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343B1 -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 - Google Patents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343B1
KR101855343B1 KR1020160167273A KR20160167273A KR101855343B1 KR 101855343 B1 KR101855343 B1 KR 101855343B1 KR 1020160167273 A KR1020160167273 A KR 1020160167273A KR 20160167273 A KR20160167273 A KR 20160167273A KR 101855343 B1 KR101855343 B1 KR 101855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ack
type mask
hole
firming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르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르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르맹
Priority to KR1020160167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4Alginic acid;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홀타입 마스크 팩 원단에 알긴산 용액을 분무하고 건조시키는 제1단계; 상기 건조된 홀타입 마스크 팩 원단을 접어서 파우치에 혼입하고 검화 물질을 액상 상태로 상기 파우치에 충진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충진 후 형성된 물질을 냉각시켜 겔화를 유도하는 제3단계; 및 상기 파우치를 밀봉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드로겔의 겔화를 유도 및 촉진시키는 알긴산 성분을 미리 홀 타입 원단에 분무하여 홀을 채우고 있다가 검화 물질을 투입하여 가교시킴으로써 홀 전후에서 가교 결합이 유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원단과의 결합력이 강화되어 원단에서 밀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한 겔화를 위한 별도의 냉각 장치 등 방대한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공정을 간소화하고 생산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Preparation method of high gelly firming type mask pack and high gelly firming type mask pack prepa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종래의 수성 겔형 마스크 팩을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원단과의 결합력도 우수하여 물리적 안정성이 우수한 마스크 팩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킨 케어용 마스크 팩은 보습제, 미백제와 같은 피부에 유용한 성분이 함유된 활성 물질이나 화장품 등을 함유한 상태에서 얼굴에 부착하여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양 성분의 피부 흡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마스크 팩을 일정 시간 얼굴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스킨 케어용 마스크 팩은 제형에 따라 부직포 타입, 건조 타입, 하이드로겔(수성 겔) 타입 등이 있다.
상기 부직포 타입 마스크 팩은 부직포에 영양 성분(에센스)을 함침한 상태로 피부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과도한 양의 에센스가 담지되어 에센스의 낭비가 심하며 사용시 펼침성이 좋지 않고 부착성이 좋지 않아 에센스가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마스크 팩의 건조로 인해 밀착성이 약화되고 들뜸 현상이 발생하여 잔류하는 에센스의 피부 확산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식 타입은 면이나 부직포 등을 얼굴에 펼친 상태에서 외부에서 에센스를 분무하여 적용하는 것으로서 에센스의 과도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에센스가 섬유를 뚫고 지나가야 하므로 피부로의 투입 속도가 느리고, 나노 사이즈의 섬유를 뚫지 못하는 성분의 경우는 피부로의 적용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으며, 자주 분무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에센스 성분을 하이드로겔 내의 수용성 고분자 내부에 저장함으로써 피부와의 부착성, 습윤성이 우수하고 유효 성분의 효능 및 효과를 지속적으로 전달되도록 고안된 하이드로겔 타입의 마스크 팩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하이드로겔 타입의 마스크 팩에 관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55542호는 다양한 검류에 물과 다가알코올을 첨가 후 가열 교반하여 온도의 변화에 따른 가교 형태를 이루어 겔 형태를 만드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하이드로겔 제조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즉, 종래의 하이드로겔 타입 마스크 팩은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가열하여 액상으로 만든 후 상기 액상을 부직포나 박막 위에 도포하고 이 상태로 냉각시켜 하이드로겔 성형체를 만든 후 이를 마스크 형태로 재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이 때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에는 천연추출물이나 기능성 첨가제를 혼합하여 겔 형성과정에서 함께 혼입되도록 하는 기술들을 제안하고 있다.
