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615B1 - 다층 구조의 거푸집 - Google Patents

다층 구조의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615B1
KR101852615B1 KR1020170117944A KR20170117944A KR101852615B1 KR 101852615 B1 KR101852615 B1 KR 101852615B1 KR 1020170117944 A KR1020170117944 A KR 1020170117944A KR 20170117944 A KR20170117944 A KR 20170117944A KR 101852615 B1 KR101852615 B1 KR 101852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outer frame
frame
bamboo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유텍
최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유텍, 최영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유텍
Priority to KR1020170117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3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 E04G2009/02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by a flange of the board's frame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구조의 복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층 구조의 복합 거푸집은, 금속 박판(11)과, 상기 금속 박판(11) 일측면에 적층된 채 고정되어 있으며, 대나무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대나무합판(12)과, 상기 대나무합판(12)의 일측면에 적층된 채 고정되어 있는 방수층(13)으로 이루어진 복합패널(10)과; 상기 복합패널(1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금속질의 외부프레임(20)과; 상기 양측 단부가 상기 외부프레임(20)에 연결되어 있는 금속질의 보강프레임(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기존의 강재 유로폼과 비교하여 무게가 가벼우면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특히 소음 저감 및 단열 성능이 우수하여 양생 과정에서의 보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거푸집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층 구조의 거푸집{Multy layed construction mold}
본 발명은 건축, 토목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할 때 사용되는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널이 금속박판, 대나무합판, 수지층의 구조를 취하고, 외부 프레임이 경량의 금속 부재로 이루어져 양생 과정에서의 보온성이 우수하고, 조립 및 해체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다층 구조의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거푸집은 토목 및 건축 공사 등에서 구축할 구조물의 외형 또는 벽체의 형상을 원하는 형태로 구성하기 위해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을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며, 시공시 하중 및 콘크리트의 압력 등에 견디면서 콘크리트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쉽게 해체할 수 있는 목재 콘크리트 거푸집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목재 콘크리트 거푸집의 패널은 판재로 이루어지며, 4변을 지지하는 테두리 부재와 상기 테두리 부재를 연결하는 보강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목재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의 경우 반복해서 사용하다보면 콘크리트의 수분이 목재에 흡수되어 자중이 무겁게 되고, 변형 및 변질이 발생하여 반복적, 지속적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다수개의 거푸집을 연결하도록 연결구가 구비되며, 연결구로는 못 등을 주로 사용하게 되며, 많은 수의 못을 사용함으로 수작업이 이루어지고 작업공정이 어려워 해체 또는 시공에서의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목재 거푸집을 개선하기 위해 철재 거푸집이 사용되고 있으나, 무게가 무거워 소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소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더 많은 거푸집을 사용해야하므로 인건비 상승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의 거푸집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거푸집의 경우 체결구의 탈부착시 탈부착 부분의 마모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핀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알루미늄 거푸집"(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2088호, 특허문헌 1)가 공개되기도 하였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알루미늄 거푸집에서 핀 잠금장치의 탈부착이 용이해지도록 하여 알루미늄 거푸집을 보다 개선한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 알루미늄은 그 자체로 열전도율이 높으며, 단열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거푸집 내부에 몰탈을 주입하여 양생하는 과정에서 목재 거푸집에 비해 보온 성능이 떨어져 양생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612088 (2016.04.06)
본 발명의 다층 구조의 거푸집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강재 유로폼과 비교하여 무게가 가벼우면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특히 단열 성능이 우수하여 양생 과정에서의 보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거푸집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푸집의 외부 프레임은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패널 부분은 몰탈과 접촉하는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으로 연속으로 금속 박판, 대나무 합판, 방수층의 3층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금속 박판은 매끄러운 타설표면을 제공하고, 대나무 합판은 보온성을 제공하면서도 기존 목재 거푸집이나 철재 거푸집에 비해 중량 증가를 방지하면서 외부의 방수층은 외부로부터 대나무합판으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여 수분 침투에 의한 하중 증대를 방지하려는 것이다.
