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960B1 - 미디어 단말 및 이의 환경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미디어 단말 및 이의 환경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960B1
KR101853960B1 KR1020160060360A KR20160060360A KR101853960B1 KR 101853960 B1 KR101853960 B1 KR 101853960B1 KR 1020160060360 A KR1020160060360 A KR 1020160060360A KR 20160060360 A KR20160060360 A KR 20160060360A KR 101853960 B1 KR101853960 B1 KR 101853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setting
portable terminal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533A (ko
Inventor
김정규
Original Assignee
(주)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맥스 filed Critical (주)휴맥스
Priority to KR1020160060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960B1/ko
Priority to US15/478,642 priority patent/US20170339244A1/en
Publication of KR20170129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04N21/4220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20Binding and programming of remote control devices
    • G08C2201/21Programming remote control devices via third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미디어 단말 및 이의 환경 설정 방법이 개시된다. 미디어 단말은 휴대 단말과 연결되며,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의 내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환경 설정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환경 설정부는 상기 수신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 환경 설정 중 하나로서 사용자 계정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사용자 계정은 상기 초기 환경 설정의 완료 후 상기 사용자를 위해 제공되는 개인화 정보 또는 서비스와 매칭 가능하다.

Description

미디어 단말 및 이의 환경 설정 방법{Media device and configu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미디어 단말 및 이의 환경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셋탑 박스의 제어를 위해 현재는 일반적으로 리모트 컨트롤이 주로 이용된다. 리모트 컨트롤은 셋탑 박스의 제어를 위한 입력 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은 채널 제어 또는 오디오 제어 등에 이용하기에는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셋탑 박스의 기능 선택 또는 특정 환경 설정을 위한 문자 입력에는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셋탑 박스는 그 특성상 최초 설치시 많은 환경을 설정해야 하는데, 이때 리모트 컨트롤의 입력으로는 제약이 많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내부 정보를 이용하여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미디어 단말 및 이의 환경 설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시, 사용자의 입력을 최소화하여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미디어 단말 및 이의 환경 설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미디어 단말은 휴대 단말과 연결되며,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의 내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환경 설정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환경 설정부는 상기 수신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 환경 설정 중 하나로서 사용자 계정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사용자 계정은 상기 초기 환경 설정의 완료 후 상기 사용자를 위해 제공되는 개인화 정보 또는 서비스와 매칭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미디어 단말은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설정 정보들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설정 정보들의 공통 정보 또는 취합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환경 설정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내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내부 정보 중 미디어 단말의 초기 환경 설정을 위해 사용될 내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미디어 단말과 통신 접속시 상기 획득된 설정 정보를 상기 미디어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설정 정보 중 일부는 상기 미디어 단말의 사용자 계정 설정과 관련된 정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미디어 단말에서의 환경 설정 방법은 휴대 단말의 통신 접속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내부 정보 중 상기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을 위해 사용될 설정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단말의 초기 환경 설정 중 적어도 일부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획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 환경 설정 중 하나로서 사용자 계정이 설정되며, 상기 설정된 사용자 계정은 상기 초기 환경 설정의 완료 후 상기 사용자를 위해 제공되는 개인화 정보 또는 서비스와 매칭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셋탑 박스는 휴대 단말과 연결되며,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의 내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환경 설정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초기 환경 설정은 언어 설정, 국가 설정, 시간 설정 및 계정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단말 및 이의 환경 설정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휴대 단말의 내부 정보를 이용하여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시, 사용자의 입력을 최소화하여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을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룸 환경에서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휴대 단말이 하나의 미디어 단말에 접속하는 경우, 미디어 단말의 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을 갱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내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셋탑 박스 등의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거나 변경 또는 갱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입력이 불편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일일이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을 위한 설정 정보의 입력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을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휴대 단말(110)과 미디어 단말(120)을 포함한다.
