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159A - 주문 히스토리를 통한 자동 주문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주문 히스토리를 통한 자동 주문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159A
KR20120008159A KR1020100068848A KR20100068848A KR20120008159A KR 20120008159 A KR20120008159 A KR 20120008159A KR 1020100068848 A KR1020100068848 A KR 1020100068848A KR 20100068848 A KR20100068848 A KR 20100068848A KR 20120008159 A KR20120008159 A KR 20120008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store
application
histo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5325B1 (ko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00068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32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1Request for offers or quo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문 히스토리를 통한 자동 주문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애플리케이션 기반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N(N≥1)개의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속한 M(M≥1)개의 매장 그룹과 연관된 K(K≥M)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N개의 각 매장으로 주문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주문 정보를 구성해나가는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 히스토리 생성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매체에 유지하는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와, 상기 스마트폰이 제n(1≤n≤N) 매장에 입객하여 제k(1≤k≤K)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i(i≥1)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는 주문 히스토리 확인부와,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j≥1)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일정 기간 동안의 주문 횟수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추출하는 히스토리 값 추출부와,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 상의 j개의 히스토리 항목에 상기 추출된 각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자동 입력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출력부와,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동 입력되거나 변경된 j개의 주문 값을 조합하여 자동 주문 정보를 구성하는 주문 정보 구성부와, 상기 구성된 자동 주문 정보를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제공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주문을 접수시키는 주문 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히스토리 값 추출부는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j≥1)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주문 일시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을 추출하고, 인터페이스 출력부는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 상의 j개의 히스토리 항목에 상기 추출된 각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을 자동 입력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문 히스토리를 통한 자동 주문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Method for Automatic Ordering Using Order History, Mobile Device and Program}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매장에서 상품을 주문 요청했던 주문 히스토리를 생성하여 매체에 유지한 후,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특정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주문 히스토리에 포함된 각 히스토리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근거로 상기 특정 매장의 주문 요청을 자동화하는 방법과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패스트푸드점과 커피전문점들은 수없이 밀려드는 다수의 주문을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POS 단말을 기준으로 매장 주문 시스템의 일정 부분이 자동화되어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소위 “진동벨”이라고 하는 주문식별장치를 주무고객에게 지급하여 주문된 상품의 제조가 완료됨과 동시에 주문식별장치를 통해 고객에게 주문상품을 인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패스트푸드점과 커피전문점과 같은 매장에서 주문에 소요되는 시간은 전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일례로 커피전문점에서 주문을 하는 경우, 고객은 먼저 자신이 주문할 커피의 종류를 선택한다. 그러나 단지 커피종류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주문이 완료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고객은 점원에게 주문한 커피의 개수를 정확히 전달해야 하고, 아울러 커피의 사이즈(예컨대, 스몰 또는 레귤러)를 명확하게 전달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커피주문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만약 상기 커피전문점에서 고객을 대상으로 이벤트를 제공하고 있자면, 상기 고객은 점원의 질문에 대답하여 상기 이벤트에 참가해야 한다. 또한 상기 고객이 상기 커피전문점의 제휴 카드(또는 할인 카드)를 소지하고 있다면, 상기 고객은 상기 점원에게 상기 제휴 카드(또는 할인 카드)를 제시해야 하며, 현금 결제의 경우 현금영수증의 수취 여부를 결정하고, 필요에 따라 현금영수증 발급 식별 정보를 점원에게 전달해야 한다. 이와 같은 복잡한 주문절차가 매 고객들에게 반복됨으로 인해 커피주문에 소요되는 시간은 전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는 방법으로 고객이 이전에 주문했던 주문상품이 무엇인지 저장한 후, 동일한 상품을 반복 주문하는 방안이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전 주문상품이 무엇인지 정도만 가지고는 상술된 바와 같은 복잡한 주문절차를 간소화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애플리케이션 기반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N(N≥1)개의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속한 M(M≥1)개의 매장 그룹과 연관된 K(K≥M)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N개의 각 매장으로 주문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주문 정보를 구성해나가는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여 매체에 유지한 후, 상기 스마트폰이 제n(1≤n≤N) 매장에 입객하여 제k(1≤k≤K)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경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i(i≥1)개의 주문 히스토리에 포함된 각 히스토리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근거로 상기 제n 매장의 주문 요청을 자동화하는 방법과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애플리케이션 기반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N(N≥1)개의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속한 M(M≥1)개의 매장 그룹과 연관된 K(K≥M)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N개의 각 매장으로 주문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주문 정보를 구성해나가는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 히스토리 생성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매체에 유지하는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와, 상기 스마트폰이 제n(1≤n≤N) 매장에 입객하여 제k(1≤k≤K)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i(i≥1)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는 주문 히스토리 확인부와,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j≥1)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일정 기간 동안의 주문 횟수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추출하는 히스토리 값 추출부와,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 상의 j개의 히스토리 항목에 상기 추출된 각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자동 입력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출력부와,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동 입력되거나 변경된 j개의 주문 값을 조합하여 자동 주문 정보를 구성하는 주문 정보 구성부와, 상기 구성된 자동 주문 정보를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제공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주문을 접수시키는 주문 처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애플리케이션 기반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N(N≥1)개의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속한 M(M≥1)개의 매장 그룹과 연관된 K(K≥M)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N개의 각 매장으로 주문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주문 정보를 구성해나가는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 히스토리 생성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매체에 유지하는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와, 상기 스마트폰이 제n(1≤n≤N) 매장에 입객하여 제k(1≤k≤K)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i(i≥1)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는 주문 히스토리 확인부와,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j≥1)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주문 일시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을 추출하는 히스토리 값 추출부와,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 상의 j개의 히스토리 항목에 상기 추출된 각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을 자동 입력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출력부와,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동 입력되거나 변경된 j개의 주문 값을 조합하여 자동 주문 정보를 구성하는 주문 정보 구성부와, 상기 구성된 자동 주문 정보를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제공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주문을 접수시키는 주문 처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주문 히스토리 생성부는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의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j개의 주문 값을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로 조합하여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j개의 주문 값을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로 분해 후 조합하여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는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주문 정보를 구성한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와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하고, 상기 주문 히스토리 확인부는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와 연결된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는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주문 정보의 주문처에 대응하는 매장이 속한 매장 그룹 식별 데이터와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하고, 상기 주문 히스토리 확인부는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제m(1≤m≤M) 매장 그룹 식별 데이터와 연결된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j개의 주문 값은 상품 식별 값, 상기 상품에 대한 크기 식별 값, 상태 식별 값, 개수 식별 값, 용기 식별 값, 금액 식별 값, 쿠폰 사용 식별 값, 포인트 적립/사용 식별 값, 영수증 발급 식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는 상기 j개의 주문 값을 설정하는 t(t≥1)개의 주문 인터페이스를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통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N개의 매장을 식별하는 N개의 매장 식별 데이터와 상기 N개의 매장의 위치 좌표 값을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하는 매체 유지부와,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위치 측위모듈을 통해 주기적으로 측위된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좌표 중 마지막 위치 좌표 값을 확인하는 위치 상태 확인부와, 상기 스마트폰의 마지막 위치 좌표 값과 상기 매체에 유지된 N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을 비교하여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매장 위치 좌표 값 중 지리정보 상에서 사용자의 최단 동선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을 스마트폰 사용자가 입객 가능한 매장으로 확인하는 매장 확인부와,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과 상기 확인된 매장에 구비된 접속 포인트 사이의 무선 주파수 신호 특성을 근거로 상기 스마트폰 사용자가 입객한 제n 매장을 확인하는 매장 입객 확인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N개의 매장을 식별하는 N개의 매장 식별 데이터와 상기 N개의 매장에 구비된 접속 포인트를 식별하는 N개의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를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하는 매체 유지부와,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검출된 일정 거리 이내의 위치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포인트에 대한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를 획득하는 위치 상태 확인부와, 상기 획득된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와 상기 매체에 유지된 N개의 매장의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접속 가능한 접속 포인트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을 스마트폰 사용자가 입객 가능한 매장으로 확인하는 매장 확인부와,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과 상기 확인된 매장에 구비된 접속 포인트 사이의 무선 주파수 신호 특성을 근거로 상기 스마트폰 사용자가 입객한 제n 매장을 확인하는 매장 입객 확인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N개의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속한 M(M≥1)개의 매장 그룹 식별 데이터와 상기 M개의 매장 그룹과 연관된 K(K≥M)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K개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를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하는 매체 유지부와,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N개의 매장 중 제n(1≤n≤N) 매장에 입객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n 매장이 속한 제m(1≤m≤M) 매장 그룹 식별 데이터와 연결된 제k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k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애플리케이션 확인부와,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스마트폰의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경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하는 애플리케이션 설치 모드를 활성화하는 애플리케이션 운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스마트폰에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을 애플리케이션 기반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N(N≥1)개의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속한 M(M≥1)개의 매장 그룹과 연관된 K(K≥M)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N개의 각 매장으로 주문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주문 정보를 구성해나가는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 히스토리 생성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매체에 유지하는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와, 상기 스마트폰이 제n(1≤n≤N) 매장에 입객하여 