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993B1 - 차량용 안전 반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반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 반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반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993B1
KR101856993B1 KR1020170089895A KR20170089895A KR101856993B1 KR 101856993 B1 KR101856993 B1 KR 101856993B1 KR 1020170089895 A KR1020170089895 A KR 1020170089895A KR 20170089895 A KR20170089895 A KR 20170089895A KR 101856993 B1 KR101856993 B1 KR 101856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vehicle
cylinder
reflect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익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9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용 안전 반사판은, 차량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차량 후방에 배치되는 실린더; 일단이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며, 압력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로드(rod); 상기 로드의 타단에 결합된 반사체; 상기 로드의 일 영역에 결합된 누름뭉치; 및 상기 로드가 상기 실린더 내로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누름뭉치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경보음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안전 반사판을 차량 후방에 설치하게 되면, 화물차량의 야간 운행 시 등과 같이 차간 거리의 식별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에 있어서 뒤 차량이 운전미숙 또는 졸음운전 등으로 인해 앞 차량의 안전반사판에 부딪쳤을 때 외부로 큰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써, 더 큰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안전 반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반사 장치 { REFLECTOR PLATE FOR VEHICLE SAFETY AND REFLECING APPARATUS FOR VEHICLE SAFETY COMPRISING THE SAME }
실시예들은 차량용 안전 반사판과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반사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후방에 실린더를 통해 차량 프레임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반사체를 설치하고 반사체에 충격이 가해지면 실린더에 의해 반사체가 밀리면서 경보음을 발생시켜 더 큰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화물차량은 일반 승용차량과 비교하여 차량의 길이, 구조 및 차대 높이 등이 상이하므로, 시야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상황일 경우 뒤의 차량이 앞의 화물차량과의 거리를 정확하게 식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특히, 도로에서 화물차량의 비율이 증가하는 밤부터 새벽 시간대 야간 운행의 경우 뒤의 차량이 거리 식별에 실패하여 앞의 화물차량에 추돌하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뒤 차량의 운전자가 운전미숙 또는 졸음운전에 해당하는 경우 이러한 사고 위험은 더욱 증가한다.
앞의 차량과의 거리 식별을 돕기 위한 종래의 장치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199560호는 운송수단에 연결되는 트레일러에 있어서 번호판이 부착된 판넬(panel)에 반사판을 부착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번호판이 부착되는 판넬은 부피 및 무게가 상당하므로 번호판과 반사판의 지지를 위하여 다수의 지지대를 필요로 하며,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199560호에 개시된 판넬은 수동레일 방식으로 조작하게 되어 있어 충격을 받으면 정상적인 동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99560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물차량의 야간 운행 시 등 차간 거리의 식별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에 있어서 뒤차의 앞차 추돌로 인한 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차량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차량용 안전 반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반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반사판은, 차량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차량 후방에 배치되는 실린더; 일단이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며, 압력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로드(rod); 상기 로드의 타단에 결합된 반사체; 상기 로드의 일 영역에 고정된 누름뭉치; 및 상기 로드가 상기 실린더 내로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누름뭉치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경보음 스위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누름뭉치는 상기 로드의 타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다. 또한, 상기 누름뭉치는 상기 로드의 타단에 비해 상기 로드의 일단에 더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반사판은, 상기 로드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반사체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반사판은, 상기 실린더 내의 상기 로드의 삽입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프레임 내에서 연장되는 도선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린더에 무선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린더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프레임 내로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트심 형태로 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누름뭉치는 상기 볼트심 형태로 된 부분에 결합된 너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안전 반사판을 복수 개 포함하여 차량용 안전 반사 장치를 구성한다. 