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287B1 - 서비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고객-구내 장비 - Google Patents

서비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고객-구내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287B1
KR101851287B1 KR1020177010110A KR20177010110A KR101851287B1 KR 101851287 B1 KR101851287 B1 KR 101851287B1 KR 1020177010110 A KR1020177010110 A KR 1020177010110A KR 20177010110 A KR20177010110 A KR 20177010110A KR 101851287 B1 KR101851287 B1 KR 101851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service
current service
frame structure
time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502A (ko
Inventor
빙 류
징야 원
딩졔 왕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54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04B7/0608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고객-구내 장비를 제공하며, 안테나 분야에 속한다. 상기 방법은: 현재 서비스에 대응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작동 안테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작동 안테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결정된 작동 안테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일 수도 있고 다른 서비스 안테나일 수도 있다. 복수의 작동 안테나가 결정될 때, 작동 안테나는 동일한 서비스를 처리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서비스를 처리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방식이 더 유연할 뿐만 아니라 양호한 신호 강도를 가지는 서비스 안테나가 작동 안테나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보장되며, 이에 의해 서비스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서비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고객-구내 장비{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SIGNAL AND CUSTOMER PREMISE EQUIPMENT}
본 발명은 안테나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고객-구내 장비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핫스팟 신호와 모바일 네트워크 신호 모두를 송수신할 수 있는 고객-구내 장비(Customer Premise Equipment, CPE)가 많이 존재한다. 통상적으로, 핫스팟 신호와 모바일 네트워크 신호 모두를 송신/수신하기 위해, 핫스팟 안테나 및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가 CPU 내에 각각 설치된다. CPE가 지원하는 다양한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관련 기술로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동안,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CPU의 현재 서비스를 결정하고, 현재 서비스에 대응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를 작동 안테나로 사용하여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며, 작동 안테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 채널을 이용해서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제어된다. 관련 기술로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동안, CPE의 현재 서비스를 참조하여 현재 서비스 안테나를 작동 안테나로 결정하여,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 채널을 이용해서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작동 안테나를 제어해야 한다.
관련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관련 기술로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동안, CPE의 현재 서비스를 참조하여 현재 서비스 안테나를 작동 안테나로 결정하고, 작동 안테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 채널을 이용해서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제어된다. 이 경우,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방식이 유연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서비스 신호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빈약한 신호 강도로 인해 정상적으로 고속으로 처리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서비스 처리가 방해되거나, 서비스 처리율이 높지 않은 등의 문제가 있다.
종래기술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고객 구내 장치를 제공한다. 기술적 솔루션은 다음과 같다:
제1 관점에 따라,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고객-구내 장비(customer-premises equipment, CPE)에 적용되며,
현재 서비스에 대응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는 단계;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동기화 모멘트에서 다른 서비스에 대응하는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그런 다음 테스트 신호를 수신/송신하는 단계;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다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신호의 수신/송신 결과에 따라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작동 안테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작동 안테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관점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면,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1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2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고,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관점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되,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면,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3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3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제3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하고, 발견된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관점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지만,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면,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4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4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제4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하고, 발견된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관점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면,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과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를 결정하고,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과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관점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작동 안테나를 제어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작동 안테나가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아니면,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제1 관점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제1 관점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7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작동 안테나를 선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규칙적으로 폴링하는 단계; 및
폴링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작동 안테나를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제2 관점에 따라,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고객-구내 장비(customer-premises equipment, CPE)에 적용되며,
현재 서비스에 대응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획득 모듈;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획득 모듈;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획득 모듈;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제어 모듈;
상기 획득된 동기화 모멘트에서 다른 서비스에 대응하는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그런 다음 테스트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제어 모듈;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제어 모듈;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다시 전환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4 제어 모듈;
상기 테스트 신호의 수신/송신 결과에 따라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결정 모듈;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작동 안테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선택 모듈; 및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작동 안테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5 제어 모듈
을 포함한다.
제2 관점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면, 제2 획득 모듈은: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1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결정 유닛;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2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결정 유닛
을 포함하며,
제3 획득 모듈은: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고,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획득 유닛
을 포함한다.
제2 관점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되,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면, 제2 획득 모듈은: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3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3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결정 유닛;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4 결정 유닛
을 포함하며,
제3 획득 모듈은: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제3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하고, 발견된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검색 유닛
을 포함한다.
제2 관점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지만,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면, 제2 획득 모듈은: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5 결정 유닛;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4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4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6 결정 유닛
을 포함하며,
제3 획득 모듈은: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제4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하고, 발견된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검색 유닛
을 포함한다.
제2 관점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면, 제2 획득 모듈은: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7 결정 유닛;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8 결정 유닛
을 포함하며,
제3 획득 모듈은: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과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를 결정하고,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과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9 결정 유닛
을 포함한다.
제2 관점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작동 안테나가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아닐 때,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6 제어 모듈
을 더 포함한다.
제2 관점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결정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제6 제어 모듈은: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 조건을 충족할 때,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관점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7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규칙적으로 폴링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폴링 모듈; 및
폴링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작동 안테나를 갱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갱신 모듈
을 더 포함한다.
제2 관점에 따라, 고객-구내 장비가 제공되며, 상기 고객-구내 장비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서비스에 대응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하고;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고;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획득된 동기화 모멘트에서 다른 서비스에 대응하는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그런 다음 테스트 신호를 수신/송신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다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테스트 신호의 수신/송신 결과에 따라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작동 안테나를 선택하며; 그리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작동 안테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관점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1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며;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2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며; 그리고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고,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제3 관점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되,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3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3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며; 그리고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제3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하고, 발견된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제3 관점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지만,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4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4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며; 그리고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제4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하고, 발견된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제3 관점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며: 그리고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과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를 결정하고,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과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제3 관점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작동 안테나가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아니면,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되게끔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제3 관점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되게끔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제3 관점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7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규칙적으로 폴링하며; 그리고 폴링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작동 안테나를 갱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솔루션의 이로운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동 안테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결정되고,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결정된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일 수도 있고 다른 서비스 안테나일 수도 있으며, 복수의 작동 안테나가 결정되면, 작동 안테나는 동일한 서비스를 처리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서비스를 처리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방식이 더 유연할 뿐만 아니라 양호한 신호 강도를 가지는 서비스 안테나가 작동 안테나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보장되며, 이에 의해 서비스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창조적 노력 없이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PE 내의 서비스 안테나의 배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PE 내에서 WiFi 안테나와 LTE 안테나 간의 관계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프레임 구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프레임 구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관련 기술에 의해 제공되는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데 사용될 때 지향성 패턴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데 사용될 때 지향성 패턴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객-구내 장비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솔루션, 및 이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PE 내의 서비스 안테나의 배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통상적으로, CPE는 적어도 하나의 핫스팟 및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PE는 2개의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안테나 및 2개의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CPE가 2개의 WiFi 안테나 및 적어도 2개의 LTE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이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렇지만, 특정한 실시 동안, 각 유형의 서비스 안테나의 수를 다르게 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PE는 하나의 WiFi 안테나 및 하나의 LTE 안테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네트워크 서비스는 LTE 서비스일 수도 있고 다른 서비스일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서비스 또는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서비스일 수도 있다.