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8158호는 하이드로겔을 부직포나 다공홀이 형성된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마스크 본체 상에 형성시키고 상기 하이드로겔의 일면에 미용액을 저장할 수 있는 수용홈을 형성시키며, 하이드로겔 시트의 일면에 마감필름을 부착하고 상기 마감필름에는 미용액이 상기 수용홈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유동홀을 타공하여 제조된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에 관한 기술을 제안한다. 이 기술은 마스크 본체의 강성으로 인해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이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미용액이 저장되어 있는 수용홈으로 인해 많은 양의 미용액을 피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 하이드로겔 상에 수용홈을 형성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더욱이 상기 수용홈에 미용액이 저장되도록 하는 방법은 매우 어려우므로 현실성이 떨어지는 기술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6263호는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을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박막에 도포하여 하이드로겔 타입 마스크 팩을 제조함으로써 수분 유지력과 투명성이 향상되어 촉촉한 느낌이 오래가고 위생적이며 강도와 신율이 증가하여 잘 찢어지지 않는 마스크 팩을 제조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기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8138호, 제10-08511316호, 제10-1221472호, 제10-165030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10769호, 제10-2015-005074호, 제10-2002-0014947호 등과 같이 하이드로겔 타입 마스크 팩을 제조하는 많은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모두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의 성분을 변경시키는 기술이거나 또는 하이드로겔을 지지하는 박막 필름의 물성을 개선하는 기술, 또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혼입되는 영양 성분을 변경하는 기술 등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하이드로겔 타입 마스크 팩은 원단 위에 겔화 물질을 도포하고 블레이드나 롤러 등을 이용하여 겔화 물질의 두께를 원하는 두께로 조절한 후 보호 필름을 덮은 상태에서 냉각시켜 겔화를 유도하고 최종적으로 얼굴 형태나 원형 또는 사각 형태와 같이 타공을 하는 순서로 제조되었다.
이러한 종래 방법의 경우 얼굴 형상 등으로 타공하기 위하여 겔화 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필요가 있으므로 타공 공정 전에 급속 냉각 공정이 필요하며 냉각 공정을 위한 장치와 공간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냉각 콘트롤이 용이하지 않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방법의 경우 원단 위에 형성된 하이드로겔이 원단과의 결합력이 약하여 원단에서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원단에서 하이드로겔이 떨어질 경우에는 서로 끈적끈적하게 엉켜버리게 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2331호는 지지층(원단)으로서 망사 형태의 레이스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하이드로겔과 지지층의 결합력을 높여 밀림 현상, 박리 현상을 개선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기술은 레이스 시트를 망사로 이루어진 바닥 조직부와 상기 망사의 구멍이 채워진 무늬 조직부로 구성하여야 하므로 레이스 시트의 제조가 쉽지 않고, 또한 얼굴 형상의 타공은 냉각 공정 이후에 이루어지게 되므로 냉각 공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방대한 크기의 냉각 장치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기술로서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수성 겔 타입(하이드로겔 타입) 마스크 팩을 제조함에 있어, 종래의 냉각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간단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원단과의 결합력도 우수하여 물리적 안정성이 우수한 마스크 팩을 제조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홀타입 마스크 팩 원단에 알긴산 용액을 분무하고 건조시키는 제1단계;
상기 건조된 홀타입 마스크 팩 원단을 접어서 파우치에 혼입하고 검화 물질을 액상 상태로 상기 파우치에 충진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충진 후 형성된 물질을 냉각시켜 겔화를 유도하는 제3단계; 및
상기 파우치를 밀봉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알긴산 용액은 정제수 또는 알코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긴산 1~13 중량부를 혼합한 후 교반하에 50~70℃의 온도에서 용해 및 분산시킨 상태에서 상기 홀타입 마스크 팩 원단에 분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홀타입 마스크 팩 원단은 텐셀, 폴리우레탄, TPE(thermal plastic elastomer),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비스코스레이온, 랜실,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락트산(PLA) 및 라텍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섬유로 직조된 것으로서 0.1~100㎛의 직경을 갖는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미세홀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파우치에 충진되는 검화 물질은 70~90℃의 온도에서 처리된 후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파우치에 