또, 거푸집끼리의 접촉 부분에 패킹이 설치되어 타설 후 수분이 틈새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표면이 얇은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져 있어 해체 과정에서 조그만 충격만 받아도 파손될 수 있게 되는데,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도르래에 권취되는 로프를 활용하여 거푸집의 자중에 의한 낙하를 방지함으로써 거푸집 표면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 나아가, 로프가 거푸집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로프와 도르래를 이용한 거푸집 해체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층 구조의 복합 거푸집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금속 박판(11)과, 상기 금속 박판(11) 일측면에 적층된 채 고정되어 있으며, 대나무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대나무합판(12)과, 상기 대나무합판(12)의 일측면에 적층된 채 고정되어 있는 방수층(13)으로 이루어진 복합패널(10)과; 상기 복합패널(1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금속질의 외부프레임(20)과; 상기 양측 단부가 상기 외부프레임(20)에 연결되어 있는 금속질의 보강프레임(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측면에는 패킹(4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외부프레임(20) 및 보강프레임(30)에는 일직선을 이루는 로프관통홀(50)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프관통홀(50)로 거푸집 해체용 로프(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로프(60)는 보강프레임(30)과 외부프레임(20) 사이에 상기 로프관통홀(50)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걸림돌기(6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프(60)의 일측 단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결합부재(6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로프(60)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62)와 나사결합되는 제2결합부재(6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결합부재(62) 및 제2결합부재(63)는 상기 로프관통홀(50)을 관통할 정도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기존의 강재 유로폼과 비교하여 무게가 가벼우면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특히 단열 성능이 우수하여 양생 과정에서의 보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거푸집이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푸집의 외부 프레임은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패널 부분은 몰탈과 접촉하는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으로 연속으로 금속 박판, 대나무 합판, 방수층의 3층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금속 박판은 매끄러운 타설표면을 제공하고, 대나무 합판은 보온성을 제공하면서도 기존 목재 거푸집이나 철재 거푸집에 비해 중량 증가를 방지하면서 외부의 방수층은 외부로부터 대나무합판으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여 수분 침투에 의한 하중 증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거푸집끼리의 접촉 부분에 패킹이 설치되어 타설 후 수분이 틈새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표면이 얇은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져 있어 해체 과정에서 조그만 충격만 받아도 파손될 수 있게 되는데,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도르래에 권취되는 로프를 활용하여 거푸집의 자중에 의한 낙하를 방지함으로써 거푸집 표면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로프가 거푸집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로프와 도르래를 이용한 거푸집 해체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층 구조의 거푸집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패킹이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패킹이 구비된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외부프레임이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해체용 로프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해체용 로프가 구비된 거푸집이 천정 거푸집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로프를 서서히 풀면서 천정 거푸집을 해체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다층 구조의 거푸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층 구조의 복합 거푸집은 크게 복합패널(10), 외부프레임(20) 및 보강프레임(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복합패널(1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와 접촉하는 면이 되는 금속 박판(11)과, 상기 금속 박판(11) 일측면에 적층된 채 고정되어 있으며, 대나무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대나무합판(12)과, 상기 대나무합판(12)의 일측면에 적층된 채 고정되어 있는 방수층(13)으로 이루어져 있다.
금속 박판(11)은 콘크리트 타설면을 매끄럽게 해주면서, 콘크리트 타설 후의 수분이 금속 박판(11) 뒷면의 대나무합판(12)으로 침투하여 무게를 무겁게 하는 것을 차단해주게 된다.
이러한 금속 박판(11)은 아연도금강판, 알루미늄판 등 다양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1인 거푸집 설치 및 해체 작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금속 박판(11)은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대나무합판(12)은 여러 종류의 합판 중에서 무게가 가볍고 보온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최근에 각종 인테리어 재로 활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거푸집의 무게를 가볍게 해주면서 콘크리트 타설 후 보온성을 제공하여 양생 품질이 우수해질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대나무합판(12)은 전면의 금속 박판(11)에 의해 내부로부터의 수분 침투가 방지된다.
대나무합판(12)과 금속 박판(11)의 고정은 접착 방식, 볼트 너트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방수층(13)은 외부로부터 대나무합판(12)으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여 경량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 시트상으로 이루어져 대나무합판(12)에 접착 고정되거나, 액상으로 이루어진 채 대나무합판(12)의 표면에 코팅 또는 분사되어 대나무합판(12)을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방수층(13)은 시트상인 경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PVC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코팅이나 도포 방식의 경우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대나무합판(12)은 그 자체로는 휨에 약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30)이 설치되나, 보강프레임(30)의 설치 개수가 늘어나게 되면 무게가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강프레임(30)의 설치 개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아라미드섬유나 탄소섬유가 추가로 방수층(13)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수층(13)이 시트상인 경우 방수층(13)의 외측으로 탄소섬유시트를 적층하거나, 액상인 경우 탄소섬유나 아라미드섬유를 분쇄하여 방수 액상에 포함시킨 후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외부프레임(20)은 통상의 거푸집과 마찬가지로 복합패널(10)의 휨을 방지하고, 거푸집 상호간에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금속질로 이루어지며,상기 복합패널(1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취지상 외부프레임(20)은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는 도 1,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측에 날개부(23)가 구비된 "L"자의 단면 형상을 이루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보강프레임(30)은 양측 단부가 상기 외부프레임(20)에 연결되어 있는 금속질로 이루어지며, 역시 복합패널(10)의 중간 부분의 휨을 방지해주게 된다.
