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439B1 -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439B1
KR101854439B1 KR1020170163036A KR20170163036A KR101854439B1 KR 101854439 B1 KR101854439 B1 KR 101854439B1 KR 1020170163036 A KR1020170163036 A KR 1020170163036A KR 20170163036 A KR20170163036 A KR 20170163036A KR 101854439 B1 KR101854439 B1 KR 101854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lumina
solution
reactor
prep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창영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드림티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드림티앤아이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드림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170163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12Preformed road surface markings, e.g. of sheet material; Methods of applying preformed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여 상기 축광체가 끼움 조립되는 메인케이스 및,
상기 중공부의 후측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중공부에 삽입된 상기 축광체의 저면을 지지 고정하는 서브케이스로 이루어진 조립체;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원통 형상의 축광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A Safety Glow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빛을 축적해 두었다가 어두울 때 발산할 수 있는 축광성 물질을 몰딩화하여 조립체 속에 조립한,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광은 일반 빛에너지 태양광, 형광등을 포함한 모든 영역의 광원(밝음상태)을 에너지로 흡수하여 어두운 곳에서 축광된 빛 에너지를 가시광선으로 변환하여 스스로 발광하는 빛의 흡수, 축적, 발광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으로 반영구적인 수명을 가진다.
이러한 축광은 근래에 우수한 축광 소재가 개발되어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자연채광이 차단된 지하나 대형건물의 내부시설에 적용하면 정전시 비상 유도기능 및 일상적인 전원 오프시 보행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축광 조명 조립체는 바닥에 고정 설치되어 보행자 또는 차량을 안내하기 위해 구비되며, 일반적으로 축광 안료가 내부에 도포 된 투명의 축광판을 구비하고, 상기 축광판을 중앙에 걸림돌부가 형성된 본체 내에 내장하여 걸림돌부를 통해 축광판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태양광 또는 형광등의 빛을 흡수하였다가 어두워지거나 실내의 전원이 오프될 경우 축적된 빛이 자연스럽게 발산됨으로써 보행자나 차량의 이동을 안전하게 안내하게 된다.
이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 10-0917669호에 ‘축광 조명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빛을 축척해 두었다가 어두울 때 발산하는 축광재를 자전거 도로 또는 일반 도로의 유도램프나 건물 내의 비상 탈출로를 안내하는 유도램프 및 경관조명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축광 조명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명은, 상측 내주면 둘레에 삽탈홈(16)을 갖는 걸림돌부(13)가 형성되면서 삽탈홈(16) 내측에 스토퍼(17)를 형성한 축광판장입홀(12)을 구비하고, 상기 축광판장입홀(12) 둘레에 복수의 나사공(14)을 구비한 본체(10)와; 상기 나사공(14)에 관통 삽입되어 지지물에 박힘되는 고정구(18)와; 상기 걸림돌부(13)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은 지름을 가지면서 측면 둘레에 띠형 링홈(21)을 형성한 판상의 축광판(20)과; 상기 본체(10)의 축광판장입홀(12)의 지름보다 작으면서 상기 걸림돌부(13)의 내경보다는 큰 외경과, 상기 축광판(20)의 지름보다는 작으면서 링홈(21) 지름보다 큰 내경 및 상기 링홈(21)의 깊이와 같거나 작은 단면 폭을 구비하여 상기 축광판(20)의 링홈(21)에 끼워짐과 동시에 일측이 개방된 탄성링(30)과; 상기 축광판장입홀(12)의 후측에 삽입설치되어 장입된 축광판(20)의 후측면을 지지하는 받침대(4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발명은 본체의 상단을 통해 축광판을 삽입하여 조립함으로써 고정구를 풀고 조일 필요 없기 때문에 매우 신속 간편하게 장탈착 할 수 있고, 그 조립구조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탈착할 수 없어 축광판의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축광판의 조립 및 삽입 구조만을 특화한 것으로서, 축광 조명체의 내구성 향상 및 그에 포함된 축광체 자체의 발광성능 향상 등에 있어서는 별다른 특이점을 찾기 힘들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빛을 축적해 두었다가 어두울 때 발산할 수 있는 축광성 물질을 몰딩화하여 조립체 속에 조립한 것으로서, 조립체의 내구성을 강화하였을 뿐 아니라 원치 않는 조립 해제를 방지하며, 축광체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킨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빛을 축적해 두었다가 어두울 때 발산할 수 있는 축광성 물질을 몰딩화하여 조립체 속에 조립한 것으로서, 조립체의 내구성을 강화하였을 뿐 아니라 원치 않는 조립 해제를 방지하며, 축광체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킨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체를 다중 구조로 함과 동시에 다중 구조의 조립체 간의 신규한 결합 구조를 제시하여 보다 견고한 결합이 가능케 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축광체의 발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발광성능의 향상을 위해 첨가되는 신규한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은,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로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여 상기 축광체가 끼움 조립되는 메인케이스 및, 상기 중공부의 후측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중공부에 삽입된 상기 축광체의 저면을 지지 고정하는 서브케이스로 이루어진 조립체;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원통 형상의 축광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메인케이스는, 내주면 일 측에서 상기 메인케이스의 상측을 향해 일정 길이 함입 형성된 진입구 및, 상기 진입구의 종결 부위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메인케이스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게 함입 형성된 연장구와, 상기 연장구의 하단에서 연장 함입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홈을 포함하는 결합 수용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 수용구는, 상기 메인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서브케이스는, 외주면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 수용구에 끼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 끼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조립체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여 상기 중공부에 상기 축광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케이스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면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 연장 형성된 단턱을 포함하는 보조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케이스는, 상기 보조케이스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축광체의 저면을 지지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은,
1) 빛을 축적해 두었다가 어두울 때 발산할 수 있는 축광성 물질을 몰딩화하여 조립체 속에 조립한 것으로서, 조립체의 내구성을 강화하였을 뿐 아니라 원치 않는 조립 해제를 방지하며, 축광체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킨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를 제공하며,
2) 조립체를 다중 구조로 함과 동시에 다중 구조의 조립체 간의 신규한 결합 구조를 제시하여 보다 견고한 결합이 가능케 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높였고,
3) 축광체의 발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뿐 아니라,
4) 발광성능의 향상을 위해 첨가되는 신규한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 구조의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체를 구성하는 메인케이스 및 서브케이스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삼중 구조의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체를 구성하는 메인케이스와 서브케이스 및 보조케이스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 구조의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는, 기본적으로 축광성 안료가 포함된 축광성 물질이 몰딩 처리된 축광체(10)와, 상기 축광체(10)가 삽입되는 조립체(20)로 이루어진다.
