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698B1 - 라면 급속조리장치 - Google Patents

라면 급속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698B1
KR101855698B1 KR1020170015141A KR20170015141A KR101855698B1 KR 101855698 B1 KR101855698 B1 KR 101855698B1 KR 1020170015141 A KR1020170015141 A KR 1020170015141A KR 20170015141 A KR20170015141 A KR 20170015141A KR 101855698 B1 KR101855698 B1 KR 101855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amen
hot water
discharging
pressure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환
Original Assignee
최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환 filed Critical 최정환
Priority to KR1020170015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면 급속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라면을 조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라면이 조리되는 압력용기; 체크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압력용기를 밀폐시킬 수 있는 압력뚜껑; 상기 압력뚜껑의 개방을 락킹하는 락킹수단; 상기 체크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압력용기 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압력을 상승시키는 컴프레서; 상기 체크밸브와 컴프레서 사이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 상기 압력뚜껑에 부착되어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라면 급속조리장치{Quick cooking device of ramen}
본 발명은 라면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에서 단시간 내에 라면을 조리할 수 있는 라면 급속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패스트 푸드 가운데 라면은 간단하고 신속한 식사를 위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라면은 이미 조리된 라면에 온수를 부어 조리하도록 된 컵라면과, 라면을 끓는 물에 넣고 스프를 투입하고, 취향에 따라 각종 양념을 추가하여 조리하도록 된 봉지 라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컵 라면의 경우 온수만 준비된다면 야외에서도 짧은 시간에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지만, 봉지 라면의 경우 조리할 수 있는 불과 도구들이 필요하며 조리하는데 최소한 5분 이상 걸리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봉지 라면은 주로 식당에서 주문해서 먹을 수 있는데, 라면의 주문이 매우 빈번한 식당의 경우 라면을 조리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인해 주문 후 공급되는 시간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또 라면의 경우 대기압 하, 100℃에서 일정시간 동안 끓여 조리하기 때문에 컵 라면보다는 면발의 식감이 좋다. 그러나 봉지 라면도 3분 이상 끓이는 동안 면발의 표면부터 익기 시작해서 내부까지 천천히 익기 때문에 내부가 완전히 익을 때쯤이면 면발의 표면이 흐물흐물해지면서 퍼지기 시작한다.
이러한 라면 조리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들이 아래와 같이 공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2-0078539(2002.10.19)은 다양한 음식재료를 빠른 시간에 맛있게 요리할 수 있는 다용도 압력솥에 관한 것인데, 일반적인 압력솥에 급속냉각수단을 구비하여 압력솥 내의 고온고압을 순간적으로 제거하여 면류를 빠르게 조리하면서 본래의 맛을 살릴 수 있는 조리장치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97935(2007.10.5)의 경우, 압력냄비에 타이머를 부착하여 조리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적정한 온도를 가열하여 최적의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라면전용냄비에 관한 것이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25785(2013.10.30)에서는 조리시 냄비 내에서 증가되는 압력에 의해 증기를 자동으로 배출하다가 조리가 완료된 이후에 냄비에 자동적으로 진공이 가능하게 밀폐가 유지되게 하고 뚜껑을 열고자 하는 경우 냄비 내의 압력을 간단하게 변화토록 하여 뚜껑을 쉽게 열 수 있는 압력변화가 용이한 뚜껑을 구비한 진공 가능한 밀폐냄비를 제안하고 있다.
