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641B1 - Honeycomb multistage storage devic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Honeycomb multistage storage devic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641B1
KR101856641B1 KR1020170159423A KR20170159423A KR101856641B1 KR 101856641 B1 KR101856641 B1 KR 101856641B1 KR 1020170159423 A KR1020170159423 A KR 1020170159423A KR 20170159423 A KR20170159423 A KR 20170159423A KR 101856641 B1 KR101856641 B1 KR 101856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ir
beehive
vehic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4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영란
Original Assignee
한영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란 filed Critical 한영란
Priority to KR1020170159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6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6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5/00Bee-smokers; Bee-keepers' accessories, e.g. ve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n apparatus for storing honeycombs for a vehicle in multiple stages, allowing a plurality of honeycombs to be separately loaded in a vehicle so as to enable a bee to collect honey while moving a place in accordance with the weather without unloading the honeycombs from the vehicle. Moreover, the apparatus can partially move at least one of the honeycombs arranged in a row at both sides of the vehicle based on a working space of the vehicle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ccordingly, the apparatus enables honey from each of the honeycombs to be collected by securing a working space of the vehicle without unloading the loaded honeycombs from the vehicle.

Description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HONEYCOMB MULTISTAGE STORAGE DEVICE FOR VEHICLE}[0001] DESCRIPTION [0002] HONEYCOMB MULTISTAGE STORAGE DEVICE FOR VEHICLE [

본 발명은 계절에 따른 장소의 이동에 대응하여 다수의 벌통을 차량에 적재한 상태로 꿀벌이 벌꿀을 채취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적재된 다수의 벌통을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도 차량 내 작업공간을 확장하여 각각의 벌통으로부터 벌꿀을 채밀할 수 있는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not only to a honey bee collecting a honeycomb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beehives are loaded on a vehicle in response to movement of a place according to a season, And a bee can be collected from each beehive.

인간이 주식으로 하는 음식의 90%를 공급하는 100가지 작물의 종 중 70% 이상이 꿀벌이 수정을 하여 번식이 되고 있으므로, 꿀벌이 꽃가루받이를 해주는 덕분에 과일을 비롯한 농작물을 풍성하게 수확하고 있다.More than 70% of the 100 species of crops that feed 90% of human food stocks are fertilized and fertilized, so bees harvest the crops, including fruits, thanks to pollen receivers .

최근에는 꿀벌의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는 뉴스가 비번하게 보도되고 있는데, 꿀벌의 쇠퇴는 유럽에서 1960년대 중분까지 거슬러 올라 1998년 이후 가속화되고 있으며, 북미에선느 2004년부터 꿀벌의 손실로 꽃가루매개로 이루어지는 작물의 수확이 지난 50년간 유래가 없을 정도로 줄어들고 있다고 보도되고 있다. 중국에서 또한 양봉이 복합적인 요인으로 쇠퇴하고 있어, 과일의 수목을 사람의 손으로 수분시켜야만 하는 농가도 있다고 한다.The recent decline in the number of bees has been reported in many ways, with the decline of bees growing in Europe since the 1960s, accelerating since 1998, and the loss of bees in North America since 2004, It is reported that crop yields have been declining to an unanticipated 50 years. In China, too, beekeeping is declining as a composite factor, and some farmers have to moisten the fruit trees with human hands.

꿀벌의 개체수 감소의 원인을 두고 꿀벌 사이에 퍼지는 미지의 전염병, 곰팡이, 기후변화, 휴대전화의 전자기파, 살충제 남용 등의 설이 있으나, 어느 한 가지의 원인만이 아니라 여러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탓이라는 설이 가장 설득력을 얻고 있다.There have been a number of reasons for the decrease in bee populations, such as unknown infectious diseases, fungi, climate change, electromagnetic waves in mobile phones, and the abuse of insecticides among bees, but the combination of several causes, not just one cause The theory is most convincing.

이처럼 지구의 생태를 유지하고 있는 기본적인 동물들이 꿀벌로서, 곡물, 과실수, 채소 등 육지에 사는 식물의 대부분이 꿀벌의 힘을 빌어 꽃도 피우고 열매도 맺고 있으며, 꿀벌이 사라진다면, 그 일을 해줄 대체생물이 없으니, 점차 농작물을 어을 수가 없게 되고, 농작물이 사라진다면 초식동물이 감소하고, 결국 육식동물도 존재할 수 없게 되므로, 일찍이 아인슈타인이 지구에서 꿀벌이 사라진다면 4년 내에 인류도 멸망한다고 예언할 정도로 꿀벌은 소중한 동물이라고 할 수 있다.As such, the basic animals that maintain the ecology of the earth are bees, and most of the plants that live on land, such as grains, fruit trees, and vegetables, bloom and bear fruits with the power of bees, and if the bees disappeared, Einstein predicted that if the bees disappeared on Earth, they would be destroyed within four years, because there would be no creatures, and if the crops could no longer be frozen, and the crops would disappear, Bees are valuable animals.

우리나라에서 꿀벌에 의한 채취작업은 꽃의 개화시기인 봄에서 초여름까지 남부지역에서 북쪽으로 꽃이 피는 장소로 벌통을 이동함으로써, 채취의 효과를 높이고 있다. 이와 같은 양봉작업의 특성상 벌통을 트럭에 2 단 내지 5 단으로 적재하여 이동하고, 개화지에서 트럭으로부터 하역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런 작업들이 순전히 인력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힘든 노력이 필요하고, 작업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Collecting work by bees in Korea is increasing the harvesting effect by moving the beehive from the southern area to the flower-blooming area from spring to early summer, which is the flowering time of the flowers. Due to the nature of such beekeeping operations, beehives are often loaded and unloaded from a truck in a two-stage or five-stage truck, and in the past, these operations are performed entirely by manpower, And it takes a long time to work.

더욱이, 종래의 차량에 설치되는 벌통 수납 장치는 각각의 배열의 맞추어 나열될 수는 있지만, 적재된 벌통을 하역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차량 내 한정된 작업공간을 더욱 확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작업공간의 비확장성은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더욱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기도 했다.Further, although the conventional beehive storage devices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b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respective arrangement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limited working space in the vehicle can not be further expanded in a state in which the loaded beehive is not unloaded. The non-scalability of such a work space has also contributed to a further deterioration of the work efficiency of the worker.