제k(1≤k≤K)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i(i≥1)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는 주문 히스토리 확인부와,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j≥1)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일정 기간 동안의 주문 횟수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추출하는 히스토리 값 추출부와,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 상의 j개의 히스토리 항목에 상기 추출된 각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자동 입력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출력부와,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동 입력되거나 변경된 j개의 주문 값을 조합하여 자동 주문 정보를 구성하는 주문 정보 구성부와, 상기 구성된 자동 주문 정보를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제공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주문을 접수시키는 주문 처리부로서 동작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스마트폰에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을, 애플리케이션 기반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N(N≥1)개의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속한 M(M≥1)개의 매장 그룹과 연관된 K(K≥M)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N개의 각 매장으로 주문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주문 정보를 구성해나가는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 히스토리 생성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매체에 유지하는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와, 상기 스마트폰이 제n(1≤n≤N) 매장에 입객하여 제k(1≤k≤K)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i(i≥1)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는 주문 히스토리 확인부와,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j≥1)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주문 일시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을 추출하는 히스토리 값 추출부와,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 상의 j개의 히스토리 항목에 상기 추출된 각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을 자동 입력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출력부와,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동 입력되거나 변경된 j개의 주문 값을 조합하여 자동 주문 정보를 구성하는 주문 정보 구성부와, 상기 구성된 자동 주문 정보를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제공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주문을 접수시키는 주문 처리부로서 동작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주문 히스토리를 통한 자동 주문 방법은, 애플리케이션 기반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N(N≥1)개의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속한 M(M≥1)개의 매장 그룹과 연관된 K(K≥M)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N개의 각 매장으로 주문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주문 정보를 구성해나가는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매체에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이 제n(1≤n≤N) 매장에 입객하여 제k(1≤k≤K)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i(i≥1)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j≥1)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일정 기간 동안의 주문 횟수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 상의 j개의 히스토리 항목에 상기 추출된 각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자동 입력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동 입력되거나 변경된 j개의 주문 값을 조합하여 자동 주문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된 자동 주문 정보를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제공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주문을 접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문 히스토리를 통한 자동 주문 방법은, 애플리케이션 기반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N(N≥1)개의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속한 M(M≥1)개의 매장 그룹과 연관된 K(K≥M)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N개의 각 매장으로 주문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주문 정보를 구성해나가는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매체에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이 제n(1≤n≤N) 매장에 입객하여 제k(1≤k≤K)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i(i≥1)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j≥1)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주문 일시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 상의 j개의 히스토리 항목에 상기 추출된 각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을 자동 입력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동 입력되거나 변경된 j개의 주문 값을 조합하여 자동 주문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된 자동 주문 정보를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제공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주문을 접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스트푸드점과 커피전문점과 같이 주문절차가 복잡한 매장에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상기 매장에 입객한 상태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상기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이전 주문절차에 대응하는 주문 히스토리를 근거로 복잡한 주문절차를 자동화하여 상기 복잡한 매장 주문절차를 혁신적으로 간소화하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스마트폰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자의 매장 입객 확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자의 매장 입객 확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자의 입객한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주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주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하기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각 용어의 서두에 "제n" 또는 "제m" 또는 "제k"와 같은 형태의 식별부호를 첨부하여 설명할 것이나, 상기 식별부호는 각 용어를 식별하기 위한 것일 뿐 상기 식별부호에 의해 각 용어가 다른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별 또는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스마트폰(100)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매장에서 상품을 주문 요청한 주문 히스토리를 생성하여 매체에 유지한 후,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특정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주문 히스토리에 포함된 각 히스토리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근거로 상기 특정 매장의 주문 요청을 자동화하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스마트폰(100)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스마트폰(1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도면1의 스마트폰(100)은 본 도면1에 도시된 기능 구성부 외에 현재/향후 출시되는 휴대폰(또는 스마트폰)의 각종 기능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100)은, 제어부(101)와 메모리부(113)와 화면 출력부(102)와 키 입력부(103)와 사운드 출력부(104)와 사운드 입력부(105)와 카메라부(106)와 무선망 통신모듈(110)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과 위치 측위모듈(112)과 USIM 리더부(107) 및 USIM(108)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09)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기능 구성부를 본 도면1의 제어부(101)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도면1은 편의상 각 매장의 주문을 요청하는 매장 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관리 프로그램을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상기 매장 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리 프로그램은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통합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매장 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관리 프로그램의 매장 별 주문 모듈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메모리부(113)는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101)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113)는 기본적으로 상기 스마트폰(1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상기 스마트폰(1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113)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102)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 입력부(103)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102)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01)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104)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1)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106)는 상기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1)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과 통합될 수 있다.
상기 USIM 리더부(107)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폰(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 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108)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107)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1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 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 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전원 공급(VCC), 리셋 신호(RST), 클럭 신호(CLK), 접지(GND), 프로그래밍 전원 공급(VPP), 입출력(I/O) 중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접점을 통해 상기 USIM 리더부(107)와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IC칩 메모리는 상기 IC칩의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보안모듈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고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스마트폰(100)의 무선 통신망 접속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IC칩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릿 발급사에서 제작한 프로그램 코드(=애플릿)와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릿 발급사 별 저장영역(예컨대, SD(Security Domai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IM(108)의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사(또는 금융사)에서 상기 스마트폰(100)의 사용자에게 발급한 결제수단(예컨대,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현금카드, 전자통장, 고객계좌)에 대응하는 결제수단 정보와, 상기 결제수단을 운영하는 애플릿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은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 위치를 측위하는 GPS 측위모듈로 구성되며, 지구 궤도를 공전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 위치 정보를 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과 연계된 통신망 상의 측위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스마트폰(100)과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 간 주파수 도달 시간(또는 도달 각)을 이용하여 지상파 측위 방식으로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를 측위하는 지상파 측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은 매체에 유지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상태를 확인하는 위치 판별모듈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100)은, 상기 N개의 매장을 식별하는 N개의 매장 식별 데이터와 상기 N개의 매장의 위치 좌표 값을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하고, 상기 N개의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속한 M(M≥1)개의 매장 그룹 식별 데이터와 상기 M개의 매장 그룹과 연관된 K(K≥M)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K개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를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하는 매체 유지부(120)를 구비하며, 상기 매체 유지부(120)는 상기 N개의 매장을 식별하는 N개의 매장 식별 데이터와 상기 N개의 매장에 구비된 접속 포인트를 식별하는 N개의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를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체는 상기 메모리부(113)의 저장영역, USIM(108)의 메모리 영역, 본 발명의 프로그램 코드를 구성하는 프로그램 코드 영역의 변수 할당 영역이나 선언문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매체의 실시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N개의 매장은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을 통해 산출되는 스마트폰(100)의 위치 좌표 값과 비교되는 매장 위치 좌표 값이 할당되며, 상기 매체 유지부(120)는 상기 N개의 매장에 할당된 매장 위치 좌표 값과 상기 N개의 매장을 식별하는 N개의 매장 식별 데이터를 연결하여 상기 매체에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매장 위치 좌표 값은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을 통해 산출되는 스마트폰(100)의 위치 좌표 값과 비교되는 매장 위치 좌표 값을 포함하며, 상기 매장 위치 좌표 값을 포함하는 매장 위치 근처의 지리정보 데이터(예컨대, 지도 데이터, 또는 각 위치 좌표 별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장 식별 데이터는, 상기 접속 포인트가 구비된 N개의 매장에 중복되지 않도록 할당한 매장고유번호, 매장고유코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각 N개의 매장에 할당된 사업자등록번호, 매장 상호와 매장 위치 조합 명칭, 매장 주소, 매장 대표자 정보, 매장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N개의 매장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이 구비된 스마트폰(100)이 접속하는 각 매장 별 접속 포인트(Access Point)를 구비하며, 상기 접속 포인트에 구비된 매체에는 각각의 접속 포인트 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가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는, 상기 접속 포인트에 고정 할당된 고유 IP주소, MAC 주소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상기 접속 포인트의 매체에 고유하게 기록한 고유 코드 값, 고유 번호 값, 장치 일련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접속 포인트로부터 상기 스마트폰(100)로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스마트폰(100)이 상기 접속 포인트와 통신세션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마트폰(100)로 공유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매체 유지부(120)는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N개의 매장에 구비된 N개의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와 상기 N개의 매장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N개의 매장 식별 데이터를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한다.
