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904B1 -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자동 전원 차단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자동 전원 차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904B1
KR101855904B1 KR1020160167412A KR20160167412A KR101855904B1 KR 101855904 B1 KR101855904 B1 KR 101855904B1 KR 1020160167412 A KR1020160167412 A KR 1020160167412A KR 20160167412 A KR20160167412 A KR 20160167412A KR 101855904 B1 KR101855904 B1 KR 101855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power
outlet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하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167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자동 전원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는 전기 방식의 레인지가 설치된 장소의 자동 화재 감지 장치와 연동하여 전기 방식의 레인지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한다.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는 콘센트 입력부와 콘센트 출력부 사이에 자동 전원 차단부와 스위칭부를 구비한다. 자동 전원 차단부와 스위칭부는 전기 방식의 레인지가 설치 장소에서 화재 발생 시, 자동 화재 감지 장치로부터 알람 신호를 받아서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시킨다. 자동 전원 차단부는 무전압 b 접점 스위치와 마그네틱 컨텍터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 발생 시, 전기 방식의 레인지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화재 발화원을 제거하고,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자동 전원 차단 방법{ELECTRIC OUTLET APPARATUS FOR CUTTING OFF POWER AUTOMATICALLY IN CONJUNCTION WITH FIRE AND METHOD FOR CUTTING THEREOF}
본 발명은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전기 방식의 레인지가 설치되는 장소에 화재 발생 시, 해당 장소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와 연동해서 전기 방식의 레인지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자동 전원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행정 규칙 "소화 기구 및 자동 소화 장치의 화재 안전 기준(시행 2015년 3월 24일)"에서는 '주방용 자동 소화 장치'를 공동 주택 및 오피스텔의 각 주방마다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즉, 주방용 자동 소화 장치는 아파트의 각 세대별 주방 및 오피스텔의 각실별 주방에 다음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주방용 자동 소화 장치는 소화약제 방출구, 감지부, 가스 차단 장치, 탐지부 및 수신부 등이 구비되어야 한다.
소화약제 방출구는 주방에서 발생하는 열기류 등을 밖으로 배출하는 환기구의 청소 부분과 분리되어 있어야 하며, 형식 승인 받은 유효 설치 높이 및 방호 면적에 따라 설치해야 한다. 감지부는 형식 승인 받은 유효한 높이 및 위치에 설치해야 하고, 가스 차단 장치는 주방 배관의 개폐 밸브로부터 2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되, 상시 확인 및 점검이 가능하도록 설치해야 한다. 탐지부는 수신부와 분리하여 설치하되,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천장 면으로부터 30㎝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를 사용하는 장소에는 바닥면으로부터 30㎝ 이하의 위치에 설치해야 한다. 그리고 수신부는 주위의 열기류 또는 습기 등과 주위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아니하고 사용자가 상시 볼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해야 한다.
공동주택의 주방은 화재 발생 우려가 높은 장소로서, 주방에 주방용 자동소화 장치를 설치하도록 소방 관련 법규에서 규정하고 있으나, 현재 시판되는 장치는 가스 방식의 레인지에만 적응성이 있고 전기 방식의 레인지에는 적응성이 없어 소화 설비 적용에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전기 방식의 레인지에서 화재 발생 시 발화원의 제거는 필수적이며 발화원의 제거를 위해서는 전기 방식의 레인지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주방용 자동 소화 장치는 가스 방식의 레인지에 적용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전기 방식의 레인지에는 적용이 불가하다.
예를 들어, 가스 방식의 레인지가 설치된 장소의 일반적인 주방용 자동 소화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방식의 레인지(12)가 설치된 장소의 상부에 설치되어 해당 장소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14)와, 가스 방식의 레인지(12)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16)와, 소화약제 방출구(18)가 구비되고 화재 발생 시, 가스 방식의 레인지(12)로 소화약제를 분출하는 소화기(20)를 포함한다.
또 주방용 자동 소화 장치(10)는 가스 방식의 레인지(12) 일측에 가스 방식의 레인지(12)로 공급되는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는 가스 차단부(22) 및, 설치 장소에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화재 감지부(14)로부터 감지 신호를 받아들여서 가스 차단부(22)로 가스 방식의 레인지로 공급되는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가스 공급을 차단시키는 수신부(24)가 구비된다. 주방용 자동 소화 장치(10)는 동시에 수신부(24)가 소화기(20)를 제어하여 가스 방식의 레인지(12) 측으로 소화약제를 분출하도록 하여 화재를 소화한다.
또 수신부(24)는 온도 감지부(16)로부터 가스 방식의 레인지(12)의 주변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일정 온도 이상이면 가스 차단부(22)로 가스 공급을 차단시키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주방용 자동 소화 장치(10)는 가스 방식의 레인지에는 적용이 가능하나, 전기 방식의 레인지 예를 들어, 전기 쿡탑, 인덕션 등에는 적용이 불가하므로, 주택 화재의 안전성 확보에 부적합하다.
