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204B1 - 치근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치근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204B1
KR101853204B1 KR1020160153365A KR20160153365A KR101853204B1 KR 101853204 B1 KR101853204 B1 KR 101853204B1 KR 1020160153365 A KR1020160153365 A KR 1020160153365A KR 20160153365 A KR20160153365 A KR 20160153365A KR 101853204 B1 KR101853204 B1 KR 101853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ies
section
implant
concave
thread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우 트세 수
유 정 수
Original Assignee
타이완 산 인 인터내셔널 씨오., 엘티디.
파이오매트 메디칼 디바이시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완 산 인 인터내셔널 씨오., 엘티디., 파이오매트 메디칼 디바이시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타이완 산 인 인터내셔널 씨오., 엘티디.
Priority to KR1020160153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근 임플란트를 제공하며, 이는 주로 상기 치근 임플란트의 본체와 굵은 나사 구간에 복수의 제1, 제2 오목 캐비티가 형성되도록 설계되고, 또한 상기 제1, 제2 오목 캐비티는 고에너지 광열 방식으로 가공되어, 상기 제1, 제2 오목 캐비티가 상기 본체와 상기 굵은 나사 구간에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치근 임플란트를 구강 치조골에 이식 시, 상기 제1, 제2 오목 캐비티가 유합 시 유도될 수 있는 증식물을 내부에 규칙적으로 삽입 및 부착시키고, 상기 본체와 상기 굵은 나사 구간상의 이음구간 및 연결구간의 설치와 함께 상기 증식물이 엉겨붙어 상호 견인 작용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치근 임플란트가 상기 치조골과 긴밀히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외부 힘의 영향을 받아 헐거워지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치근 임플란트의 정위 효과가 향상된다.

Description

치근 임플란트{ROOT IMPLANT}
본 발명은 치아 이식체 설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식 후 구강의 치조골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치근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치과 분야에서는 치아 결손 부위를 치료하는 데에 치아 임플란트를 구강 치조골에 이식하는 기술이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는 상기 치아 결손 부위를 수복하는 것만으로 치료 후의 치아 결손 부위가 원래의 치아처럼 자연스럽고 교합 지지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치조골이 유합 시 유도되는 증식물이 비록 상기 치아 임플란트와 정합 고정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는 있으나, 상기 치아 임플란트 표면이 매끄러운 재질임을 감안하면, 임플란트 유합 과정에서 외부 힘의 영향으로 발생되는 미세한 이동이 상기 증식물을 상기 치아 임플란트 표면에 부착될 수 없게 만들어 헐거워질 수 있으며, 상기 정합 고정 효과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치아 임플란트와 상기 치조골 간의 정합 고정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치아 임플란트 표면에 부착입자를 첨가하여 다중 용융점 소결 기술을 통해 상기 부착 입자를 가공 처리함으로써, 상기 임플란트 표면에 용융점 효과를 갖는 복수의 공동을 성형하여, 상기 증식물이 상기 공동 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상기 임플란트와 상기 치조골 간에 안정적인 결합 작용을 형성하도록 한 업체가 있다. 다만, 사용 후 비록 상기 다중 용융점 소결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임플란트 표면에 상기 증식물이 부착될 수 있는 공동을 성형할 수 있으나, 다중 용융점 소결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동이 성형된 후의 외경 및 심도를 제어할 수 없어, 성형 후 공동의 크기와 깊이가 불규칙한 상태가 되기 쉬워 상기 공동의 품질을 제어할 수 없고; 또한 상기 다중 용융점 소결 기술은 성형된 공동 내표면을 더욱 매끄러운 상태가 되게 하여, 상기 증식물이 상기 공동 내부에 순조롭게 부착될 수 없으며, 상기 임플란트와 상기 치조골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없다. 또한, 상기 부착 입자가 규칙적인 형태로 상기 임플란트에 부착될 수 없는 경우, 소결 후에는 상기 공동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 상기 증식물이 상기 공동 사이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분포될 수 없고, 심지어 상기 부착 입자는 소결 후 부식산액이 잔류할 가능성도 있어, 상기 정합 고정 효과가 뚜렷하지 않으므로, 확실히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93966호(2013.08.08.) 2.