(1) KR 등록특허공보 제10-1796172호(공고일자 2017년11월10일)(1) KR Patent Registration No. 10-1796172 (Publication date November 10, 2017) (2) KR 등록특허공보 제10-1749512호(공고일자 2017년06월21일)(2) KR Patent Registration No. 10-1749512 (Published on June 21, 2017) (3) KR 등록특허공보 제10-1423327호(공고일자 2014년07월25일)(3) KR Patent Registration No. 10-1423327 (Published on July 25, 2014) (3) KR 등록특허공보 제10-0677861호(공고일자 2007년02월02일)(3) KR Patent Registration No. 10-0677861 (Published on February 02, 20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계절에 따른 장소의 이동에 대응하여 다수의 벌통을 차량에 적재한 상태로 꿀벌이 벌꿀을 채취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적재된 다수의 벌통을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도 차량 내 작업공간을 확장하여 각각의 벌통으로부터 벌꿀을 채밀할 수 있는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neycomb structure in which a bee collects a honeycomb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beehives are loaded on a vehicle in response to movement of a place according to a season, And to provide a vehicle beehive multi-stage storage device capable of expanding a working space in a vehicle and conceiving honey from each beehiv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various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벌통 다단 수단 장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및 수납프레임을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은 차량의 적재공간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위치하여 상기 적재공간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수납프레임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 일측으로 무게중심의 일측이 일부만 이동하거나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 타측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지 않으며, 수용공간에 상하좌우로 다수의 벌통을 수용한다. 서로 결합된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 및 상기 수납프레임은 상기 차량의 작업공간을 중심으로 양측에 나란히 위치한 각각의 상기 적재공간에 나열된다.A vehicle beehive cascade-typ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guide rails and a housing frame. The pair of guide rails are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space of the vehicle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space. The housing frame is coupled to a pair of the guide rails, and one side of the center of gravity is partially moved to one side of the pair of guide rails or the center of gravity does not move toward the side of the pair of guide rails. And accommodates a plurality of beehives. A pair of the guide rails and the receiving frame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are arranged in the respective loading spaces arrang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work space of the vehicle.

상기 가이드레일은 관통홀, 개방부 및 제 1 제한부를 포함한다. 관통홀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수납프레임의 X축 하부를 내부에 위치시킨다. 개방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며, 상기 관통홀의 내부와 상기 수납프레임의 X축 하부를 연결시킨다. 제 1 제한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의 폭방향으로 형성되고,상기 수납프레임의 X축 중심의 일측이 상기 관통홀의 일측으로 일부만 이동되거나 상기 수납프레임의 X축 중심의 타측이 상기 관통홀의 타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한한다.The guide rail includes a through hole, an opening, and a first restricting portion. The through hole is passed throug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and the lower part of the X-axis of the receiving frame is positioned inside.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and is ope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and connects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X axis of the receiving frame. The first restricting portion i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guide rail and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uide rail. One side of the X-axis center of the storage frame is partially moved to one side of the through- Is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other side of the through hole.

상기 수납프레임은 한 쌍의 제 1 지지대, 한 쌍의 제 2 지지대 및 복수의 제 3 지지대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 1 지지대는 상기 수납프레임의 X축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홀의 일측으로 중심의 일측이 일부만 이동하거나 상기 관통홀의 타측으로 중심의 타측이 이동하지 않도록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 각각의 상기 관통홀 내부에 하부가 삽입된다. 한 쌍의 제 2 지지대는 한 쌍의 상기 제 1 지지대와 교차되어 상기 수납프레임의 Y축에 위치하고, 상기 벌통의 전후방을 지지한다. 복수의 제 3 지지대는 교차되는 한 쌍의 상기 제 1 지지대 및 한 쌍의 상기 제 2 지지대의 교차점에 결합되도록 상기 수납프레임의 Z축에 위치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상기 제 2 지지대가 다단으로 배열되도록 지지한다.The storage frame includes a pair of first supports, a pair of second supports, and a plurality of third supports. The pair of first supports are located on the X-axis of the housing frame, and one of the pair of guide rails is pierced through one of the pair of guide rails so that one side of the center moves to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or the other side of the center does not move to the other side of the through- The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hole. The pair of second supporting rods intersect the pair of first supporting rods and are located on the Y axis of the receiving frame, and suppor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eehive. A plurality of third supports are disposed on the Z axis of the housing frame so as to be coupled to the intersections of the pair of the first supports and the pair of the second support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상기 제 1 지지대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이동부는 상기 제 1 지지대의 하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개방부를 통과하는 2 개의 바퀴축과 2 개의 상기 바퀴축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의 내부를 이동하는 2 개의 바퀴로 구성된다.The first support includes a moving part. And the moving part is composed of two wheels that are position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and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two wheel shafts passing through the opening and the two wheel shafts and moving inside the through holes.

한 쌍의 상기 제 2 지지대 중 상기 수납프레임의 외측에 위치한 상기 제 2 지지대는 밀림방지부를 포함한다. 밀림방지부는 상기 수납프레임의 외측에 위치한 상기 제 2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납프레임의 상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수납프레임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벌통이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벌통의 일측면을 지지한다.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벌통의 일측면과 맞닿아 자기력이 발생되는 자성체가 내측면에 형성된다.And the second support frame located outside the pair of the second support frames on the housing frame includes the anti-jamming portion. Wherein the jam preventing portion is located in an upward direction of the accommodating fram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frame located outside the accommodating frame and is formed in a bent shape toward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frame, And one side of the beehive is supported so as not to escape to one side. The anti-jamming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ehive to contact a side surface of the beehive to generate a magnetic force.

상기 수납프레임은 한 쌍의 거치대를 포함한다. 한 쌍의 거치대는 상기 제 3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열된 한 쌍의 상기 제 2 지지대 상부면마다 교차되게 위치하고, 서로 대칭되는 '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벌통의 측방을 지지한다.The storage frame includes a pair of cradles. The pair of cradles are arranged in an intersecting manner on the upper surfaces of a pair of the second supports arranged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support, do.

상기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는 가교프레임을 포함한다. 가교프레임은 한 쌍의 상기 제 2 지지대 중 상기 작업공간의 일측에 나열된 상기 수납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제 2 지지대에 일측이 걸림 고정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벌통이 상기 작업공간의 중심부로 이탈되도록 연결한다.The vehicle beeper multi-stage storage device includes a bridge frame. Wherein the bridge frame is fixed to one side of the pair of second support rods by being fix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storage fram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work space and the beehiv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be disconnected.

