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333B1 - Method for forming textile using 3 dimensional print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forming textile using 3 dimensional pri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333B1
KR101854333B1 KR1020170013785A KR20170013785A KR101854333B1 KR 101854333 B1 KR101854333 B1 KR 101854333B1 KR 1020170013785 A KR1020170013785 A KR 1020170013785A KR 20170013785 A KR20170013785 A KR 20170013785A KR 101854333 B1 KR101854333 B1 KR 101854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fabric
weft
yarn
w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7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정
이종석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3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33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3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forming a fabric consisting of a warp yarn and a weft yarn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rp yarn by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More specifically, provided is a method for forming a fabric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linearly discharging a melting solution to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so as to form the warp yarn of the fabric to be formed; spacing for specific height from the top of the warp yarn before the melting solution forming the warp yarn gets hardened, so as to form the weft yarn of the fabric to be formed, by linearly discharging the melting solution to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Description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 형성 방법{Method for forming textile using 3 dimensional printe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forming a textile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본 발명은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적층 방식의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하여 경사와 위사를 갖는 직물을 형성할 수 있는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forming a fabric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forming method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capable of forming a fabric having warp and weft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of a lamination system.

3차원 프린터의 제품 조형 방식은 크게 대상 물체를 2차원의 평면형태로 한 층씩 쌓아 올려 3차원으로 적층하면서 용융 부착하여 형태를 만들어가는 적층형과, 재료덩어리를 조각하듯이 절삭해서 형태를 만들어가는 절삭형이 있다.The three-dimensional printer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a stacking type in which a target object is stacked in a two-dimensional plane form, a three-dimensional stacking type in which objects are melted and attached to form a shape, and a cutting- There is brother.

이중 적층형은 파우더(석고나 나일론 등의 가루)나 플라스틱 액체 또는 플라스틱 실을 종이보다 얇은 층(레이어)으로 겹겹이 쌓아 입체 형상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서, 레이어가 얇을수록 정밀한 형상을 얻을 수 있고, 채색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double layered type is a method in which a three-dimensional shape is formed by stacking layers of powder (gypsum or nylon powder) or a plastic liquid or a plastic yarn in a layer (layer) thinner than paper. As the layer becomes thinner, a precise shape can be obtai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oceed at the same time.

적층형의 일종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된 와이어 또는 필라멘트를 공급릴과 이송롤을 통해 공급하고 공급된 필라멘트를 3차원이송기구에 장착된 히터 노즐에서 용융시켜서 배출하여 물체를 3차원으로 성형하는 필라멘트 용융 적층 조형방법이 있다.A type of laminate is a filament melt laminate for supplying a wire or filament made of a thermoplastic plastic through a supply reel and a feed roll and melting the supplied filament in a heater nozzle mounted on a three- There is a molding method.

최근 적층 방식의 3차원 프린터를 의류 분야에 적용하려고 하는 시도가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는 적층 방식의 3차원 프린팅의 특성 상 직물이나 편물의 제조가 힘들다는데 있다.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ly a laminate type three-dimensional printer to a garment field, but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thereof are insufficient.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fabricate fabrics or knitted fabric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lamination type three-dimensional printing.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47854호 (2015.08.27 공고)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47854 (published on Aug. 27, 2015)

본 발명은 적층 방식의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하여 경사와 위사를 갖는 직물을 형성할 수 있는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bric forming method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capable of forming a fabric having warp and weft by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of a lamination typ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하여 경사와, 상기 경사에 수직을 이루는 위사로 이루어진 직물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3차원 프린터로 용융액을 선형으로 토출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직물의 경사(經絲)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경사를 형성하는 상기 용융액이 굳기 이전에, 상기 경사의 상부에서 일정한 이격 높이를 띄워 상기 3차원 프린터로 용융액을 선형으로 토출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직물의 위사(緯絲)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 형성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forming a fabric composed of warp yarns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and weft yarns perpendicular to the warp yarns, the method comprising: Forming a warp yarn; And forming a weft of the fabric to be formed by linearly discharging the melt into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by floating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top of the slope before the melt forming the slope is hardened A method of forming a fabric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is provided.

상기 직물의 경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직물의 경사 중 일정 간격에 위치한 제1 경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사를 형성하는 단계는,Wherein forming the warp of the fabric comprises forming a first warp loc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rp of the fabric,

상기 직물의 위사 중 일정 간격에 위치한 제1 위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forming a first weft loc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mong the wefts of the fabric.