CPE가 2개의 LTE 안테나 및 2개의 WiFi 안테나를 포함할 때, 프라이머리/세컨더리 LTE 안테나 간의 격리, 프라이머리/세컨더리 WiFi 안테나 간의 격리, LTE 안테나와 2개의 WiFi 안테나 간의 격리, 및 안테나의 지향성 패턴의 커버리지를 보장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배치를 사용한다: 2개의 LTE 안테나는 최대한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보드의 상-좌(upper left) 모서리 및 상-우(upper right) 모서리에 각각 위치하며, 2개의 WiFi 안테나는 보드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고 LTE 안테나와는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 있다. 안테나의 지향성 패턴 특성을 참조하면, CPE의 실제 응용 프로세스에서, 현재 서비스에 대응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하나의 모멘트에서 작동 안테나로 사용되고,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해서 처리되면,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방식이 유연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서비스 신호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빈약한 신호 강도로 인해 정상적으로 고속으로 처리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서비스 처리가 방해되거나, 서비스 처리율이 높지 않다. 또한, 작동 안테나로서 사용될 때, 동일한 서비스의 서비스 안테나는 상대적으로 빈약한 패턴 커버리지를 가질 수도 있고 상대적으로 빈약한 격리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안테나의 빈약한 지향성, 빈약한 벽 침투 성능, 및 단거리 커버리지와 같은 문제가 야기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CPE 내에 배치되어 있는 WiFi 안테나는 수직 방향으로 빈약한 지향성 패턴을 가지므로, WiFi 안테나는 상대적으로 빈약한 벽 침투 성능을 가지며, 스킵 플로어 하우스(skip floor house) 또는 빌라 등의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충족할 수 없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PE 내에서 WiFi 안테나와 LTE 안테나 간의 관계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E 내에서, LTE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과 LTE 안테나 및 WiFi 안테나 사이에 스위치 또는 콤바이너가 배치되고, WiFi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과 LTE 안테나 및 WiFi 안테나 사이에 스위치 또는 콤바이너가 배치된다. 그러므로 현재 신호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동안, 양호한 신호 강도를 가진 서비스 안테나가 CPE 내의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작동 안테나로 선택되어 현재 신호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각각의 서비스 안테나는 하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서비스의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선택된 작동 안테나의 수는 CPE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서비스의 서비스 안테나의 수와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CPE 내의 각각의 서비스가 하나의 서비스 안테나만을 포함하면, 작동 안테나를 선택하는 동안 서비스의 서비스 안테나 중에서 하나의 서비스 안테나가 작동 안테나로서 선택될 수 있다. CPE 내의 각각의 서비스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안테나를 포함하면, 작동 안테나를 선택하는 동안 서비스의 서비스 안테나 중에서 적어도 2개의 서비스 안테나가 작동 안테나로서 선택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서비스 안테나가 작동 안테나로서 선택되면, 그 작동 안테나는 동일한 서비스의 서비스 안테나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서비스의 서비스 안테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안테나는 WiFi일 수도 있고, LTE 안테나일 수도 있으며, WiFi 안테나와 LTE 안테나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작동 안테나가 서로 다른 서비스의 서비스 안테나일 때, 작동 안테나는 배치된 스위치 또는 콤바이너를 사용해서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CPE 내의 서비스의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작동 안테나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먼저 CPE 내의 서비스의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가 획득되어야 한다. 작동 안테나가 선택된 후, 작동 안테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해서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특정한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의 실시예를 참조한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은 CPE에 적용된다. 도 1에 도시된 CPE 내의 서비스 안테나의 배치에 대한 개략도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WiFi 안테나와 LTE 안테나 간의 관계에 대한 개략도, 전술한 내용,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 절차는 다음을 포함한다:
301. 현재 서비스에 대응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한다.
302.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한다.
303.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한다.
304.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한다.
305. 상기 획득된 동기화 모멘트에서 다른 서비스에 대응하는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그런 다음 테스트 신호를 수신-송신한다.
306.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다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307. 상기 테스트 신호의 수신/송신 결과에 따라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결정한다.
308.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작동 안테나를 선택한다.
309.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작동 안테나를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면,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1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2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고,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되,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면,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3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3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제3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하고, 발견된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지만,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면,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4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4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제4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하고, 발견된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면,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과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를 결정하고,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과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작동 안테나를 제어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작동 안테나가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아니면,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작동 안테나를 선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규칙적으로 폴링하는 단계; 및
폴링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작동 안테나를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작동 안테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결정되고,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결정된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일 수도 있고 다른 서비스 안테나일 수도 있으며, 복수의 작동 안테나가 결정되면, 작동 안테나는 동일한 서비스를 처리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서비스를 처리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방식이 더 유연할 뿐만 아니라 양호한 신호 강도를 가지는 서비스 안테나가 작동 안테나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보장되며, 이에 의해 서비스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401. 현재 서비스에 대응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한다.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서비스 안테나는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제어되고, 현재 서비스 안테나에 의해 송수신된,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의 강도에 따라 CPE 내의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신호 강도 정보의 특정한 내용에 대해서, 신호 강도 정보는 안테나의 수신 레벨 또는 안테나의 신호대잡음비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현재 서비스는 핫스팟 서비스일 수도 있고 모바일 네트워크 서비스일 수도 있다. 현재 서비스가 모바일 네트워크 서비스이면, 현재 서비스는 LTE 서비스, CDMA 서비스, 또는 GSM 서비스을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CPE가 복수의 현재 서비스 안테나를 포함할 때, 서비스의 서비스 안테나 중에서 우수한 신호 강도를 가지는 서비스 안테나를 작동 안테나로서 선택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가 먼저 획득되어야 한다. 각각의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할 때, 각각의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현재 처리하고 있는 중이면, 모든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가 동시에 획득될 수 있다. 일부의 현재 서비스 안테나만이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현재 처리하고 있는 중이면, 그 일부의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만이 획득될 수 있고, 다른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고 있으면, 다른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가 그런 다음 결정된다.
