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154B1 -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 - Google Patents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154B1
KR101851154B1 KR1020170016097A KR20170016097A KR101851154B1 KR 101851154 B1 KR101851154 B1 KR 101851154B1 KR 1020170016097 A KR1020170016097 A KR 1020170016097A KR 20170016097 A KR20170016097 A KR 20170016097A KR 101851154 B1 KR101851154 B1 KR 101851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wind power
wind
generator
power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열
Original Assignee
박기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열 filed Critical 박기열
Priority to KR1020170016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ver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1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e.g. aerofoil prof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2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2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moving objects, e.g.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1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B2260/403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 F05B2260/403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as in toothed g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빌딩 등을 포함하는 각종 건물의 윈도우 프레임, 환풍기 입구, 공조 통로 및 베란다, 그리고 각종 교량의 하측 난간, 도로의 중앙 분리대 또는 방음벽 상단 구조물 등과 같이 풍력이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장소나 공간과, 자동차, 기차, 비행기, 배 등과 같은 교통 수단의 내부 또는 외부에 블라인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의 프레임 또는 박스 형태로 설치하여 통과하는 작은 풍속에서도 블라인드의 회전력에 의해 용이하게 발전(發電)함과 동시에 이를 축전(蓄電)할 수 있는 사각 프레임 또는 사각 박스 형태의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Blind type wind power generator}
본 발명은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빌딩 등을 포함하는 각종 건물의 윈도우 프레임, 환풍기 입구, 공조 통로 및 베란다, 그리고 각종 교량의 하측 난간, 도로의 중앙 분리대 또는 방음벽 상단 구조물 등과 같이 풍력이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장소나 공간과, 자동차, 기차, 비행기, 배 등과 같은 교통 수단의 내부 또는 외부에 블라인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의 프레임 또는 박스 형태로 설치하여 통과하는 작은 풍속에서도 블라인드의 회전력에 의해 용이하게 발전(發電)함과 동시에 이를 축전(蓄電)할 수 있는 사각 프레임 또는 사각 박스 형태의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전력생산은 화력발전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나머지는 원자력발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미미하지만 무공해 에너지원으로 각광받으며 수력발전과 조력발전 그리고, 풍력발전과 태양열 발전 등이 꾸준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중 풍력발전은 우리나라에서도 대관령, 울릉도, 새만금 방조제, 제주도 등지에서 조성되어 있으나, 이는 그 생산량이 미비하여 우리나라 전력생산에 큰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전술한 지역에 설치된 풍력발전장치가 고전압을 생산하기 위해 대형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는 바람이 지속적으로 불어오지 않는 상황에서는 회전이 불가능하여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반대로 강풍이나 태풍이 발생 될 경우에는 발전시설을 가동할 수 없음은 물론 설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비 규모가 방대하여 주위 경관을 해칠 우려가 있고,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굉음이 발생하므로 소음공해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풍력발전은 초기 설비 비용 이후에는 유지 비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별도의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는 점이 높이 평가되어 소규모 발전에 적용되어 다양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0-0131903 호(공개일: 2010년12월1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나 빌딩 등을 포함하는 각종 건물의 윈도우 프레임, 환풍기 입구, 공조 통로 및 베란다, 그리고 각종 교량의 하측 난간, 도로의 중앙 분리대 또는 방음벽 상단 구조물 등과 같이 풍력이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장소나 공간과, 자동차, 기차, 비행기, 배 등과 같은 교통 수단의 내부 또는 외부에 블라인드를 포함하는 사각 프레임 또는 사각 박스 형태로 설치하여 작은 풍속에서도 바람에 의한 블라인드의 회전력에 의해 용이하게 발전(發電)하고 축전할 수 있는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체인 블라인드부의 평면 형태나 길이 방향의 형태를 다양하게 하여 바람에 대한 대향면의 다양한 폭 조절에 의해 풍력 발전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각형 평면 형상의 블라인드부의 단부가 곡면 형상을 갖도록 하여 후방측에 형성되는 난류를 최소로 줄이면서 저항을 최소화하여 보다 효율적인 풍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박스 