상기 제1 위사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위사를 형성하는 상기 용융액이 굳기 이전에, 상기 제1 위사의 상부에서 일정한 이격 높이를 띄워 상기 3차원 프린터로 용융액을 선형으로 토출하여 제1 경사 사이에 제2 경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경사를 형성하는 상기 용융액이 굳기 이전에, 상기 제2 경사의 상부에서 일정한 이격 높이를 띄워 상기 3차원 프린터로 용융액을 선형으로 토출하여 제1 위사 사이에 제2 위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after the step of forming the first weft yarn, a predetermined height is spac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weft yarn before the melt forming the first weft yarn is hardened, Forming a second warp between the warp yarns; A step of linearly discharging the melt to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by floating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second inclination before the melt forming the second inclination is hardened to form a second weft between the first wefts .

상기 이격 높이는 상기 3차원 프린터의 노즐의 토출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The spacing height may be smaller than the discharge diameter of the nozzle of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상기 용융액은, 펠트(felt)를 포함하는 물질을 용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melt can be formed by melting a material including a fel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 방식의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하여 경사와 위사를 갖는 직물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abric having warp and weft can be easily formed by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of a lamination typ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 형성 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 형성 방법에 따라 형성된 직물의 평면도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 형성 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 형성 방법에 따라 형성된 직물의 단면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 형성 방법에 따라 직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forming a fabric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implified top view of a fabric formed according to a method of forming a fabric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3 to 6 are flow charts of a method of forming a fabric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fabric formed according to a fabric forming method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straight yarn according to a fabric forming method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 형성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method of fabricat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 형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 형성 방법에 따라 형성된 직물의 평면도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 형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 형성 방법에 따라 형성된 직물의 단면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 형성 방법에 따라 직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flowchart of a fabric forming method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ree-dimensional prin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ree-dimensional prin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fabricating a fabric.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abric formed according to a method of forming a fabric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 Fig. 5 is a view showing the joining state of the yarn according to the fabric forming method. Fig.

도 2 내지 도 8에는, 노즐(11), 직물(12), 제1 경사(14), 제1 위사(16), 제2 경사(18), 제2 위사(20), 경사(22), 위사(24)가 도시되어 있다.2 to 8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nozzle 11, the fabric 12, the first warp 14, the first weft yarn 16, the second warp yarn 18, the second weft yarn 20, the warp yarns 22, Weft yarn 24 is shown.

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12) 형성 방법은,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하여 경사(22)와, 상기 경사(22)에 수직을 이루는 위사(24)로 이루어진 직물(12)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3차원 프린터로 용융액을 선형으로 토출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직물(12)의 경사(22)(經絲)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경사(22)를 형성하는 상기 용융액이 굳기 이전에, 상기 경사(22)의 상부에서 일정한 이격 높이를 띄워 상기 3차원 프린터로 용융액을 선형으로 토출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직물(12)의 위사(24)(緯絲)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forming a fabric 12 using a 3D printer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ethod of forming a fabric 12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22) of the fabric (12) to be formed by linearly discharging a melt to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Before the melt forming the inclination 22 is harden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ation 22 is raised, and the melt is linearly discharged into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so that the weft 24 to form a weft yarn.

3차원 프린터(미도시)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LA(Polyactic acid), 펠트(felt) 등 열에 의해 용융되는 재질의 조형 재료를 용융하면서 선형으로 용융액을 토출하여 직물(織物)(12)의 직조에 필요한 경사 (經絲)(22), 위사(緯絲) (24) 등의 직사(織絲)를 형성하게 된다. 필라멘트 용융 적층 성형 방식의 3차원 프린터의 경우 상기와 같은 조형 재료를 필라멘트 형태로 제작하고, 이러한 조형용 필라멘트를 3차원 프린터의 헤드에 공급함과 아울러 용융하여 용융액을 토출하게 된다.A three-dimensional printer (not shown) is used to melt a molding material, such as thermoplastic plastic,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LA (polyacetic acid), felt, Such as warp yarns 22 and weft yarns 24, which are necessary for weaving the yarn 12, are formed. In the case of a three-dimensional printer using a filament melt lamination molding method, the molding material as described above is produced in the form of a filament, and the shaping filament is supplied to the head of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and melted to discharge the melt.