휴대 단말(110)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전자 장치로,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등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한다는 관점에서 사용자 단말로 명명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은 휴대 단말(110)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휴대 단말(110)은 미디어 단말(120)과 통신 접속시 해당 휴대 단말(110) 내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선별/선별 및 가공하여 설정 정보로서 미디어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정보는 예를 들어, 국가 정보/지역 정보, 시간 정보, 언어 정보 및 유튜브(YouTube) 등에 대한 사용자 계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별도로 설명되고 있지 않으나, 휴대 단말(110)은 자신의 내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에 필요한 설정 정보로 선택하고 전송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10)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내부 정보 중 일부를 설정 정보로서 미디어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 단말(110)은 미디어 단말(120)에 부착된 태그를 태깅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도 있으며, 미디어 단말(120)에 최초 접속시 미디어 단말(12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위한 접속 정보를 제공받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도 있다. 물론, 휴대 단말(110)은 휴대 단말(110) 내부에 설치된 앱 스토어 등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휴대 단말(110)이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는 의미는 해당 앱이 휴대 단말(110)에 실행된 상태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 정보가 전송되는 것으로 확장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미디어 단말(120)은 실시간 프로그램, 주문형 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예를 들어 셋탑 박스(Set-top box, STB) 또는 셋탑 박스가 내장된 텔레비전 등의 방송 수신 장치일 수 있다. 이외에도 미디어 단말(120)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주문형 방송 프로그램(VOD) 등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즉, 미디어 단말(200)은 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는 한 제한이 없다.
또한, 미디어 단말(120)은 휴대 단말(110)의 통신 접속에 따라 휴대 단말(110)로부터 내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설정 정보로서 획득한 후, 이를 기반으로 해당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 중 적어도 일부를 설정하거나, 환경 설정을 변경 또는 갱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을 설정한다는 의미는 최초 미디어 단말(120)이 설치되는 시점에 각 국가 또는 지역마다 상이한 특성에 따라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을 설정하는 것과 미디어 단말(120)에 기본적인 환경 설정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 중 일부를 변경하거나 미디어 단말(120)의 기능 갱신에 따라 환경 설정 중 일부를 갱신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미디어 단말(120)이 휴대 단말(110)과 연동되어 환경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210에서 휴대 단말(110)은 내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고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10)은 휴대 단말(110)의 내부 정보들 중 일부를 USIM 또는 내장 메모리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내부 정보의 포맷을 미디어 단말(120)에 요구하는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 정보로는 예를 들어, 휴대 단말(110)의 USIM을 기반으로 한 국가 정보 또는 지역 정보이거나, 휴대 단말(110) 내부에 설정된 시간 정보, 휴대 단말(110) 내부에 저장된 사용자 계정 정보, 사용자 전화번호, 사용자 이름, 휴대 단말(110)의 시리얼 번호(SERIAL NUMBER)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10)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 수행을 위해 필요한 휴대 단말(110)의 내부 정보들을 추출한 후 이를 가공할 수도 있다.
단계 215에서 휴대 단말(110)은 미디어 단말(120)과의 통신 접속에 따라 상기 내부 정보를 설정 정보로서 미디어 단말(120)에 미리 전송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110)은 미디어 단말(120)과 통신 접속이 완료되면, 설정 정보를 미디어 단말(120)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미디어 단말(120)과 통신 접속을 시도하는 통신 채널 설정 과정에서 설정 정보를 미디어 단말(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미디어 단말(120)과의 통신 접속이 완료되지 않은 시점에, 즉 통신 채널 설정 과정 중에 설정 정보를 미디어 단말(120)로 전송하는 경우, 휴대 단말(110)은 설정 정보를 암호화하여 미디어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미디어 단말(120)은 휴대 단말(110)과의 통신 채널 설정 과정이 완료된 후 휴대 단말(110)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암호화된 설정 정보를 복호하여 이용할 수 있다. 암호화 방식은 공개키/비공개키를 이용한 방식, 휴대 단말(110)의 단말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한 압축 방식 등과 같이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10)과 미디어 단말(12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동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휴대 단말(110)과 미디어 단말(120)이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110)이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미디어 단말(120)과 연결되는 경우, 휴대 단말(110)은 내부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를 설정 정보로서 미디어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미디어 단말(120)은 휴대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 중 적어도 일부를 설정한다.