최근 서울시 공문 "2016년 제1회 서울특별시 소방 기술 심의 위원회 개최 결과 알림(2016년 4월 6일)"에서도 '전기 레인지(인덕션)에 적용성 있는 주거용 주방 자동 소화 장치 형식 승인 제품이 나오기 전까지는 가스 레인지에 설치되는 주거용 주방 자동 소화 장치를 설치하여 주택 화재의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함.'이라고 하여, 현재 방식의 부적합을 인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4109호(공고일 2011년 11월 16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9818호(공고일 2009년 12월 07일)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53067호(공개일 1998년 09월 25일)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4294호(공고일 2016년 06월 08일)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방식의 레인지가 설치된 장소에서 화재 발생 시, 화재 발화원을 제거하고, 화재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차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회로 구성을 이용하여 전기 방식의 레인지가 설치된 장소에서 화재 감지기와 연동하는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차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 방식의 레인지에 적용하여 주방 자동 소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차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는, 전기 방식의 레인지(미도시됨)가 설치된 장소의 자동 화재 감지 장치와 연동해서 화재 발생 시, 전기 방식의 레인지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도록 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는 화재 발화원을 제거하고,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는, 전기 방식의 레인지가 설치된 장소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와, 상기 화재 감지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받아들아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화재 수신부 및, 상기 화재 수신부로부터 알람 신호를 받아서 외부로 알려주는 화재 알람부를 포함하는 자동 화재 감지 장치와 연동된다.
상기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받아들이는 콘센트 입력부와;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고, 상기 전기 방식의 레인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콘센트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전기 방식의 레인지로 공급하는 콘센트 출력부와; 상기 콘센트 입력부와 상기 콘센트 출력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 입력부로부터 상기 콘센트 출력부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전기 방식의 레인지가 설치된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화재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알람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스위칭부를 스위칭 오프되도록 하여 상기 콘센트 출력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자동 전원 차단부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는; 상기 스위칭부는 릴레이 회로로 구비되고; 상기 자동 전원 차단부는 상기 스위칭부와 상호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화재 수신부로부터 알람 신호를 받아서 스위칭되는 무전압 b 접점 스위치와 마그네틱 컨텍터가 상호 직렬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는; 상기 자동 전원 차단부를 평상 시의 스위칭 상태로 복구시키기 위한 복구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기 방식의 레인지가 설치된 장소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와, 상기 화재 감지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받아들아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화재 수신부 및, 상기 화재 수신부로부터 알람 신호를 받아서 외부로 알려주는 화재 알람부를 포함하는 자동 화재 감지 장치와 연동하는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의 제어 방법은, 외부로부터 상기 콘센트 입력부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 방식의 레인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콘센트 출력부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화재 수신부로부터 상기 자동 전원 차단부로 알람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전원 차단부로 알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스위칭부가 스위칭 오프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 및; 상기 스위칭부가 스위칭 오프되어 상기 콘센트 출력부로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전원 차단 방법은; 상기 복구 스위치가 눌러지면, 상시 자동 전원 차단부가 상기 콘센트 입력부로부터 상기 콘센트 출력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는 전기 방식의 레인지가 설치된 장소에서의 화재 발생 시, 전기 방식의 레인지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화재 발화원을 제거하고, 화재 확산을 방지하여 화재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는 자동 전원 차단을 위한 회로를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에서 적용되는 전류 센서 등의 사용없이 무전압 b 접점 스위치와 마그네틱 컨텍터를 이용하여 구비함으로써, 회로 구성이 간단하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스 방식의 레인지를 위한 주방용 자동 소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화재 감지 장치와 연동하는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 전원 차단부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의 전원 자동 차단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화재 감지 장치와 연동하는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 전원 차단부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100)는 화재 발화원을 제거하고, 화재 확산을 방지하여 화재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전기 방식의 레인지(미도시됨)가 설치된 장소의 자동 화재 감지 장치(200)와 연동해서 전기 방식의 레인지의 공급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100)는 콘센트 입력부(110)와, 콘센트 출력부(120)와. 스위칭부(130) 및, 자동 전원 차단부(140)를 포함한다. 또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100)는 복구 스위치(15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콘센트 입력부(110)는 외부로부터 단상의 교류 전원(예컨대, 220 V)을 입력받아서 콘센트 출력부(120)로 전원을 공급한다.
콘센트 출력부(120)는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고, 전기 방식의 레인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콘센트 출력부(120)는 콘센트 입력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전기 방식의 레인지로 전원을 공급한다.
