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041B1 -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041B1
KR101856041B1 KR1020160020613A KR20160020613A KR101856041B1 KR 101856041 B1 KR101856041 B1 KR 101856041B1 KR 1020160020613 A KR1020160020613 A KR 1020160020613A KR 20160020613 A KR20160020613 A KR 20160020613A KR 101856041 B1 KR101856041 B1 KR 101856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hot
main cam
hot press
form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8553A (ko
Inventor
최동기
문형진
조연신
김대한
진동선
Original Assignee
(주)코링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링텍 filed Critical (주)코링텍
Priority to KR1020160020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041B1/ko
Publication of KR20170098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2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by heating the blank or stamping associated with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6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시 복수의 열간성형소재의 수평방향 열간 프레스 성형과 수평방향 열간 프레스 성형을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전체적인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수를 감소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는 제1 금형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열간 프레스 성형이 준비된 제1 열간성형소재를 미리 설정된 제1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하는 제2 금형을 포함하는 제1 성형부, 제3 금형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열간 프레스 성형이 준비된 제2 열간성형소재를 제1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하는 제4 금형을 포함하며, 메인 캠 성형공간을 사이에 두고 제1 성형부와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2 성형부, 그리고 메인 캠 성형공간에 배치되며,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에서 제1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된 제1 열간성형소재와 제2 열간성형소재의 노출부분을 동시에 제1 방향과 서로 다르게 미리 설정된 제2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하는 제3 성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HOT PRESS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체의 경량화 및 충돌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해 초고강도 강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차체에 적용되는 고강도강을 성형하기 위한 열간 프레스 성형(HPF ; Hot Press Forming) 기술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은 성형소재를 가열한 후 프레스로 이송 및 성형한다. 그리고 성형소재를 냉각함으로써 상변태에 의해 초기 강도를 증가시키는 성형 공정이다. 여기서 열간 프레스 성형시 기존 공정에서 가공하기 어려운 수평방향의 라운드 형상(R 형상) 가공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열간 프레스 성형시 라운드 형상 가공은 열간 프레스 성형 후 별도의 공정에서 2차 가공에 의존하고 있어 별도의 가공 설비를 포함한 부품 제조공정의 상당한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시 복수의 열간성형소재의 수평방향 열간 프레스 성형과 수평방향 열간 프레스 성형을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전체적인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수를 감소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는 제1 금형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열간 프레스 성형이 준비된 제1 열간성형소재를 미리 설정된 제1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하는 제2 금형을 포함하는 제1 성형부, 제3 금형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열간 프레스 성형이 준비된 제2 열간성형소재를 제1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하는 제4 금형을 포함하며, 메인 캠 성형공간을 사이에 두고 제1 성형부와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2 성형부, 그리고 메인 캠 성형공간에 배치되며,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에서 제1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된 제1 열간성형소재와 제2 열간성형소재의 노출부분을 동시에 제1 방향과 서로 다르게 미리 설정된 제2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하는 제3 성형부를 포함한다.
한편, 제3 성형부는 메인 캠 성형공간에 배치되며, 하부 양측에서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에 각각 대면되도록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제1 슬라이딩면을 갖고 외력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메인 캠 성형부, 제1 메인 캠 성형부의 구동시 연동되어 제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1 슬라이딩면에 각각 대응되는 제2 슬라이딩면을 갖고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1 메인 캠 성형부의 프레스 구동시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 방향으로 각각 이동되어 제1 열간성형소재와 제2 열간성형소재의 노출부분을 성형하는 제2 메인 캠 성형부, 중심부 상면에서 제1 메인 캠 성형부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제1 메인 캠 성형부의 제1 방향 이동을 안내하며, 제2 메인 캠 성형부의 제2 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메인 캠 지지부, 그리고 메인 캠 지지부와 제2 메인 캠 성형부 사이에 구비되어 제1 메인 캠 성형부의 원위치 복원 구동시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 방향으로 각각 이동된 제2 메인 캠 성형부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리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메인 캠 성형부는 메인 캠 지지부의 중심부 상면과 대면되는 하부에서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가이드홈을 갖고, 제1 슬라이딩면은 가이드홈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메인 캠 성형부는 적어도 제1 열간성형소재와 제2 열간성형소재와 각각 접하는 부분에 열간금형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서브 캠 성형공간에 배치되며, 제3 성형부에 연동되어 제1 열간성형소재와 제2 열간성형소재의 나머지 노출부분을 미리 설정된 제2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하는 제4 성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체적인 열간 프레스 성형의 작업성이 용이하고 열간 프레스 성형시간의 단축에 의한 생산 공정 리드타임을 줄일 수 있어 공정비용 절감 및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서로 동일한 공정으로 복수의 열간성형소재를 동시에 열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열간 프레스 성형되는 제품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의 구동으로 제1 열간성형소재와 제2 열간성형소재가 수직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3 성형부와 제4 성형부의 구동으로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에 위치된 제1 열간성형소재와 제2 열간성형소재의 노출부분이 수평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는 제1 성형부(100), 제2 성형부(200), 제3 성형부(300)를 포함한다.