상술한 선행기술들의 경우 압력용기를 사용하여 좀 더 빠른 시간에 식감을 향상시킨 라면을 조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압만으로 압력이 제공되기 때문에 라면을 끓이는데 필요한 시간이 크게 줄어들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처음에 압력용기를 가열하기 시작할 때는 증기압이 형성되지 일반적인 조리방식으로 조리되고 일정 시간이 지나야 고압에서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리시간이 단축되기 힘들고 조리된 면발의 식감에도 한계가 있다.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2-0078539(2002.10.19) "다용도 압력솥"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39944(2005.5.3) "다용도 취사기구"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97935(2007.10.5) "라면전용 압력냄비"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25785(2013.10.30) "압력변화가 용이한 뚜껑을 구비한 진공가능한 밀폐냄비"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라면 조리시 외부에서 별도로 압력을 공급하여 용기 내부의 압력을 고압으로 높인 상태에서 라면을 조리함으로써 조리시간을 단축하고 면발의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라면급속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면 급속조리장치는, 라면을 조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라면이 조리되는 압력용기; 체크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압력용기를 밀폐시킬 수 있는 압력뚜껑; 상기 압력뚜껑의 개방을 락킹하는 락킹수단; 상기 체크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압력용기 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압력을 상승시키는 컴프레서; 상기 체크밸브와 컴프레서 사이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 상기 압력뚜껑에 부착되어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뚜껑의 하부면에는 라면 조리시 라면을 눌러 물속에 잠기게 하는 가압수단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압력뚜껑의 하부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에 결합되고 라면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수평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용기의 하측에 형성되어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개폐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디스크와, 상기 배출구의 상측에는 면을 걸러주는 망을 포함하는 배출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는 일정 온도 이상의 온수를 저장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 하측에 구비되어 정량의 온수를 배출하는 정량공급밸브와, 상기 정량공급밸브와 압력뚜껑을 연결하는 온수공급관을 포함하는 온수공급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용기의 하부면에는 전기로 가열되는 열선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 시작부터 고압에서 라면을 조리하기 때문에 라면이 빨리 익어 조리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압력으로 인해 면발의 겉과 속이 거의 동시에 익어 종래에 비해 탁월한 식감을 가진 라면이 제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라면을 대량으로 공급하는 식당에서 주문에 대한 서비스의 지연이 줄어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라면 급속조리장치의 단면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라면 급속조리장치의 단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라면 급속조리장치의 단면구조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라면 급속조리장치의 단면구조도이다.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압의 압력용기에서 라면을 빠른 시간 내에 조리할 수 있는 것으로 크게 압력용기(10), 압력뚜껑(20), 락킹수단(30), 컴프레서(40), 레귤레이터(50), 증기배출수단(60)을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용기(10)는 물과 라면이 수용되어 조리가 진행되는 용기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라면이 조리되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열전달이 빠른 금속이 바람직하며,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황동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용기(10)는 고압을 견딜 수 있는 두께를 가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 상기 압력용기(10) 내부에는 물의 양을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압력뚜껑(20)은 상기 압력용기(10)를 닫아 밀폐시키는 커버에 해당한다. 상기 압력뚜껑(20)의 재질도 압력용기와 동일하거나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압력뚜껑(20)은 냄비뚜껑과 같이 닫아 양측에서 잠그는 형태일 수 있고, 다르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압력용기(10)와 힌지 결합되고 맞은 편에서 잠궈서 밀폐시키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뚜껑(20)에는 압력체크밸브(21)가 구비된다. 상기 압력체크밸브(21)는 일 방향으로만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밸브로서, 본 발명에서는 외부에서 상기 압력체크밸브(21)를 통해 상기 압력용기 내부로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지만 압력용기(10) 내부의 공기는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방향성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참고로 상기 압력뚜껑(20)과 압력용기 테두리 사이에는 압력 및 증기 누설을 방지하는 오링 또는 패킹(23)이 더 삽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락킹수단(30)은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압력뚜껑(20)이 상기 압력용기(10)로부터 개방되지 않도록 락킹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압력용기(10)와 압력뚜껑(20)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체결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용기(10) 측면 상단부에 손잡이(31)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31)의 상부면에는 가이드홈(31a)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31a) 내부에는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슬라이더(32)가 삽입,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31a) 내에 길이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는 압축스프링(33)이 내설되어 상기 슬라이더(32)를 탄성 지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32)를 엄지손가락으로 마찰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31a)을 따라 후퇴시키면 상기 압축스프링(33)이 압축되면서 후퇴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32)의 일측에 상기 압력뚜껑(20)에서 가장자리에 돌출된 돌출편(24)이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걸림홈(3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술한 방식의 락킹수단(30) 외에도 상기 압력용기(10)와 압력뚜껑(20)을 락킹시켜 밀폐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과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컴프레서(Compressor)와 레귤레이터(Regulator)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라면 조리 시작시점부터 압력용기 내부의 압력을 고압으로 만들어 주기 위해 상기 컴프레서(40)와 레귤레이터(50)가 구비된다.
