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408B1 - 관광콘텐츠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관광콘텐츠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408B1
KR101855408B1 KR1020170095100A KR20170095100A KR101855408B1 KR 101855408 B1 KR101855408 B1 KR 101855408B1 KR 1020170095100 A KR1020170095100 A KR 1020170095100A KR 20170095100 A KR20170095100 A KR 20170095100A KR 101855408 B1 KR101855408 B1 KR 101855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host
pattern signal
terminal
receiv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댓제주아일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댓제주아일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댓제주아일랜드
Priority to KR1020170095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2Chanc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관광지에 위치한 각 숙박업소, 명소(Tourist Attraction), 식당 및 레저시설을 포함하는 관광콘텐츠 정보가 저장되며 통신망(10)을 통해 제공하는 메인서버(100); 상기 숙박업소, 거리, 차량, 명소, 식당 또는 레저시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소에 설치되며, 각 관광콘텐츠별로 구분되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는 현장단말(200); 및 상기 현장단말(200)로부터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서버(100)로부터 해당 고스트음향패턴신호와 매칭되는 관광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관광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340)에 화면출력하는 사용자단말(300);을 포함하는 관광콘텐츠 제공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관광콘텐츠 제공시스템{TOUR CONTENTS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관광콘텐츠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관광지 내에 위치한 각 숙박업소, 명소, 식당 및 레저시설 등의 관광콘텐츠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모바일로 손쉽게 접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관광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관광콘텐츠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광지에서 여가를 즐기고자 하는 경우 잠자리, 볼거리, 즐길거리나 먹거리 등이 게시된 안내책자나 인터넷 게시물을 통해 해당 관광지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관광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있다.
그러나, 안내책자나 인터넷 게시물 상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관광콘텐츠들 찾아 보면서 사용자가 관심있거나 이동경로 주변에서 즐길 수 있는 특정 관광콘텐츠를 선별해야 하고 선별된 관광콘텐츠에 대한 자료를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모바일을 통해 홍보목적을 위해 각 업체별 쿠폰이나 할인혜택 등이 제공되고 있으나 사용자가 관심이 없거나 먼거리에 위치하여 방문이 제한되는 업체의 혜택정보도 함께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필요한 혜택을 번번히 구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더불어, 사용자가 이용하는 모바일을 통해 쿠폰이나 할인 등의 혜택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LTE나 3G 등의 통신망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통신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모바일에 구비된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혜택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와이파이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 등과 같이 별도의 신호송출장치를 설치해야 하며 신호송출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서는 데이터 통신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통신의 경우 두 통신장치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기 위해서는 통신연결을 인증하기 위한 페어링 절차가 필요하며, 페어링이 이루어지지 않은 장치간에는 통신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0528호(2017.05.11), 여행 정보제공 방법 및 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745800호(2017.06.02), 모바일 쿠폰 통합 관리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단말에 관광콘텐츠 제공앱을 설치하면서 입력한 사용자 관심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유용한 관광콘텐츠를 선별하여 사용자맞춤식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와이파이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이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여 지속적인 관광콘텐츠 제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관광콘텐츠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광콘텐츠 제공시스템은, 관광지에 위치한 각 숙박업소, 명소(Tourist Attraction), 식당 및 레저시설을 포함하는 관광콘텐츠 정보가 저장되며 통신망(10)을 통해 제공하는 메인서버(100); 상기 숙박업소, 거리, 차량, 명소, 식당 또는 레저시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소에 설치되며, 각 관광콘텐츠별로 구분되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는 현장단말(200); 및 상기 현장단말(200)로부터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서버(100)로부터 해당 고스트음향패턴신호와 매칭되는 관광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관광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340)에 화면출력하는 사용자단말(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현장단말(200)은 숙박업소에 설치된 TV(200a)이고, 상기 메인서버(100)로부터 수신되거나 기저장된 복수의 관광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210)에 화면출력하며, 화면출력된 복수의 관광콘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임의 관광콘텐츠가 선택되면 해당 관광콘텐츠와 매칭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현장단말(200)로부터 출력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로 메인서버(100)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관광콘텐츠의 상세정보, 할인쿠폰, 상품구매, 비용결제 또는 길안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관광콘텐츠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100)는 각 관광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관심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현장단말(200)로부터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인증ID정보를 포함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현장단말(200)은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로 