단계 225에서 미디어 단말(120)은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환경 설정에 필요한 추가 설정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230에서 미디어 단말(120)은 획득된 추가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 중 나머지 환경 설정을 완료한다.
단계 225 내지 230은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휴대 단말(110)의 내부 정보 중 일부를 이용하여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 과정이 모두 완료될 수 있는 경우, 단계 225 내지 단계 230은 미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디어 단말(120)은 휴대 단말(110)의 내부 정보를 이용하여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함으로써, 불편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일일이 환경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최소화하여 편리하게 환경 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110)의 내부 정보를 기반으로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 중 적어도 일부를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각 국가 또는 지역마다 상이한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을 휴대 단말(110)의 내부 정보 중 국가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각 국가 특성에 맞도록 설정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치 정보, 즉 휴대 단말(110)의 위치 정보에 따라 내부 정보가 달라지고, 상기 내부 정부가 미디어 단말(120)로 전송되어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한국에 있을 때는 한국어가 미디어 단말(120)의 기본 언어로 설정되고, 미국에 있을 때는 영어가 미디어 단말(120)의 기본 언어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휴대 단말(110)을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이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환경 설정이 현실적으로 유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은 휴대 단말(110)을 이용하지 않고 미디어 단말(120) 자체에서 초기 설정이 완료된 후 휴대 단말(110)을 이용하여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을 변경하거나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지만, 환경 설정 중 언어 설정 등과 같이 특별히 변하지 않는 환경 설정의 항목은 미디어 단말(120)의 초기 환경 설정시 설정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주 변하게 되는 항목은 미디어 단말(120)의 초기 설정 후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위에서는 휴대 단말(110)을 이용하여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을 설정하는 사용자의 제한에 대하여 언급하지 않았지만,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또는 미디어 단말(120)이 지정될 수 있으며, 지정된 사용자 또는 미디어 단말(120) 외에는 어떠한 사용자나 미디어 단말도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을 변경할 수 없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지정은 미디어 단말(120)의 주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는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단말(120)의 초기 환경 설정을 설정하게 한 설정 정보를 전송한 최초의 휴대 단말(110)이 마스터 단말로 결정되고, 초기 환경 설정 후 미디어 단말(120)의 초기 환경 설정 변경은 마스터 단말 외의 다른 단말에 의해서는 불가능하거나 마스터 단말의 허락이 있을 경우에만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초기 환경 설정 외의 다른 설정은 마스터 단말 외의 단말에서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마스터 단말을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미디어 단말(120)의 초기 환경 설정에 기여한 휴대 단말(110)로 마스터 단말로 결정하는 방법 외에도 임의의 휴대 단말을 마스터 단말로 사용자가 지정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즉 마스터 단말을 결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 방법에 대한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살펴보겠다.
제 1 실시예로서, 미디어 단말(120)이 방송 수신 장치인 경우에는, 언어, 국가, 시간 등의 일반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용자 정보가 설정 정보로서 휴대 단말(110)로부터 수신하고, 미디어 단말(120)은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일반 정보와 관련된 초기 환경 설정과 상기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초기 환경 설정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반 정보와 관련된 초기 환경 설정은 언어, 국가, 시간 등에 관한 설정이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초기 환경 설정은 미디어 단말(120)의 사용자 계정 등일 수 있다.
즉, 휴대 단말(110)이 언어, 국가, 시간, 사용자 전화번호(또는 사용자 이름, 시리얼 번호 등)을 미디어 단말(120)로 전송하면, 미디어 단말(120)은 초기 설정으로서 언어, 국가, 시간 등을 설정하면서 사용자 전화번호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계정은 컨텐츠 추천, 시청 제한, 선호 프로그램, 개인화된 메뉴, 녹화물, SNS 등과 같은 개인화된 정보 또는 서비스와 매칭 가능하도록 프로그램된 미디어 단말(120)에서의 계정이고, 휴대 단말(110)의 내부 정보로서 개인 계정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110)에서 이용한 웹사이트 등의 계정(아이디, 비밀번호 등)을 의미한다.
