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045B1 -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을 강화한 이중 미서기 - Google Patents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을 강화한 이중 미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045B1
KR101855045B1 KR1020170104691A KR20170104691A KR101855045B1 KR 101855045 B1 KR101855045 B1 KR 101855045B1 KR 1020170104691 A KR1020170104691 A KR 1020170104691A KR 20170104691 A KR20170104691 A KR 20170104691A KR 101855045 B1 KR101855045 B1 KR 101855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frames
window frame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태연
Original Assignee
원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태연 filed Critical 원태연
Priority to KR1020170104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을 강화한 미서기 창틀은, 건축물의 벽체에 수평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 및 상기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의 좌우 측단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건축물 벽체에 고정되는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을 포함하는 창틀 프레임(10); 상기 창틀 프레임(10) 상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 창문에 해당하는 한쌍의 외부 창문 프레임 및 내측 창문에 해당하는 한쌍의 내부 창문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창문 프레임(20); 및 상기 한쌍의 외부 창문 프레임 및 한쌍의 내부 창문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창문 프레임(20) 간의 기밀성을 강화하는 기능을 하는 기밀 프레임(30);을 포함하고, 상기 기밀 프레임(30)은 상기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 상에 각각 설치된 커플링 프레임(15)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기밀 접속부(310) 및 상기 기밀 접속부(310)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밀대(3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을 강화한 이중 미서기{horizontal sliding door reinforced with airtightness between window frames}
본 발명은 이중 미서기를 이루는 창틀 프레임 상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창문 프레임쌍들 간의 기밀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상기 창틀 프레임 쌍들의 중간 지점 상에 배치되는 중간 프레임을 설치한 구조의 이중 미서기 창틀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주택 등을 포함한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설치되어 외부의 풍경이 보이도록 함과 동시에 채광 및 환기를 목적으로 설치된다. 창문은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미닫이식으로 구비되거나 좌우이동되지 않도록 위치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중 미서기창은 일반적으로 4짝으로 구성된 창틀로 이루어져 있어서 한쪽을 밀어서 열게 되면 2짝이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는 창을 일컫는다.
이와 같은 이중 미서기창은 대개 주택 등을 포함한 건축물의 벽체에 수평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상하측 고정프레임, 상하측 고정프레임의 좌우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건축물의 벽체 상에 고정되는 좌우측 고정프레임, 상하측 고정프레임의 사이 및 좌우측 고정프레임의 사이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내측에 유리부재가 구비되는 창문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고정 프레임 내에서 창문 프레임 4짝을 좌우이동 가능하게 배치할 때,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는 각각의 창문 프레임들 간의 이격 공간으로 인해서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이중 미서기창 상에 복수개의 창문 프레임을 배치함으로써 이를 통해 기밀성 및 수밀성을 약화시키거나 결로 현상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42606호("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 프레임")는 미서기창의 창틀 프레임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하는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 프레임에 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KR10-1242606 B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벽체 상에 내외측으로 관통된 개구부에 고정된 창틀 프레임 상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창문 프레임쌍들 간의 기밀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창문 프레임쌍들의 중간 지점 상에서 두쌍의 창문 프레임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기밀 프레임을 설치하여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을 강화한 이중 미서기 창틀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을 강화한 이중 미서기는, 건축물의 벽체에 수평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 및 상기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의 좌우 측단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건축물 벽체에 고정되는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을 포함하는 창틀 프레임(10); 상기 창틀 프레임(10) 상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 창문에 해당하는 한쌍의 외부 창문 프레임 및 내측 창문에 해당하는 한쌍의 내부 창문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창문 프레임(20); 및 상기 한쌍의 외부 창문 프레임 및 한쌍의 내부 창문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창문 프레임(20) 간의 기밀성을 강화하는 기능을 하는 기밀 프레임(30);을 포함하고, 상기 기밀 프레임(30)은 상기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 상에 각각 설치된 커플링 프레임(15)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기밀 접속부(310) 및 상기 기밀 접속부(310)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밀대(320)를 포함한다.