메인서버(100)에 접속하여 해당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사용자 관심정보에 부합되는 관광콘텐츠를 선별하여 화면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장단말(200)은 거리에 설치된 사이니지(200b)이고, 상기 메인서버(100)로부터 수신되거나 기저장된 복수의 관광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210)에 화면출력하며, 화면출력되는 관광콘텐츠와 매칭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현장단말(200)로부터 출력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로 메인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사이니지(200b)에 화면출력되는 관광콘텐츠의 상세정보, 할인쿠폰, 상품구매, 비용결제 또는 길안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관광콘텐츠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장단말(200)은 차량 내에 설치된 네비게이션(200c)이고,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에 대한 관광콘텐츠 또는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된 관광콘텐츠에 대한 관광콘텐츠와 매칭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현장단말(200)로부터 출력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로 메인서버(100)에 접속하여 목적지 또는 이동경로 상의 관광콘텐츠의 상세정보, 할인쿠폰, 상품구매 또는 길안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관광콘텐츠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장단말(200)은 숙박업소, 거리, 차량, 관광지 또는 레저시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소에 설치된 통신장치(200d)이고, 복수의 관광콘텐츠 중 기정된 관광콘텐츠와 매칭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현장단말(200)로부터 출력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로 메인서버(100)에 접속하여 해당 관광콘텐츠의 상세정보, 할인쿠폰, 상품구매 또는 길안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관광콘텐츠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숙박업소, 관광지, 식당 및 레저시설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방문을 인증하기 위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는 방문인증단말(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방문인증단말(400)로부터 방문인증용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설정된 방문인증 확인신호를 메인서버(100)로 출력하며, 상기 메인서버(100)는 각 사용자단말(300)로부터 방문인증 확인신호가 수신된 횟수를 카운트하며, 카운트된 횟수에 따라 각 업체별 광고비용을 차등하여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장단말(200)은, 상기 메인서버(100)로부터 수신되거나 기저장된 복수의 관광콘텐츠 정보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210)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각 관광콘텐츠별로 구분되는 비가시(Invisible) 점멸패턴의 고스트광패턴신호를 화면출력하며,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상기 고스트광패턴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메인서버(100)로부터 해당 고스트광패턴신호와 매칭되는 관광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관광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340)에 화면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현장단말(200)로부터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확인정보를 포함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현장단말(200)은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한 후 설정대기시간 내에 상기 수신확인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고스트광패턴신호를 화면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장단말(200)은, 상기 숙박업소, 거리, 차량, 명소, 식당 또는 레저시설에 설치되어 주변에 조명광을 제공하는 조명장치(200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200e)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점등되면서 기설정된 비가시 점멸패턴의 고스트광패턴신호가 주기적으로 출력되도록 발광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장단말(200)은, 주변의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센서(240) 및,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250)가 구비되고, 상기 음향센서(240)로부터 감지된 주변의 음향주파수 대역의 크기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고스트광패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조도센서(250)로부터 감지된 주변조도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장단말(200)은, 상기 고스트음향패턴신호만 출력되는 제1시간대, 상기 고스트광패턴신호만 출력되는 제2시간대, 상기 고스트음향패턴신호와 고스트광패턴신호가 함께 출력되는 제3시간대 및, 상기 고스트음향패턴신호와 고스트광패턴신호가 모두 출력되지 않는 제4시간대로 구분되어 상기 고스트음향패턴신호 및 고스트광패턴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광콘텐츠 제공시스템에 의하면,
첫째, 숙박업소, 거리, 차량, 명소, 식당 또는 레저시설 등에 설치된 현장단말(200)은 각 관광콘텐츠별로 구분되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휴대한 사용자단말(300)은 현장단말(200)로부터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고스트음향패턴신호와 매칭되는 관광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340)에 화면출력할 수 있으므로, 와이파이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이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여 지속적인 관광콘텐츠 제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숙박업소에 설치된 TV(200a), 거리에 설치된 사이니지(200b) 및 차량에 설치된 네비게이션(200c)과 같이 사용자가 위치하거나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된 대상을 현장단말(200)로 이용함으로써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별도로 통신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TV(200a), 사이니지(200b), 네비게이션(200c) 및 사용자단말(모바일,300)과 같이 각각의 고유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장착된 스피커나 마이크를 이용하여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송수신하므로 시스템 구축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현장단말(200)로부터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인증ID정보를 포함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현장단말(200)은 사용자단말(300)로부터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로 메인서버(100)에 접속하여 해당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사용자 관심정보에 부합되는 관광콘텐츠를 선별하여 화면출력할 수 있다.
