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320B1 -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 - Google Patents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320B1
KR101853320B1 KR1020170161035A KR20170161035A KR101853320B1 KR 101853320 B1 KR101853320 B1 KR 101853320B1 KR 1020170161035 A KR1020170161035 A KR 1020170161035A KR 20170161035 A KR20170161035 A KR 20170161035A KR 101853320 B1 KR101853320 B1 KR 101853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p truck
liner
attaching
loading box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이씨
Priority to KR1020170161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로서, 운반하고자 하는 적재 물을 실어 나르는 덤프트럭의 적재함에서의 적재 물의 하차 시, 적재함에 잔여물이 비 부착되어 남아 있지 않도록 상기 덤프트럭의 적재함의 바닥과, 상기 바닥의 양 측의 옆면에 일체형으로 배치되어 설치 고정되는 비 부착 라이너; 및 상기 덤프트럭의 적재함 바닥과 양 측의 옆면에 일체형으로 배치되는 상기 비 부착 라이너를 적재함에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에 따르면, 덤프트럭 적재함의 바닥에 잔여물이 비 부착되어 남아 있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배치되는 비 부착 라이너와, 비 부착 라이너를 적재함에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복수의 고정부재는 비 부착 라이너의 물성과 동일한 소재로 비 부착 라이너와 라이닝된 표면과 동일 높이를 갖도록 체결 구성됨으로써, 덤프트럭의 차량 유압 붐대를 최대로 작동시키지 않고도 덤프트럭 적재함 바닥에 운반물의 하차 후 잔여물이 남지 않게 하차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부착성과 저마찰성과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소재의 비 부착 라이너를 덤프트럭의 적재함에 설치 구성함으로써, 동절기나 하절기에도 점착성이 강한 적재 물을 부착 없이 깨끗하게 하차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적재 물을 내리는 시간과 노동력 및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기존의 덤프트럭에서 적재함의 적재 물의 하차 시에 적재함에 남아 있는 잔여물의 하차를 위해 적재함을 올린 상태에서 덤프트럭의 급출발 및 급정거의 과정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덤프트럭의 장비 피해가 최소화로 억제되고, 덤프트럭의 전복 사고가 방지됨은 물론, 적재 물의 하차 시의 안전성과 신속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A INTEGRATED NON-ATTACHING LINER DEVICE FOR DUMP TRUCK LOADER APPLICATION}
본 발명은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덤프트럭 적재함 바닥에 운반물의 하차 후 잔여물이 남지 않도록 하는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덤프트럭 등과 같은 화물차는 주로 백토, 석회석, 골재, 석고, 자갈 등의 적재 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적재 물은 덤프트럭의 적재함에 실려 하역 장소로 이동한 후 적재 물을 하차하게 된다. 이때, 종래의 덤프트럭의 적재함 바닥은 일반적으로 내마모 강판으로 보강되어 운행되고 있다. 여기서, 적재함 강판은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수분이 많은 운반물, 동절기, 점착이 많은 운반물 등을 적재 후 하차할 때 적재함에 잔여물이 남아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적재함에 실린 적재 물을 하차시키기 위해, 기존에는 적재함 높이를 5단까지 올려서 하차 작업을 진행하게 되고, 이러한 높이에서도 떨어지지 않은 잔여물을 하차시키기 위해 운전자는 적재함을 올린 상태로 급가속 및 급정거를 하여 떨어내거나, 작업자가 삽으로 직접 적재함에 부착된 잔여물을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일부 덤프트럭에서는 적재함의 바닥에 PE 계열 제품을 보강하여 운행하고 있으나, 자기윤활성이 떨어지는 제품의 사용으로 마모와 부착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으며, 금속성 볼트 연결부에 잔여물 부착이 있고,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 설치하다보니 이음매 부분에서의 부착 문제가 발생되고 있었다.
