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702B1 - 냉장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냉장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702B1
KR101856702B1 KR1020160137363A KR20160137363A KR101856702B1 KR 101856702 B1 KR101856702 B1 KR 101856702B1 KR 1020160137363 A KR1020160137363 A KR 1020160137363A KR 20160137363 A KR20160137363 A KR 20160137363A KR 101856702 B1 KR101856702 B1 KR 101856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cooling
unit
dispos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931A (ko
Inventor
김지수
김종우
Original Assignee
김지수
김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수, 김종우 filed Critical 김지수
Priority to KR1020160137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7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liquids, e.g. br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6Packaging slices or specially-shaped pieces of meat, cheese, or other plastic or tacky products
    • B65B25/061Packaging slices or specially-shaped pieces of meat, cheese, or other plastic or tacky products of fish
    • B65B25/062Packaging slices or specially-shaped pieces of meat, cheese, or other plastic or tacky products of fish combined with its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6Packaging slices or specially-shaped pieces of meat, cheese, or other plastic or tacky products
    • B65B25/065Packaging slices or specially-shaped pieces of meat, cheese, or other plastic or tacky products of meat
    • B65B25/067Packaging slices or specially-shaped pieces of meat, cheese, or other plastic or tacky products of meat combined with its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4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1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particular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야채 및 과일 보관부(100)는 제1 본체(50)와; 야채 및 과일을 밀봉 포장하기 위한 밀봉 포장부(25)와; 밀봉 포장된 야채 및 과일을 보관하기 위한 제1 수납부(30)와; 제1 본체(50)에 냉각수를 냉각시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제1 냉각부(35)와; 상기 제1 냉각부(35)로부터 유입된 냉각수를 안내하기 위한 냉각수 안내부(45)와; 온도센서(33)로부터 감지된 온도를 수신받아 제1 냉각부(35)를 제어하여 제1 수납부(30)에 있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 제어부(55)로 구성되고, 고기 및 생선 보관부(200)는 제2 본체(150)와; 고기 및 생선을 진공 포장하기 위한 진공 포장부(125)와; 진공 포장된 고기 및 생선을 보관하기 위한 제2 수납부(130)와; 제2 본체(150)에 염도를 갖는 냉각수를 냉각시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제2 냉각부(135)와; 상기 제2 냉각부(135)로부터 유입된 염도를 갖는 냉각수를 안내하기 위하여 제2 본체(150)의 양측에 배치된 냉각수 안내부(145)와; 온도센서(133)로부터 감지된 온도를 수신받아 제2 냉각부(135)를 제어하여 제2 수납부(130)에 있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 제어부(155)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냉장 보관장치{Cold stor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냉장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채 및 과일은 야채 및 과일 보관부에서 밀봉 포장하여 소정의 온도로 냉각수에 냉장 보관하고, 고기 및 생선은 고기 및 생선 보관부에서 진공 포장하여 소정의 온도로 염도를 갖는 냉각수에 냉장 보관할 수 있는 냉장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장장치는 순환되는 냉각수가 내장되는 틀체를 구성하고, 이 틀체에 음료수병, 주류병 및 캔 등을 넣을 수 있는 제1 냉장실과 야채류 및 과일류 등을 넣을 수 있는 제2 냉장실을 단순히 구획하여 냉장을 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냉장장치를 개선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337호(특허문헌 1)에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제품 냉장 진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내측에 복수개의 수평 및 수직 프레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평 프레임의 전, 후면에 각기 형성된 경사판과, 수평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기 설치된 측면판을 구비한 수납부와; 냉각수를 냉각시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냉각부로부터 유입된 냉각수를 안내하기 위하여 본체의 양측에 교대로 설치된 냉각수 안내부와; 상기 수납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온도를 수신받아 냉각부를 제어하여 수납부에 있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납부는 세로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수용된 냉각수가 냉각수 안내부를 거쳐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제품 냉장 진열장치는 제품을 냉각수로 적정한 온도로 유지하여 병이나 캔과 같은 물품만을 냉장 보관하게 되므로 야채, 과일, 육류 및 생선 등은 보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은 다양한 종류의 야채, 과일, 육류 및 생선에 대하여 각각 서로 다른 온도로 보관할 수 없으므로 보관기간이 단축되는 문제점도 있다.