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6-512122호(2006.04.1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식물이 규칙적으로 상부에 부착되어, 치근 임플란트가 상기 치조골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외부 힘에 의해 헐거워지는 현상이 쉽게 나타나지 않아, 바람직한 정위(定位)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치근 임플란트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인 치근 임플란트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드릴부, 상기 드릴부와 반대로 상기 본체 타단의 단부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정위공, 및 상기 본체의 주위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나사 스레드부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본체에 복수의 제1 오목 캐비티가 형성되고, 임의의 두 제1 오목 캐비티 사이에 이음구간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나사 스레드부에 상기 드릴부에 가까운 굵은 나사 구간, 및 상기 굵은 나사 구간과 맞물리면서 상기 정위공에 가까운 부위에 설치되는 가는 나사 구간을 구비하며, 동시에 상기 굵은 나사 구간에 복수의 제2 오목 캐비티가 형성되고, 임의의 두 제2 오목 캐비티 사이에 연결구간이 형성되며, 전술한 상기 제1, 제2 오목 캐비티는 고에너지 광열 방식으로 가공되어, 등간격으로 상기 본체와 상기 굵은 나사 구간에 규칙적으로 배열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치근 임플란트를 구강의 치조골에 이식한 후, 상기 치조골 내에 발생되는 증식물이 다시 바깥으로 유도될 때, 상기 제1, 제2 오목 캐비티에 삽입 및 부착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제2 오목 캐비티가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제2 오목 캐비티의 이음구간과 연결 구간의 설치를 이용하여, 상기 증식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치근 임플란트가 상기 치조골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어, 상기 치근 임플란트를 이식 후의 안정성이 대폭 증가되며, 또한 상기 증식물이 외부 힘에 의해 미세하게 이동하면서 헐거워지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치근 임플란트의 정위효과가 대폭 증진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1(b)는 상기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국부 구성부재 설명도이다.
도 2는 상기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3(b)는 상기 제2 바람직한 실시예의 국부 구성부재 설명도이다.
도 3(c)는 상기 제2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국부 구성부재 설명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4(b)는 상기 제3 바람직한 실시예의 국부 구성부재 설명도이다.
도 4(c)는 상기 제3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국부 구성부재 설명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4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5(b)는 상기 제4 바람직한 실시예의 국부 구성부재 설명도이다.
도 5(c)는 상기 제4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국부 구성부재 설명도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제5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6(b)는 상기 제5 바람직한 실시예의 국부 구성부재 설명도이다.
도 6(c)는 상기 제5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국부 구성부재 설명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치근 임플란트(1)는 하나의 축방향을 따라 제1 축방향 단부와 제2 축방향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본체(11), 상기 본체(11)의 제1 축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드릴부(12), 상기 드릴부(12)와 반대로 상기 본체(11)의 제2 축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정위공(13), 및 상기 본체(11)의 주위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나사 스레드부(14)를 포함한다. 도 1(b)를 함께 참조하면, 그 중, 상기 본체(11)에는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오목 캐비티(111)가 형성되고, 임의의 두 제1 오목 캐비티(111) 사이에 이음구간(112)이 형성되며, 전술한 상기 각각의 제1 오목 캐비티(111)는 제1 바닥벽(a1), 상기 제1 바닥벽(a1)과 연결되는 제1 주위벽(a2), 및 상기 제1 바닥벽(a1)과 상기 제1 주위벽(a2)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1 수용챔버(a3)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1 수용챔버(a3)는 외부와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오목 캐비티(111)는 고에너지 광열 방식으로 가공되어, 상기 제1 오목 캐비티(111)가 규칙적인 양태를 띠면서 등거리 간격으로 상기 본체(11)에 배열되며, 또한 상기 제1 바닥벽(a1)과 제1 주위벽(a2)은 거친 표면을 나타낼 수 있게 설치된다.