제1 성형부(100)는 제1 금형(130)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열간 프레스 성형이 준비된 제1 열간성형소재(10)를 미리 설정된 제1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하는 제2 금형(150)을 포함한다. 제1 금형(130)은 제1 가압 슬라이드부(110)에 결합된다. 제1 가압 슬라이드부(110)는 제1 금형(130)을 승하강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2 금형(150)은 베이스부(120)에 결합된다. 베이스부(120)는 제2 금형(150)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2 성형부(200)는 메인 캠 성형공간을 사이에 두고 제1 성형부(100)와 서로 대향 배치된다. 여기서, 메인 캠 성형공간은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의 사이에서 제3 성형부(300)가 배치되는 공간을 말한다. 제2 성형부(200)는 제3 금형(230)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열간 프레스 성형이 준비된 제2 열간성형소재(10a)를 제1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하는 제4 금형(250)을 포함한다. 제3 금형(230)은 제2 가압 슬라이드부(210)에 결합된다. 제2 가압 슬라이드부(210)는 제3 금형(230)을 승하강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1 가압 슬라이드부(110)와 제2 가압 슬라이드부(210)는 일체로 연결되어 연동될 수 있으며, 별도로 구동될 수도 있다. 제4 금형(250)은 베이스부(120)에 결합된다. 베이스부(120)는 제4 금형(250)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금형(130)과 제3 금형(230) 또는 제2 금형(150)과 제4 금형(250)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는 서로 동일하게 구동될 수 있다.
제3 성형부(300)는 메인 캠 성형공간에 배치되며,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에서 제1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된 제1 열간성형소재(10)와 제2 열간성형소재(10a)의 노출부분(12)을 동시에 제1 방향과 서로 다르게 미리 설정된 제2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한다. 제3 성형부(300)는 제1 메인 캠 성형부(310), 제2 메인 캠 성형부(320), 메인 캠 지지부(330), 리턴 구동부(350, 352)를 포함한다.
제1 메인 캠 성형부(310)는 캠 가압 슬라이드부(110a)에 결합된다. 캠 가압 슬라이드부(110a)는 제1 메인 캠 성형부(310)를 승하강시키는 기능을 한다. 캠 가압 슬라이드부(110a)는 제1 가압 슬라이드부(110)와 별도로 구동될 수 있으며, 제1 가압 슬라이드부(110)와 연동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 제1 메인 캠 성형부(310)는 메인 캠 성형공간에 배치되며, 하부 양측에서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에 각각 대면되도록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제1 슬라이딩면(310a)을 갖고 외력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메인 캠 성형부(310)와 제2 메인 캠 성형부(320)는 인장강도 1600MPa 이상의 값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메인 캠 성형부(320)는 제1 메인 캠 성형부(310)의 구동시 연동되어 제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1 슬라이딩면(310a)에 각각 대응되는 제2 슬라이딩면(320a)을 갖고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제2 메인 캠 성형부(320)는 제1 메인 캠 성형부(310)의 프레스 구동시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 방향으로 각각 이동되어 제1 열간성형소재(10)와 제2 열간성형소재(10a)의 노출부분(12)을 성형한다. 제2 메인 캠 성형부(320)는 적어도 제1 열간성형소재(10)와 제2 열간성형소재(10a)와 각각 접하는 부분에 열간금형강 또는 열간금형강 개량종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인 캠 성형부(320)에 스틸소재의 열간금형강 또는 열간금형강 개량종을 사용함으로써 내열성과 내마모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열간 프레스 성형시 제1 열간성형소재(10)와 제2 열간성형소재(10a)의 노출부분(12)과 접하는 부품의 내열성과 내마모성을 유지함으로써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으로 제조되는 열간성형제품의 R형상 부분도 고강도강으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제2 메인 캠 성형부(320)는 적어도 제1 열간성형소재(10)와 제2 열간성형소재(10a)와 각각 접하는 주변 부분 내부에 냉각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메인 캠 성형부(320)는 열간 프레스 성형시 제1 열간성형소재(10)와 제2 열간성형소재(10a)의 노출부분(12)과 접하는 부분의 내부에 냉각채널을 구성하고 급랭의 구조를 형성하여 열간성형제품의 고강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메인 캠 성형부(320)는 적어도 제1 열간성형소재(10)와 제2 열간성형소재(10a)와 접하는 부분을 내열성이 우수한 개량종을 포함한 열간금형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메인 캠 성형부(310)의 제1 슬라이딩면(310a)과 제2 메인 캠 성형부(320)의 제2 슬라이딩면(320a)에는 내열성과 내마모성을 유지하기 위해 철계분말로 분말 소결한 물질과 고체 윤활형 물질이 삽입된 구조의 웨어플레이트(wear 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캠 지지부(330)는 제1 메인 캠 성형부(310)의 제1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340)를 갖고, 제2 메인 캠 성형부(320)의 제2 방향 이동을 지지한다. 