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934B1 -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 - Google Patents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934B1
KR101852934B1 KR1020170029380A KR20170029380A KR101852934B1 KR 101852934 B1 KR101852934 B1 KR 101852934B1 KR 1020170029380 A KR1020170029380 A KR 1020170029380A KR 20170029380 A KR20170029380 A KR 20170029380A KR 101852934 B1 KR101852934 B1 KR 101852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store
smartphone
payment
paymen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121A (ko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7002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934B1/ko
Publication of KR20170031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48Location-based services which util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targ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에 따르면, 위치측위모듈을 구비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측위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의 위치를 측위한 위치 좌표를 확인하고, 상기 측위된 스마트폰의 위치 좌표에 대한 지리정보 상의 위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상태에 근거한 위치 좌표에서 N(N≥1)개의 매장 중 지정된 각 매장의 위치까지 이동하기 위해 산출된 이동경로를 연결한 동선 거리가 기 설정된 순위 이내의 짧은 동선 거리를 포함하는 i(i≥1)개의 매장을 확인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상태와 상기 동선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i개의 매장 중 사용자가 입객 했거나 입객 예정인 어느 한 제n(1≤n≤N) 매장이 결정되게 처리하며, 상기 결정된 제n 매장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Description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Method for identifying Store by using Path Line}
본 발명은, 위치측위모듈을 구비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측위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의 위치를 측위한 위치 좌표를 확인하고, 상기 측위된 스마트폰의 위치 좌표에 대한 지리정보 상의 위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상태에 근거한 위치 좌표에서 N(N≥1)개의 매장 중 지정된 각 매장의 위치까지 이동하기 위해 산출된 이동경로를 연결한 동선 거리가 기 설정된 순위 이내의 짧은 동선 거리를 포함하는 i(i≥1)개의 매장을 확인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상태와 상기 동선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i개의 매장 중 사용자가 입객 했거나 입객 예정인 어느 한 제n(1≤n≤N) 매장이 결정되게 처리하며, 상기 결정된 제n 매장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 휴대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은 VM(Virtual Machine) 형태로 애플리케이션을 제작되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휴대폰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통신사의 복잡한 사용 승인을 거쳐야 했다. 이에 휴대폰용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휴대폰 사용자에게 배포하는 것에는 많은 제약이 따랐으며, 통신사와 계약된 일부 컨텐츠 제공자를 제외하고는 휴대폰용 애플리케이션을 제작/배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다.
최근 스마트폰이 활성화되면서 상기와 같은 제약 없이 스마트폰에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상기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스마트폰 사용자는 언제라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 게시된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는 사업자들도 컨텐츠 제공자에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배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양적 증가는 사용자들에게 점점 더 수많은 애플리케이션 중 어떠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지 검색하고 결정하도록 하는 고통을 안겨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어떠한 시점에 로딩하는 것이 적절한지 늘 인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안겨주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측위모듈을 구비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측위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의 위치를 측위한 위치 좌표를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측위된 스마트폰의 위치 좌표에 대한 지리정보 상의 위치 상태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상태에 근거한 위치 좌표에서 N(N≥1)개의 매장 중 지정된 각 매장의 위치까지 이동하기 위해 산출된 이동경로를 연결한 동선 거리가 기 설정된 순위 이내의 짧은 동선 거리를 포함하는 i(i≥1)개의 매장을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상태와 상기 동선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i개의 매장 중 사용자가 입객 했거나 입객 예정인 어느 한 제n(1≤n≤N) 매장이 결정되게 처리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n 매장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은, 위치측위모듈을 구비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측위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의 위치를 측위한 위치 좌표를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측위된 스마트폰의 위치 좌표에 대한 지리정보 상의 위치 상태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상태에 근거한 위치 좌표에서 N(N≥1)개의 매장 중 지정된 각 매장의 위치까지 이동하기 위해 산출된 이동경로를 연결한 동선 거리가 기 설정된 순위 이내의 짧은 동선 거리를 포함하는 i(i≥1)개의 매장을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상태와 상기 동선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i개의 매장 중 사용자가 입객 했거나 입객 예정인 어느 한 제n(1≤n≤N) 매장이 결정되게 처리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n 매장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선 거리는,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와 각 매장 위치를 직선 연결한 거리가 아니라 지리정보 상의 이동경로를 연결하여 산출되는 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 상태는, 상기 측위된 스마트폰의 위치 좌표가 지리정보 상에서 차도 이동, 인도 이동, 차도 양측 인도 중 어느 일 측 인도 이동, 건물 내부, 건물 외부 중 어느 상태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상태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리정보에 상기 측위된 하나 이상의 위치 좌표를 대응시켜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상태가 차도 이동, 인도 이동, 차도 양측 인도 중 어느 일 측 인도 이동, 건물 내부, 건물 외부 중 어느 위치 상태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에 대응하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을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스마트폰 내에 설치된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 내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활성화되어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로딩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제n 매장의 주문 처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제5a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해 상기 제n 매장의 주문 처리 시, 상기 제n 매장의 주문 처리에 대응하는 주문 결제를 위한 결제정보를 확인하는 제5b 단계 및 상기 주문 결제에 이용 가능한 P(P≥1)개의 결제수단 중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5c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P개의 결제수단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이용 가능한 p(1≤p≤P)개의 결제수단과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p'(1≤p'≤(P-p))개의 결제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결제수단을 하나 이상의 결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5c 단계는, 상기 주문 결제를 별도의 결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처리하는 경우, 상기 결제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결제 프로그램으로 상기 결제정보를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선을 이용한 매장 주문 제어 방법은, 위치측위모듈을 구비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측위모듈을 통해 측위된 스마트폰의 최종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 값을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스마트폰을 통해 주문 가능한 N(N≥1)개의 매장 중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좌표 값에 대한 지리정보 상의 위치 상태를 판별하는 위치 상태 값과 각 매장의 위치 정보를 지정된 지리정보 상의 이동경로 산출 규칙에 대입하여 산출되는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스마트폰의 최종 위치 상태에서 각 매장까지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선을 연결한 동선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i(i≥1)개의 매장을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확인된 i개의 매장 중 사용자가 입객 예정인 제n(1≤n≤N) 매장을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확인된 제n 매장의 주문 처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n 매장에 대한 주문 처리 시, 상기 제n 매장으로의 주문 처리에 대응하는 주문 결제를 위한 결제정보를 확인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주문 결제에 이용 가능한 P(P≥1)개의 결제수단 중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상태 값은, 스마트폰의 최종 위치를 지정된 지리정보 상에 포함된 데이터 중 어느 데이터에 대응하는 위치로 표시하는 값을 포함하며, 상기 동선 거리는, 상기 스마트폰의 최종 위치에서 각 매장 위치까지의 직선 거리가 아닌 지정된 지리정보 상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최종 위치에서 각 매장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선을 연결한 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선을 이용한 매장 주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n 매장의 주문 처리를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 지정된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또는 활성화되어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로딩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선을 이용한 매장 주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되게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선을 이용한 매장 주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P개의 결제수단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이용 가능한 p(1≤p≤P)개의 결제수단과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p’(1≤p’≤(P-p))개의 결제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결제수단을 하나 이상의 결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선을 이용한 매장 주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P개의 결제수단은, 상기 제n 매장에서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 상기 제n 매장이 속한 매장 그룹에서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 상기 제n 매장과 제휴된 제휴사에서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 상기 제n 매장이 속한 매장 그룹과 제휴된 제휴사에서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 신용카드사에서 발급한 후불형 결제수단, 금융사에서 발급한 직불형 결제수단, 금융사에 개설된 계좌를 이용하는 계좌이체 기반의 결제수단, 신용카드사와 금융사가 연계하여 발급한 직불형 결제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선을 이용한 매장 주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주문 결제를 처리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회원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주문 결제에 대한 결제 처리 시, 상기 제n 매장의 단말, 상기 제n 매장의 서버, 상기 제n 매장이 속한 매장 그룹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결제 처리에 대응하는 회원정보를 공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선을 이용한 매장 주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주문 결제를 별도의 결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처리하는 경우, 상기 결제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결제 프로그램으로 상기 결제정보를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위치 측위모듈을 통해 측위된 최종 위치 좌표 값을 근거로 최단 동선 연결이 가능한 매장을 N(N≥1)개의 매장 중 사용자가 입객한(또는 입객 예정인) 적어도 하나의 제n(1≤n≤N) 매장으로 결정하는 매장 결정부와, 상기 제n 매장이 결정되면, 상기 스마트폰의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제n 매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애플리케이션 확인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확인되지 않으면, 통신망의 프로그램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되도록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 탑재부와, 사용자정보 유지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조회하거나 또는 키 입력 받아 회원정보 유지매체에 유지시키는 회원등록 처리부와, 상기 회원정보 유지매체에 유지된 회원정보를 근거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 가능한 P(P≥1)개의 결제수단 중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구현된 p(1≤p≤P)개의 결제수단을 활성화시키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되는 p’(1≤p’≤(P-p))개의 결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하거나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p’개의 결제 프로그램이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되도록 연동하는 결제수단 연동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위치 측위모듈을 통해 주기적으로 측위된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좌표 중 최종 위치 좌표 값을 확인하는 최종 위치 확인부와, 상기 측위된 스마트폰의 최종 위치 좌표 값과 매체에 유지된 N(N≥1)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을 비교하여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i(i≥1)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을 