축광체(10)는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으로서, 축광성 안료가 몰딩을 위한 베이스 물질에 혼합되어 몰딩 처리된 것이다. 이 때 몰딩을 위한 베이스 물질은 일반적으로 수지, 바람직하게는 에폭시계 수지일 수 있으나, 투명성을 지녀 축광체(10)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별다른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은 기본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축광체(10)에 이용되는 축광성 안료는 스트로튬 산화물을 기반으로 하는 안료이며, 축광성을 나타내므로 일반 빛에너지 태양광, 형광등을 포함한 모든 영역의 광원(밝음상태)을 에너지로 흡수한 뒤, 주변이 어두워짐에 따라 축광된 빛 에너지를 가시광선으로 변환하여 스스로 발광하는 빛의 흡수, 축적, 발광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반영구적 수명을 가진다는 특성이 있다.
더불어 이런 축광성 안료가 에폭시계 수지 베이스에 분산된 뒤 원통 형상으로 성형됨으로써 몰딩 처리된 축광체(10)가 제조되는 것이며, 이러한 축광체(10)가 조립체(20)에 끼움 조립되어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가 제작된다.
조립체(20)는 기본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부(21)를 포함하여 중공부(21)에 축광체(10)를 끼움 조립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이나 원판 외에도 그 외의 다각형 구조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이러한 조립체(20)는 축광체(10)를 끼움 고정하는 바, 축광체(10)의 둘레면을 고정하는 메인케이스(100)와, 축광체(10)의 저면을 지지 고정하는 서브케이스(200)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축광체(10)를 감싸고 받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케이스(100)는 기본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부(21)를 포함함으로써 축광체(10)를 중공부(21)에 끼움 고정하며, 축광체(10)의 둘레면을 감싸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메인케이스(100)의 일 측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나사공(400)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공(400)에 나사못과 같은 고정구를 박아 공원이나 야외 시설, 설치물 등에 본 발명의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를 고정 결착할 수 있게 된다.
서브케이스(200)는 중공부(21)의 후측, 즉 바닥면 측에 삽입 설치되어 축광체(10)가 중공부(21)에 삽입되었을 때 그 바닥면, 즉 저면을 지지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축광체(10)의 바닥면 일부를 받쳐야 함은 물론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축광체(1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표면에서 함입 형성된 함입부(210)를 포함하여, 축광체(10)의 바닥면 인근 부위가 끼움 결합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축광체(10) 바닥면에 대한 지지 고정 및 축광체(10)에 대한 보호 역할을 더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조립체(20)는 메인케이스(100)와 서브케이스(200)의 이중 구조로 구성되는 바, 기본적으로는 축광체(10) 일부가 서브케이스(200)의 함입부(210)에 수용되어 축광체(10)의 저면을 서브케이스(200)가 고정한 상태에서 축광체(10) 및 서브케이스(200)가 메인케이스(100)의 중공부(21)에 단순 끼움 고정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합 방식에서 더 나아가 서브케이스(200)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고, 메인케이스(100)의 중공부(21)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여 메인케이스(100) 및 서브케이스(200)가 나사산 결합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그 외의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도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보다 바람직한 결합 방식에 대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체(20)를 구성하는 메인케이스(100) 및 서브케이스(200)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메인케이스(100) 및 서브케이스(200)는 상호간의 결합이 이루어져야 함이 기본이다. 이 때, 서브케이스(2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결합 끼움구(220)를 돌출 형성하고, 메인케이스(100)의 중공부(21) 내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결합 수용구(110)를 함입 형성함으로써 결합 수용구(110)에 결합 끼움구(220)가 끼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호간의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
이 때 서브케이스(200)에 형성되는 결합 끼움구(220)는 서브케이스(200)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결합 수용구(110)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종단면이 원형 형상인, 즉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더불어 이러한 결합 끼움구(220)는 서브케이스(2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돌출 형성된다.
