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166B1 - 영상 인식 기반의 동물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인식 기반의 동물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166B1
KR101856166B1 KR1020160087385A KR20160087385A KR101856166B1 KR 101856166 B1 KR101856166 B1 KR 101856166B1 KR 1020160087385 A KR1020160087385 A KR 1020160087385A KR 20160087385 A KR20160087385 A KR 20160087385A KR 101856166 B1 KR101856166 B1 KR 101856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sensor
image
range information
image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6698A (ko
Inventor
천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탈테크
Priority to KR1020160087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166B1/ko
Publication of KR20180006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G06K9/0062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8Tracking movement of a target, e.g. by detecting an object predefined as a target, using target direction and or velocity to predict its new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전에 설정된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상 수단,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객체가 인식되면 상기 객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식별 범위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인식부, 상기 촬상 수단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각각의 감지 영역 내에 상기 객체가 감지되면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센서 및 상기 식별 범위 정보 및 상기 감지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영상인식부의 객체 인식 민감도 및 퇴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물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 인식 기반의 동물 감지 장치{Animal sensing device based on image recogni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상 인식 기반의 동물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현재까지 사람, 곰 멧돼지 등 동물이 농가나 경작지에 침범하여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경우가 왕왕 발생하고 있다.
종래에는 대부분 조류나 야생동물을 쫓을 때 허수아비를 사용하였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여 근래에 이르러 전기 울타리를 사용하는 농가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전기 울타리의 설치는 야생동물의 침입을 막아주는 데는 효과적이나 설치 비용은 물론 관리 유지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동작 감지 센서류나 카메라 영상 인식 방법이 사용될 있으나 오류 발생율이 매우 높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촬상 수단의민감도를 제어하여 인식율을 높일 수 있는 동물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전에 설정된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상 수단;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객체가 인식되면 상기 객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식별 범위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인식부; 상기 촬상 수단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각각의 감지 영역 내에 상기 객체가 감지되면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센서; 및 상기 식별 범위 정보 및 상기 감지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영상인식부의 객체 인식 민감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물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범위 정보 및 상기 감지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식별 범위 정보보다 상기 영상인식부에서의 실제 객체 인식 범위를 크게 하거나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영상인식부의 상기 객체 인식 민감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촬상 수단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제1 감지영역 내에 상기 객체가 감지되면 제1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센서 및 제2 감지영역 내에 상기 객체가 감지되면 제2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인식부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촬상 수단 및 상기 하우징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되,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바깥을 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30° 내지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인식부로부터 상기 식별 범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수신되면 상기 객체 인식 민감도를 낮게 제어하고,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 모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객체 인식 민감도를 높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인식부로부터 상기 식별 범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수신되면 상기 실제 객체 인식 범위를 상기 식별 범위 정보보다 크게 설정하고,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 모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실제 객체 인식 범위를 상기 식별 범위 정보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 인식 민감도를 제어한 후에도 상기 영상인식부로부터 상기 객체가 인식되면 상기 객체가 동물이라고 판단하고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는 작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경광등, 스피커, 진동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감지 장치는 촬상 수단 및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여, 식별 범위 정보 및 감지 신호 유무에 따라 영상 인식의 민감도를 제어함으로써, 자연 외란에 의한 노이즈를 저감시켜 동물 감지율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동물 감지 장치는 높은 동물 감지율에 의해 정확한 동물 출현 타이밍에 동물 퇴치 작동기를 구동시킬 수 있어, 감지 오류에 의한 작동기의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기의 구동 남발로 인한 동물들의 학습을 최소화하여 퇴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동물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는 구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가 영상인식부의 민감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동물 감지 장치의 동물 감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연결하다 또는 결합하다 등의 용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반드시 두 부재의 직접적 및/또는 고정적 연결 또는 결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두 부재 사이에 다른 부재가 개재된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감지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동물 감지 장치(10)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는 구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동물 감지 장치(10)는 촬상 수단(110), 영상인식부(130), 복수의 센서(12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 수단(110)은 사전에 설정된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촬상 수단(110)은 모터 또는 액츄에이터와 같은 구동 수단에 연결되어 주기적인 동작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감시 영역을 촬영할 수 있고,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 동작하여 촬영할 수도 있다. 촬상 수단(110)은 외곽을 형성하는 하우징(100)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전방의 감시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영상인식부(130)는 촬상 수단의 영상 정보를 제공받고, 영상정보로부터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인식부(130)는 객체가 인식되면 객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식별 범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인식부(130)는 영상정보로부터 움직이는 객체를 인식하여 추적할 수 있으며, 이때 객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식별 범위 정보를 이용하여 추적하게 된다.
