림홈(26)에 지지 및 고정되는 걸림돌기(34)가 형성되는 수평 고정구(3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 고정구(30)로 내면 나선결합부(32)에 외면에 형성되는 외면 나선결합부(42)가 체결되고, 끝단에는 지지 날개부(44)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내면 나선결합부(46)가 형성되는 단열재 간격조절구(4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수평 고정구(30)와 단열재 간격조절구(40)는 먼저 결합된 상태에서 단열재(3)의 두께에 따라 길이조절된 후 상기 벽체 고정구(20)에 수평 고정구(3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고정구(30)의 외면에 중공형상으로 단열 상하부재(51, 52)로 분리형성되고, 상기 벽체 고정구(20)와 단열재 간격조절구(4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단열재 완충구(5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수평 고정구(30)의 끝단과 단열재 간격조절구(40)의 지지 날개부(44)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간격 유지구(100)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열재 완충구(50)의 외면에 중공형상으로 고정상하부재(61, 62)로 분리형성되면서 단열재 완충구(50)의 외면을 감싸며, 상기 벽체 고정구(20)와 단열재 간격조절구(3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양측 끝단에는 벽체 고정구(20)와 단열재 간격조절구(30)에 체결구를 통해 각각 고정되는 지지구 날개부(63)가 형성되는 단열재 고정구(6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 간격조절구(40)의 내면 나선결합부(46)에 외면에 형성되는 외면 나선결합부(72)가 결합되고 끝단에는 지지 날개부(74)가 형성되는 마감재 간격조절구(7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단열재 간격조절구(40)와 마감재 간격조절구(70)는 먼저 결합된 상태에서 마감재(5)의 두께에 따라 길이조절된 후 상기 수평 고정구(30)에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마감재 간격조절구(70)의 외면에 중공형상으로 마감 상하부재(81, 82)로 분리형성되고, 상기 단열재 간격유지구(40)와 마감재 간격조절구(7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마감재 완충구(8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 완충구(80)의 외면에 중공형상으로 지지상하부재(91, 92)로 분리형성되며, 상기 단열재 간격조절구(40)와 마감재 간격조절구(7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양측 끝단에는 단열재 간격조절구(40)와 마감재 간격조절구(70)에 체결구를 통해 각각 고정되는 지지구 날개부(93)가 형성되는 마감재 고정구(90)를 장착하면,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10)를 장착한 후 상기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10)의 사이에 단열재(3)와 마감재(5)를 장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벽체 3 : 단열재
5 : 마감재
10 :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20 : 벽체 고정구 22 : 고정 날개부
24 : 벽체 장착공간 26 : 걸림홈
30 : 수평 고정구 32 : 내면 나선결합부
34 : 걸림돌기 36 : 핀 결합공
40 : 단열재 간격조절구 42 : 외면 나선결합부
44 : 지지 날개부 46 : 내면 나선결합부
48 : 핀 결합공
50 : 단열재 완충구 51 : 단열 하부재
52 : 단열 상부재
60 : 단열재 고정구 61 : 고정하부재
62 : 고정상부재 63 : 지지구 날개부
64 : 고정구 공간
70 : 마감재 간격조절구 72 : 외면 나선결합부
74 : 지지 날개부 76 : 핀 결합공
80 : 마감재 완충구 81 : 마감 하부재
82 : 마감 상부재
90 : 마감재 고정구 91 : 지지하부재
92 : 지지상부재 93 : 지지구 날개부
94 :고정구 공간
100 : 간격 유지구 110 : 고정핀

Claims (3)