예를 들어, 현재 서비스가 WiFi 서비스일 때, CPE가 2개의 WiFi 안테나를 포함하고, 2개의 WiFi 안테나 모두가 WiFi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고 있는 중이면, 이 경우, 2개의 WiFi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는 동시에 획득될 수 있다. 이 경우, WiFi 안테나 1만이 WiFi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고 있는 중이면, WiFi 안테나 1의 신호 강도 정보만이 획득될 수 있고, WiFi 안테나 2가 WiFi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데 참여할 때, WiFi 안테나 2의 신호 강도 정보가 추가로 결정된다.
또한,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가 획득된 후, CPE 내의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가 획득되어야 한다.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현재 서비스의 도움으로 실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서비스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 사이에 스위치 또는 콤바이너가 배치된다. 그러므로 다른 서비스 안테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어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이하의 단계 402 내지 단계 404를 참조하면 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다른 서비스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 실시예 및 후속의 실시예에서는, CPE가 WiFi 서비스 및 LTE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해서 설명한다. 그러므로 현재 서비스가 WiFi 서비스일 때, 다른 서비스는 LTE 서비스이고, 현재 서비스가 LTE 서비스일 때 다른 서비사는 WiFi 서비스이다.
402.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고,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한다.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유휴 타임슬롯과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전환을 수행하도록 선택되어,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어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할 때, 현재 서비스 안테나에 의해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것이 영향을 받지 않게 하며, 다른 서비스 안테나에 의해 다른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것이 영향을 받지 않게 한다. 그러므로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과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개별적으로 획득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에서 시작할 때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에 정확하게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그 획득된 동기화 모멘트에서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게끔 제어될 수 있도록,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상이하고,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상이할 때,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내용은 상이하며,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는 방식 역시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고,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는 방식은 이하의 몇 가지 경우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경우 1: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고,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면,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할 때,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수신-송신 구간이 결정될 수 있고, 제1 수신-송신 구간은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서 사용되고;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수신-송신 구간이 결정되고, 제2 수신-송신 구간은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서 사용되며; 그리고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할 때,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가 획득될 수 있고,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가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현재 서비스와 다른 서비스가 각각 WiFi 서비스 및 LTE 서비스이고, 도 5a 및 도 5b는 신호 프레임 구조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WiFi 신호 프레임 구조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에서, 빗금친 부분의 타임슬롯은 WiFi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타임슬롯을 나타내고, 블랭크 타임슬롯은 WiFi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수신-송신 구간을 나타낸다. 도 5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WiFi 신호 프레임 구조는 수신-송신 구간을 가진다. LTE 서비스에 있어서,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Duplexing, TDD)-LTE 신호 프레임 구조 및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requency Division Duplexing, FDD)-LTE 신호 프레임 구조가 있을 수 있다. 도 5b는 TDD-LTE 신호 프레임 구조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TDD-LTE 신호 프레임 구조의 프레임 길이는 10ms(밀리초)이고, 20개의 타임슬롯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하프-프레임은 5ms의 길이를 가진다. 각각의 하프-프레임은 하나의 특별한 타임슬롯을 포함하고, 이 특별한 타임슬롯은 예를 들어 도 5b에서의 1# 타임슬롯과 같이, 수신-송신 구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TDD-LTE 신호 프레임 구조 역시 수신-송신 구간을 가진다. 이 경우, WiFi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수신-송신 구간이 결정될 수 있고, 제1 수신-송신 구간은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되며, TDD-LTE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수신-송신 구간이 결정되고, 제2 수신-송신 구간은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되며,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가 획득되어,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에서 후속의 TDD-LTE 안테나가 WiFi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게끔 제어될 수 있다.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할 때, 제2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하는 단계가 제1 수신-송신 구간의 시작점에서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신-송신 구간의 지속기간이 9:23:20.25로부터 9:23:20.30까지이면, 제2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에 대한 검색은 9:23:20.25에서 시작하고, 검색이 9:23:20.28에서 수행될 때 TDD-LTE 신호 프레임 구조가 정확하게 제2 수신-송신 구간에 있으면, 9:23:20.28은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로서 사용된다.
경우 2: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되,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면,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할 때,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3 수신-송신 구간이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제3 수신-송신 구간은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되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이 결정되고, 상기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이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되며,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할 때,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제3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하고, 발견된 동기화 모멘트는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현재 서비스 및 다른 서비스는 WiFi 서비스 및 LTE 서비스이고, 도 6a 및 도 6b는 신호 프레임 구조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는 WiFi 신호 프레임 구조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에서, 빗금친 부분의 타임슬롯은 WiFi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타임슬롯을 나타내고, 블랭크 타임슬롯은 WiFi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수신-송신 구간을 나타낸다. 도 6b는 TDD-LTE 신호 프레임 구조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TDD-LTE 신호 프레임 구조의 프레임 길이는 10ms이고, 2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개의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전송에 사용될 수 있고, 10개의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FDD-LTE 신호 프레임 구조는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는다. 그렇지만, FDD-LTE 신호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10개의 서브프레임은 동일한 모멘트에서 예정될 가능성이 극히 낮다. 그러므로 데이터 서비스를 가지지 않는 블랭크 서브프레임 및 제어 정보가 사용될 수 있으며, WiFi 신호 프레임 구조의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위해 FDD-LTE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검색하며, 이에 따라 동기화 모멘트는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서 사용된다. FDD-LTE 신호 프레임 구조의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WiFi 신호 프레임 구조의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할 때, 검색은 또한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모멘트에서 시작할 수 있고, FDD-LTE 신호 프레임 구조가 블랭크 서브프레임 내에 있을 때 WiFi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정확하게 그 수신-송신 구간에 있는 모멘트에서 검색이 수행될 때까지, 그 모멘트가 그 획득된 동기화 모멘트로서 사용된다.
