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822B1 - 접착제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접착제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822B1
KR101854822B1 KR1020160132236A KR20160132236A KR101854822B1 KR 101854822 B1 KR101854822 B1 KR 101854822B1 KR 1020160132236 A KR1020160132236 A KR 1020160132236A KR 20160132236 A KR20160132236 A KR 20160132236A KR 101854822 B1 KR101854822 B1 KR 101854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static pressure
line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0402A (ko
Inventor
이정우
마사노리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리드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드텍(주) filed Critical 리드텍(주)
Priority to KR1020160132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82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0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07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제를 분배시, 제품의 생산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분배 압력을 조절하며 다수의 노즐을 제어할 수 있는 접착제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접착제 디스펜서는 ⅰ) 프레스 유닛과 연결되어 있는 제1 수용부, ⅱ) 제1 수용부에 위치하고 프레스 유닛에서 프레싱된 제1 제품과 대향하고 접착제를 수용하는 제1 토출부, ⅲ) 제1 수용부에 위치하고 제1 토출부와 연결되어 제1 토출부의 접착제의 양을 조절하는 제1 조절부 그리고 ⅳ) 제1 조절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ⅰ) 공기 공급부, ⅱ) 공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있는 정압 공급라인, ⅲ) 정압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있고 제1 정압 매니폴드라인과 제2 정압 매니폴드라인을 포함하는 정압 매니폴드, ⅳ) 공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있는 진공 공급라인, ⅴ) 진공 공급라인과 연결되고 제1 진공 매니폴드라인과 제2 진공 매니폴드라인을 포함하는 진공 매니폴드, ⅵ) 제1 정압 매니폴드라인과 연결된 제1 정압 제어부, ⅶ) 제1 진공 매니폴드라인과 연결된 제1 진공 제어부, ⅷ) 제2 정압 매니폴드라인과 연결된 제2 정압 제어부, ⅸ) 제2 진공 매니폴드라인과 연결된 제2 진공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착제 디스펜서 {BOND DISPENSER}
본 발명은 접착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전자, 반도체, 통신기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기재들 간의 부착을 위해 기재의 부착 영역에 접착성을 가지는 액상의 에폭시(epoxy)를 도포한다. 이때, 액상의 에폭시(epoxy)를 기재에 분배하기 위한 장치로 공압 유체 디스펜서가 있다. 공압 유체 디스펜서는 제어부의 신호를 사용하여 압축 공기를 액체 보유한 배럴 내의 피스톤으로 안내한다.
그러나, 공압 유체 디스펜서의 제어부들은 피스톤으로부터 멀리 위치하여 제어부 및 피스톤 사이를 결합하는 튜브를 통해서 압축 공기를 제어하므로 온/오프를 완료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압축 공기가 튜브를 흐르는 시간만큼 압축 공기량의 오차율이 커져서 에폭시의 도포량의 균일성이 낮아질 수 있다.
접착제를 분배시, 제품의 생산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분배 압력을 조절하며 다수의 노즐을 제어할 수 있는 접착제 디스펜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디스펜서는, ⅰ) 프레스 유닛과 연결되어 있는 제1 수용부, ⅱ) 제1 수용부에 위치하고 프레스 유닛에서 프레싱된 제1 제품과 대향하고 접착제를 수용하는 제1 토출부, ⅲ) 제1 수용부에 위치하고 제1 토출부와 연결되어 제1 토출부의 접착제의 양을 조절하는 제1 조절부 그리고 ⅳ) 제1 조절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ⅰ) 공기 공급부, ⅱ) 공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있는 정압 공급라인, ⅲ) 정압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있고 제1 정압 매니폴드라인과 제2 정압 매니폴드라인을 포함하는 정압 매니폴드, ⅳ) 공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있는 진공 공급라인, ⅴ) 진공 공급라인과 연결되고 제1 진공 매니폴드라인과 제2 진공 매니폴드라인을 포함하는 진공 매니폴드, ⅵ) 제1 정압 매니폴드라인과 연결된 제1 정압 제어부, ⅶ) 제1 진공 매니폴드라인과 연결된 제1 진공 제어부, ⅷ) 제2 정압 매니폴드라인과 연결된 제2 정압 제어부, ⅸ) 제2 진공 매니폴드라인과 연결된 제2 진공 제어부를 포함한다.