복수의 센서(120)는 촬상 수단(110)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각각의 감지 영역 내에 객체가 감지되면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120)의 개수에 제한은 없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3)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센서(120)는 촬상 수단(110)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121)는 제1 감지영역 내에 객체가 감지되면 제1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센서(123)는 제2 감지영역 내에 객체가 감지되면 제2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센서(120)는 적외선 열감지 센서(PIR, Pyroelectric Infrared Ray)일 수 있다. 적외선 열감지 센서는 적외선을 사용하여 탐지 영역 안에 객체가 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센서이다. 즉, 움직이고 있는 인간 또는 동물과 같은 객체의 신체에서 발산하는 열과 배경이 되는 공간 사이의 차이를 감지함으로써 열감지에 의해 점유를 감지할 수 있다. 적외선 열감지 센서는 탐지 영역 안에 이동 물체가 있는지 여부를 탐지할 수 있는 기능과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자동문이나 조명 자동 제어 시스템과 같이 다양한 시스템과 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3)는 촬상 수단(110) 및 하우징(100)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L1)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3)는 상기 중심선(L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θ)를 이루도록 바깥을 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121)를 지나는 가상의 선(L2) 및 제2 센서(123)를 지나는 가상의 선(L3)과 중심선(L1)이 이루는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제1 센서(121)는 중심선(L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45°바깥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제2 센서(123)는 반시계 방향으로 45°바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21)와 제2 센서(123)가 90°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됨으로써, 동물 감지 장치(10)는 동물을 센서(120)를 이용하여 동물을 감지할 수 있는 전체적인 감시 영역이 넓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3)의 감지 능력에 따라 중심선(L1)에 대하여 45°보다 작은 30° 내지 45°의 각도(θ)를 가질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3)가 중심선(L1)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이루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4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식별 범위 정보 및 감지 신호 유무에 따라 영상인식부(130)의 객체 인식 민감도를 제어할 수 있다.
촬상 수단(110)만을 이용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경우, 직사광선이나 바람, 나무/갈대 등의 흔들림과 같은 자연 현상과 동물 출현을 구별이 어려우며,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높은 기술력과 고가의 부품을 포함하는 촬상 수단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적외선 열감지 센서만을 이용하여 객체를 감지하는 경우, 구름과 태양의 이동이나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와 같은 외부의 요인에 따라 적외선 량의 순간 변화가 센서에 감지되어, 자연 현상을 동물 출현으로 감지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감지 장치(10)는 촬상 수단(110) 및 복수의 센서(120)를 함께 구비하고, 복수의 센서(120)로부터 감지되는 감지신호 여부에 따라 영상인식부(130)의 민감도를 제어함으로써 동물 출현의 감지와 자연현상을 효과적으로 구별하도록 하여 오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객체 인식 민감도를 제어한 후에도 영상인식부(130)로부터 객체가 인식되면, 감지된 객체가 동물이라고 판단하고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동물 감지 장치(10)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며, 하우징(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작동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동기(150)는 경광등, 스피커, 진동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허수아비 형상의 움직이는 기계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동물이 감지되면, 작동기(150)는 소리를 내거나, 빛을 발생시켜 동물이 위협을 느끼도록 함에 따라 동물을 퇴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작동기(150)는 기계음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로부터 발생하는 기계음에 동물이 위협을 느끼도록 하여 동물을 퇴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작동기(150)는 초음파 발진기가 구비될 수 있다. 초음파 발진기로부터 초음파를 발생시켜 동물이 위협을 느끼도록 하여 동물을 퇴치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감지 장치(10)의 동물 감지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40)가 영상인식부(130)의 민감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동물 감지 장치(10)의 동물 감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인식부(130)는 영상정보(M)으로부터 객체(R)가 인식되면 객체(R)의 크기에 대응하는 식별 범위 정보(S)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영상인식부(130)는 촬상 수단(110)으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정보(M)만을 이용하여 객체(R)를 인식하는 것이므로, 객체(R)까지의 거리가 얼마인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촬상 수단(110)을 기준으로 근접 영역에 출현한 작은 동물과 원거리 영역에 출현한 큰 동물의 식별 범위 정보(S)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인식부(130)는 영상정보(M)로부터 객체가 인식되었다고 하더라도 바람에 움직이는 나무와 같이 자연 현상에 대해서도 식별 범위 정보(S)를 생성할 있어 인식된 객체(R)가 모두 실제 동물이라고 판단할 수 없다.