넷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장소에 상기 TV(200a), 사이니지(200b)나 네비게이션(200c)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숙박업소, 거리, 차량, 관광지 및 레저시설에 설치된 통신장치(200d)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300)에 제공하고자 하는 관광콘텐츠의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사용자단말(300) 측으로 출력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영역을 대폭 확대시킬 수 있다.
다섯째, 숙박업체, 관광지, 식당 및 레저시설에 설치에는 사용자의 방문을 인증하기 위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는 방문인증단말(400)이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방문인증단말(400)로부터 방문인증용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메인서버(100)로 방문인증 확인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메인서버(100)에서 각 업체별로 사용자들이 방문한 횟수를 카운트하여 각 업체별 광고비용을 차등하여 산정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현장단말(200)로부터 출력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사용자단말(300)이 인식하지 못하는 환경에서는 현장단말(200)로부터 고스트광패턴신호를 출력하여 설정된 관광콘텐츠 정보가 사용자단말(3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광콘텐츠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단말 및 사용자단말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V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관광콘텐츠가 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이니지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관광콘텐츠가 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촬영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문인증단말에 의해 사용자의 방문이 인증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촬영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에 앱설치 안내문구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화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에 설치된 앱을 통해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입력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광콘텐츠 제공시스템은 메인서버(100), 현장단말(200) 및 사용자단말(3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메인서버(100)는 숙박업체, 명소, 식당 및 레저시설을 포함하는 관광콘텐츠 정보가 저장되며 통신망(10)을 통해 사용자단말(300) 측으로 제공하는 서버이다. 여기서, 메인서버(100)에는 각 관광지에 포함된 다양한 관광콘텐츠별로 세부정보, 할인쿠폰, 상품구매, 비용결제 또는 길안내를 위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통신망(10)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특정 관광콘텐츠를 제공하는데, 사용자단말(300)에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에 따라 각 관광콘텐츠를 구분하여 요청된 특정 관광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현장단말(200)은 사용자단말(300)에 설정된 관광콘텐츠가 표시되도록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상기 숙박업소, 거리, 차량, 명소, 식당 또는 레저시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소에 설치되며, 각 관광콘텐츠별로 구분되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고스트음향패턴신호는 사람의 귀로는 들을 수 없는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10KHz 내지 300GHz)을 가지며 각 관광콘텐츠별로 구분되는 각각의 특정패턴으로 출력되는 음향신호로서, 헤더와 데이터 및 테일로 구분되는 패킷구조로 이루어져 복수 개의 심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단말(300) 또는 메인서버(100)가 각 고스트음향패턴신호별로 매칭되는 관광콘텐츠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장단말(200)은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등의 신호발신부(260), 사용자단말(300)로부터 출력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부(220) 및 현장단말(200)이 갖는 고유기능(TV:방송프로그램 제공, 사이니지:광고 제공, 네비게이션:경로 안내)을 구현하는 고유기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모바일로서, 상기 현장단말(200)로부터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이용하여 메인서버(100)로부터 해당 고스트음향패턴신호와 매칭되는 관광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관광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340)에 화면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현장단말(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숙박업소에 설치된 TV(200a)일 수 있는데, 이 경우 TV(200a)는 메인서버(100)로부터 수신되거나 기저장된 복수의 관광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210)에 화면출력하며, 복수의 관광콘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임의 관광콘텐츠가 선택되면 해당 관광콘텐츠와 매칭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TV(200a)로부터 특정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고스트음향패턴신호로 메인서버(100)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관광콘텐츠의 상세정보, 할인쿠폰, 상품구매, 비용결제 및 길안내 등을 포함하는 관광콘텐츠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여 화면출력한다.