또한, 상기 매체 유지부(120)는 상기 N개의 매장 중 상호 명칭과 판매상품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을 그룹핑하여 M개의 매장 그룹을 결정한다. 예를들어, 100개의 매장으로 이루어진 프랜차이즈 매장의 경우, 상기 100개의 매장은 각각의 위치에 위치하는 독립된 매장이지만, 상호 명칭이 동일하고 판매상품이 동일함으로 상기 100개의 매장은 하나의 매장 그룹에 속하게 된다.
상기 N개의 매장을 기준으로 M개의 매장 그룹이 결정되면, 상기 매체 유지부(120)는 상기 M개의 각 매장 그룹에 고유한 식별자를 할당한다. 이 때 각 매장 그룹은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며, 상기 매체 유지부(120)는 각 매장 그룹 별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고유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를 할당하거나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기 할당된 고유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는 상기 매장 그룹 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M개의 매장 그룹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매장 그룹 식별자와 상기 매장 그룹 수보다 크거나 같은 K개의 애플리케이션 식별자가 할당(또는 확인)되면, 상기 매체 유지부(120)는 상기 할당(또는 확인)된 매장 그룹 식별자에 대응하는 M개의 매장 그룹 식별 데이터와 상기 할당(또는 확인)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K개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를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매장 그룹 식별 데이터는, 상기 각 매장 그룹에 속한 매장 식별 데이터의 공통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각 매장 그룹에 별도 할당된 그룹고유번호, 그룹고유코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각 매장 그룹의 대표 기업에 할당된 사업자등록번호, 매장 대표 상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K개의 애플리케이션이 K개의 별도 애플리케이션 파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는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 파일의 파일 이름, 파일 헤더에 포함된 고유 식별 값,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 파일의 특정 영역을 해시한 해시 값,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해시한 해시 값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K개의 애플리케이션이 하나의 공통 애플리케이션과 K개의 애플리케이션 모듈(또는 리소스 파일)로 구성되는 경우(예컨대, 공통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상기 공통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로드하여 각 애플리케이션 기능과 실행 환경을 구현하거나, 또는 상기 실행된 공통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리소스 파일을 로드하여 각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구현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모듈(또는 리소스 파일)의 파일 이름, 파일 헤더에 포함된 고유 식별 값,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 모듈(또는 리소스 파일)의 특정 영역을 해시한 해시 값,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 모듈(또는 리소스 파일)을 해시한 해시 값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100)은,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과 근거리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판별모듈을 통해 스마트폰(100)의 위치 상태를 확인하는 위치 상태 확인부(125)와, 상기 매체에 유지된 N(N≥1)개의 매장 위치와 상기 스마트폰(100) 위치 상태를 비교하여 스마트폰(100) 사용자의 입객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을 확인하는 매장 확인부(130)와,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매장 중 상기 스마트폰(100) 사용자가 입객한 제n(1≤n≤N) 매장을 확인하는 매장 입객 확인부(135)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매체에 상기 N개의 매장을 식별하는 N개의 매장 식별 데이터와 상기 N개의 매장의 위치 좌표 값이 유지된 경우,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은 상기 GPS 측위모듈과 지상파 측위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측위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좌표 값을 주기적으로 산출하며, 상기 위치 상태 확인부(125)는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을 통해 주기적으로 측위된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좌표 중 마지막 위치 좌표 값을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상태 값으로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상태 값은 상기 실시간 측위된 스마트폰(100)의 현재 위치 좌표 값뿐만 아니라, 상기 스마트폰(100)의 마지막 위치 좌표 값을 기준으로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상태가 어떠한지 식별하는 값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이 GPS 측위모듈인 경우, 만약 상기 스마트폰(100)이 상기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실외에 있다면,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을 통해 현재 측위된 위치 좌표 값이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상태 값이 된다. 반면 상기 스마트폰(100)이 실외에서 상기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건물 안이나 지하로 진입했다면,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을 통해 측위된 위치 좌표 값 중 상기 스마트폰(100)이 건물 안이나 지하로 진입하기 직전 측위된 위치 좌표 값이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상태 값이 된다. 한편, 상기 N개의 매장은 대부분 GPS 위성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실내에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위치 상태 확인부(125)는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을 통해 주기적으로 측위 되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마지막 위치 좌표 값을 유지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상태 값을 확인한다.
상기 스마트폰(100)의 마지막 위치 좌표 값에 대응하는 위치 상태 값이 확인되면, 상기 매장 확인부(130)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마지막 위치 좌표 값과 상기 매체에 유지된 N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을 비교하여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i(i≥1)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을 확인하고, 상기 i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을 포함하는 지리정보 데이터(예컨대, 지도 데이터, 또는 각 위치 좌표 별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스마트폰(100)의 마지막 위치 좌표와 상기 i개의 매장 위치 좌표 사이에 i개의 동선을 연결한 후, 상기 연결된 i개의 동선 중 가장 짧은 동선 또는 기 설정된 순위 이내의 짧은 동선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을 상기 스마트폰(100) 사용자의 입객이 가능한 매장으로 확인한다.
예를들어, 가운데 차도를 중심으로 일 측의 인도에 스마트폰(100)의 위치 상태 값이 확인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0)의 마지막 위치에서 상기 차도 건너편의 매장 위치까지의 직선 거리가 상기 스마트폰(100)의 마지막 위치와 같은 측에 존재하는 매장 위치까지의 직선 거리보다 더 가깝다고 할지라도, 상기 스마트폰(100)의 마지막 위치에서 건너편의 매장으로 이동하기 위해 횡단보도를 건넘으로 인해 상기 건너편의 매장까지의 동선이 더 긴 경우, 상기 매장 확인부(130)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마지막 위치와 같은 측에 존재하는 매장을 상기 스마트폰(100) 사용자의 입객이 가능한 매장으로 확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매체에 상기 N개의 매장을 식별하는 N개의 매장 식별 데이터와 상기 N개의 매장에 구비된 접속 포인트를 식별하는 N개의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가 유지된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은 일정 거리 이내의 위치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포인트를 검출하며, 상기 위치 상태 확인부(125)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을 통해 검출된 일정 거리 이내의 위치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포인트에 대한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상태 값으로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상태 값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을 통해 검출된 접속 포인트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상태가 어떠한지 식별하는 값을 의미한다.