보강프레임(30)의 단면 형상은 외부프레임(20)과 동일하게 "L"자형을 취할 수도 있고, 사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사각형의 각형 보강 프레임의 경우 내부에 소음 완충재를 추가하여 소음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도 있다.
보강프레임(30) 역시 전체적인 거푸집의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층 구조의 거푸집은 거푸집끼리 접하는 부분에 패킹(4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단면도에는 외부프레임(20)에 패킹(40)이 설치되는 홈이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거푸집끼리 맞닿는 면에 원형 단면 형상의 패킹이 끼워져 방수 성능을 제시하도록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 도 3에는 외부프레임(20)의 벽체부의 하단측에 사각형 형태의 패킹삽입홈(22)이 형성되고, 패킹삽입홈(22)에 사각형 형태의 패킹(40)이 설치된 예이다.
또한, 도 4에는 인접한 거푸집의 외부프레임(20)이 맞닿는 접촉면에 판상으로 이루어진 고무 패킹(40)이 설치된 예이다.
도 3, 4에서 도면기호 21은 인접한 거푸집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체결볼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외부프레임(20)의 구조를 도 5와 같이 일측프레임(20a)과 타측프레임(20b)가 서로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일측 거푸집의 외부프레임(20) 하단에는 체결돌기(24)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타측 거푸집의 외부프레임(20) 하단에는 돌기삽입홈(25)이 형성되어 체결돌기(24)가 돌기삽입홈(25)에 삽입되는 형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끼움 결합 방식에도 전술한 패킹(40)이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 구조의 거푸집은 복합패널(10)은 표면에 얇은 금속 박판(11)이 구비되는데, 이 금속 박판(11)은 약간의 충격에도 쉽게 찌그러지거나 손상을 입을 수 있다.
특히, 거푸집의 설치 후 해체하는 과정에서 천정측에 설치되는 거푸집들은 가설 기둥을 분리한 후 망치 등으로 거푸집을 두드려 바닥으로 낙하시켜가면서 분리하게 되는데 이처럼 지면에 거푸집이 그대로 낙하하는 경우 본 발명의 거푸집은 표면이 쉽게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거푸집의 설치 전이나 후에 거푸집 주변에 도드래를 설치하고, 이 도르래를 이용하여 로프에 거푸집이 매달려 있도록 구성하여 로프를 서서히 풀어주게 되면 거푸집이 로프에 매달린 채 천천히 낙하하게 되는 바, 거푸집의 손상을 방지하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거푸집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프레임(20) 및 보강프레임(30)에는 일직선을 이루는 로프관통홀(50)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프관통홀(50)로 거푸집 해체용 로프(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로프(60)의 설치는 거푸집의 설치 전, 후 아무때나 관계없이 로프관통홀(50)을 통해 설치할 수 있다.
하지만,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천정 슬래브 형성을 위한 거푸집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로프관통홀(50)을 통해 로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사다리를 타고 로프를 로프관통홀(50)로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는 작업을 해야 한다.
더욱이, 로프관통홀(50)로 부득이하게 타설된 콘크리트가 묻어 있는 경우는 이러한 작업의 어려움이 가중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로프(60)는 거푸집에 함께 설치된 상태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프(60)는 보강프레임(30)과 외부프레임(20) 사이에 상기 로프관통홀(50)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걸림돌기(61)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프(60)에는 양측에 걸림돌기(61)가 설치되고, 이 걸림돌기(61)는 로프관통홀(50)에 걸려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걸림돌기(61)는 간편하게 매듭으로 형성되거나, 로프(60)에 별도의 부재가 접착 고정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내부가 빈 관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내주면이 로프(60)와 밀착된 형태가 되어 일정한 인장력 이상이 되면 로프(6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관상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61)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거푸집의 해체 과정에서도 여러 거푸집들이 미끄러져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높여주게 된다.