상기 컴프레서(40)에 의해 압축된 공기는 튜브를 통해 상기 압력체크밸브(21)를 통과한다. 그리고 적정한 압력을 공급하도록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50)가 더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압력용기 내에 라면을 조리할 경우 물이 끓으면서 증기가 발생하면 증기압에 의해 압력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한다. 보통 1.5kgf/cm2 정도의 압력까지 상승한다.(대기압이 대략 1kgf/cm2이다)
그러나 물이 끓기 전에는 증기압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대기압하에서 라면이 조리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라면 조리 시작부터 상기 컴프레서(40)에서 대략 2kgf/cm2 에서 최대 5kgf/cm2 정도의 압력을 걸어줄 수 있다. 고압의 상태에서 라면이 조리되기 시작하면 온수가 압력에 의해 라면 면발에 더 빠르게 더 깊이 침투하면서 라면이 훨씬 빠르게 조리될 수 있다. 더불어 면발의 겉과 속이 거의 같은 시간대에 익기 때문에 라면의 식감이 매우 뛰어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압력뚜껑(20)의 상부에는 증기가 배출될 수 있는 증기배출수단(60)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수단(60)은 상기 압력용기(10)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면 자동적으로 증기를 배출시켜 압력을 강하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초기에 컴프레서(40)에서 공급된 일정한 고압에서 조리가 시작되지만 차츰 증기압에 의해 압력이 더 상승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최대치인 5kgf/cm2을 초과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과도한 압력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증기배출수단(60)에 의해 증기를 배출함으로써 조리하는 동안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수단(60)의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중량을 가지는 신호추(61)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신호추(61)는 압력이 낮을 때는 자체 중량에 의해 증기배출구를 막고 있다가 어느 압력을 초과하면 개방되어 증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르게는 안전밸브(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전밸브는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자동적으로 밸브가 열리는 밸브이다.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다르게 압력게이지(미도시)를 더 부착하여 외부에서 압력을 인식할 수 있게 하거나 일정 압력에 도달한 신호를 발생시키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라면 급속조리장치의 단면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에 라면을 가압하는 가압수단(70)과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밸브(11)가 더 구비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라면을 조리할 때 물속에 투입된 라면은 물에 뜨게 되고, 뜬 상태에서 조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라면의 하부는 잘 익지만 상부면은 상대적으로 익는 속도가 더디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통 수동으로 라면을 저어주는 동작이 필요하지만 압력용기에서 조리할 경우 그러한 동작이 힘들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수단(70)을 사용하여 라면을 눌러 물속에 잠기게 한 상태에서 조리가 가능하다.
상기 가압수단(70)은 수직부재(71)와 수평부재(7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71)는 상기 압력뚜껑(20)의 하부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봉이나 바(bar)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압력뚜껑(20)의 하부면에 탭을 형성시키고 상기 수직부재(71)의 상단에 나사산을 형성시켜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72)는 상기 수직부재(71)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수평으로 배치되어 라면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부재(72)는 평판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다수개의 봉이나 바를 정렬시켜 라면의 상부면을 균일하게 누를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평부재 4개를 'W'자, 'M'자 등의 형태로 조립하여 상기 수직부재 하단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는 3개로 'N'자와 같은 형태로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르게 2개를 사용하여 'X'와 같은 형태로 배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압력용기(10)의 하측에는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수단(1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수단(12)은 라면 외에 물을 버려야 하는 면의 경우 물을 배출하기 위함이다. 국수나 짜장면과 같은 면을 익힐 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출수단(12)은 상기 압력용기(10)의 하측에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1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2a)에는 배출구(12a)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디스크(12b)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디스크(12b)는 개폐실린더(12c)의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실린더(12c)의 구동에 의해 개폐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배출구(12a)의 상측에는 물은 통과하고 면은 걸러주는 망(12d)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망은 상기 배출구(12a)만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녹이 발생하지 않는 스텐망일 있다.