확인하는 매장 위치 확인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매장 결정부는 상기 i개의 매장 위치 중 지리정보 상에서 최단 동선 연결이 가능한 매장을 사용자가 입객한(또는 입객 예정인) 적어도 하나의 제n(1≤n≤N) 매장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로딩하는 이벤트 식별 값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값을 검출하는 이벤트 검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탑재부는 상기 이벤트 값에 반응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회원등록 처리부는 상기 이벤트 값에 반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회원정보 유지매체에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탑재부는 상기 제n 매장(또는 M(M≥1)개의 매장 그룹 중 상기 제n 매장이 속한 제m(1≤m≤M) 매장 그룹)에 대응하는 아이콘(또는 컨텐츠)을 화면 일정 영역에 표시한 후 상기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제n 매장(또는 제n 매장이 속한 제m 매장 그룹)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하거나, 상기 제n 매장(또는 제n 매장이 속한 제m 매장 그룹)에 대응하는 아이콘(또는 컨텐츠)을 상기 스마트폰의 프로그램 선택 화면에 표시한 후 상기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제n 매장(또는 제n 매장이 속한 제m 매장 그룹)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하거나, 상기 스마트폰의 조작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또는 신호의 조합)를 트리거 신호로 감지하여 상기 제n 매장(또는 제n 매장이 속한 제m 매장 그룹)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 가능한 P(P≥1)개의 결제수단을 식별하는 결제수단 식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P개의 결제수단은 상기 제n 매장(또는 M(M≥1)개의 매장 그룹 중 상기 제n 매장이 속한 제m(1≤m≤M) 매장 그룹)에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과 제휴된 적어도 하나의 제휴사에서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 신용카드사에서 발급한 후불형 결제수단, 금융사에서 발급한 직불형 결제수단(또는 계좌이체 결제수단), 신용카드사와 금융사가 연계하여 발급한 직불형 결제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는 상기 제n 매장(또는 M(M≥1)개의 매장 그룹 중 상기 제n 매장이 속한 제m(1≤m≤M) 매장 그룹)과 제휴된 제휴사, 신용카드사, 금융사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 발급사 서버 상기 회원정보 유지매체에 유지된 회원정보를 공유하여 상기 회원에게 발급된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제n 매장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제 프로그램이 기록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정되는 결제 대상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상기 결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결제 프로그램 간 결제정보가 연동되도록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또는 컨텐츠)을 화면 일정 영역에 표시한 후 상기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또는 컨텐츠)을 상기 스마트폰의 프로그램 선택 화면에 표시한 후 상기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상기 스마트폰의 조작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또는 신호의 조합)를 트리거 신호로 감지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후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감지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상기 스마트폰의 조작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또는 신호의 조합)를 트리거 신호로 감지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정된 결제정보를 프로세스 간 통신을 통해 상기 결제 프로그램으로 전달하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정된 결제정보를 상기 결제 프로그램이 로딩하는 파일로 구성하여 상기 결제 프로그램이 참조하는 메모리 저장영역에 유지시키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정된 결제정보를 상기 결제 프로그램이 참조하는 데이터로 구성하여 상기 결제 프로그램이 참조하는 통신망 상의 매체에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위치 측위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에서 실행 가능하며, 상기 스마트폰을, 상기 위치 측위모듈을 통해 측위된 최종 위치 좌표 값을 근거로 최단 동선 연결이 가능한 매장을 N(N≥1)개의 매장 중 사용자가 입객한(또는 입객 예정인) 적어도 하나의 제n(1≤n≤N) 매장으로 결정하는 매장 결정부와, 상기 제n 매장이 결정되면, 상기 스마트폰의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제n 매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애플리케이션 확인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확인되지 않으면, 통신망의 프로그램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되도록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 탑재부와, 사용자정보 유지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조회하거나 또는 키 입력 받아 회원정보 유지매체에 유지시키는 회원등록 처리부와, 상기 회원정보 유지매체에 유지된 회원정보를 근거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 가능한 P(P≥1)개의 결제수단 중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구현된 p(1≤p≤P)개의 결제수단을 활성화시키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되는 p’(1≤p’≤(P-p))개의 결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하거나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p’개의 결제 프로그램이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되도록 연동하는 결제수단 연동부로서 동작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단말을,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로딩하는 이벤트 식별 값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값을 검출하는 이벤트 검출부로서 더 동작시키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탑재부는 상기 이벤트 값에 반응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회원등록 처리부는 상기 이벤트 값에 반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회원정보 유지매체에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단말을,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 가능한 P(P≥1)개의 결제수단을 식별하는 결제수단 식별부로서 더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단말을, 상기 제n 매장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제 프로그램이 기록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정되는 결제 대상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상기 결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결제 프로그램 간 결제정보가 연동되도록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제어부로서 더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최단 동선 연결을 이용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연동 방법은, 위치 측위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의 최단 동선 연결을 이용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연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위모듈을 통해 측위된 최종 위치 좌표 값을 근거로 최단 동선 연결이 가능한 매장을 N(N≥1)개의 매장 중 사용자가 입객한(또는 입객 예정인) 적어도 하나의 제n(1≤n≤N) 매장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n 매장이 결정되면, 상기 스마트폰의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제n 매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확인되지 않으면, 통신망의 프로그램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되도록 처리하는 단계와, 사용자정보 유지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조회하거나 또는 키 입력 받아 회원정보 유지매체에 유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회원정보 유지매체에 유지된 회원정보를 근거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 가능한 P(P≥1)개의 결제수단 중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구현된 p(1≤p≤P)개의 결제수단을 활성화시키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되는 p’(1≤p’≤(P-p))개의 결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하거나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p’개의 결제 프로그램이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되도록 연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자가 매장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매장에 입객했거나 또는 입객 예정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입객했거나 또는 입객 예정인 매장을 자동으로 식별하여 해당 매장에서 사용할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로딩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매장에서 사용할 애플리케이션을 일일이 검색하여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스마트폰에 구비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조회하여 수동으로 실행하지 않고도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자동으로 이용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자가 매장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매장에 입객했거나 또는 입객 예정인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상기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탑재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를 상기 특정 매장의 회원으로 자동 가입시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회원 전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자가 매장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매장에 입객했거나 또는 입객 예정인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상기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탑재함과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결제수단을 자동으로 연동시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회원 전용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스마트폰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자가 입객한(또는 입객 예정인) 매장을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자의 입객한(또는 입객 예정인)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을 로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자의 입객한(또는 입객 예정인)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탑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자의 입객한(또는 입객 예정인)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탑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자가 입객한(또는 입객 예정인) 매장의 애플리케이션과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연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하기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각 용어의 서두에 "제n" 또는 "제m"과 같은 형태의 식별부호를 첨부하여 설명할 것이나, 상기 식별부호는 각 용어를 식별하기 위한 것일 뿐 상기 식별부호에 의해 각 용어가 다른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별 또는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스마트폰(100)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스마트폰(100)의 최종 위치를 근거로 N(N≥1)개의 매장 위치 중 지리정보 상에서 상기 스마트폰(100)의 최종 위치와 최단 동선 연결이 가능한 제n(1≤n≤N) 매장(또는 M(M≥1)개의 매장 그룹 중 상기 제n 매장이 속한 제m(1≤m≤M) 매장 그룹)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결정한 후, 상기 스마트폰(100)의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100) 사용자를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회원으로 자동 가입시키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하나의 결제 모듈과 연동시키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스마트폰(100)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스마트폰(1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도면1의 스마트폰(100)은 본 도면1에 도시된 기능 구성부 외에 현재/향후 출시되는 휴대폰(또는 스마트폰(100))의 각종 기능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100)은, 제어부(101)와 메모리부(113)와 화면 출력부(102)와 키 입력부(103)와 사운드 출력부(104)와 사운드 입력부(105)와 카메라부(106)와 무선망 통신모듈(110)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과 위치 측위모듈(112)과 USIM 리더부(107) 및 USIM(108)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09)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기능 구성부를 본 도면1의 제어부(101)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도면1은 편의상 각 매장의 주문을 요청하는 매장 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관리 프로그램을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상기 매장 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리 프로그램은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통합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매장 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관리 프로그램의 매장 별 주문 모듈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메모리부(113)는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101)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113)는 기본적으로 상기 스마트폰(1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상기 스마트폰(1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113)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102)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 입력부(103)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102)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01)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104)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1)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106)는 상기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1)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과 통합될 수 있다.