더불어, 상기 메인서버(100)는 각 관광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관심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현장단말(200)로부터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인증ID정보를 포함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현장단말(200)은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로 메인서버(100)에 접속하여 해당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사용자 관심정보에 부합되는 관광콘텐츠를 선별하여 화면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현장단말(200)로부터 출력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부(310)와, 현장단말(200) 측으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발신부(320)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광콘텐츠 제공앱(App)을 구현하기 위한 App기능부(330)와, 각종 영상을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340) 및, 사용자 조작을 위한 입력부(35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현장단말(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에 설치된 사이니지(200b)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이니지(200b)는 상기 메인서버(100)로부터 수신되거나 기저장된 복수의 관광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210)에 화면출력하며, 화면출력되는 관광콘텐츠와 매칭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현장단말(200)로부터 특정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로 메인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사이니지(200b)에 화면출력되는 관광콘텐츠의 상세정보, 할인쿠폰, 상품구매, 비용결제 또는 길안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관광콘텐츠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여 화면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장단말(200)은 차량 내에 설치된 네비게이션(200c)일 수 있다. 이 경우 네비게이션(200c)는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에 대한 관광콘텐츠 또는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된 관광콘텐츠에 대한 관광콘텐츠와 매칭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현장단말(200)로부터 특정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로 메인서버(100)에 접속하여 목적지 또는 이동경로 상의 관광콘텐츠의 상세정보, 할인쿠폰, 상품구매 또는 길안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관광콘텐츠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여 화면출력한다.
이와 같이, 숙박업소에 설치된 TV(200a), 거리에 설치된 사이니지(200b) 및 차량에 설치된 네비게이션(200c)과 같이 사용자가 위치하거나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된 대상을 현장단말(200)로 이용함으로써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별도로 통신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TV(200a), 사이니지(200b), 네비게이션(200c) 및 사용자단말(모바일,300)과 같이 각각의 고유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장착된 스피커나 마이크를 이용하여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송수신하므로 시스템 구축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장단말(200)은 숙박업소, 거리, 차량, 관광지 또는 레저시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소에 설치되어 고유의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통신장치(200d)일 수 있다. 이 경우 현장단말(200)은 복수의 관광콘텐츠 중 기정된 관광콘텐츠와 매칭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는 기능과 사용자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수신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현장단말(200)로부터 특정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로 메인서버(100)에 접속하여 해당 관광콘텐츠의 상세정보, 할인쿠폰, 상품구매 또는 길안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관광콘텐츠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여 화면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장소에 상기 TV(200a), 사이니지(200b)나 네비게이션(200c)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숙박업소, 거리, 차량, 관광지 및 레저시설에 설치된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300)에 제공하고자 하는 관광콘텐츠의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사용자단말(300) 측으로 출력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영역을 대폭 확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광콘텐츠 제공시스템은 숙박업소, 관광지, 식당 및 레저시설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방문을 인증하기 위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는 방문인증단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방문인증단말(400)로부터 방문인증용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방문인증 확인신호를 메인서버(100)로 출력하며, 상기 메인서버(100)는 각 사용자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방문인증 확인신호를 각 업체로부터 구분하여 수신된 횟수를 카운트하며, 카운트된 횟수에 따라 각 업체별 광고비용을 차등하여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문인증단말(400)과 사용자단말(300) 