더불어 상기 배출구(12a)에서 배출된 물이 버려지도록 유도하는 상기 배출구(12a)와 연통되는 배출관(12e)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관(12e)은 대략 '┗┓'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개폐실린더(12c)의 로드가 상기 배출관(12e)을 관통하여 상기 개폐디스크(12c)와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라면 급속조리장치의 단면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온수공급수단(80) 및 압력용기(10) 하부면에 열선(90)이 더 구비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을 높인 상태에서 조리를 하더라도 상기 압력용기(10)를 가열하여 물을 끓이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리 가열하여 준비된 고온의 온수를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온수공급수단(80)은 온수탱크(81)와, 정량의 온수를 배출하는 정량공급밸브(82)와, 상기 정량공급밸브(82)와 압력뚜껑을 연결하는 온수공급관(8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수탱크(81)는 내부에 히트파이프와 같은 가열장치가 내장되어 물을 일정 온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지속적으로 가열한다. 일반적으로 90℃ 정도를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탱크(81)에는 온수에 최적량의 스프가 혼합된 온육수가 저장되어 상기 압력용기(10)에 바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에 스프가 잘 혼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크류와 같은 회전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량공급밸브(82)는 정확한 양의 온수가 압력용기(10)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밸브이다. 정량을 토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데,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정량공급밸브(82)의 토출구와 상기 압력뚜껑(20)은 온수공급관(83)으로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한다. 이때, 상기 압력뚜껑(20)에는 온수체크밸브(22)가 더 형성되어 상기 온수공급관(83)과 연결된다. 따라서, 압력용기 내부의 증기와 물이 온수탱크로 역류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압력용기(10)의 하부면에는 전기로 가열되는 열선(90)이 내장될 수 있다. 불로 상기 압력용기(10)를 가열하여 조리할 수도 있지만, 좀 더 빠른 조리를 위해 열선에 의해 가열할 수도 있다.
상기 열선(90)은 매립된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압력용기(10) 하부면에 부착된 판 히터일 수 있다. 상기 열선(90)은 별도의 컨트롤러에 의해 가열시간이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이용한 라면 조리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압력용기(10)에 라면(R)을 투입하고 상기 압력뚜껑(20)을 닫아 상기 락킹수단(30)으로 밀폐시킨다.
그리고 상기 정량공급밸브(82)를 작동시켜 상기 온수탱크(81)에 저장된 온수와 스프가 혼합된 온육수가 상기 압력용기(10) 내부로 주입되게 한다. 이때, 라면의 개수에 따라 공급되는 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압력용기(10) 내에 온육수가 공급된 상태여서 라면이 뜨지만 상기 가압수단(70)에 의해 물속에 잠긴 상태가 된다.
바로 이어 상기 컴프레서(40)가 구동되어 압축공기가 상기 압력뚜껑(20)을 통해 압력용기(10) 내로 공급되어 압력용기(10) 내 압력이 상승하고 일정 압력이상이 되면 상기 레귤레이터(50)에 의해 압축공기 공급이 중단된다.