나아가 메인케이스(100)에 함입 형성되는 결합 수용구(110)는 결합 끼움구(2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입 형성된 것인데, 이 때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수용구(110)는 진입구, 연장구(112), 돌기홈(11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진입구(111)는 내주면 일 측에서 상기 메인케이스(100)의 상측을 향해 일정 길이 함입 형성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케이스(100)의 바닥면과 맞닿은 내주면 둘레 일 측에서 상측을 향해 함입 형성된다. 따라서 진입구(111)를 통해 서브케이스(200)의 결합 끼움구(220)가 진입되어 끼움 결합이 일차적으로 진행된다. 연장구(112)는 상기 진입구(111)의 연장 종결 부위에서 절곡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진입구(111)를 통해 끼움 결합된 결합 끼움구(220) 역시 연장구(112)를 따라 진입되는 것이다. 이 때 연장구(112)는 상기 메인케이스(10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게 함입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장구(112)의 내측까지 끼움 결합된 결합 끼움구(220)는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경사를 역주행할 수 없어, 결합 해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이러한 연장구(112)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돌기홈(113)이 연장 함입 형성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결합 수용구(110)에 끼움 결합된 결합 끼움구(220)가 돌기홈(113)에 걸리게 됨으로써 결합 해제를 한 번 더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합 구조로 결합되는 메인케이스(100)와 서브케이스(200)는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별도의 시도를 하는 것이 아니라면, 외부에서 어떠한 외력을 가하더거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결합의 해지가 일어나지 않아 보다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안전 유도 장치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축광체(10)의 분실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축광체(10)에 대한 보호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삼중 구조의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에 포함된 조립체(20)는 메인케이스(100) 및 서브케이스(200) 뿐 아니라 보조케이스(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보조케이스(300)의 형상에는 별다른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보조케이스(300)가 메인케이스(100)와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다시 말하자면 보조케이스(300) 역시 중공부(21)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어 중공부(21)에 축광체(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보조케이스(300)가 축광체(10)의 외주면 둘레를 한 번 더 감싸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보조케이스(300)는 단턱(310)이 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 단턱(310)을 통해 축광체(10)의 상면 일부를 함께 감싸 보호함으로써 축광체(10)의 상면 모서리 역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보조케이스(300)가 축광체(10)를 수용한 뒤 보조케이스(300)의 중공부(21) 내주면에 서브케이스(200)를 수용하여 서브케이스(200)가 축광체(10)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상태로 조립된 보조케이스(300) 및 서브케이스(200)가 메인케이스(100)의 중공부(21)에 수납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통해 보조케이스(300)가 축광체(10)를 한 번 더 보호하도록 하여 외력으로부터의 보호성을 높여 내구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조립체(20)를 구성하는 메인케이스(100), 서브케이스(200), 보조케이스(300) 간의 결합 방식에 대해서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메인케이스(100)와 서브케이스(200), 보조케이스(300)가 서로 끼움 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혹은 메인케이스(100)의 내주면 둘레, 서브케이스(200)의 외주면 둘레, 보조케이스(300)의 내주면 및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메인케이스(100)와 서브케이스(200) 및 보조케이스(300)가 나사산 결합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체(20)를 구성하는 메인케이스(100)와 서브케이스(200) 및 보조케이스(300)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도 3과 유사한 결합 방식이 메인케이스(100), 서브케이스(200), 보조케이스(300) 간의 삼중 결합에 있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설명에서 서브케이스(200)에 형성된 결합 수용구(110)와 유사한 구성이 보조케이스(300)에 포함되는데, 이 경우 보조케이스(300)에 메인케이스(100) 및 서브케이스(200)가 모두 끼움 결합되어야 하므로 이 경우 결합 수용구(110)와 같이 함입 형성된 형태가 아닌 관통 형성된 형태의 결합 매개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조케이스(300)를 따라 암형 결합구(320)를 관통 형성하여 관통된 암형 결합구(320)를 통해 메인케이스(100) 및 서브케이스(200)와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메인케이스(100)의 내주면 및 상기 서브케이스(200)의 외주면 각각에는, 둘레를 따라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수형 결합구(120, 230)가 돌출 형성된다. 이는 상술한 도 3의 구성에서의 결합 끼움구(220)와 같으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보조케이스(300)에 형성되는 암형 결합구(320)는 보조케이스(30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 때 암형 결합구(320)는 외주면, 내주면 둘레에서 각각 함입되어 형성된 외측 진입홈(321)과 내측 진입홈(322), 그리고 외측 진입홈(321)과 내측 진입홈(322) 사이를 분리시키도록 경계면에 형성된 격벽(323)과, 외측 진입홈(321)과 내측 진입홈(322)에서 절곡되도록 연장 관통 형성된 관통홈(324) 및, 관통홈(324)의 하단을 따라 돌출 연장 관통 형성된 걸림홈(325)을 포함한다.
먼저 외측 진입홈(321)과 내측 진입홈(322)은 각각 보조케이스(300)의 외주면, 내주면 둘레 일 측에서 상기 보조케이스(300)의 상측을 향해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된 것으로서, 이 때 외측 진입홈(321)과 내측 진입홈(322)은 각각 함입 형성된 형태이며, 외측 진입홈(321)과 내측 진입홈(322)의 경계면에는 격벽(323)이 형성되어 있어 상호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 경우 외측 진입홈(321)을 따라 메인케이스(100)에 형성된 수형 결합구(120)가 끼움 결합되는 것이며, 내측 진입홈(322)을 따라서는 서브케이스(200)에 형성된 수형 결합구(230)가 끼움 결합된다.