간에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대신하여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신호의 비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방문여부를 인증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사용자단말(300)에는 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관광콘텐츠 제공앱을 설치되어야 하는데, 사용자는 앱스토어에서 해당 앱을 검색하거나 관광안내책자에 소개된 내용에 따라 인위로 설치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300)로 와이파이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도 6과 같이 해당 앱의 설치를 안내함과 동시에 설치댓가로 와이파이 무료이용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안내창을 통해 해당 앱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앱을 사용자가 구동하면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각 콘텐츠별 입력항목이 화면표시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관광컨텐츠를 관심정보를 입력받아 메인서버(100)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스피커, TV, 전자렌지, 세탁기, 전기콘센트 및 조명 등의 전자제품의 경우 구동전원이 연결되고 구동되면서 고주파가 발생되어 주변으로 전달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발생된 고주파가 사용자단말(300)로 입력되어 현장단말(200)로부터 출력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인식되지 않거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광콘텐츠 제공시스템에서는 상기 현장단말(200)로부터 출력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사용자단말(300)이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설정된 관광콘텐츠 정보가 사용자단말(3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장단말(200)은, 상기 메인서버(100)로부터 수신되거나 기저장된 복수의 관광콘텐츠 정보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210)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각 관광콘텐츠별로 구분되는 비가시(Invisible) 점멸패턴의 고스트광패턴신호를 화면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비가시 점멸패턴의 고스트광패턴신호는 사람의 눈으로는 시인할 수 없는 점멸속도(예를 들면, 60Hz)를 가지며 각 관광콘텐츠별로 구분되는 각각의 특정패턴으로 점멸하는 광신호로서 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단말(300)이 각 고스트광패턴신호별로 매칭되는 관광콘텐츠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단말(300)에는 현장단말(200)의 디스플레이(210)의 점멸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360)가 구비되고, 광센서(360)에 의해 감지된 디스플레이(340)의 점멸감지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고스트광패턴신호를 인식하며 인식된 고스트광패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서버(100)로부터 해당 고스트광패턴신호와 매칭되는 관광콘텐츠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수신된 관광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340)에 화면출력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현장단말(200)로부터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확인정보를 포함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현장단말(200)은 먼저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한 후 설정대기시간 내에 상기 수신확인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고스트광패턴신호를 화면출력함으로써 사용자단말(300)에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만 고스트광패턴신호를 출력하여 불필요하게 고스트광패턴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장단말(200)은, 상기 숙박업소, 거리, 차량, 명소, 식당 또는 레저시설에 설치되어 주변에 조명광을 제공하는 조명장치(200e)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명장치(200e)는, 점등조작과 동시에 기설정된 비가시 점멸패턴의 고스트광패턴신호가 출력되도록 발광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단말(300)이 현장단말(200)의 디스플레이(210)를 지향하지 않아 광센서(360)가 디스플레이(210)로부터 출력되는 고스트광패턴신호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넓은 범위로 확산되어 발광구동하는 조명장치(200e)의 조명광을 감지하여 사용자단말(300)에게 고스트광패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장단말(200)은 주변의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센서(240) 및,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250)가 구비되고, 상기 음향센서(240)로부터 감지된 주변의 음향주파수 대역의 크기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고스트광패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조도센서(250)로부터 감지된 주변조도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센서(240)에 대한 기준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와 유사한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정된 기준데이터이고, 상기 조도센서(250)에 대한 기준치는 현장단말(200)로부터 출력되는 고스트광패턴신호가 광센서(360)에게 인식되지 않는 정도의 주변밝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정된 기준데이터로서, 각 기준치에 따라 고스트음향패턴신호나 고스트광패턴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주변의 노이즈고주파나 주변밝기에 의해 고스트음향패턴신호나 고스트광패턴신호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향센서(240)나 조도센서(250)를 이용한 신호출력제어 방식이외에, 상기 고스트음향패턴신호과 고스트광패턴신호가 설정된 