동시에 상기 열선(90)에 전기가 공급되어 상기 압력용기(10)를 가열하면 물이 빠른 시간 내에 끓기 시작하면서 라면이 조리되기 시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라면 조리 시작부터 고압에서 조리되기 때문에 면발에 온수의 침투가 가속화되어 빨리 익게 될 뿐만 아니라 면발의 겉과 속이 거의 동시에 익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단시간 내에 조리가 완료되고 더불어 쫄깃한 식감이 매우 뛰어나게 된다. 테스트 결과 대략 1분 이내 조리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압력용기
12 : 배출수단 12a : 배출구
12b : 개폐디스크 12c : 개폐실린더
12d : 망 12e : 배출관
20 : 압력뚜껑
21 : 압력체크밸브 22 : 온수체크밸브
23 : 오링 또는 패킹 24 : 돌출편
30 : 락킹수단 31 : 손잡이
31a : 가이드홈 32 : 슬라이더
32a : 걸림홈 33 : 압축스프링
40 : 컴프레서 50 : 레귤레이터
60 : 증기배출수단 61 : 신호추
70 : 가압수단
71 : 수직부재 72 : 수평부재
80 : 온수공급수단 81 : 온수탱크
82 : 정량공급밸브 83 : 온수공급관
90 : 열선 R : 라면

Claims (6)

  1. 라면을 조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라면이 조리되는 압력용기;
    체크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압력용기를 밀폐시킬 수 있는 압력뚜껑;
    상기 압력뚜껑의 개방을 락킹하는 락킹수단;
    상기 체크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압력용기 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압력을 상승시키되, 2kgf/cm2 ~ 5kgf/cm2 의 압력을 공급하는 컴프레서;
    상기 체크밸브와 컴프레서 사이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
    상기 압력뚜껑에 부착되어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면 급속조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뚜껑의 하부면에는 라면 조리시 라면을 눌러 물속에 잠기게 하는 가압수단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급속조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압력뚜껑의 하부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에 결합되고 라면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급속조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용기의 하측에 형성되어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개폐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디스크와, 상기 배출구의 상측에는 면을 걸러주는 망을 포함하는 배출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급속조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일정 온도 이상의 온수를 저장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 하측에 구비되어 정량의 온수를 배출하는 정량공급밸브와, 상기 정량공급밸브와 압력뚜껑을 연결하는 온수공급관을 포함하는 온수공급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급속조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용기의 하부면에는 전기로 가열되는 열선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급속조리장치.
KR1020170015141A 2017-02-02 2017-02-02 라면 급속조리장치 KR101855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141A KR101855698B1 (ko) 2017-02-02 2017-02-02 라면 급속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141A KR101855698B1 (ko) 2017-02-02 2017-02-02 라면 급속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698B1 true KR101855698B1 (ko) 2018-05-08

Family

ID=6218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141A KR101855698B1 (ko) 2017-02-02 2017-02-02 라면 급속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6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795B1 (ko) * 2021-03-09 2021-10-07 한미선 라이스페이퍼 데침홀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290B1 (ko) * 2006-11-24 2008-04-07 박현성 자동 라면조리기
KR101496342B1 (ko) * 2013-09-11 2015-02-26 김치환 더치커피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290B1 (ko) * 2006-11-24 2008-04-07 박현성 자동 라면조리기
KR101496342B1 (ko) * 2013-09-11 2015-02-26 김치환 더치커피 추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795B1 (ko) * 2021-03-09 2021-10-07 한미선 라이스페이퍼 데침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70440A1 (en) Vacuum brewed beverage machine and vacuum brewing method
US4386109A (en) Microwave expresso coffee maker and process
KR101213901B1 (ko) 전기취반기 및 취반방법
US2827379A (en) Process of cooking food
EP3030116B1 (en) Device for cooking and heating and/or reviving of portions of fresh and/or frozen pre-cooked pasta and other food preparations
US20060037481A1 (en) Espresso machin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3769902A (en) Thawer-cooker
EP1758490B1 (en) A coffee machine
CN111095368B (zh) 拉面自动售货机的拉面快速烹饪装置
KR101855698B1 (ko) 라면 급속조리장치
US3618587A (en) Grease pressure-pulsing cooker
KR102085149B1 (ko) 가공식품 조리 자판기
US20140060336A1 (en) Apparatus for Making Crema Coffee
KR102554133B1 (ko) 전기 압력 조리기
KR102356061B1 (ko) 진공 조리용기와 진공 저온 조리장치
KR101063873B1 (ko) 떡 제조장치
JP6419009B2 (ja) 調理器及び調理方法
US3604335A (en) Device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infusion water in a machine for preparing coffee and similar infusions
JP5754838B2 (ja) 蒸煮装置
JP5658596B2 (ja) 蒸煮装置
RU193751U1 (ru) Автоклав пароводяной для консервирова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TW201330809A (zh) 以礦泉水萃取咖啡或茶葉之方法及裝置
KR101019413B1 (ko)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
KR101217350B1 (ko) 저온비등 방법을 이용한 식품 추출장치
GB118630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oodstuff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