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191B1 - 인장재 지지 구조를 개선한 그라운드 앵커 - Google Patents

인장재 지지 구조를 개선한 그라운드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191B1
KR101851191B1 KR1020160049948A KR20160049948A KR101851191B1 KR 101851191 B1 KR101851191 B1 KR 101851191B1 KR 1020160049948 A KR1020160049948 A KR 1020160049948A KR 20160049948 A KR20160049948 A KR 20160049948A KR 101851191 B1 KR101851191 B1 KR 101851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tensile material
anchor
hole
anch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479A (ko
Inventor
이평우
정미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사면
이평우
정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사면, 이평우, 정미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사면
Priority to KR1020160049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191B1/ko
Publication of KR20170121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재 지지 구조를 개선한 그라운드 앵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선단부에서 내부로 연통된 인장재홀(12)을 구비한 앵커 바디(10); 상기 앵커 바디(10)의 선단부에 구비된 연결체(20); 상기 연결체(20)에 지지되어 상기 앵커 바디(10)의 선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양면으로 연통된 인장재 서포트홈(32)이 구비된 스페이서(30);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30)의 외경은 상기 앵커 바디(10)의 외경보다 더 작게 구성되며, 상기 서포트홈은 상기 스페이서(30)의 외주면으로 연통되어, 상기 서포트홈에 인장재(2) 진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장재 지지 구조를 개선한 그라운드 앵커{Ground anchor with improved pretension wire supprot structure}
본 발명은 인장재 지지 구조를 개선한 그라운드 앵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라운드 앵커 설치 장소에 천공되어 있는 그라운드 앵커공에 인장재가 투입된 상태에서 인장재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인장재 지지 구조를 개선한 그라운드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경사면 등의 보강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그라운드 앵커 구조이다. 이러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는 천공후 인장재와 보강재가 일체로 연결된 조립체를 보강재 끝단부터 삽입한 후, 시멘트 페이스트 등의 그라우트(Grout)를 주입하여 그라우팅을 하는 방식으로 지반의 활동변위가 발생될 때 보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지반에 대한 보강공법이다. 즉, 그라운드 앵커 구조는 지반의 보강을 위한 공법에 적용되는 것으로, 특히 프리텐션(pretension) 공법으로 많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지반에 일정깊이 천공된 그라운드 앵커공 내에 인장재와 보강재를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된 조립체를 삽입하여 그라우팅 처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라우팅 처리 후에는 인장재의 지면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인장재 고정장치를 통하여 고정하여 마무리를 하게 되며, 이때 상기 인장재 및 보강재는 1개 이상의 강선을 길이방향으로 정렬하여 꼬아서 형성되는 PC 강연선 등을 사용한다.
상기 그라운드 앵커를 건설 공사 현장이나 토목 공사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지하구조물용 굴착공사시 굴착하지 아니한 지반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설되는 토류벽을 지탱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구조물을 통해 지반 내부로 그라운드 앵커공을 형성하고, 이 그라운드 앵커공에 그라운드 앵커가 결합된 인장재를 투입하여 시멘트 그라우트로 고정시킨 후, 외부로 인출된 인장재를 별도의 인장기에 의해 외측으로 당겨 큰 인장하중이 가해진 상태로 구조물에 결합함으로써 구조물을 지지하게 된다. 또 하나의 예를 들면, 지하철 공사 현장에는 굴착된 지반에 지지 구조물 역할을 하는 다수의 에이치 비임(H beam)을 수직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하고, 에이치 비임 사이에 구조물인 토류벽(흔히, 흙막이벽이라 함)을 대준 다음, 굴착된 지반의 내부에 그라운드 앵커공을 형성하고, 인장재가 결합된 그라운드 앵커를 지반에 형성된 그라운드 앵커공에 투입한 다음, 그라운드 앵커공에 그라우트(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양생시킴으써 그라운드 앵커를 정착시킨다. 