스위칭부(130)는 평상 시에는 콘센트 입력부(11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스위칭 온(ON)되어 콘센트 출력부(120)로 전원을 공급한다. 스위칭부(130)는 자동 전원 차단부(140)의 동작에 응답해서 스위칭 오프(OFF)되어 콘센트 출력부(1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 실시예에서 스위칭부(130)는 예컨대, 릴레이 회로, IC 회로 등으로 구비된다. 스위칭부(130)는 복구 스위치(150)가 더 연결된다.
자동 전원 차단부(140)는 평상 시에는 스위칭 온(ON)되어 폐회로(closed circuit)를 구성하여 스위칭부(130)를 스위칭 온(ON)시켜서 콘센트 입력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콘센트 출력부(120)로 전달되도록 한다. 자동 전원 차단부(140)는 전기 방식의 레인지가 설치된 장소에서 화재 발생 시, 자동 화재 감지 장치(200)의 화재 수신기(220)로부터 알람 신호(ALARM)를 전송받아서 스위칭 오프(OFF)되어 개회로(open circuit)를 형성한다. 그 결과, 스위칭부(130)가 스위치 오프(OFF)되어 콘센트 입력부(110)로부터 콘센트 출력부(120)로 공급되는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된다.
여기서 자동 화재 감지 장치(200)는 예컨대, 공동주택의 주방에 설치되는 전형적인 자동 화재 감지 장치의 구성을 갖는다. 즉, 자동 화재 감지 장치(200)는 화재 감지부(210)와, 화재 수신부(220) 및 화재 알람부(230)를 포함한다. 화재 감지부(210)와 화재 수신부(220), 화재 수신부(220)와 화재 알람부(230) 각각은 예컨대,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화재 감지부(210)는 전기 방식의 레인지가 설치된 장소의 상부에 설치되어 해당 장소에서의 화재 발생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화재 발생 시, 감지 신호를 화재 수신부(220)로 전송한다. 화재 수신부(220)는 설치 장소에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화재 감지부(14)로부터 감지 신호를 받아들여서 화재 알람부(230) 및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100)로 알람 신호(ALARM)를 전송한다. 그리고 화재 알람부(230)는 화재 수신부(220)로부터 전송된 알람 신호(ALARM)에 응답해서 외부로 경고음, 경종 등을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자동 전원 차단부(140)는 스위칭부(130)와 상호 병렬로 연결되고, 자동 화재 감지 장치(200)의 화재 수신부(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자동 전원 차단부(140)의 양단은 평상 시에는 예를 들어, 단상(R, N)의 교류 전원이 인가되는 콘센트 입력부(110)와 스위칭부(130) 사이에서 전원 공급 라인들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구성하고, 화재 발생 시에는 화재 수신부(220)로부터 알람 신호(ALARM)를 전송받아서 개회로를 구성한다.
이 실시예의 자동 전원 차단부(140)는 상호 직렬로 연결되는 무전압 b 접점 스위치(142)와 마그네틱 컨텍터(Magnetic Contactor : MC)(144)를 포함한다.
무전압 b 접점 스위치(142)와 마그네틱 컨텍터(144)는 평상 시에는 폐회로를 유지하도록 스위칭되고, 화재 발생 시 즉, 자동 화재 감지 장치(200)의 화재 수신부(220)로부터 알람 신호(ALARM)가 전송되면, 이에 응답해서 폐회로를 개방하도록 스위칭한다.
그리고 복구 스위치(150)는 화재 발생이 해결되거나,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100)의 동작이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거주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눌러져서 스위칭부(130)의 스위칭 오프(OFF) 상태를 스위칭 온(ON) 상태로 복구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100)는 화재 발생 시, 전기 방식의 레인지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킨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의 전원 자동 차단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100)는 단계 S300에서 콘센트 입력부(110)가 외부로부터 단상의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서 콘센트 출력부(120)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 때, 스위칭부(130)는 스위칭 온(ON) 상태가 된다. 또 콘센트 출력부(120)에는 전기 방식의 레인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콘센트 출력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단계 S310에서 전기 방식의 레인지가 설치된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자동 전원 차단부(140)로 알람 신호(ALARM)가 수신되면, 단계 S320에서 자동 전원 차단부(140)가 스위칭되어 스위칭부(130)를 스위칭 오프시켜서 콘센트 입력부(110)로부터 콘센트 출력부(1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그 결과 전기 방식의 레인지의 전원 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된다.
이 실시예에서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100)는 전기 방식의 레인지가 설치된 장소의 자동 화재 감지 장치(200)와 연동된다. 즉, 자동 화재 감지 장치(200)의 화재 감지부(210)에서 화재 발생이 감지되어 화재 수신부(220)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송하면, 화재 수신부(220)는 알람 신호(ALARM)를 자동 전원 차단부(140)와 화재 알람부(230)로 전송한다. 따라서 자동 전원 차단부(140)는 알람 신호(ALARM)에 응답해서 스위칭하여 스위칭부(130)를 동작시킨다.