상기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마트폰(100)의 위치 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매장 확인부(130)는 상기 획득된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와 상기 매체에 유지된 N개의 매장의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을 통해 접속 가능한 접속 포인트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을 상기 스마트폰(100) 사용자의 입객이 가능한 매장으로 확인한다.
상기 스마트폰(100) 사용자의 입객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확인되면, 상기 매장 입객 확인부(135)는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매장 중 상기 스마트폰(100) 사용자가 실제로 입객한 것으로 예측되는 어느 하나의 제n 매장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매장 입객 확인부(135)는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을 통해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매장에 구비된 접속 포인트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강도를 확인하고, 상기 각 접속 포인트의 송출 주파수 신호 강도 기준 수신 주파수 신호 강도가 기 설정된 기준 신호 강도 이상인 접속 포인트를 결정한다.
만약 상기 기준 신호 강도 이상의 접속 포인트가 오직 하나만 결정된다면, 상기 매장 입객 확인부(135)는 상기 유일한 기준 신호 강도 이상의 접속 포인트가 구비된 매장을 상기 사용자가 입객한 제n 매장으로 확인한다.
반면 상기 기준 신호 강도 이상의 접속 포인트가 두개 이상 결정된다면, 상기 매장 입객 확인부(135)는 상기 기준 신호 강도 이상의 각 접속 포인트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강도를 일정 시간 동안 비교하여 더 큰 신호 강도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의 신호 강도가 더 안정화 되어가는 접속 포인트가 구비된 매장을 상기 사용자가 입객한 제n 매장으로 확인한다.
예를들어, 상기 기준 신호 강도 이상의 접속 포인트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강도가 일정 시간 동안 더 큰 신호 강도를 유지한다면, 상기 스마트폰(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과 상기 더 큰 신호 강도의 접속 포인트 사이의 거리가 다른 접속 포인트보다 더 가깝거나, 또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과 상기 더 큰 신호 강도의 접속 포인트 사이에는 전파를 방해 또는 교란 또는 흡수하는 매개물이 없거나 그 영향이 약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상기 스마트폰(100)이 상기 더 큰 신호 강도가 수신되는 접속 포인트가 구비된 매장에 입객 했음을 결정하는 기준 값이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준 신호 강도 이상의 접속 포인트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강도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 안정화되어 간다면, 상기 접속 포인트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강도가 일정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과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의 강도가 안정화되어 가는 접속 포인트 사이에는 전파를 방해 또는 교란 또는 흡수하는 매개물이 없거나 그 영향이 약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설령 상기 스마트폰(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과 상기 접속 포인트 사이에 상기 매개물이 있다고 할지라도 상기 스마트폰(100)과 매개물 및 접속 포인트 사이의 위치 변화가 더 적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상기 스마트폰(100)이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 강도가 안정화 되어가는 접속 포인트가 구비된 매장에 입객 했음을 결정하는 기준 값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매장 입객 확인부(135)는 복수의 제n 매장에 사용자가 입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백화점과 같은 복합상가의 경우 상기 매장 입객 확인부(135)는 상기 복합상가 내 매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n 매장에 상기 사용자가 입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100)은, 상기 사용자의 제n 매장 입객 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제n 매장이 속한 제m(1≤m≤M) 매장 그룹 식별 데이터와 연결된 제k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k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애플리케이션 확인부(140)와,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스마트폰(100)의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경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하는 애플리케이션 설치 모드를 활성화하는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5)를 구비한다.
상기 매장 입객 확인부(135)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제n 매장에 입객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확인부(140)는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n 매장이 속한 제m 매장 그룹 식별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제m 매장 그룹 식별 데이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k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를 확인한다.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5)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와 상기 매체에 유지된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5)는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제k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를 활성화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는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또는 컨텐츠)을 화면 일정 영역에 표시한 후 상기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드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5)는 상기 화면 일정 영역에 표시된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사용자가 실제 입객한 제n 매장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는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또는 컨텐츠)을 상기 스마트폰(100)의 프로그램 선택 화면에 표시한 후 상기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드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5)는 상기 프로그램 선택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사용자가 실제 입객한 제n 매장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조작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또는 신호의 조합)를 트리거 신호로 감지하여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후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감지하여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드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5)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가 실제 입객한 제n 매장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조작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또는 신호의 조합)를 트리거 신호로 감지하여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드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5)는 상기 트리거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가 실제 입객한 제n 매장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킨다.
한편,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5)는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하는 애플리케이션 설치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모드는 상기 제n 매장에 대한 멤버쉽 가입 아이콘(또는 컨텐츠)을 화면 일정 영역에 표시한 후 상기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제n 매장의 멤버쉽 가입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드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5)는 상기 멤버쉽 가입 인터페이스에 반응하여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모드는 상기 제n 매장에 대한 멤버쉽 가입 아이콘(또는 컨텐츠)을 상기 스마트폰(100)의 프로그램 선택 화면에 표시한 후 상기 아이콘(또는 컨텐츠)의 선택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제n 매장의 멤버쉽 가입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드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5)는 상기 멤버쉽 가입 인터페이스에 반응하여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모드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조작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또는 신호의 조합)를 트리거 신호로 감지하여 상기 제n 매장의 멤버쉽 가입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드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5)는 상기 트리거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5)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모드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100)은, 상기 N개의 매장에 대한 공통 주문 데이터를 유지하는 주문 데이터 유지부(15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공통 주문 데이터는 상기 N개의 매장에서 공통으로 판매하는 상품 명칭, 이미지, 판매가격, 공통 할인율(또는 할인금액)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주문 데이터 유지부(150)는 상기 메모리부(113)에 상기 공통 주문 데이터를 저장하여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공통 주문 데이터를 이용하는 프로그램 코드가 참조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 영역에 상기 공통 주문 데이터를 선언하여 유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통 주문 데이터는 상기 카메라부(106)를 통해 상기 매장에 구비된 코드 이미지를 촬영 및 판독하여 획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주문 데이터 유지부(150)는 상기 메모리부(113)에 상기 공통 주문 대응하는 코드 값을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를 판독하는 코드 판독 데이터 저장하여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코드 이미지를 판독하는 프로그램 코드가 참조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 영역에 상기 코드 판독 데이터를 선언하여 유지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100)은, 상기 공통 주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판매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주문상품에 대한 j(j≥1)개의 주문 값을 설정하는 t(t≥1)개의 주문 인터페이스에 상기 공통 주문 데이터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출력부(155)와, 상기 t개의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j개의 주문 값을 조합하여 주문 정보를 구성하는 주문 정보 구성부(160)와, 주문 정보를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제공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제n 매장에 구비된 제n 접속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상기 주문을 접수시키는 주문 처리부(165)를 구비한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N개의 매장 중 제n 매장에 입객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출력부(155)는 상기 공통 주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판매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주문상품에 대한 상품 식별 값, 상기 상품에 대한 크기 식별 값, 상태 식별 값, 개수 식별 값, 용기 식별 값, 금액 식별 값, 쿠폰 사용 식별 값, 포인트 적립/사용 식별 값, 영수증 발급 식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j개의 주문 값을 설정하는 제1 내지 제t 인터페이스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100)은, 상기 제n 매장에 구비된 접속 포인트를 통해 상기 공통 주문 데이터의 일부를 변형하거나 또는 상기 제n 매장에서 개별적으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제n 매장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는 주문 데이터 수신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n 매장 주문 데이터는 상기 