그 후 격벽(323)의 종결부위 상단 일 측에서 관통홈(324)이 절곡되어 형성되는데, 이는 다시 설명하면 외측 진입홈(321)과 내측 진입홈(322)의 종결 부위에서 절곡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관통홈(324)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조케이스(300)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게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외측 진입홈(321) 및 내측 진입홈(322)을 통해 진입한 한 쌍의 수형 결합구(120, 230)가 관통홈(324)에서 서로 만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수형 결합구(120, 230)는 관통홈(324)을 따라 하방 경사지게 내려오므로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빠지지 않고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게 된다.
더불어 관통홈(324)의 하단을 따라서는 복수개의 걸림홈(325)이 돌출 연장 관통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걸림홈(325)은 상술한 돌기홈(113)과 유사하여 보다 견고한 결합을 체결하도록 함과 동시에 결합 해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암형 결합구(320)와 수형 결합구(120, 230) 사이의 결합을 통해 메인케이스(100)와 서브케이스(200), 보조케이스(300) 간의 긴밀한 결합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며, 축광체(10)의 분실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는 축광성을 나타낼 수 있는 축광체(10)가 핵심이 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축광체(10)의 제조 방법을 포함하는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의 제조방법을 가장 간단히 설명하면, 축광체(10)를 제조하는 단계와, 조립체(20)를 제조하는 단계 및, 조립체(20)에 축광체(10)를 끼움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축광체(10)를 제조하는 단계는 축광성 물질, 즉 축광성 안료를 투명 재질의 베이스 수지에 분산시키고 이를 몰드를 통해 몰딩 처리하여 원통 형상의 축광체(10)를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는 두꺼운 원판 형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때 축광체(10)를 제조하는 단계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축광체(10)를 제조하는 단계는 축광 성형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와, 축광 성형 베이스를 경화 및 성형 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축광 성형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는 투명성을 갖는 수지 베이스에 축광성 안료를 분산 처리하여 성형체를 제조할 베이스 혼합제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이를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에폭시계 수지 베이스와 첨가제 및 축광성 안료를 혼합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축광성 안료로부터 발생되는 빛에 대한 확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광확산제 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 때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확산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축광체(1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광확산성 물질, 즉 광확산제를 별도로 함침 처리한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를 첨가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투명 알루미나라 함은 그 자체가 광확산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될 수도 있는 것인데, 여기에 더해 광확산성 물질인 광확산제를 이에 함침 처리하여 확산성을 보다 높인 것이며, 이 때 본 발명에서 첨가제로 이용되는 투명 알루미나는 다공성을 나타내어 광확산제에 대한 함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첨가제 및 축광성 안료와 투명성을 갖는 에폭시계 수지 베이스를 혼합하여 축광 성형 베이스를 제조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축광성 안료를 포함한 베이스 자체를 몰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준비를 마치는 것이다.
그 후 제조된 축광 성형 베이스를 경화 및 성형 처리하는 과정이 수행되는 것인데, 이 때 경화 및 성형을 위해서는 별도의 몰드가 이용될 수도 있으나, 혹은 축광 성형 베이스를 큰 고체상으로 경화시킨 뒤 이를 깎아내는 방식으로 성형하여 이용하는 것 역시 물론 가능하다. 이 때 성형을 마친 축광체(10)는 일반적으로 두꺼운 원판 형상, 즉 원통형의 형상을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축광체(10)를 제조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다음으로 조립체(20)를 제조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 때 조립체(20)는 축광체(1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중공부(21)를 포함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중공부(21)는 관통 형성되거나 함입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관통 형성된 중공부(21)에 축광체(10)가 끼워질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조립체(20)는 별도의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조립체(20)의 재질은 플라스틱이나 기타 수지 재질이라면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조립체(20)의 중공부(21)에 축광체(10)를 끼움 결합하여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를 조립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는 조립체(20)와 축광체(10)를 조립하는 과정으로서, 이 때 조립체(20)와 축광체(1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별도의 오링 등이 더 끼움결합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조립 및 체결의 과정을 거쳐 본 발명의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가 제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축광체(10)를 제조하는 단계가 가장 핵심이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축광체(10)를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 첨가제로 첨가될 수 있다고 설명한 광확산제가 함침 처리된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의 제조 역시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설명에서 축광 성형 베이스를 제조할 때, 첨가제로서 광확산제가 함침 처리된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를 투입한다고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축광 성형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전에 광확산제가 함침 처리된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를 제조하는 단계가 선행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 때 광확산제가 함침 처리된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를 제조하는 단계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를 제조하는 단계와,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에 광확산제를 함침 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를 제조하는 단계는 다공성을 나타내며 투명한 알루미나를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그를 위해서는 베이스 물질인 알루미나 졸로부터 출발하여 알루미나 졸에 포함된 용매를 분리시키고, 여러 번의 건조 처리가 수행되어야 하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베이스 물질인 알루미나 졸을 제조해야 하는데, 알루미나 졸 제조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알루미나 졸의 제조를 위한 알루미늄 2-뷰톡사이드(ASB)와 2-부탄올이 준비되어야 한다. 준비된 알루미늄 2-뷰톡사이드와 2- 부탄올은 40 내지 60℃의 온도 범위에서 혼합되어 ASB용액으로 제조되는데, 이 때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2-뷰톡사이드 0.08 내지 0.09mol과 2-부탄올 0.3 내지 0.35mol을 혼합하여 ASB용액을 제조하도록 한다.