이때, 복수 개의 차량용 안전 반사판은, 각각의 차량용 안전 반사판에서 상기 실린더 내로 상기 로드가 삽입된 길이 또는 상기 로드에서 상기 누름뭉치가 고정된 위치 중 하나 이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안전 반사판을 이용하면, 화물차량의 야간 운행 시 등과 같이 차간 거리의 식별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에 있어서 뒤 차량이 운전미숙 또는 졸음운전 등으로 인해 앞 차량의 안전반사판에 부딪쳤을 때 외부로 큰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써 더 큰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안전 반사판은 종래의 번호판과 반사판이 부착된 판넬(panel)에 비해 무게 및 부피가 훨씬 적고, 에어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충격에 강하며, 수동 조작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에서 스위치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 제어기를 이용한 작동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반사판이 차량에 설치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본 명세서에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section)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반사판이 차량에 설치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반사판은 실린더(20), 경보음 스위치(30), 로드(rod)(40), 누름뭉치(50) 및 반사체(70)를 포함한다. 실린더(20)는 차량(1)의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차량(1) 후방에 배치된다. 차량(1)은 바람직하게는 화물차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안전 반사판은 일반 승용차량, SUV(Sports Utility Vehicle), 트럭과 같은 화물차량, 별도의 주행수단에 연결되어 운반되는 트레일러 또는 이륜차량 등 도로에서 주행 가능한 임의의 종류의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로드(40)는 일단이 실린더(20)에 결합되어 압력이 인가될 경우 실린더(20)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로드(40)의 타단에는 반사체(70)가 결합되며, 반사체(70)는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빛을 반사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로드(4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이나 다각 기둥 형태의 금속 바(ba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린더(20)에 결합된 로드(40)의 일단에는 경보음 스위치(30)가 배치된다. 또한, 로드(40)의 일 영역에는 누름뭉치(50)가 고정된다. 누름뭉치(50)는 로드(40) 상에서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로드(4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로드(4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트심 형태를 가지며, 누름뭉치(50)는 볼트심 형태의 로드(40)에 결합되는 너트일 수 있다. 그러나, 누름뭉치(50)의 고정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누름뭉치(50)는 다른 상이한 방식으로 로드(40)에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누름뭉치(50)는 금속 등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누름뭉치(50)는 로드(40)의 일 영역에 고정되어, 압력에 의하여 로드(40)가 실린더(20) 내로 삽입되는 경우 삽입 길이만큼 실린더(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강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 누름뭉치(50)가 경보음 스위치(30)를 눌러 작동시키게 된다. 경보음 스위치(30)는 누름뭉치(50)에 의해 눌려 작동될 경우 뒤의 차량에서 들을 수 있을 정도의 큰 경보음을 외부로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음향 발생 회로 및 누름뭉치(50)가 특정 위치까지 인접하였을 경우 상기 회로를 도통시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 또는 오토리버스 스위치(auto-reverse switch)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용 안전 반사판은 제어기(80)를 더 포함한다. 제어기(80)는,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통상의 상태에서 실린더(20) 내로 삽입되는 로드(40)의 삽입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실린더(20)는 제어 신호를 전기적으로 입력받아 동작하는 에어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으며, 제어기(80)는 차량(1)의 프레임(10) 내에서 연장되는 도선을 통해 실린더(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80)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설치된 차량 제어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제어기(80)는 실린더(20)에 무선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차량(1)의 운전자는, 제어기(80)를 이용함으로써 통상 상태에서 로드(40)가 실린더(20)로부터 얼마나 뻗어나와 있도록 할 것인지를 제어할 수 다. 