상기 가교프레임은 제 1 연결대, 연장대 및 제 2 연결대를 포함한다. 제 1 연결대는 상기 가교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고, 한 쌍의 상기 제 2 지지대 중 상기 작업공간의 일측에 나열된 상기 수납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제 2 지지대에 일측이 걸림 고정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벌통을 길이방향에 따라 타측으로 이동시킨다. 연장대는 상기 제 1 연결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교프레임의 길이를 연장시킨다. 제 2 연결대는 일측이 상기 연장대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연장대의 내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1 연결대의 길이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작업공간의 타측에 나열된 상기 수납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제 2 지지대에 타측이 걸림 고정된다.The bridging frame includes a first linkage, an extension, and a second linkage. The first connecting rod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bridge frame and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ing frame located at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frame among the pair of the second supporting rods arranged at one side of the working space, The beehive is moved to the other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extension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link to extend the length of the bridge frame. The second connecting rod may be inserted into the extension of the extension rod or protruded from the inside of the extension ro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on ro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2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상기 제 1 연결대는 제 1 걸림부, 이송부 및 제 2 제한부를 포함한다. 제 1 걸림부는 상기 제 1 연결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연결대의 하방향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제 2 지지대 중 상기 수납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제 2 지지대에 걸림 고정된다. 이송부는 상기 제 1 걸림부와 교차되게 위치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벌통이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제 2 제한부는 상기 제 1 연결대의 타측에서 상기 제 1 걸림부와 교차되게 위치하고, 상기 이송부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벌통이 상기 제 1 연결대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한한다.The first connecting rod includes a first latching portion, a transferring portion, and a second restricting portion. The first locking part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is bent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is fastened to the second supporting rod located inside the storage frame of the pair of second supporting rods do. The transferring portion is located so as to intersect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so that the beehiv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is moved along the upper surface. The second restricting portion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inking portion so as to intersect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restricts the beehive mov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ring portion from escaping from the first linking portion.

상기 제 2 연결대는 길이조절부 및 제 2 걸림부를 포함한다. 길이조절부는 상기 제 2 연결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장대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연장대의 내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1 연결대의 길이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제 2 걸림부는 상기 제 2 연결대의 타측에서 상기 길이조절부와 교차되게 위치하고, 상기 작업공간의 타측에 나열된 상기 수납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제 2 지지대에 걸림 고정된다.The second connecting rod includes a length adjusting unit and a second latching unit.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and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extending rod or protruded from the inside of the extending rod so that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ng rod can be adjus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latching portion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inking portion so as to intersect with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and is engaged with the second support portion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storage frame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work spa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는 다수의 벌통을 차량에 구분 지어 적재함으로써, 적재된 다수의 벌통을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도 계절에 따른 장소의 이동에 대응하여 꿀벌이 벌꿀을 채취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ehive multi-stage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eehive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eehives for loading the beehives in a vehicle, It can be collec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는 차량의 작업공간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나란히 나열된 다수의 벌통 중 일측에 나열된 벌통을 차량의 외측으로 일부 이동시킴으로써, 적재된 다수의 벌통을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도 차량 내 작업공간을 확장하여 각각의 벌통으로부터 벌꿀을 채밀할 수 있다.The beehive multi-stage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beehives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basis of the center of the work space of the vehicle and partially moving a beehiv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beehive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working space in the vehicle and to honey the honeycomb from each beehiv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various effects not specifically mention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가 결합된 모습을 표현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이동가이드와 제 1 지지대를 분리하여 표현하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수납프레임이 이동된 모습을 표현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의 나머지 일부 구성요소의 모습을 표현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가교프레임을 따라 이동된 벌통의 모습을 표현하는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ome components of a vehicle beehive multi-stage hou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Fig.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moving guide and the first support shown in Fig. 1 separately.
3 is a plan view of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frame shown in Fig. 3 is move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some remaining components of a vehicle beehive multi-stage hou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shape of a beehive moved along the cross-link frame shown in Fig. 5;
7A and 7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beehive multi-stage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본 발명의 이점,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게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벽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 상에 있어서 층과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features, and ways of accomplishing the same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which follow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lso, the thickness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상단, 하단 상면, 하면,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 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 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top, bottom top, bottom, top and bottom are used to distinguish relative positions in the components. For example, in the case of naming the upper part of the drawing as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s lower part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the upper part may be named lower part and the lower part may be named upper p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미리 배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etc.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and combination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and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construed as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vehicle beehive multi-stage contain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가 결합된 모습을 표현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이동가이드와 제 1 지지대를 분리하여 표현하는 분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ome components of a vehicle beehive multi-stage hou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Fig.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moving guide and the first support shown in Fig. 1 separately.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는계절에 따른 장소의 이동에 대응하여 다수의 벌통을 차량에 적재한 상태로 꿀벌이 벌꿀을 채취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적재된 다수의 벌통을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도 차량 내 작업공간을 확장하여 각각의 벌통으로부터 벌꿀을 채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는 가이드레일(100) 및 수납프레임(200)을 포함한다.1 and 2, the honeycomb multistage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llows a bee to collect honey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beehives are loaded on a vehicle in response to movement of a place according to a season,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working space in the vehicle without removing a large number of beehives from the vehicle, and to honey from each beehive. To this end, the beehive multi-stage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rail 100 and a storage frame 200.

가이드레일(100)은 차량의 적재공간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위치하여 그 적재공간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가이드레일(100)은 2 개가 한 쌍으로 마련된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레일(100)은 각각의 묶음으로 구성되어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레일(100)은 상측에 결합되는 수납프레임(200)이 일측으로 일부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거나 타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관통홀(110), 개방부(120), 제 1 제한부(130) 및 제 1 고정홀(140)을 포함한다.The guide rail 100 i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space of the vehicle and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space. Here, two guide rails 100 are provided in pairs. Also, the pair of guide rails 10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ndles. The guide rail 100 includes a through hole 110, an opening 120, a first restricting portion 130 (not shown) for guiding the accommodating frame 200 to be partially moved to one side, And a first fixing hole 140. As shown in FIG.

관통홀(110)은 가이드레일(10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관통된다. 또한 관통홀(110)은 수납프레임의 X축, 즉 후술할 수납프레임(200)의 제 1 지지대(210) 하부를 내부에 위치시킨다.The through hole 110 penetrates the guide rail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urther, the through hole 110 locates the X axis of the housing frame,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base 210 of the housing frame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side.

개방부(120)는 가이드레일(100)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또한 개방부(120)는 관통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00)의 내외측으로 개방되어 관통홀(110)의 내부와 수납프레임(200)의 X축 하부를 연결시킨다.The opening 1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100. The opening portion 120 is open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guide rail 1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110 to connect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1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X axis of the storage frame 200.