상기 USIM 리더부(107)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폰(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 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108)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107)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 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 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전원 공급(VCC), 리셋 신호(RST), 클럭 신호(CLK), 접지(GND), 프로그래밍 전원 공급(VPP), 입출력(I/O) 중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접점을 통해 상기 USIM 리더부(107)와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IC칩 메모리는 상기 IC칩의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보안모듈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고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스마트폰(100)의 무선 통신망 접속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IC칩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릿 발급사에서 제작한 프로그램 코드(=애플릿)와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릿 발급사 별 저장영역(예컨대, SD(Security Domai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IM(108)의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사(또는 금융사)에서 상기 스마트폰(100)의 사용자에게 발급한 결제수단(예컨대,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현금카드, 전자통장, 고객계좌)에 대응하는 결제수단 정보와, 상기 결제수단을 운영하는 애플릿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은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 위치를 측위하는 GPS 측위모듈로 구성되며, 지구 궤도를 공전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 위치 정보를 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250))과 연계된 통신망 상의 측위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스마트폰(100)과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250)) 간 주파수 도달 시간(또는 도달 각)을 이용하여 지상파 측위 방식으로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를 측위하는 지상파 측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100)은, N(N≥1)개의 매장에 대한 매장 위치 좌표 값과 상기 N개의 매장에서 구동될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로딩하는 이벤트를 식별하는 이벤트 식별 값을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하는 매체 유지부(115)를 구비하며, 상기 N개의 매장의 그룹화가 가능한 경우, 상기 매체 유지부(115)는 N개의 매장에 대한 매장 위치 좌표 값과 상기 N개의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속한 M(M≥1)개의 매장 그룹 식별 값과 상기 M개의 각 매장 그룹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로딩하는 이벤트를 식별하는 이벤트 식별 값을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체는 상기 메모리부(113)의 저장영역, USIM(108)의 메모리 영역, 본 발명의 프로그램 코드를 구성하는 프로그램 코드 영역의 변수 할당 영역이나 선언문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 또는 무선망 통신모듈(110)을 통해 접속 가능한 통신망 상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매체를 구현하는 실시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N개의 매장은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을 통해 산출되는 스마트폰(100)의 위치 좌표 값과 비교되는 고유한 매장 위치 좌표 값이 할당되며, 상기 매체 유지부(115)는 상기 N개의 매장에 할당된 매장 위치 좌표 값과 상기 N개의 매장을 식별하는 N개의 매장 식별 값을 연결하여 상기 매체에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매장 위치 좌표 값은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을 통해 산출되는 스마트폰(100)의 위치 좌표 값과 비교되는 매장 위치 좌표 값을 포함하며, 상기 매장 위치 좌표 값을 포함하는 매장 위치 근처의 지리정보 데이터(예컨대, 지도 데이터, 또는 각 위치 좌표 별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장 식별 값은, 상기 N개의 매장에 중복되지 않도록 할당한 매장고유번호, 매장고유코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각 N개의 매장에 할당된 사업자등록번호, 매장 상호와 매장 위치 조합 명칭, 매장 주소, 매장 대표자 정보, 매장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유지부(115)는 상기 N개의 매장 중 상호 명칭과 판매상품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을 그룹핑하여 M개의 매장 그룹을 결정한다. 예를들어, 100개의 매장으로 이루어진 프랜차이즈 매장의 경우, 상기 100개의 매장은 각각의 위치에 위치하는 독립된 매장이지만, 상호 명칭이 동일하고 판매상품이 동일함으로 상기 100개의 매장은 하나의 매장 그룹에 속하게 된다.
상기 N개의 매장을 기준으로 M개의 매장 그룹이 결정되면, 상기 매체 유지부(115)는 상기 M개의 각 매장 그룹에 고유한 식별자를 할당한다. 각 매장 그룹은 공통의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데, 상기 매체 유지부(115)는 각 매장 그룹 별 애플리케이션에 고유한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을 할당하거나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기 할당된 고유한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은 상기 매장 그룹 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M개의 매장 그룹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매장 그룹 식별 값과 상기 매장 그룹 수보다 크거나 같은 K(K≥M)개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이 할당(또는 확인)되면, 상기 매체 유지부(115)는 상기 할당(또는 확인)된 M개의 매장 그룹 식별 값과 상기 K개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을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매장 그룹 식별 값은, 상기 각 매장 그룹에 속한 매장 식별 값의 공통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각 매장 그룹에 별도 할당된 그룹고유번호, 그룹고유코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각 매장 그룹의 대표 기업에 할당된 사업자등록번호, 매장 대표 상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K개의 애플리케이션이 K개의 별도 애플리케이션 파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은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 파일의 파일 이름, 파일 헤더에 포함된 고유 식별 값,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 파일의 특정 영역을 해시한 해시 값,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해시한 해시 값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K개의 애플리케이션이 하나의 공통 애플리케이션과 K개의 애플리케이션 모듈(또는 리소스 파일)로 구성되는 경우(예컨대, 공통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상기 공통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로드하여 각 애플리케이션 기능과 실행 환경을 구현하거나, 또는 상기 실행된 공통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리소스 파일을 로드하여 각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구현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모듈(또는 리소스 파일)의 파일 이름, 파일 헤더에 포함된 고유 식별 값,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 모듈(또는 리소스 파일)의 특정 영역을 해시한 해시 값,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 모듈(또는 리소스 파일)을 해시한 해시 값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100)은,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을 통해 주기적으로 측위된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좌표 중 최종 위치 좌표 값을 확인하는 최종 위치 확인부(120)와, 상기 측위된 스마트폰(100)의 최종 위치 좌표 값과 매체에 유지된 N(N≥1)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을 비교하여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i(i≥1)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을 확인하는 매장 위치 확인부(125)와, 상기 i개의 매장 위치 중 지리정보 상에서 최단 동선 연결이 가능한 매장을 사용자가 입객한(또는 입객 예정인) 제n(1≤n≤N) 매장으로 결정하는 매장 결정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은 상기 GPS 측위모듈과 지상파 측위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측위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좌표 값을 주기적으로 산출하며, 상기 최종 위치 확인부(120)는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을 통해 주기적으로 측위된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좌표 중 최종 위치 좌표 값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최종 위치 확인부(120)는 상기 최종 위치 좌표 값에 대응하는 스마트폰(100)의 위치 상태 값으로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상태 값은 상기 실시간 측위된 스마트폰(100)의 현재 위치 좌표 값뿐만 아니라, 상기 스마트폰(100)의 최종 위치 좌표 값이 지리정보 데이터(예컨대, 지도 데이터, 또는 각 위치 좌표 별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데이터) 상에서 어떠한 위치 상태인지 판별하는 값이다. 즉, 상기 최종 위치 좌표 값이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계 상의 좌표 값이라면, 상기 위치 상태 값은 상기 최종 위치 좌표 값이 도로 상의 차도인지, 차도 양 측이 인도 중 어느 측의 인도인지, 건물 내부인지 외부인지 등의 상태를 판별하는 값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을 통해 주기적으로 측위된 스마트폰(100)의 위치 좌표 값이 차도를 따라 이동 중이었다면, 상기 최종 위치 좌표 값은 일정한 오차 값을 갖는 위치 좌표 값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최종 위치 좌표 값에 대응하는 위치 상태 값은 지리정보 데이터 상의 차도 상에 상기 스마트폰(100)이 위치하고 있음을 판별하는 값이다. 또는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을 통해 주기적으로 측위된 스마트폰(100)의 위치 좌표 값이 일정 시간 동안 측위되고 있지 않다면, 상기 최종 위치 좌표 값은 일정 시간 전에 마지막으로 측위된 위치 좌표 값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최종 위치 좌표 값에 대응하는 위치 상태 값은 지리정보 데이터 상에서 상기 스마트폰(100)이 상기 최종 위치에서 입장 가능한 건물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판별하는 값이다. 한편, 상기 N개의 매장은 대부분 GPS 위성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실내에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최종 위치 확인부(120)는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을 통해 주기적으로 측위 되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최종 위치 좌표 값을 유지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상태 값을 확인한다.