충진되는 검화 물질은 구아검, 로카스트빈 검, 클루코만난, 칼라토만난, 타마린드씨 검 및 플루로닉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겔화 고분자 및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글리세린 또는 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화 물질은 상기 겔화 고분자에 피부유효성분 및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유효성분은 지방 분해 효소, 단백질 분해 효소, 피부 재생 효소 및 천연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보습제, 진정제, 경피 흡수 촉진제, 자극 완화제, 오일성분, pH 조절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의 제조 기술에 따르면, 하이드로겔의 겔화를 유도 및 촉진시키는 알긴산 성분을 미리 홀 타입 원단에 분무하여 홀을 채우고 있다가 검화 물질을 투입하여 가교시킴으로써 홀 전후에서 가교 결합이 유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원단과의 결합력이 강화되어 원단에서 밀리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기존 하이드로겔 타입 마스크 팩의 사용상의 불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기존 하이드로겔 타입 마스크 팩은 그 제조 과정에서 원단 상에 겔화 물질을 도포하고 후에 타공을 실시해야 하므로 타공 공정을 위해 냉각 공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므로, 타공 장치에 앞서 방대한 냉각 장치를 필수적으로 설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생산 비용이 증가하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미리 얼굴 형상으로 타공된 시트에 알긴산 물질을 분무하고 건조시킨 후 이를 접어서 파우치에 혼입하고 여기에 다시 겔화 물질을 주입하여 자연적인 시간 경과에 의해 자연 냉각되어 겔화를 유도하므로 별도의 냉각 장치 등 방대한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공정을 간소화하고 생산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은 종래의 하이드로겔 형성 조성물에 기능성 성분을 혼입하여 이를 가열 및 냉각시킴에 의해 하이드로겔을 형성하여 피부 부착성을 향상시킨 하이드로겔 타입, 다른 말로 수성 겔 타입 마스크 팩과 유사하다.
그러나, 종래의 하이드로겔 타입 마스크 팩이 원단(다른 말로 간지) 상에 겔화 조성물을 도포하고 이를 냉각하여 제조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원단과 겔 성분 간의 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은 마스크 팩의 원단으로 사용되는 구성 성분으로서 홀 타입 원단을 사용하고 여기에 겔화 촉진 물질인 알긴산 성분을 적재시킨 후 이를 건조하여 알긴산 성분이 상기 원단의 홀에 잔류하도록 한 상태에서 검화 물질(겔화 물질)을 주입하여 겔화를 유도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은 구체적으로 하기의 순서로 제조된다. 즉,
홀타입 마스크 팩 원단에 알긴산 용액을 분무하고 건조시키는 제1단계;
상기 건조된 홀타입 원단을 접어서 파우치에 혼입하고 검화 물질을 액상 상태로 상기 파우치에 충진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충진 후 형성된 물질을 냉각시켜 겔화를 유도하는 제3단계; 및
상기 파우치를 밀봉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은 겔 성분이 원단과 강한 결속을 이루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마스크 팩을 “하이 젤리 퍼밍(High gelly firming) 타입 마스크 팩”으로 명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단계는 알긴산 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마스크 팩 원단에 적재시키는 과정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알긴산 용액은 알긴산 물질을 정제수 또는 알코올에 용해 및 분산시켜 얻는다. 구체적으로는 정제수 또는 알코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긴산 1~13 중량부를 혼합한 후 교반하에 약 50~70℃의 온도에서 용해 및 분산시킨다.
이렇게 얻어지는 알긴산 용액을 홀타입 마스크 팩 원단에 적용하는데, 적용하는 방법은 분무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상기 홀타입 마스크 팩 원단으로는 텐셀, 폴리우레탄, TPE(thermal plastic elastomer),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비스코스레이온, 랜실,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락트산(PLA) 및 라텍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섬유로 직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0.1~100㎛의 직경을 갖는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미세홀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홀타입 마스크 팩 원단은 미리 얼굴 등의 형태로 타공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겔 성분을 도포한 상태에서 냉각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제조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홀타입 마스크 팩 원단의 홀에 상기 알긴산 용액이 적재되며, 이 후 건조 과정을 통해 상기 홀 내에 알긴산 분말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건조 과정은 자연 건조 또는 온풍기를 이용한 건조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 건조된 홀타입 마스크 팩 원단을 포장용 파우치에 들어가는 크기로 접는다. 접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약 2 내지 3회 접어서 포장용 파우치에 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포장용 파우치에 상기 건조된 홀타입 마스크 팩을 혼입하고, 다시 검화 물질을 액상 상태로 상기 포장용 파우치에 충진시킨다.