이어서, 상기 나사 스레드부(14)는 상기 제1 축방향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드릴부(12)에 가까운 굵은 나사 구간(141), 및 상기 정위공(13)에 가까우며 상기 굵은 나사 구간(141)으로부터 제2 축방향 단부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1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되 직경에 있어서 상기 굵은 나사 구간(141)과는 상이한 가는 나사 구간(142)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는 나사 구간(142)의 적어도 일부는 직경에 있어서 상기 굵은 나사 구간(141)과는 상이하며, 상기 가는 나사 구간(142)은 상기 제2 축방향 단부를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되 직경이 점차 증가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1)에 2종류의 상이한 나사산이 구비되도록 하는 설치를 통해, 상기 치근 임플란트(1)를 구강의 치조골(2)(미도시)에 이식 시, 먼저 상기 굵은 나사 구간(141)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구멍을 확장시켜 이식한 다음, 상기 가는 나사 구간(142)을 상기 굵은 나사 구간(141)의 궤적을 따라 삽입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치근 임플란트(1)를 상기 치조골(2)에 안정적으로 정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굵은 나사 구간(141)에는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오목 캐비티(1411)가 형성되고, 또한 임의의 두 제2 오목 캐비티(1411) 사이에 연결구간(1412)이 형성되며, 전술한 상기 각각의 제2 오목 캐비티(1411)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닥벽(b1), 상기 제2 바닥벽(b1)과 연결되는 제2 주위벽(b2), 및 상기 제2 바닥벽(b1)과 상기 제2 주위벽(b2)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2 수용챔버(b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 수용챔버(b3)는 외부와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오목 캐비티(1411)는 고에너지 광열 방식으로 가공되어, 상기 제2 오목 캐비티(1411)가 상기 굵은 나사 구간(141)에 규칙적인 양태를 띠면서 등거리 간격으로 배열되고, 또한 상기 제2 바닥벽(b1)과 제2 주위벽(b2)은 거친 표면을 나타낼 수 있게 설치된다.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면, 임플란트 수술 시, 상기 드릴부(12)를 상기 치조골(2)에 미리 개설된 이식공(미도시) 내에 정위시키고, 수술기구(미도시)를 통해 상기 정위공(13)을 작동시켜, 상기 드릴부(12) 인근의 굵은 나사 구간(141)을 연동시켜 상기 이식공의 벽면을 절삭하고, 상기 굵은 나사 구간(141)이 상기 이식공의 벽면과 큰 면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이식공에 삽입한 후, 상기 가는 나사 구간(142)으로 상기 굵은 나사 구간(141)의 삽입 궤적을 따라 연속적으로 절삭 삽입 작업을 하여, 상기 이식공의 벽면과 작은 면적으로 견고하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임플란트 수술 과정에서 굵은 나사 구간과 가는 나사 구간(141), (142)을 구비한 상기 나사 스레드부(14)의 설계를 이용하여, 상기 치근 임플란트(1)를 상기 치조골(2)에 신속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수술 과정에서 환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키고, 초기 이식의 안정적인 정위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 수술이 완료된 후 상기 치조골(2) 유합을 기다리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제2 수용챔버(a3), (b3)가 상기 치조골(2) 유합 시 유도되는 증식물이 삽입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제1, 제2 바닥벽(a1), (b1)과 상기 제1, 제2 주위벽(a2), (b2)은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증식물이 상부에 긴밀히 부착될 수 있으며, 이때 다시 상기 이음구간(112)과 연결구간(1412)을 이용하여, 상기 증식물이 상기 제1, 제2 오목 캐비티(111), (1411) 사이에서 유도될 때, 먼저 상기 이음구간(112)과 연결구간(1412)에 엉겨붙는 설치 양태를 형성한 후, 다시 각각 상기 이음구간(112)과 연결구간(1412) 측변의 제1, 제2 오목 캐비티(111), (1411) 부위에 유도되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제2 오목 캐비티(111), (1411) 내의 증식물이 상기 이음구간(112)과 연결구간(1412)이 제공하는 엉겨붙는 작용으로 인하여 상호 견인하는 양태를 형성하게 되며, 또한 상기 제1, 제2 오목 캐비티(111), (1411)가 등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설치를 통하여, 상기 증식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분포되어, 상기 치근 임플란트(1)가 상기 