상기 스마트폰(100)의 최종 위치 좌표 값(또는 최종 위치 좌표 값에 대응하는 위치 상태 값)이 확인되면, 상기 매장 위치 확인부(125)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최종 위치 좌표 값과 상기 매체에 유지된 N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을 비교하여 상기 최종 위치 좌표 값과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i(i≥1)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을 확인한다.
상기 스마트폰(100) 사용자의 입객이 가능한 i개의 매장이 확인되면, 상기 매장 결정부(130)는 상기 확인된 i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을 포함하는 지리정보 데이터(예컨대, 지도 데이터, 또는 각 위치 좌표 별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스마트폰(100)의 최종 위치 좌표와 상기 i개의 매장 위치 좌표 사이에 i개의 동선을 연결한 후, 상기 연결된 i개의 동선 중 가장 짧은 동선 또는 기 설정된 순위 이내의 짧은 동선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을 상기 스마트폰(100) 사용자가 입객했거나 또는 입객 예정인 적어도 하나의 제n 매장으로 결정한다.
예를들어, 가운데 차도를 중심으로 일 측의 인도에 스마트폰(100)이 최종 위치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0)의 최종 위치에서 상기 차도 건너편의 매장 위치까지의 직선 거리가 상기 스마트폰(100)의 최종 위치와 같은 측에 존재하는 매장 위치까지의 직선 거리보다 더 가깝다고 할지라도, 상기 스마트폰(100)의 최종 위치에서 건너편의 매장으로 이동하기 위해 횡단보도를 건넘으로 인해 상기 건너편의 매장까지의 동선이 더 길어진다면, 상기 매장 위치 확인부(125)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최종 위치와 같은 측에 존재하는 매장을 상기 스마트폰(100) 사용자가 입객했거나 또는 입객 예정인 적어도 하나의 제n 매장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매장 결정부(130)는 상기 i개의 매장 중 상기 제n 매장을 제외한 나머지 매장을 사용자의 입객 가능 매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100)은, 상기 제n 매장이 결정되면, 상기 스마트폰(100)의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제n 매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애플리케이션 확인부(135)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확인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확인되지 않으면 통신망 상의 프로그램 저장매체(215)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드를 활성화하는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0)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로딩하는 이벤트 식별 값에 대응하는 이벤트 값을 검출하는 이벤트 검출부(145)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검출되는 이벤트 값에 반응하여 통신망의 프로그램 저장매체(215)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되도록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 탑재부(155)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확인되면, 상기 검출되는 이벤트 값에 반응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상기 매장 결정부(130)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입객했거나 또는 입객 예정인 적어도 하나의 제n 매장이 결정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확인부(135)는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n 매장에 대응하는 제n 매장 식별 값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매체에 상기 제n 매장 식별 값이 속한 제m(1≤m≤M) 매장 그룹을 식별하는 제m 매장 그룹 식별 값이 유지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확인부(135)는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n 매장이 속한 제m 매장 그룹 식별 값을 확인하고, 상기 제m 매장 그룹 식별 값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을 확인한다.
제n 매장 식별 값(또는 제n 매장이 속한 제m(1≤m≤M) 매장 그룹 식별 값)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이 확인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확인부(135)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과 상기 매체에 유지된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제n 매장 식별 값(또는 제n 매장이 속한 제m(1≤m≤M) 매장 그룹 식별 값)과 연결된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0)는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애플리케이션 모드(이하, 편의상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라고 한다)를 활성화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모드는 실제로 정의된 동작 모드가 아니라 프로그램의 동작 상태를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모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또는 컨텐츠)을 화면 일정 영역에 표시한 후 상기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드로서, 상기 이벤트 검출부(145)는 상기 화면 일정 영역에 표시된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50)는 상기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객했거나 또는 입객 예정인 제n 매장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또는 컨텐츠)을 상기 스마트폰(100)의 프로그램 선택 화면에 표시한 후 상기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드로서, 상기 이벤트 검출부(145)는 상기 프로그램 선택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50)는 상기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객했거나 또는 입객 예정인 제n 매장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조작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또는 신호의 조합)를 트리거 신호로 감지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후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감지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드로서, 상기 이벤트 검출부(145)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감지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50)는 상기 사용자의 반응을 근거로 상기 사용자가 입객했거나 또는 입객 예정인 제n 매장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조작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또는 신호의 조합)를 트리거 신호로 감지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드로서, 상기 이벤트 검출부(145)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조작과 연관된 트리거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50)는 상기 트리거 신호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가 입객했거나 또는 입객 예정인 제n 매장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킨다.
한편,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0)는 통신망 상의 프로그램 저장매체(215)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드(이하, 편의상 “애플리케이션 설치 모드”라고 한다)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모드는 상기 사용자를 상기 제n 매장(또는 제n 매장이 속한 제m 매장 그룹)의 회원으로 가입시키는 회원 가입 모드, 상기 제n 매장(또는 제n 매장이 속한 제m 매장 그룹)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하나의 결제 모듈과 연동하는 결제수단 연동 모드의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모드는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에 대응하는 아이콘(또는 컨텐츠)을 화면 일정 영역에 표시한 후 상기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제n 매장(또는 제n 매장이 속한 제m 매장 그룹)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드로서, 상기 이벤트 검출부(145)는 상기 화면 일정 영역에 표시된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탑재부(155)는 상기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에 반응하여 통신망 상의 프로그램 저장매체(215)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모드는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에 대응하는 아이콘(또는 컨텐츠)을 상기 스마트폰(100)의 프로그램 선택 화면에 표시한 후 상기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제n 매장(또는 제n 매장이 속한 제m 매장 그룹)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드로서, 상기 이벤트 검출부(145)는 상기 프로그램 선택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탑재부(155)는 상기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에 반응하여 통신망 상의 프로그램 저장매체(215)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모드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조작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또는 신호의 조합)를 트리거 신호로 감지하여 상기 제n 매장(또는 제n 매장이 속한 제m 매장 그룹)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드로서, 상기 이벤트 검출부(145)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조작과 연관된 트리거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탑재부(155)는 상기 트리거 신호를 근거로 통신망 상의 프로그램 저장매체(215)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탑재부(155)는 상기 통신망 상의 프로그램 저장매체(215)를 운영하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설치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망 상의 프로그램 저장매체(215)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데이터와 제n 매장 식별 값(또는 제m 매장 그룹 식별 값)이 연결되어 유지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탑재부(155)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로 제n 매장 식별 값(또는 제m 매장 그룹 식별 값)을 제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 탑재부(155)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모드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50)는 상기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100)은,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모드(또는 회원 가입 모드)에서 사용자정보 유지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조회하거나 또는 키 입력 받아 회원정보 유지매체(225)에 유지시키는 회원등록 처리부(16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100)의 USIM(108) 또는 상기 스마트폰(100)이 가입된 통신사 서버에는 상기 스마트폰(100) 사용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여 유지하는 사용자정보 유지매체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회원등록 처리부(16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모드(또는 회원 가입 모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정보 유지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를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회원으로 가입시키기 위해 필요한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정보 유지매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주문/결제를 처리하는 통신망 상의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회원등록 처리부(16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모드(또는 회원 가입 모드) 상태에서 상기 화면 출력부(102)를 통해 상기 사용자를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회원으로 가입시키기 위해 필요한 회원정보를 입력하는 회원 등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회원 등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회원등록 처리부(160)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회원정보를 유지하는 회원정보 유지매체(225)에 저장하여 유지시키다.
