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427B1 - 체인점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체인점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427B1
KR101852427B1 KR1020110006538A KR20110006538A KR101852427B1 KR 101852427 B1 KR101852427 B1 KR 101852427B1 KR 1020110006538 A KR1020110006538 A KR 1020110006538A KR 20110006538 A KR20110006538 A KR 20110006538A KR 101852427 B1 KR101852427 B1 KR 101852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rver
management
central control
oper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7343A (ko
Inventor
윤상원
전덕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6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427B1/ko
Priority to US13/980,685 priority patent/US20130304812A1/en
Priority to PCT/KR2011/010068 priority patent/WO2012099345A1/en
Priority to EP11856121.6A priority patent/EP2666140A4/en
Publication of KR20120087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70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energy generation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체인점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중앙 제어 서버를 구비한 본 발명의 체인점 관리 시스템은, 체인점 내 구비되고, 상기 중앙 제어 서버와 상태 데이터 및 운전 제어 데이터를 각각 송신 및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및 상기 중앙 제어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장치를 관리하는 장치 관리 데이터를 제공하는 원격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장치 관리 데이터 및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각각 상기 원격 관리 서버 및 상기 장치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체인점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MANAGEMENT SYSTEM FOR CHAIN STORE AND REMOTELY MANAG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체인점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 체인점의 관리자가 원격으로 체인점의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는 체인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체인점(Chain Store)은 복수의 상품들을 취급하는 복수의 상점들을 중앙에서 통제하는 점포 조직에 해당한다. 상기 복수의 상점들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상기 복수의 상품들은 시중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상기 각 상점을 운영하는 사용자에게 상기 복수의 상품들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관리자의 상기 복수의 상점들에 대한 일괄적인 관리로 인하여, 상기 각 상점의 운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상품들에 대한 일괄적인 광고를 실시할 수 있다.
최근 상기 체인점 내 각 장치 또는 설비가 현대화됨에 따라, 상기 체인점 내 설치된 전력, 조명 등 에너지 관리 및 에어컨, 냉장고, 냉동고, 진열대(showcase) 등의 서브 시스템(sub system)을 전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다만, 각 체인점의 관리자가 체인점 밖에서 원격으로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각 체인점 내의 장치 및 설비를 관리할 때, 상기 장치 및 설비를 효과적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각 체인점들의 위치와 상기 체인점들을 중앙에서 관리하는 중앙 제어 서버 사이의 거리가 원격인 경우에도 상기 중앙 제어 서버에서 상기 복수의 체인점들을 효과적으로 관리 및 감시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체인점의 관리자가 체인점 밖에서 원격으로 각 체인점 내의 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원격 지점에 위치한 체인점 내 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 서버를 구비한 체인점 관리 시스템은, 체인점 내 구비되고, 상기 중앙 제어 서버와 상태 데이터 및 운전 제어 데이터를 각각 송신 및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및
상기 중앙 제어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장치를 관리하는 장치 관리 데이터를 제공하는 원격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장치 관리 데이터 및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각각 상기 원격 관리 서버 및 상기 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상태 데이터는 현재 접속시각에서의 에어컨 정보, 냉장 정보, 조명 정보, 전력사용 정보, 장치 이력 정보, 설비 고장정보 및 전력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체인점 관리 시스템은, 상기 원격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원격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장치 관리 데이터를 전송받아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는 상기 상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또는 상기 단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장치를 원격 제어하도록 원격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작성된다.
상기 체인점 관리 시스템은,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장치로 전송하는 로컬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인점 관리 시스템은, 상기 로컬 제어기와 상기 중앙 제어 서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태 데이터를 원격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상기 로컬 제어기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장치를 관리하는 장치 관리 화면을 생성하는 웹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장치 관리 화면에 대한 화면 제어 데이터 및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각각 상기 웹 서버 및 상기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 관리 화면은, 에어컨 정보, 냉장 정보, 전력 사용 정보, 설비 정보, 고장 이력 정보, 고장 설정 정보 및 에너지 사용 상세 정보에 관한 화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 제어 데이터는 상기 장치의 시스템 정보 및 버전 정보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헤더와, 상기 장치의 아이디, 그룹 번호, 동작 상태, 운전 모드, 온도 및 전력 사용량을 포함하는 바디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입력된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에 의해 입력된 검색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장치 관리 데이터 또는 상기 화면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태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상기 원격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작성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장치 관리 화면에 배치된 창(window)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상기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은, 체인점 내 구비되고,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 상기 장치를 관리하는 장치 관리 데이터를 제공하는 원격 관리 서버 및 상기 장치와 상기 원격 관리 서버 사이에 배치된 중앙 제어 서버를 구비한 체인점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중앙 제어 서버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은 상기 장치로부터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장치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원격 관리 서버에 상기 장치 관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장치에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은, 상기 원격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장치 관리 화면을 전송받는 단말을 더 포함하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중앙 제어 서버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장치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상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또는 상기 단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원격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작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점 관리 시스템은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장치 관리 데이터 및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각각 원격 관리 서버 및 장치로 전송하는 중앙 제어 서버를 구비함으로써, 각 체인점의 관리자가 체인점 밖에서 원격으로 각 체인점 내의 장치를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점 관리 시스템은 상기 중앙 제어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장치를 관리하는 장치 관리 데이터를 제공하는 원격 관리 서버를 구비함으로써,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원격 지점에 위치한 체인점 내 장치를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중앙 제어 서버 및 원격 관리 서버의 세부 블록 구성도이고,
도 3a 내지 도 3g는 도 1에 따른 장치 관리 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인점 관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중앙 제어 서버 및 원격 관리 서버의 세부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점 관리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체인점들을 포함하는 체인점 시스템(100), 상기 체인점 시스템(100)과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는 중앙 제어 서버(200) 및 상기 중앙 제어 서버(200)와 연결되고, 상기 장치를 관리하는 장치 관리 데이터를 제공하는 원격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300)는 체인점 내 구비된 장치(110)를 관리하는 장치 관리 화면을 생성하는 웹 서버(350)일 수 있다.