메인 캠 지지부(330)는 중심부 상면에서 제1 메인 캠 성형부(310)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340)는 상부에 위치되는 제1 메인 캠 성형부(310)와 하부에 위치되는 제2 메인 캠 성형부(320)가 각각 정확한 위치로 결합되고 상호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제1 메인 캠 성형부(310)에는 메인 캠 지지부(330)의 중심부 상면과 대면되는 하부에서 가이드부(340)에 대응되는 가이드홈(312)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홈(312)에는 가이드부(340)의 이동을 용이하게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 슬라이딩면(312a)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메인 캠 성형부(3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면(310a)은 가이드홈(312)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메인 캠 성형부(310)는 가이드홈(312)에 결합되는 가이드부(340)를 따라 안내됨에 따라 제1 메인 캠 성형부(310)의 제1 슬라이딩면(310a)과 제2 메인 캠 성형부(320)의 제2 슬라이딩면(320a)은 보다 정확하게 결합된 상태로 상호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제3 성형부(300)의 제1 메인 캠 성형부(310)와 제2 메인 캠 성형부(320)의 작동시 제1 메인 캠 성형부(310)가 제1 방향을 따라 상하로 왕복 운동하게 되면 제2 메인 캠 성형부(320)는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 방향으로 각각 동일하게 이동될 수 있다. 즉, 제1 메인 캠 성형부(310)가 1번의 상하 작동을 하는 경우 제2 메인 캠 성형부(320)는 좌우의 수평 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이는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리턴 구동부(350, 352)는 메인 캠 지지부(330)와 제2 메인 캠 성형부(320) 사이에 구비되어 제1 메인 캠 성형부(310)의 원위치 복원 구동시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 방향으로 각각 이동된 제2 메인 캠 성형부(320)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리턴 구동부(350, 352)는 실린더(350)와 피스톤(352)의 결합방식을 갖는 공압식 액추에이터 또는 유압식 액추에이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리턴 구동부(350, 352)는 필요에 따라 탄성 기능을 갖고 리턴 동작이 조절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는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시 제3 성형부(300)의 양측에 구비된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의 구동으로 수직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되며, 제3 성형부(300)의 구동으로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에 각각 위치된 제1 열간성형소재(10)와 제2 열간성형소재(10a)의 노출부분(12)을 수평방향인 제2 방향으로 동시에 열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전체적인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수를 감소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의 구동으로 제1 열간성형소재(10)와 제2 열간성형소재(10a)가 수직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제3 성형부(300)와 제4 성형부(400)의 구동으로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에 위치된 제1 열간성형소재(10)와 제2 열간성형소재(10a)의 노출부분이 수평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는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서브 캠 성형공간에 배치되는 제4 성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성형부(400)는 제1 서브 캠 성형부(410), 제2 서브 캠 성형부(420), 서브 캠 지지부(440), 서브 리턴 구동부(450, 452)를 포함한다. 제4 성형부(400)는 제3 성형부(300)의 대칭구조에서 일방향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성형부(400)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성형부(400)는 제1 열간성형소재(10)와 제2 열간성형소재(10a)의 나머지 노출부분(14)을 미리 설정된 제2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한다. 그리고 제4 성형부(400)는 제3 성형부(300)에 연동되어 구동될 수 있다. 제3 성형부(300)와 제4 성형부(400)의 동시 구동으로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에 각각 위치된 제1 열간성형소재(10)와 제2 열간성형소재(10a)의 노출부분(12)과 나머지 노출부분(14)을 수평방향인 제2 방향으로 동시에 열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전체적인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수를 더 감소하고 생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를 이용한 열간 프레스 성형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1 열간성형소재(10)가 제1 성형부(100)에 안착되고, 제2 열간성형소재(10a)가 제2 성형부(200)에 안착되면, 수직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이 실시된다. 