이때, 영상인식부(130)의 원거리 객체 인식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객체의 움직임에 대한 민감도를 높일 수 있지만, 항상 민감도를 높게 하게 되면 가까이에서 발생되는 자연 현상에 의한 오류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영상인식부(130)의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객체의 움직임에 대한 민감도를 낮게 하면, 원거리에 출현하는 동물에 대한 인식률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감지 장치(10)는 근거리 감지 영역을 갖는 복수의 센서(120)로부터 생성된 감지신호의 유무를 따라 영상인식부(130)의 민감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촬상 수단(110)은 사전에 설정된 감시 영역의 영상 정보(M)를 생성하고(S10), 영상인식부(130)는 촬상 수단(110)으로부터 생성된 영상 정보(M)를 제공받아 객체를 인식한다(S20). 이때, 영상인식부(130)는 객체가 인식되면 식별 범위 정보(S)를 생성한다.
한편, 동물 감지 장치(10)는 촬상 수단(110)으로 촬영함과 동시에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3)를 이용하여 객체를 감지한다.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외선 열감지 센서로서, 촬상 수단(110)에 비하여 근거리의 감지 영역을 갖게 된다.
제어부(140)는 영상인식부(130)로부터 식별 범위 정보(S)만 수신되고, 제1 센서(121)로부터 생성된 제1 감지신호 및 제2 센서(123)로부터 생성된 제2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객체가 원거리 구간(D)에 있다고 판단하고 객체 인식 민감도를 높게 할 수 있다(S30). 제어부(140)는 영상인식부(130)의 민감도를 높게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식별 범위 정보(S)보다 실제 객체를 인식할 수 있는 실제 객체 인식 범위(P1, 도 3 참조)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영상인식부(130)는 실제 객체 인식 범위(P1)가 식별 범위 정보(S)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에 의해 원거리에 출현한 객체(R)의 작은 움직임에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가 영상인식부(130)의 민감도를 제어한 후에도 촬상 수단(110)에 의해 생성된 영상 정보(M)에 객체(R)가 인식되면, 상기 객체(R)가 실제 동물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S40).
한편, 제어부(140)는 영상인식부(130)로부터 식별 범위 정보(S)가 수신됨과 동시에, 제1 센서(121)로부터 생성된 제1 감지신호 및 제2 센서(123)로부터 생성된 제2 감지신호 중 어느 하나만 수신되는 경우, 객체가 근거리 구간(A 또는 B)에 있다고 판단하고 객체 민감도를 낮게 할 수 있다(S30). 제어부(140)는 영상인식부(130)의 민감도를 낮게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식별 범위 정보(S)보다 실제 객체를 인식할 수 있는 실제 객체 인식 범위(P2)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영상인식부(130)는 실제 객체 인식 범위(P1)가 식별 범위 정보(S)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에 의해 근거리에 출현한 객체(R)의 움직임을 둔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 영상인식부(130)는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와 같이 한 자리에서 고정되어 움직이는 객체는 인식하지 않고, 동물의 큰 움직임은 감지하여 객체를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40)가 영상인식부(130)의 민감도를 제어한 후에도 촬상 수단(110)에 의해 생성된 영상 정보(M)에 객체(R)가 인식되면, 상기 객체(R)가 실제 동물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S40).
한편, 제어부(140)는 영상인식부(130)로부터 식별 범위 정보(S)가 수신됨과 동시에, 제1 감지신호 및 제2 감지신호 모두 수신되는 경우, 객체가 근거리 구간 중 중첩 구간(C)에 있다고 판단하고 객체 민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3)에 의해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는 객체가 동물보다는 자연외란일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감지 장치(10)는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3)를 촬상 수단(11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함으로써 감지 영역 중 중첩 구간(C)을 포함된다. 이러한 중첩 구간(C)에서 객체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에는 동물이 떼를 지어 다니지 않는 이상 고정된 나무 등이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자연 외란일 확률이 높으므로, 이에 대해 객체 인식 민감도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계속해서 촬상 수단(110)에 의해 생성된 영상 정보(M)에 객체(R)가 인식되면, 상기 객체(R)가 실제 동물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객체(R)가 실제 동물이라고 판단하고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동물을 퇴치할 수 있는 작동기(150)를 구동할 수 있다(S5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감지 장치(10)는 촬상 수단(110) 및 복수의 센서(120)를 구비하여, 식별 범위 정보 및 감지 신호 유무에 따라 영상 인식의 민감도를 제어함으로써, 자연 외란에 의한 노이즈를 저감시켜 동물 감지율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동물 감지 장치(10)는 높은 동물 감지율에 의해 정확한 동물 출현 타이밍에 동물 퇴치 작동기(150)를 구동시킬 수 있어, 감지 오류에 의한 작동기의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기(150)의 구동 남발로 인한 동물들의 학습을 최소화하여 퇴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동물 감지 장치
100: 하우징
110: 수단
120: 센서
121: 제1 센서
123: 제2 센서
130: 영상인식부
140: 제어부
150: 작동기

Claims (11)

  1. 사전에 설정된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상 수단;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객체가 인식되면 상기 객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식별 범위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인식부;
    상기 촬상 수단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각각의 감지 영역 내에 상기 객체가 감지되면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센서; 및