상기 체인점 관리 시스템은 상기 원격 관리 서버(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원격 관리 서버(200)로부터 상기 장치 관리 화면을 전송받아 표시하는 단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 관리 화면은 에어컨 정보, 냉장 정보, 전력 사용 정보, 설비 정보, 고장 이력 정보, 고장 설정 정보 및 에너지 사용 상세 정보에 관한 화면 중 어느 하나이다. 도 3a 내지 도 3g는 도 1에 따른 장치 관리 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각각 에어컨 정보, 냉장 정보, 전력 사용 정보, 장치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 관리 화면에 해당한다. 상기 에어컨 정보 및 냉장 정보는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점 내에 구비된 위치를 반영하여 상기 에어컨, 냉장고, 진열대 등을 표시하고, 현재 온도 및 설정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사용 정보는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10)에 따른 전력 사용량 및 전기 요금을 표시하고, 전체 사용 전력량 등을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이력 정보는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인점 내에 구비된 복수의 에어컨, 냉장고, 진열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내고, 현재 온도 상태도 이와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e 및 도 3f는 각각 고장 이력 정보 및 고장 알림에 관한 장치 관리 화면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도 3e에서 상기 장치 관리 화면의 상단에 배치된 탭을 클릭하여 고장 이력 페이지 또는 유지 보수 이력 페이지가 상기 장치 관리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3f에서 상기 장치 관리 화면의 상단에 배치된 탭을 클릭하여 에러 기준 설정 페이지 및 알람 수신 설정 페이지가 상기 장치 관리 화면에 표시된다. 도 3g는 에너지 사용 상세 정보에 해당하는 장치 관리 화면이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 관리 화면은 에어컨 운전 시간, 타 지점과의 전력 사용량 비교, 월간 전력 사용 현황, 설비 별 전력 사용 현황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체인점 시스템(100)은 체인점 내 구비되고, 상기 중앙 제어 서버(200)와 상태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를 각각 송신 및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110)를 포함한다. 상기 체인점 시스템(100)은 상기 장치(110)로부터 상기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상기 운전 데이터를 상기 중앙 제어 서버(200)로부터 상기 장치(110)로 전송하는 로컬 제어기(1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110)는 에어컨, 냉장고, 진열대, 전력 장치 및 설비 장치 등을 포함하고, 상태 데이터는 현재 접속 시각에서의 에어컨, 냉장고 및 진열대의 온도, 전체 전력 사용량 등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중앙 제어 서버(200)는 상기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장치 관리 데이터 및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장치 관리 데이터 및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각각 상기 원격 관리 서버(300) 및 상기 장치(110)로 전송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 제어 서버(200)는 상기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장치 관리 화면에 대한 화면 제어 데이터 및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화면 제어 데이터 및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각각 상기 웹 서버(350) 및 상기 장치(110)로 전송한다.