상기 기밀 접속부(310)는, 상기 커플링 프레임(15)에 형성된 커플링 홈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프레임 결합구(311), 상기 프레임 결합구(311) 상에 결합되는 프레임 거치부(313) 및 프레임 거치부(313) 상에 형성되는 기밀대 연결부(315)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거치부(313)의 하단 가장자리 상에 라운드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거치부(313)가 상기 커플링 프레임(15)의 상단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좌우 요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기밀 접속부(31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프레임 거치부(313)는 그 측면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모헤어 삽입홈(313a)이 형성되고, 상기 모헤어 삽입홈(313a) 상에 삽입되는 모헤어를 통해 상기 기밀 프레임(30)과 창문 프레임(20) 간의 기밀을 추가적으로 보강한다.
상기 미서기는, 상기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복수의 창문 프레임(20)의 개수에 비례하여 배치되는 레일 프레임(16);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 프레임(16)은 우산 손잡이 형상으로 꺽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 프레임(10)의 외측에서 유입되는 물로 인해 내부로 넘치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을 강화한 이중 미서기는 2쌍의 창문 프레임들의 중간 지점 상에 배치되는 기밀 프레임을 설치하여 창틀 프레임 상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을 향상한다.
즉, 이중 미서기를 구성하는 기밀 프레임은 창틀 프레임의 중앙 부분 상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중앙 기밀 프레임 및 창틀 프레임의 양측 상하단을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외측 기밀 프레임을 통해서 창문 프레임들 사이를 통한 기체의 유동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을 강화한 미서기 창틀을개략적으로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복수의 창문 프레임을 이루는 한쌍의 외부 창문 프레임 및 한쌍의 내부 창문 프레임을 보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기밀 프레임을 이루는 기밀 접속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기밀 접속부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을 강화한 이중 미서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틀을 외부에서 바라본 상태로서 복수의 창문 프레임이 닫힌 상태를 보이고 있고, 도 2는 복수의 창문 프레임을 이루는 한쌍의 외부 창문 프레임 및 한쌍의 내부 창문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 상에서 닫힌 상태로 있는 상태를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을 강화한 이중 미서기는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과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을 구비하는 창틀 프레임(10), 창틀 프레임(10) 상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창문 프레임(20) 및 복수의 창문 프레임(20) 간의 기밀성을 강화하는 기능을 하는 기밀 프레임(30)을 포함한다.
상기 창틀 프레임(10), 복수의 창문 프레임(20) 및 기밀 프레임(30)은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창틀 프레임(10)은 건축물의 벽체에 일정간격으로 상하로 이격된 상태에서 수평한 상태로 고정되는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 및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의 좌우측단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수직한 상태로 형성되어 건축물 벽체에 고정되는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 창틀 프레임(10)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과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의 내면 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커플링 프레임(15),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복수의 창문 프레임(20)의 개수에 비례하여 배치되는 레일 프레임(16)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의 길이 방향은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정되는 방향이고,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의 상하 방향은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정되는 방향으로 한다.
커플링 프레임(15)은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 또는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에서 나란히 연장되는 한쌍의 프레임 지주(151), 프레임 지주(151)에 형성되는 브러시 수용구(152), 브러시 수용구(152) 내에 삽입된 상태인 브러시 탭(153) 및 브러시 탭(15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브러시 수용구(152)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인 브러시(154)를 포함한다. 상기 브러시(154)는 모헤어 또는 가스켓을 채용함으로써 기밀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에서, 커플링 프레임(15)은 복수의 창문 프레임(20)과의 사이에서 브러시를 이용하여 기밀성을 확보하는 것을 공통적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커플링 프레임(15)과 창문 프레임(20) 사이에는 별도의 가스켓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기밀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레일 프레임(16)은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 상에서 연장되는 레일 외측 부재(161), 레일 외측 부재(161)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소정 거리 이격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레일 내측 부재(162) 및 상기 레일 내외측 부재(161,162)의 외면 상에 형성되는 브러시 홈(163)을 포함한다.