이어서,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의 사이에 구비된 제3 성형부(300)의 구동으로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에 위치된 제1 열간성형소재(10)와 제2 열간성형소재(10a)의 노출부분(12)을 수평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이 실시된다. 이때,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서브 캠 성형공간에 배치되는 제4 성형부(400)도 제3 성형부(300)에 연동되어 제1 열간성형소재(10)와 제2 열간성형소재(10a)의 나머지 노출부분(14)을 열간 프레스 성형한다.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의 구동으로 제1 열간성형소재(10)와 제2 열간성형소재(10a)의 수직방향 열간 프레스 성형이 완료되고, 제3 성형부(300)와 제4 성형부(400)의 구동으로 제1 열간성형소재(10)와 제2 열간성형소재(10a)의 노출부분(12)에 대한 수평방향 열간 프레스 성형이 완료되면 리턴 구동부(350, 352, 450, 452)의 구동으로 제3 성형부(300)와 제4 성형부(400)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이후 열간 프레스 성형이 완료된 열간성형제품은 금형 외부로 추출되어 다음 공정으로 이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에 위치된 제1 열간성형소재(10)와 제2 열간성형소재(10a)의 수직방향 열간 프레스 성형시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의 사이에 구비된 제3 성형부(300)의 구동으로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에 위치된 제1 열간성형소재(10)와 제2 열간성형소재(10a)의 수평방향 열간 프레스 성형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열간 프레스 성형의 작업성이 용이하고 열간 프레스 성형시간의 단축에 의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서로 동일하게 구비되는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 사이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제3 성형부(300)를 구비하여 동일한 공정으로 제1 열간성형소재(10)와 제2 열간성형소재(10a)를 열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열간 프레스 성형되는 제품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직방향의 열간 프레스 성형을 구현하는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 및 수평방향의 열간 프레스 성형을 구현하는 제3 성형부(300)와 제4 성형부(400)의 배치구조와 결합관계를 개선하여 1회의 열간 프레스 성형 동작으로 제1 성형부(100)와 제2 성형부(200)에 각각 구비된 제1 열간성형소재(10)와 제2 열간성형소재(10a)를 수직방향의 열간 프레스 성형과 동시에 수평방향의 열간 프레스 성형이 이루어지므로 생산 공정 리드타임을 줄일 수 있어 공정비용 절감 및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제1 열간성형소재 10a ; 제2 열간성형소재
100 ; 제1 성형부 130 ; 제1 금형
150 ; 제2 금형 200 ; 제2 성형부
230 ; 제3 금형 250 ; 제4 금형
300 ; 제3 성형부 310 ; 제1 메인 캠 성형부
320 ; 제2 메인 캠 성형부 330 ; 메인 캠 지지부
340 ; 가이드부 400 ; 제4 성형부

Claims (6)

  1. 제1 금형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열간 프레스 성형이 준비된 제1 열간성형소재를 미리 설정된 제1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하는 제2 금형을 포함하는 제1 성형부,
    제3 금형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열간 프레스 성형이 준비된 제2 열간성형소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하는 제4 금형을 포함하며, 메인 캠 성형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성형부와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2 성형부, 그리고
    상기 메인 캠 성형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성형부와 상기 제2 성형부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된 상기 제1 열간성형소재와 상기 제2 열간성형소재의 노출부분을 동시에 상기 제1 방향과 서로 다르게 미리 설정된 제2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하는 제3 성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성형부는
    상기 메인 캠 성형공간에 배치되며, 하부 양측에서 상기 제1 성형부와 상기 제2 성형부에 각각 대면되도록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제1 슬라이딩면을 갖고 외력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메인 캠 성형부를 포함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3 성형부는