경우 3: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지만,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면,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할 때,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이 결정될 수 있고,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은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되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4 수신-송신 구간이 결정되고, 제4 수신-송신 구간은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되며,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할 때,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제4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하고, 발견된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현재 서비스가 FDD-LTE 서비스이고, 다른 서비스가 WiFi 서비스일 때, FDD-LTE 신호 프레임 구조는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므로, FDD-LTE 신호 프레임 구조의 블랭크 서브프레임은 도 6을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FDD-LTE 신호 프레임 구조의 블랭크 서브프레임은 WiFi 신호 프레임 구조의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위해 검색된다. WiFi 신호 프레임 구조의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위해 FDD-LTE 신호 프레임 구조의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검색하는 원리는 전술한 경우 2에서의 WiFi 신호 프레임 구조의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위해 FDD-LTE 신호 프레임 구조의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검색하는 원리와 일치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전술한 경우 2를 참조하며,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고,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면,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할 때,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이 결정될 수 있고,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은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되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이 결정되고,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이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되며,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할 때,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과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를 결정하고,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과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경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며, 그렇지만, 서비스를 처리하는 동안,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서브프레임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서브프레임이 임의의 서비스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한 모멘트에서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없다. 그러므로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는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 및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각각 검색될 수 있으며,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 및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가 획득되며, 이 동기화 모멘트가 그 획득된 동기화 모멘트로서 사용된다.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 및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할 때,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과의 동기화 모멘트에 대한 검색이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모멘트에서 시작할 수 있거나,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과의 동기화 모멘트에 대한 검색이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모멘트에서 시작할 수 있다.
CPE 내의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수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수가 적어도 2개이면,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할 때, 각각의 현재 서비스 안테나 및 각각의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각각의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 대응하는 각각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각각의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 대응하는 각각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이 획득되어야 한다. 각각의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1 유휴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할 때,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가 획득되어야 한다.
전술한 내용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특정한 예를 사용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해서, CPE는 2개의 WiFi 안테나 및 2개의 LTE 안테나를 포함한다. 현재 서비스는 WiFi 서비스이고, 다른 서비스는 LTE 서비스이다. LTE 안테나 1은 WiFi 안테나 1에 대응하고 LTE 안테나 2는 WiFi 안테나 2에 대응한다. 또한, 이 경우, WiFi 안테나 1 및 WiFi 안테나 2는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의 추리에 참여한다. 통상적으로, LTE 안테나 1은 WiFi 안테나 1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만 전환될 수 있고, LTE 안테나 2는 WiFi 안테나 2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만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WiFi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LTE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할 때, WiFi 안테나 1 및 WiFi 안테나 2의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1 및 제1 유휴 타임슬롯 2, 및 LTE 안테나 1 및 LTE 안테나 2의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1 및 제1 유휴 타임슬롯 2를 각각 결정해야 한다.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할 때, 제1 유휴 타임슬롯 1 및 제2 유휴 타임슬롯 1의 동기화 모멘트, 및 제1 유휴 타임슬롯 2 및 제2 유휴 타임슬롯 2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해야 한다.
403.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획득된 동기화 모멘트에서 다른 서비스에 대응하는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그런 다음 테스트 신호를 수신/송신한다.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의 처리는 통상적으로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해서 현재 서비스 안테나에 의해 먼저 실행된다. 그러므로 다른 서비스 안테나를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해서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그런 다음 그 획득된 동기화 모멘트에서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해서 테스트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다른 서비스 안테나를 계속 제어해야 하며, 이에 의해 테스트 신호의 수신/송신 결과에 따라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테스트 신호의 특정한 소스에 대해서는, 테스트 신호는 고정된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테스트하는 데 특히 사용되는 신호일 수도 있고, CPE의 피어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 등일 수도 있다.
전술한 프로세스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예를 들어, CPE가 하나의 WiFi 안테나 및 하나의 LTE 안테나를 포함하고, 현재 서비스가 WiFi 서비스이면, WiFi 안테나는 WiFi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분리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LTE 안테나는 WiFi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어 테스트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테스트 신호의 수신/송신 결과에 따라 LTE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결정한다.
CPE 내의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수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수가 적어도 2개이고, 각각의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이 경우에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의 처리에 참여할 때,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분리되도록 제어할 때, 각각의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제어되도록 해야 한다. 각각의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분리되도록 제어할 때, 모든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모든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동시에 분리될 수도 있고, 모든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모든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순서대로 분리될 수도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그 획득된 동기화 모멘트에서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고, 그런 다음 테스트 신호를 수신/송신할 때, 각각의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그 획득된 동기화 모멘트에서 다른 서비스 안테나에 대응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각각의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테스트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제어하여야 한다. 또한, 각각의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그 획득된 동기화 모멘트에서 다른 서비스 안테나에 대응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될 때, 모든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모든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동시에 분리되면, 모든 다른 서비스 안테나는 모든 다른 서비스 안테나에 대응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동시에 전환되고, 모든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모든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연속적으로 분리되면, 각각의 다른 서비스 안테나는 각각의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분리될 때 다른 서비스 안테나에 대응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한 모멘트에서 전환된다.
예를 들어, CPE는 적어도 2개의 WiFi 안테나 및 적어도 2개의 LTE 안테나를 포함하고, 현재 서비스는 WiFi 서비스이고, 다른 서비스는 LTE 서비스이며, 도 1에 도시된 CPE 내의 안테나의 개략도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서, LTE 안테나 1은 WiFi 안테나 1에 대응하고, LTE 안테나 2는 WiFi 안테나 2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WiFi 안테나 1 및 WiFi 안테나 2가 WiFi 안테나 1의 무선 주파수 채널 및 WiFi 안테나 2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각각 분리되도록 먼저 제어되고, LTE 안테나 1 및 LTE 안테나 2가 그 획득된 동기화 모멘트에서 WiFi 안테나 1의 무선 주파수 채널 및 WiFi 안테나 2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각각 전환되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이 경우, LTE 안테나 1 및 LTE 안테나 2는 WiFi 안테나 1의 무선 주파수 채널 및 WiFi 안테나 2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각각 사용해서 테스트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제어되며, 이에 따라 LTE 안테나 1의 무선 주파수 채널 및 LTE 안테나 2의 무선 주파수 채널은 LTE 안테나 1 및 LTE 안테나 2의 테스트 신호의 수신/송신 결과에 따라 후속으로 결정될 수 있다.