형태의 사각 프레임의 개방된 전후 및 좌우의 4 측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블라인드부를 입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발전효율을 더욱 배가(倍加)할 수 있는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는,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다수가 연속하여 배치되며 바람에 대한 대향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블라인드부; 각 블라인드부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블라인드부 회전에 따라 발전을 행하는 발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블라인드부 중 일부는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태를 이루거나, 길이방향에 대해 중앙 또는 일측으로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부의 평면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형, 육각형, 및 팔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각형 평면 형상의 블라인드부는 그 너비방향의 중앙부측으로 갈수록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에 대해 완만한 곡률로 돌출형성되고, 너비방향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유선형의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구비되는 종동 기어; 및 상기 종동 기어와 맞물려 상기 종동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발전기에 전달하는 구동 기어를 더 구비하며, 상기 종동 기어와 구동 기어는 일정 기어 비(比)를 이루며 서로 맞물리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향하는 전후 및 좌우 4 측면이 개구되는 박스형태의 사각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블라인드부는 상기 사각 프레임의 개구진 4 측면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다수가 연속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박스 형태의 사각 프레임의 개방된 전후 및 좌우의 4 측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블라인드부는 상호 대향하는 측면에 상호 교호(交互)적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상기 발전기는 외부배선이 구비되어 축전기로 연결되어 생산된 전력을 축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는 다리의 난간, 건물의 전체 외벽의 윈도우, 또는 교통 수단의 일측에 끼우거나 장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에 의하면, 아파트나 빌딩 등을 포함하는 각종 건물의 윈도우, 환풍기 입구, 공조 통로 및 베란다, 그리고 각종 교량의 하측 난간, 도로의 중앙 분리대 또는 방음벽 상단 구조물 등과 같이 풍력이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장소나 공간과, 자동차, 기차, 비행기, 배 등과 같은 교통 수단의 내부 또는 외부에 블라인드를 포함하는 사각 프레임 또는 사각 박스 형태로 설치하여 바람에 의한 블라인드의 회전력에 의해 용이하게 발전(發電)함과 동시에 이를 축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체인 블라인드부의 평면 형태나 길이 방향의 형태를 다양하게 하여 바람에 대한 대향면의 다양한 폭 조절에 의해 와류 등의 발생에 따라 풍향의 세기를 더욱 강하게 하여 풍력 발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각형 평면 형상의 블라인드부의 단부가 곡면 형상을 갖도록 하여 후방측에 형성되는 난류를 최소로 줄이면서 저항을 최소화하여 보다 효율적인 풍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박스 형태의 사각 프레임의 개방된 전후 및 좌우의 4 측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블라인드부를 입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발전효율을 더욱 배가(倍加)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들에 따른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1)는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다수가 연속하여 배치되며 바람에 대한 대향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블라인드부(10); 각 블라인드부(10)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회전축(20); 및 상기 회전축(20)에 연결되어 각 블라인드부(10)의 회전에 따라 발전을 행하는 발전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블라인드부(10)는 풍력(바람)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아파트나 빌딩 등을 포함하는 각종 건물의 윈도우 프레임, 환풍기 입구, 공조 통로 및 베란다, 그리고 각종 교량의 하측 난간, 도로의 중앙 분리대 또는 방음벽 상단 구조물 등과 같은 장소나 공간과, 자동차, 기차, 비행기, 배 등과 같은 교통 수단이면 어디에든 설치가 가능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이나 건물의 사각 형태의 윈도우 등과 같은 사각프레임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대략 사각 프레임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2)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다수가 연속하여 배치되며 바람에 대한 대향면(맞바람 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사각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2) 형태를 제시하고 있으나, 원형이나 삼각 및 오각등의 다각형도 가능하며 베이스 프레임(2)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수의 블라인드부(10) 중 일부는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태를 이루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에 대해 중앙 또는 일측으로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바람이 불어오는 대향면의 