제 2 실시예로서, 특정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설정 정보에 따라 미디어 단말(120)이 초기 환경 설정을 설정(사용자 계정 생성도 포함)한 후 다른 휴대 단말들이 미디어 단말(120)과 연결되면, 미디어 단말(120)은 다른 휴대 단말들이 접속 및 정보 전송에 따라 초기 환경 설정은 변경시키지 않고 다른 휴대 단말들에 해당하는 사용자 계정들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초기 환경 설정은 최초로 접속한 휴대 단말 또는 마스터 단말에 의해서만 수행되고, 추후 접속하는 휴대 단말들에 대하여는 사용자 계정들만이 생성될 수도 있다. 물론, 다른 휴대 단말들은 초기 환경 설정 외의 설정에 대하여는 추가로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는 있다.
다른 예로는, 복수의 휴대 단말들이 미디어 단말(120)에 접속할 수도 있으며, 미디어 단말(120)은 특정 휴대 단말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환경 설정을 설정하고 접속한 모든 휴대 단말들의 사용자 계정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로서, 휴대 단말(110)은 사용자가 웹사이트 접속, 영상 시청, 선호 프로그램 접속 등의 이력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고, 설정 정보에 상기 획득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언어, 국가 등의 정보와 함께 포함시켜서 미디어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디어 단말(120)은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초기 환경 설정을 설정하되, 상기 초기 환경 설정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와 관련된 환경 설정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단말(120)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프로그램 추천, 시청 제한, 선호 채널 리스트 생성 등과 관련된 환경 설정을 설정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로서, 미디어 단말(120)은 특정 항목들(예를 들어, 언어, 국가, 전화번호, 시간, 유튜브 계정)에 대한 정보를 설정 정보로서 휴대 단말(110)에 요청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110)은 미디어 단말(120)의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항목들을 내부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검색 결과 특정 항목들 중 일부(예를 들어, 언어, 국가, 전화번호, 시간)에 대하여만 검색되고, 일부 항목(유튜브 계정)에 대하여는 검색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110)은 검색된 항목들을 설정 정보로서 미디어 단말(120)에 전송하되, 검색되지 않은 일부 항목(유튜브 계정)은 휴대 단말(110) 또는 미디어 단말(120)의 요청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미디어 단말(120)로 전송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미디어 단말(120)은 휴대 단말(110) 및 외부 기기의 정보를 취합하여 전체 특정 항목들(언어, 국가, 전화번호, 시간, 유튜브 계정)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취합 정보로서 전체 특정 항목들(언어, 국가, 전화번호, 시간, 유튜브 계정)을 이용하여 초기 환경 설정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미디어 단말(120)은 휴대 단말(110)에서 전송된 설정 정보 외에 다른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초기 환경 설정을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외부 단말로부터의 전송없이 휴대 단말(110)에서 전송한 설정 정보만을 이용하여 초기 환경 설정을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위에서는 미디어 단말(120)이 특정 항목들을 지정하여 휴대 단말(110)에 설정 정보를 요청하였으나, 미디어 단말(120)은 단순히 설정 정보의 요청만을 휴대 단말(110)로 전송하고 휴대 단말(110)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특정 항목들을 휴대 단말(110) 내에서 추출할 수도 있다.
제 5 실시예로서, 미디어 단말(120)은 휴대 단말(110)로부터 전송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환경 설정을 설정한 후 상기 설정 정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설정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 정보는 미디어 단말(120) 내에 저장될 수도 있고 외부 클라우드 서버 등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제 6 실시예로서, 휴대 단말(110)과 관련된 설정 정보가 휴대 단말(110)로부터 미디어 단말(120)로 전송되는 것이 아닌, 휴대 단말(110)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타 기기(휴대 단말(110)의 사용자가 가진 다른 기기,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버 등)로부터 미디어 단말(120)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룸 환경에서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같은 멀티룸 환경을 가정하면, 중앙에 호스트 미디어 단말(310)이 위치하고 있으며, 각각의 룸에 서브 미디어 단말(315)이 각각 위치하고 있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경우, 호스트 미디어 단말(310)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필수 설정 정보를 각 서브 미디어 단말(315)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각 서브 미디어 단말(315)이 호스트 미디어 단말(310)에 접속하여 필수 설정 정보를 획득해 올 수도 있다.