: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33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야채, 과일, 육류 및 생선을 서로 다른 온도로 냉장 보관할 수 있는 냉장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야채 및 과일을 밀봉 포장하여 냉각수에 소정온도로 유지하여 보관 기간을 늘릴 수 있고 아울러, 고기 및 생선을 진공 포장하여 염도를 갖는 냉각수에 소정온도로 유지하여 보관기간을 늘릴 수 있는 냉장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냉장 보관장치는 야채 및 과일 보관부와 고기 및 생선 보관부로 구성되고, 상기 야채 및 과일 보관부는 내측에 복수개의 수평 및 수직 프레임이 형성된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야채 및 과일을 밀봉 포장하기 위한 밀봉 포장부와; 상기 제1 본체의 수평 프레임에 배치되며, 밀봉 포장된 야채 및 과일을 보관하기 위한 제1 수납부와; 상기 제1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1 본체에 냉각수를 냉각시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제1 냉각부와; 상기 제1 냉각부로부터 유입된 냉각수를 안내하기 위하여 제1 본체의 양측에 배치된 냉각수 안내부와; 상기 제1 수납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온도를 수신받아 제1 냉각부를 제어하여 제1 수납부에 있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 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고기 및 생선 보관부는 내측에 복수개의 수평 및 수직 프레임이 형성된 제2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고기 및 생선을 진공 포장하기 위한 진공 포장부와; 상기 제2 본체의 수평 프레임에 배치되며, 진공 포장된 고기 및 생선을 보관하기 위한 제2 수납부와; 상기 제2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2 본체에 염도를 갖는 냉각수를 냉각시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제2 냉각부와; 상기 제2 냉각부로부터 유입된 염도를 갖는 냉각수를 안내하기 위하여 제2 본체의 양측에 배치된 냉각수 안내부와; 상기 제2 수납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온도를 수신받아 제2 냉각부를 제어하여 제2 수납부에 있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냉장 보관장치는 야채, 과일, 고기 및 생선을 밀봉 포장이나 진공 포장하여 냉각수나 염도를 갖는 냉각수에 냉장 보관하게 되므로 제품의 보관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냉장 보관장치는 야채, 과일, 고기 및 생선을 밀봉이나 진공 포장하게 되므로 장기간 보관시 부패가 발생하게 되면 외관상으로 제품의 부패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식중독과 같은 피해가 발생하지 않게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냉장 보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수납부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수납부에 설치된 냉각수 안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야채 및 과일 보관부의 밀봉 포장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고기 및 생선 보관부의 밀봉 포장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냉장 보관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냉장 보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채 및 과일 보관부(100)와, 고기 및 생선 보관부(200) 및 메인 제어부(30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상기 야채 및 과일 보관부(100)는 제1 본체(50)와, 밀봉 포장부(25)와, 제1 수납부(30)와, 제1 냉각부(35)와, 냉각수 안내부(45) 및 제1 제어부(55)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본체(50)는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되고, 그 내측에는 복수개의 복수개의 수평 및 수직 프레임(10,20)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 및 수직 프레임(10,20)의 개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제1 본체(50)의 전면에는 도어(52)를 설치하거나 에어 커튼(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밀봉 포장부(25)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50)의 상부에 배치되며, 야채(V) 및 과일(FT)을 밀봉 포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밀봉 포장부(2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의 프레임(160)과, 베이스 부재(170)와, 본체(180) 및 커터부(184)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사각형 형태의 프레임(160)은 제1 본체(50)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가 개방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사각형 형태의 프레임(160)은 본체(180)의 하부에 배치된 수납부(172)에 슬라이드 형태로 삽입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170)에는 사각형 형태의 프레임(160)의 내측에 과일 및 야채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162)가 배치되고, 상기 용기(162)에는 과일(FT)이나 야채(V)가 안착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170)는 양측에 각기 샤프트(171)가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171)는 내부가 개방된 사각형 형태의 프레임(160)의 홀(161)에 각기 끼워져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180)는 상부 내측에 간격을 두고 비닐(173)이 감져진 롤러(176)와 비닐(173)을 가이드 하는 롤러(178)가 배치되고, 하부에 베이스 부재(170)를 수납하는 수납부(172)가 배치된다. 