폭을 조정하여 바람에 대향되는 대향면의 폭 조절의 변경에 의해 와류 등의 발생에 따라 풍향의 세기를 더욱 강하게 하여 풍력 발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부(10)의 평면 형상을 삼각형, 마름모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하여 바람에 대한 대향면의 다양한 폭 조절에 의해 풍력 발전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다각형의 평면 형상의 블라인드부(10)의 경우에 예를 들면 마름모형상의 너비방향의 중앙부측으로 갈수록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에 대해 완만한 곡률로 돌출형성되고, 너비방향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유선형의 곡면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블라인드부(10)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블라인드부(10)의 후방(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측에 형성되는 난류를 최소로 줄이면서 상기 블라인드부(10)에 끼치는 부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풍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도시된 예에서는 블라인드부(10)의 평면 형상을 삼각형, 마름모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축(20)은 각 블라인드부(10)의 회전 중심을 이루면서 풍력에 의해 블라인드부(10)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예를 들면 환봉(還棒) 형상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축의 상하단에는 상부 및 하부 베어링이 설치되어 블라인드부(10)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회전축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은 풍속에서도 각 블라인드부(10)가 별 무리 없이 회전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발전기(30)는 각 블라인드부(10)의 회전중심이 되는 구동축인 회전축(2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각 발전기(30)에는 외부배선(31)이 구비되어 생산된 전력을 축전할 수 있는 축전기(40)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발전기(30)는 각 블라인드부(10)의 회전축(20)에 각각 연결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나, 다수의 회전축(20)이 예를 들면 기어형태로 연동되어 하나의 발전기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생산된 전력을 축전할 수 있는 축전기는 다양한 종류의 축전수단을 이용하여 보관하여 별도 사용하거나, 또는 발전기로부터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해당 주택 또는 건물 등에서 사용되는 냉난방 시스템, 공조기, 냉장고, 세탁기, 에어콘 등의 전기기구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기기구를 구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으며, 모바일폰이나 노트북 등과 같은 IT 제품의 충전용으로 사용하는 등 발전된 전기에너지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발전기(3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용 커버가 설치되어 외부의 이물질이나 주위의 한기(寒氣)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발전기(30) 및 축전기(40)는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추가적인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회전축(20)이 발전기(30)의 구동축으로 바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회전축(20)에 구비되는 종동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와 맞물려 상기 종동 기어의 회전력을 발전기(30)에 전달하는 구동 기어를 더 구비하여 상기 종동 기어와 구동 기어는 일정 기어 비(比)를 이루며 치형(齒形)이 서로 맞물리도록 장착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발전기에 전달함으로써 전력을 생산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필요에 따라 회전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종동 기어와 구동 기어의 기어 비(比)를 조정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이는 종동 기어와 구동 기어의 치수를 조정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100)는 대향하는 전후 및 좌우 4 측면이 개구되는 사각 박스형태의 사각 프레임(101), 상기 사각 프레임의 개구진 4 측면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다수가 연속하여 배치되며 바람에 대한 대향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블라인드부(110); 각 블라인드부(110)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회전축(120); 및 상기 회전축(120)에 연결되어 각 블라인드부(110)의 회전에 따라 발전을 행하는 발전기(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100)는 대략 박스 형태(긴 박스 형태, 짧은 박스 형태 또는 폭이 좁은 박스 형태도 가능)의 사각 프레임(101)의 개방된 전후 및 좌우의 4 측면에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블라인드부(110)가 설치되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첫 번째 실시예와 상이하다.
여기서, 박스 형태의 사각 프레임(101)의 개방된 전후 및 좌우의 4 측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블라인드부(110)는 대향하는 측면에 상호 교호(交互)적으로 설치되어 4 측면을 통해 바람이 통과하는 경우에 바람이 효율적으로 통과하여 용이하게 각 블라인드부(110)가 회전할 수 있으면서도 박스 형태의 입체적 블라인드 설치 형태에 의해 발전효율을 더욱 배가(倍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 발전기(130)는 외부배선(131)이 구비되어 사각 박스형태의 사각 프레임(101)의 중앙 하측에 설치된 축전기(140)로 연결되어 생산된 전력을 축전할 수있도록 되어 있다.