ASB용액이 제조되면 이를 교반 처리하면서 ASB 용액에 정제수를 가한다. 이 때 가해지는 정제수에 의해 ASB용액에 포함된 알루미늄 2-뷰톡사이드의 가수분해가 일어나게 되며, 이 때 바람직한 첨가 비율은 알루미늄 2-뷰톡사이드 0.08 내지 0.09mol과 2-부탄올 0.3 내지 0.35mol을 혼합해 ASB 용액을 제조한 경우 정제수 1 내지 1.5mol을 ASB 용액에 첨가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 때 첨가되는 정제수의 온도 조건은 상술한 ASB 용액을 제조하는 경우와 동일하며, 드롭핑의 방식 등을 통해 일정 속도로 정제수가 ASB 용액에 적가될 수 있도록 해야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정제수가 가해져 알루미늄 2-뷰톡사이드의 가수분해가 일어나는 경우, 가수분해 된 ASB용액으로부터 여액을 분리하여 폐기시키고 침전물만을 수득한다. 그 후 별도로 분리 수득된 침전물은 실온 범위에서 건조된 후, 1차 첨가액이 된다.
이 때 1차 첨가액은 분리 수득되어 건조된 침전물에 질산 80% 용액이 첨가되어 침전물이 해교 처리된 것이며, 이 때 질산 80% 용액의 첨가량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첨가비로 제조된 침전물의 경우 0.05 내지 0.1mol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이 때 질산 80% 용액 첨가에 의해 침전물이 다시 해교 처리되어 균일한 1차 첨가액을 이룬다.
그 후 1차 첨가액에 2-부탄올을 재첨가하여 2차 첨가액이 제조되는데, 2차 첨가액은 일종의 현탁액과 같은 상을 갖는다. 2-부탄올에 첨가에 의해 1차 첨가액이 흐려지는 반응이 일어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다공성 알루미나 졸이 형성되었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2-부탄올의 첨가량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첨가비로 제조된 침전물의 경우 0.25 내지 0.3mol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조된 2차 첨가액을 75 내지 85℃로 유지하면서 교반 처리하며 현탁액 상태의 2차 첨가액을 완전히 투명하게 될 때까지 유지한다. 이를 통해 생성된 알루미나 졸이 안정화되면서 투명해지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조된 투명한 알루미나 졸을 기반으로 하여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를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제조된 투명 알루미나 졸은 비이커 등의 반응기에 담긴 상태이다. 혹은 별도의 반응기가 준비된 경우, 투명 알루미나 졸을 해당 반응기에 넣고 필름 등을 통해 반응기를 밀봉 처리 한다. 이 때 필름은 일반적으로 밀봉을 위해 사용되는 수지 재질의 씰링 필름일 수 있다.
그 후 필름을 통해 밀봉 처리된 반응기를 건조기에 투입하고 70 내지 75℃ 범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가온 유지 하여 반응기에 수용되어 있는 알루미나 졸로부터 용매를 1차 분리시킨다. 알루미나 졸은 2-부탄올 및 질산 80% 용액과 같은 용매에 분산되어 있는 상태인데, 이 때 건조 및 가온 유지를 통해 용매와 알루미나 졸에 포함된 투명 알루미나를 분리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분리된 용매를 휘발시켜 알루미나 졸을 건조하기 위해, 상기 반응기의 필름에 복수개의 관통공을 관통 형성한 후 건조기를 통해 1차 건조를 수행한다. 이 때 1차 건조를 통해 상기 반응기의 중량이 건조 전 중량 대비 70 내지 80%가 되도록 한다. 1차 건조를 통해 알루미나 졸에 포함된 용매가 필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휘발 처리되는 것이며, 이러한 1차 건조 시 필름에 형성된 관통공 만으로 용매가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급격한 건조를 방지하게 되어 알루미나의 표면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1차 건조된 반응기에 씰링 처리되어 있는 필름을 제거하고, 필름이 제거된 반응기를 승온 처리하여 175 내지 185℃까지 승온시키도록 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승온 속도를 3 내지 4 ℃/h(hour)로 조절하여 급격한 승온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알루미나가 안정성을 잃고 투명성을 잃거나,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은 물론이다.
승온이 완료되면, 175 내지 185℃로 승온 처리된 반응기를 40 내지 50 시간 동안 가온 유지함으로써 알루미나 졸에 대한 2차 건조 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잔여 용매가 2차 건조를 통해 재휘발됨으로써 순도가 높은 알루미나 졸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 후 마지막 3차 건조를 통해 알루미나 졸이 완전 건조 처리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2차 건조 처리된 상기 알루미나 졸이 담긴 상기 반응기를 150 내지 200℃, 9 내지 11 torr의 진공건조기에 넣고 90 내지 110시간 동안 건조 수행하게 된다. 이 때는 보다 완벽한 건조를 수행하게 되는 거싱며, 원주산의 균열이 없는 균일한 겔체인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를 얻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와 같은 열처리 및 진공 처리를 통해 선수축을 방지하여 다공성 알루미나에 별도의 가열 시 선수축에 의해 균열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를 제조되면, 제조된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에 광확산성을 가진 물질인 광확산제를 함침 처리하여 본 발명의 광확산제가 함침 처리된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광확산제로서 나노화된 실리카를 이용하여 나노 사이즈 대의 미세한 실리카가 다공성 알루미나에 형성된 복수개의 기공에 함침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광확산제의 함침 처리를 위해서는 먼저 나노화된 콜로이드 실리카가 용매에 분산 처리된 실리카 분산액을 제조한 뒤, 해당 실리카 분산액에 제조된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를 함침함으로써 광확산제인 나노화된 실리카를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에 함침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나노화된 콜로이드 실리카가 용매에 분산 처리된 실리카 분산액을 함침에 앞서 제조해야 하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듐실리케이트에 증류수를 가하여 실리케이트용액의 전체 중량 대비 실리카 3 내지 10 중량%을 함유한 실리케이트용액을 제조한다. 이 때 실리케이트용액은 나노화된 콜로이드 실리카의 제조를 위한 씨드 역할을 하는 실리카 졸 제조를 위해 이용된다.