펠트는 의복이나 모자 등 의류에 사용되는 천으로서, 펠트 성분을 함유하는 조형 필라멘트를 조형 재료로 하여 3차원 프린터로 직물(12)을 제조하는 경우 의류 제작용 직물(12)로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The felt can be used for clothes such as clothing and hats, and can be utilized as a cloth 12 for producing clothes when a fabric 12 is manufactured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using a molding filament containing a felt component as a molding material .

직물은, 경사와 이에 수직을 이루는 위사가 서로 교차되면서 짜여진 천을 의미하는데, 최근에는 3차원 프린터의 적용분야가 여러 분야로 넓혀 지면서 의류에도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ly to a garment as the application field of a three-dimensional printer is widened to various fields.

본 실시예는 3차원 프린터로 용융액을 선형으로 토출하고 이를 직물(12) 형성용 직사로 활용하여 직물(12)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12) 형성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method of linearly discharging a molten liquid into a three-dimensional printer and forming the fabric 12 by using the same as a direct yarn for forming the fabric 12, and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to 6. A method of forming the fabric 12 using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according to the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12) 형성 방법에 따라 형성된 직물(12)의 평면을 도시하고 있는데, 직물(12)은 복수의 경사(22)와, 이에 수직을 이루는 위사(24)로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 경사(22)와 위사(24)는 서로 직교하는 직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경사(22)는 세로 방향의 직사로, 위사(24)는 가로 방향의 직사로 한정하여 해석해서는 안될 것이다.2 shows a plane of the fabric 12 form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forming the fabric 12 using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rein the fabric 12 has a plurality of warp yarns 22, And a weft yarn 24 is formed.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rp yarns 22 and the weft yarns 24 mean straight yarns which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warp yarns 22 are limited to the straight yarns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will not.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프린터로 용융액을 선형으로 토출하여 직물(12)의 경사(22) 중 일정 간격에 위치한 제1 경사(14)를 형성한다(S100). 직물(12)의 형성을 위하여 경사(22)를 먼저 형성하게 되는데, 형성하고자 하는 직물(12)의 경사(22) 중 일정 간격에 위치한 제1 경사(14)부터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First, as shown in FIG. 3, a melt is linearly discharged into a three-dimensional printer to form a first warp yarn 14 loca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mong the warp yarns 22 of the fabric 12 (S100). The warp yarns 22 are first formed to form the fabric 12 using a three dimensional printer from the first warp yarns 14 located at regular intervals among the warp yarns 22 of the fabric 12 to be formed .

도 3에서 제1 경사(14)에 기재된 숫자는 왼쪽부터 직물(12)의 경사에 순서를 부여하여 경사(22)의 위치에 따라 번호를 기재한 것이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직물(12)의 전체 경사(22) 중 홀수 번째에 위치한 제1 경사(14)를 먼저 형성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2를 참조하면, 일정 간격에 위치하는 1, 4, 7, 10… 번째의 경사(22)를 제1 경사(14)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경사(14)의 선택은 조형용 융융 재료의 재질, 강도 등에 따라 달리 설정할 수 있다.In FIG. 3, the numbers described in the first warp yarns 14 are number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warp yarns 22 by giving an order to the warp yarns of the fabric 12 from the left. Referring to FIGS. 2 and 3,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inclination 14 located at an odd-numbered position among all inclination 22 of the fabric 12 is formed firs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fourth, seventh,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first inclination 22 as the first inclination 14. The selection of the first warp yarns 14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material, strength, and the like of the molding material.

다음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14)를 형성하는 용융액이 굳기 이전에, 제1 경사(14)의 상부에서 일정한 이격 높이를 띄워 3차원 프린터로 용융액을 선형으로 토출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직물(12)의 위사(24) 중 일정 간격에 위치한 제1 위사(16)를 형성한다(S200). 경사(22)와 위사(24)가 서로 결합되어 직물(12)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경사(22)를 형성하는 용융액과, 위사(24)를 형성하는 용융액이 서로 혼합되면서 같이 굳어져야 한다. 따라서, 제1 경사(14)를 형성하고 제1 경사(14)를 형성하는 용융액이 굳기 이전에, 제1 위사(16)를 형성하기 위한 용융액을 토출하여 제1 경사(14)와 제1 위사(16)의 교차부에서 융용액이 서로 합쳐지면서 굳어지도록 한다(도 9 참조). Next, as shown in Fig. 4, before the melt forming the first warp yarn 14 is hardened, a certain distance is raised from the top of the first warp yarn 14 and the melt is linearly discharged into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A first weft yarn 16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mong the weft yarns 24 of the fabric 12 to be formed at step S200. In order for the warp yarns 22 and the weft yarns 24 to be joined to each other to form the fabric 12, the melt forming the warp yarns 22 and the melt forming the weft yarns 24 should be mixed together and hardened. Therefore, before the melt forming the first warp yarns 14 and forming the first warp yarns 14 are hardened, the melt for forming the first weft yarns 16 is discharged to form the first warp yarns 14 and the first weft yarns 14, (See Fig. 9).