제 1 제한부(130)는 가이드레일(100)의 일측과 타측, 양 끝단에 위치하여 가이드레일(100)의 폭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제한부(130)는 수납프레임(200)의 X축 중심의 일측이 관통홀(110)의 일측, 즉 가이드레일(100)의 일측으로 일부만 이동되거나 수납프레임(200)의 X축 중심의 타측이 관통홀(110)의 타측, 즉 가이드레일(100)의 타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제한부(130)는 수납프레임(200)의 X축에 대응되는 제 1 지지대(210)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가이드레일(100)의 상측에 결합된 수납프레임(200)이 차량의 외측으로 일부 이동되거나 차량의 내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제 1 제한부(130)는 예컨대, 수납프레임(200)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가이드레일(100)의 폭방향으로 관통 결합되는 나사못이나 철근 등의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restricting portion 130 is located at one side, the other side, and both ends of the guide rail 100 and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uide rail 100. The first restricting portion 1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of the center of the X-axis of the storage frame 200 is partially moved to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110, that is, one side of the guide rail 100, The other side of the through-hole 110, that is, the other side of the guide rail 100, can be restricted. In other words, the first restricting portion 130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first support 210 corresponding to the X-axis of the storage frame 200 so that the storage frame 20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guide rail 100, Or to be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he first restrict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by a means such as a screw or a reinforcing bar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guide rail 100 in the width direction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receiving frame 200.

제 1 고정홀(140)은 개방부(120)의 일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 1 고정홀(140)은 가이드레일(100)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구멍 형태로 형성된다.The first fixing hole 140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opening 120. The first fixing hole 1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e passing through the guide rail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수납프레임(200)은 한 쌍의 가이드레일(100)에 결합된다. 또한 수납프레임(200)은 제 1 제한부(130)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레일(100) 일측으로 무게중심(a)의 일측이 일부만 이동하거나 한 쌍의 가이드레일(100) 타측으로 무게중심(a)이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납프레임(200)은 상하좌우 다단으로 형성된 내부의 수용공간에 다수의 벌통을 수용하여 이동 또는 정차 중인 차량의 적재공간에 벌통을 보관할 수 있다. 즉, 수납프레임(200)은 제 1 제한부(130)에 의해 이동경로가 제한되어 차량의 외측으로 일부 이동하거나 차량의 내측으로 이동되지 않음으로써, 수용공간에 수용된 다수의 벌통을 사용 상태에 따라 이동 또는 이동 제한할 수 있다. 아울러, 서로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00)과 수납프레임(200)은 차량의 중심부에 위치한 작업공간을 중심으로 양측에 나란히 위치한 각각의 적재공간에 나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납프레임(200)은 전후방향 X축에 대응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대(210), 좌우방향 Y축에 대응되는 한 쌍의 제 2 지지대(220), 상하방향 Y축에 대응되는 다수의 제 3 지지대(230) 및 벌통이 거치되는 한 쌍의 거치대(240)를 포함한다.The housing frame 200 is coupled to the pair of guide rails 100. The one side of the center of gravity a is partially moved to one side of the pair of guide rails 100 by the first restricting portion 130 or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guide rails 100 is moved toward the center of gravity a) may not move. 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frame 200 can accommodate a plurality of beehives in the accommodating space formed inside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ends, and store the beehive in the loading space of the vehicle that is moving or stopping. That is, since the movement limit of the storage frame 200 is limited by the first restricting portion 130, the storage frame 200 is not mov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or mov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You can restrict movement or move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guide rails 100 and the storage frame 200 coupled to each other are arranged in the respective loading spaces arrang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work spac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The housing frame 200 includes a pair of first supports 210 corresponding to the X-axi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pair of second supports 220 corresponding to the Y-axis in the X-axis direction, A third support 230 and a pair of mounts 240 on which the beehold is mounted.

한 쌍의 제 1 지지대(210)는 수납프레임(200)의 X축에 위치한다. 또한 각각의 제 1 지지대(210)는 관통홀(110)의 일측으로 중심의 일측이 일부만 이동하거나 관통홀(110)의 타측으로 타측이 이동하지 않도록 한 쌍의 가이드레일(100) 각각의 관통홀(110) 내부에 하부, 즉 이동부(211)가 삽입된다. 이동부(211)는 2 개의 바퀴축(211a)과 2 개의 바퀴로 구성된다. 2 개의 바퀴축(211a)은 제 1 지지대(210)의 하방향으로 위치하여 개방부(120)를 통과한다. 또한 2 개의 바퀴(211b)는 2 개의 바퀴축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관통홀(110)의 내부를 이동한다. 한편, 각각의 제 1 지지대(210)는 제 1 고정홀(140)에 대응되는 구멍 형태의 제 2 고정홀(도 3의 212)을 포함한다. 제 2 고정홀(212)은 제 1 지지대(210)의 일측에 위치하여 제 1 고정홀(140)과 대응되고, 내부에 멈치못이 삽입되어 제 1 고정홀(140)로 통과되도록 한다. 즉, 제 2 고정홀(212)은 수납프레임(200)의 수용공간에 다수의 벌통이 적재된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 도로의 노면 상태에 따라 차량이 흔들리는 것에 대응하여 수납프레임(200)이 가이드레일(100)의 일측으로도 이동하지 못 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The pair of first supports 210 are located on the X axis of the housing frame 200. Each of the first support rods 210 has a through hole 110 formed in one of the pair of guide rails 100 so that one side of the center of the first support rods 210 is partially moved to the other side of the through hole 110, The lower portion, i.e., the moving portion 211, The moving unit 211 is composed of two wheel shafts 211a and two wheels. The two wheel shafts 211a are positioned downwardly of the first support 210 and pass through the opening 120. The two wheels 211b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two wheel shafts, respectively, and move inside the through holes 110. On the other hand, each first support 210 includes a second fixing hole (212 in FIG. 3) in the form of a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hole 140. The second fixing hole 212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210 and corresponds to the first fixing hole 140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hole 140 and passed through the first fixing hole 140. That is, when the vehicle having a plurality of beehives is mov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receiving frame 200, the second fixing holes 212 are formed in the second holding holes 212, So that it can not be moved to one side of the rail 100.