  1. 벽체의 삽입공간에 장착되고, 끝단에는 벽체에 지지되는 고정 날개부(2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걸림홈(26)이 형성된 벽체 장착공간(24)이 형성되는 벽체 고정구(20);
    상기 벽체 고정구(20)의 벽체 장착공간(24)에 삽입되고, 중공형상으로 내면에는 내면 나선결합부(32)가 형성되며, 일 단에는 상기 벽체 고정구(20)의 걸림홈(26)에 지지 및 고정되는 걸림돌기(34)가 형성되는 수평 고정구(30);
    상기 수평 고정구(30)의 내면 나선결합부(32)에 외면에 형성되는 외면 나선결합부(42)가 체결되고, 끝단에는 지지 날개부(44)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내면 나선결합부(46)가 형성되는 단열재 간격조절구(40);
    중공형상으로 단열 상하부재(51, 52)로 분리형성되고, 상기 벽체 고정구(20)와 단열재 간격조절구(4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단열재 완충구(50);
    중공형상으로 고정상하부재(61, 62)로 분리형성되면서 단열재 완충구(50)의 외면을 감싸며, 상기 벽체 고정구(20)와 단열재 간격조절구(4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양측 끝단에는 벽체 고정구(20)와 단열재 간격조절구(40)에 체결구를 통해 각각 고정되는 지지구 날개부(63)가 형성되는 단열재 고정구(60);
    상기 단열재 간격조절구(40)를 구성하는 내면 나선결합부(46)에 외면에 형성되는 외면 나선결합부(72)가 결합되고 끝단에는 지지 날개부(74)가 형성되는 마감재 간격조절구(70);
    중공형상으로 마감 상하부재(81, 82)로 분리형성되고, 상기 단열재 간격조절구(40)와 마감재 간격조절구(7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마감재 완충구(80);
    중공형상으로 지지상하부재(91, 92)로 분리형성되며, 상기 단열재 간격조절구(40)와 마감재 간격조절구(7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양측 끝단에는 단열재 간격조절구(40)와 마감재 간격조절구(70)에 체결구를 통해 각각 고정되는 지지구 날개부(93)가 형성되는 마감 고정구(9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고정구(30), 단열재 간격조절구(40), 마감재 간격조절구(70)가 맞닿는 부분에 핀 결합공(36, 48, 76)이 형성되고, 상기 핀 결합공(36, 48, 76)에는 고정핀(11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고정구(30)의 끝단과 단열재 간격조절구(40)의 지지 날개부(44)의 사이에는 간격 유지구(100)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20210092000A 2021-07-14 2021-07-14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2394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000A KR102394232B1 (ko) 2021-07-14 2021-07-14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000A KR102394232B1 (ko) 2021-07-14 2021-07-14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232B1 true KR102394232B1 (ko) 2022-05-04

Family

ID=8158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000A KR102394232B1 (ko) 2021-07-14 2021-07-14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2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597B1 (ko) 2013-01-25 2013-06-11 (주)무한에이앤디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KR101406142B1 (ko) * 2013-08-26 2014-06-27 원진홈플랜(주) 건축구조물의 마감패널 고정구
KR20140112030A (ko) * 2011-12-21 2014-09-22 제임스 하디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파사드 시스템
KR101857014B1 (ko) 2018-01-08 2018-05-11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KR102258274B1 (ko) * 2020-07-10 2021-05-28 황병선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2030A (ko) * 2011-12-21 2014-09-22 제임스 하디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파사드 시스템
KR101271597B1 (ko) 2013-01-25 2013-06-11 (주)무한에이앤디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KR101406142B1 (ko) * 2013-08-26 2014-06-27 원진홈플랜(주) 건축구조물의 마감패널 고정구
KR101857014B1 (ko) 2018-01-08 2018-05-11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KR102258274B1 (ko) * 2020-07-10 2021-05-28 황병선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5532Y1 (ko) 커튼 월 창틀의 구조
KR200440844Y1 (ko) 유리 취부용 프레임
US20200063430A1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101515956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고정재 시공방법
KR101344734B1 (ko) 단열재가 내장된 커튼월
KR102394232B1 (ko)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1080710B1 (ko) 불연속적인 구조체를 활용한 단열 커튼월 시스템
KR20200068834A (ko) 단열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킨 커튼월 유리받침대의 조립구조
KR101730951B1 (ko)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
KR102025822B1 (ko) 커튼월 유닛 및 그의 설치구조
KR102133944B1 (ko)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306968B1 (ko) 지지블럭의 조립에 의한 압출성형 내부칸막이 벽체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44767Y1 (ko) 창틀 지지대
KR102151961B1 (ko) 커튼월
KR102028898B1 (ko)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KR102168892B1 (ko) 단열성을 향상시킨 커튼월 시스템용 창틀 조립체
CN112854547B (zh) 一种墙体安装结构
KR102025879B1 (ko) 난간
KR101975700B1 (ko) 가변형 마감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개보수창
KR101331142B1 (ko) 창호 프레임
KR101818444B1 (ko) 창문 프레임 결합 구조
KR100626976B1 (ko) 건축용 외벽 마감재 설치구조
KR200279187Y1 (ko) 새시 프레임 연결구조
KR102501274B1 (ko)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KR102402687B1 (ko)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및 이것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