이어서, 인장재를 별도의 인장기로 잡아당겨 큰 인장하중이 가해진 상태로 구조물인 토류벽에 결합하여 인장재에 의해 토류벽을 고정시키면 토류벽이 붕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그라운드 앵커 설치 지역(예를 들어, 경사면의 지반 등)에 형성된 그라운드 앵커공(그라운드 앵커가 들어갈 구멍)에 인장재가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인장재가 처져버리는 상태가 되므로, 나중에 그라우팅을 그라운드 앵커공에 주입하여 인장재를 인장시킬 때에 처져 있는 인장재로 인하여 힘(프리텐션 등)이 제대로 받을 수가 없게 되므로, 구조물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이처럼 인장재가 그라운드 앵커공 내부에서 처져 있는 상태로 그라우팅을 주입 경화시켜서 인장재를 당길 경우 처져 있는 인장재로 인하여 프레텐션과 같은 힘을 제대로 받지 못하여 구조물의 지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다면 토목이나 건축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심각한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인장재의 처짐으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이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특허등록 제10-1257858호(2013.04.18 등록) 한국특허등록 제10-1435923호(2014.08.25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라운드 앵커 설치 장소에 천공되어 있는 그라운드 앵커공에 인장재가 투입된 상태에서 인장재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어서 프리텐션 등의 힘을 제대로 받을 수 있으며 구조물의 안전성 등을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인장재 지지 구조를 개선한 그라운드 앵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단부에서 내부로 연통된 인장재홀을 구비한 앵커 바디; 상기 앵커 바디의 선단부에 구비된 연결체; 상기 연결체에 지지되어 상기 앵커 바디의 선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양면으로 연통된 인장재 서포트홈이 구비된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지지 구조를 개선한 그라운드 앵커가 제공된다.
상기 스페이서의 외경은 상기 앵커 바디의 외경보다 더 작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기단부에 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은 양면으로 연통된 인장재홀을 구비하며, 상기 캡의 중앙부에는 내주면에 나사부를 구비한 연결체 결합홀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그라운드 앵커 설치 지역에 형성된 앵커공에 인장재가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인장재가 처져버리는 상태를 방지하므로, 나중에 그라우팅을 앵커공에 주입하여 인장재를 인장시킬 때에 처져 있는 인장재로 인하여 힘(프리텐션 등)이 제대로 받을 수가 없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이처럼 인장재가 제대로 인장력을 받게 되므로 구조물을 시공 중에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한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의 효과 이외에 여러 가지 효과가 있으나 상기와 같은 효과는 본 발명의 주요 효과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그라운드 앵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그라운드 앵커를 앵커공에 투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앵커공에 그라우트를 충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결체와 스페이서를 복수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그라운드 앵커를 앵커공애 투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그라운드 앵커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그라운드 앵커를 앵커공에 투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장재 지지 구조를 개선한 그라운드 앵커는 연결체(20)가 앵커 바디(10)에 장착되고, 앵커 바디(10)의 선단부에 장착된 연결체(20)에는 스페이서(30)가 구비된다.
상기 앵커 바디(10)는 상기 앵커 바디(10)는 선단부와 기단부 및 외주면을 구비한 원형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앵커 바디(10)의 선단부와 기단부는 평면이며, 앵커 바디(10)의 외주면은 원형의 면이다. 앵커 바디(10)가 단면 원형의 블록 형상이다. 상기 앵커 바디(10)의 기단부에는 외주면에 나사부(N)를 구비한 캡(16)결합 링체가 구비된다. 상기 앵커 바디(10)는 인장재홀(12)을 구비한다. 인장재홀(12)은 앵커 바디(10)의 선단부에서 내부로 연통된다. 앵커 바디(10)의 선단부에서 기단부까지 인장재홀(12)이 연통되어 있다. 상기 인장재홀(12)은 앵커 바디(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치되어 있다. 4개, 5개, 6개와 같이 갯수에 상관없이 인장재홀(12)이 앵커 바디(1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 바디(10)의 중심부에는 연결체 결합홀(14)이 구비된다. 연결체 결합홀(14)은 내주면에 나사부(N)가 있는 나사홀이다. 즉, 앵커 바디(10)는 중심부에 연결체 결합홀(14)이 구비되고, 연결체 결합홀(14)의 주위에 복수개의 인장재홀(12)이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앵커 바디(10)의 기단부에는 캡(16)이 결합된다. 캡(16)의 내주면에는 나사부(N)가 구비되어, 앵커 바디(10)의 기단부에 구비된 캡(16)결합 링체 외주면의 나사부(N)에 캡(16)의 나사부(N)가 결합된다. 캡(16)이 앵커 바디(10)의 기단부에 배치된다. 앵커 바디(10)는 뒤쪽의 캡(16)을 포함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으며, 캡(16)이 결합됨으로써 앵커 바디(10)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때, 캡(16)은 기단부에서 선단부쪽을 향하는 일정 길이의 영역이 테이퍼부(16A)로 구성된다. 즉, 캡(16)은 선단부에서 기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부(16A)를 뒤쪽에 구비한 구조이다.