이 때, 상기 파우치에 충진되는 검화 물질은 70~90℃의 온도에서 처리된 후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화 물질은 고온의 액상 성분으로서 접혀진 상태의 홀 타입 마스크 팩 원단의 섬유 깊숙한 지점까지 스며들 수 있으며, 기 존재하는 알긴산 성분과의 화학적 가교 결합과 외부 온도의 냉각에 의해 겔화가 유도되어 마스크 팩 원단에 겔 물질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검화 물질로는 다당류 가지형 겔화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예로서는 구아검, 로카스트빈 검, 클루코만난, 칼라토만난, 타마린드씨 검 및 플루로닉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화 물질에는 상기 다당류 가지형 겔화 고분자 이외에 다가 알코올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다가 알코올의 예로서는 글리세린 또는 부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상기 알긴산 성분과 상기 다당류 가지형 겔화 고분자 간의 탈수 작용을 촉진하고 반응 성분들간의 분자간 응집을 유도하여 증점 및 겔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여 하이 젤리 퍼밍 성형체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 때 형성되는 하이 젤리 퍼밍 성형체는 원단의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원단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원단에 존재하는 홀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원단의 표면에서 밀리거나 박리되지 않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검화 물질에는 상기 겔화 고분자에 피부유효성분 및 기능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피부유효성분은 지방 분해 효소, 단백질 분해 효소, 피부 재생 효소 및 천연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방 분해 효소로서는 리파아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콩 레시틴에서 추출한 포스파티딜콜린 또는 녹차 추출물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카테킨, 아트로마이드 또는 함초 추출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로서는 프로테아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파인애플에서 출하여 얻어지는 브로멜라민 또는 파파야에서 추출하여 얻어지는 파파인 또는 호박에서 추출하여 얻어지는 펌킨 엔자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재생 효소로서는 울트라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타 본 발명에서 마스크 액제 성분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첨가제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서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리콜, 베타인,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카르복시 폴리메틸렌, 에탄올, 메틸 파라벤, 방향제, 알로에 베라, 코엔자임, 시트르산 등이다.
또한, 상기 천연추출물로는 녹차추출물, 감초추출물, 닥나무추출물, 상백피추출물, 황금추출물, 푸에리라리아추출물, 홍삼추출물, 살구추출물, 오일추출물, 오렌지추출물, 레몬추출물, 대나무추출물, 구아바추출물, 로즈마리추출물, 산수유추출물, 영지추출물, 은행추출물, 서시옥욕산추출물, 자음단추출물, 모과추출물, 백련초추출물, 파프리카추출물, 알로에추출물, 수세미추출물, 해초추출물, 당근추출물, 대두추출물, 자몽씨추출물, 포도씨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캐비어추출물, 석류추출물, 인삼추출물, 복숭아추출물, 천궁추출물, 병풀추출물, 캐모마일추출물, 자초근추출물, 고삼추출물, 당귀추출물, 박하추출물, 삼백초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작약추출물, 목초액, 민들레추출물, 카렌듈라추출물, 황백피추출물, 탱자추출물, 황금추출물, 회향추출물, 컴푸리추출물, 율피추출물, ROE(로즈마리오일추출물), 자몽씨추출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보습제, 진정제, 경피 흡수 촉진제, 자극 완화제, 오일성분, pH 조절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의 예로는, 글리세레스(glycereth), 글리세린(glycerin), 베타인(betaine),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헥실렌글리콜(hexylene glycole), 솔비톨(sorbitol), 만니톨(mannitol),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하이루로닉산(hyaluronic acid), 1,2-헥사네디올(1,2-hexanedio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진정제의 예로는,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 카프리일 글리콜(caprylyl glycol)도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부렌글리콜(butylene glycol), 폴리글루탐산(polyglutamic acid), 베타글루칸(beta-glucan), 알라토인(allatoin),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nrin), 인간올리고펩타이드(human oligopeptide), 리보플라빈(riboflavin), 나이아신(niacin), 다이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izate), 아세틸글루코사민(acetyl glucosamine), 소디움피루베이트(sodium pyruv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피 