서브 미디어 단말(315)은 호스트 미디어 단말(310)에서 획득한 필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서브 미디어 단말(315)에 대한 기본적인 환경 설정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룸의 서브 미디어 단말(315)이 호스트 미디어 단말(310)의 환경 설정 정보를 기초로 초기 환경 설정이 완료된 이후, 각각의 룸에 각기 다른 사용자가 위치한 경우 각 룸의 서브 미디어 단말(315)은 각각의 룸에 위치한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로부터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기반으로 환경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룸에는 프랑스 국적의 손님(제 1 사용자라 칭하기로 함)이 위치해 있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경우, 제 1 사용자는 자신이 휴대한 휴대 단말(편의상 제 1 휴대 단말이라 칭하기로 함)로부터 국가 정보를 제 1 서브 미디어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제 1 서브 미디어 단말이 프랑스어로 표시되도록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1 사용자는 자신의 제 1 휴대 단말로부터 국가 정보 이외에도 자신의 유튜브 계정 등과 같은 사용자 계정을 제 1 서브 미디어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서브 미디어 단말은 제 1 사용자의 제 1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계정을 별도로 저장/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사용자가 유튜브나 기타 SNS에 접속을 원하는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불편하게 사용자 계정을 입력하는 절차 없이, 제 1 서브 미디어 단말에 저장/관리되는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손쉽게 접속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제 2 룸에는 10대 청소년(편의상 제 2 사용자라 칭하기로 함)이 위치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제 2 룸에 위치한 제 2 서브 미디어 단말은 제 2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제 2 휴대 단말)로부터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서브 미디어 단말은 제 2 휴대 단말로부터 획득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서브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 중 적어도 일부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 주채널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 2 서브 미디어 단말은 설정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전 차단할 프로그램(시청 제한) 또는 허용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 2 서브 미디어 단말은 설정 정보 중 사용자 계정을 기반으로 제 2 사용자가 접속할 어플리케이션 또는 SNS의 사용자 계정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별도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로그인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멀티룸 환경의 경우, 각 룸에 위치한 서브 미디어 단말은 호스트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초기 환경 설정을 수행한 후 각 룸에 위치한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환경 설정 중 적어도 일부를 변경 또는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멀티룸 환경을 가정하고 있으나, 멀티룸 환경 이외에도, 유스호스텔이나 호텔 등에서도 각 룸에 위치한 미디어 단말에 대해서도 도 3에서 설명한 환경 설정 수행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멀티룸 환경에서, 호스트 미디어 단말(310) 또는 각 서브 미디어 단말(315)은 미디어 단말로의 접근이 허락된 단말 정보가 사전 등록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각 룸에 위치한 서브 미디어 단말(315)은 임의의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이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 단말 정보가 접근이 허락된 단말 정보가 아닌 경우,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접근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서브 미디어 단말(315)에 근접 위치한 경우에만 해당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부터 설정 정보를 획득하여 서브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거나 환경 설정 중 적어도 일부를 변경 또는 갱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각 서브 미디어 단말(315)은 호스트 미디어 단말(310)의 초기 설정 없이 해당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내부 정보에 기초하여 환경 설정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휴대 단말이 하나의 미디어 단말에 접속하는 경우, 미디어 단말의 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도 4에서는 두명의 사용자가 하나의 미디어 단말에 접속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410에서 미디어 단말(120)은 제 1 사용자가 소지한 제 1 휴대 단말로부터 설정 정보(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제 1 설정 정보라 칭하기로 함)를 획득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미디어 단말(120)은 제 1 휴대 단말과 블루투스 페어링과 같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제 1 휴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 1 설정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단계 415에서 미디어 단말(120)은 제 2 사용자가 소지한 제 2 휴대 단말로부터 설정 정보(이하, 제 2 설정 정보라 칭하기로 함)를 획득한다.