상기 앵커 바디(10)의 선단부에는 연결체(20)가 결합된다. 앵커 바디(10)의 선단부 중앙부에는 내주면에 나사부(N)가 있는 연결체 결합홀(14)이 구비되고, 연결체(20)는 외주면에 나사부(N)가 있는 볼트형 바아 구조로서, 연결체(20)가 앵커 바디(10)의 선단부에 구비된 연결체 결합홀(14)에 볼트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앵커 바디(10)의 선단부에 연결체(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결체(20)에 지지되어 앵커 바디(10)의 선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양면으로 연통된 인장재 서포트홈(32)이 구비된 스페이서(30)를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30)는 일정 체적의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스페이서(30)는 적어도 일면(그라우트(4)가 주입되어 오는 방향과 마주하는 면)은 테이퍼면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스페이서(30)는 양면이 테이퍼면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30)는 옆에서 볼 때에 마치 주판알 모양처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30)의 중앙부에는 내주면에 나사부(N)가 있는 연결홀(34)이 구비된다. 상기 볼트 바아 구조의 연결체(20)가 스페이서(30)의 중앙부 연결홀(34)에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스페이서(30)는 외주면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 오목한 인장재 서포트홈(32)이 구비된다. 복수개의 인장재 서포트홈(32)이 스페이서(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30) 중앙부의 연결홀(34)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인장재 서포트홈(32)이 구비된 것이다. 인장재 서포트홈(32)의 갯수는 앵커 바디(10)에 형성된 인장재홀(12)의 갯수와 동일하다. 앵커 바디(10)의 인장재홀(12)이 4개인 경우 스페이서(30)의 인장재 서포트홈(32)도 4개이고, 앵커 바디(10)의 인장재홀(12)이 6개인 경우 스페이서(30)의 인장재 서포트홈(32)도 6개이다. 또한, 상기 서포트홈은 스페이서(30)의 외주면으로 연통되어, 상기 서포트홈에 인장재(2) 진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30)의 인장재 서포트홈(32)은 앵커 바디(10)의 인장재홀(12)과 동일 선상에서 만나도록 정렬되어, 상기 앵커 바디(10)의 인장재홀(12)에 삽입된 인장재(2)가 스페이서(30)의 각각의 인장재 서포트홈(32)에 거치(삽입)된 상태로 지지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장재 서포트홈(32)의 내경은 인장재(2)의 외경보다 작아서 인장재(2)가 스페이서(30)의 인장재 서포트홈(32)에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인장재(2)가 스페이서(30)의 인장재 서포트홈(32)에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면 인장재 서포트홈(32)에서 인장재(2)가 잘 빠지지 않아서 스페이서(30)에 의해 인장재(2)를 처지지 않고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앵커 바디(10)의 인장재홀(12)에 삽입된 인장재(2)의 외주면, 다시 말해, 앵커 바디(10)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간 인장재(2)의 외주면에는 걸림부재를 구비하여, 걸림부재에 의해 인장재(2)가 앵커 바디(10)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인장재(2)를 당길 때에 인장재(2)가 앵커 바디(10)의 인장재홀(1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걸림부재는 인장재(2)의 외주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 걸림링체 또는 인장재(2) 자체를 눌러서 확장시킨 걸림 확장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장재(2)가 앵커 바디(10) 내부에 들어가서 앵커 바디(10)에 걸려지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모두 걸림부재로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앵커 바디(10)의 기단부측에 캡(16)이 분리된 상태에서 인장재(2)를 앵커 바디(10)의 인장재홀(12)에 삽입하고, 인장재(2)에 걸림부재를 형성한 다음, 상기 앵커 바디(10)의 기단부측에 캡(16)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나사 결합식으로 캡(16)을 앵커 바디(10)의 기단부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30)의 