흡수 촉진제는 조성물의 경피 흡수를 촉진하여 약효의 지속 작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레시틴(lecithin), 스쿠알렌(squalen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디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diisopropyl adipa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극완화제로는 염산디펜히드라민(diphenyl amine hydrochloride)과 같은 항히스타민제, 아젤라스틴(azelastine), 로라타딘(loratadine), 에바스틴(ebastine)과 같은 항알레르기제 또는 스테로이드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팩시트 조성물의 pH를 5 내지 7 범위로 조절하여 피부 자극을 완화하고 조성물의 흡수성이나 기제의 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시트르산(citric acid), 아세트산(aceticacid), 말산(mal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성분으로는 디메티콘, 호호바 오일, 베타카로틴 오일, 안젤리카 오일, 쉐어버터, 컴프리 오일, 플렉스 오일, 동백 오일, 피마자 오일, 달맞이꽃 오일 및 마카다미아넛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충진 후 형성된 물질을 냉각시켜 겔화를 유도한다. 냉각 과정은 강제 냉각의 방법을 사용해도 되나, 자연 냉각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종래 방법의 경우에는 냉각 과정 이후에 타공 공정을 실시해야 하므로 냉각을 급속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어 냉각 장치의 지나치게 거대화되어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문제, 냉각 콘트롤의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겔화가 진행될 때, 또는 진행되기 전에 또는 진행된 후에 언제라도 파우치를 밀봉할 수 있으므로, 냉각 과정을 급속하게 진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 방법과 같은 냉각 장치가 별도로 필요 없으며 이에 따라 설치 공간의 문제, 냉각 콘트롤의 문제 등 종래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3단계의 냉각 및 겔화 유도 단계와 상기 제4단계의 밀봉 단계는 순서에 관계없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2단계에서 검화 물질을 파우치에 충진한 후 바로 냉각시켜 겔화를 유도한 다음 파우치를 밀봉할 수도 있고, 상기 검화 물질의 파우치 충전 이후 바로 밀봉하여 이후 자연적인 냉각 및 겔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은 종래의 하이드로겔 타입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타입의 제조 방법을 사용하며, 구체적으로는 알긴산을 홀타입 마스크 팩 원단에 적용한 후 건조시켜 원단 내의 홀 내에 알긴산을 잔류시킨 상태에서 검화 물질을 투입하여 겔화를 유도함으로써 마스크 팩의 양쪽에서 겔화 성형체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단과의 부착력이 우수하고, 또한 공정에 있어서도 기존의 냉각 공정을 제외할 수 있는 등 공정의 간소화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특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미리 얼굴 형태로 타공된 홀타입 마스크 팩 원단에 알긴산 용액을 분무하고 건조시키는 제1단계;
    상기 건조된 홀타입 마스크 팩 원단을 접어서 파우치에 혼입하고 검화 물질을 액상 상태로 상기 파우치에 충진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충진 후 형성된 물질을 냉각시켜 겔화를 유도하는 제3단계; 및
    상기 파우치를 밀봉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알긴산 용액은 정제수 또는 알코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긴산 1~13 중량부를 혼합한 후 교반하에 50~70℃의 온도에서 용해 및 분산시킨 상태에서 상기 홀타입 마스크 팩 원단에 분무되어 적재되고, 이후 건조과정을 통해 상기 홀타입 마스크 팩 원단의 홀 내에 알긴산 분말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파우치에 충진되는 검화 물질은 70~90℃의 온도에서 처리된 후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파우치에 충진되는 검화 물질은 구아검, 로카스트빈 검, 클루코만난, 칼라토만난, 타마린드씨 검 및 플루로닉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겔화 고분자 및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검화 물질은 상기 홀 타입 마스크 팩 원단의 홀 내에 존재하는 알긴산 성분과 가교되어 상기 홀 타입 마스크 팩 원단의 홀 전후에서 가교 결합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홀타입 마스크 팩 원단은 텐셀, 폴리우레탄, TPE(thermal plastic elastomer),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비스코스레이온, 랜실,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락트산(PLA) 및 라텍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섬유로 직조된 것으로서 0.1~100㎛의 직경을 갖는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미세홀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글리세린 또는 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화 물질은 상기 겔화 고분자에 피부유효성분 및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피부유효성분은 지방 분해 효소, 단백질 분해 효소, 피부 재생 효소 및 천연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보습제, 진정제, 경피 흡수 촉진제, 자극 완화제, 오일성분, pH 조절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10. 삭제