여기서, 상기 회원정보 유지매체(225)는 상기 메모리부(113)에 일정한 저장영역을 할당 받아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USIM(108) 상의 사용자정보 유지매체를 공유하여 구현되거나, 상기 통신망 사의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에 구비된 사용자정보 유지매체를 그대로 공유하여 구현되거나,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에 구비된 매장 서버(또는 단말)에 구비된 저장매체에 할당되어 구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상기 회원정보 유지매체(225)가 구현되는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100)은,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기록되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 가능한 P(P≥1)개의 결제수단을 식별하는 결제수단 식별부(165)와, 상기 회원정보 유지매체(225)에 유지된 회원정보를 근거로 상기 P개의 결제수단 중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구현된 p(1≤p≤P)개의 결제수단을 활성화시키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되는 p’(1≤p’≤(P-p))개의 결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하거나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p’개의 결제 프로그램이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되도록 연동하는 결제수단 연동부(170)를 구비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50)는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제 프로그램이 기록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정되는 결제 대상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상기 결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결제 프로그램 간 결제정보가 연동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기록되면, 상기 결제수단 식별부(165)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 가능한 P개의 결제수단을 식별한다.
여기서, 상기 P개의 결제수단은,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에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예컨대,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이 발급하여 충전하고 운영하는 선불카드),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과 제휴된 적어도 하나의 제휴사에서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예컨대,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과 제휴된 선불카드 발급사에서 발급한 선불카드), 신용카드사에서 발급한 후불형 결제수단(예컨대, 신용카드), 금융사에서 발급한 직불형 결제수단(또는 계좌이체 결제수단), 신용카드사와 금융사가 연계하여 발급한 직불형 결제수단(예컨대, 체크카드)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에 구비된 프로그램 저장매체(215)(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메타 정보)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 가능한 P개의 결제수단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결제수단 식별부(165)는 상기 지정된 결제수단을 판별하여 상기 P개의 결제수단에 포함시켜 식별한다.
만약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에 적어도 하나의 결제 모듈(예컨대,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에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을 이용한 결제를 처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 구비된 경우, 상기 결제수단 식별부(165)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구비된 결제 모듈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을 상기 P개의 결제수단에 포함시켜 식별한다.
또한 상기 결제수단 식별부(165)는 적어도 하나의 금융사에게 제공한 뱅킹 모듈(또는 결제 모듈)을 포함하는 결제 프로그램, 또는 적어도 하나의 신용카드사에서 제공한 결제 모듈을 포함하는 결제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지 판별하고,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결제 프로그램이 기록된 경우,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결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을 상기 P개의 결제수단에 포함시켜 식별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기록되고, 상기 회원정보 유지매체(225)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가 유지되면,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170)는 상기 회원정보 유지매체(225)에 유지된 회원정보와 상기 결제수단 식별부(165)를 통해 식별된 P개의 결제수단을 근거로 상기 P개의 결제수단 중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구현된 p개의 결제수단을 활성화시킨다.
만약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에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이 상기 p개의 결제수단에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17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또는 스마트폰(100)의 통신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로 전달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는 상기 회원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불형 결제수단을 발급하거나 또는 기 발급된 선불형 결제수단을 조회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구비된 결제 모듈을 통해 요청되는 선불형 결제수단의 충전/결제 요청이 상기 발급(또는 조회)된 사용자의 선불형 결제수단을 통해 처리되도록 연동시킨다. 예를들어, 상기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또는 스마트폰(100)의 통신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선불형 결제수단 정보와 연결하여 저장매체에 유지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구비된 결제 모듈을 통해 요청되는 선불형 결제수단의 충전/결제 요청이 상기 사용자의 선불형 결제수단을 통해 처리되도록 연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170)는 상기 사용자의 선불형 결제수단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13)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구비된 결제 모듈을 통해 요청되는 선불형 결제수단의 충전/결제 요청이 상기 사용자의 선불형 결제수단을 통해 처리되도록 연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과 제휴된 제휴사에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이 상기 p개의 결제수단에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17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또는 스마트폰(100)의 통신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상기 제휴사의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로 전달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는 상기 회원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불형 결제수단을 발급하거나 또는 기 발급된 선불형 결제수단을 조회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구비된 결제 모듈을 통해 요청되는 선불형 결제수단의 충전/결제 요청이 상기 발급(또는 조회)된 사용자의 선불형 결제수단을 통해 처리되도록 연동시킨다.
또는 상기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이 상기 p개의 결제수단에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17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또는 스마트폰(100)의 통신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상기 금융사 또는 신용카드사의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로 전달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는 상기 회원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을 발급하거나 또는 조회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만약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이 발급되거나 또는 조회되면,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17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구비된 결제 모듈을 통해 요청되는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의 결제 요청이 상기 발급(또는 조회)된 사용자의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을 통해 처리되도록 연동시킨다.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170)는 상기 회원정보 유지매체(225)에 유지된 회원정보와 상기 결제수단 식별부(165)를 통해 식별된 P개의 결제수단을 근거로 상기 P개의 결제수단 중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되는 p’개의 결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시킨다.
만약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에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이 상기 p’의 결제수단에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17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또는 스마트폰(100)의 통신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로 전달하며, 상기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에서 상기 회원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불형 결제수단을 발급하거나 또는 기 발급된 선불형 결제수단을 조회한 후 이에 대응하는 결제 모듈을 포함하는 결제 프로그램을 전송하면,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170)는 상기 결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시킨다.
또는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과 제휴된 제휴사에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이 상기 p’의 결제수단에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17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또는 스마트폰(100)의 통신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상기 제휴사의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로 전달하며, 상기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에서 상기 회원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불형 결제수단을 발급하거나 또는 기 발급된 선불형 결제수단을 조회한 후 이에 대응하는 결제 모듈을 포함하는 결제 프로그램을 전송하면,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170)는 상기 결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시킨다.
또는 상기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이 상기 p’의 결제수단에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17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또는 스마트폰(100)의 통신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상기 금융사 또는 신용카드사의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로 전달하며, 상기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에서 상기 회원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을 발급하거나 또는 조회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만약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이 발급되거나 또는 조회되면, 상기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는 상기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 모듈을 포함하는 결제 프로그램을 전송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170)는 상기 결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시킨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결제 프로그램이 기록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 기록된 결제 프로그램이 확인되면,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170)는 상기 회원정보 유지매체(225)에 유지된 회원정보와 상기 결제수단 식별부(165)를 통해 식별된 P개의 결제수단을 근거로 상기 P개의 결제수단 중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p’개의 결제 프로그램이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되도록 연동시킨다.
만약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에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이 상기 p’개의 결제수단에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17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또는 스마트폰(100)의 통신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로 전달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는 상기 회원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불형 결제수단을 발급하거나 또는 기 발급된 선불형 결제수단을 조회하고, 상기 결제 프로그램에 구비된 결제 모듈을 통해 요청되는 선불형 결제수단의 충전/결제 요청이 상기 사용자의 선불형 결제수단을 통해 처리되도록 연동시킨다.
또는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과 제휴된 제휴사에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이 상기 p’개의 결제수단에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17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또는 스마트폰(100)의 통신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상기 제휴사의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로 전달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는 상기 회원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불형 결제수단을 발급하거나 또는 기 발급된 선불형 결제수단을 조회하고, 상기 결제 프로그램에 구비된 결제 모듈을 통해 요청되는 선불형 결제수단의 충전/결제 요청이 상기 사용자의 선불형 결제수단을 통해 처리되도록 연동시킨다.