    상기 식별 범위 정보 및 상기 감지 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영상인식부의 객체 인식 민감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범위 정보 및 상기 감지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식별 범위 정보보다 상기 영상인식부에서의 실제 객체 인식 범위를 크게 하거나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영상인식부의 상기 객체 인식 민감도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인식부로부터 상기 식별 범위 정보만 수신되고,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가 모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객체가 원거리 구간에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객체 인식 민감도를 높게 제어하고, 상기 영상인식부로부터 상기 식별 범위 정보가 수신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객체가 근거리 구간에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객체 인식 민감도를 낮게 제어하는, 동물 감지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촬상 수단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제1 감지영역 내에 상기 객체가 감지되면 제1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센서 및 제2 감지영역 내에 상기 객체가 감지되면 제2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동물 감지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인식부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동물 감지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촬상 수단 및 상기 하우징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되,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바깥을 향하여 설치되는, 동물 감지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30° 내지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동물 감지 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인식부로부터 상기 식별 범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수신되면 상기 객체 인식 민감도를 낮게 제어하고,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 모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객체 인식 민감도를 높게 제어하는, 동물 감지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인식부로부터 상기 식별 범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수신되면 상기 실제 객체 인식 범위를 상기 식별 범위 정보보다 크게 설정하고,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 모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실제 객체 인식 범위를 상기 식별 범위 정보보다 작게 설정하는, 동물 감지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 인식 민감도를 제어한 후에도 상기 영상인식부로부터 상기 객체가 인식되면 상기 객체가 동물이라고 판단하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동물 감지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는 작동기;를 더 포함하는, 동물 감지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경광등, 스피커, 진동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물 감지 장치.
KR1020160087385A 2016-07-11 2016-07-11 영상 인식 기반의 동물 감지 장치 KR101856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385A KR101856166B1 (ko) 2016-07-11 2016-07-11 영상 인식 기반의 동물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385A KR101856166B1 (ko) 2016-07-11 2016-07-11 영상 인식 기반의 동물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698A KR20180006698A (ko) 2018-01-19
KR101856166B1 true KR101856166B1 (ko) 2018-05-10

Family

ID=6102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385A KR101856166B1 (ko) 2016-07-11 2016-07-11 영상 인식 기반의 동물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1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873B1 (ko) * 2018-10-16 2020-10-07 주식회사 하이쓰리디 현실 공간에 가상의 객체를 설치하는 증강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475475B1 (ko) * 2021-02-02 2022-12-08 주식회사 제핏 동물의 생체신호 측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9399A (ja) * 2002-01-21 2003-07-31 Toenec Corp 監視対象物を識別する監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9399A (ja) * 2002-01-21 2003-07-31 Toenec Corp 監視対象物を識別する監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698A (ko) 2018-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1522B1 (en) Passive infra-red intrusion sensor
KR101378071B1 (ko) 양식장 및 인공어초 도난 방지 감시 시스템 및 방법
US20130050400A1 (en) Arrangement and Method to Prevent a Collision of a Flying Animal with a Wind Turbine
TWI659397B (zh) 利用動作感應的侵入偵測技術
JPH08249553A (ja) 警報装置
US10351241B2 (en) Device and method for an unmanned flying object
CN105844209B (zh) 基于红外辐射探测的访客识别
WO2017206896A1 (zh) 一种视频监控方法和设备
US11434003B2 (en) Drone deterrence system, method, and assembly
KR102001594B1 (ko) 비가시공간 투시 레이더-카메라 융합형 재난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N108344973A (zh) 使用音频束进行音频探测的系统和方法
US84826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birds
KR101856166B1 (ko) 영상 인식 기반의 동물 감지 장치
CN1979575A (zh) 一种超声波入侵探测方法和探测装置
CN112270680A (zh) 基于声音和图像融合的低空无人机探测的方法
US20070163516A1 (en) Intelligent scarecrow system for utilization in agricultural and industrial applications
KR20220105357A (ko) 무인항공기 감시 방법 및 장치
US88803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inguishing between human being and animal using selective stimuli
Kumar et al. Sound activated wildlife capturing
JP5539096B2 (ja) 監視用センサ
JP2008041083A (ja) 範囲選択可能な動き検知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22179207A1 (zh) 视窗遮挡检测方法及装置
JP5590992B2 (ja) 監視用センサ
US20130010183A1 (en) Sensing range selectable image sensor module
KR101611696B1 (ko) 음향을 감지하여 위치 추적이 가능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벤트 모니터링 네트워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