이어서 단계 S330에서 복구 스위치(150)가 눌러지면, 단계 S300으로 진행하여 콘센트 입력부(110)로부터 콘센트 출력부(120)로 전원을 재공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
110 : 콘센트 입력부
120 : 콘센트 출력부
130 : 스위칭부
140 : 자동 전원 차단부
142 : 무전압 b 접점 스위치
144 : 마그네틱 컨텍터
150 : 복구 스위치

Claims (5)

  1. 전기 방식의 레인지가 설치된 장소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와, 상기 화재 감지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받아들아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화재 수신부 및, 상기 화재 수신부로부터 알람 신호를 받아서 외부로 알려주는 화재 알람부를 포함하는 자동 화재 감지 장치와 연동되는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받아들이는 콘센트 입력부와;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고, 상기 전기 방식의 레인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콘센트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전기 방식의 레인지로 공급하는 콘센트 출력부와;
    상기 콘센트 입력부와 상기 콘센트 출력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 입력부로부터 상기 콘센트 출력부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전기 방식의 레인지가 설치된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화재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알람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스위칭부를 스위칭 오프되도록 하여 상기 콘센트 출력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자동 전원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는 릴레이 회로로 구비되고,
    상기 자동 전원 차단부는 상기 스위칭부와 상호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화재 수신부로부터 알람 신호를 받아서 스위칭되는 무전압 b 접점 스위치와 마그네틱 컨텍터가 상호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는;
    상기 자동 전원 차단부를 평상 시의 스위칭 상태로 복구시키기 위한 복구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
  4. 제 3 항에 기재된 상기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의 자동 전원 차단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콘센트 입력부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 방식의 레인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콘센트 출력부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화재 수신부로부터 상기 자동 전원 차단부로 알람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전원 차단부로 알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스위칭부가 스위칭 오프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 및;
    상기 스위칭부가 스위칭 오프되어 상기 콘센트 출력부로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의 자동 전원 차단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전원 차단 방법은;
    상기 복구 스위치가 눌러지면, 상시 자동 전원 차단부가 상기 콘센트 입력부로부터 상기 콘센트 출력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의 자동 전원 차단 방법.
KR1020160167412A 2016-12-09 2016-12-09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자동 전원 차단 방법 KR101855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412A KR101855904B1 (ko) 2016-12-09 2016-12-09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자동 전원 차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412A KR101855904B1 (ko) 2016-12-09 2016-12-09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자동 전원 차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904B1 true KR101855904B1 (ko) 2018-05-09

Family

ID=62200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412A KR101855904B1 (ko) 2016-12-09 2016-12-09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자동 전원 차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9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311B1 (ko) * 2020-05-29 2020-09-04 주식회사 아지즈 전원차단 기능을 갖는 제어기 분리형 일산화탄소 경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530B1 (ko) 2012-12-26 2014-03-06 (주)제이디 전자식 콘센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530B1 (ko) 2012-12-26 2014-03-06 (주)제이디 전자식 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311B1 (ko) * 2020-05-29 2020-09-04 주식회사 아지즈 전원차단 기능을 갖는 제어기 분리형 일산화탄소 경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604B1 (ko) 소방전원 보존형 자가발전기
US8450879B2 (en) Power control apparatus
KR101714338B1 (ko) 전기 또는 가스로 인한 주방 화재의 자동 소화 시스템
JPH026541B2 (ko)
US20090312883A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power, water or gas supply
WO2018229536A1 (en) A fire extinguisher/fire preventor for electric transformer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A2927401A1 (en) Fire suppression device
EP1068601B1 (en) Method for switching off a power supply in a dangerous situation and a corresponding safeguarding arrangement
KR101855904B1 (ko) 화재 연동 자동 전원 차단용 전기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자동 전원 차단 방법
KR20130098791A (ko)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29154Y1 (ko) 자동 소화 장치
US20140257588A1 (en) Appliance Shut-Off Device and Method
JP2016140414A (ja) 自動火災報知消火システム
GB2407719A (en) Fire alarm triggered safety system
JP5117840B2 (ja) 室内配置電化装置
KR101877289B1 (ko) 복전으로 인한 2차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분전반 또는 수배전반 등에 구성된 지진감진모듈
KR101363837B1 (ko) 자동식 소화장치의 후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84012A (ko) 화재방재장치
JP4191983B2 (ja) 電流表示装置
NO344649B1 (en) Fire detection and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20060139835A1 (en) Device for protection from thunder
AU2018101001A4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larm triggered electrical supply disconnection
KR101576604B1 (ko) 화재 예방 겸 소화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AU2008203195A1 (en) A power shutdown system
KR20150038890A (ko) Mcc내의 외기 도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