상기 커터부(184)는 본체(180)의 전방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롤러(176,178)를 거쳐서 유입되는 비닐(173)을 절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커터부(184)는 상,하부에 복수개의 커터날(185)이 형성되어 비닐(173)을 절단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170)에 배치된 식품용기(162)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공급할 수도 있지만 스택커(19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식품용기(162)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택커(190)는 수납부(172)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택커(190)의 내측에는 식품용기(162)의 하부에 배치되어 식품용기(162)를 지지하는 지지체(192)와, 상기 지지체(192)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실린더(194)와, 상기 스택커(190)의 측면에 배치되어 식품용기(162)를 수평방향으로 밀어주는 푸셔(196)와, 상기 푸셔(196)를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실린더(198)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수납부(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포장된 야채(V) 및 과일(FT)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본체(50)의 수평 프레임(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태(직사각형이나 역사다리꼴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수납부(30)는 수평 프레임(10)의 전,후면에 각기 배치된 경사판(14,14)과, 수평 프레임(10)의 양측면에 각기 배치된 측면판(16,16)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1 수납부(30)의 내측에는 물품 지지부재(40)가 배치되고, 상기 물품 지지부재(40)는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가이드 바아(42)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바아(42)의 소정 부위에는 복수개의 연결 고리(44)가 배치되고, 상기 연결 고리(44)는 경사판(14)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홈(15)이나 홀(도시되지 않음)에 끼워져서 야채(V) 및 과일(FT)이 밀봉 포장된 식품용기(162)가 부력에 의해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 냉각부(3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50)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1 본체(50)에 냉각수를 냉각시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 냉각부(35)는 파이프(32)에 연결된 냉각수 투입밸브(34)를 거쳐서 복수개의 냉각수 안내부(45)에 냉각수를 냉각시켜 공급하여 순환시키게 된다. 상기 제1 냉각부(35)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증발기나 냉열판 등으로 이루어진 냉각장치나 실외기 또는 냉각탑 등을 적용하게 된다.
상기 냉각수 안내부(45)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냉각부(35)로부터 유입된 냉각수를 안내하기 위하여 제1 본체(50)의 양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냉각수 안내부(45)는 제1 수납부(30)의 측면판(16)으로 냉각수가 떨어지게 설치된다. 상기 냉각수 안내부(4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에 경사부(48)를 형성한 사각형 형태를 적용하게 된다. 상기 경사부(48)는 제1 수납부(30)의 내측으로 형성되므로 냉각수가 하부 방향으로 흐를 때 냉각수가 외부로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안내부(45)는 제1 본체(50)의 양측에 배치할 수도 있고, 제1 본체(50)의 양측에 교대로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제어부(55)는 제1 수납부(30)에 설치된 온도센서(33)로부터 감지된 온도를 수신받아 제1 냉각부(35)를 제어하여 제1 수납부(30)에 있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 제어부(55)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따라 제1 냉각부(35)를 제어하며 제1 수납부(30)에 담겨진 냉각수를 1.7℃ 내지 4.0℃의 범위 내로 유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고기 및 생선 보관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본체(150)와, 진공 포장부(125)와, 제2 수납부(130)와, 제2 냉각부(135)와, 냉각수 안내부(145) 및 제2 제어부(155)로 구성된다.