이처럼 각 거푸집마다 로프(60)가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거푸집을 설치하거나, 타설 후 해체 준비 과정에서 각 거푸집에 설치된 로프(60)들을 상호 매듭 등의 방식으로 결속시켜주면 된다.
이때, 보다 간편한 체결을 위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로프(60)의 일측 단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결합부재(6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로프(60)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62)와 나사결합되는 제2결합부재(63)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인접한 거푸집에 각각 설치된 로프(60)의 일단과 타단의 제1결합부재(62)와 제2결합부재(63)를 나사결합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로프(60)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재(62) 및 제2결합부재(63)는 상기 로프관통홀(50)을 관통할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하여 인접하게 거푸집들을 설치할 때 서로 인접한 외부프레임(20)이 맞닿는 데 로프(60) 및 제1결합부재(62), 제2결합부재(63)로 인한 방해를 받지 않고 인접한 외부프레임(20)들끼리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에는 이처럼 로프(60)를 이용한 거푸집 해체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상태를 보면 구조물 천정 슬라브 형성을 위해 거푸집들을 설치하되, 제1결합부재(62) 및 제2결합부재(63)들을 서로 결속한 상태를 취하도록 한다.
더불어, 슬라브 양측의 벽체에는 상측과 하측에 도르래(70)를 설치하고, 이 도르래(7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별도의 보조로프(60a)를 준비하여 양측 가장자리 거푸집들의 로프(60)와 결속한다.
결속 방식은 매듭 방식으로 이루어지거나, 전술한 결합부재(62, 63)들의 결합 방식으로 결속할 수 있다.
이때, 양측 보조로프(60a)의 단부측에는 손잡이(60b)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천정 측 거푸집들을 탈거하기 위해서 먼저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가설기둥을 해체하여 외부로 반출한 다음 통상의 거푸집 해체시와 마찬가지로 거푸집을 타격시켜 양생이 완료된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금속 박판(11)이 박리되도록 한다.
박리되는 순간에는 별도의 작업자가 보조로프(60a)를 잡고 있거나 중량추를 이용하여 보조로프(60a)를 고정시켜 놓은 상태를 유지한다.
거푸집들의 박리가 끝난 후에는 작업자가 보조로프(60a)를 잡은 채 보조로프(60a)를 잡아당기는 힘을 점차 줄여가면 거푸집들이 자중에 의해 천천히 하강하게 된다.
이때, 각 거푸집들은 로프(6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되어 천천히 함게 하강하게 되며, 도 8과 같은 상태로 함께 내려오게 된다.
따라서 하강 과정에서 거푸집이 뒤집혀 금속 박판(11)이 장애물, 인접한 거푸집, 바닥 등에 부딪혀 찌그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거푸집들의 하강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호 결속된 제1결합부재(62) 및 제2결합부재(63)를 서로 분리하여 각각의 거푸집들을 포개어 정렬하면 된다.
이상과 같은 거푸집 해체는 거푸집의 낙하로 인한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면서 거푸집의 손상을 방지하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로프(60)는 유동이 가능하나,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걸림돌기(61)의 위치가 보조프레임(30)이나 외부프레임(20)과 접한 위치가 아니라 보조프레임(30)과 외곽의 외부프레임(20) 사이 중간 지점에 위치하여 어느 정도의 로프(60)의 유동이 가능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로프(60)가 연결이 가능하면서 외부프레임(20)간의 밀착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걸림돌기(61)가 걸리는 구조로 인해 양측에서 보조로프(60a)를 잡고 버티는 힘이 다른 경우 거푸집들이 로프(60)를 타고 한쪽으로 미끄러져 이동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가일층 안전하게 거푸집을 해체할 수 있게 된다.