프레스 유닛과 연결되어 있고, 제1 수용부와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2 수용부, 제2 수용부에 위치하고 프레스 유닛에서 프레싱된 제2 제품과 대향하고 접착제를 수용하는 제2 토출부, 그리고 제2 수용부에 위치하고 제2 토출부와 연결되어 제2 토출부의 접착제의 양을 조절하고,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부는 제1 정압 공급홀, 그리고 제1 정압 공급홀과 이격하며 위치하는 제1 진공 공급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압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1 정압홀 및 제1 정압 공급홀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1 조절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정압 배출라인, 그리고 제1 진공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1 진공홀 및 제1 진공 공급홀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1 조절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진공 배출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절부는 제2 정압 공급홀, 그리고 제2 정압 공급홀과 이격하며 위치하는 제2 진공 공급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정압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2 정압홀 및 제2 정압 공급홀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2 조절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정압 배출라인, 그리고 제2 진공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2 진공홀 및 제2 진공 공급홀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2 조절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진공 배출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부와 제2 조절부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조절라인을 포함하고, 제1 조절라인은 제1 토출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1 조절부는 제1 토출부에 수용된 접착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조절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조절라인을 포함하고, 제2 조절라인은 제2 토출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2 조절부는 제2 토출부에 수용된 접착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수용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1 토출부에 수용된 접착제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디스펜서 제어부로 다수의 접착제 디스펜서의 노즐을 제어하고, 제품의 생산 속도에 비례하여 자동으로 압력이 제어되며, 또한 디스펜서의 토출량을 균일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디스펜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착제 디스펜서의 제어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착제 디스펜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접착제 디스펜서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접착제 디스펜서의 토출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디스펜서(1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의 접착제 디스펜서(10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접착제 디스펜서(100)의 형태를 다르게 변형할 수도 있다.
접착제 디스펜서(100)는 제1 이송부(10), 제1 수용부(20), 제1 토출부(30), 제1 조절부(40), 제2 이송부(50), 제2 수용부(60), 제2 토출부(70), 제2 조절부(80) 그리고 제어부(90)를 포함한다. 제1 이송부(10)와 제2 이송부(50)는 프레스 유닛(P)에 연결되어 프레스 유닛(P)에서 프레싱된 제품(M)을 이송한다. 제1 이송부(10)와 제2 이송부(50)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할 수 있다.
프레스 유닛(P)에서 프레싱된 제품(M)은 프레스 유닛(P)으로부터 제1 이송부(10) 및 제2 이송부(50)를 따라 이동하여 제1 각각 제1 토출부(30) 및 제2 토출부(70)의 하단과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제1 토출부(30)와 제2 토출부(70)는 각각 그 내부에 접착성을 가지는 액상의 접착제를 수용할 수 있다. 접착제는 에폭시(epoxy)일 수 있다.
제1 수용부(20)는 프레스 유닛(P)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토출부(30)는 제1 수용부(20)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토출부(30)는 z축으로 길게 뻗은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조절부(40)는 제1 토출부(30)의 내부에 수용된 접착제의 토출량을 조절 할 수 있다. 제1 토출부(30)는 프레싱된 제품(M)의 상부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접착제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수용부(60)는 제1 수용부(20)와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프레스 유닛(P)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토출부(70)는 제2 수용부(60)에 위치하고 z축으로 길게 뻗은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조절부(80)는 제2 토출부(70)의 내부에 수용된 접착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토출부(70)는 프레싱된 제품(M)에 기설정된 양 만큼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나아가, 1 개 이상의 수용부, 토출부, 그리고 조절부가 제2 수용부(60). 제2 토출부(70), 그리고 제2 조절부(80)와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하우징(H)을 포함하는 컨트롤박스 형태일 수 있다. 제어부(90)는 인입된 메인 공기를 기설정된 양의 정압과 진공으로 토출 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제1 조절부(40) 및 제2 조절부(8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제1 조절부(40)와 제2 조절부(80)에 각각 기설정된 양의 정압과 진공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에는 제1 조절부(40)와 제2 조절부(80)만 도시하였지만, 제어부(90)는 복수개의 또 다른 조절부들과 각각 연결되어 각각 다른 양의 정압과 진공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디스플레이(D)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D)는 터치 스크린의 방식일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D)를 통해 제어부(90)의 작동 상태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제어 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90)는 키보드, 키패드, 그리고 표시기(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90) 하우징(H)의 내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에서 주 요소들의 연결 튜브, 연결관 및 결합 고정을 위한 볼트, 나사, 홀, 와셔, 너트 등의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90)는 공기 공급부(901), 정압 공급라인(902), 진공 공급라인(904), 제1 정압 제어부(906), 제2 정압 제어부(907), 제1 진공 제어부(908) 그리고 제2 진공 제어부(909)를 포함한다.