외경은 앵커 바디(10)의 외경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앵커 바디(10)와 연결체(20)에 의해 앵커 바디(10)의 선단부에 지지된 스페이서(30)를 그라운드(지반)에 천공된 앵커공(1)에 투입하면, 앵커 바디(10)는 앵커공(1) 내주면에 밀착되는 반면, 스페이서(30)의 외주면과 앵커공(1)의 내주면 사이에는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상기 스페이스는 그라우트(4)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30)의 내부에 형성된 연결홀(34)은 스페이서(30)의 양면(즉, 선단부와 기단부 쪽)으로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홀(34)에 의해 스페이서(30)의 양면에서 연결체(20)를 결합하고, 상기 스페이서(30)에 결합된 연결체(20)에 다른 스페이서(30)를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장재홀(12)에 인장재(2)가 결합된 앵커 바디(10)와 연결체(20)에 의해 지지된 스페이서(30)의 인장재 서포트홈(32)에 인장재(2)가 걸쳐져서 지지된 상태로 상기 앵커 바디(10)와 연결체(20) 및 스페이서(30)를 토목 공사나 건축 공사 시공 현장의 주변 지반에 미리 형성된 앵커공(1)(21)의 내부로를 밀어 넣고 앵커공(1)에 시멘트 그라우트(4)를 충전시키는 그라우팅 작업을 수행한 다음, 그라우트(4)를 경화시켜서 앵커 바디(10)와 연결체(20) 및 스페이서(30)를 앵커공(1)에 고착시킨다. 다음, 인장재(2)를 외부의 인장장치 등을 이용하여 당겨줌으로써 프리텐션(인장력)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앵커 바디(10)의 선단부에 연결체(20)에 의해 지지된 스페이서(30)의 인장재 서포트홈(32)에 인장재(2)가 걸쳐진 상태로 지지되어, 인장재(2)의 처짐을 방지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그라운드 앵커 설치 지역(예를 들어, 경사면의 지반 등)에 형성된 그라운드 앵커공(1)(그라운드 앵커가 들어갈 구멍)에 인장재(2)가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인장재(2)가 처져버리는 상태를 방지하므로, 나중에 그라우팅을 앵커공(1)에 주입하여 인장재(2)를 인장시킬 때에 처져 있는 인장재(2)로 인하여 힘(프리텐션 등)이 제대로 받을 수가 없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이처럼 인장재(2)가 제대로 인장력을 받게 되므로 구조물을 시공 중에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한다. 또한, 이처럼 인장재(2)가 그라운드 앵커공(1) 내부에서 처져 있지 않고 스페이서(30)에 의해 제대로 지지된 상태로 그라우트(4)를 주입 경화시켜서 인장재(2)를 당길 경우 처져 있는 인장재(2)로 인하여 프레텐션과 같은 힘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방지됨으로써 구조물의 지지가 제대로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토목이나 건축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심각한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우는 근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페이서(30)의 내부에 형성된 연결홀(34)은 스페이서(30)의 양면으로 연통되고, 스페이서(30)의 연결홀(34)은 내주면에 나사부(N)가 있는 나사홀로 구성되고, 연결체(20)는 외주면에 나사부(N)가 있는 볼트 바아 구조라서, 스페이서(30)를 앵커 바디(10)에 장착되도록 지지하는 연결체(20)를 너무 길게 하지 않고 적당한 길이로 짧게 형성하여 앵커공(1)에 투입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연결체(20)와 스페이서(30)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현장 시공성에서 아주 편리한 등의 효과가 있다. 즉, 너무 길다란 연결체(20)를 앵커공(1)에 투입하는 것은 번거롭기도 하고 쉽지 않은데, 본 발명에서는 연결체(20)를 적당한 길이로 짧게 형성하고, 다수개의 짧은 연결체(20)를 필요한 길이만큼 스페이서(30)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앵커공(1)에 연결체(20)와 앵커 바디(10)와 스페이서(30)를 보다 쉽게 투입할 수 있으며, 앵커공(1)에 연결체(20)와 앵커 바디(10) 및 스페이서(30)를 쉽게 투입할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현장 시공성 등에서 편리하고 유리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앵커 바디(10)의 외경보다 스페이서(30)의 외경이 더 작아서 앵커공(1)의 내주면과 스페이서(30)의 외주면 사이에 일정 거리의 스페이스가 확보되는데, 상기 앵커공(1)에 그라우트(4)가 일정 압력으로 주입될 때에 상기 스페이스를 통해 그라우트(4)가 스페이서(30)를 