시간대로 구분되어 각각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동일 유사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현장단말(200)은, 상기 고스트음향패턴신호만 출력되는 제1시간대, 상기 고스트광패턴신호만 출력되는 제2시간대, 상기 고스트음향패턴신호와 고스트광패턴신호가 함께 출력되는 제3시간대 및, 상기 고스트음향패턴신호와 고스트광패턴신호가 모두 출력되지 않는 제4시간대로 구분되어 상기 고스트음향패턴신호 및 고스트광패턴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시간대는 주변밝기가 기준치 이상으로 빈번하게 밝은 시간영역으로 설정된 시간대이고, 상기 제2시간대는 노이즈고주파가 기준치 이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시간영역으로 설정된 시간대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주변밝기가 기준치 이상으로 빈번하게 밝으면서 동시에 노이즈고주파가 기준치 이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시간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3시간대로 설정하여 고스트음향패턴신호나 고스트광패턴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사용자단말(300)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취침시간이나 휴식시간 또는 사용자가 별도로 관광콘텐츠를 제공받지 않기를 희망하는 시간영역을 제4시간대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광콘텐츠 제공시스템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숙박업소, 거리, 차량, 명소, 식당 또는 레저시설 등에 설치된 현장단말(200)은 각 관광콘텐츠별로 구분되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휴대한 사용자단말(300)은 현장단말(200)로부터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고스트음향패턴신호와 매칭되는 관광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340)에 화면출력할 수 있으므로, 와이파이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이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여 지속적인 관광콘텐츠 제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통신망 100...메인서버
200...현장단말 200a...TV
200b...사이니지 200c...네비게이션
210,340...디스플레이 220,310...신호수신부
230...고유기능부 240...음향센서
250....조도센서 260,320...신호발신부
300...사용자단말 330...App기능부
350...입력부 360...광센서

Claims (10)

  1. 관광지에 위치한 각 숙박업소, 명소(Tourist Attraction), 식당 및 레저시설을 포함하는 관광콘텐츠 정보가 저장되며 통신망(10)을 통해 제공하며, 상기 관광콘텐츠 별로 세부정보, 할인쿠폰, 상품구매, 비용결제 또는 길안내를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 메인서버(100);
    상기 숙박업소, 거리, 차량, 명소, 식당 또는 레저시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소에 설치되며, 각 관광콘텐츠별로 구분되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는 신호발신부(260), 사용자단말(300)로부터 출력된 상기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부(220), 현장단말(200)이 갖는 고유기능을 구현하는 고유기능부(230), 주변의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센서(240),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250), 및 상기 메인서버(100)로부터 수신되거나 기저장된 복수의 관광콘텐츠 정보를 화면출력하며, 상기 각 관광콘텐츠별로 구분되는 비가시(Invisible) 점멸패턴의 고스트광패턴신호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210)를 포함하는 현장단말(200); 및
    사용자가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로서, 상기 현장단말(200)로부터 출력된 상기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부(310)와, 상기 현장단말(200) 측으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발신부(320)와, 관광콘텐츠 제공앱(App)을 구현하기 위한 App기능부(330)와, 영상을 화면출력하거나 상기 현장단말(200)로부터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서버(100)로부터 해당 고스트음향패턴신호와 매칭되는 관광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관광콘텐츠 정보를 화면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고스트광패턴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메인서버(100)로부터 해당 고스트광패턴신호와 매칭되는 관광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관광콘텐츠 정보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340), 및 사용자 조작을 위한 입력부(350)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300);을 포함하고,
    상기 고스트음향패턴신호는, 각 관광콘텐츠별로 구분되는 각각의 특정패턴으로 출력되는 음향신호로서, 헤더와 데이터 및 테일로 구분되는 패킷구조로 이루어져 복수 개의 심볼을 포함하며,
    상기 현장단말(200)은 숙박업소에 설치된 TV(200a)인 경우, 상기 메인서버(100)로부터 수신되거나 기저장된 복수의 관광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210)에 화면출력하며, 화면출력된 복수의 관광콘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임의 관광콘텐츠가 선택되면 해당 관광콘텐츠와 매칭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현장단말(200)로부터 출력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로 메인서버(100)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관광콘텐츠의 상세정보, 할인쿠폰, 상품구매, 비용결제 또는 길안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관광콘텐츠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고,