제n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 명칭, 이미지, 판매가격, 제n 매장 할인율(또는 할인금액)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n 매장 주문 데이터는 상기 주문 데이터 유지부(150)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공통 주문 데이터의 상품 명칭, 이미지, 판매가격, 할인율(또는 할인금액)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제n 매장의 설정에 따라 변형한 주문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상기 제n 매장 주문 데이터는 상기 공통 주문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 중 적어도 두개의 상품을 결합하여 셋트 상품을 구성한 후, 상기 셋트 상품에 대한 상품 명칭, 이미지, 판매가격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n 매장 주문 데이터는 상기 공통 주문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 명칭, 이미지, 판매가격을 그대로 유지하되, 상기 공통 할인율(또는 할인금액)을 상기 제n 매장 할인율(또는 할인금액)으로 변경한 주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n 매장 주문 데이터는 상기 제n 매장에서 개별적으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상품 명칭, 이미지, 판매가격, 제n 매장 할인율(또는 할인금액)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문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제n 매장 주문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출력부(155)는 상기 공통 주문 데이터와 결합된 상기 t개의 주문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n 매장 주문 데이터를 추가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별도의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n 매장 주문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100)은, 상기 제n 매장에 구비된 접속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제n 매장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개별적으로 제공하는 제n 매장 개별 데이터를 수신하는 개별 데이터 수신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n 매장 개별 데이터는 상기 N개의 매장에서 공통으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제n 매장 개별 쿠폰 사용 식별 값, 상기 N개의 매장에서 공통으로 판매하는 상품 중 특정 상품에 대한 누적 구매 개수 식별 값 데이터(1), 상기 N개의 매장에서 공통으로 판매하는 상품 중 상기 제n 매장에서 판매된 특정 상품에 대한 누적 구매 개수 식별 값 데이터(2), 상기 제n 매장에서 개별적으로 판매하는 특정 상품에 대한 누적 구매 개수 식별 값 데이터(3), 상기 N개의 매장에서 공통으로 사용자에게 적립한 누적 포인트 데이터(1), 상기 제n 매장에서 개별적으로 사용자에게 적립한 누적 포인트 데이터(2)를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상기 개별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제n 매장 개별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출력부(155)는 상기 공통 주문 데이터와 결합된 주문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n 매장 개별 데이터를 추가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별도의 로열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n 매장 개별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공통 주문 데이터와 제n 매장 주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주문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문상품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주문상품에 대한 j개의 주문 값이 결정되면, 상기 주문 정보 구성부(160)는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문상품에 대한 상품 식별 값, 상기 상품에 대한 크기 식별 값, 상태 식별 값, 개수 식별 값, 용기 식별 값, 금액 식별 값, 쿠폰 사용 식별 값, 포인트 적립/사용 식별 값, 영수증 발급 식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j개의 주문 값을 조합하여 주문 정보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주문 정보 구성부(160)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문상품의 크기 식별 값에 대응하는 주문상품 별 실제 판매가격을 확인하고, 상기 주문상품 별 실제 판매가격과 해당 주문상품의 개수 식별 값을 곱하여 주문금액을 산정한 후, 상기 주문 정보에 상기 산정된 주문금액을 추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제n 매장의 서버(또는 단말)에서 상기 주문금액을 할인하지 않으면, 상기 주문금액은 그대로 상기 주문 정보에 대한 결제금액으로 결정된다.
만약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에 제n 매장 개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쿠폰 사용 식별 값이 표시되고,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품 식별 값과 상기 쿠폰 사용 식별 값이 연결된 경우, 상기 주문 정보 구성부(160)는 상기 연결된 상기 쿠폰 사용 식별 값을 통해 상기 주문금액을 할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USIM(108)(또는 메모리부(113))에 상기 N개의 매장과 제휴된 적어도 하나의 제휴 식별자 데이터(예컨대, 제휴 할인쿠폰 데이터)가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제n 매장과 제휴된 적어도 하나의 제휴 식별자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 상기 주문 정보 구성부(160)는 상기 연결된 상기 제휴 식별자 데이터를 통해 상기 주문금액을 할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주문 정보 구성부(160)는 상기 주문요청 정보에 상기 주문금액을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주문요청 정보에 대한 주문금액은 상기 주문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품 식별 값과 개수 식별 값 및 크기 식별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n 매장의 서버(또는 단말)에서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에 제n 매장 개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쿠폰 사용 식별 값이 표시되고,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품 식별 값과 상기 쿠폰 사용 식별 값이 연결된 경우, 상기 주문 정보 구성부(160)는 상기 주문 정보에 상기 연결된 상기 쿠폰 사용 식별 값을 더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n 매장의 서버(또는 단말)은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쿠폰 사용 식별 값을 통해 상기 주문금액을 할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USIM(108)(또는 메모리부(113))에 상기 N개의 매장과 제휴된 적어도 하나의 제휴 식별자 데이터가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제n 매장과 제휴된 적어도 하나의 제휴 식별자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 상기 주문 정보 구성부(160)는 상기 주문 정보에 상기 제휴 식별자 데이터를 더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n 매장의 서버(또는 단말)은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제휴 식별자 데이터를 통해 상기 주문금액을 할인할 수 있다.
상기 주문 정보 구성부(160)에 의해 상기 주문 정보가 구성되면, 상기 주문 처리부(165)는 상기 구성된 상기 주문 정보의 주문처를 상기 제n 매장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제공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제n 매장에 구비된 제n 접속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상기 주문요청 정보를 제공하여 주문을 접수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n 매장의 접속 포인트는 상기 제n 매장의 서버(또는 단말)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주문요청 정보는 상기 제n 매장의 접속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제n 매장의 서버(또는 단말)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n 매장의 접속 포인트는 통신망 상의 중계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중계서버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n 매장의 서버(또는 단말)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주문요청 정보는 상기 제n 매장의 접속 포인트를 통해 상기 중계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중계서버는 상기 제n 매장의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주문요청 정보를 중계 전달한다.
상기 제n 매장의 서버(또는 단말)은 상기 주문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n 매장의 서버(또는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매장주문 정보와 상기 주문요청 정보를 주문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화면 출력한다. 이후, 상기 제n 매장의 서버(또는 단말)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주문요청 정보에 대한 주문접수 데이터를 구성하여 상기 주문요청 정보가 수신된 통신경로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주문접수 데이터는 상기 주문요청 정보가 상기 제n 매장의 서버(또는 단말)을 통해 입력된 매장주문 정보와 주문 순서에 따라 정렬되어 접수되었음을 식별하는 접수 식별자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n 매장의 서버(또는 단말)은 상기 주문 순서에 따라 상기 매장주문 정보와 주문요청 정보에 주문접수번호를 할당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주문접수 데이터는 상기 주문요청 정보에 할당된 주문접수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주문접수 데이터는 상기 주문요청 정보에 대한 결제를 처리를 처리하는 결제금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제금액은 상기 주문요청 정보에 포함된 주문금액을 그대로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n 매장의 서버(또는 단말)에서 산정한 결제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주문요청 정보에 포함된 주문금액(또는 상기 스마트폰(100)에서 산정된 주문금액)이 상기 결제금액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주문접수 데이터는 상기 결제금액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주문접수 데이터는 상기 주문요청 정보에 대한 결제를 처리를 처리하는 카드가맹점정보(또는 입금계좌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드가맹점정보는 신용카드(또는 체크카드) 결제의 가맹점을 식별하는 정보로서, 상기 N개의 매장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카드가맹점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n 매장의 카드가맹점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금계좌정보는 계좌이체(또는 선불카드, 또는 직불카드) 결제의 입금은행코드와 입금계좌번호로서, 상기 N개의 매장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입금계좌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n 매장의 입금계좌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스마트폰(100)에 상기 카드가맹점정보(또는 입금계좌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주문접수 데이터는 상기 카드가맹점정보(또는 입금계좌정보)가 생략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100)은, 애플리케이션 기반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N(N≥1)개의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속한 M(M≥1)개의 매장 그룹과 연관된 K(K≥M)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N개의 각 매장으로 주문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주문 정보를 구성해나가는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 히스토리 생성부(170)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매체에 유지하는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175)를 구비한다. 본 도면1에서 상기 주문 히스토리 생성부(170)와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175)는 편의상 각 매장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주문 히스토리 생성부(170)와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175)는 상기 관리 프로그램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출력부(155)가 t개의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j개의 주문 값을 조합한 주문 정보를 구성해나가는 과정에서, 상기 주문 히스토리 생성부(170)는 상기 t개의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j개의 주문 값을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로 조합하여 각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K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상기 스마트폰(100)의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주문 정보가 구성될 때마다 반복된다.