404.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다시 전환되도록 제어하며, 테스트 신호의 수신/송신 결과에 따라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결정한다.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그 획득된 동기화 모멘트에서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어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가 완료된 후, 현재 서비스 안테나를 사용하여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분리되도록 제어되고,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다시 전환되도록 제어되어, 테스트 신호의 수신/송신 결과에 따라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추가로 결정한다. 현재 서비스 안테나에 의한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가 영향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다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가 단계 402에서 결정된 제1 유휴 타임슬롯 내에서 완료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방식 및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다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방식은 다른 서비스 안테나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 간의 스위치가 오프(off)로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스위치가 현재 서비스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접속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일 수 있다.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작동 안테나를 선택하기 위해,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그 결정된 신호 강도 정보의 내용은 단계 401에서 결정된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의 내용과 일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단계 401에서 결정된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가 수신-송신 레벨이면, 이 단계에서 결정된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역시 수신/송신 레벨이다.
또한,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수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수 모두가 적어도 2개이면, 이 적어도 2개의 다른 서비스 안테나는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할 때에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된다. 이 경우,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다시 전환되도록 제어할 때, 각각의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다른 서비스 안테나에 대응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각각의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다시 전환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CPE가 2개의 WiFi 안테나 및 2개의 LTE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전의 단계에서의 예를 참조하면, 이 경우, LTE 안테나 1 및 LTE 안테나 2가 WiFi 안테나 1의 무선 주파수 채널 및 WiFi 안테나 2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각각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LTE 안테나 1 및 LTE 안테나 2가 WiFi 안테나 1의 무선 주파수 채널 및 WiFi 안테나 2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각각 다시 전환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단계들에서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이 먼저 획득되고, 그런 다음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가 획득되는 예만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렇지만, 특정한 실시 동안, 대안으로,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가 먼저 획득될 수 있고, 그런 다음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가 획득된다.
405.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작동 안테나를 선택한다.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가 단계 401 내지 단계 404를 수행함으로써 결정된 후, 우수한 신호 강도를 가지는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작동 안테나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작동 안테나가 선택될 수 있다.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작동 안테나를 선택하는 방식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CPE 내의 모든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먼저 분류하여, 분류 결과에 따라 우수한 신호 강도를 가지는 서비스 안테나를 작동 안테나로 선택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작동 안테나의 특정한 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특정한 실시 동안, 작동 안테나의 수는 CPE 내의 각각의 서비스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 안테나의 총수 및 현재 서비스의 트래픽을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PE가 하나의 핫스팟 안테나 및 하나의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를 포함하면, 하나의 서비스 안테나는 작동 안테나로서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CPE가 적어도 2개의 핫스팟 안테나 및 적어도 2개의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를 포함하면, 핫스팟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적어도 2개의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2개의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작동 안테나로서 선택될 수 있다. 그렇지만, 특정한 실시 동안, 핫스팟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적어도 2개의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3개 또는 4개의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작동 안테나로서 선택될 수도 있다.
406.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해서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현재 서비스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해서 실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해서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제어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CPE가 하나의 핫스팟 안테나 및 하나의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를 포함할 때, 현재 서비스가 핫스팟 서비스이고, 결정된 작동 안테나가 핫스팟 안테나이면, 핫스팟 안테나는 핫스팟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해서 핫스팟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제어되거나, 또는 결정된 작동 안테나가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이면,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는 핫스팟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고, 핫스팟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해서 핫스팟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CPE가 적어도 2개의 핫스팟 안테나 및 적어도 2개의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를 포함할 때, 현재 서비스가 핫스팟 서비스이고, 2개의 작동 안테나가 핫스팟 안테나이며, 작동 안테나가 2개의 핫스팟 안테나이면, 핫스팟 안테나의 서비스 신호는 2개의 핫스팟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해서 처리될 수 있거나; 작동 안테나가 하나의 핫스팟 안테나 및 하나의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이면, 핫스팟 안테나는 핫스팟 안테나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해서 핫스팟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제어되고,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는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에 대응하는 핫스팟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도록 제어되어 핫스팟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거나; 또는 작동 안테나가 2개의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이면, 2개의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는 대응하는 핫스팟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각각 전환될 수 있고, 핫스팟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해서 핫스팟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작동 안테나는 CPE 내의 모든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결정되므로, 결정된 작동 안테나가 동일한 서비스에 속하지 않거나 또는 모든 결정된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아닌 경우는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해서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전에,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아닌 것으로 결정되면, 먼저 작동 안테나에 대응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서비스는 WiFi 서비스이고, 모든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2개의 작동 안테나가 결정되고, 2개의 작동 안테나는 하나의 WiFi 안테나 및 하나의 LTE 안테나이다. LTE 안테나는 본질적으로 WiFi 서비스 안테나에 속하지 않으므로, LTE 안테나는 WiFi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해서, LTE 안테나가 WiFi 안테나 1에 대응하면, LTE 안테나는 WiFi 안테나 1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된다.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현재 서비스를 먼저 결정하고 그런 다음 모든 작동 안테나와 현재 서비스를 비교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포함되는 현재 서비스 및 다른 서비스가 WiFi 서비스 및 LTE 서비스이면, 현재 서비스가 WiFi 서비스 또는 LTE 서비스인지를 결정할 때, 사용자가 CPE의 WiFi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지 않는지, 사용자가 네트워크 케이블을 사용해서 CPE 제품에 접속하는지, 그리고 데이터 채널이 LTE로부터 LAN(Local Area Network)로 되어 있는지가 검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CPE의 WiFi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지 않고, 사용자가 네트워크 케이블을 사용해서 CPE 제품에 접속하며, 그리고 데이터 채널이 LTE로부터 LAN로 되어 있으면, 현재 서비스는 LTE 서비스인 것으로 결정된다. 또한, LTE에서 데이터 서비스 요건이 있는지 그리고 CPE가 어느 데이터 채널을 사용해서 LAN에 접속하는 지가 검출될 수 있으며, LTE에서 데이터 서비스 요건이 없거나 고객 데이터 채널이 WiFi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LAN에 접속하면, 현재 서비스가 WiFi 서비스이거나 LTE 서비스인 것으로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작동 안테나로 선택된 후,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될 때 다른 서비스 안테나에 의해 다른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가 영향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기 전에, 작동 안테나가 전환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추가로 결정할 필요가 있으며, 작동 안테나가 전환 조건을 충족하면, 작동 안테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된다.