즉, 종래의 덤프트럭의 적재함에 실린 적재 물의 하차 작업은, 겨울과 같은 혹한기에 적재 물에 포함된 수분의 동결로 적재물의 하역 작업이 불가능해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이러한 경우 많은 노동력을 들여 인력으로 작업을 해야 하므로 많은 노동력과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적재함에 남아 있는 잔여물의 하차를 위해, 적재함을 올린 상태에서 급출발과 동시에 급브레이크를 밟아 주게 되는 무리한 방법으로 적재 물을 하차시키는 작업을 반복하게 됨에 따라 적재함 및 적재함과 문짝이 연결된 힌지 장치가 쉽게 파손되고, 급출발 및 급브레이크의 무리한 반복으로 인한 엔진 및 브레이크에 무리가 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덤프트럭 적재함의 바닥에 잔여물이 비 부착되어 남아 있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배치되는 비 부착 라이너와, 비 부착 라이너를 적재함에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복수의 고정부재는 비 부착 라이너의 물성과 동일한 소재로 비 부착 라이너와 라이닝된 표면과 동일 높이를 갖도록 체결 구성됨으로써, 덤프트럭의 차량 유압 붐대를 최대로 작동시키지 않고도 덤프트럭 적재함 바닥에 운반물의 하차 후 잔여물이 남지 않게 하차가 가능하도록 하는,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부착성과 저마찰성과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소재의 비 부착 라이너를 덤프트럭의 적재함에 설치 구성함으로써, 동절기나 하절기에도 점착성이 강한 적재 물을 부착 없이 깨끗하게 하차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적재 물을 내리는 시간과 노동력 및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기존의 덤프트럭에서 적재함의 적재 물의 하차 시에 적재함에 남아 있는 잔여물의 하차를 위해 적재함을 올린 상태에서 덤프트럭의 급출발 및 급정거의 과정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덤프트럭의 장비 피해가 최소화로 억제되고, 덤프트럭의 전복 사고가 방지됨은 물론, 적재 물의 하차 시의 안전성과 신속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는,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로서,
운반하고자 하는 적재 물을 실어 나르는 덤프트럭의 적재함에서의 적재 물의 하차 시, 적재함에 잔여물이 비 부착되어 남아 있지 않도록 상기 덤프트럭의 적재함의 바닥과, 상기 바닥의 양 측의 옆면에 일체형으로 배치되어 설치 고정되는 비 부착 라이너; 및
상기 덤프트럭의 적재함 바닥과 양 측의 옆면에 일체형으로 배치되는 상기 비 부착 라이너를 적재함에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 부착 라이너는,
상기 덤프트럭의 적재함 바닥과 양 측의 옆면을 동시에 이음매 없는 형태로 덮어 커버하기 위한 한 조각(one piece)의 일체형 구조로 구성하되, 비부착성과 저마찰성과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 부착 라이너는,
UHMW-PE(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 부착 라이너는,
상기 덤프트럭의 적재함 바닥과 양 측의 옆면을 동시에 이음매 없는 형태로 덮어 커버하도록 배치하되, 상기 적재함 양 측의 옆면에 배치되는 비 부착 라이너의 양 단은 상기 덤프트럭의 적재함 양 측면 수직부에 별도 설치한 스테인리스 가이드(SUS GUIDE)에 끼워져 설치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는,
상기 덤프트럭의 적재함 바닥과 양 측의 옆면을 동시에 이음매 없는 형태로 덮어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비 부착 라이너를 상기 적재함에 체결 고정하되,
상기 비 부착 라이너의 라이닝된 표면과 동일 높이를 갖도록 나사 체결되고, 상기 비 부착 라이너의 물성과 동일한 소재의 UHMW-PE 머리로 된 라이너 볼트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는,
상기 덤프트럭의 적재함 바닥과 양 측의 옆면을 동시에 이음매 없는 형태로 덮어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비 부착 라이너를 상기 적재함에 체결 고정하되,
상기 비 부착 라이너의 라이닝된 표면과 동일 높이를 갖도록 용접 체결되는 라이너 너트와, 상기 라이너 너트에 삽입 체결되는 라이너 캡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이너 캡은,