차량(1)의 프레임(10)의 후방으로부터 로드(40)의 단부에 결합된 반사체(70)까지의 거리가 뒤차의 직접 추돌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거리에 해당하므로, 예를 들면, 차량(1)의 운전자는 자신이 판단하기에 상대적으로 차간 추돌 우려가 있는 주행 환경에서는 로드(40)가 실린더(20)로부터 더 길게 뻗어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차간 추돌 우려가 적은 주행 환경에서는 로드(40)가 실린더(20) 내로 많이 삽입되어 외부로는 더 적게 뻗어나도록 제어기(80)를 이용하여 실린더(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80)는 차량의 이동 속도 감시 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전술한 로드(40)의 삽입 길이 제어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차량(1)의 이동 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빠를 경우 로드(40)가 실린더(20)로부터 더 길게 뻗어나도록 하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차량(1)의 이동 속도가 일정 수준 미만으로 늦을 경우 로드(40)가 실린더(20) 내로 많이 삽입되어 외부로는 더 적게 뻗어나도록 제어기(80)가 실린더(20)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또는, 그와 반대로 차량(1)의 이동 속도가 느릴수록 로드(40)가 실린더(20)로부터 더 길게 뻗어나가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기(80)는 차량 제어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1)의 시동 여부에 따라 로드(40)가 실린더(20) 내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기(80)는 차량(1)의 시동이 개시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로드(40)가 실린더(20)로부터 길게 뻗어나오도록 실린더(20)를 제어하여 주행 시 안전을 확보하고, 차량(1)의 시동이 꺼지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로드(40)를 최대한 실린더(20) 내로 삽입함으로써 운행 중이 아닐 경우에는 로드(40)가 가능한 실린더(20) 내로 수납되어 공간을 적게 차지하도록 실린더(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실린더(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량(1)의 프레임(1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실린더(20)에는 로드(40)의 일단이 삽입되고, 로드(40)의 타단에는 반사체(70)가 결합된다. 누름뭉치(50)는 반사체(70)가 위치하는 로드(40)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다. 반사체(70)는 뒤의 차량의 전조등에서 비추어지는 빛을 반사함으로써 뒤의 차량에서 차량(1) 및 차량(1)까지의 거리를 식별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용 안전 반사판은 지지판(60)을 더 포함한다. 지지판(60)은 로드(40)의 단부에 결합되며, 반사체(70)가 지지판(60)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로드(4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지지판(60)은 평판 형태의 금속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사체(70)가 복수 개일 경우, 지지판(60) 또한 반사판(70)의 개수에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반사체(70)에도 불구하고 뒤의 차량이 운전미숙 또는 졸음운전 등으로 인해 차량(1)까지의 거리를 인지하지 못하고 반사체(70)에 추돌하면, 추돌 시의 압력에 의하여 로드(40)가 실린더(20) 내로 삽입되면서 누름뭉치(50)가 경보음 스위치(30)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누름뭉치(50)가 경보음 스위치(30)를 도통시킬 정도의 강한 압력이 가해지면, 경보음 스위치(30)가 작동하면서 뒤의 차량 실내의 운전자가 들을 수 있을 정도로 큰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누름뭉치(50)와 반사체(70) 사이는 충분한 이격 거리를 확보하여, 반사체(70)가 차량(1)의 프레임(10)에 접촉할 정도의 강한 압력이 가해지기 전에 누름뭉치(50)가 경보음 스위치(30)를 작동시켜 더 큰 사고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누름뭉치(50)는 반사체(70)가 결합된 로드(40)의 단부에 비해 실린더(20)에 결합된 로드(40)의 단부 쪽으로 더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반사판 2개를 이용하여 차량용 안전 반사 장치를 구성하였다. 즉, 차량(1)의 후방에 2 개의 실린더(20)를 설치하여 2개의 로드(40)가 각각 지지판(60)을 지지하도록 하였으며, 2개의 로드(40) 각각에 경보음 스위치(30)를 설치하였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지지판(60) 상에는 반사체(70)가 위치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안전 반사 장치에서 실린더(20), 경보음 스위치(30), 로드(40), 지지판(60) 및 이에 설치된 반사체(70) 등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고, 특정 개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반사체(70)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반사체(70)는 차량(1)의 프레임(10)의 후방으로부터 서로 상이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외부 압력이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하나의 반사체(70)가 결합된 로드(40)가 이에 연결된 실린더(20) 내로 삽입된 길이와, 다른 반사체(70)가 결합된 로드(40)가 이에 연결된 실린더(20) 내로 삽입된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1)의 후방에서 서로 상이한 길이로 뻗어나온 두 개의 반사체(70)가 후방 차량에 빛을 반사하게 되므로 사고 예방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반사체(70)의 위치를 상이하게 하는 것과 병행하여 또는 이를 대체하여, 각각의 반사체(70)가 결합된 로드(40)에서 누름뭉치(50)가 고정된 위치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하나의 반사체(70)가 결합된 로드(40)에서는 누름뭉치(50)가 해당 경보음 스위치(30)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위치에 고정되고, 다른 반사체(70)가 결합된 로드(40)에서는 누름뭉치(50)가 해당 경보음 스위치(3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후방 차량에 의한 추돌이 발생하면 경보음 스위치(30)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누름뭉치(50)가 경보음 스위치(30)를 눌러 1차 경고음이 발생되며, 그래도 후방 차량이 정지하지 않으면 경보음 스위치(30)와 상대적으로 먼 누름뭉치(50)가 경보음 스위치(30)를 눌러 2차 경고음이 발생된다. 즉, 각각의 반사체(70)가 결합된 로드(40)에서 누름뭉치(50)의 고정 위치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단계별로 경고음이 발생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화물차량 10: 프레임
20: 실린더 30: 경보음 스위치
40: 로드 50: 누름뭉치
60: 지지판 70: 반사체
80: 제어기

Claims (10)