상기 중앙 제어 서버(200)는 상기 단말(400)에 의해 입력된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400)에 의해 입력된 검색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장치 관리 데이터 또는 상기 화면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 서버(200)는 인터페이스부(210), 제어부(220) 및 데이터 베이스 서버(2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 서버(20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장치(110) 또는 상기 단말(400)과 상기 중앙 제어 서버(200) 사이에 상기 상태 데이터 또는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장치(110)로부터 상기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220)로 전송하는 입력부(211) 및 상기 제어부(220)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240)로부터 각각 상기 화면 제어 데이터 및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웹 서버(350)로 출력하는 출력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장치(110) 및 상기 단말(400)로부터 상기 입력부(211)를 통해 각각 입력된 상기 상태 데이터 및 검색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400)이 상기 장치 관리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화면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웹 서버(35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화면 제어 데이터는, 상기 장치(110)의 시스템 정보 및 버전 정보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헤더(header)와, 상기 장치(110)의 아이디, 그룹 번호, 동작 상태, 운전 모드, 온도 및 전력 사용량을 포함하는 바디(body)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220)는 화면 구성부(221) 및 주제어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화면 구성부(221)는 상기 장치 관리 화면이 상기 단말(400)에 배치되도록 상기 화면 구성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주제어부(222)는 상기 상태 데이터가 상기 장치 관리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화면 구성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화면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230)는 상기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태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240)는 상기 장치(110)를 원격 제어하는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원격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작성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240)는 상기 장치 관리 화면에 배치된 창(window)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230)에 저장된 상기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한다.
상기 웹 서버(350)는 상기 중앙 제어 서버(200)로부터 상기 화면 제어 데이터 및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351), 상기 화면 제어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400)에 상기 장치 관리 화면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웹 페이지 생성부(352) 및 상기 웹 페이지 생성부(320)에서 생성된 상기 웹 페이지를 상기 단말(400)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353)를 포함한다.
상기 체인점 관리 시스템은 상기 로컬 제어기(120)와 상기 중앙 제어 서버(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태 데이터를 원격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중앙 제어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상기 로컬 제어기(120)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500)는 상기 상태 데이터 및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라우터(router)에 해당한다. 상기 게이트웨이(500)는 상기 상태 데이터 및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원격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는 프로토콜 변환 유닛(510)을 구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따른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은, 체인점 내 구비되고,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 상기 장치를 관리하는 장치 관리 데이터를 제공하는 원격 관리 서버 및 상기 장치와 상기 원격 관리 서버 사이에 배치된 중앙 제어 서버를 구비한 체인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서버에 의해 수행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은 제1 내지 제 5단계(S110 ~ S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S110)는 상기 장치로부터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단계(S120)는 상기 장치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3 단계(S130)는 상기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4 단계(S140)는 상기 원격 관리 서버에 상기 장치 관리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5 단계(S150)는 상기 장치에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5에 따른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에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장치를 관리하는 장치 관리 화면을 생성하는 웹 서버이다. 제2 단계(S121)에서 중앙 제어 서버는 화면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제 3단계(S130)는 상기 제1 내지 제3 과정(S131 ~ S1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과정(S131)은 수신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2 과정(S132)은 저장된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제3 과정(S133)은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운전 제어 데이터를 원격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작성한다.
상기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은 제6 및 제7 단계(S160, S17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6 단계(S160)는 웹 서버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화면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웹 서버가 장치 관리 화면을 생성한다. 상기 제7 단계(S170)는 운전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중앙 제어 서버가 상기 장치를 원격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 따른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은, 상기 원격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장치 관리 화면을 전송받는 단말을 더 포함하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서버에 의해 수행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에서 제2 및 제3 단계(S220, S230)는 하기와 같다. 상기 제2 단계(S220)는 상기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장치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 3단계(S230)는 상기 단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7에 따른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에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장치를 관리하는 장치 관리 화면을 생성하는 웹 서버이다. 제2 단계(S221)에서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 명령에 근거하여, 화면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 3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과정(S231, S23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과정(S231)은 상기 단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2 과정(S232)은 상기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운전 제어 데이터를 원격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작성한다.