상기 비 부착 라이너의 물성과 동일한 소재의 UHMW-PE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에 따르면, 덤프트럭 적재함의 바닥에 잔여물이 비 부착되어 남아 있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배치되는 비 부착 라이너와, 비 부착 라이너를 적재함에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복수의 고정부재는 비 부착 라이너의 물성과 동일한 소재로 비 부착 라이너와 라이닝된 표면과 동일 높이를 갖도록 체결 구성됨으로써, 덤프트럭의 차량 유압 붐대를 최대로 작동시키지 않고도 덤프트럭 적재함 바닥에 운반물의 하차 후 잔여물이 남지 않게 하차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부착성과 저마찰성과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소재의 비 부착 라이너를 덤프트럭의 적재함에 설치 구성함으로써, 동절기나 하절기에도 점착성이 강한 적재 물을 부착 없이 깨끗하게 하차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적재 물을 내리는 시간과 노동력 및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기존의 덤프트럭에서 적재함의 적재 물의 하차 시에 적재함에 남아 있는 잔여물의 하차를 위해 적재함을 올린 상태에서 덤프트럭의 급출발 및 급정거의 과정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덤프트럭의 장비 피해가 최소화로 억제되고, 덤프트럭의 전복 사고가 방지됨은 물론, 적재 물의 하차 시의 안전성과 신속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가 설치된 덤프트럭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가 설치된 덤프트럭의 후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의 비 부착 라이너와 복수의 고정부재 간의 나사체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의 비 부착 라이너와 복수의 고정부재 간의 용접체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가 설치된 덤프트럭의 적재물 하차를 위한 차량 유압 붐대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가 설치된 덤프트럭의 적재물 하차 이후의 적재함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가 설치된 덤프트럭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가 설치된 덤프트럭의 후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의 비 부착 라이너와 복수의 고정부재 간의 나사체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의 비 부착 라이너와 복수의 고정부재 간의 용접체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100)는, 비 부착 라이너(110), 복수의 고정부재(120), 및 스테인리스 가이드(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비 부착 라이너(110)는, 운반하고자 하는 적재 물을 실어 나르는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에서의 적재 물의 하차 작업 시에 적재함(20)에 잔여물이 비 부착되어 남아 있지 않도록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의 바닥(21)과, 바닥(21)의 양 측의 옆면(22)에 일체형으로 배치되어 설치 고정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비 부착 라이너(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 바닥(21)과 양 측의 옆면(22)을 동시에 이음매 없는 형태로 덮어 커버하기 위한 한 조각(one piece)의 일체형 구조로 구성하되, 비부착성과 저마찰성과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비 부착 라이너(110)는 UHMW-PE(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UHMW-PE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이라고 한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일반 폴리에틸렌에 비해 분자량이 최대 60배에 달하며, HMPE라고도 한다. 즉, UHMW-PE 원사는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케블라섬유와 함께 대표적인 슈퍼 섬유이다. 즉, UHMW-PE 소재의 비 부착 라이너(110)는 비부착성의 특성으로, 수분을 전혀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수분에 의한 부착 문제가 전혀 발생되지 않으며, 이는 수분이 많은 운반물의 동절기, 하절기의 부착 문제를 해소하게 된다. 또한, 표면이 파라핀상의 구조로 대단히 매끄러우며, 적당한 탄성과 자기 윤활성을 지니고 있어, 표면에 물질이 흐르면 흐를수록 마찰계수가 적어지는 저마찰성의 특성이 있다. 또한, 화학적 안정성이 매우 뛰어나 탄소강, 스테인리스강과 비교하여 10배 이상의 마찰에 의한 낮은 마모율과 상대물질의 보호성을 가지는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현재 알려져 있는 플라스틱 중 가낭 높은 내충격성을 갖고 있다.