메인 공기는 공기 공급부(901)를 통해 제어부(90)로 인입될 수 있다. 공기 공급부(901)는 Y형 연결관 등을 이용하여 정압 공급라인(902) 및 진공 공급라인(904)과 연결 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공급부(901)를 통하여 인입된 메인 공기는 정압 공급라인(902) 및 진공 공급라인(904)에 각각 나뉘어 공급될 수 있다. 정압 공급라인(902)은 매니폴드(manifold) 연결관 등을 이용하여 제1 정압 제어홀(9061) 및 제2 정압 제어홀(9071)과 연결되어 정압 공급라인(902)에 공급된 공기가 각각 나뉘어 공급될 수 있다.
제1 정압 제어부(906)는 제1 정압 제어홀(9061), 정압 표시부(90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압 제어홀(9061)은 제1 정압 제어부(906)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정압 제어부(906)로 공급된 공기는 기설정된 압력값에 따라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정압 제어부(906)는 압력조절부재 등을 작동하여 제1 정압 제어부(906)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제1 정압 제어부(906)에서 조절된 정압 공기는 제1 정압홀(4013)을 통과하여 제어부(90)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정압 표시부(9063)는 제1 정압 제어부(906)의 압력을 나타낼 수 있으며 LED 장치, 음성 장치, 비디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 공급라인(904)은 매니폴드(manifold) 등을 이용하여 제1 진공 제어홀(9081) 및 제2 진공 제어홀(9091)과 연결되어 진공 공급라인(904)에 공급된 공기가 각각 나뉘어 공급될 수 있다.
제1 진공 제어부(908)는 제1 진공 제어홀(9081), 제1 진공 조절부(9083), 진공센서(9085) 그리고 진공 표시부(908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진공 제어홀(9081)은 제1 진공 제어부(908)의 xy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진공 제어홀(9081)은 제1 진공 제어부(908)와 연결되어 z축 방향으로 뻗으며 위치할 수 있다. 제1 진공 제어부(908)로 공급된 공기는 제1 진공 조절부(9083)를 통해 기설정된 압력값에 따라 압력을 조절될 수 있다. 제1 진공 조절부(9083)는 y축 방향으로 뻗으며 제1 진공 제어홀(9081)과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진공 조절부(9083)를 돌려 회전시켜 제1 진공 제어홀(9081)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진공압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정압 제어부(906)에서 조절된 공기는 제1 진공홀(4017)을 통과하여 제어부(90)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진공센서(9085)는 제1 진공 제어홀(9081)을 통과하는 진공 압력을 센싱하여 진공 표시부(9087)에 그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진공 표시부(9087)는 LED 장치, 음성 장치, 비디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정압 제어부(907)와 제2 진공 제어부(909)는 각각 제1 정압 제어부(906)와 제1 진공 제어부(908)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편의상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3를 통하여 접착제 디스펜서(100)의 공기 흐름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디스펜서(100)의 공기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에서 실선은 정압의 흐름을 나타내며 점선은 진공압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공기는 공기 공급부(901)를 통하여 제어부(90)의 내부로 인입되고, Y형 연결관 등을 통하여 정압 공급라인(902) 및 진공 공급라인(904)으로 나뉘어 이동할 수 있다.