한 쌍의 제 2 지지대(220)는 한 쌍의 제 1 지지대(210)와 교차되어 수납프레임(200)의 Y축에 위치한다. 여기서 한 쌍의 제 2 지지대(220)는 2 개가 한 쌍으로 마련된다. 또한 한 쌍의 제 2 지지대(220)는 각각의 묶음으로 구성되어 다수로 구비될 수 있고, 후술할 제 3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제 2 지지대(220)는 수납프레임(2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벌통의 전후방 하측면을 지지한다. 뿐만 아니라 한 쌍의 제 2 지지대(220) 중 수납프레임(2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지지대(220)는 차량의 적재공간 내에서도 벌통을 견고히 지지하기 위해 밀림방지부(221)를 포함한다. 밀림방지부(221)는 한 쌍의 제 2 지지대(220) 중 수납프레임(200)의 외측에 위치한 제 2 지지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납프레임(200)의 상방향으로 위치한다. 또한 밀림방지부(221)는 수납프레임(200)의 내측으로 1 회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벌통이 수용공간의 일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벌통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밀림방지부(221)는 수납프레임(200)의 외측으로 2회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벌통이 수용공간의 일측으로 벗어나더라도 상단굴곡면(도면부호 생략)에 의해 벌통의 일측면을 지지하고, 다시 하단굴곡면(도면부호 생략)으로 그 벌통이 미끄러져 내려가게끔 할 수 있다. 아울러, 밀림방지부(221)는 벌통의 일측면과 맞닿아 자기력이 발생되어 벌통의 일측면을 끌어당기는 자성체(221a)가 내측면에 형성된다. 물론, 자성체(221a)와 맞닿는 벌통의 일측면 또한 자성체(221a)에 대응되어 인력이 작용하는 자성체(221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ir of second supports 220 intersect the pair of first supports 210 and are positioned on the Y axis of the housing frame 200. Here, two pairs of the second supports 220 are provided in pairs. Also, the pair of second supports 22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ndles, and may be arranged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third suppor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air of second supports 220 supports the front and rear lower side surfaces of the beehiv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accommodating frame 200. 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rods 220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storage frame 200 among the pair of second support rods 220 include the anti-skid portions 221 to firmly support the beehive in the loading space of the vehicle. The pivoting preventing portion 221 is positioned upward of the receiving frame 2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ing frame 220 located outside the receiving frame 200 among the pair of second supporting frames 220. Further, the anti-jamming portion 221 is formed in a curved shape once inside the housing frame 200, and can support one side of the beehive to prevent the beehive from deviating to one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anti-jamming portion 221 is formed in a bent shape twice outside of the housing frame 200 so that even if the beehive deviates to one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he upper end curved surface (not shown) It is possible to support one side surface and slip down the bevel to the lower bent surface (not shown) again. The anti-jamming portion 22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ehive with a magnetic body 221a which is in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beehive to generate a magnetic force to attract one side of the beehive.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a magnetic body 221a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body 221a and to which the attraction is applied is also formed on one side of the beehive contacted with the magnetic body 221a.

다수의 제 3 지지대(230)는 서로 교차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대(210) 및 한 쌍의 제 2 지지대(220)의 교차점에 결합되도록 수납프레임(200)의 Z축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다수의 제 3 지지대(230) 각각은 상기 교차점마다 수납프레임(200)의 상하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ㅓ의 제 3 지지대(230)는 4 개가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수의 제 3 지지대(230)는 한 쌍의 제 2 지지대(220)가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열되도록 지지한다. 제 3 지지대(230)의 길이는 한 쌍의 제 2 지지대(220)가 얼마만큼 배열되는지 혹은 차량 적재공간의 높이에 따라 그 길이를 달리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hird supports 230 are located on the Z axis of the housing frame 200 to be coupled to the inters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210 and 220 which intersect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each of the plurality of third supports 230 may be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frame 200 at each of the intersections.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four third support rods 230 are formed as a pair. The plurality of third supports 230 support the pair of second supports 220 such that the pair of second supports 220 are arranged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ength of the third support bar 230 may vary depending on how much the pair of second supports 220 are arranged or the height of the vehicle loading space.

한 쌍의 거치대(240)는 제 3 지지대(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열된 한 쌍의 제 2 지지대(220) 상부면마다 교차되게 위치한다. 또한 한 쌍의 거치대(240)는 서로 대칭되게 마주는 'ㄴ'자 형태로 형성되어 벌통의 측방을 함께 지지할 수 있다.The pair of cradles 240 are located at intersections of the upper surfaces of the pair of second supports 220 arranged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supports 230. Also, the pair of cradles 240 are symmetrically formed to face each other so as to support the sides of the beehive together.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가이드레일(100)와 수납프레임(200)의 결합 관계 및 작용을 설명한다.3 and 4, the coupling relationship and action of the guide rail 100 and the storage fram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수납프레임이 이동된 모습을 표현하는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frame shown in Fig. 3 is moved.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는 차량의 적재공간에 나란히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00) 상측에 한 쌍의 제 1 지지대(210)가 대응대되록 위치하여 수납프레임(200)을 결합시킨다. 예를 들어,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는 다수의 벌통을 수용공간에 수용한 상태로 이동하고자 할 때, 제 2 고정홀(212)에서부터 제 1 고정홀(140)으로 각각이 삽입·고정되는 멈치못에 의해 수납프레임(200)이 가이드레일(100)의 일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는 차량의 중심부에 위치한 작업공간을 확장하고자 할 때, 차량 내 작업공간의 양측에 위치하여 적재공간 각각에 나열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00) 및 수납프레임(200) 중 어느 한쪽에 나열된 수납프레임(200)을 차량의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는 가이드레일(100)의 끝단에 위치한 제 1 제한부(도 2의 130)에 의해 수납프레임(200)의 무게중심(a) 일측이 가이드레일(100) 일측으로 일부만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고정홀(140)과 제 2 고정홀(212)로부터 멈치못이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3 to 4, a vehicle beeper multi-stage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supports 210 on a pair of guide rails 100 fixed side by side in a loading space of a vehicle, So that the receiving frame 200 is engaged.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beehives are to be accommodated in a receiving space, the beehive multi-stage accommodation device for a vehicle may be provided with a stopper (not shown) which is inserted and fixed from the second fixing hole 212 to the first fixing hole 140 So that the receiving frame 200 is not moved to one side of the guide rail 100. As another example, when a vehicle beehive multi-stage storage device is to expand the work spac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the beehive multi-stage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may include a pair of guide rails 100 and a storage frame 200 Can be mov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vehicle bean multistage housing apparatus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of the center of gravity (a) of the housing frame 200 is partially located at one side of the guide rail 100 by the first restricting portion (130 of FIG. 2)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guide rail 100 Can be moved. Of course,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fixing hole 140 and the second fixing hole 21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1 내지 도 4와 더불어 도 5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의 나머지 일부 구성요소를 설명한다.5 to 6 in addition to Figs. 1 to 4, som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vehicle beehive cascade s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의 나머지 일부 구성요소의 모습을 표현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가교프레임을 따라 이동된 벌통의 모습을 표현하는 평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some remaining components of a vehicle beehive multi-stage hou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shape of a beehive moved along the cross-link frame shown in Fig. 5;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는 차량 내 확보된 작업공간에서 벌통(400)의 편리한 이동 및 작업자의 손쉬운 채밀작업을 위해 가교프레임(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5 and 6, the vehicle beeper multi-stage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ridge frame 300 for easy movement of the beehive 400 in the secured work space in the vehicle, can do.