그 외의 세부 구성 및 구조는 상술한 첫 번째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들에 따른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200a)가 일반 다리 또는 대형 교량의 난간 등에 설치되어 난간을 통과하는 바람에 의해 더욱 효율적으로 전력을 생산하여 축전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200b)가 대형 건물 또는 빌딩의 전체 외벽의 모든 윈도우에 다수 개를 매트릭스 형태로 끼우거나 장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대형 건물 또는 빌딩의 옥상에는 피뢰침을 설치하여 낙뢰로부터 풍력발전기(200b)를 보호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200c)가 차량의 주행시에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發電)할 수 있도록 차량의 하측, 상측 또는 일측의 통로가 되는 형태나 바람이 유입되는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c에는 차량에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200c)가 설치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비행기나 배 등과 같은 다양한 교통 수단에 적절한 장소에 설치되어 교통 수단의 움직임에 따른 맞바람의 발생을 이용하여 발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프레임 형태의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1)나 박스 형태의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100)는 아파트나 빌딩 등을 포함하는 각종 건물의 윈도우 프레임, 환풍기 입구, 공조 통로 및 베란다, 그리고 각종 교량의 하측 난간, 도로의 중앙 분리대 또는 방음벽 상단 구조물 등과 같이 풍력이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장소나 공간과, 자동차, 기차, 비행기, 배 등과 같은 교통 수단의 내부 또는 외부에도 설치될 수 있으나, 별도로 제작하여 휴대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100, 200a, 200b, 200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
2: 사각 프레임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
10, 110: 블라인드부
20, 120: 회전축
30, 130: 발전기
40, 140: 축전기
101: 박스형태의 사각 프레임

Claims (9)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다수가 연속하여 배치되며 바람에 대한 대향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블라인드부;
    각 블라인드부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블라인드부 회전에 따라 발전을 행하는 발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대향하는 전후 및 좌우 4 측면이 개구되는 사각 박스형태의 사각 프레임이며, 상기 다수의 블라인드부는 상기 사각 프레임의 개구진 4 측면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다수가 연속하여 배치되며,
    상기 박스 형태의 사각 프레임의 개방된 전후 및 좌우의 4 측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블라인드부는 상호 대향하는 측면에 상호 교호(交互)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블라인드부 중 일부는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태를 이루거나, 길이방향에 대해 중앙 또는 일측으로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부의 평면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형, 육각형, 및 팔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 평면 형상의 블라인드부는 그 너비방향의 중앙부측으로 갈수록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에 대해 완만한 곡률로 돌출형성되고, 너비방향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유선형의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구비되는 종동 기어; 및
    상기 종동 기어와 맞물려 상기 종동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발전기에 전달하는 구동 기어를 더 구비하며,
    상기 종동 기어와 구동 기어는 일정 기어 비(比)를 이루며 서로 맞물리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발전기는 외부배선이 구비되어 축전기로 연결되어 생산된 전력을 축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는 다리의 하부 난간, 건물의 전체 외벽의 윈도우, 또는 교통 수단의 일측에 끼우거나 장착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
KR1020170016097A 2017-02-06 2017-02-06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 KR101851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097A KR101851154B1 (ko) 2017-02-06 2017-02-06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097A KR101851154B1 (ko) 2017-02-06 2017-02-06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154B1 true KR101851154B1 (ko) 2018-04-24

Family

ID=62084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097A KR101851154B1 (ko) 2017-02-06 2017-02-06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1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5201A (ja) * 2004-04-30 2005-11-10 Daiwa House Ind Co Ltd 建物の風車外装構造及び風車外装パネ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5201A (ja) * 2004-04-30 2005-11-10 Daiwa House Ind Co Ltd 建物の風車外装構造及び風車外装パネ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1588B2 (en) Low-profile power-generating wind turbine
Bosso et al. Application of low-power energy harvesting solutions in the railway field: a review
US7098553B2 (en) Traffic-driven wind generator
US20190024633A1 (en) Windmill generator associated with a construction
CN104144814A (zh) 环保型风力发电电动汽车
US9816384B2 (en) Power generation apparatus
KR101539893B1 (ko) 터널내부 제트 팬을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
Ahmed Novel developments towards efficient and cost effective wind energy generation and utilization for sustainable environment
KR101851154B1 (ko) 블라인드형 풍력 발전기
Jia et al. A renewable energy harvesting wind barrier based on coaxial contrarotation for self-powered applications on railways
KR101354181B1 (ko) 블레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력/수력 발전장치
EP3070328B1 (en) Wind power collecting, electricity generating device
US20180355844A1 (en) Combined omnidirectional flow turbine system
JP2003269319A (ja) 風力発電システム
WO2007039791A1 (en) Device for the generation of aeolic energy for the production of electric energy with use of mills with substantially parallel axes, with wind compression system, and cogeneration of photovoltaic energy
CN101752979A (zh) 路边风动发电装置
CN210799232U (zh) 一种具有改善桥梁风环境功能的新型垂直轴风力机装置
RU2285147C1 (ru) Вет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JP2004204830A (ja) 軸沿回転翼風車
Nagib et al. Savonius Wind Turbine and Solar Panels Road Electric Station
CN212079514U (zh) 一种风扇
Whitford et al. Utility-sized Madaras wind plants
CN201315541Y (zh) 路边风动发电装置
Jacobs Research results for the tornado wind energy system: analysis and conclusions
JPH0828431A (ja) 走行車輛に設ける風車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