정압 공급라인(902)을 통과한 공기는 정압 매니폴드(903)를 통해 제1 정압 매니폴드라인(9031)과 제2 정압 매니폴드라인(9033)으로 나뉘어 이동할 수 있다. 제1 정압 매니폴드라인(9031)을 통과한 공기는 제1 정압 제어부(906)에서 기설정된 압력으로 설정된다. 제1 정압 제어부(906)에서 압력이 조절된 공기는 제1 정압 배출라인(4011)을 따라 제어부(90)의 외부로 이동하여 제1 조절부(40)로 이동한다.
제2 정압 매니폴드라인(9033)을 통과한 공기는 제2 정압 제어부(907)에서 기설정된 압력으로 설정된다. 제2 정압 제어부(907)에서 압력이 조절된 공기는 제2 정압 배출라인(8011)을 따라 제어부(90)의 외부로 이동하여 제2 조절부(80)로 이동한다.
진공 공급라인(904)을 통과한 공기는 진공 매니폴드(905)를 통해 제1 진공 매니폴드라인(9051)과 제2 진공 매니폴드라인(9053)으로 나뉘어 이동할 수 있다. 제1 진공 매니폴드라인(9051)을 통과한 공기는 제1 진공 제어부(908)에서 기설정된 압력으로 설정된다. 제1 진공 제어부(908)에서 압력이 조절된 공기는 제1 진공 배출라인(4015)을 따라 제어부(90)의 외부로 이동하여 제1 조절부(40)로 이동한다.
제2 진공 매니폴드라인(9053)을 통과한 공기는 제2 진공 제어부(909)에서 기설정된 압력으로 설정된다. 제2 진공 제어부(909)에서 압력이 조절된 공기는 제2 진공 배출라인(8015)을 따라 제어부(90)의 외부로 이동하여 제2 조절부(80)로 이동한다.
제1 조절부(40)는 제1 조절라인(405)과 연결된다. 제1 조절부(40)는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로 제1 정압 배출라인(4011) 및 제1 진공 배출라인(4015)과 연결되어 정압과 진공압의 폐루프 제어에 의해서 오프셋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조절부(40)는 제1 조절라인(405)과 연결된 제1 토출부(30)의 수용된 접착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조절부(80)는 제2 조절라인(805)과 연결된다. 제2 조절부(80)는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로, 제2 정압 배출라인(8011) 및 제2 진공 배출라인(8015)과 연결되어 정압과 진공압의 폐루프 제어에 의해서 오프셋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조절부(80)는 제2 조절라인(805)과 연결된 제2 토출부(70)의 수용된 접착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종래의 디스펜서는 단일의 제어장치가 복수의 디스펜서 노즐을 하나의 제어 시스템으로 제어하므로 복수의 디스펜서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지 못하였다.
반면에, 접착제 디스펜서(100)는 단일의 제어부(90)가 복수의 조절부(40, 80)들과 각각 연결되므로, 복수의 조절부(40, 80)와 연결된 토출부들(30, 70)의 접착제 토출량을 독립적으로 각각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가 프레스 유닛(P)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프레스 유닛(P)에서 프레싱된 제품(M)의 생산 속도에 따라 토출부들(30, 70)에 수용된 접착제의 토출량과 토출 시간의 변화를 각각 독립적으로 자동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프레스 유닛(P)에서 분당 10번의 프레싱 수행 작업을 분당 20번의 프레싱 수행 작업으로 변경할 경우, 기설정된 공기의 압력, 접착제의 토출 시간, 토출 속도, 토출 용량을 자동으로 매칭하여 무단계로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디스펜서(100)의 제1 수용부(20), 제1 토출부(30), 제1 조절부(40), 제2 수용부(60), 제2 토출부(70), 그리고 제2 조절부(8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20)는 감지센서(201), 연결부(203), 받침부(205) 그리고 홀더(207)를 포함한다. 연결부(203)는 프레스 유닛(P)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203)는 y축 방향으로 뻗으며 일측 단부는 프레스 유닛(P)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받침부(205)와 연결될 수 있다.