    상기 제1 메인 캠 성형부의 구동시 연동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슬라이딩면에 각각 대응되는 제2 슬라이딩면을 갖고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메인 캠 성형부의 프레스 구동시 상기 제1 성형부와 상기 제2 성형부 방향으로 각각 이동되어 상기 제1 열간성형소재와 상기 제2 열간성형소재의 노출부분을 성형하는 제2 메인 캠 성형부,
    중심부 상면에서 상기 제1 메인 캠 성형부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 캠 성형부의 상기 제1 방향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제2 메인 캠 성형부의 상기 제2 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메인 캠 지지부, 그리고
    상기 메인 캠 지지부와 상기 제2 메인 캠 성형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메인 캠 성형부의 원위치 복원 구동시 상기 제1 성형부와 상기 제2 성형부 방향으로 각각 이동된 상기 제2 메인 캠 성형부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리턴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 메인 캠 성형부는 상기 메인 캠 지지부의 중심부 상면과 대면되는 하부에서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가이드홈을 갖고, 상기 제1 슬라이딩면은 상기 가이드홈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제2 메인 캠 성형부는 적어도 상기 제1 열간성형소재와 상기 제2 열간성형소재와 각각 접하는 부분에 열간금형강을 포함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제1 성형부와 상기 제2 성형부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제1 성형부와 상기 제2 성형부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서브 캠 성형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성형부에 연동되어 상기 제1 열간성형소재와 상기 제2 열간성형소재의 나머지 노출부분을 미리 설정된 제2 방향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하는 제4 성형부를 더 포함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
KR1020160020613A 2016-02-22 2016-02-22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 KR101856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613A KR101856041B1 (ko) 2016-02-22 2016-02-22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613A KR101856041B1 (ko) 2016-02-22 2016-02-22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553A KR20170098553A (ko) 2017-08-30
KR101856041B1 true KR101856041B1 (ko) 2018-05-09

Family

ID=5976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613A KR101856041B1 (ko) 2016-02-22 2016-02-22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0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553A (ko) 201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70602B (zh) 用于金属板拉深的方法及拉深设备
JP5515774B2 (ja) ホットプレス成形方法、及びホットプレス成形装置
KR101575275B1 (ko) 핫 스탬핑용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KR101501224B1 (ko) 개별 클램핑이 가능한 곡판 성형용 다점 스트레칭 포밍장비
KR101403294B1 (ko) 가압부를 구비하는 핫스템핑 성형장치와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JP6619645B2 (ja) ホットプレス装置、及びホットプレス成形方法
KR20150139799A (ko) 자동차용 수지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자동차용 수지 부품의 제조 장치
US20130316035A1 (en) Press molding system
JP4970900B2 (ja) プレス加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成形装置
KR101498997B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 홈 성형 및 벤딩 장치
JP5938074B2 (ja) 絞り成形方法及び装置
JP5990923B2 (ja) 熱間プレス成形装置および熱間プレス成形方法
JP2011092946A (ja) 熱間プレス加工装置及び熱間プレス加工方法
KR20130085099A (ko) 벤딩과 컬링 동시 성형 프레스 금형
KR101856041B1 (ko)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
US20150343513A1 (en) Hot stamping device
KR101647211B1 (ko) 가변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KR100957407B1 (ko) 차량용 시작 캠금형 장치
JP6137489B2 (ja) プレス装置およびプレス成形方法
CN205668028U (zh) 双行程子母斜楔
US9016101B2 (en) Tool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cans
KR20110081706A (ko) 프레스성형에 사용되는 주름방지용 금형 및 그를 사용한 열간 프레스 성형방법
KR101979899B1 (ko) 패드 냉각형 열간 프레스 성형장치
US20130302463A1 (en) Press molding apparatus
US20200039864A1 (en) Thermal bending machine and glass thermal ben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