레일 프레임(16)은 전체적으로는 우산의 손잡이 형상과 같이 꺽인 형상을 갖고 있는데, 이는 레일 외측 부재(161)의 외측에서 유입되는 물로 인해 내부로 넘치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브러시 홈(163)은 창문 프레임(20)에 결합된 기밀 부재(24)의 끝단이 닿는 부분으로서, 이를 통해 기밀 부재(24)와 레일 프레임(16) 사이의 기밀성을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레일 프레임(16)은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에서도 연장된다. 구체적으로는, 측부 프레임(17)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 상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창문 프레임(20)은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과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 사이에 사용자에 의해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창문 프레임(20) 각각은 창문 프레임 바디(21), 창문 프레임 바디(21) 상에 고정 결합되는 창문(22) 및 창문 프레임 바디(21)의 상하단 상에 형성되는 브러시 수용부(23), 브러시 수용부(23) 상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기밀 부재(24) 및 창문 프레임 바디(21)의 중앙 하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 휠(25)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창문 프레임(20) 각각은 하측 창틀 프레임(12)에 형성된 레일 프레임(16) 상에 구동 휠(25)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브러시 수용부(23)가 레일 프레임(16)의 양측 상에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되는 구조를 통해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창문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10) 상에서 개방되는 경우에 레일 프레임(16)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 상에 설치된 레일 프레임(16)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스토퍼(27)가 배치된다.
상기 창틀 프레임(10)과 복수의 창문 프레임(20)은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기밀 프레임(30)은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 상에 각각 설치된 커플링 프레임(15)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기밀 접속부(310) 및 기밀 접속부(310)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밀대(320)를 포함한다.
기밀 접속부(310)는 커플링 프레임(15)에 형성된 커플링 홈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프레임 결합구(311), 프레임 결합구(311) 상에 결합되는 프레임 거치부(313) 및 프레임 거치부(313) 상에 형성되는 기밀대 연결부(315)를 포함한다. 프레임 결합구(311)는 피스홀(312)이 관통 형성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피스홀(312)을 통해 결합 스크류 등을 체결함으로써 커플링 프레임(15)에 상기 프레임 결합구(311)를 결속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결합구(311)는 상기와 같이 피스홀(312)이 관통 형성된 실시예 외에도 글루, 글립 또는 실리콘 등의 접합 물질을 커플링 프레임(15)의 커플링 홈 상에 주입하는 방식으로 결속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프레임 거치부(313) 상에는 하단 가장자리 상에 라운드(314)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프레임 거치부(313)가 커플링 프레임(15)의 상단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기밀 접속부(31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좌우 요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탈착을 보다 용이하게 하게 한다. 상기 프레임 거치부(313)는 그 측면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모헤어 삽입홈(313a)이 형성된다. 상기 모헤어 삽입홈(313a) 상에 삽입되는 모헤어 또는 가스켓을 통해 기밀 프레임(30)과 창문 프레임(20) 간의 기밀을 추가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즉, 모헤어 삽입홈(313a)은 모헤어가 삽입되어지는 수용홈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기밀대(320)는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 상에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부재로서, 상기 기밀대(320)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기밀 접속부(310)를 통해서 커플링 프레임(15) 상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프레임 거치부(313)의 하단이 커플링 프레임(15)의 상단 상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서 기밀대(320)는 커플링 프레임(15)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창틀 프레임(10) 상에서 기밀대(320)의 설치 구간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밀대(320)는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양측면 상에 소정의 난간 설치홈이 형성되어 안전 난간봉의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즉,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에서 연장되는 커플링 프레임(15)의 브러시 수용구(152) 및 기밀대(320)의 양측 상에 형성된 난간 설치홈에 그 양단이 삽입 결합되는 별도의 안전 난간봉을 부설할 수 있다.
기밀대(320)는 창문 프레임(20)과 마주하는 양측면 상에 브러시 수용구가 형성된다. 상기 브러시 수용구는 커플링 프레임(15)에 형성된 브러시 수용구(152)와 유사한 형태로서 모헤어 또는 가스켓이 채워지는 구성을 통해 기밀성을 확보한다.