단계 420에서 미디어 단말(120)은 제 1 설정 정보와 제 2 설정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공통되는 공통 설정 정보와 상이한 설정 정보를 선별한다.
이어, 단계 425에서 미디어 단말(120)은 복수의 휴대 단말에서 공통적으로 선별된 공통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거나 변경 또는 갱신한다.
단계 430에서 미디어 단말(120)은 상이한 설정 정보는 각 항목별로 출력한 후 환경 설정을 위한 반영 여부를 선택받는다.
단계 435에서 미디어 단말(120)은 상이한 설정 정보 중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을 위해 반영하도록 선택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환경 설정 중 일부를 수행하거나 변경 또는 갱신한다.
물론, 구현 방법에 따라 상이한 설정 정보는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에 반영하지 않고 폐기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하나의 미디어 단말(120)에 복수의 사용자가 위치하는 경우, 미디어 단말(120)은 복수의 사용자가 소지한 각 휴대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선택된 휴대 단말로부터 기본 설정 정보를 획득하여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을 설정, 갱신 또는 변경할 수도 있다.
이때, 미디어 단말(120)은 복수의 휴대 단말 중 휴대 단말의 신호 세기, 사전 등록된 휴대 단말별 우선 순위 등을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휴대 단말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을 갱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미디어 단말의 업데이트에 따라 휴대 단말(110)과 연동되어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 중 일부를 갱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510에서 미디어 단말(120)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미도시)로부터 신규 기능을 다운로드받아 업데이트한다.
단계 515에서 미디어 단말(120)은 당해 미디어 단말(120)의 업데이트에 따른 업데이트 사항을 휴대 단말(11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미디어 단말(120)은 휴대 단말(110)과의 통신 접속시 업데이트 사항을 휴대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미디어 단말(120)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저장하는 경우, 미디어 단말(120)의 업데이트 사항은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휴대 단말(110)로 미디어 단말(120)의 업데이트 정보가 전달될 수도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110)은 미디어 단말(120)의 업데이트 정보에 따라 휴대 단말(110)의 내부 정보 중 추가적인 설정 정보를 추출하여 미디어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미디어 단말(120)은 휴대 단말(110)로부터 추가적인 설정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미디어 단말(120)의 업데이트 사항이 유튜브 설치라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경우, 휴대 단말(110)은 당해 휴대 단말(110)의 내부 정보 중 유튜브 계정을 추가적인 설정 정보로 선별하여 미디어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525에서 미디어 단말(120)은 휴대 단말(110)을 통해 획득된 추가적인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환경 설정 중 일부를 갱신한다.
도 5에서는 미디어 단말(120)에 기능이 업데이트된 경우, 미디어 단말(120)이 휴대 단말(110)로부터 업데인트 사항에 따른 추가적인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역으로 휴대 단말(110)에 내부 정보 또는 기능이 업데이트된 경우 휴대 단말(110)이 업데이트된 정보에 기반하여 추가 설정 정보를 미디어 단말(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미디어 단말(120)과 휴대 단말(110)이 각각 업데이트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에 필요한 추가적인 정보들을 휴대 단말(110)에 이미 저장된 내부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로 정보를 입력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클라우드 서버에 사용자에 대한 정보(이하, "사용자 정보"라 함)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미디어 단말(120)은 휴대 단말(110)로부터 환경 설정 요청이 있으면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제공받아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 중 적어도 일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정보 중 환경 설정으로 설정될 수 있는 정보는 미디어 단말(12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10)은 통신부(610), 메모리(615) 및 프로세서(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610)는 근거리 통신 또는 이동통신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미디어 단말(12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메모리(615)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프로세서(620)는 휴대 단말(110)의 내부 구성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세서(620)는 메모리(615)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620)에 의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110)의 내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여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을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로서 미디어 단말(120)로 전송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에 의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을 위해 필요한 각 항목이 지정되어 있으므로, 휴대 단말(110)의 내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지정된 각 항목에 맞는 정보들을 선별하고 가공할 수 있다.