전환 조건은: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서비스가 유휴인지 또는 다른 서비스의 트래픽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지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미리 설정된 임계값의 특정한 값은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전환 조건의 특정한 내용을 참조하면, 작동 안테나가 전환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작동 안테나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유휴인지 또는 작동 안테나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트래픽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지를 결정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적어도 2개의 작동 안테나가 필요에 따라 결정되면, 적어도 2개의 결정된 작동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아닌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라,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는 CPE 내의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다중화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 안테나가 다른 서비스의 서비스 안테나일 때, 안테나 다중화가 실행될 수 있으며, 이것은 작동 안테나 유형을 다양화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신호 강도를 가지는 서비스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작동 안테나로 선택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의해 서비스 신호의 더 나은 커버리지 효과를 실현한다.
예를 들어, 도 7a 및 도 7b는 관련 기술에 의해 제공되는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데 사용될 때 지향성 패턴에 대한 개략도이다. 작동 안테나는 2개의 WiFi 안테나이다. 도 7a의 불규칙한 곡선은 2개의 WiFi 안테나에 의해 결합되는, 수평 방향의 지향성 패턴을 도시하고, 도 7b의 불규칙한 곡선은 2개의 WiFi 안테나에 의해 결합되는, 수직 방향의 지향성 패턴을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WiFi 안테나는 수평 면에서 전방향 커버리지(omnidirectional coverage)를 충족할 수 있으나, 큰 커버리지 구멍이 존재하는 수직 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빈약한 커버리지가 존재한다.
작동 안테나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결정된 후,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할 때 수평 방향의 지향성 패턴 및 수직 방향의 지향성 패턴에 대한 개략도가 도 8a의 불규칙한 곡선 및 도 8b의 불규칙한 곡선에 의해 각각 표시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결정된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할 때, 수직 면에서의 커버리지 조건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에서의 커버리지 조건도 더 향상된다. 또한, 도 8a 및 도 8b와 도 7a 및 도 7b를 각각 비교함으로써,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할 때, 안테나의 이득 값 역시 어느 정도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로 다른 서비스의 서비스 안테나의 대역폭 범위는 불일치하므로, 결정된 작동 안테나가 서로 다른 서비스의 서비스 안테나일 때는, 서비스 신호의 처리가 안테나 다중화에 의해 실행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서비스의 서비스 안테나가 중첩된 범위의 대역폭을 가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는 통상적으로 비교적 넓은 대역폭을 가지며,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 대역은 698 MHz 내지 960 MHz 및 1710 MHz 내지 2690 MHz를 커버할 수 있고, 핫스팟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 대역은 통상적으로 2.4 GHz 내지 2.5 GHz이고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의 동작 대역폭 내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현재 서비스가 핫스팟 서비스이고, 결정된 작동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이면, 모바일 네트워크 서비스의 유휴 지속기간 동안 또는 모바일 네트워크 서비스의 트래픽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지 않을 때,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는 스위치 또는 콤바이너를 사용해서 핫스팟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핫스팟 안테나에 의해 신호를 수신/송신하는 능력이 안테나 다중화에 의해 개선된다.
또한, 핫스팟 안테나는 통상적으로 2.4 GHz 내지 2.5 GHz만을 커버하는 비교적 좁은 대역폭을 가진다. 그러므로 현재 서비스가 모바일 네트워크 서비스일 때, 작동 안테나가 적어도 하나의 핫스팟 안테나를 포함하면, 핫스팟 안테나는 광대역 안테나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거나 핫스팟 안테나는 스위치 조정 가능 기술과의 협동으로 광대역 안테나로서 실현되어, 핫스팟 안테나는 모바일 네트워크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핫스팟 안테나가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의 다중화로서 사용되는 것이 실현된다. 예를 들어, 핫스팟 안테나의 원래의 동작 주파수 대역이 2.4 GHz 내지 2.5 GHz이면, 핫스팟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 대역은 스위치 조정 가능 기술을 사용해서 2.3 GHz 내지 2.4 GHz 또는 2.5 GHz 내지 2.69 GHz로 전환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핫스팟 안테나는 B40, B38, B7, 또는 B41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의 다중화로서 사용된다. 핫스팟 서비스는 WiFi 서비스이고, 모바일 네트워크 서비스는 LTE 서비스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핫스팟 안테나가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의 대역폭과 동일한 대역폭을 가지는 광대역 안테나가 되도록 설계되면, 핫스팟 안테나의 다른 주파수 대역 역시 모바일 네트워크 안테나의 다중화로서 사용될 수 있다.
407.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규칙적으로 폴링하며, 그리고 폴링에 의해 획득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작동 안테나를 갱신한다.
이 단계는 선택적 단계이다. CPE 내의 각각의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는 CPE의 위치 또는 시간과 같은 요인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에, CPE 내의 각각의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는 실시간으로 검출되어야 한다. 이 경우, CPE 내의 각각의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때,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가 규칙적으로 폴링될 수 있으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작동 안테나는 폴링에 의해 획득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갱신된다.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가 규칙적으로 폴링되는 시구간의 특정한 값은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작동 안테나는 폴링에 의해 획득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작동 장치를 갱신하는 원리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해서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작동 안테나를 제어하는 원리와 일치하며,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전술한 단계 406를 참조하면 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내용은 CPE가 서로 다른 서비스를 처리하는 서비스 안테나를 포함하는 예만을 사용해서 설명하며, 즉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렇지만, 동일한 CPE 내의 서비스 안테나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상에서 신호를 처리하는 동일한 유형의 서비스 안테나이면,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동안,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 역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상에서 신호를 처리하는 서비스 안테나 사이의 안테나 다중화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안으로, CPE 내의 각각의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가 결정된 후,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적어도 2개의 작동 안테나가 각각의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PE가 2개의 2.4 GHz WiFi 안테나 및 2개의 5 GHz WiFi를 포함하면, 2개의 2.4 GHz WiFi 안테나 및 2개의 5 GHz WiFi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다중화될 수 있다.