상기 제2 본체(150)는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되고, 그 내측에는 복수개의 복수개의 수평 및 수직 프레임(12,22)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 및 수직 프레임(12,22)의 개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제2 본체(150)는 제1 본체(50)와 마찬가지로 그 전면에는 도어(152)를 설치하거나 에어 커튼(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진공 포장부(125)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본체(150)의 상부에 배치되며, 고기 및 생선을 진공 포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진공 포장부(12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20)와, 가스켓(322)과, 개방부재(324)와, 커버부재(326)와, 진공펌프(328)와, 히터(332) 및 가압고무(334)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320)는 제2 본체(150)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챔버(312)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가스켓(322)은 챔버(312)의 주위(둘레)에 타원 형태로 배치되고, 커버부재(326)의 상면에도 배치된다. 상기 개방부재(324)는 베이스 부재(320)를 상,하 방향으로 개방하도록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부재(326)는 개방부재(324)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챔버(312)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진공펌프(328)는 챔버(312)의 일측(즉, 베이스 부재(320)의 내측 소정부위)에 배치되며, 비닐(373)에 생선(FH) 및 고기(M)를 넣고 진공 포장을 하도록 진공을 연결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거쳐서 챔버(312)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히터(332)는 베이스 부재(320)의 전방 상면에 장착된다. 상기 가압고무(334)는 커버부재(326)의 가스켓(322)의 일측에 배치되며 커버부재(326)의 하강시 히터(322)와 접하게 구성된다. 상기 가압고무(334)의 하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엠보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수납부(13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포장된 고기(M) 및 생선(FH)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제2 본체(150)의 수평 프레임(12)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태(직사각형이나 역사다리꼴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수납부(130)는 수평 프레임(12)의 전,후면에 각기 배치된 경사판(114,114)과, 수평 프레임(12)의 양측면에 각기 배치된 측면판(116,116)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2 수납부(130)의 내측에는 물품 지지부재(140)가 배치되고, 상기 물품 지지부재(140)는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가이드 바아(142)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바아(142)의 소정 부위에는 복수개의 연결 고리(144)가 배치되고, 상기 연결 고리(144)는 경사판(114)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홈(115)이나 홀(도시되지 않음)에 끼워져서 고기(M) 및 생선(FH)이 진공 포장된 식품용기(162)가 부력에 의해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2 냉각부(13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본체(150)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2 본체(150)에 염도를 갖는 냉각수를 냉각시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염도를 갖는 냉각수는 통상 물 1kg에 소금을 20 내지 40g의 비율로 희석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제2 냉각부(135)는 파이프(132)에 연결된 냉각수 투입밸브(134)를 거쳐서 복수개의 냉각수 안내부(145)에 염도를 갖는 냉각수를 냉각시켜 공급하여 순환시키게 된다. 상기 파이프(132)는 염도를 갖는 냉각수가 수용되므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코팅이 된 파이프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냉각부(135)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증발기나 냉열판 등으로 이루어진 냉각장치나 실외기 또는 냉각탑 등을 적용하게 된다.
상기 냉각수 안내부(145)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냉각부(135)로부터 유입된 염도를 갖는 냉각수를 안내하기 위하여 제2 본체(150)의 양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냉각수 안내부(145)는 제2 수납부(130)의 측면판(116)으로 염도를 갖는 냉각수가 떨어지게 설치된다. 상기 냉각수 안내부(14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에 경사부(148)를 형성한 사각형 형태를 적용하게 된다. 상기 경사부(148)는 제2 수납부(130)의 내측으로 형성되므로 염도를 갖는 냉각수가 하부 방향으로 흐를 때 냉각수가 외부로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안내부(145)는 제2 본체(150)의 양측에 배치할 수도 있고, 제2 본체(150)의 양측에 교대로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제어부(155)는 제2 수납부(130)에 설치된 온도센서(133)로부터 감지된 온도를 수신받아 제2 냉각부(135)를 제어하여 제2 수납부(130)에 있는 염도를 갖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2 제어부(155)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따라 제2 냉각부(135)를 제어하며 제2 수납부(130)에 담겨진 염도를 갖는 냉각수를 -1.0℃ 내지 4.0℃의 범위 내로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메인 제어부(300)는 상기 야채 및 과일 보관부(100)의 제1 제어부(55) 및 상기 고기 및 생선 보관부(200)의 제2 제어부(155)를 통합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냉장 보관장치의 동작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야채 및 과일 보관부(100) 및 고기 및 생선 보관부(200)에 냉각수 및 염도를 갖는 냉각수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야채 및 과일 보관부(100)의 제1 냉각부(35)로부터 파이프(32)와 냉각수 투입밸브(34)를 거쳐서 소정온도의 냉각수가 화살표 방향으로 냉각수 안내부(45)로 냉각수를 유입하게 되고, 유입된 냉각수는 제1 본체(50)의 맨 상부에 위치한 제1 수납부(30)로 유입된다.