    상기 메인서버(100)는 각 관광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관심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현장단말(200)로부터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인증ID정보를 포함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현장단말(200)은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로 메인서버(100)에 접속하여 해당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사용자 관심정보에 부합되는 관광콘텐츠를 선별하여 화면출력하고,
    상기 현장단말(200)은 거리에 설치된 사이니지(200b)인 경우, 상기 메인서버(100)로부터 수신되거나 기저장된 복수의 관광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210)에 화면출력하며, 화면출력되는 관광콘텐츠와 매칭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현장단말(200)로부터 출력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로 메인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사이니지(200b)에 화면출력되는 관광콘텐츠의 상세정보, 할인쿠폰, 상품구매, 비용결제 또는 길안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관광콘텐츠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고,
    상기 현장단말(200)은 차량 내에 설치된 네비게이션(200c)인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에 대한 관광콘텐츠 또는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된 관광콘텐츠에 대한 관광콘텐츠와 매칭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현장단말(200)로부터 출력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로 메인서버(100)에 접속하여 목적지 또는 이동경로 상의 관광콘텐츠의 상세정보, 할인쿠폰, 상품구매 또는 길안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관광콘텐츠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고,
    상기 현장단말(200)은 숙박업소, 거리, 차량, 관광지 또는 레저시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소에 설치된 통신장치(200d)인 경우, 복수의 관광콘텐츠 중 기정된 관광콘텐츠와 매칭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현장단말(200)로부터 출력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고스트음향패턴신호로 메인서버(100)에 접속하여 해당 관광콘텐츠의 상세정보, 할인쿠폰, 상품구매 또는 길안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관광콘텐츠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고,
    숙박업소, 관광지, 식당 및 레저시설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방문을 인증하기 위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는 방문인증단말(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방문인증단말(400)로부터 방문인증용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설정된 방문인증 확인신호를 메인서버(100)로 출력하며,
    상기 메인서버(100)는 각 사용자단말(300)로부터 방문인증 확인신호가 수신된 횟수를 카운트하며, 카운트된 횟수에 따라 각 업체별 광고비용을 차등하여 산정하고,
    상기 음향센서(240)에 대한 기준치는 상기 고스트음향패턴신호와 유사한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정된 기준데이터이고, 상기 조도센서(250)에 대한 기준치는 상기 현장단말(200)로부터 출력되는 고스트광패턴신호가 광센서(360)에 인식되지 않는 정도의 주변 밝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정된 기준데이터로서, 각 기준치에 따라 고스트음향패턴신호나 고스트광패턴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주변의 노이즈 고주파나 주변 밝기에 의해 고스트음향패턴신호나 고스트광패턴신호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를 최소화하며,
    주변밝기가 상기 조도센서에 대한 기준치 이상으로 밝은 시간영역으로 설정된 시간대를 제1시간대로 설정하고, 노이즈고주파가 상기 음향센서에 대한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하는 시간영역으로 설정된 시간대를 제2시간대로 설정하고, 주변밝기가 상기 조도센서에 대한 기준치 이상으로 밝으면서 동시에 노이즈고주파가 상기 음향센서에 대한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하는 시간영역의 경우 제3시간대로 설정하여 고스트음향패턴신호나 고스트광패턴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300)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취침시간이나 휴식시간 또는 사용자가 별도로 관광콘텐츠를 제공받지 않기를 희망하는 시간영역을 제4시간대로 설정하고,
    상기 현장단말(200)은, 상기 고스트음향패턴신호만 출력되는 제1시간대, 상기 고스트광패턴신호만 출력되는 제2시간대, 상기 고스트음향패턴신호와 고스트광패턴신호가 함께 출력되는 제3시간대 및, 상기 고스트음향패턴신호와 고스트광패턴신호가 모두 출력되지 않는 제4시간대로 구분되어 상기 고스트음향패턴신호 및 고스트광패턴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현장단말(200)로부터 고스트음향패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확인정보를 포함하는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현장단말(200)은 고스트음향패턴신호를 출력한 후 설정대기시간 내에 상기 수신확인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고스트광패턴신호를 화면출력하고,
    관광콘텐츠 제공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관광콘텐츠 제공앱(App)을 상기 사용자단말(300)에 설치하는 댓가로 와이파이 무료이용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안내창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300)에 상기 관광콘텐츠 제공앱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관광콘텐츠 제공앱을 사용자가 구동하면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각 콘텐츠별 입력항목이 화면표시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관광컨텐츠를 관심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인서버(100)측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광콘텐츠 제공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95100A 2017-07-27 2017-07-27 관광콘텐츠 제공시스템 KR101855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100A KR101855408B1 (ko) 2017-07-27 2017-07-27 관광콘텐츠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100A KR101855408B1 (ko) 2017-07-27 2017-07-27 관광콘텐츠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408B1 true KR101855408B1 (ko) 2018-06-08