한편, 제1 경사(14)의 상부에서 일정한 이격 높이를 띄운 상태에서 제1 위사(16)의 형성을 위한 용융액을 토출하여 제1 위사(16)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경사(22)를 형성하기 위한 용융액이 토출된 상태에서 동일한 높이에 3차원 프린터의 노즐(11)을 이동시켜 위사(24)를 형성하게 되면 이미 출력된 경사(22)에 노즐(11)이 닿을 수 있다. 따라서, 노즐(11)을 경사(22)의 상부에서 일정한 높이를 띄운 상태에서 용융액을 토출하여 경사(22)를 형성하게 되는데, 너무 높게 띄우면 위사(24)를 형성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토출되는 용융액이 이미 형성된 경사(22)용 용융액에 접착되면서 노즐(11)의 이동에 따라 토출되는 용융액을 잡아당겨 용융액의 두께가 얇아 지면서 원하는 두께의 위사(24)를 형성할 수 없다. 실험에 따르면, 이격 높이(h)는 3차원 프린터의 노즐(11)의 토출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였다. 즉, 경사(22)의 최상단과 노즐(11)의 선단 사이의 이격 높이를 노즐(11)의 토출 직경보다 작게 유지한 상태에서 노즐(11)에서 위사(24)를 토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노즐(11)의 토출직경이 0.3mm인 경우, 이격 높이는 0.1mm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first weft yarn 16 is formed by discharging the melt for forming the first weft yarn 16 in a state where a predetermined gap height is provided on the first inclined yarn 14. 8, when the weirs 24 are formed by moving the nozzles 11 of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at the same height in a state in which the melt for forming the warp yarns 22 is discharged, The nozzle 11 can be contacted. The molten liquid is continuously discharged to form the weft yarn 24. When the weft yarn 24 is excessively raised, the molten liquid is continuously discharged to form the weft yarn 24. In this case, It is not possible to form the weft yarn 24 having a desired thickness because the thickness of the melt is reduced by pulling the melt discharged by the movement of the nozzle 11 while being adhered to the melt for the inclined yarn 22 already form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 the spacing height h wa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discharge diameter of the nozzle 11 of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That is, the weft yarn 24 is discharged from the nozzle 11 in a state where the height of the gap between the uppermost end of the warp yarn 22 and the tip end of the nozzle 11 is kept smaller than the discharge diameter of the nozzle 11.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discharge diameter of the nozzle 11 is 0.3 mm,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ing height is maintained at about 0.1 mm.

그리고, 제1 경사(14)의 형성 방식과 마찬가지로, 형성하고자 하는 직물(12)의 위사(24) 중 일정 간격에 위치한 제1 위사(16)를 형성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직물(12)의 전체 위사(24) 중 홀수 번째에 위치한 제1 위사(16)를 먼저 형성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2를 참조하면, 일정 간격에 위치하는 1, 4, 7, 10… 번째의 위사(24)를 제1 위사(16)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위사(16)의 선택은 조형용 융융 재료의 재질, 강도 등에 따라 달리 설정할 수 있다.A first weft yarn 16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weft yarns 24 of the fabric 12 to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of forming the first warp yarns 14. 2 and 4,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weft yarn 16 located at an odd-numbered position among the entire weft yarns 24 of the fabric 12 is formed firs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fourth, seventh, Th weft yarn 24 may be formed as the first weft yarn 16. [ The selection of the first weft yarn 16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material, strength, and the like of the molding material.