한편, 기밀대(320)는 그 외곽 모서리 부분을 라운딩 처리함으로써 창문 프레임(20)의 개폐 시에 마찰 및 충돌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게 한다.
커플링 프레임(15)은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 또는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에서 나란히 연장되는 한쌍의 프레임 지주(151), 프레임 지주(151)에 형성되는 브러시 수용구(152), 브러시 수용구(152) 내에 삽입된 상태인 브러시 탭(153) 및 브러시 탭(15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브러시 수용구(152)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인 브러시(154)를 포함한다. 상기 브러시(154)는 모헤어 또는 가스켓을 채용함으로써 기밀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틀을 설치하는 과정을 보면,
먼저, 벽체 상에 내외측으로 관통된 개구부에 창틀 프레임(10)을 4면에 걸쳐 설치한다. 즉,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과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을 개구부의 내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한다.
다음은, 창틀 프레임(10) 상에 복수의 창문 프레임(20) 중 외측 창문에 해당하는 외부 창문 프레임 한 쌍을 우선적으로 설치한다.
외부 창문 프레임 한 쌍을 설치한 다음에는, 기밀 프레임(30)을 설치한다.
상기 기밀 프레임(30)의 설치는 프레임 결합구(311)를 이용하여 기밀 접속부(310)를 먼저 커플링 프레임(15)의 커플링 홈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하고 난후에, 기밀대(320)를 상기 커플링 프레임(15) 상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는 방식일 수 있다.
기밀 프레임(30)의 설치 후에는, 창틀 프레임(10) 상에 복수의 창문 프레임(20) 중 내측 창문에 해당하는 내부 창문 프레임 한 쌍을 마지막으로 설치한다.
본 발명은 외부 창문 프레임쌍과 내부 창문 프레임쌍 사이에 커플링 프레임(15)과 기밀 프레임(30)이 배치된 구조를 통해서, 내외부 창문 프레임쌍 간의 좌우 테두리 및 중앙부의 기밀을 가능하게 한다.
즉, 외부 창문 프레임쌍과 내부 창문 프레임쌍 사이에서 창틀 프레임(10)의 내부 중앙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커플링 프레임(15)이 복수의 창문 프레임(20)과 맞닿는 구조를 통해서 창틀 프레임(10) 테두리의 기밀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동시에, 기밀 프레임(30)을 통해서는 외부 창문 프레임쌍과 내부 창문 프레임쌍이 겹쳐지는 공간의 기밀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커플링 프레임(15)을 창틀 프레임의 4면 테두리에 배치하는 것과 동시에 기밀 프레임(30)을 내외부 창문 프레임쌍의 중앙에 배치하는 구조를 통해서 안정적으로 기밀성을 강화한다.
또한, 커플링 프레임(15)과 기밀 프레임(30) 간에 별도의 안전바를 부설하는 과정을 통해서 기존에 방범창을 외부 상에 설치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는 벽체 상에 고정된 창틀 프레임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외부 창문 프레임과 한쌍의 내부 창문 프레임 간의 기밀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상기 내외부 창문 프레임의 중간 지점 상에서 기밀 프레임을 설치하여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을 강화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건축물의 벽체에 수평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 및 상기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의 좌우 측단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건축물 벽체에 고정되는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을 포함하는 창틀 프레임(10);
    상기 창틀 프레임(10) 상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 창문에 해당하는 한쌍의 외부 창문 프레임 및 내측 창문에 해당하는 한쌍의 내부 창문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창문 프레임(20); 및
    상기 한쌍의 외부 창문 프레임 및 한쌍의 내부 창문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창문 프레임(20) 간의 기밀성을 강화하는 기능을 하는 기밀 프레임(30);을 포함하고,
    상기 기밀 프레임(30)은 상기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 상에 각각 설치된 커플링 프레임(15)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기밀 접속부(310) 및 상기 기밀 접속부(310)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밀대(320)를 포함하고,
    상기 기밀 접속부(310)는, 상기 커플링 프레임(15)에 형성된 커플링 홈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프레임 결합구(311), 상기 프레임 결합구(311) 상에 결합되는 프레임 거치부(313) 및 프레임 거치부(313) 상에 형성되는 기밀대 연결부(315)를 포함하는,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을 강화한 미서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거치부(313)의 하단 가장자리 상에 라운드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거치부(313)가 상기 커플링 프레임(15)의 상단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좌우 요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기밀 접속부(31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을 강화한 미서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거치부(313)는 그 측면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모헤어 삽입홈(313a)이 형성되고, 상기 모헤어 삽입홈(313a) 상에 삽입되는 모헤어를 통해 상기 기밀 프레임(30)과 창문 프레임(20) 간의 기밀을 추가적으로 보강하는,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을 강화한 미서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서기는,
    상기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복수의 창문 프레임(20)의 개수에 비례하여 배치되는 레일 프레임(16);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 프레임(16)은 우산 손잡이 형상으로 꺽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 프레임(10)의 외측에서 유입되는 물로 인해 내부로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는,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을 강화한 미서기.