또한, 비 부착 라이너(110)는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 바닥(21)과 양 측의 옆면(22)을 동시에 이음매 없는 형태로 덮어 커버하도록 배치하되, 적재함(20) 양 측의 옆면(22)에 배치되는 비 부착 라이너(110)의 양 단은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 양 측면 수직부에 별도 설치한 스테인리스 가이드(SUS GUIDE)(130)에 끼워져 설치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비 부착 라이너(110)는 적재 물의 하차 시에 잔여물이 비 부착되어 남아 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에 설치되는 라이너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비 부착 라이너(110)는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의 앞면, 즉 차량의 운전석의 전면에도 더 설치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고정부재(120)는,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 바닥(21)과 양 측의 옆면(22)에 일체형으로 배치되는 비 부착 라이너(110)를 적재함(20)에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복수의 고정부재(120)는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에 통상적으로 구성되는 7M 바닥면의 상부에 비 부착 라이너(110)와 같은 소재 머리로 된 볼트를 극소량으로 체결(혹은 용접)하여 적재함(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고정부재(120)는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의 바닥(21)에 설치하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측의 전방에만 설치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라이너 자체가 열팽창 계수가 커서 들뜨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적재함(20)의 바닥(21)에 설치되는 비 부착 라이너(110) 전체에 복수의 고정부재(120)를 고루 배치하여 설치할 경우에 라이너의 열팽창으로 인한 들뜸 현상이 라이너에서 발생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운전석 측의 전방에만 배치하여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복수의 고정부재(120)는 덤프트럭(10)의 차량 적재함(20) 1대에 20 내지 25개 정도로 최소화로 사용되고, 설치 후 적재함(20)에는 어떠한 이음매도 없고, 메탈 볼트도 보이지 않도록 설치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부재(120)는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 바닥(21)과 양 측의 옆면(22)을 동시에 이음매 없는 형태로 덮어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비 부착 라이너(110)를 적재함(20)에 체결 고정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 부착 라이너(110)의 라이닝된 표면과 동일 높이를 갖도록 나사 체결되고, 비 부착 라이너(110)의 물성과 동일한 소재의 UHMW-PE 머리로 된 라이너 볼트(121)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부재(120)는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 바닥(21)과 양 측의 옆면(22)을 동시에 이음매 없는 형태로 덮어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비 부착 라이너(110)를 적재함(20)에 체결 고정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 부착 라이너(110)의 라이닝된 표면과 동일 높이를 갖도록 용접 체결되는 라이너 너트(122)와, 라이너 너트(122)에 삽입 체결되는 라이너 캡(123)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라이너 너트(122)는 메탈 재질의 소재로 구성되고, 라이너 캡(123)은 비 부착 라이너(110)의 물성과 동일한 소재의 UHMW-PE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라이너 너트(122)와 라이너 캡(123)은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에 차이가 있고,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 바닥(21)과 용접될 수 있다.
스테인리스 가이드(130)는,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 바닥(21)과 양 측의 옆면(22)을 동시에 이음매 없는 형태로 덮어 커버하도록 배치하되, 적재함(20) 양 측의 옆면(22)에 배치되는 비 부착 라이너(110)의 양 단이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는 가이드 구성이다. 