또는 상기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이 상기 p’개의 결제수단에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17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또는 스마트폰(100)의 통신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상기 금융사 또는 신용카드사의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로 전달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는 상기 회원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을 발급하거나 또는 조회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만약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이 발급되거나 또는 조회되면,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170)는 상기 결제 프로그램에 구비된 뱅킹 모듈(또는 결제 모듈)을 통해 요청되는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의 결제 요청이 상기 사용자의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을 통해 처리되도록 연동시킨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구현된 p(1≤p≤P)개의 결제수단이 활성화되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되는 p’개의 결제 프로그램이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되도록 연동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5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구비된 주문 모듈의 주문 처리와 연동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결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결제 대상 결제수단이 지정되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결제 대상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결제 프로그램으로 상기 주문 처리에 대응하는 결제정보가 전달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50)는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 간 통신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주문 처리 과정에서 결정된 결제정보를 상기 결제 프로그램으로 공유하여 전달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결제 프로그램이 상기 공유 전달된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문 처리에 대응하는 결제를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5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주문 처리 과정에서 결정한 결제정보를 상기 결제 프로그램이 실행 과정에서 자동으로 로딩하거나 또는 매크로 형태로 로딩하는 파일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결제 프로그램이 참조하는 메모리 저장영역에 저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결제 프로그램이 상기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로딩하여 상기 주문 처리에 대응하는 결제를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5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주문 처리 과정에서 결정한 결제정보를 상기 결제 프로그램이 참조하는 데이터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결제 프로그램이 참조하는 통신망 상의 매체에 저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결제 프로그램이 상기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주문 처리에 대응하는 결제를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스마트폰(100)과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스마트폰(100)으로 사용자가 입객했거나 또는 입객 예정인 제n 매장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을 로딩시키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는, 상기 N개의 매장에 대한 매장 위치 좌표 값과 상기 N개의 매장에서 구동될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을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하고,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프로그램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매장 위치 좌표 값과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을 제공하는 매체 운영수단(205)을 구비하며, 상기 N개의 매장에 대한 매장 위치 좌표 값은 상기 N개의 매장을 식별하는 N개의 매장 식별 값과 함께 매체에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스마트폰(100)의 최종 위치 좌표 값(또는 위치 상태 값)이 수신되면, 상기 매체 운영수단(205)은 상기 최종 위치 좌표 값(또는 위치 상태 값)과 매체에 유지된 N(N≥1)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을 비교하여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i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또는 매장 식별 값)을 확인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제공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i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과 연결된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프로그램으로부터 사용자가 입객했거나 또는 입객 예정인 제n 매장 위치 좌표 값(또는 제n 매장 식별 값)이 수신되면, 상기 매체 운영수단(205)은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n 매장 위치 좌표 값(또는 제n 매장 식별 값)과 연결된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을 확인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제공한다.
만약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로딩하는 이벤트 식별 값이 각 애플리케이션 별로 다른 경우, 상기 매체 운영수단(205)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과 상기 이벤트 식별 값을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매체 운영수단(205)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에 상기 이벤트 식별 값을 첨부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는, N개의 매장에 대한 매장 위치 좌표 값과 상기 N개의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속한 M(M≥1)개의 매장 그룹 식별 값과 상기 M개의 각 매장 그룹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을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하고,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프로그램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매장 위치 좌표 값과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을 제공하는 매체 운영수단(205)을 구비하며, 상기 N개의 매장에 대한 매장 위치 좌표 값은 상기 N개의 매장을 식별하는 N개의 매장 식별 값과 함께 매체에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스마트폰(100)의 최종 위치 좌표 값(또는 위치 상태 값)이 수신되면, 상기 매체 운영수단(205)은 상기 최종 위치 좌표 값(또는 위치 상태 값)과 매체에 유지된 N(N≥1)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을 비교하여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i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또는 매장 식별 값, 또는 매장 그룹 식별 값)을 확인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제공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i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과 연결된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프로그램으로부터 사용자가 입객했거나 또는 입객 예정인 제n 매장 위치 좌표 값(또는 제n 매장 식별 값, 또는 제m 매장 그룹 식별 값)이 수신되면, 상기 매체 운영수단(205)은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n 매장 위치 좌표 값(또는 제n 매장 식별 값, 또는 제m 매장 그룹 식별 값)과 연결된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을 확인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제공한다.
만약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로딩하는 이벤트 식별 값이 각 애플리케이션 별로 다른 경우, 상기 매체 운영수단(205)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과 상기 이벤트 식별 값을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에 상기 이벤트 식별 값을 첨부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매체는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의 매체 운영수단(205)은 생략 가능하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과 애플리케이션 설치 데이터를 연결하여 프로그램 저장매체(215)에 유지하고,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과 연결된 애플리케이션 설치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수단(21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데이터는 제n 매장 식별 값(또는 제m 매장 그룹 식별 값)과 연결하여 상기 프로그램 저장매체(215)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수단(210)은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제n 매장 식별 값(또는 제m 매장 그룹 식별 값)을 수심함에 의해 이와 연결된 애플리케이션 설치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는,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데이터가 제공됨과 연계하여 사용자정보 유지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조회하거나 또는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통해 키 입력된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수신하여 회원정보 유지매체(225)에 유지시키는 회원등록 처리수단(220)을 구비한다.
상기 회원등록 처리수단(220)은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데이터가 제공됨과 연계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의 USIM(108) 또는 상기 스마트폰(100)이 가입된 통신사 서버에 구비된 사용자정보 유지매체로부터 상기 스마트폰(100)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사용자를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회원으로 가입시키기 위해 필요한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스마트폰(100) 사용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의 회원으로 가입한 경우, 상기 회원등록 처리수단(22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의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 유지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를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회원으로 가입시키기 위해 필요한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통해 회원 등록 인터페이스가 출력되고, 상기 회원 등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를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회원으로 가입시키기 위해 필요한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회원등록 처리수단(220)은 상기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상기 입력된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를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회원으로 가입시키기 위해 필요한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회원등록 처리수단(220)은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회원정보를 유지하는 회원정보 유지매체(225)에 저장하여 유지시키다.
여기서, 상기 회원정보 유지매체(225)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 내에 구현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13)(또는 USIM(108))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에 구비된 매장 서버(또는 단말)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회원정보 유지매체(225)가 구현되는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는,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제공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 가능한 P(P≥1)개의 결제수단을 식별하는 결제수단 식별수단(230)과, 상기 회원정보 유지매체(225)에 유지된 회원정보를 근거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 가능한 P(P≥1)개의 결제수단 중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구현된 p(0≤p≤P)개의 결제수단을 활성화시키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되는 p’(0≤p’≤(P-p))개의 결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하거나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p’개의 결제 프로그램이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되도록 연동하는 결제수단 연동수단(235)을 구비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수단(210)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면, 상기 결제수단 식별수단(230)은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제공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 가능한 P개의 결제수단을 식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 저장매체(215)(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메타 정보)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 가능한 P개의 결제수단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결제수단 식별수단(230)은 상기 지정된 결제수단을 판별하여 상기 P개의 결제수단에 포함시켜 식별한다.
만약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에 적어도 하나의 결제 모듈(예컨대,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에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을 이용한 결제를 처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 구비된 경우, 상기 결제수단 식별수단(23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구비된 결제 모듈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을 상기 P개의 결제수단에 포함시켜 식별한다.
또한 상기 결제수단 식별수단(230)은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적어도 하나의 금융사에게 제공한 뱅킹 모듈(또는 결제 모듈)을 포함하는 결제 프로그램, 또는 적어도 하나의 신용카드사에서 제공한 결제 모듈을 포함하는 결제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지 판별하고,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결제 프로그램이 기록된 경우,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결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을 상기 P개의 결제수단에 포함시켜 식별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수단(210)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고, 상기 회원정보 유지매체(225)에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가 유지되면, 상기 결제수단 연동수단(235)은 상기 회원정보 유지매체(225)에 유지된 회원정보와 상기 결제수단 식별부(165)를 통해 식별된 P개의 결제수단을 근거로 상기 P개의 결제수단 중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구현된 p개의 결제수단을 활성화시킨다.
만약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에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이 상기 p개의 결제수단에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수단 연동수단(235)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또는 스마트폰(100)의 통신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로 전달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구비된 결제 모듈을 통해 요청되는 선불형 결제수단의 충전/결제 요청이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에서 발급한 사용자의 선불형 결제수단을 통해 처리되도록 연동시킨다.
또는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과 제휴된 제휴사에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이 상기 p개의 결제수단에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수단 연동수단(235)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또는 스마트폰(100)의 통신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상기 제휴사의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로 전달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구비된 결제 모듈을 통해 요청되는 선불형 결제수단의 충전/결제 요청이 상기 제휴사에서 발급한 사용자의 선불형 결제수단을 통해 처리되도록 연동시킨다.