가교프레임(300)은 한 쌍의 제 2 지지대(220) 중 작업공간의 일측에 나열된 수납프레임(200)의 내측에 위치한 제 2 지지대(220)에 일측이 걸림 고정되고, 수용공간에 수용된 벌통(400)이 작업공간의 중심부로 이탈되도록 연결한다. 이때, 가교프레임(300)은 작업공간에 배치된 지지봉 등의 지지수단에 타측이 연결되거나 작업공간의 타측에 나열된 수납프레임(200)의 내측에 위치한 제 2 지지대(220)에 타측이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가교프레임(300)은 제 1 연결대(310), 연장대(320) 및 제 2 연결대(330)를 포함한다.The bridge frame 300 includes a pair of second supports 220 which are fixed to one side of a second support 220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on frame 200 arranged at one side of the work space, 400 are detached to the center of the work space. At this time, the bridge frame 30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ans such as the support rods disposed in the work space, or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 rods 220 located inside the housing frame 200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work space . The bridge frame 300 includes a first linkage 310, an extension 320, and a second linkage 330.

제 1 연결대(310)는 가교프레임(300)의 일측에 위치하고, 한 쌍의 제 2 지지대(220) 중 작업공간의 일측에 나열된 수납프레임(200)의 내측에 위치한 제 2 지지대(220)에 일측이 걸림 고정되고, 수용공간에 수용된 벌통(400)을 제 1 연결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 1 걸림부(311), 이송부(312) 및 제 2 제한부(313)를 포함한다. 제 1 걸림부(311)는 제 1 연결대(310)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 1 연결대(310)의 하방향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한 쌍의 제 2 지지대(220) 중 수납프레임(200)의 내측에 위치한 제 2 지지대(220)에 걸림 고정된다. 이송부(312)는 제 1 걸림부(311)와 교차되게 위치하고, 수용공간에 수용된 벌통(400)이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벌통(400)의 하부면 양측을 지지한다. 제 2 제한부(313)는 제 1 연결대(310)의 타측에서 제 1 걸림부(311)와 교차되게 위치하고, 이송부(312)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는 벌통(400)이 제 1 연결대(310)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한한다.The first connecting rod 31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ridge frame 300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ing rod 220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frame 200 arranged on one side of the work space among the pair of second supporting rods 220, The transferring portion 312 and the second restricting portion 314 to move the beehive 40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from one side to the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rod 310. The first engaging portion 311, 313). The first locking part 311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rod 310 and is bent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rod 310. The first locking part 311 is formed in a shape (Not shown). The transfer unit 312 is positioned to intersect with the first latching unit 311 and supports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eehive 400 so that the beehive 40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moved along the upper surface. The second restricting portion 313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rod 310 so as to intersect the first locking portion 311 and the bevel 400 mov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ring portion 312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rod 310 ).

연장대(320)는 제 1 연결대(3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가교프레임(300)의 길이를 연장시킨다. 이때 연장대(320)의 내부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후술할 제 2 연결대(330)가 삽입 또는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extension 32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linkage 310 to extend the length of the bridge frame 300. 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elongated bar 320 may penet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 second connecting rod 33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or protruded.

제 2 연결대(330)는 일측이 연장대(320)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연장대(320)의 내부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작업공간의 너비에 대응하여 제 1 연결대(31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제 2 연결대(330)는 작업공간의 타측에 나열된 수납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한 제 2 지지대(220)에 타측이 걸림 고정된다. 이를 위해 제 2 연결대(330)는 일측에 길이조절부(331)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 2 걸림부(332)가 형성된다. 길이조절부(331)는 연장대(320)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연장대(320)의 내부로부터 돌출되어 제 1 연결대(31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제 2 걸림부(332)는 제 2 연결대(330)의 타측에서 길이조절부(331)와 교차되게 위치하고, 작업공간의 타측에 나열된 수납프레임(200)의 내측에 위치한 제 2 지지대(220)에 걸림 고정되어 작업공간의 양측에 나열된 수납프레임(200)의 간극을 연결할 수 있다.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330 is inserted into the extension rod 320 or protruded from the inside of the extension rod 320 so that the length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330 is adjus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rod 310 It is possible. The second connecting rod 330 is fastened to the second supporting rod 220, which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frame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work space. To this end, the second linking part 330 has a length adjusting part 331 formed on one side and a second latching part 332 on the other side. The length adjuster 331 is inserted into the extension bar 320 or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extension bar 320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irst link bar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hooking part 332 is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part 330 so as to intersect with the length adjusting part 331. The second hooking part 332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frame 200, So that the gap of the storage frame 200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work space can be connected.