받침부(205)는 xy면과 평행하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받침부(205)는 제1 조절부(40)와 제1 토출부(30)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조절부(40)는 받침부(205)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토출부(30)는 z축으로 길게 뻗은 원통형 형상으로 z축 방향으로 받침부(205)를 통과하며 받침부(205)와 연결될 수 있다.
홀더(207)는 받침부(205)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 토출부(30)가 받침부(205)를 통과하는 위치에서 제1 토출부(30)의 원통면을 홀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토출부(30)는 받침부(205)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감지센서(201)는 받침부(205)의 아래에 위치하며 제1 토출부(30)에 수용된 접착제의 높이를 센싱하여 접착제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토출부(30)는 하단부에 노즐(301)이 결합될 수 있다. 노즐(301)은 프레스 유닛(P)에서 이송된 프레싱된 제품(M)과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노즐(301)은 제1 토출부(30) 내부의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조절부(40)는 제1 정압 공급홀(401), 제1 진공 공급홀(403) 그리고 제1 조절라인(40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압 공급홀(401)은 제1 정압 배출라인(401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진공 공급홀(403)은 제1 진공 배출라인(4015)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조절부(40)는 제1 조절라인(405)을 통해 제1 토출부(30)와 연결된다. 제1 조절부(40)는 제1 정압 배출라인(4011)과 제1 진공 배출라인(4015)으로부터 인입된 공기의 정압과 진공압 사이클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제1 토출부(30) 내부에 수용된 접착제를 정확한 양으로 분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의 제2 수용부(60), 제2 토출부(70), 그리고 제2 조절부(80)의 구조는 공간부(608)와 온도센서(609)를 제외하고는 도 4의 의 제1 수용부(20), 제1 토출부(30) 그리고 제1 조절부(40)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수용부(60)는 xy면과 평행하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공간부(608)와 온도센서(609)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609)는 공간부(608)의 상부에 위치하고 프레스 유닛(P)과 연결되어 프레스 유닛(P)의 온도를 센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2 조절부(80)는 제2 정압 공급홀(801), 제2 진공 공급홀(803) 그리고 제2 조절라인(805)을 포함한다. 제2 정압 공급홀(801)은 제2 정압 배출라인(801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진공 공급홀(803)은 제2 진공 배출라인(8015)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조절부(80)는 제2 정압 배출라인(8011)과 제2 진공 배출라인(8015)으로부터 인입된 공기의 정압과 진공압 사이클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제2 토출부(70) 내부에 수용된 접착제를 정확한 양으로 분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종래의 디스펜서는 제어장치에 솔레노이드 밸브장치가 위치하여 디스펜서 노즐과 솔레노이드 밸브장치와의 공급 거리가 길어져 그 구간만큼 정압과 진공압의 제어의 오차율이 높았다.
반면에, 접착제 디스펜서(100)는 제1 수용부(20)에 제1 조절부(40)와 제1 토출부(30)가 위치하므로 제1 조절부(40)와 제1 토출부(30)의 공급 거리가 짧으므로 정압과 진공압의 오차율이 낮아져 접착제의 토출량의 제어 정확도가 높다. 또한 접착제 디스펜서(100)는 제1 조절부(40)가 제1 토출부(30)와 연결되고, 제2 조절부(80)가 제2 토출부(70)와 연결되므로 각각 토출부들(30, 70)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종래의 디스펜서는 단일의 제어장치가 복수의 디스펜서 노즐을 하나의 제어 시스템으로 제어하므로 복수의 디스펜서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지 못하였다.