또는, 상기 주문 히스토리 생성부(170)는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의 주문 정보 구성부(160)를 통해 j개의 주문 값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가 구성되면, 상기 구성된 주문 정보에 포함된 j개의 주문 값을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로 분해 후 조합하여 각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K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상기 스마트폰(100)의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주문 정보가 구성될 때마다 반복된다.
상기 j개의 주문 값을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로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가 구성되면, 상기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175)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매체에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175)는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주문 정보를 구성한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와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175)는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주문 정보의 주문처에 대응하는 매장이 속한 매장 그룹 식별 데이터와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100)은, 상기 스마트폰(100)이 제n 매장에 입객하여 제k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i(i≥1)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는 주문 히스토리 확인부(180)와,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j≥1)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일정 기간 동안의 주문 횟수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추출하는 히스토리 값 추출부(185)와,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 상의 j개의 히스토리 항목에 상기 추출된 각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자동 입력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출력부(155)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동 입력되거나 변경된 j개의 주문 값을 조합하여 자동 주문 정보를 구성하는 주문 정보 구성부(160)와, 상기 구성된 자동 주문 정보를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제공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주문을 접수시키는 주문 처리부(165)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히스토리 값 추출부(185)는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j≥1)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주문 일시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을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출력부(155)는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 상의 j개의 히스토리 항목에 상기 추출된 각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을 자동 입력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100)이 N개의 매장 중 제n 매장에 입객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 상태에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제k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주문 히스토리 확인부(180)는 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i(i≥1)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가 상기 주문 정보를 구성한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와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된 경우, 상기 주문 히스토리 확인부(180)는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와 연결된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가 상기 주문 정보의 주문처에 대응하는 매장이 속한 매장 그룹 식별 데이터와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된 경우, 상기 주문 히스토리 확인부(180)는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제m 매장 그룹 식별 데이터와 연결된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히스토리 값 추출부(185)는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일정 기간 동안의 주문 횟수를 기준으로 정렬하고, 각 히스토리 항목 별로 가장 많이 주문된 주문 값에 대응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추출한다. 즉, 상기 히스토리 값 추출부(185)는 단순히 사용자가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에 가장 많이 주문한 상품이 무엇인지를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제n 매장(또는 제m 매장 그룹)의 주문 과정에서 가장 많이 선택한 주문 값이 무엇인지를 각 항목 별로 추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히스토리 값 추출부(185)는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j≥1)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주문 일시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근거로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이 추출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출력부(155)는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하나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변경하는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 상의 j개의 히스토리 항목에 상기 추출된 각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자동 입력 처리한다. 즉,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는 상기 j개의 주문 값을 설정하는 t개의 주문 인터페이스를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통합한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t개의 주문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공통 주문 데이터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히스토리 값 추출부(185)를 통해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이 추출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출력부(155)는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 상의 j개의 히스토리 항목에 상기 추출된 각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을 자동 입력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후, 사용자는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에 자동 입력된 j개의 주문 값을 그대로 사용하여 주문을 요청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자동 입력된 j개의 주문 값 중 적어도 하나의 주문 값을 변경하여 주문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주문 정보 구성부(160)는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동 입력되거나 변경된 j개의 주문 값을 조합하여 자동 주문 정보를 구성하며, 상기 자동 주문 정보는 상기 t개의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주문 값을 근거로 구성된 주문 정보와 동일하다.
상기 자동 주문 정보가 구성되면, 상기 주문 처리부(165)는 상기 구성된 자동 주문 정보를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제공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주문을 접수시키며, 이 때 상기 주문 히스토리 생성부(170)는 상기 자동 주문 정보에 대한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175)는 상기 자동 주문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매체에 유지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스마트폰(100) 사용자의 매장 입객 확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스마트폰(100)이 자신의 마지막 위치를 근거로 상기 N개의 매장 중 입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입객 가능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제n 매장에 입객한 것을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매장 입객 확인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 확인부는 상기 N개의 매장을 식별하는 N개의 매장 식별 데이터와 상기 N개의 매장의 위치 좌표 값을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하고(200), 상기 위치 상태 확인부(125)는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위치 측위모듈(112)을 통해 주기적으로 측위된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좌표 중 마지막 위치 좌표 값을 확인한다(205).
만약 상기 스마트폰(100)의 마지막 위치 좌표 값이 확인되면(210), 상기 매장 확인부(130)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마지막 위치 좌표 값과 상기 매체에 유지된 N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을 비교하여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i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 중 지리정보 상에서 사용자의 최단 동선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을 사용자가 입객 가능한 매장으로 확인한다(215).
만약 상기 사용자가 입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확인되면(220), 상기 매장 입객 확인부(135)는 상기 i개의 매장에 구비된 접속 포인트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 강도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가 입객한 적어도 하나의 제n 매장을 확인한다(225).
만약 상기 사용자가 입객한 제n 매장이 확인되면(230), 상기 스마트폰(100)은 프로그램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n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실행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스마트폰(100) 사용자의 매장 입객 확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스마트폰(100)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포인트를 식별하여 상기 N개의 매장 중 입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입객 가능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제n 매장에 입객한 것을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매장 입객 확인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매체 확인부는 상기 N개의 매장을 식별하는 N개의 매장 식별 데이터와 상기 N개의 매장에 구비된 접속 포인트를 식별하는 N개의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를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하고(300), 상기 위치 상태 확인부(125)는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을 통해 일정 거리 이내의 위치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포인트를 검출하고(305), 상기 검출된 접속 포인트에 대한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를 획득한다(310).
만약 상기 검출된 접속 포인트에 대한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가 획득되면(315), 상기 매장 확인부(130)는 상기 획득된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와 상기 매체에 유지된 N개의 매장의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을 통해 접속 가능한 접속 포인트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을 사용자가 입객 가능한 매장으로 확인한다(320).
만약 상기 사용자가 입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확인되면(325), 상기 매장 입객 확인부(135)는 상기 확인된 매장에 구비된 접속 포인트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 강도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가 입객한 적어도 하나의 제n 매장을 확인한다(330).
만약 상기 사용자가 입객한 제n 매장이 확인되면(335), 상기 스마트폰(100)은 프로그램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n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실행한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스마트폰(100) 사용자의 입객한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스마트폰(100)이 사용자가 입객한 매장의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매장 애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 확인부는 상기 N개의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속한 M(M≥1)개의 매장 그룹 식별 데이터와 상기 M개의 매장 그룹과 연관된 K(K≥M)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K개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를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한다(400). 상기 도면2 또는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입객한 제n 매장이 확인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확인부(140)는 상기 매체로부터 사용자가 입객한 제n 매장이 속한 제m 매장 그룹 식별 데이터와 연결된 제k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를 확인하고(405),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5)는 프로그램 메모리에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와 매칭되는 제k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410).
만약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이 확인되면(415),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5)는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를 활성화하고(420), 만약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가 활성화되면(425),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5)는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을 자동(또는 수동)으로 실행시킨다(430).
반면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이 확인되지 않으면(415),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5)는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하는 애플리케이션 설치 모드를 활성화하고(435), 만약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모드가 활성화되면(440),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용부(145)는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하고(445), 상기 애플리케이션 모드를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제k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로 전환시킨 후(450),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를 근거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제k 애플리케이션을 자동(또는 수동)으로 실행시킨다(430).