제1 경사(14)와 수직을 이루도록 직교 상으로 제1 위사(16)를 형성하면, 제1 경사(14)와 제1 위사(16)의 교차점에서 두 용융액이 합쳐지면서 굳어져 격자 상의 직물(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로 직물(12)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first warp yarns 16 are formed orthogonal to the first warp yarns 14 at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warp yarns 14 and the first weft yarns 16, 12 may be formed. It is also possible to utilize the fabric 12 directly in this state.

다음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사(16)를 형성하는 용융액이 굳기 이전에, 제1 위사(16)의 상부에서 일정한 이격 높이를 띄워 상기 3차원 프린터로 용융액을 선형으로 토출하여 제1 경사(14) 사이에 제2 경사(18)를 형성한다(S400). 상기와 마찬 가지로, 제1 위사(16)를 형성하는 용융액이 굳기 이전에 다시 제2 경사(18)를 형성하게 되는데, 제2 경사(18)는 이미 형성되는 제1 경사(14) 사이에 3차원 프린터로 용융액을 선형으로 토출하여 형성하게 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직물(12)의 전체 경사(22) 중 홀수 번째에 위치하는 제1 경사(14)를 먼저 형성한 이후에 제1 경사(14) 사이에 짝수 번째에 위치하는 제2 경사(18)를 형성하였다. 제1 경사(14)와 제2 경사(18)는 최종적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직물(12)의 전체 경사(22)를 형성하게 된다. Next, as shown in FIG. 5, before the melt forming the first weft yarn 16 is harden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weft yarn 16 is floated to linearly discharge the melt to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Thereby forming a second warp yarn 18 between the first warp yarns 14 (S400). As described above, before the melt forming the first weft yarn 16 hardens, a second warp yarn 18 is formed again. The second warp yarns 18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warp yarns 14 already formed And the molten liquid is linearly discharged into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2 and 5, in this embodiment, after the first inclination 14 located at the odd-numbered position among the overall inclination 22 of the fabric 12 is formed first, the first inclination 14 is formed between the first inclination 14 and the even- The second inclination 18 is formed. The first warp yarns 14 and the second warp yarns 18 form the overall warp yarns 22 of the fabric 12 to be finally formed.

제1 경사(14)를 형성한 이후에 제1 위사(16)를 형성하고 다시 제2 경사(18)를 형성하는 이유는 직물(12)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제1 경사(14)와 제2 경사(18) 사이에 제1 위사(16)가 위치하여 교차점에서 서로 합쳐지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직물(12)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The reason for forming the first weft yarn 16 after forming the first warp yarns 14 and forming the second warp yarns 18 again is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weft yarns 12, Since the first weft yarns 16 are located between the second warp yarns 18 and joined together at the intersections, the strength of the fabric 12 can be increased.

제1 위사(16)의 형성 과정과 마찬가지로, 제2 경사(18)의 형성과정에서도 제1 위사(16)의 상부에서 일정한 이격 높이를 띄운 상태에서 제2 경사(18)의 형성을 위한 용융액을 토출하여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warp yarn 18, the melt for forming the second warp yarn 18 in a state in which the uniform clearance height is raised above the first weft yarn 16, So that it can be formed by discharging

다음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경사(18)를 형성하는 상기 용융액이 굳기 이전에, 제2 경사(18)의 상부에서 일정한 이격 높이를 띄워 3차원 프린터로 용융액을 선형으로 토출하여 제1 위사(16) 사이에 제2 위사(20)를 형성한다(S400). 제2 경사(18)를 형성하는 용융액이 굳기 이전에 다시 제2 위사(20)를 형성하게 되는데, 제2 위사(20)는 이미 형성된 제1 위사(16) 사이에 3차원 프린터로 용융액을 선형으로 토출하여 형성하게 된다. 도 2 및 도 6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직물(12)의 전체 경사(22) 중 홀수 번째에 위치한 제1 위사(16)를 먼저 형성한 이후에 제1 위사(16) 사이에 짝수 번째에 위치하는 제2 위사(20)를 형성하였다. 제1 위사(16)와 제2 위사(20)는 최종적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직물(12)의 전체 위사(24)를 형성하게 된다. Next, as shown in Fig. 6, before the melt forming the second warp yarn 18 is hardened, a certain height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warp yarn 18 and the melt is linearly discharged to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Thereby forming a second weft yarn 20 between the first weft yarns 16 (S400). The melt forming the second warp yarn 18 forms a second weft yarn 20 again before hardening and the second weft yarn 20 forms a linear melt between the first weft yarns 16 already formed with a three- As shown in Fig. 2 and 6, in this embodiment, after the first weft yarn 16 located at the odd-numbered positions among the entire warp yarns 22 of the fabric 12 is formed first, Thereby forming a second weft yarn 20 positioned in the second weft yarn 20. The first weft yarn 16 and the second weft yarn 20 form the entire weft yarn 24 of the fabric 12 to be finally formed.