100: 체인점 관리 시스템 110: 장치
120: 로컬 제어기 200: 중앙 제어 서버
210: 인터페이스부 211: 입력부
212: 출력부 220: 제어부
221: 주제어부 222: 화면 구성부
230: 데이터 베이스 서버 240: 어플리케이션 서버
300: 원격 관리 서버 350: 웹 서버
351: 데이터 수신부 352: 웹페이지 생성부
352: 데이터 송신부 400: 단말
500: 게이트 웨이 510: 프로토콜 변환 유닛

Claims (15)

  1. 중앙 제어 서버를 구비한 체인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체인점 내 구비되고, 상기 중앙 제어 서버와 상태 데이터 및 운전 제어 데이터를 각각 송신 및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 및
    상기 중앙 제어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장치를 관리하는 장치 관리 데이터를 제공하는 원격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장치 관리 데이터 및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각각 상기 원격 관리 서버 및 상기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원격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장치 관리 데이터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단말을 더 포함하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장치로 전송하는 로컬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제어기와 상기 중앙 제어 서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태 데이터를 원격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상기 로컬 제어기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장치를 관리하는 장치 관리 화면을 생성하는 웹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장치 관리 화면에 대한 화면 제어 데이터 및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각각 상기 웹 서버 및 상기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입력된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에 의해 입력된 검색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장치 관리 데이터 또는 상기 화면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태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포함하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원격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작성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더 포함하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장치 관리 화면에 배치된 창(window)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상기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
  11.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관리 화면은
    에어컨 정보, 냉장 정보, 전력 사용 정보, 설비 정보, 고장 이력 정보, 고장 설정 정보 및 에너지 사용 상세 정보에 관한 화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제어 데이터는
    상기 장치의 시스템 정보 및 버전 정보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헤더와,
    상기 장치의 아이디, 그룹 번호, 동작 상태, 운전 모드, 온도 및 전력 사용량을 포함하는 바디로 이루어지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
  13. 체인점 내 구비되고,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 상기 장치를 관리하는 장치 관리 데이터를 제공하는 원격 관리 서버 및 상기 장치와 상기 원격 관리 서버 사이에 배치된 중앙 제어 서버를 구비한 체인점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중앙 제어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은,
    상기 장치로부터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장치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원격 관리 서버에 상기 장치 관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장치에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로부터 장치 관리 화면을 전송받는 단말을 더 포함하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중앙 제어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장치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상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또는 상기 단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상기 운전 제어 데이터를 원격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작성하는 것을 특징하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
KR1020110006538A 2011-01-21 2011-01-21 체인점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 KR101852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538A KR101852427B1 (ko) 2011-01-21 2011-01-21 체인점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
US13/980,685 US20130304812A1 (en) 2011-01-21 2011-12-27 Chain management system, remote management method thereof and user screen displaying method therefor
PCT/KR2011/010068 WO2012099345A1 (en) 2011-01-21 2011-12-27 Chain management system, remote management method thereof and user screen displaying method therefor
EP11856121.6A EP2666140A4 (en) 2011-01-21 2011-12-27 STORAGE CHAINS MANAGEMENT SYSTEM, ASSOCIATED REMOTE MANAGEMENT METHOD, AND ASSOCIATED USER SCREEN DISPLAY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538A KR101852427B1 (ko) 2011-01-21 2011-01-21 체인점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343A KR20120087343A (ko) 2012-08-07
KR101852427B1 true KR101852427B1 (ko) 2018-06-11

Family

ID=4687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538A KR101852427B1 (ko) 2011-01-21 2011-01-21 체인점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4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805B1 (ko) * 2013-05-21 2020-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5170A (ja) * 2002-05-31 2004-01-08 Seiko Epson Corp デバイス状態監視システム、デバイス管理端末、デバイス監視端末、端末用プログラム及び監視モジュールのデータ構造、並びにデバイス状態監視方法
KR20150051029A (ko) * 2013-11-01 2015-05-11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에너지 통합 네트워크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5170A (ja) * 2002-05-31 2004-01-08 Seiko Epson Corp デバイス状態監視システム、デバイス管理端末、デバイス監視端末、端末用プログラム及び監視モジュールのデータ構造、並びにデバイス状態監視方法
KR20150051029A (ko) * 2013-11-01 2015-05-11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에너지 통합 네트워크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343A (ko)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2589B2 (ja) 家電製品を用いてエネルギー消費量を効果的に管理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30304268A1 (en) Electrical Energy Usage Monitoring System
US8589816B2 (en) CE device for home energy management
US101980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a meter during communication activities
US201200297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utilizing electrical signatures for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817355B1 (ko) 스마트 전자제품의 전력 관리 방법 및 장치
EP2592788A1 (en) Utility powered communication gateway
US20160087834A1 (en) Smart Hom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8624747B2 (en) Roll-lock snap-on current transformer
US201200047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management
US20130170481A1 (en) Load monitoring systems, nodes, and related methods
US20150261644A1 (en) Energy Efficiency 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of its Use for Empowering Consumers to Perform Energy Usage Audit at Home via Energy Data Aggregation of Electronic Appliances and Devices
US20040034638A1 (en) Method for analyzing and characterizing the usage pattern of a device
KR102438442B1 (ko) 전력 수요 관리 기능을 갖는 시스템
Chaudhri et al. Pervasive computing technologies to monitor vaccine cold chains in developing countries
US20200340711A1 (en) System for water management, and related methods
CN103777598A (zh) 疫苗冷链温度监控系统及方法
US201502621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hop using lighting network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KR102438439B1 (ko) 전력 수요 관리 기능을 갖는 서버, 통신 기기 및 서버, 및 그것의 전력 사용 관리 방법
JP200529545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電子値札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通信端末装置並びに無線通信方法
KR101852427B1 (ko) 체인점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
CN205427589U (zh) 基于微信平台的智能家居控制系统
WO2014073439A1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5177812B2 (ja) デマンド監視システム
US87994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of communication activities of a meter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