휴대 단말(110)과 미디어 단말(120)은 각 파일 형식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620)에 의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선별된 정보들(즉, 설정 정보)를 미디어 단말(120)의 포맷에 맞도록 사전 변경하여 미디어 단말(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만, 설정 정보의 포맷 변경은 휴대 단말(110)이 아닌 미디어 단말(12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단말(120)은 통신부(710), 입력부(715), 환경 설정부(720), 메모리(725) 및 프로세서(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7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휴대 단말(110)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입력부(715)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한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715)는 적외선 포트일 수 있다.
환경 설정부(720)는 휴대 단말(110)을 통해 획득되는 설정 정보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되는 추가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환경 설정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거나 변경 또는 갱신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미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메모리(72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10)과 연동되어 미디어 단말(120)의 환경 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이 과정에서 파생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프로세서(73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단말(120)의 내부 구성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의 동적 전력 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휴대 단말
120: 미디어 단말

Claims (17)

  1. 휴대 단말과 연결되며,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의 내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환경 설정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환경 설정부는 상기 초기 환경 설정에 상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설정 정보 중 상기 휴대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계정을 자동으로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사용자 계정은 상기 초기 환경 설정의 완료 후 상기 사용자를 위해 제공되는 개인화 정보 또는 개인화 서비스와 매칭 가능하며,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설정 정보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선택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국가 정보, 지역 정보, 시간 정보, 언어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개인 계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미디어 단말의 채널 연결 과정 동안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미디어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이 복수인 경우, 상기 환경 설정부는,
    상기 복수의 휴대 단말 각각으로부터 획득된 설정 정보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공통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단말의 초기 환경 설정 중 적어도 일부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단말은 멀티룸 환경에서 서브 미디어 단말에 해당하되,
    상기 환경 설정부는 호스트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초기 환경 설정을 수행하고 해당 룸의 휴대 단말로부터 획득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경 설정 중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거나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업데이트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의 설정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의 동기화를 통해 상기 변경된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변경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경 설정 중 일부를 변경하거나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부는,
    상기 환경 설정 중 적어도 일부가 설정된 이후, 다른 휴대 단말의 통신 접속에 따라 상기 다른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다른 휴대 단말의 내부 정보 중 일부를 설정 정보로서 획득하면, 상기 다른 휴대 단말로부터 획득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 중 일부를 변경 또는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단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부는 상기 초기 환경 설정과 관련된 휴대 단말을 마스터 단말로 결정하고, 상기 마스터 단말이 아닌 다른 단말로부터 정보가 제공되더라도 상기 초기 환경 설정을 변경시키지 않으며 상기 마스터 단말의 제어에 의해서만 상기 초기 환경 설정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단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의 이력을 분석하여 생성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단말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프로그램 추천, 시청 제한 및 특정 사이트 또는 프로그램으로의 로그인 접속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초기 환경 설정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단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단말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설정 정보 및 상기 휴대 단말 이외의 기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상기 초기 환경 설정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단말.
  11. 미디어 단말에 있어서,
    복수의 휴대 단말들로부터 설정 정보들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각각 수신된 설정 정보들의 공통 정보 또는 취합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환경 설정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환경 설정부는 상기 초기 환경 설정에 상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설정 정보 중 상기 휴대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계정을 자동으로 생성하되,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설정 정보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선택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단말.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단말 또는 해당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초기 환경 설정을 위해 필요한 지정된 정보를 상기 단말들 중 하나로 요청하고, 상기 지정된 정보 중 상기 요청된 단말에 없는 정보는 다른 단말로부터 상기 미디어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단말.