전체 위사(24)를 제1 위사(16)와 제2 위사(20)로 나누어 형성하는 이유는 두 위사(16, 20) 사이에 제1 경사(14)가 위치하면서 교차점에서 서로 합쳐지면서 직물(12)의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제2 위사(20)의 형성과정에서도 제2 경사(18)의 상부에서 일정한 이격 높이를 띄운 상태에서 제2 위사(20)의 형성을 위한 용융액을 토출하여 형성하게 된다.The reason for dividing the entire weft yarn 24 by the first weft yarn 16 and the second weft yarn 20 is that the first warp yarns 14 are located between the two weft yarns 16 and 20 and are joined together at the intersections, 12) can be increased. Even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weft yarn 20, the melt is formed by discharging the melt for forming the second weft yarn 20 in a state in which a constant spacing height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warp yarn 18. [

도 6은 제1 경사(14), 제1 위사(16), 제2 경사(18), 제2 위사(20)가 구분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3차원 프린터에서 융용액이 토출되면 경사(22)와 위사(24)의 교차점에 서로 합쳐지면서 굳어져 최종적으로 경사(22)와 위사(24)를 갖는 직물(12)이 형성되게 된다.6 shows the first weft yarn 14, the first weft yarn 16, the second weft yarn 18, and the second weft yarn 20. However, when the melt is discharged from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And the weft yarn 24, and finally the fabric 12 having the warp yarns 22 and the weft yarns 24 is form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1: 노즐 12: 직물
14: 제1 경사 16: 제1 위사
18: 제2 경사 20: 제2 위사
22: 경사 24: 위사
11: nozzle 12: fabric
14: first warp 16: first weft
18: 2nd warp 20: 2nd weft
22: Slope 24: Weft

Claims (5)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하여 경사와, 상기 경사에 수직을 이루는 위사로 이루어진 의류 제작용 직물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3차원 프린터로 용융액을 선형으로 토출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직물의 경사(經絲)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경사를 형성하는 상기 용융액과 상기 위사를 형성하는 상기 용융액이 혼합되도록 상기 경사를 형성하는 상기 용융액이 굳기 이전에, 상기 경사의 상부에서 일정한 이격 높이를 띄워 상기 3차원 프린터로 용융액을 선형으로 토출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직물의 위사(緯絲)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직물의 경사를 형성하는 단계는,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직물의 전체 경사 중 일정 간격에 위치한 제1 경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사를 형성하는 단계는,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직물의 전체 위사 중 일정 간격에 위치한 제1 위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사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경사를 형성하는 상기 용융액과 상기 위사를 형성하는 상기 용융액이 혼합되도록 상기 제1 위사를 형성하는 상기 용융액이 굳기 이전에, 상기 제1 위사의 상부에서 일정한 이격 높이를 띄워 상기 3차원 프린터로 용융액을 선형으로 토출하여 제1 경사 사이에 제2 경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경사를 형성하는 상기 용융액과 상기 위사를 형성하는 상기 용융액이 혼합되도록 상기 제2 경사를 형성하는 상기 용융액이 굳기 이전에, 상기 제2 경사의 상부에서 일정한 이격 높이를 띄워 상기 3차원 프린터로 용융액을 선형으로 토출하여 제1 위사 사이에 제2 위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 형성 방법.
CLAIMS 1. A method of forming a garment fabric comprising a warp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and a weft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warp,
Linearly discharging the molten liquid into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to form a yarn of the fabric to be formed;
The molten liquid forming the inclination is mixed with the molten liquid forming the weft, and the molten liquid forming the inclination is flo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ation before the melt is hardened, Forming a weft of the fabric to be formed,
The step of forming the warp of the fabric comprises:
Forming a first inclination located at a predetermined spacing of the entire inclination of the fabric to be formed,
Wherein forming the weft yarn comprises:
Forming a first weft located at a predetermined spacing among the total wefts of the fabric to be formed,
After the step of forming the first weft,
The melt forming the warp yarn is mixed with the melt forming the weft yarn before the melt forming the first weft yarn is hardened, a constant separation height is floated from the top of the first weft yarn, To form a second warp yarn between the first warp yarns;
The molten liquid forming the warp yarn is mixed with the melt forming the weft yarn before the melt forming the second warp yarn is hardened, a constant height is spac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warp yarn, To form a second weft between the first weft yarns. ≪ Desc / Clms Page number 19 >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높이는 상기 3차원 프린터의 노즐의 토출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 형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paration height is smaller than the discharge diameter of the nozzle of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액은,
펠트(felt)를 포함하는 물질을 용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직물 형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lten liquid,
A method of forming a fabric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is formed by melting a substance including a felt.
KR1020170013785A 2017-01-31 2017-01-31 Method for forming textile using 3 dimensional printer KR1018543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785A KR101854333B1 (en) 2017-01-31 2017-01-31 Method for forming textile using 3 dimensional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785A KR101854333B1 (en) 2017-01-31 2017-01-31 Method for forming textile using 3 dimensional prin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333B1 true KR101854333B1 (en) 2018-05-03