상기 냉각수는 복수개의 제1 수납부(30)의 냉각수 안내부(45)를 거쳐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수납부(30)에 유입된 냉각수는 다른 제1 수납부(30)의 냉각수 안내부(45)를 경유하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수납부(30)의 내측에는 물품 지지부재(40)가 배치되어 야채(V) 및 과일(FT)을 보관하게 된다. 상기 야채(V) 및 과일(FT)은 물품 지지부재(40)에 의해 지지하게 되므로 제1 수납부(30)에 수용된 냉각수에서 부력에 의해 뜨지 않고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냉각수는 제1 제어부(55)에 의해 1.7℃ 내지 4.0℃의 범위로 유지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야채(V) 및 과일(FT)은 냉장고(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일반적으로 저장고에 저장하는 것에 비하여 밀봉 포장하여 제1 수납부(30)의 냉각수에 보관하게 되면 보관기간을 2배 내지 3배 이상 연장할 수 있다. 즉, 야채(V) 및 과일(FT)은 냉장고의 공기 중에 보관하는 것에 비하여 소정의 온도를 갖는 냉각수에 보관하게 되므로 온도변화가 적게되어 보관기간을 더 연장할 수 있다(상기 야채(V) 및 과일(FT)은 50일 이상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기 및 생선 보관부(200)의 제2 냉각부(135)로부터 파이프(132)와 냉각수 투입밸브(134)를 거쳐서 소정온도의 염도를 갖는 냉각수가 화살표 방향으로 냉각수 안내부(145)로 염도를 갖는 냉각수를 유입하게 되고, 유입된 염도를 갖는 냉각수는 제2 본체(150)의 맨 상부에 위치한 제2 수납부(130)로 유입된다.
상기 염도를 갖는 냉각수는 복수개의 제2 수납부(130)의 냉각수 안내부(145)를 거쳐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 수납부(130)에 유입된 염도를 갖는 냉각수는 다른 제2 수납부(130)의 냉각수 안내부(145)를 경유하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 수납부(130)의 내측에는 물품 지지부재(140)가 배치되어 고기(M) 및 생선(FH)을 보관하게 된다. 상기 고기(M) 및 생선(FH)은 물품 지지부재(140)에 의해 지지하게 되므로 제2 수납부(130)에 수용된 염도를 갖는 냉각수에서 부력에 의해 뜨지 않고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염도를 갖는 냉각수는 제2 제어부(155)에 의해 -1.0℃ 내지 4.0℃의 범위로 유지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5℃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고기(M) 및 생선(FH)은 전술한 야채(V) 및 과일(FT)과 마찬가지로 냉장고의 공기 중에 보관하는 것에 비하여 소정의 온도를 갖는 염도를 갖는 냉각수에 보관하게 되므로 온도변화가 적게 되어 보관기간을 더 연장할 수 있다(상기 고기(M) 및 생선(FH)은 120일 이상 보관할 수 있다). 또한, 고기(M) 및 생선(FH)은 너무 오래 보관하여 부패하게 되면(즉, 부패시 진공이 파괴된다) 고기 및 생선으로부터 가스가 나오면서 부풀어오르게 되므로 육안으로 제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의 온도는 메인 제어부(300)에서 수행하게 되며, 상기 야채 및 과일은 상기 야채 및 과일 보관부(100)의 제1 제어부(55)에서 수행하게 되고, 상기 고기 및 생선은 상기 고기 및 생선 보관부(200)의 제2 제어부(155)에서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 보관장치는 야채, 과일, 고기 및 생선을 냉각수나 염도를 갖는 냉각수에 냉장 보관하게 되므로 최적의 맛있는 제품 상태를 제공할 수 있고 아울러 제품의 보관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 보관장치은 야채, 과일은 물론 생선 및 육류 등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 보관장치 분야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25: 밀봉 포장부 30: 제1 수납부
35: 제1 냉각부 45: 냉각수 안내부
50: 제1 본체 100: 야채 및 과일 보관부
125: 진공 포장부 130: 제2 수납부
135: 제2 냉각부 145: 냉각수 안내부
150: 제2 본체 200: 고기 및 생선 보관부

Claims (8)

  1. 야채 및 과일 보관부(100)와 고기 및 생선 보관부(200)로 구성된 냉장 보관장치로서,