이러한 스테인리스 가이드(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 양 측면 수직부에 일단이 용접으로 고정되고, 타단에 비 부착 라이너(110)의 양 단이 끼워져 설치 고정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가 설치된 덤프트럭의 적재물 하차를 위한 차량 유압 붐대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종래의 덤프트럭에서 적재함에 실린 적재 물을 하차시키기 위해 차량 유압 붐대를 5단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100)가 설치된 덤프트럭에서 적재함에 실린 적재 물을 하차시키기 위해 차량 유압 붐대를 2단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5의 (a)와 (b)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100)가 적용된 덤프트럭(10)은 적재함(20) 실린 적재 물의 하차 시에 기존보다 낮은 높이의 유압 붐대 작동으로도 적재 물의 하차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가 설치된 덤프트럭의 적재물 하차 이후의 적재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종래의 덤프트럭에서 적재함에 실린 적재 물의 하차 후, 적재함에 잔여물이 남아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100)가 설치된 덤프트럭에서 적재함에 실린 적재 물의 하차 후, 적재함에 잔여물이 남아 있지 않고 깨끗하게 비워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6의 (a)와 (b)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100)가 적용된 덤프트럭(10)은 적재함(20) 실린 적재 물의 하차 시에 기존보다 낮은 높이의 유압 붐대 작동으로도 적재 물의 하차 작업이 가능하고, 적재함에 잔여물이 비 부착되어 남아 있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는, 덤프트럭 적재함의 바닥에 잔여물이 비 부착되어 남아 있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배치되는 비 부착 라이너와, 비 부착 라이너를 적재함에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복수의 고정부재는 비 부착 라이너의 물성과 동일한 소재로 비 부착 라이너와 라이닝된 표면과 동일 높이를 갖도록 체결 구성됨으로써, 덤프트럭의 차량 유압 붐대를 최대로 작동시키지 않고도 덤프트럭 적재함 바닥에 운반물의 하차 후 잔여물이 남지 않게 하차가 가능하고, 특히, 비부착성과 저마찰성과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소재의 비 부착 라이너를 덤프트럭의 적재함에 설치 구성함으로써, 동절기나 하절기에도 점착성이 강한 적재 물을 부착 없이 깨끗하게 하차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적재 물을 내리는 시간과 노동력 및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의 덤프트럭에서 적재함의 적재 물의 하차 시에 적재함에 남아 있는 잔여물의 하차를 위해 적재함을 올린 상태에서 덤프트럭의 급출발 및 급정거의 과정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덤프트럭의 장비 피해가 최소화로 억제되고, 덤프트럭의 전복 사고가 방지됨은 물론, 적재 물의 하차 시의 안전성과 신속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덤프트럭
20: 적재함
21: 바닥
22: 옆면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
110: 비 부착 라이너
120: 복수의 고정부재
121: 라이너 볼트
122: 라이너 너트
123: 라이너 캡
130: 스테인리스 가이드

Claims (7)

  1.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100)로서,
    운반하고자 하는 적재 물을 실어 나르는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에서의 적재 물의 하차 시, 적재함(20)에 잔여물이 비 부착되어 남아 있지 않도록 상기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의 바닥(21)과, 상기 바닥(21)의 양 측의 옆면(22)에 일체형으로 배치되어 설치 고정되는 비 부착 라이너(110); 및
    상기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 바닥(21)과 양 측의 옆면(22)에 일체형으로 배치되는 상기 비 부착 라이너(110)를 적재함(20)에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재(120)를 포함하되,
    상기 비 부착 라이너(110)는,
    상기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 바닥(21)과 양 측의 옆면(22)을 동시에 이음매 없는 형태로 덮어 커버하도록 배치하되, 상기 적재함(20) 양 측의 옆면(22)에 배치되는 비 부착 라이너(110)의 양 단은 상기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 양 측면 수직부에 별도 설치한 스테인리스 가이드(SUS GUIDE)(130)에 끼워져 설치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120)는,
    상기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 바닥(21)과 양 측의 옆면(22)을 동시에 이음매 없는 형태로 덮어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비 부착 라이너(110)를 상기 적재함(20)에 체결 고정하되,
    상기 비 부착 라이너(110)의 라이닝된 표면과 동일 높이를 갖도록 용접 체결되는 라이너 너트(122)와, 상기 라이너 너트(122)에 삽입 체결되는 라이너 캡(123)의 조합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 부착 라이너(110)는,
    상기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 바닥(21)과 양 측의 옆면(22)을 동시에 이음매 없는 형태로 덮어 커버하기 위한 한 조각(one piece)의 일체형 구조로 구성하되, 비부착성과 저마찰성과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 부착 라이너(110)는,
    UHMW-PE(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120)는,
    상기 덤프트럭(10)의 적재함(20) 바닥(21)과 양 측의 옆면(22)을 동시에 이음매 없는 형태로 덮어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비 부착 라이너(110)를 상기 적재함(20)에 체결 고정하되,
    상기 비 부착 라이너(110)의 라이닝된 표면과 동일 높이를 갖도록 나사 체결되고, 상기 비 부착 라이너(110)의 물성과 동일한 소재의 UHMW-PE 머리로 된 라이너 볼트(121)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캡(123)은,