반면에, 접착제 디스펜서(100)는 단일의 제어부(90)가 복수의 조절부(40, 80)들과 각각 연결되므로, 복수의 조절부(40, 80)와 연결된 토출부들(30, 70)의 접착제 토출량을 독립적으로 각각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가 프레스 유닛(P)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프레스 유닛(P)에서 프레싱된 제품(M)의 생산 속도에 따라 토출부들(30, 70)에 수용된 접착제의 토출량과 토출 시간의 변화를 각각 독립적으로 자동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제1 조절부(40)와 연결된 제1 토출부(30)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토출부(30)는 노즐(301), 외측(303) 그리고 내측(305)을 포함한다. 외측(303)은 제1 토출부(30)의 외형 유지가 가능한 스틸로 제조될 수 있다. 내측(305)은 접착제가 수용되므로 접착제와 반응이 없는 테프론(Teflon)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조절부(40)는 제1 조절라인(405)과 연결된다. 제1 조절라인(405)은 제1 토출부(30)의 상부와 연결된다. 제1 조절부(40)는 제1 조절라인(405)을 통해 제1 토출부(30)의 정압과 진공압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여 제1 토출부(30) 내부에 수용된 접착제를 토출량을 조절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토출부(30)가 수용된 접착제를 토출할 경우, 제1 조절부(40)의 진공압은 오프(off)이며 정압은 온(on)상태일 수 있다. 제1 토출부(30)가 접착제를 토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조절부(40)의 진공압은 온(on)이며, 정압은 오프(off)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제1 이송부 20. 제1 수용부
30. 제1 토출부 40. 제1 조절부
50. 제2 이송부 60. 제2 수용부
70. 제2 토출부 80. 제2 조절부
90. 제어부 201. 감지센서
203. 제1 연결부 205. 제1 받침부
207. 제1 홀더 301. 제1 노즐
303. 외측 305. 내측
401. 제1 정압 공급홀 403. 제1 진공 공급홀
405. 제1 조절라인 601. 감지센서
603. 제2 연결부 605. 제2 받침부
607. 제2 홀더 608. 공간부
609. 온도센서 801. 제2 정압 공급홀
803. 제2 진공 공급홀 805. 제2 조절라인
901. 공기 공급부 902. 정압 공급라인
903. 정압 매니폴드 904. 진공 공급라인
905. 진공 매니폴드 906. 제1 정압 제어부
907. 제2 정압 제어부 908. 제1 진공 제어부
909. 제2 진공 제어부 4011. 제1 정압 배출라인
4013. 제1 정압홀 4015. 제1 진공 배출라인
4017. 제1 진공홀 8011. 제2 정압 배출라인
8013. 제2 정압홀 8015. 제2 진공 배출라인
8017. 제2 진공홀 9031. 제1 정압 매니폴드라인
9033. 제2 정압 매니폴드라인 9051. 제1 진공 매니폴드 라인
9053. 제2 진공 매니폴드 라인 9061. 제1 정압 제어홀
9063. 정압 표시부 9071. 제2 정압 제어홀
9081. 제1 진공 제어홀 9083. 제1 진공 조절부
9085. 진공센서 9087. 진공 표시부
9091. 제2 진공 제어홀 P. 프레스 유닛
M. 제품 H. 하우징

Claims (10)

  1. 프레스 유닛과 연결되어 있는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스 유닛에서 프레싱된 제1 제품과 대향하고 접착제를 수용하는 제1 토출부,
    상기 제1 수용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토출부의 접착제의 양을 조절하는 제1 조절부, 그리고
    상기 제1 조절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공기 공급부,
    상기 공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있는 정압 공급라인,
    상기 정압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있고 제1 정압 매니폴드라인과 제2 정압 매니폴드라인을 포함하는 정압 매니폴드,
    상기 공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있는 진공 공급라인,
    상기 진공 공급라인과 연결되고 제1 진공 매니폴드라인과 제2 진공 매니폴드라인을 포함하는 진공 매니폴드,
    상기 제1 정압 매니폴드라인과 연결된 제1 정압 제어부,
    상기 제1 진공 매니폴드라인과 연결된 제1 진공 제어부,
    상기 제2 정압 매니폴드라인과 연결된 제2 정압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2 진공 매니폴드라인과 연결된 제2 진공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접착제 디스펜서.
  2. 제1항에서,
    상기 프레스 유닛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수용부와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2 수용부,
    상기 제2 수용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스 유닛에서 프레싱된 제2 제품과 대향하고 접착제를 수용하는 제2 토출부, 그리고
    상기 제2 수용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토출부의 접착제의 양을 조절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조절부
    를 포함하는 접착제 디스펜서.
  3. 제2항에서,
    상기 제1 조절부는
    제1 정압 공급홀, 그리고 상기 제1 정압 공급홀과 이격하며 위치하는 제1 진공 공급홀을 포함하는 접착제 디스펜서.