또는 상기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이 상기 p개의 결제수단에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수단 연동수단(235)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또는 스마트폰(100)의 통신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상기 금융사 또는 신용카드사의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로 전달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는 상기 회원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을 발급하거나 또는 조회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만약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이 발급되거나 또는 조회되면, 상기 결제수단 연동수단(235)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구비된 결제 모듈을 통해 요청되는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의 결제 요청이 상기 발급(또는 조회)된 사용자의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을 통해 처리되도록 연동시킨다.
상기 결제수단 연동수단(235)은 상기 회원정보 유지매체(225)에 유지된 회원정보와 상기 결제수단 식별부(165)를 통해 식별된 P개의 결제수단을 근거로 상기 P개의 결제수단 중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되는 p’개의 결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시킨다.
만약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에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이 상기 p’의 결제수단에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수단 연동수단(235)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또는 스마트폰(100)의 통신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로 전달하며, 상기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는 상기 회원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불형 결제수단을 발급하거나 또는 기 발급된 선불형 결제수단을 조회한 후 이에 대응하는 결제 모듈을 포함하는 결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는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과 제휴된 제휴사에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이 상기 p’의 결제수단에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수단 연동수단(235)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또는 스마트폰(100)의 통신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상기 제휴사의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로 전달하며, 상기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는 상기 회원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불형 결제수단을 발급하거나 또는 기 발급된 선불형 결제수단을 조회한 후 이에 대응하는 결제 모듈을 포함하는 결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는 상기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이 상기 p’의 결제수단에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수단 연동수단(235)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또는 스마트폰(100)의 통신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상기 금융사 또는 신용카드사의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로 전달하며, 상기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에서 상기 회원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을 발급하거나 또는 조회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만약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이 발급되거나 또는 조회되면, 상기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는 상기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 모듈을 포함하는 결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결제 프로그램이 기록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 기록된 결제 프로그램이 확인되면, 상기 결제수단 연동수단(235)은 상기 회원정보 유지매체(225)에 유지된 회원정보와 상기 결제수단 식별부(165)를 통해 식별된 P개의 결제수단을 근거로 상기 P개의 결제수단 중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p’개의 결제 프로그램이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되도록 연동시킨다.
만약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에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이 상기 p’개의 결제수단에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수단 연동수단(235)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또는 스마트폰(100)의 통신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로 전달하여 상기 결제 프로그램에 구비된 결제 모듈을 통해 요청되는 선불형 결제수단의 충전/결제 요청이 상기 사용자의 선불형 결제수단을 통해 처리되도록 연동시킨다.
또는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과 제휴된 제휴사에 발급한 선불형 결제수단이 상기 p’개의 결제수단에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수단 연동수단(235)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또는 스마트폰(100)의 통신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상기 제휴사의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로 전달하여 상기 결제 프로그램에 구비된 결제 모듈을 통해 요청되는 선불형 결제수단의 충전/결제 요청이 상기 사용자의 선불형 결제수단을 통해 처리되도록 연동시킨다.
또는 상기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이 상기 p’개의 결제수단에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수단 연동수단(235)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또는 스마트폰(100)의 통신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상기 금융사 또는 신용카드사의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로 전달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는 상기 회원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을 발급하거나 또는 조회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만약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이 발급되거나 또는 조회되면, 상기 결제수단 연동수단(235)은 상기 결제 프로그램에 구비된 뱅킹 모듈(또는 결제 모듈)을 통해 요청되는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의 결제 요청이 상기 사용자의 직불형 결제수단 또는 후불형 결제수단을 통해 처리되도록 연동시킨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스마트폰(100) 사용자가 입객한(또는 입객 예정인) 매장을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스마트폰(100)의 위치 측위모듈(112)을 통해 주기적으로 측위된 위치 좌표 값 중 최종 위치 좌표 값을 근거로 N개의 매장 중 스마트폰(100) 사용자가 입객했거나 또는 입객 예정인 제n 매장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매장 확인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매체 확인부(또는 매체 운영수단(205))은 상기 N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을 매체에 유지한다(300). 상기 매장 위치 좌표 값은 매장 식별 값과 연결되어 매체에 유지될 수 있으며, 각 매장이 속한 매장 그룹 식별 값과 연결되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과 연결되어 매체에 유지될 수 있다.
상기 N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이 상기 매체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최종 위치 확인부(120)는 위치 측위모듈(112)을 통해 주기적으로 측위되는 스마트폰(100)의 위치 좌표 중 마지막으로 측위된 최종 위치 좌표 값을 확인하여 유지한다(305).
만약 상기 최종 위치 좌표 값이 확인/유지되는 동안(310), 상기 최종 위치 확인부(120)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최종 위치 좌표 값에 대응하는 위치 상태 값을 확인하여 유지할 수 있으며(315), 상기 최종 위치 좌표 값을 통해 최단 동선 연결이 가능한 제n 매장을 결정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위치 상태 값을 확인하여 유지하지 않아도 무방하다(320).
상기 매장 위치 확인부(125)는 상기 매체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100)의 최종 위치 좌표 값과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i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을 확인한다(325).
만약 상기 i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이 확인되면(330), 상기 매장 결정부(130)는 상기 i개의 매장 중 상기 스마트폰(100)의 최종 위치(또는 위치 상태 값)을 통해 지리정보 상에서 최단 동선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을 상기 사용자가 입객했거나 또는 입객 예정인 제n 매장으로 결정하며(335), 상기 제n 매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프로그램 구성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동되어 실행되는 동안 반복된다(340).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스마트폰(100) 사용자의 입객한(또는 입객 예정인)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을 로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스마트폰(100)에서 사용자가 입객한(또는 입객 예정인) 제n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을 로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로딩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 확인부(또는 매체 운영수단(205))은 상기 N개의 매장(또는 M개의 매장 그룹)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을 매체에 유지한다(400).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은 매장 위치 좌표 값, 매장 식별 값, 매장 그룹 식별 값과 연결되어 매체에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로딩하는 이벤트 값을 식별하는 이벤트 식별 값과 연결되어 매체에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입객했거나 또는 입객 예정인 제n 매장이 확인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확인부(135)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제n 매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405).
만약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제n 매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되어 있다면(410),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를 활성화한다(415).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420), 상기 이벤트 검출부(145)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이벤트 식별 값에 대응하는 이벤트 값이 검출되는지 확인하고(425), 만약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이벤트 값이 검출되면(430),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50)는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로딩한다(435).
반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제n 매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면(410),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0)는 통신망 상의 프로그램 저장매체(215)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하는 애플리케이션 설치 모드를 활성화한다(440).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445), 상기 이벤트 검출부(145)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이벤트 식별 값에 대응하는 이벤트 값이 검출되는지 확인하고(450), 만약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이벤트 값이 검출되면(455), 상기 애플리케이션 탑재부(155)는 상기 이벤트 값에 반응하여 통신망 상의 프로그램 저장매체(215)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하고, 상기 회원등록 처리부(160)는 상기 사용자를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회원으로 가입시키고,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17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 가능한 P개의 결제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동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스마트폰(100) 사용자의 입객한(또는 입객 예정인)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탑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스마트폰(100)에서 사용자가 입객한(또는 입객 예정인) 제n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탑재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를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회원으로 가입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탑재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스마트폰(100)의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제n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이벤트 값이 검출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탑재부(155)는 통신망 상의 프로그램 저장매체(215)에 유지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도록 요청하고(500),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수단(210)은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상기 프로그램 저장매체(215)에 유지된 애플리케이션의 제공 여부를 결정한다(505). 예를들어,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수단(210)은 상기 스마트폰(100)이 상기 제n 매장에 입객한 상태에서 상기 제n 매장에 구비된 접속 포인트(25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거나, 또는 상기 스마트폰(100)이 상기 제n 매장에 입객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선망 통신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면(510),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수단(210)은 상기 프로그램 저장매체(215)에 유지된 애플리케이션 설치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제공하고(5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탑재부(155)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한다(520).
만약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되면(525), 상기 애플리케이션 탑재부(155)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모드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로 전환시킨다(530).