그 후, 상기 실리케이트 용액과 양이온 교환수지를 4:3 내지 5:3의 중량비로 혼합한 뒤 25 내지 35℃에서 200 내지 400rpm으로 5 내지 15분 간 교반하고 여과하여 2.0 내지 2.5의 pH를 갖는 실리카 졸을 제조한다. 이러한 실리카 졸은 노화된 콜로이드 실리카의 제조를 위한 씨드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더하여 별도의 소듐실리케이트에 증류수를 가하여 베이스용액의 전체 중량 대비 실리카 1 내지 10 중량%을 함유한 베이스용액을 제조한다. 베이스용액은 상술한 실리케이트용액에 비해 실리카의 함량이 낮은 것을 기본으로 하며, 이러한 베이스 용액은 실리카 졸의 성장을 위한 베이스로서 이용된다.
그 후 70 내지 100℃의 온도 조건에서 상기 베이스용액의 전체 중량 대비 6 내지 7배의 실리카 졸을 상기 베이스용액에 1 내지 10 ml/min속도로 첨가한 뒤 5 내지 7시간 동안 유지하여 콜로이드 분산액을 제조한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선 제조된 실리카 졸이 베이스용액에 의해 성장함으로써 분산안전성이 높은 나노화된 콜로이드 실리카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콜로이드 분산액에 폴리스타이렌술폰산형 수지를 첨가하여 용액 속의 잔존 소듐 이온을 제거함으로써 소듐실리케이트에 포함되어있는 소듐 이온 중 양이온 교환수지에 의해서도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는 소듐 이온을 강산성 양이온 수지인 폴리스타이렌술폰산형 수지를 통해 제거하여 안전성을 보다 높임과 동시에 제조된 나노화 콜로이드 실리카가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와 별도로 반응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들을 통해 나노화된 콜로이드 실리카 분산액이 제조되면,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 분산액에 상기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를 투입하고 상기 5 내지 20℃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1차 교반하여 1차 혼합 슬러리액을 제조한다. 이 때 제조된 콜로이드 실리카 분산액에 포함된 광확산제 성분, 즉 나노화된 실리카가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기공에 함침 처리된다.
그 후 상기 1차 혼합 슬러리액을 탈수조에 투입하여 20 내지 40℃에서 5 내지 10분 간 1차 탈수하게 되는데, 이러한 1차 탈수를 통해 기공에 함침된 실리카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에 형성된 기공이 완전히 폐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기공의 표면적이 과도하게 감소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1차 탈수가 5분 미만으로 진행되는 경우 탈수건조의 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1차 탈수가 10분을 초과하는 경우 과잉탈수로 인해 함침된 실리카의 양이 과도하게 줄어들 수 있으므로, 5분 내지 10분 동안 탈수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탈수가 완료된 상기 1차 혼합 슬러리액은 20 내지 10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1차 건조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1차 건조를 통해 실리카가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의 기공에 담지 처리되어 광확산제가 1차 함침된 개질 알루미나가 제조된다.