KR1020170104691A 2017-08-18 2017-08-18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을 강화한 이중 미서기 KR101855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691A KR101855045B1 (ko) 2017-08-18 2017-08-18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을 강화한 이중 미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691A KR101855045B1 (ko) 2017-08-18 2017-08-18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을 강화한 이중 미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045B1 true KR101855045B1 (ko) 2018-05-04

Family

ID=62199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691A KR101855045B1 (ko) 2017-08-18 2017-08-18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을 강화한 이중 미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0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6384A1 (en) 2004-07-15 2008-03-20 Jinzhang Yu Automatically Sliding Windows Without Sash
KR100819935B1 (ko) * 2006-09-25 2008-04-08 용 해 이 이중 창틀의 방풍구조
KR200469183Y1 (ko) 2012-08-23 2013-09-26 강민성 창틀용 창호 방풍부재
KR101630675B1 (ko) * 2013-12-12 2016-06-15 제정원 고효율 단열 보강형 창호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6384A1 (en) 2004-07-15 2008-03-20 Jinzhang Yu Automatically Sliding Windows Without Sash
KR100819935B1 (ko) * 2006-09-25 2008-04-08 용 해 이 이중 창틀의 방풍구조
KR200469183Y1 (ko) 2012-08-23 2013-09-26 강민성 창틀용 창호 방풍부재
KR101630675B1 (ko) * 2013-12-12 2016-06-15 제정원 고효율 단열 보강형 창호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986B1 (ko) 다기능 안전 창호
KR200479863Y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955665B1 (ko) 3d 단열 시스템
KR20140090436A (ko) 유리난간대가 구비된 창호
KR101484723B1 (ko)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654567B1 (ko) 착탈 가능한 커버를 구비한 창호 프레임
KR101855045B1 (ko) 창문 프레임들 간의 기밀성을 강화한 이중 미서기
CN204023854U (zh) 一种侧向通风式玻璃幕墙系统
KR101502665B1 (ko) 양개형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CN210396574U (zh) 一种铝合金门窗密封装置
CN104563758B (zh) 推拉门窗密封结构及推拉门窗
CN207728287U (zh) 用于中空百叶窗的插角及中空百叶窗
KR20140085687A (ko) 프로젝트 타입의 창호 시스템
KR102168659B1 (ko) 단열 프로젝트 창호
KR101888093B1 (ko) 기밀성능과 수밀성능이 향상된 미서기창
JP2002121969A (ja) 上げ下げ窓
KR20110036397A (ko) 커튼 웰 시스템 창호용 보조문
KR102464446B1 (ko)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를 구비한 창틀 유닛
WO2013081337A1 (en) Sliding system window having drain hole cap for high-rise building
KR102224270B1 (ko)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KR101975524B1 (ko) 풍압 유도홀을 구비하는 미서기창
CN110552595A (zh) 一种全景门
US20160281414A1 (en) Window assembly to engage a window to the frame of a window opening of a building
US10378270B2 (en) Sash for doors or wind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