아울러, 이송부(312)의 상부면과 마주보는 벌통(400)의 하부면 양측에는 예컨대 바퀴 등의 이동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이송부(312)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하되, 제 2 제한부(313)에 의해 제 1 연결대(310), 즉 이송부(312)의 상부면을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Moving means such as a wheel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eehive 400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ing unit 312 to mov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ing unit 312,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312, by the first connection unit 310,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7A and 7B, an embodiment of a vehicle beehive multi-stage hou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표현하는 도면이다.7A and 7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beehive multi-stage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더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는 서로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00) 및 수납프레임(200)이 차량의 작업공간을 중심으로 양측에 나란히 위치한 각각의 적재공간에 나열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는 계절에 따라 차량의 장소가 이동되면, 작업공간 일측의 적재공간에 나열된 수납프레임(200)을 한 쌍의 가이드레일(100) 일측으로 일부 이동시켜 꿀벌이 벌꿀을 채취하도록 할 수 있다. 어느 한 장소에서의 꿀벌에 의한 벌굴 채취가 완료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는 작업공간 일측의 적재공간에 나열된 수납프레임(200)의 이동에 의해 차량의 중심부에 위치한 작업공간이 확장되고, 작업공간의 일측 및 타측 각각의 적재공간에 나열된 수납프레임의 사이에 가교프레임(300)을 배치하여 이송부(312)의 상부면을 따라 어느 한쪽의 벌통(400)이 작업공간의 중심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7A and 7B, a vehicle beeper multi-stage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guide rails 100 and a storage frame 200 coupled to each other, They are listed in the loading space.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s moved according to the season, the storage frame 200 arranged in the loading space on one side of the work space is partially moved to one side of the pair of guide rails 100, You can have honey picked up. When the bee harvesting by a bee at a certain place is completed, the beehive multi-stage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pands the work spac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by the movement of the storage frame 200 arranged in the loading space on one side of the work space A bridge frame 300 is disposed between the storage frames arranged in the loading space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work space so that one of the beehives 400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312 moves to the center of the working space .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는 차량에 설치된 상태로, 꿀벌의 벌꿀 채취작업 및 작업자의 벌꿀 채밀작업을 한 공간에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beehive multi-stage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in a space in which a bee honey-picking operation and a worker's honey-compacting operation ar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installed in a vehicl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a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0 : 가이드레일
110 : 관통홀
120 : 개방부
130 : 제 1 고정홀
140 : 제 1 제한부
200 : 수납프레임
210 : 제 1 지지대
211 : 이동부
211a : 바퀴축
211b : 바퀴
212 : 제 2 고정홀
220 : 제 2 지지대
221 : 밀림방지부
221a : 자성체
230 : 제 3 지지대
240 : 거치대
300 : 가교프레임
310 : 제 1 연결대
311 : 제 1 걸림부
312 : 이송부
313 : 제 2 제한부
320 : 연장대
330 : 제 2 연결대
331 : 길이조절부
332 : 제 2 걸림부
400 : 벌통
100: Guide rail
110: Through hole
120:
130: first fixing hole
140:
200: storage frame
210: first support
211:
211a:
211b: wheel
212: second fixing hole
220: second support
221:
221a: magnetic substance
230: Third support
240: Cradle
300: Cross-link frame
310: first connecting rod
311:
312:
313:
320: Extension base
330: second connecting rod
331:
332:
400: beehive

Claims (10)

차량의 적재공간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위치하여 상기 적재공간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및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 일측으로 무게중심의 일측이 일부만 이동하거나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 타측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지 않으며, 수용공간에 상하좌우로 다수의 벌통을 수용하는 수납프레임;을 포함하고,
서로 결합된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 및 상기 수납프레임은, 상기 차량의 작업공간을 중심으로 양측에 나란히 위치한 각각의 상기 적재공간에 나열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수납프레임의 X축 하부를 내부에 위치시키는 관통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며, 상기 관통홀의 내부와 상기 수납프레임의 X축 하부를 연결시키는 개방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의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프레임의 X축 중심의 일측이 상기 관통홀의 일측으로 일부만 이동되거나 상기 수납프레임의 X축 중심의 타측이 상기 관통홀의 타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제 1 제한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프레임은,
상기 수납프레임의 X축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홀의 일측으로 중심의 일측이 일부만 이동하거나 상기 관통홀의 타측으로 중심의 타측이 이동하지 않도록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 각각의 상기 관통홀 내부에 하부가 삽입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대;
한 쌍의 상기 제 1 지지대와 교차되어 상기 수납프레임의 Y축에 위치하고, 상기 벌통의 전후방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 2 지지대; 및
교차되는 한 쌍의 상기 제 1 지지대 및 한 쌍의 상기 제 2 지지대의 교차점에 결합되도록 상기 수납프레임의 Z축에 위치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상기 제 2 지지대가 다단으로 배열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제 3 지지대;를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제 2 지지대 중 상기 수납프레임의 외측에 위치한 상기 제 2 지지대는,
상기 수납프레임의 외측에 위치한 상기 제 2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납프레임의 상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수납프레임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벌통이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벌통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밀림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벌통의 일측면과 맞닿아 자기력이 발생되는 자성체가 내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
A pair of guide rail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loading space length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space; And
A pair of guide rails, a pair of guide rails, one side of the center of gravity partially moving to one side of the pair of guide rails, a center of gravity not moving toward the pair of side rails, A receiving frame,
A pair of the guide rails and the accommodation frame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are arranged in the respective loading spaces arrang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work space of the vehicle,
The guide rails
A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and positioning a lower portion of the X-axis of the accommodating frame inside;
An opening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and ope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and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X axis of the receiving frame; And
Wherein one end of the center of the X-axis of the housing frame is partially moved to one side of the through-hole or the other side of the center of the X-axis of the accommodating frame is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through- And a first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to the other side,
The storage frame
The low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each of the pair of guide rails so that one side of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is partially moved only to the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or the other side of the center is not moved to the other side of the through hole A pair of first supports;
A pair of second supports positioned on the Y axis of the housing frame to intersect with the pair of first supports and support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beehive; And
And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ing rods which are located in the Z axis of the receiving frame to be coupled to the intersections of the pair of first supporting rods and the pair of second supporting rods intersecting to each 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pair of second supporting rods are arranged in multi- And a third support of the second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base, which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storage frame of the pair of second support bases,
The receiving frame is disposed in an upward direction of the receiving fram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ing frame located outside the receiving frame and is formed to be bent inward or outward of the receiving frame, And an anti-skid portion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beehive,
The anti-
And a magnetic body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beehive and generates a magnetic force is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beehi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대는,
상기 제 1 지지대의 하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개방부를 통과하는 2 개의 바퀴축과 2 개의 상기 바퀴축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의 내부를 이동하는 2 개의 바퀴로 구성된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upport comprises:
And a moving part including two wheels positioned downwardly of the first support and passing through the opening part and two wheels that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two wheel shafts and move inside the through hole, Wherein the beehive cage is provided with a beehiv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프레임은,
상기 제 3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열된 한 쌍의 상기 제 2 지지대 상부면마다 교차되게 위치하고, 서로 대칭되는 '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벌통의 측방을 지지하는 한 쌍의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frame
A pair of cradles for supporting sideways of the beehive, the pair of cradles being arranged in a cross shape for each of upper surfaces of a pair of the second supports arranged in multi-stag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support, The beehive multi-step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는,
한 쌍의 상기 제 2 지지대 중 상기 작업공간의 일측에 나열된 상기 수납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제 2 지지대에 일측이 걸림 고정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벌통이 상기 작업공간의 중심부로 이탈되도록 연결하는 가교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beeper multi-
One of a pair of the second supporting rods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ing frame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fram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working space and the beehiv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working space And a bridging frame for holding the beehive cag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교프레임은,
상기 가교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고, 한 쌍의 상기 제 2 지지대 중 상기 작업공간의 일측에 나열된 상기 수납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제 2 지지대에 일측이 걸림 고정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벌통을 길이방향에 따라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연결대;
상기 제 1 연결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교프레임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대; 및
일측이 상기 연장대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연장대의 내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1 연결대의 길이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작업공간의 타측에 나열된 상기 수납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제 2 지지대에 타측이 걸림 고정되는 제 2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cross-
One of the pair of second support rods being located on one side of the bridge frame and one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storage fram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work space, A first connecting unit for moving the first connecting unit to the other side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 extension extending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first linkage to extend the length of the bridge frame; And
And a second supporting fram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accommodating frame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work space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frame, And a second connecting rod
Wherein the beehive cage is provided with a beehiv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대는,
상기 제 1 연결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연결대의 하방향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제 2 지지대 중 상기 수납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제 2 지지대에 걸림 고정되는 제 1 걸림부;
상기 제 1 걸림부와 교차되게 위치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벌통이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이송부; 및
상기 제 1 연결대의 타측에서 상기 제 1 걸림부와 교차되게 위치하고, 상기 이송부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벌통이 상기 제 1 연결대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한하는 제 2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connecting rod includes:
And a first hook portion which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linking portion and is bent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first linking portion and is engaged with the second support portion located at an inner side of the housing frame among a pair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s, part;
A conveying unit positioned so as to intersect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allowing the beehiv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to move along an upper surface; And
And a second restricting portion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inking portion so as to intersect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restricting the beveled portion mov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ring portion from coming off the first linking portion
Wherein the beehive cage is provided with a beehiv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대는,
상기 제 2 연결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장대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연장대의 내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1 연결대의 길이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 및
상기 제 2 연결대의 타측에서 상기 길이조절부와 교차되게 위치하고, 상기 작업공간의 타측에 나열된 상기 수납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제 2 지지대에 걸림 고정되는 제 2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벌통 다단 수납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connecting rod
A length adjuster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second link and being inserted into the extension or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extension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irst lin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d a second latching part which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so as to intersect with the length adjusting part and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ing frame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frame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working space
Wherein the beehive cage is provided with a beehive.
KR1020170159423A 2017-11-27 2017-11-27 Honeycomb multistage storage device for vehicle KR1018566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423A KR101856641B1 (en) 2017-11-27 2017-11-27 Honeycomb multistage storage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423A KR101856641B1 (en) 2017-11-27 2017-11-27 Honeycomb multistage storage device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641B1 true KR101856641B1 (en) 2018-05-10