CPE 외에,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작동 안테나를 결정하는 방법은 다른 단말 장치, 예를 들어, 이동 전화, 태블릿 컴퓨터, 및 무선 라우터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하며, 이러한 기기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작동 안테나를 결정하는 방법에 따르면,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작동 안테나가 결정되고,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결정된 작동 안테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일 수도 있고 다른 서비스 안테나일 수도 있으며, 복수의 작동 안테나가 결정되면, 작동 안테나는 동일한 서비스를 처리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서비스를 처리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방식이 더 유연할 뿐만 아니라 양호한 신호 강도를 가지는 서비스 안테나가 작동 안테나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보장되며, 이에 의해 서비스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를 도시한다. 장치는 CPE에 적용되며, 장치는 전술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장치는:
현재 서비스에 대응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획득 모듈(901);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획득 모듈(902);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획득 모듈(903);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제어 모듈(904);
상기 획득된 동기화 모멘트에서 다른 서비스에 대응하는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그런 다음 테스트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제어 모듈(901);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제어 모듈(906);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다시 전환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4 제어 모듈(907);
상기 테스트 신호의 수신/송신 결과에 따라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결정 모듈(908);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작동 안테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선택 모듈(909); 및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작동 안테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5 제어 모듈(910)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면, 제2 획득 모듈(902)은: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1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결정 유닛;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2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결정 유닛
을 포함하며,
제3 획득 모듈(903)은: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고,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획득 유닛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되,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면, 제2 획득 모듈(902)은: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3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3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결정 유닛;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4 결정 유닛
을 포함하며,
제3 획득 모듈(903)은: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제3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하고, 발견된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검색 유닛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지만,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면, 제2 획득 모듈(902)은: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5 결정 유닛;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4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4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6 결정 유닛
을 포함하며,
제3 획득 모듈(903)은: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제4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하고, 발견된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검색 유닛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면, 제2 획득 모듈(902)은: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7 결정 유닛;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8 결정 유닛
을 포함하며,
제3 획득 모듈(903)은: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과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를 결정하고,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과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9 결정 유닛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작동 안테나가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아닐 때,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6 제어 모듈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결정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제6 제어 모듈은: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 조건을 충족할 때,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규칙적으로 폴링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폴링 모듈; 및
폴링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작동 안테나를 갱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갱신 모듈
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장치에 따르면, 작동 안테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결정되고,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결정된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일 수도 있고 다른 서비스 안테나일 수도 있으며, 복수의 작동 안테나가 결정되면, 작동 안테나는 동일한 서비스를 처리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서비스를 처리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방식이 더 유연할 뿐만 아니라 양호한 신호 강도를 가지는 서비스 안테나가 작동 안테나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보장되며, 이에 의해 서비스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객-구내 장비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를 도시한다. 고객-구내 장비는 전술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고객-구내 장비는 프로세서(100) 및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메모리(1002)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1001)는: 현재 서비스에 대응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하고;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고;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획득된 동기화 모멘트에서 다른 서비스에 대응하는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그런 다음 테스트 신호를 수신/송신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다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테스트 신호의 수신/송신 결과에 따라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작동 안테나를 선택하며; 그리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작동 안테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면, 상기 프로세서(1001)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1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며;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2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며; 그리고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고,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되,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프로세서(1001)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3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3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며; 그리고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제3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하고, 발견된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지만,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면, 상기 프로세서(1001)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4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4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며; 그리고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제4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하고, 발견된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프로세서(1001)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며: 그리고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과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를 결정하고,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과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001)는: 상기 작동 안테나가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아니면,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되게끔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001)는: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되게끔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001)는: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규칙적으로 폴링하며; 그리고 폴링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작동 안테나를 갱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고객-구내 장비에 따르면, 작동 안테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결정되고,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 및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결정된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 안테나일 수도 있고 다른 서비스 안테나일 수도 있으며, 복수의 작동 안테나가 결정되면, 작동 안테나는 동일한 서비스를 처리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서비스를 처리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작동 안테나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방식이 더 유연할 뿐만 아니라 양호한 신호 강도를 가지는 서비스 안테나가 작동 안테나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보장되며, 이에 의해 서비스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및 고객-구배 장비가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동안, 전술한 기능 모듈들의 분할을 사용해서만 설명하였다. 실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술한 기능들은 필요에 따라 실행을 위해 서로 다른 기능 모듈에 할당될 수 있다. 즉, 장치의 내부 구조는 서로 다른 기능 모듈로 분할되어 전술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및 고객-구배 장치는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의 실시예와 같은 개념에 속하며, 특정한 실시 프로세스에 대한 방법 실시예를 참조하면 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서 장치 모듈의 순번은 단지 도해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실시예의 우선순위를 지시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는 실시예의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명령을 내리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리드-온리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정신 및 원리를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 등가의 대체 및 개선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24)

  1.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고객-구내 장비(customer-premises equipment, CPE)에 적용되며,
    현재 서비스에 대응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는 단계;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동기화 모멘트에서 다른 서비스에 대응하는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그런 다음 테스트 신호를 수신/송신하는 단계;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다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신호의 수신/송신 결과에 따라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작동 안테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작동 안테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면,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1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2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고,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되,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면,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3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3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제3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하고, 발견된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지만,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면,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4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4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제4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하고, 발견된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면,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과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를 결정하고,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과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작동 안테나를 제어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작동 안테나가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아니면,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작동 안테나를 선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규칙적으로 폴링하는 단계; 및
    폴링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작동 안테나를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9.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고객-구내 장비(customer-premises equipment, CPE)에 적용되며,
    현재 서비스에 대응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획득 모듈;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획득 모듈;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획득 모듈;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제어 모듈;
    상기 획득된 동기화 모멘트에서 다른 서비스에 대응하는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그런 다음 테스트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제어 모듈;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제어 모듈;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다시 전환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4 제어 모듈;
    상기 테스트 신호의 수신/송신 결과에 따라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결정 모듈;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작동 안테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선택 모듈; 및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작동 안테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5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면, 제2 획득 모듈은,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1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결정 유닛;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2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결정 유닛
    을 포함하며,
    제3 획득 모듈은,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고,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획득 유닛
    을 포함하는,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되,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면, 제2 획득 모듈은,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3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3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결정 유닛;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4 결정 유닛
    을 포함하며,
    제3 획득 모듈은,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제3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하고, 발견된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검색 유닛
    을 포함하는,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지만,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면, 제2 획득 모듈은,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5 결정 유닛;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4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4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6 결정 유닛
    을 포함하며,
    제3 획득 모듈은,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제4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하고, 발견된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검색 유닛
    을 포함하는,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면, 제2 획득 모듈은,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7 결정 유닛; 및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8 결정 유닛
    을 포함하며,
    제3 획득 모듈은,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과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를 결정하고,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과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9 결정 유닛
    을 포함하는,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아닐 때,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6 제어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결정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제6 제어 모듈은: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 조건을 충족할 때,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규칙적으로 폴링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폴링 모듈; 및
    폴링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작동 안테나를 갱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갱신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서비스 신호 처리 장치.