KR1020160167273A 2016-12-09 2016-12-09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 KR101855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273A KR101855343B1 (ko) 2016-12-09 2016-12-09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273A KR101855343B1 (ko) 2016-12-09 2016-12-09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343B1 true KR101855343B1 (ko) 2018-06-14

Family

ID=6262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273A KR101855343B1 (ko) 2016-12-09 2016-12-09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하이 젤리 퍼밍 타입 마스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3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194B1 (ko) * 2009-12-21 2012-07-26 신이치 츠카모토 안면으로부터 목끝의 3d에 대응하는 다기능 팩용 시트
KR101221472B1 (ko) * 2009-10-06 2013-01-11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각질 제거용 효소를 함유한 마스크팩
KR101500987B1 (ko) * 2014-12-10 2015-03-12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수용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JP2016155764A (ja) * 2015-02-23 2016-09-01 文稔 大城 化粧用パッ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472B1 (ko) * 2009-10-06 2013-01-11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각질 제거용 효소를 함유한 마스크팩
KR101169194B1 (ko) * 2009-12-21 2012-07-26 신이치 츠카모토 안면으로부터 목끝의 3d에 대응하는 다기능 팩용 시트
KR101500987B1 (ko) * 2014-12-10 2015-03-12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수용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JP2016155764A (ja) * 2015-02-23 2016-09-01 文稔 大城 化粧用パッ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342B1 (ko)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조성물, 이를 통해 제조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JP7189275B2 (ja) 美容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50191337A1 (en) Patch with a magnetic field effect
ES2245017T3 (es) Parche farmaceutico, cosmetico o dermo-farmaceutico para el suministro de varios compuestos activos de naturaleza diferente.
CN100577136C (zh) 水凝胶、水凝胶的制备方法及其用途
KR102114979B1 (ko) 마이크로 스피큘, 이의 제조용 몰드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0372526C (zh) 温感敷剂
CN102895164A (zh) 一种凝水面膜及其制备方法
EP2237772B1 (en) Method and multilayered device for controlled topical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to the skin
KR100853301B1 (ko) 이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포함하는 성형체
MXPA00002777A (es) Parche con efecto de campo magnetico.
CN101658511B (zh) 粘合贴剂
KR101989060B1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US20010007671A1 (en) Cosmetic, pharmaceutical, or dermatological patch
KR101735384B1 (ko) 시트형 팩용 클레이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형 클레이 마스크 팩
KR101197677B1 (ko) 활성물질 및 수분의 저장고가 있는 하이드로젤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KR102371114B1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976431B1 (ko) 마이크로니들 탄성구조체
KR101858451B1 (ko) 건식 시트형 마스크 팩용 조성물 및 건식 시트형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KR20170051344A (ko) 메이크업 효과를 갖는 팩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8656B1 (ko) 기능성이 강화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JP6779308B2 (ja) ゲル充填美容マスク
WO2013108918A1 (ja) パック化粧料収容物及びパック化粧料並びにパック化粧料の製造方法
CN103976887A (zh) 一种凝胶面膜基质及其制备工艺
CN107693381A (zh) 一种含有柔性纳米脂质体的巴布贴面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