한편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경우(510), 상기 회원등록 처리수단(22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정보 유지매체로부터 상기 스마트폰(100)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조회하고(535), 만약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가 조회되면(540),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제공하며(54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회원등록 처리부(160)는 상기 회원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회원 가입 동의를 요청한다(550).
만약 상기 사용자가 상기 회원 가입에 동의하면(555), 상기 회원등록 처리부(160)(또는 회원등록 처리수단(220))은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회원정보 유지매체(225)에 유지시키며(560),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수단(210)은 상기 프로그램 저장매체(215)에 유지된 애플리케이션 설치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제공하고(5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탑재부(155)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한다(520).
도면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스마트폰(100) 사용자의 입객한(또는 입객 예정인)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탑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스마트폰(100)의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제n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이벤트 값이 검출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탑재부(155)는 통신망 상의 프로그램 저장매체(215)에 유지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도록 요청하고(600),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수단(210)은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상기 프로그램 저장매체(215)에 유지된 애플리케이션의 제공 여부를 결정한다(605).
만약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면(610), 상기 회원등록 처리부(160)는 사용자의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회원 가입 동의를 요청한다(615). 만약 상기 사용자가 상기 회원 가입에 동의하면(620), 상기 회원등록 처리부(160)는 회원 등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입력 처리한다(620).
만약 상기 회원정보가 입력되면(630), 상기 회원등록 처리부(160)(또는 회원등록 처리수단(220))은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회원정보 유지매체(225)에 유지시키며(635),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수단(210)은 상기 프로그램 저장매체(215)에 유지된 애플리케이션 설치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제공하고(64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탑재부(155)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한다(645).
만약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되면(650), 상기 애플리케이션 탑재부(155)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모드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로 전환시킨다(655).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스마트폰(100) 사용자가 입객한(또는 입객 예정인) 매장의 애플리케이션과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연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상기 도면5 또는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스마트폰(100)에 입객한(또는 입객 예정인) 제n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탑재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회원으로 가입되면,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 모듈을 구매한 애플리케이션(또는 결제 프로그램)을 상기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에 이용할 수 있도록 연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결제수단 연동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스마트폰(100)에 입객한(또는 입객 예정인) 제n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탑재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회원으로 가입되면, 상기 결제수단 식별부(165)(또는 결제수단 식별수단(23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 가능한 P개의 결제수단을 식별한다(700).
만약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 가능한 P개의 결제수단이 식별되면(705),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170)(또는 결제수단 연동수단(235))는 상기 P개의 결제수단 중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구현된 p개의 결제수단을 확인하고(710), 상기 p개의 결제수단이 확인되면(715), 상기 회원정보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구현된 p개의 결제수단을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킨다(720).
또한 상기 결제수단 연동부(170)(또는 결제수단 연동수단(235))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되는 결제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p’개의 결제수단을 확인하고(725), 상기 p’개의 결제수단이 확인되면(730), 상기 회원정보를 상기 p’개의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 운영 서버(240)로 제공하여 상기 p’개의 결제수단을 발급(또는 조회)하고(735), 상기 p’개의 결제수단이 발급(또는 조회)되면(740), 상기 p’개의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의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p’개의 결제 프로그램을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동시킨다(745).
115 : 매체 유지부 120 : 최종 위치 확인부
125 : 매장 위치 확인부 130 : 매장 결정부
135 : 애플리케이션 확인부 140 : 애플리케이션 운용부
145 : 이벤트 검출부 150 : 애플리케이션 제어부
155 : 애플리케이션 탑재부 160 : 회원등록 처리부
165 : 결제수단 식별부 170 : 결제수단 연동부

Claims (8)

  1. 위치측위모듈을 구비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측위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의 위치를 측위한 위치 좌표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측위된 스마트폰의 위치 좌표에 대한 지리정보 상의 위치 상태를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상태에 근거한 위치 좌표에서 N(N≥1)개의 매장 중 지정된 각 매장의 위치까지 이동하기 위해 산출된 이동경로를 연결한 동선 거리가 기 설정된 순위 이내의 짧은 동선 거리를 포함하는 i(i≥1)개의 매장을 확인하는 제3 단계;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상태와 상기 동선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i개의 매장 중 사용자가 입객 했거나 입객 예정인 어느 한 제n(1≤n≤N) 매장이 결정되게 처리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n 매장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선 거리는,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와 각 매장 위치를 직선 연결한 거리가 아니라 지리정보 상의 이동경로를 연결하여 산출되는 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상태는,
    상기 측위된 스마트폰의 위치 좌표가 지리정보 상에서 차도 이동, 인도 이동, 차도 양측 인도 중 어느 일 측 인도 이동, 건물 내부, 건물 외부 중 어느 상태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상태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리정보에 상기 측위된 하나 이상의 위치 좌표를 대응시켜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상태가 차도 이동, 인도 이동, 차도 양측 인도 중 어느 일 측 인도 이동, 건물 내부, 건물 외부 중 어느 위치 상태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에 대응하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을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스마트폰 내에 설치된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 내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값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활성화되어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로딩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제n 매장의 주문 처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제5a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해 상기 제n 매장의 주문 처리 시, 상기 제n 매장의 주문 처리에 대응하는 주문 결제를 위한 결제정보를 확인하는 제5b 단계; 및
    상기 주문 결제에 이용 가능한 P(P≥1)개의 결제수단 중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5c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P개의 결제수단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이용 가능한 p(1≤p≤P)개의 결제수단과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p'(1≤p'≤(P-p))개의 결제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결제수단을 하나 이상의 결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5c 단계는,
    상기 주문 결제를 별도의 결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처리하는 경우,
    상기 결제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결제 프로그램으로 상기 결제정보를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
KR1020170029380A 2017-03-08 2017-03-08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 KR101852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380A KR101852934B1 (ko) 2017-03-08 2017-03-08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380A KR101852934B1 (ko) 2017-03-08 2017-03-08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692A Division KR20120009853A (ko) 2010-07-21 2010-07-21 최단 동선 연결을 이용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연동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121A KR20170031121A (ko) 2017-03-20
KR101852934B1 true KR101852934B1 (ko) 2018-05-02

Family

ID=58503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380A KR101852934B1 (ko) 2017-03-08 2017-03-08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9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7859A (ja) 2006-10-23 2010-03-11 サイバーテック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個人携帯端末を利用した観光案内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7859A (ja) 2006-10-23 2010-03-11 サイバーテック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個人携帯端末を利用した観光案内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121A (ko) 201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232801B (zh) 一种电子交易的方法及终端
KR101754852B1 (ko) 역방향 주문결제 방법
CN105074745A (zh) 用于控制支付装置以选择支付手段的方法
KR20140100840A (ko) 그룹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14046A (ko) 근거리 통신 기능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상태에 따른 정보 전달 및 금융 거래 방법, 사용자 단말 및 시스템
KR20140026976A (ko) 매장 단말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9621231B2 (en) System, an apparatus, a device, a computer program and a method for device with short range communication capabilities
KR101696441B1 (ko) 매장 주문 제어 방법
KR101247965B1 (ko) 차량용 엔에프씨를 이용한 비용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101790784B1 (ko) 매장 주문 제어 방법
KR101754398B1 (ko) 스마트폰의 자원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
CN104978652A (zh) 一种数据转移方法及相关设备、系统
KR101852934B1 (ko) 동선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
KR101715934B1 (ko) 매장 그룹에 대한 주문 처리 방법
KR101803524B1 (ko) 동선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로딩 방법
KR20120009853A (ko) 최단 동선 연결을 이용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연동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KR101703341B1 (ko) 매장 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89780B1 (ko) 매장 주문 처리 방법
KR101754402B1 (ko) 상태 판별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로딩 방법
KR101597306B1 (ko) 결제 단말 장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모바일 단말 장치, 결제 중계 서버 및 그들의 제어 방법
KR101852933B1 (ko) 근거리 무선 신호를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
KR20170040169A (ko) 애플리케이션 기반 주문 서비스의 선택적 인센티브 제공 방법
KR101760097B1 (ko) 픽셀 매트릭스 판별을 이용한 매장 주문 제어 방법
KR101789786B1 (ko) 매장 그룹에 대한 주문 처리 방법
KR20120008159A (ko) 주문 히스토리를 통한 자동 주문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