  14. 삭제
  15. 미디어 단말에서의 환경 설정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의 통신 접속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내부 정보 중 상기 미디어 단말의 환경 설정을 위해 사용될 설정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단말의 초기 환경 설정 중 적어도 일부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초기 환경 설정에 상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설정 정보 중 상기 휴대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계정을 자동으로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사용자 계정은 상기 초기 환경 설정의 완료 후 상기 사용자를 위해 제공되는 개인화 정보 또는 개인화 서비스와 매칭 가능하며,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설정 정보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선택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단말 환경 설정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단말은 복수의 휴대 단말들로부터 전송된 공통 정보 또는 취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 환경 설정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단말 환경 설정 방법.
  17. 휴대 단말과 연결되며,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의 내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환경 설정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초기 환경 설정은 언어 설정, 국가 설정, 시간 설정 및 계정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환경 설정부는, 상기 초기 환경 설정에 상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설정 정보 중 휴대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계정을 자동으로 생성하되,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설정 정보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선택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 박스.
KR1020160060360A 2016-05-17 2016-05-17 미디어 단말 및 이의 환경 설정 방법 KR101853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360A KR101853960B1 (ko) 2016-05-17 2016-05-17 미디어 단말 및 이의 환경 설정 방법
US15/478,642 US20170339244A1 (en) 2016-05-17 2017-04-04 Media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a configuration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360A KR101853960B1 (ko) 2016-05-17 2016-05-17 미디어 단말 및 이의 환경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533A KR20170129533A (ko) 2017-11-27
KR101853960B1 true KR101853960B1 (ko) 2018-06-20

Family

ID=60330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360A KR101853960B1 (ko) 2016-05-17 2016-05-17 미디어 단말 및 이의 환경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339244A1 (ko)
KR (1) KR1018539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223B1 (ko) * 2018-05-04 2020-06-22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셋탑박스 및 그 동작 방법
KR102176833B1 (ko) * 2018-10-29 2020-11-1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셋톱박스 사용자 인증과 실제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추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598868B1 (ko) * 2019-02-01 202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7185A (ja) * 2003-10-03 2005-04-28 Canon Inc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991A (ko)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팬택 사용자 취향에 따른 개인 설정 정보 설정방법 및 시스템
KR101599849B1 (ko) * 2009-10-06 2016-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와 이동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 방법
KR101617460B1 (ko) * 2009-11-16 201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2190887B1 (ko) * 2013-04-16 2020-1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그의 설정방법 및 설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7185A (ja) * 2003-10-03 2005-04-28 Canon Inc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39244A1 (en) 2017-11-23
KR20170129533A (ko) 201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094B1 (ko) 전자 기기 및 이의 개인 클라우드 기기 등록 방법
KR101793443B1 (ko) 스마트 기기의 관리 계정 설정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101784184B1 (ko) 아이피티비에서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369834B2 (en) User device identification using a pseudo device identifier
US97358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plifying wireless connection and data sharing
US10712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olled device included in network
US20140181916A1 (en) Electronic device, personal cloud apparatus, personal cloud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personal cloud apparatus in user portal server thereof
KR20120057734A (ko) 서버, 서버에 접속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US20140038556A1 (en) Mobility Device Security
US201503732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vice configuration
KR20160003992A (ko) eUICC(embedded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위한 프로파일 설치 방법 및 장치
CN106664228B (zh) 在cpe和配套设备之间进行共享
CN105554588B (zh) 支持闭路字幕的内容接收装置和显示装置
US11190915B2 (en) Method and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use service linked to one electronic device
US202201726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services and/or devices with a voice assistant
KR101853960B1 (ko) 미디어 단말 및 이의 환경 설정 방법
CN104813334A (zh) 网络终端系统、显示装置、终端装置、显示装置中的信息处理方法、程序
CN109429095A (zh) 用于传送数字内容的系统和方法
KR101239097B1 (ko)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공유 방법
US20230251825A1 (en) Presentation Layer for Portable Electronic Assistant
KR20110005684A (ko) 보안 장치 선택 방법 및 터미널
KR20150068686A (ko)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17000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단말과 외부장치 매칭 방법 및 장치
EP2672663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storing user information in home network
US886862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