통과하여 앵커 바디(10)쪽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그라우트(4)가 보다 확실하게 주입되어 경화됨으로 인하여 앵커 바디(10)와 스페이서(30) 및 인장재(2)를 지지하는 힘을 더욱 높여주게 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30)는 적어도 그라우트(4)가 주입되어 들어오는 면과 마주하는 면이 테이퍼면으로 구성되어, 그라우트(4)가 스페이서(30)의 테이퍼면을 타고 상기 스페이스 쪽으로 보다 원활하게 흘러내려가므로, 상기 스페이스를 통해 그라우트(4)가 더욱더 원활하게 앵커 바디(10)쪽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라우트(4) 주입 및 충전 효율이 보다 높아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앵커 바디(10)의 기단부에 결합되는 캡(16)은 선단부에서 기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부(16A)를 뒤쪽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앵커 바디(10)와 연결체(20)와 스페이서(30)를 앵커공(1)에 투입할 때에 캡(16)의 테이퍼부(16A)로 인하여 앵커공(1)에 보다 편리하게 투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16)은 양면으로 연통된 인장재홀(12)을 구비하며, 상기 캡(16)의 중앙부에는 내주면에 나사부(N)를 구비한 연결체 결합홀(14)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체 결합홀(14)에 연결체(20)를 볼트 결합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연결체(20)에 다른 스페이서(30) 중앙부의 연결홀(34)(나사홀)을 나사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앵커 바디(10)의 기단부 쪽에도 인장재(2)를 연결하여 쓸 수 있다. 즉, 상기 캡(16)에 형성된 인장재홀(12)에 인장재(2)를 삽입하고, 인장재(2)의 외주면에 상기 걸림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인장재(2)가 삽입된 캡(16)을 앵커 바디(10)의 기단부에 결합함으로써 앵커 바디(10)의 기단부쪽에도 인장재(2)를 연결하여 쓸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인장재(2)를 앵커 바디(10)의 양쪽 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이 보다 우수한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그라운드 앵커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앵커 바디 20. 연결체
30. 스페이서

Claims (10)

  1. 선단부에서 내부로 연통된 인장재홀(12)을 구비한 앵커 바디(10);
    상기 앵커 바디(10)의 선단부에 구비된 연결체(20);
    상기 연결체(20)에 지지되어 상기 앵커 바디(10)의 선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양면으로 연통된 인장재 서포트홈(32)이 구비된 스페이서(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서(30)의 외경은 상기 앵커 바디(10)의 외경보다 더 작도록 구성되고,
    상기 앵커 바디(10)의 선단부 중앙부에 연결체 결합홀(14)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체 결합홀(14)은 내주면에 나사부(N)가 있는 나사홀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체(20)는 외주면에 나사부(N)가 있는 볼트 바아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체(20)가 상기 연결체 결합홀(14)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스페이서(30)의 중앙부에는 내주면에 나사부(N)가 있는 연결홀(34)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체(20)가 상기 연결홀(34)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홀(34)은 상기 스페이서(30)의 양면으로 연통되고,
    상기 연결홀(34)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30)의 양면에서 연결체(20)를 결합하고, 상기 스페이서(30)에 결합된 연결체(20)에 다른 스페이서(30)를 연결하여, 상기 연결체(20)와 상기 스페이서(30)를 다수개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페이서(30)는 양면이 테이퍼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지지 구조를 개선한 그라운드 앵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30)의 외경은 상기 앵커 바디(10)의 외경보다 더 작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지지 