    상기 야채 및 과일 보관부(100)는 내측에 복수개의 수평 및 수직 프레임(10,20)이 형성된 제1 본체(50)와; 상기 제1 본체(50)의 상부에 배치되며, 야채 및 과일을 밀봉 포장하기 위한 밀봉 포장부(25)와; 상기 제1 본체(50)의 수평 프레임(10)에 배치되며, 밀봉 포장된 야채 및 과일을 보관하기 위한 제1 수납부(30)와; 상기 제1 본체(50)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1 본체(50)에 냉각수를 냉각시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제1 냉각부(35)와; 상기 제1 냉각부(35)로부터 유입된 냉각수를 안내하기 위하여 제1 본체(50)의 양측에 배치된 냉각수 안내부(45)와; 상기 제1 수납부(30)에 설치된 온도센서(33)로부터 감지된 온도를 수신받아 제1 냉각부(35)를 제어하여 제1 수납부(30)에 있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 제어부(55)로 구성되고,
    상기 고기 및 생선 보관부(200)는 내측에 복수개의 수평 및 수직 프레임(12,22)이 형성된 제2 본체(150)와; 상기 제2 본체(150)의 상부에 배치되며, 고기 및 생선을 진공 포장하기 위한 진공 포장부(125)와; 상기 제2 본체(150)의 수평 프레임(12)에 배치되며, 진공 포장된 고기 및 생선을 보관하기 위한 제2 수납부(130)와; 상기 제2 본체(150)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2 본체(150)에 염도를 갖는 냉각수를 냉각시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제2 냉각부(135)와; 상기 제2 냉각부(135)로부터 유입된 염도를 갖는 냉각수를 안내하기 위하여 제2 본체(150)의 양측에 배치된 냉각수 안내부(145)와; 상기 제2 수납부(130)에 설치된 온도센서(133)로부터 감지된 온도를 수신받아 제2 냉각부(135)를 제어하여 제2 수납부(130)에 있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 제어부(155)로 구성되며,
    상기 야채 및 과일 보관부(100)의 밀봉 포장부(25)는 제1 본체(50)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가 개방된 사각형 형태의 프레임(160)과, 상기 프레임(160)의 내측에 과일 및 야채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162)가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170)와, 상부 내측에 간격을 두고 비닐(173)이 감져진 롤러(176)와 비닐(173)을 가이드 하는 롤러(178)가 배치되고, 하부에 베이스 부재(170)를 수납하는 수납부(172)가 배치되는 본체(180)와, 상기 본체(180)의 전방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롤러(176,178)를 거쳐서 유입되는 비닐(173)을 절단하기 위한 커터부(184)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170)는 양측에 각기 샤프트(171)가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171)는 내부가 개방된 사각형 형태의 프레임(160)의 홀(161)에 각기 끼워져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보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야채 및 과일 보관부(100)의 제1 수납부(30)는 수평 프레임(10)의 전,후면에 각기 배치된 경사판(14,14)과, 수평 프레임(10)의 양측면에 각기 배치된 측면판(16,16)을 갖고, 상기 고기 및 생선 보관부(200)의 제2 수납부(130)는 수평 프레임(12)의 전, 후면에 각기 형성된 형성된 경사판(114,114)과, 수평 프레임(12)의 양측면에 각기 배치된 측면판(116,11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보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야채 및 과일 보관부(100)의 냉각수 안내부(45)는 그 일측에 경사부(48)를 형성한 사각형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고기 및 생선 보관부(200)의 냉각수 안내부(145)는 그 일측에 경사부(148)를 형성한 사각형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보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기 및 생선 보관부(200)의 진공 포장부(125)는 제2 본체(150)의 상부에 배치되며 챔버(312)를 갖는 베이스 부재(320)와, 상기 챔버(312)의 주위에 배치된 타원 형태의 가스켓(322)과, 상기 베이스 부재(320)를 상,하 방향으로 개방하는 개방부재(324)와, 상기 개방부재(324)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챔버(312)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326)와, 상기 가스켓(322)의 일측에 배치된 진공펌프(328)와, 상기 베이스 부재(320)의 