  4. 제3항에서,
    상기 제1 정압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1 정압홀 및 상기 제1 정압 공급홀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제1 조절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정압 배출라인, 그리고
    상기 제1 진공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1 진공홀 및 상기 제1 진공 공급홀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제1 조절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진공 배출라인
    을 포함하는 접착제 디스펜서.
  5. 제2항에서,
    상기 제2 조절부는
    제2 정압 공급홀, 그리고 상기 제2 정압 공급홀과 이격하며 위치하는 제2 진공 공급홀을 포함하는 접착제 디스펜서.
  6. 제5항에서,
    상기 제2 정압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2 정압홀 및 상기 제2 정압 공급홀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제2 조절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정압 배출라인, 그리고
    상기 제2 진공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2 진공홀 및 상기 제2 진공 공급홀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제2 조절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진공 배출라인을 포함하는 접착제 디스펜서.
  7. 제2항에서,
    상기 제1 조절부와 상기 제2 조절부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접착제 디스펜서.
  8. 제2항에서,
    상기 제1 조절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조절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절라인은 상기 제1 토출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제1 토출부에 수용된 상기 접착제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접착제 디스펜서.
  9. 제2항에서,
    상기 제2 조절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조절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절라인은 상기 제2 토출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제2 토출부에 수용된 상기 접착제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접착제 디스펜서.
  10. 제1항에서,
    상기 제1 수용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토출부에 수용된 상기 접착제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접착제 디스펜서.
KR1020160132236A 2016-10-12 2016-10-12 접착제 디스펜서 KR101854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236A KR101854822B1 (ko) 2016-10-12 2016-10-12 접착제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236A KR101854822B1 (ko) 2016-10-12 2016-10-12 접착제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402A KR20180040402A (ko) 2018-04-20
KR101854822B1 true KR101854822B1 (ko) 2018-05-04

Family

ID=6208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236A KR101854822B1 (ko) 2016-10-12 2016-10-12 접착제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8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5782A (ja) 2004-08-23 2006-03-02 Ricoh Co Ltd 塗布方法、塗布装置及び液体吐出ヘッ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5782A (ja) 2004-08-23 2006-03-02 Ricoh Co Ltd 塗布方法、塗布装置及び液体吐出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402A (ko) 2018-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7862B2 (en) Flow controller
US5131350A (en) Electrostatic powder coating device
US9120116B2 (en) Dispenser and method of dispensing and controlling with a flow meter
CN100538573C (zh) 从具有流量控制装置的气体供给设备向容器分流地供给气体的气体分流供给装置及气体分流供给方法
JP4789233B2 (ja) 液体吐出装置
US7152815B2 (en) Dispensing system, nozzle and method for independently dispensing and controlling liquid
CN100478967C (zh) 调节从敷涂器施放到工件上的流体的布置的方法
CN102006943B (zh) 液体材料的排出装置及其涂布装置
US10128087B2 (en) Configuration independent gas delivery system
US8171973B2 (en) Nozzle and rel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molten thermoplastic material
CN101193815A (zh) 容积流体输送系统中的流体状态的控制
CN1974027B (zh) 溶液涂敷装置及溶液供给量的计量方法、溶液的供给方法
KR101854822B1 (ko) 접착제 디스펜서
US7379832B2 (en) Multi-channel metering apparatus with automatic calibration
WO2018036033A1 (zh) pL 级超微量补液装置及方法
EP3046682B1 (en) Fluid pressure regulation system for fluid-dispensing systems
EP07615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lying and carrying powder
KR102133235B1 (ko) 멀티 노즐 정밀토출 제어 디스펜서
CN100567563C (zh) 化学蒸镀装置
TW201609269A (zh) 用於分注器的閥門座
US20140263451A1 (en) Variable orifice outlet assembly
US3459333A (en) Liquid-dispensing apparatus
CN108355855B (zh) 增粘剂涂布装置
US20220193706A1 (en) Apparatus for Ejecting Viscous Liquid Aerosol
KR20110048804A (ko) 에어 샌드 브라스트머신의 연마재 정량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