  1. 차량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차량 후방에 배치되는 실린더;
    일단이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며, 압력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로드;
    상기 로드의 타단에 결합된 반사체;
    상기 로드의 일 영역에 고정된 누름뭉치;
    상기 로드가 상기 실린더 내로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누름뭉치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경보음 스위치; 및
    상기 실린더 내의 상기 로드의 삽입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로드는 볼트심 형태로 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누름뭉치는, 상기 로드에 대한 상기 누름뭉치의 결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로드의 상기 볼트심 형태로 된 부분에 결합된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차량의 제어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차량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포함하고,
    차량의 시동 여부 또는 상기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차량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실린더 내의 상기 로드의 삽입 길이를 조절하도록 더 구성된 차량용 안전 반사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뭉치는 상기 로드의 타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차량용 안전 반사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뭉치는 상기 로드의 타단에 비해 상기 로드의 일단에 더 인접하여 위치하는 차량용 안전 반사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반사체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반사판.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프레임 내에서 연장되는 도선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는 차량용 안전 반사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린더에 무선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 차량용 안전 반사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프레임 내로 삽입되는 차량용 안전 반사판.
  9. 삭제
  10.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용 안전 반사판을 복수 개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차량용 안전 반사판은 상기 실린더 내로 상기 로드가 삽입된 길이 또는 상기 로드에서 상기 누름뭉치가 고정된 위치 중 하나 이상이 서로 상이한, 차량용 안전 반사 장치.
KR1020170089895A 2017-07-14 2017-07-14 차량용 안전 반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반사 장치 KR101856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895A KR101856993B1 (ko) 2017-07-14 2017-07-14 차량용 안전 반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반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895A KR101856993B1 (ko) 2017-07-14 2017-07-14 차량용 안전 반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반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993B1 true KR101856993B1 (ko) 2018-05-15

Family

ID=62186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895A KR101856993B1 (ko) 2017-07-14 2017-07-14 차량용 안전 반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반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99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1038B1 (de) Tragbares kommunikationsgerät, fahrerassistenzsystem mit einem tragbaren kommunikationsgerät und verfahren zum unterstützen eines fahrers beim führen eines fahrzeugs
CN102248944B (zh) 避免或减轻碰撞的方法、控制装置以及车辆
US8536994B2 (en) Vehicle warning systems and methods
US7489236B2 (en) Pedestrian alert system for vehicles
US9165460B2 (en) Pedestrian warning light system for vehicles with illumination in different directions
CN108327626B (zh) 用于机动车辆的声音警告信号检测
US20070152847A1 (en) Speed control system
DE102009048491A1 (de) Nachrüstsystem für ein Fahrzeug, Nachrüstkomponente und Verfahren zum Durchführen einer Funktion zur Fahrerunterstützung
US20070159319A1 (en) Warning Device and System
CN108657096B (zh) 用于车辆的后部碰撞防护装置
CZ20031238A3 (cs) Vozidlo se zařízením pro vizuální signalizaci
JP2011060113A (ja) 車両の衝突回避支援装置
WO2010064963A1 (en) A lane change assistance system
CN113561973B (zh) 驾驶员辅助系统及驾驶员辅助方法
CA2411035C (en) Towing carriage
JP5146288B2 (ja) 車両制御装置
KR101856993B1 (ko) 차량용 안전 반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반사 장치
EP3842293B1 (de) Aufprallschutzvorrichtung
JP3986907B2 (ja) 車両用警告装置
JP2009083772A (ja) 車両用警告装置
KR101250532B1 (ko) 완충구조를 갖는 가이드레일 장치
JP2008126760A (ja) 車両用フード跳ね上げ装置
US20140375444A1 (en) Bus stop signal
KR100655744B1 (ko) 차량 경보 장치
KR200395468Y1 (ko) 차량의 방향 지시등과 연동하는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5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