10 : 복합패널 11 : 금속 박판
12 : 대나무합판 13 : 방수층
20 : 외부프레임 20a : 일측프레임
20b : 타측프레임 21 : 체결볼트
22 : 패킹삽입홈 23 : 날개부
24 : 체겨돌기 25 : 돌기삽입홈
30 : 보강프레임 40 : 패킹
50 : 로프관통홀 60 : 로프
60a : 보조로프 60b : 손잡이
61 : 걸림돌기 62 : 제1결합부재
63 : 제2결합부재 70 : 도르래

Claims (5)

  1. 다층 구조의 복합 거푸집에 있어서,
    금속 박판(11)과, 상기 금속 박판(11) 일측면에 적층된 채 고정되어 있으며, 대나무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대나무합판(12)과, 상기 대나무합판(12)의 일측면에 적층된 채 고정되어 있는 방수층(13)으로 이루어진 복합패널(10)과;
    상기 복합패널(1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금속질의 외부프레임(20)과;
    상기 양측 단부가 상기 외부프레임(20)에 연결되어 있는 금속질의 보강프레임(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부프레임(20) 및 보강프레임(30)에는 일직선을 이루는 로프관통홀(50)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프관통홀(50)로 거푸집 해체용 로프(60)가 설치되고,
    상기 로프(60)는 보강프레임(30)과 외부프레임(20) 사이에 상기 로프관통홀(50)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걸림돌기(6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프(60)의 일측 단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결합부재(6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로프(60)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62)와 나사결합되는 제2결합부재(6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결합부재(62) 및 제2결합부재(63)는 상기 로프관통홀(50)을 관통할 정도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의 복합 거푸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측면에는 패킹(4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의 복합 거푸집.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17944A 2017-09-14 2017-09-14 다층 구조의 거푸집 KR101852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944A KR101852615B1 (ko) 2017-09-14 2017-09-14 다층 구조의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944A KR101852615B1 (ko) 2017-09-14 2017-09-14 다층 구조의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615B1 true KR101852615B1 (ko) 2018-04-27

Family

ID=6208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944A KR101852615B1 (ko) 2017-09-14 2017-09-14 다층 구조의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6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7163A (zh) * 2019-02-13 2019-05-03 中航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拆卸脱模简便的浇筑模板装置
KR20200054516A (ko) * 2018-11-12 2020-05-20 (주)영우산업 갱폼의 추락 방지 장치
KR102262011B1 (ko) * 2020-08-04 2021-06-08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가변형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부재 제작 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2942A (ja) * 2009-08-19 2011-03-03 Seiki Hanbai Co Ltd 竹炭パネル
KR101559988B1 (ko) * 2014-07-29 2015-10-14 서보산업 주식회사 조기 탈형이 가능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2942A (ja) * 2009-08-19 2011-03-03 Seiki Hanbai Co Ltd 竹炭パネル
KR101559988B1 (ko) * 2014-07-29 2015-10-14 서보산업 주식회사 조기 탈형이 가능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516A (ko) * 2018-11-12 2020-05-20 (주)영우산업 갱폼의 추락 방지 장치
KR102157194B1 (ko) * 2018-11-12 2020-09-18 (주)영우산업 갱폼의 추락 방지 장치
CN109707163A (zh) * 2019-02-13 2019-05-03 中航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拆卸脱模简便的浇筑模板装置
KR102262011B1 (ko) * 2020-08-04 2021-06-08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가변형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부재 제작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2445B2 (en) Insulated concrete form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852615B1 (ko) 다층 구조의 거푸집
US7320201B2 (en) Wall construction
RU2463413C2 (ru) Составное изделие для конструируемых перекрытий
CA2838184C (en) Stronger wall system
US10837183B2 (en) Rough-in box for creating penetrations in poured concrete flooring and method of use
KR101986990B1 (ko) 외단열 공법 및 그에 따른 외단열 벽체
US6907697B2 (en) Composite systems and methods for anchoring walls
US200702780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scaffold to a building
KR20170111300A (ko) 탈형 보조 판넬을 갖는 거푸집 판넬
KR100452976B1 (ko) 슬림플로어 공법을 위한 스틸플레이트 보강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KR20160027360A (ko) 외단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JP2021095792A (ja) 軽量覆工板の設置構造
NL2008176C2 (en) Process to modify a facade of a building.
JP3144778U (ja) 門袖ユニット
KR101046020B1 (ko) 탈형과 재조립이 용이한 거푸집의 쐐기 결합구조
JPH0523091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型枠およびコンクリート打込工法
FI127317B (fi) Kaksikuorinen betonielementti ja menetelmä kaksikuorisen betonielementin nostamiseksi
JP2516713Y2 (ja) 鉄筋コンクリートフェンスの製造装置
JP2020007788A (ja) 層状パネル床版橋、及び層状パネル床版橋構築方法
JPH0571172A (ja) 永久型枠用フレーム
JP2681138B2 (ja) 永久型枠板ユニット
CA2988276A1 (en) Structural concrete wall form
JP2001032483A (ja) 建物内部階段
WO2008096353A2 (en) Formwork system and wall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