전방 상면에 장착된 히터(332)와, 상기 커버부재(326)의 가스켓(322)의 일측에 배치되어 히터(322)와 접하는 가압고무(3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보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야채 및 과일 보관부(100)의 제1 제어부(55)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따라 제1 냉각부를 제어하며 제1 수납부에 담겨진 냉각수를 1.7℃ 내지 4.0℃의 범위 내로 유지시키며, 상기 고기 및 생선 보관부(200)의 제2 제어부(155)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따라 제2 냉각부를 제어하며 제2 수납부에 담겨진 염도를 갖는 냉각수를 -1.0℃ 내지 4.0℃의 범위 내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보관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야채 및 과일 보관부(100)의 제1 제어부(55) 및 상기 고기 및 생선 보관부(200)의 제2 제어부(155)는 메인 제어부(300)에 의해 통합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보관장치.
KR1020160137363A 2016-10-21 2016-10-21 냉장 보관장치 KR101856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363A KR101856702B1 (ko) 2016-10-21 2016-10-21 냉장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363A KR101856702B1 (ko) 2016-10-21 2016-10-21 냉장 보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931A KR20180043931A (ko) 2018-05-02
KR101856702B1 true KR101856702B1 (ko) 2018-05-14

Family

ID=62183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363A KR101856702B1 (ko) 2016-10-21 2016-10-21 냉장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344B1 (ko) 2020-01-13 2021-07-16 김지수 냉장 보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344B1 (ko) 2020-01-13 2021-07-16 김지수 냉장 보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931A (ko) 201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80553B1 (en) Method for freezing foods and freezer thereof
EP2317256B1 (en) Equipment for ultra-rapid freezing of foods through direct metered contact with liquid nitrogen
EP0439584B1 (en) Chilling apparatus
US5168712A (en) Rapid cooling through a thin flexible membrane
US2763134A (en) Refrigerated container
KR101856702B1 (ko) 냉장 보관장치
KR20040002483A (ko) 냉장고
JP2005351580A (ja) 冷蔵庫
KR20120140174A (ko) 냉장고
US4671079A (en) Chambered cooler
KR102278344B1 (ko) 냉장 보관장치
KR20160044928A (ko) 진공 포장 육류 냉장 수조
BR102014013038A2 (pt) refrigerador automático para bebidas e método de refrigeração de bebidas
KR100754355B1 (ko) 김치냉동방법
EP2095044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oling products
CN214690855U (zh) 一种量子保鲜装置
JP6150622B2 (ja) 過冷却装置、その過冷却装置を有する冷凍装置及び過冷却方法
US201702455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gassing and reinjection of food product fluids
KR100612545B1 (ko) 김치냉장고의 정온유지 구조
US1014329A (en) Refrigerator.
CN219468523U (zh) 一种保鲜泡沫箱结构
KR200236581Y1 (ko) 수산물 보관용 냉장용기
KR200206936Y1 (ko) 냉장고용 포켓의 병조임장치
KR100563367B1 (ko) 김치냉장고의 냉기 순환 장치
KR200295933Y1 (ko) 회전 아이스 바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