    상기 비 부착 라이너(110)의 물성과 동일한 소재의 UHMW-PE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
KR1020170161035A 2017-11-28 2017-11-28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 KR101853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035A KR101853320B1 (ko) 2017-11-28 2017-11-28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035A KR101853320B1 (ko) 2017-11-28 2017-11-28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320B1 true KR101853320B1 (ko) 2018-04-30

Family

ID=6208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035A KR101853320B1 (ko) 2017-11-28 2017-11-28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3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9431A1 (en) * 2019-04-22 2020-10-29 Tms International Corporation Transportation container
KR20220049416A (ko) * 2020-10-14 2022-04-21 서강기업 주식회사 수재슬래그 운송차량용 덤프 적재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315U (ja) * 1992-09-24 1994-04-12 大成建設株式会社 運搬土の付着防止装置を有するダンプトラック
JP2000203325A (ja) * 1999-01-14 2000-07-25 Soken Kogyo Kk ダンプトラックの荷台構造
JP2003112666A (ja) * 2001-10-04 2003-04-15 Harazumi Doboku Kk 荷台の底面に合成樹脂板を敷設したダンプカー
JP2016002953A (ja) * 2014-06-19 2016-01-12 日立建機株式会社 運搬車両用荷台及びこの運搬車両用荷台を搭載したダンプトラッ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315U (ja) * 1992-09-24 1994-04-12 大成建設株式会社 運搬土の付着防止装置を有するダンプトラック
JP2000203325A (ja) * 1999-01-14 2000-07-25 Soken Kogyo Kk ダンプトラックの荷台構造
JP2003112666A (ja) * 2001-10-04 2003-04-15 Harazumi Doboku Kk 荷台の底面に合成樹脂板を敷設したダンプカー
JP2016002953A (ja) * 2014-06-19 2016-01-12 日立建機株式会社 運搬車両用荷台及びこの運搬車両用荷台を搭載したダンプトラッ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9431A1 (en) * 2019-04-22 2020-10-29 Tms International Corporation Transportation container
US11358539B2 (en) 2019-04-22 2022-06-14 Tms International Corporation Transportation container
KR20220049416A (ko) * 2020-10-14 2022-04-21 서강기업 주식회사 수재슬래그 운송차량용 덤프 적재함
KR102543946B1 (ko) * 2020-10-14 2023-06-20 서강기업 주식회사 수재슬래그 운송차량용 덤프 적재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5407B2 (en) Mining hopper made up of steel and polymers
US8029228B2 (en) Cable hoisting apparatus
US9248774B2 (en) System for adjusting over-axle weight of a vacuum tank truck
US20130272831A1 (en) Roll Off Hoist With Hinged End Portion
KR101853320B1 (ko) 덤프트럭 적재함 적용을 위한 일체형 비 부착 라이너 장치
US9227546B2 (en) Hook lift jib apparatus
US6626498B1 (en) Side-discharge tipper vehicle with side wall flexi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US7320572B2 (en) Cargo unloa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607360B1 (ko) 플랫폼 바디
CN111511602B (zh) 卡车箱体
KR101849521B1 (ko) 저소 작업이 가능한 사다리차
US20050253418A1 (en) Payload container for a work machine
CN107618425B (zh) 一种具有限载功能的自卸车
US10766720B2 (en) Shock absorbing dock leveler lip
JP2016002953A (ja) 運搬車両用荷台及びこの運搬車両用荷台を搭載したダンプトラック
JP2015116920A (ja) トラックに積載可能なダンプ装置
US20170247185A1 (en) Dumpster Pads
KR102543946B1 (ko) 수재슬래그 운송차량용 덤프 적재함
EP2634042A1 (en) End-dump discharging device for a receptable
JP2020146090A (ja) 貨物自動車荷台からの墜落防止装置
AU2022100116A4 (en) Self-Unloading Container for Releasable Mounting to Transport Trailers
EP1824704B1 (en) A device for mounting on a vehicle comprising such a device
AU2014203637B2 (en) Platform body
BE1021914B1 (nl) Bevestigingssysteem voor een zeil
KR0124024Y1 (ko) 덤프트럭의 적재함 테일 게이트 힌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