  17. 고객-구내 장비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서비스에 대응하는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하고;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 및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을 획득하고;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획득된 동기화 모멘트에서 다른 서비스에 대응하는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그런 다음 테스트 신호를 수신/송신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다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테스트 신호의 수신/송신 결과에 따라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작동 안테나를 선택하며; 그리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작동 안테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고객-구내 장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1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며;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2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며; 그리고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를 획득하고, 제1 수신-송신 구간과 제2 수신-송신 구간의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고객-구내 장비.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되,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3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3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며; 그리고 제1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제3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하고, 발견된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고객-구내 장비.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지만,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에서 제4 수신-송신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4 수신-송신 구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며; 그리고 제2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 제4 수신-송신 구간과의 동기화 모멘트를 검색하고, 발견된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고객-구내 장비.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가 수신-송신 구간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현재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1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고;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 내의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다른 서비스 신호 프레임 구조의 제2 유휴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며: 그리고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과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를 결정하고, 제3 블랭크 서브프레임과 제4 블랭크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모멘트를 제1 유휴 타임슬롯과 제2 유휴 타임슬롯의 동기화 모멘트로 사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고객-구내 장비.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작동 안테나가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아니면,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부터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되게끔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고객-구내 장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로 상기 작동 안테나가 전환되게끔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고객-구내 장비.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를 규칙적으로 폴링하며; 그리고 폴링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현재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와 상기 다른 서비스 안테나의 신호 강도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는 작동 안테나를 갱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고객-구내 장비.
KR1020177010110A 2014-09-22 2014-09-22 서비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고객-구내 장비 KR101851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87087 WO2016044977A1 (zh) 2014-09-22 2014-09-22 业务信号的处理方法、装置及客户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502A KR20170054502A (ko) 2017-05-17
KR101851287B1 true KR101851287B1 (ko) 2018-04-23

Family

ID=5558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110A KR101851287B1 (ko) 2014-09-22 2014-09-22 서비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고객-구내 장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116358B2 (ko)
EP (1) EP3188547B1 (ko)
JP (1) JP6448068B2 (ko)
KR (1) KR101851287B1 (ko)
CN (1) CN105659667B (ko)
AU (1) AU2014407025B2 (ko)
BR (1) BR112017005725B1 (ko)
RU (1) RU2673706C2 (ko)
WO (1) WO20160449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8727A (ko) 2018-03-02 2020-12-10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채널 액세스 및 웨이크업 라디오 복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8513324B (zh) * 2018-07-09 2021-05-11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和装置
US20220095235A1 (en) * 2019-02-18 2022-03-24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panel selection with power saving
CN110278015B (zh) * 2019-05-16 2021-02-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天线选择方法、装置及终端
CN111277293B (zh) 2020-01-21 2021-08-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客户前置设备、天线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277294B (zh) 2020-01-21 2021-08-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选择方法及相关产品
TWI741626B (zh) * 2020-05-29 2021-10-01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多天線模組的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4387A1 (zh) 2010-09-19 2012-03-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热点共享接入方法和装置
WO2013060237A1 (zh) 2011-10-26 2013-05-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接入网络的方法及系统
WO2014161266A1 (zh) 2013-07-01 2014-10-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应用软件的传输方法、终端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57C (zh) * 1995-12-27 2003-12-10 艾利森公司 利用tdma帧的大功率短消息业务
JP4715237B2 (ja) * 2004-03-12 2011-07-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GB0500911D0 (en) * 2005-01-17 2005-02-23 Vodafone Ltd Controlling use of mobile devices
US8396431B2 (en) * 2005-02-17 2013-03-12 Kyocera Corporation Mobile station traffic state antenna tuning systems and methods
US8615270B2 (en) * 2007-04-02 2013-12-24 Broadcom Corporation Dual antenna topology for Bluetooth and IEEE 802.11 wireless local area network devices
US8744356B2 (en) * 2008-03-27 2014-06-03 Mediatek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ordination between plurality of co-locate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via one wire
KR101638911B1 (ko) * 2009-03-06 201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PT2409415T (pt) 2009-03-17 2020-09-16 Nokia Siemens Networks Oy Métodos e aparelhos para pré-codificação baseada num livro de códigos em sistemas mimo
US9002309B2 (en) 2011-05-27 2015-04-07 Qualcomm Incorporated Tunable multi-band receiver
US9002283B2 (en) * 2011-08-01 2015-04-07 Apple Inc. Antenna switching system with adaptive switching criteria
US20130033996A1 (en) * 2011-08-05 2013-02-07 Kee-Bong Song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switching capabilities
CN103945499B (zh) 2014-04-17 2017-11-14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Wifi模块工作模式的切换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4387A1 (zh) 2010-09-19 2012-03-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热点共享接入方法和装置
WO2013060237A1 (zh) 2011-10-26 2013-05-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接入网络的方法及系统
WO2014161266A1 (zh) 2013-07-01 2014-10-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应用软件的传输方法、终端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05725A2 (pt) 2017-12-12
BR112017005725B1 (pt) 2023-01-10
KR20170054502A (ko) 2017-05-17
EP3188547A1 (en) 2017-07-05
US20170310370A1 (en) 2017-10-26
RU2673706C2 (ru) 2018-11-29
JP2017533631A (ja) 2017-11-09
AU2014407025B2 (en) 2018-05-17
US10116358B2 (en) 2018-10-30
RU2017113224A3 (ko) 2018-10-24
WO2016044977A1 (zh) 2016-03-31
EP3188547A4 (en) 2017-09-20
EP3188547B1 (en) 2020-11-25
JP6448068B2 (ja) 2019-01-09
AU2014407025A1 (en) 2017-04-20
RU2017113224A (ru) 2018-10-24
CN105659667B (zh) 2019-08-16
CN105659667A (zh)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287B1 (ko) 서비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고객-구내 장비
US116119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in high frequency multi-carrier operations with spatial quasi co-location
KR102084458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빔 검출 및 추적
US9351288B2 (en) Uplink channel sounding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esti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with multiple antennas
JP6639699B2 (ja) ビームフォーミング済み信号を利用した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初期アタッチメント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0115103B (zh) 用于快速系统获取和信道估计的系统及方法
CN111630918B (zh) 用于新无线电管理测量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EP2903176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radio network
KR20150049947A (ko) 적응형 듀얼밴드 미모 와이파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70099694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S11031975B2 (en) Transceiver poin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eallocating transmission of beams
US9226207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communication terminal
CN107079489A (zh) 信号传输方法和网络设备
US20230142158A1 (en) Method and a network node for reducing impact of interference
CN114430585A (zh) 一种波束扫描方法、装置和网络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