그 후 개질 알루미나에 보다 충분한 양의 실리카, 즉 광확산제를 담지 처리하기 위해 재함침이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해 상기 1차 함침된 개질 알루미나를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 분산액에 투입하고 5 내지 20℃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2차 교반하여 개질 알루미나와 콜로이드 실리카 분산액의 혼합물인 2차 혼합 슬러리액을 제조한다. 이는 1차 혼합 슬러리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그 기능이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2차 혼합 슬러리액이 제조되면, 상기 2차 혼합 슬러리액을 탈수조에 투입하고 20 내지 40℃에서 5 내지 15분 간 2차 탈수를 진행한다. 이 때 2차 탈수의 경우 상술한 1차 탈수에 비해 탈수 공정을 보다 길게 진행하여 탈수 효과를 높임으로써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의 기공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2차 탈수가 완료된 상기 2차 혼합 슬러리액을 20 내지 100℃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2차 건조 처리 함으로써 콜로이드 실리카 분산액에 포함된 용매의 완전 건조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여 광확산제가 2차 함침된 개질 알루미나를 제조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2번의 함침을 통해 함침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기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의 중량 대비 상기 광확산제가 2차 함침된 개질 알루미나의 중량이 103 내지 110%가 되도록 함침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광확산제인 나노화된 실리카를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에 함침 처리한 것을 축광체(10)의 첨가제로서 이용하도록 하여 축광체(10)의 발광성 및 광확산성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축광체 20 : 조립체
21 : 중공부 100 : 메인케이스
110 : 결합 수용구 111 : 진입구
112 : 연장구 113 : 돌기홈
120 : 수형 결합구 200 : 서브케이스
210 : 함입부 220 : 결합 끼움구
230 : 수형 결합구 300 : 보조케이스
310 : 단턱 320 : 암형 결합구
321 : 외측 진입홈 322 : 내측 진입홈
323 : 격벽 324 : 관통홈
325 : 걸림홈 400 : 나사공

Claims (11)

  1.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로서,
    원통 형상의 축광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여 상기 축광체가 끼움 조립되는 메인케이스 및,
    상기 중공부의 후측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중공부에 삽입된 상기 축광체의 저면을 지지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축광체가 끼움 결합되는 함입부를 포함하는 서브케이스로 이루어진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케이스는,
    내주면 일 측에서 상기 메인케이스의 상측을 향해 일정 길이 함입 형성된 진입구 및, 상기 진입구의 종결 부위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메인케이스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게 함입 형성된 연장구와, 상기 연장구의 하단에서 연장 함입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홈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된 결합 수용구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케이스는,
    외주면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 수용구에 끼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 끼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여 상기 중공부에 상기 축광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케이스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면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 연장 형성된 단턱을 포함하는 보조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케이스는,
    상기 보조케이스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축광체의 저면을 지지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케이스는,
    외주면 일 측에서 상기 보조케이스의 상측을 향해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된 외측 진입홈과,
    상기 외측 진입홈의 대향 측에서 상기 보조케이스의 상측을 향해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된 내측 진입홈과,
    상기 외측 진입홈 및 상기 내측 진입홈의 경계면에 형성된 격벽과,
    상기 격벽의 상단 측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보조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게 관통 형성된 관통홈과,
    상기 관통홈의 하단에서 돌출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홈을 포함하는 암형 결합구를 포함하되,
    상기 암형 결합구는,
    상기 보조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케이스의 내주면 및 상기 서브케이스의 외주면은,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수형 결합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케이스와 상기 서브케이스 및 상기 보조케이스가 상기 암형 결합구와 상기 수형 결합구를 매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
  5.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의 제조방법으로서,
    축광성 물질을 몰딩 처리하여 축광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축광체가 끼움 결합되는 중공부가 관통된 조립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조립체의 중공부에 상기 축광체를 끼움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축광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에폭시계 수지 베이스와 첨가제 및 축광성 안료를 혼합하여 축광 성형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축광 성형 베이스를 경화 및 성형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광확산제가 함침 처리된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이며,
    상기 축광 성형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전에는,
    상기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에 광확산제를 함침 처리하는 단계;가 포함되고,
    상기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를 제조하는 단계는,
    알루미나 졸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나 졸을 반응기에 넣고 반응기를 필름으로 밀봉 처리하는 단계;
    밀봉된 반응기를 건조기에 투입하고 70 내지 75℃로 3 내지 5시간 동안 가온 유지 하여 상기 알루미나 졸에 포함된 용매를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기의 필름에 복수개의 관통공을 관통 형성한 후 상기 반응기의 중량이 건조 전 중량 대비 70 내지 80%가 되도록 상기 알루미나 졸을 1차 건조 처리하는 단계;
    1차 건조된 상기 반응기의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필름이 제거된 상기 반응기를 3 내지 4 ℃/h의 의 승온 속도를 통해 승온 처리하여 175 내지 185℃까지 승온시키는 단계;
    승온 처리된 상기 반응기를 40 내지 50 시간 동안 가온 유지하여 상기 알루미나 졸을 2차 건조 처리하는 단계;
    2차 건조 처리된 상기 알루미나 졸이 담긴 상기 반응기를 150 내지 200℃, 9 내지 11 torr의 진공건조기에 넣고 90 내지 110시간 동안 3차 건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 졸을 제조하는 단계는,
    알루미늄 2-뷰톡사이드 0.08 내지 0.09mol과 2-부탄올 0.3 내지 0.35mol을 40 내지 60℃에서 혼합하여 ASB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ASB용액을 교반 처리하면서 상기 ASB 용액에 40 내지 60℃의 정제수 1 내지 1.5mol을 일정 속도로 첨가하여 상기 ASB 용액을 가수분해 처리하는 단계;
    가수분해 처리된 상기 ASB용액의 여액을 분리하고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
    수득된 침전물을 건조 처리하는 단계;