도면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주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실행된 제n 매장에 대응하는 제k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t개의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n 매장의 주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주문 상품을 주문하는 과정에서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여 매체에 유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주문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주문 데이터 유지부(150)는 상기 제n 매장이 속한 제m 매장 그룹의 공통 주문 데이터, 상기 제n 매장의 개별 주문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주문 데이터를 매체에 유지하고(500),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스마트폰(100) 사용자가 입객한 제n 매장에 대응하는 제k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출력부(155)는 적어도 하나의 주문 값을 입력하는 t개의 주문 인터페이스에 상기 매체에 유지된 주문 데이터를 결합하여 순차적으로 출력하고(505), 상기 주문 정보 구성부(160)는 상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t개의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주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j개의 주문 값이 설정되는지 확인한다(510). 만약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j개의 주문 값이 설정되지 않으면(515), 상기 인터페이스 출력부(155)는 상기 t개의 주문 인터페이스에 주문 데이터를 결합하여 j개의 주문 값이 설정되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반복한다(520).
만약 상기 t개의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j개의 주문 값이 설정되면(515), 상기 주문 정보 구성부(160)는 상기 t개의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j개의 주문 값을 조합하여 주문 정보를 구성하고(525), 상기 주문 처리부(165)는 상기 주문 정보를 상기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구성한 후(530), 상기 제n 매장의 접속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상기 주문요청 정보를 전송한다(535).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출력부(155)가 상기 t개의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문 값이 순차적으로 설정되어가는 동안, 또는 상기 j개의 주문 값이 모두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j개의 주문 값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가 구성되면, 상기 주문 히스토리 생성부(170)는 상기 j개의 주문 값을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로 조합하여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고(540), 상기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175)는 상기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매체에 유지한다(545).
도면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주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실행된 제n 매장에 대응하는 제k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가 매체에 유지된 경우,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n 매장의 주문을 자동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주문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주문 데이터 유지부(150)는 상기 제n 매장이 속한 제m 매장 그룹의 공통 주문 데이터, 상기 제n 매장의 개별 주문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주문 데이터를 매체에 유지하고(600),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스마트폰(100) 사용자가 입객한 제n 매장에 대응하는 제k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주문 히스토리 확인부(180)는 매체에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가 유지되어 있는지 확인한다(605).
만약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가 확인되면(6100, 상기 히스토리 값 추출부(185)는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j≥1)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일정 기간 동안의 주문 횟수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추출한다(615).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히스토리 값 추출부(185)는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j≥1)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주문 일시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출력부(155)는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620),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 상의 j개의 히스토리 항목에 상기 추출된 각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자동 입력 처리한다(625).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히스토리 값 추출부(185)를 통해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이 추출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출력부(155)는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 상의 j개의 히스토리 항목에 상기 추출된 각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을 자동 입력 처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주문 정보 구성부(160)는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자동 입력되거나 변경된 j개의 주문 값을 통해 자동 주문이 요청되는지 확인한다(630).
만약 상기 자동 주문이 요청되지 않으면(635), 상기 주문 정보 구성부(160)는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변경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문 값을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한다(640).
한편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자동 주문이 요청되면(635), 상기 주문 정보 구성부(160)는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정된 j개의 주문 값을 조합하여 자동 주문 정보를 구성하고(645), 상기 주문 처리부(165)는 상기 자동 주문 정보를 상기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구성한 후(650), 상기 제n 매장의 접속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상기 주문요청 정보를 전송한다(655).
한편 상기 주문 정보 구성부(160)를 통해 상기 자동 주문 정보가 구성되면, 상기 주문 히스토리 생성부(170)는 상기 자동 주문 정보에 포함된 j개의 주문 값을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로 조합하여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고(660), 상기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175)는 상기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매체에 유지한다(665).
120 : 매체 유지부 125 : 위치 상태 확인부
130 : 매장 확인부 135 : 매장 입객 확인부
140 : 애플리케이션 확인부 145 : 애플리케이션 운용부
150 : 주문 데이터 유지부 155 : 인터페이스 출력부
160 : 주문 정보 구성부 165 : 주문 처리부
170 : 주문 히스토리 생성부 175 :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
180 : 주문 히스토리 확인부 185 : 히스토리 값 추출부

Claims (14)

  1. 애플리케이션 기반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N(N≥1)개의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속한 M(M≥1)개의 매장 그룹과 연관된 K(K≥M)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N개의 각 매장으로 주문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주문 정보를 구성해나가는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 히스토리 생성부;
    상기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매체에 유지하는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
    상기 스마트폰이 제n(1≤n≤N) 매장에 입객하여 제k(1≤k≤K)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i(i≥1)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는 주문 히스토리 확인부;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j≥1)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일정 기간 동안의 주문 횟수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추출하는 히스토리 값 추출부;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 상의 j개의 히스토리 항목에 상기 추출된 각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자동 입력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출력부;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동 입력되거나 변경된 j개의 주문 값을 조합하여 자동 주문 정보를 구성하는 주문 정보 구성부; 및
    상기 구성된 자동 주문 정보를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제공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주문을 접수시키는 주문 처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2. 애플리케이션 기반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N(N≥1)개의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속한 M(M≥1)개의 매장 그룹과 연관된 K(K≥M)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N개의 각 매장으로 주문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주문 정보를 구성해나가는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 히스토리 생성부;
    상기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매체에 유지하는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
    상기 스마트폰이 제n(1≤n≤N) 매장에 입객하여 제k(1≤k≤K)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i(i≥1)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는 주문 히스토리 확인부;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j≥1)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주문 일시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을 추출하는 히스토리 값 추출부;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 상의 j개의 히스토리 항목에 상기 추출된 각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을 자동 입력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출력부;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동 입력되거나 변경된 j개의 주문 값을 조합하여 자동 주문 정보를 구성하는 주문 정보 구성부; 및
    상기 구성된 자동 주문 정보를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제공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주문을 접수시키는 주문 처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히스토리 생성부는,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의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j개의 주문 값을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로 조합하여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j개의 주문 값을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로 분해 후 조합하여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는,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주문 정보를 구성한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와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하고,
    상기 주문 히스토리 확인부는,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와 연결된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는,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주문 정보의 주문처에 대응하는 매장이 속한 매장 그룹 식별 데이터와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하고,
    상기 주문 히스토리 확인부는,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제m(1≤m≤M) 매장 그룹 식별 데이터와 연결된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j개의 주문 값은,
    상품 식별 값, 상기 상품에 대한 크기 식별 값, 상태 식별 값, 개수 식별 값, 용기 식별 값, 금액 식별 값, 쿠폰 사용 식별 값, 포인트 적립/사용 식별 값, 영수증 발급 식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는,
    상기 j개의 주문 값을 설정하는 t(t≥1)개의 주문 인터페이스를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통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매장을 식별하는 N개의 매장 식별 데이터와 상기 N개의 매장의 위치 좌표 값을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하는 매체 유지부;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위치 측위모듈을 통해 주기적으로 측위된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좌표 중 마지막 위치 좌표 값을 확인하는 위치 상태 확인부;
    상기 스마트폰의 마지막 위치 좌표 값과 상기 매체에 유지된 N개의 매장 위치 좌표 값을 비교하여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매장 위치 좌표 값 중 지리정보 상에서 사용자의 최단 동선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을 스마트폰 사용자가 입객 가능한 매장으로 확인하는 매장 확인부; 및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과 상기 확인된 매장에 구비된 접속 포인트 사이의 무선 주파수 신호 특성을 근거로 상기 스마트폰 사용자가 입객한 제n 매장을 확인하는 매장 입객 확인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매장을 식별하는 N개의 매장 식별 데이터와 상기 N개의 매장에 구비된 접속 포인트를 식별하는 N개의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를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하는 매체 유지부;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검출된 일정 거리 이내의 위치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포인트에 대한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를 획득하는 위치 상태 확인부;
    상기 획득된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와 상기 매체에 유지된 N개의 매장의 접속 포인트 식별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접속 가능한 접속 포인트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을 스마트폰 사용자가 입객 가능한 매장으로 확인하는 매장 확인부; 및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과 상기 확인된 매장에 구비된 접속 포인트 사이의 무선 주파수 신호 특성을 근거로 상기 스마트폰 사용자가 입객한 제n 매장을 확인하는 매장 입객 확인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속한 M(M≥1)개의 매장 그룹 식별 데이터와 상기 M개의 매장 그룹과 연관된 K(K≥M)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K개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를 연결하여 매체에 유지하는 매체 유지부;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N개의 매장 중 제n(1≤n≤N) 매장에 입객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n 매장이 속한 제m(1≤m≤M) 매장 그룹 식별 데이터와 연결된 제k 애플리케이션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k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애플리케이션 확인부;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스마트폰의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된 경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하는 애플리케이션 설치 모드를 활성화하는 애플리케이션 운용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11. 스마트폰에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스마트폰을,
    애플리케이션 기반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N(N≥1)개의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속한 M(M≥1)개의 매장 그룹과 연관된 K(K≥M)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N개의 각 매장으로 주문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주문 정보를 구성해나가는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 히스토리 생성부;
    상기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매체에 유지하는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
    상기 스마트폰이 제n(1≤n≤N) 매장에 입객하여 제k(1≤k≤K)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i(i≥1)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는 주문 히스토리 확인부;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j≥1)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일정 기간 동안의 주문 횟수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추출하는 히스토리 값 추출부;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 상의 j개의 히스토리 항목에 상기 추출된 각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자동 입력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출력부;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동 입력되거나 변경된 j개의 주문 값을 조합하여 자동 주문 정보를 구성하는 주문 정보 구성부; 및
    상기 구성된 자동 주문 정보를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제공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주문을 접수시키는 주문 처리부;로서 동작시키는 프로그램.