Family

ID=62244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785A KR101854333B1 (en) 2017-01-31 2017-01-31 Method for forming textile using 3 dimensional pri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33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3460A (en) * 2019-04-27 2019-08-09 北京化工大学 A kind of fabric 3D printing equipment and its processing method
KR102399961B1 (en) 2021-07-06 2022-05-1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Auxetic Pattern Elastic Structure Using 3D Printing Mechanic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3769A (en) * 2013-05-17 2014-12-04 東レ・デュポン株式会社 Laminated mold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15057546A1 (en) * 2013-10-16 2015-04-23 Huyck Licensco, Inc. Fabric formed by three-dimensional printing process
KR20150097087A (en) * 2014-02-18 2015-08-26 한국기계연구원 Fabrication method of hybrid scaffold and the scaffold made by the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3769A (en) * 2013-05-17 2014-12-04 東レ・デュポン株式会社 Laminated mold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15057546A1 (en) * 2013-10-16 2015-04-23 Huyck Licensco, Inc. Fabric formed by three-dimensional printing process
KR20150097087A (en) * 2014-02-18 2015-08-26 한국기계연구원 Fabrication method of hybrid scaffold and the scaffold made by the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3460A (en) * 2019-04-27 2019-08-09 北京化工大学 A kind of fabric 3D printing equipment and its processing method
KR102399961B1 (en) 2021-07-06 2022-05-1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Auxetic Pattern Elastic Structure Using 3D Printing Mechanic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333B1 (en) Method for forming textile using 3 dimensional printer
US4312261A (en) Apparatus for weaving a three-dimensional article
EP1567322B1 (en) Three dimensional tomographic fabric assembly
KR101826024B1 (en) Nozzle for materials extrusion type 3d printer
EP0830930A1 (en) Molded surface fastener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ember
EP2899018B1 (en) Thermoplastic resin reinforcing sheet material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CN107428033B (en) Sheet-like reinforcing fiber base material, preform, and fiber-reinforced resin molded article
RU2734874C2 (en) Raschel machine, mesh and application of raschel machine for making mesh
KR100598449B1 (en) Method for producing multiaxial warp knit fabric
CN101247940B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a reinforcement for composite material with a variable resistance profile, reinforcement obtained
CN105619817A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by means of additive manufacturing
KR20180048631A (en) Multilayer woven fabric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CN111051587B (en) Reed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1674546B1 (en) Textile Manufacturing System Using 3D Prin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extile Using the Same
JP2012096475A (en) Reinforcement fiber base material, preform of reinforcement fiber composite material, and reinforcement fiber composite material
KR101887366B1 (en) Method for forming knitting module and method for forming knitting having the same
US20190062964A1 (en) Knitted Spacer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220157173A (en) Weaving method
CN217099747U (en) Children car seat
KR102139726B1 (en) 3d printer having adhesive coating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8184678A (en) Cold-proof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085137B2 (en) Fiber-reinforced plastic pultrusion method
US3616131A (en) Fabricated thermoplastic sheet materials for the interconnection of lamellar bodies
EP3888905B1 (en) Sheet-shaped reinforced-fiber bas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9702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ce Type 3D Printed Text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