    건조된 상기 침전물에 0.05 내지 0.1mol의 질산 80% 용액을 첨가하여 1차 첨가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첨가액에 2-부탄올 0.25 내지 0.3mol을 첨가하여 2차 첨가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2차 첨가액을 75 내지 85℃로 유지하면서 교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의 제조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제는,
    나노화된 실리카이며,
    상기 광확산제를 함침 처리하는 단계는,
    나노화된 콜로이드 실리카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 분산액에 상기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를 투입하고 5 내지 20℃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1차 교반하여 1차 혼합 슬러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혼합 슬러리액을 탈수조에 투입하여 20 내지 40℃에서 5 내지 10분 간 1차 탈수 하는 단계,
    1차 탈수가 완료된 상기 1차 혼합 슬러리액을 20 내지 10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1차 건조하여 광확산제가 1차 함침된 개질 알루미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함침된 개질 알루미나를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 분산액에 투입하고 5 내지 20℃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2차 교반하여 2차 혼합 슬러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2차 혼합 슬러리액을 탈수조에 투입하여 20 내지 40℃에서 5 내지 15분 간 2차 탈수 하는 단계,
    2차 탈수가 완료된 상기 2차 혼합 슬러리액을 20 내지 100℃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2차 건조하여 광확산제가 2차 함침된 개질 알루미나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함침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기 다공성 투명 알루미나의 중량 대비 상기 광확산제가 2차 함침된 개질 알루미나의 중량이 103 내지 110%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의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소듐실리케이트에 증류수를 가하여 실리케이트용액의 전체 중량 대비 실리카 3 내지 10 중량%을 함유한 실리케이트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실리케이트 용액과 양이온 교환수지를 4:3 내지 5:3의 중량비로 혼합한 뒤 25 내지 35℃에서 200 내지 400rpm으로 5 내지 15분 간 교반하고 여과하여 2.0 내지 2.5의 pH를 갖는 실리카 졸을 제조하는 단계,
    소듐실리케이트에 증류수를 가하여 베이스용액의 전체 중량 대비 실리카 1 내지 10 중량%을 함유한 베이스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70 내지 100℃의 온도 조건에서 상기 베이스용액의 전체 중량 대비 6 내지 7배의 실리카 졸을 상기 베이스용액에 1 내지 10 ml/min속도로 첨가한 뒤 5 내지 7시간 동안 유지하여 콜로이드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콜로이드 분산액에 폴리스타이렌술폰산형 수지를 첨가하여 용액 속의 잔존 소듐 이온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70163036A 2017-11-30 2017-11-30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4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036A KR101854439B1 (ko) 2017-11-30 2017-11-30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036A KR101854439B1 (ko) 2017-11-30 2017-11-30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439B1 true KR101854439B1 (ko) 2018-06-08

Family

ID=6260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036A KR101854439B1 (ko) 2017-11-30 2017-11-30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4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038B1 (ko) * 2021-12-07 2022-06-13 연안홀딩스 주식회사 축광체를 이용한 안전유도등
KR102524090B1 (ko) * 2021-11-29 2023-04-21 연안홀딩스 주식회사 축광체가 구비된 도로 차선규제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451A (ja) * 2003-05-13 2004-12-24 Sankyo Kinzoku Seisakusho:Kk 誘導鋲
JP2006126774A (ja) * 2004-09-30 2006-05-18 Nitto Denko Corp 光学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偏光面光源並びに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14080467A (ja) * 2012-10-15 2014-05-08 Mitsubishi Chemicals Corp 蛍光体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蛍光体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発光装置
KR101675377B1 (ko) * 2015-08-18 2016-11-11 제오수 반사 겸용 태양열 축광식 도로표지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451A (ja) * 2003-05-13 2004-12-24 Sankyo Kinzoku Seisakusho:Kk 誘導鋲
JP2006126774A (ja) * 2004-09-30 2006-05-18 Nitto Denko Corp 光学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偏光面光源並びに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14080467A (ja) * 2012-10-15 2014-05-08 Mitsubishi Chemicals Corp 蛍光体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蛍光体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発光装置
KR101675377B1 (ko) * 2015-08-18 2016-11-11 제오수 반사 겸용 태양열 축광식 도로표지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090B1 (ko) * 2021-11-29 2023-04-21 연안홀딩스 주식회사 축광체가 구비된 도로 차선규제봉
KR102408038B1 (ko) * 2021-12-07 2022-06-13 연안홀딩스 주식회사 축광체를 이용한 안전유도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439B1 (ko) 축광성 야간 안전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03248B1 (ko) 전기 램프
CN103563106A (zh) 含有半导体纳米粒子的材料和和结合它的发光装置
CA2515647A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ncorporating a luminescent material
JP6727483B2 (ja) 照明装置のカラーフィルター用材料および光学部品
US9365766B2 (en) Wavelength conversion component having photo-luminescence material embedded into a hermetic material for remote wavelength conversion
US7740900B2 (en) Method of preparing a light-absorbing coating
Ren et al. In situ embedding synthesis of CsPbBr3@ Ce-MOF@ SiO2 nanocomposites for high efficiency light-emitting diodes: suppressing reabsorption losses through the waveguiding effect
JP2009528397A (ja) ナノリン光体を微小光学的構造中に導入するための方法
KR101250859B1 (ko) 다층 양자점 및 그 다층 양자점을 적용한 발광소자
US20130192664A1 (en) Luminescent converter
CN106675550A (zh) 一种钙钛矿量子点凝胶及其制备方法
KR20170071433A (ko) 발광성 구조체 및 그것을 사용한 발광 장치
CN112771136A (zh) 发光组合物
CN105788692A (zh) 一种高效的基于气态放射源的同位素电池
Cabello‐Olmo et al. Enhanced directional light extraction from patterned rare‐earth phosphor films
CN109423276A (zh) 一种高效稳定的Mn4+掺杂氟化物发光材料及其制备方法
US4417176A (en) Compact fluorescent lamp
US6570319B2 (en) Soft-tone fluorescent lamp
WO2023123881A1 (zh) 一种具有超强热稳定性的荧光复合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213686496U (zh) 一种无边框筒灯
CN219222259U (zh) 一种便携式草坪装饰灯
CN207407298U (zh) 照明灯具
CN207213967U (zh) 照明灯具
CN1288250A (zh) 带有颜料涂层的灯的彩色发光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