  12. 스마트폰에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스마트폰을,
    애플리케이션 기반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N(N≥1)개의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속한 M(M≥1)개의 매장 그룹과 연관된 K(K≥M)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N개의 각 매장으로 주문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주문 정보를 구성해나가는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 히스토리 생성부;
    상기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매체에 유지하는 주문 히스토리 유지부;
    상기 스마트폰이 제n(1≤n≤N) 매장에 입객하여 제k(1≤k≤K)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i(i≥1)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는 주문 히스토리 확인부;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j≥1)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주문 일시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을 추출하는 히스토리 값 추출부;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 상의 j개의 히스토리 항목에 상기 추출된 각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을 자동 입력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출력부;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동 입력되거나 변경된 j개의 주문 값을 조합하여 자동 주문 정보를 구성하는 주문 정보 구성부; 및
    상기 구성된 자동 주문 정보를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제공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주문을 접수시키는 주문 처리부;로서 동작시키는 프로그램.
  13. 스마트폰에서 주문 히스토리를 통한 자동 주문 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기반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N(N≥1)개의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속한 M(M≥1)개의 매장 그룹과 연관된 K(K≥M)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N개의 각 매장으로 주문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주문 정보를 구성해나가는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매체에 유지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제n(1≤n≤N) 매장에 입객하여 제k(1≤k≤K)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i(i≥1)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j≥1)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일정 기간 동안의 주문 횟수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 상의 j개의 히스토리 항목에 상기 추출된 각 항목 별 최대 횟수 주문 값을 자동 입력 처리하는 단계;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동 입력되거나 변경된 j개의 주문 값을 조합하여 자동 주문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자동 주문 정보를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제공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주문을 접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히스토리를 통한 자동 주문 방법.
  14. 스마트폰에서 주문 히스토리를 통한 자동 주문 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기반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N(N≥1)개의 매장 중 적어도 하나의 매장이 속한 M(M≥1)개의 매장 그룹과 연관된 K(K≥M)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N개의 각 매장으로 주문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주문 정보를 구성해나가는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별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매체에 유지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제n(1≤n≤N) 매장에 입객하여 제k(1≤k≤K)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매체로부터 상기 제k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i(i≥1)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i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j≥1)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주문 일시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구성하는 j개의 히스토리 항목 별 주문 값을 변경하는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 상의 j개의 히스토리 항목에 상기 추출된 각 항목 별 최근 주문 값을 자동 입력 처리하는 단계;
    상기 자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동 입력되거나 변경된 j개의 주문 값을 조합하여 자동 주문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자동 주문 정보를 제n 매장의 단말(또는 서버)로 제공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주문을 접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히스토리를 통한 자동 주문 방법.
KR1020100068848A 2010-07-16 2010-07-16 주문 히스토리를 이용한 주문 방법 KR101855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848A KR101855325B1 (ko) 2010-07-16 2010-07-16 주문 히스토리를 이용한 주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848A KR101855325B1 (ko) 2010-07-16 2010-07-16 주문 히스토리를 이용한 주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159A true KR20120008159A (ko) 2012-01-30
KR101855325B1 KR101855325B1 (ko) 2018-05-09

Family

ID=4561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848A KR101855325B1 (ko) 2010-07-16 2010-07-16 주문 히스토리를 이용한 주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3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2959B2 (en) 2016-04-15 2020-03-17 Walmart Apoll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shopping in a physical retail facility
US10614504B2 (en) 2016-04-15 2020-04-07 Walmart Apoll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nt-based product recommendatio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2383A (ja) * 2005-12-22 2007-07-05 Dainippon Printing Co Ltd 商品注文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9064348A (ja) * 2007-09-07 2009-03-2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オーダ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181400A (ja) 2008-01-31 2009-08-13 Cosmos Scientific Systems Inc 顧客嗜好情報管理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2959B2 (en) 2016-04-15 2020-03-17 Walmart Apoll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shopping in a physical retail facility
US10614504B2 (en) 2016-04-15 2020-04-07 Walmart Apoll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nt-based product recommend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325B1 (ko)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852B1 (ko) 역방향 주문결제 방법
KR20110129330A (ko) 매장 주문 처리 시스템 및 pos 단말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KR20170102160A (ko) 애플리케이션 연동을 이용한 매장 주문 방법
KR101715934B1 (ko) 매장 그룹에 대한 주문 처리 방법
KR101855325B1 (ko) 주문 히스토리를 이용한 주문 방법
KR101754398B1 (ko) 스마트폰의 자원을 이용한 매장 식별 방법
KR101790784B1 (ko) 매장 주문 제어 방법
KR101789780B1 (ko) 매장 주문 처리 방법
KR20170040169A (ko) 애플리케이션 기반 주문 서비스의 선택적 인센티브 제공 방법
KR101789786B1 (ko) 매장 그룹에 대한 주문 처리 방법
KR101703341B1 (ko) 매장 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10129311A (ko) 무선단말 간 애플리케이션 연동을 이용한 매장 주문 처리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KR101757286B1 (ko) 음료 상품 주문 처리 방법
KR20170081621A (ko) 무선단말을 이용한 매장 주문 방법
KR101815022B1 (ko) 이종의 주문 정보 연동 시스템 및 방법
AU2018324091A1 (en) Pre-processing of transit transactions using virtual access to machine functionality
KR20170081625A (ko) 무선단말을 이용한 매장 주문 처리 방법
KR101715933B1 (ko) 매장 주문 처리 방법
KR20170137688A (ko) 애플리케이션 기반 선주문의 선택적 인센티브 제공 방법
KR101803524B1 (ko) 동선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로딩 방법
KR20170033288A (ko) 물류서비스 관리 방법
KR20190060969A (ko) 무선단말을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
KR20180086399A (ko) 무선단말을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
KR20120008413A (ko)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인센티브 운용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KR20200146033A (ko) 무선단말을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