구조를 개선한 그라운드 앵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홈은 상기 스페이서(30)의 외주면으로 연통되어, 상기 서포트홈에 인장재(2) 진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지지 구조를 개선한 그라운드 앵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바디(10)는 기단부에 캡(1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지지 구조를 개선한 그라운드 앵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16)은 양면으로 연통된 인장재홀(12)을 구비하며, 상기 캡(16)의 중앙부에는 내주면에 나사부(N)를 구비한 연결체 결합홀(1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지지 구조를 개선한 그라운드 앵커.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49948A 2016-04-25 2016-04-25 인장재 지지 구조를 개선한 그라운드 앵커 KR101851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948A KR101851191B1 (ko) 2016-04-25 2016-04-25 인장재 지지 구조를 개선한 그라운드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948A KR101851191B1 (ko) 2016-04-25 2016-04-25 인장재 지지 구조를 개선한 그라운드 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479A KR20170121479A (ko) 2017-11-02
KR101851191B1 true KR101851191B1 (ko) 2018-04-23

Family

ID=60383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948A KR101851191B1 (ko) 2016-04-25 2016-04-25 인장재 지지 구조를 개선한 그라운드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1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367B1 (ko) * 2005-08-11 2006-06-21 김현래 사면보강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사면보강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367B1 (ko) * 2005-08-11 2006-06-21 김현래 사면보강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사면보강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479A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7406B1 (ko) 그라운드 앵커
EP1880059B1 (en) Method to increase the load capability of a soil
KR100729667B1 (ko) 인장 및 압축이 동시에 가능한 복합형 앵커
KR101244746B1 (ko) 패커 확장형 그라운드 앵커 및 그 시공방법
KR101175112B1 (ko) 다용도 네일링 앵커 및 그 시공방법
KR101471487B1 (ko) 다용도 하중 분산형 그라운드 앵커체
KR101029320B1 (ko) 암반 파쇄대구간 보강을 위한 록볼트 및 이를 이용한 암반파쇄대구간 보강방법
KR101851191B1 (ko) 인장재 지지 구조를 개선한 그라운드 앵커
KR101202845B1 (ko) 한 개의 천공홀에 어스앵커와 소일네일링 합성에 의한 지반보강방법
KR100912482B1 (ko) 이중 날개형 앵커
KR20100029437A (ko) 지면 보강을 위한 앵커 및 앵커설치구조
KR101165692B1 (ko) 다용도 앵커 및 그 시공방법
KR100871467B1 (ko) 지압형 앵커 및 이 시공방법
KR101473704B1 (ko) 스프링 결합형 소일네일
KR102054994B1 (ko) 원통 쐐기형 지반 보강용 앵커 및 이의 방법
KR100913320B1 (ko) 다기능 복합형 앵커체
KR100665594B1 (ko) 영구앵커의 와이어 인장장치
KR200492647Y1 (ko) 소일 네일링 공법용 강재 연결구
KR101017412B1 (ko) 마찰 지압형 영구 앵커 및 이 시공 방법
KR101125875B1 (ko) 그라운드 앵커
KR101025915B1 (ko) 다중 압축 분산 가압형 영구앵커체
KR100948051B1 (ko) 확장팩을 이용한 어스앵커
KR100869369B1 (ko) 다발강관을 이용한 그라우팅 방식의 지반보강장치 및 이를통한 지반보강공법
KR200400676Y1 (ko) 인장 및 압축이 동시에 가능한 복합형 앵커
US11408139B2 (en) Elongated connecting element for anchoring members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installing an elongated connecting element for anchoring mem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