치조골(2)에 안정적으로 정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근 임플란트(1)가 임플란트 유합 과정에서 부당한 외부 힘의 작용으로 인해 이동이 발생한 경우, 상기 증식물이 긴밀하게 엉겨붙는 견인 작용을 통해, 상기 치근 임플란트(1)가 헐거워질 우려가 없고, 상기 치근 임플란트(1)와 상기 치조골(2)의 안정적인 결합 작용을 크게 촉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치근 임플란트(1)의 정위 효과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a) 및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구성부재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가는 나사 구간(142)에는 안쪽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3 오목 캐비티(1421)가 형성되고, 또한 임의의 두 제3 오목 캐비티(1421) 사이에 연결구간(1422)이 형성되며, 전술한 상기 각각의 제3 오목 캐비티(1421)는 제3 바닥벽(c1), 상기 제3 바닥벽(c1)과 연결되는 제3 주위벽(c2), 및 상기 제3 바닥벽(c1)과 상기 제3 주위벽(c2)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3 수용챔버(c3)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3 수용챔버(c3)는 외부와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제3 오목 캐비티(1421)는 고에너지 광열 방식으로 가공되어, 상기 제3 오목 캐비티(1421)가 상기 가는 나사 구간(142)에 일정하게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양태를 띠며, 또한 상기 제3 바닥벽(c1)과 제3 주위벽(c2)은 거친 표면을 구비한 양태를 나타낸다. 도 3(b)를 함께 참조하면,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본체(11), 굵은 나사 구간(141) 및 가는 나사 구간(142)에 각각 상기 제1, 제2 및 제3 오목 캐비티(111), (1411), (1421)가 구비되는 설치를 이용하여, 상기 치근 임플란트(1)를 이식한 후, 상기 제1, 제2 및 제3 오목 캐비티(111), (1411), (1421)를 통해 상이한 고정력으로 상기 치조골(2)(미도시) 내부와 안정적인 결합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이음구간(112), 연결구간(1412) 및 연결구간(1422) 역시 상기 증식물이 바람직하게 엉겨붙는 역할을 제공하여, 상기 증식물이 외부 힘의 작용으로 인해 헐거워지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어, 상기 치근 임플란트(1)가 우수한 정위 효과를 지니게 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구성부재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도 4(b) 및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상기 각각의 제1, 제2 및 제3 바닥벽(a1), (b1), (c1)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 제2 및 제3 미세공(a4), (b4), (c4)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 제2 및 제3 미세공(a4), (b4), (c4)은 또한 도 5(a), 도 5(b) 및 도 5(c)의 제4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상기 각각의 제1, 제2 및 제3 주위벽(a2), (b2), (c2)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도 6(a), 도 6(b) 및 도 6(c)의 제5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상기 각각의 제1, 제2 및 제3 바닥벽(a1), (b1), (c1)과 상기 각각의 제1, 제2 및 제3 주위벽(a2), (b2), (c2)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제2 및 제3 미세공(a4), (b4), (c4)이 동시에 구비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이한 치료방식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 및 제3 미세공(a4), (b4), (c4) 역시 마찬가지로 고에너지 광열 방식으로 가공 형성된다. 이하 설명은 상기 각각의 제1, 제2 및 제3 바닥벽(a1), (b1), (c1)과 상기 각각의 제1, 제2 및 제3 주위벽(a2), (b2), (c2)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제2 및 제3 미세공(a4), (b4), (c4)이 동시에 구비되도록 설치한 것으로서,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a),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치근 임플란트(1)를 상기 치조골(2)(미도시) 내에 이식 시, 상기 치조골(2) 유합 시 유도되는 증식물이 상기 제1, 제2 및 제3 오목 캐비티(111), (1411), (1421) 내외측에 삽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제2 및 제3 미세공(a4), (b4), (c4) 내부로 연장될 수 있어, 상기 치근 임플란트(1)와 상기 치조골(2)의 상호 결합 