Family

ID=6218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423A KR101856641B1 (en) 2017-11-27 2017-11-27 Honeycomb multistage storage devic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64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17570A1 (en) * 2019-09-30 2021-03-30 Breme Ing Srl Hive holder unit that can be transported on board or towed by a vehicle
KR102628671B1 (en) * 2023-04-05 2024-01-23 봉석 Movable apiary apparatus using a truc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3620A (en) * 1975-09-04 1977-07-05 Blake Robert L Bee hive carrier and transport means
KR20120000341U (en) * 2010-07-06 2012-01-12 (주)장미꽃과 나이팅게일 Store-type snack car with cooking and sales spaces
CN102756681A (en) * 2012-08-14 2012-10-31 刘加善 Special purpose vehicle for beekeeping
CN103223893A (en) * 2013-04-20 2013-07-31 中国热带农业科学院环境与植物保护研究所 Vehicle-mounted quick-unfolding beekeeping vehicle
KR101643506B1 (en) * 2015-08-28 2016-07-27 조용건 Removable vehicle with beekeeping equip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3620A (en) * 1975-09-04 1977-07-05 Blake Robert L Bee hive carrier and transport means
KR20120000341U (en) * 2010-07-06 2012-01-12 (주)장미꽃과 나이팅게일 Store-type snack car with cooking and sales spaces
CN102756681A (en) * 2012-08-14 2012-10-31 刘加善 Special purpose vehicle for beekeeping
CN103223893A (en) * 2013-04-20 2013-07-31 中国热带农业科学院环境与植物保护研究所 Vehicle-mounted quick-unfolding beekeeping vehicle
KR101643506B1 (en) * 2015-08-28 2016-07-27 조용건 Removable vehicle with beekeeping equip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17570A1 (en) * 2019-09-30 2021-03-30 Breme Ing Srl Hive holder unit that can be transported on board or towed by a vehicle
WO2021064564A3 (en) * 2019-09-30 2021-10-21 Breme.Ing Srl Hive-holding unit portable on or trailable by a vehicle
KR102628671B1 (en) * 2023-04-05 2024-01-23 봉석 Movable apiary apparatus using a tru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641B1 (en) Honeycomb multistage storage device for vehicle
US202000154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Cleaning, and Transplanting Growing Towers
Huffman The status of labor-saving mechanization in US fruit and vegetable harvesting
RU2019139575A (en) MUSHROOM TRANSPORTATION DEVICE
KR101330093B1 (en) Spinach harvester
US9301448B2 (en) Stripper with a plurality of ducting units
WO2015156694A2 (en) Ergonomic beehive
JP4002280B2 (en) Crop transporter
KR20190063297A (en) Crop harvester
KR102321128B1 (en) Surface type wet harvesting equipment of cut flowers
Whitney et al.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citrus mechanical harvesting
KR20110041828A (en) Transportation device for greenhouse
US20220061241A1 (en) Harvesting air tool and air circulator for aeroponic or hydroponic farming systems
US10750727B1 (en) Portable basket colony for growing and transport and method of use
KR101040679B1 (en) Multipurpose box for keeping agriculture products
CN106973825B (en) Beehive transportation connecting device and bee conveyer
KR102375838B1 (en) Fruit collection device
KR101221723B1 (en) Multipurpose moving device for vinyl house
Futch et al. Harvesting: From manual to mechanical
Martin et al. Mechanical harvesting of citrus fruits for fresh market with a trunk shaker and a hand-held petrol shaker
KR102010845B1 (en) Crop harvesting machine
Ringdahl et al. Operational flow of an autonomous sweetpepper harvesting robot
JP2018198588A (en) Diagonal boxing-stand
DE202009007181U1 (en) The device for the mushroom collection
KR101796172B1 (en) An apiculture trai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