Family

ID=6259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100A KR101855408B1 (ko) 2017-07-27 2017-07-27 관광콘텐츠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4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62892B1 (ja) 2023-05-15 2024-04-08 株式会社リバスタ 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ポイント管理方法、及び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3961A (ko) * 2009-10-22 2011-04-28 서울메트로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40073773A (ko) * 2012-12-07 2014-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매장 방문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보상을 제공하는 체크인 장치와 그 방법
KR101572151B1 (ko) * 2015-05-26 2015-11-26 주식회사 단솔플러스 음파 통신을 이용한 위치 기반의 광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KR20170050528A (ko) 2015-10-30 2017-05-11 시너인 인크 여행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70051554A (ko) * 2015-10-05 2017-05-12 주식회사 사운들리 Tv 시청자에게 모바일 광고를 리타게팅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745800B1 (ko) 2015-12-17 2017-06-0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쿠폰 통합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3961A (ko) * 2009-10-22 2011-04-28 서울메트로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40073773A (ko) * 2012-12-07 2014-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매장 방문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보상을 제공하는 체크인 장치와 그 방법
KR101572151B1 (ko) * 2015-05-26 2015-11-26 주식회사 단솔플러스 음파 통신을 이용한 위치 기반의 광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KR20170051554A (ko) * 2015-10-05 2017-05-12 주식회사 사운들리 Tv 시청자에게 모바일 광고를 리타게팅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50528A (ko) 2015-10-30 2017-05-11 시너인 인크 여행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45800B1 (ko) 2015-12-17 2017-06-0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쿠폰 통합 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62892B1 (ja) 2023-05-15 2024-04-08 株式会社リバスタ 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ポイント管理方法、及び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3747B2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LAN system
KR10189228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90949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
EP2869080B1 (en) Method of controling a terminal device and program
US201200440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rking management service, and client device and server therefor
KR102222250B1 (ko) 참조 지점을 이용한 경로 안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62358A (ko) 정보 배신 시스템 및 정보 배신 방법의 프로그램
TW201407568A (zh) 智慧路燈及廣告投放伺服器和系統
KR20180093484A (ko) 보행자신호등의 신호정보 안내시스템
KR101661058B1 (ko) 주차 차량 위치 안내 시스템
JP2017151715A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システム
KR20160094694A (ko)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6509A (ko) 쇼핑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7733A (ko) 개인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JP5481954B2 (ja) 処理装置、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センサシステム
KR101855408B1 (ko) 관광콘텐츠 제공시스템
KR20060092020A (ko) Rf 태그를 이용한 위치 파악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90638B1 (ko) 관광객을 위한 지역 정보 제공 방법, 이에 사용되는 웹서버, 및 이동 단말기
KR101554182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JP6240648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50322A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JP2009232203A (ja) 位置誘導システムおよび方法および携帯電話端末およびルート情報配信サーバ
JP2004294310A (ja) 携帯電話機を利用した情報通信システム
ES2332332T3 (es) Procedimiento para el intercambio de informaciones entre una estacion fija y una estacion movil de tipo bluetooth en funcion de la proximidad espacial de las estaciones.
KR20140001624A (ko) 무선데이터망을 이용한 광고 표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