안정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치근 임플란트(1)와 상기 치조골(2)이 상기 증식물의 삽입과 연장 작용으로 인해 더욱 긴밀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힘의 작용에 의해 헐거워지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아 상기 치근 임플란트(1)의 정위효과를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을 귀납해보면, 본 발명인 치근 임플란트는 고에너지 광열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치근 임플란트의 본체와 나사 스레드부의 굵은 나사 구간에 등간격으로 규칙성을 띠는 양태로 배열되는 제1, 제2 오목 캐비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치근 임플란트를 상기 치조골에 이식 시, 상기 제1, 제2 오목 캐비티가 상기 증식물이 상기 각각의 제1, 제2 수용챔버 내로 삽입되어 상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에 유리하고, 또한 각각 임의의 두 제1 오목 캐비티와 임의의 두 제2 오목 캐비티 사이에 형성되는 이음구간과 연결구간의 설치를 이용하여, 상기 증식물을 일정한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시키고, 상기 제1, 제2 오목 캐비티에 엉겨붙도록 함으로써, 상기 치근 임플란트가 상기 치조골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외부 힘의 영향을 받아 쉽게 헐거워지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없어, 상기 치근 임플란트 이식 후의 정위효과가 대폭 향상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확실히 달성할 수 있다.
다만 이상의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범위를 한정할 수는 없으며, 즉 본 발명의 특허출원 범위 및 발명의 명세서 내용에 따라 실시되는 간단한 등가의 변화와 수식은 모두 본 발명의 특허가 포괄하는 범위 내에 속하여야 한다.
1: 치근 임플란트 2: 치조골
11: 본체 12: 드릴부
13: 정위공 14: 나사 스레드부
111: 제1 오목 캐비티 112: 이음구간
141: 굵은 나사 구간 142: 가는 나사 구간
1411: 제2 오목 캐비티 1412: 연결구간
1421: 제3 오목 캐비티 1422: 연결구간
a1: 제1 바닥벽 a2: 제1 주위벽
a3: 제1 수용챔버 a4: 제1 미세공
b1: 제2 바닥벽 b2: 제2 주위벽
b3: 제2 수용챔버 b4: 제2 미세공
c1: 제3 바닥벽 c2: 제3 주위벽
c3: 제3 수용챔버 c4: 제3 미세공

Claims (5)

  1. 하나의 축방향을 따라 제1 축방향 단부와 제2 축방향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제1 축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드릴부, 상기 본체의 제2 축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정위공, 및 상기 본체의 주위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나사 스레드부를 포함하는 치근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안쪽으로 오목한 형상의 복수의 제1 오목 캐비티가 형성되고, 임의의 두 제1 오목 캐비티 사이에 이음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 스레드부는 상기 제1 축방향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굵은 나사 구간, 및 상기 굵은 나사 구간으로부터 제2 축방향 단부로 연장되는 가는 나사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가는 나사 구간의 적어도 일부는 직경에 있어서 상기 굵은 나사 구간과는 상이하며, 상기 가는 나사 구간은 상기 제2 축방향 단부를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되 직경이 점차 증가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고,
    상기 굵은 나사 구간에는 안쪽으로 오목한 형상의 복수의 제2 오목 캐비티가 형성되고, 임의의 두 제2 오목 캐비티 사이에 연결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오목 캐비티는 고에너지 광열 방식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의 제1 오목 캐비티가 서로 등거리로 배열되고, 상기 굵은 나사 구간의 제2 오목 캐비티가 서로 등거리로 배열되어, 상기 치근 임플란트를 이식 후, 증식물이 상기 제1, 제2 오목 캐비티 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 임플란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오목 캐비티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미세공이 더 형성되는 치근 임플란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2 오목 캐비티에 적어도 하나의 제2 미세공이 더 형성되는 치근 임플란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는 나사 구간에는 안쪽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3 오목 캐비티가 형성되고, 또한 임의의 두 제3 오목 캐비티 사이에 연결구간이 형성되는 치근 임플란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3 오목 캐비티에 적어도 하나의 제3 미세공이 더 형성되는 치근 임플란트

KR1020160153365A 2016-11-17 2016-11-17 치근 임플란트 KR101853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365A KR101853204B1 (ko) 2016-11-17 2016-11-17 치근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365A KR101853204B1 (ko) 2016-11-17 2016-11-17 치근 임플란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204B1 true KR101853204B1 (ko) 2018-04-30

Family

ID=62080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365A KR101853204B1 (ko) 2016-11-17 2016-11-17 치근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2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503A (ko) 2018-06-14 2019-12-24 타이완 산 인 인터내셔널 씨오., 엘티디. 임플란트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3291A1 (en) 2002-12-30 2006-01-05 Jan Hall Implant arrangement
JP2007515198A (ja) 2003-05-21 2007-06-14 ノベル バイオケア サービシーズ エージー 容易に挿入可能な骨圧縮インプラント
JP5167341B2 (ja) 2007-04-23 2013-03-21 ノベル バイオケア サーヴィシィズ アーゲー 歯科用インプラント
KR101293966B1 (ko) * 2012-09-12 2013-08-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플란트 픽스처
JP2013255795A (ja) 2012-06-13 2013-12-26 Maxon Motor Ag インプラン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3291A1 (en) 2002-12-30 2006-01-05 Jan Hall Implant arrangement
JP2006512122A (ja) * 2002-12-30 2006-04-13 ノベル バイオケアー アーベー (パブル) インプラント装置
JP2007515198A (ja) 2003-05-21 2007-06-14 ノベル バイオケア サービシーズ エージー 容易に挿入可能な骨圧縮インプラント
JP5167341B2 (ja) 2007-04-23 2013-03-21 ノベル バイオケア サーヴィシィズ アーゲー 歯科用インプラント
JP2013255795A (ja) 2012-06-13 2013-12-26 Maxon Motor Ag インプラント
KR101293966B1 (ko) * 2012-09-12 2013-08-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플란트 픽스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503A (ko) 2018-06-14 2019-12-24 타이완 산 인 인터내셔널 씨오., 엘티디. 임플란트재
KR102161197B1 (ko) * 2018-06-14 2020-10-05 타이완 산 인 인터내셔널 씨오., 엘티디. 임플란트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3936B2 (ja) 歯根インプラント
KR10196650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대치 및 이들의 조합, 그리고 임플란트 시술 세트
JP5546046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歯科インプラントキット、及び歯科ブリッジを患者の顎に固定する方法
CN105193513A (zh) 牙科植体固定装置以及包含所述牙科植体固定装置的植体系统
US20080091208A1 (en) Implant
KR101853204B1 (ko) 치근 임플란트
WO2009054650A1 (en) Dental fixture
CN106109036A (zh) 牙种植体
US10507086B2 (en) Dental prosthesis with threaded crown on post and core
TWM538786U (zh) 牙根植體
US20120231419A1 (en) Dental implant fixture and implant system having the same
KR100523114B1 (ko) 원뿔형 이식물
US20120046697A1 (en) Anchoring element and method
TWI629975B (zh) 牙根植體
US20180116768A1 (en) Root implant
EP4364691A1 (en) Implant fixture for reducing periodontitis
EP4059470B1 (en) Dental implant assembly
EP3258879B1 (en) Implant for dental prostheses
KR102208219B1 (ko) 임플란트 구조체
RU2728935C2 (ru) Имплантируемое устройство
SE542652C2 (en) Dental super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a dental superstructure
EP3323378A1 (en) Root implant
EP3578132A1 (en) Implant device
WO2020150858A1 (zh) 单件式牙植体
JP2021184785A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フィクスチ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