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700B1 - 담배꽁초 처리기 - Google Patents
담배꽁초 처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0700B1 KR101850700B1 KR1020160114819A KR20160114819A KR101850700B1 KR 101850700 B1 KR101850700 B1 KR 101850700B1 KR 1020160114819 A KR1020160114819 A KR 1020160114819A KR 20160114819 A KR20160114819 A KR 20160114819A KR 101850700 B1 KR101850700 B1 KR 1018507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crushing
- cigarette
- stirring
- ca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042—Ash-trays with smoke filte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078—Ash-trays comprising two separatable parts, e.g. coax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
- Y02W30/4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배꽁초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담배꽁초를 집어넣는 투입구를 형성한 하우징,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투입된 담배꽁초를 파쇄하는 파쇄부,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파쇄된 담배꽁초를 호기성 미생물과 교반시키는 교반부, 및 하우징 내부의 악취를 정화하는 탈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담배꽁초에서 발생되는 유해성분을 제거하고 담배냄새를 탈취함으로써 흡연공간의 공기를 쾌적하게 하며 바닥 오염을 방지하고, 담배꽁초를 파쇄 후 교반액과 교반시켜 분해함으로써 처리량을 줄여 처리에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담배꽁초에서 발생되는 유해성분을 제거하고 담배냄새를 탈취함으로써 흡연공간의 공기를 쾌적하게 하며 바닥 오염을 방지하고, 담배꽁초를 파쇄 후 교반액과 교반시켜 분해함으로써 처리량을 줄여 처리에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담배꽁초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담배꽁초에서 발생되는 유해성분을 제거하고 담배냄새를 탈취함으로써 흡연공간의 공기를 쾌적하게 하며 바닥 오염을 방지하고, 담배꽁초를 파쇄 후 교반액과 교반시켜 분해함으로써 처리량을 줄여 처리에 용이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담배꽁초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떨이는 담배를 피우면서 발생하는 담뱃재를 털어 놓으며 담배꽁초를 비벼 끄고 버리는 데에 사용되는 도구이다. 종래의 재떨이는 건물의 복도나 휴게실, 도로변의 인도 측이나 공원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스탠드형 재떨이, 사무실 또는 가정의 개인용으로 사용되는 소형 재떨이 등 그 종류나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이처럼 형태가 어떠하든 이들 재떨이는 담배를 비벼 끄거나, 모래가 담긴 통에 꽂아놓아 소화시키거나, 아니면 미리 담겨있는 물에 집어넣어 소화시키는 등의 소화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특히, 금연구역이 확대되고 있는 반면, 건물의 실내에 비하여 공공장소에서는 별도의 흡연구역이 지정되어 있지 않아 흡연자들이 흡연의 자유를 박탈한다고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이로 인해, 흡연자들은 공공장소에서 흡연을 하게 됨으로써, 비흡연자들이 간접흡연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공공장소에서도 비흡연자들의 간접흡연이 미연에 방지되어 비흡연자들의 건강이 배려될 수 있도록 흡연부스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흡연부스의 일례를 살펴보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72332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흡연부스"는 상부에 기둥으로 지지된 천정을 구비하고, 상기 천정의 상부에 커버를 덮어서 천정과 커버 사이에 에어챔버를 형성하며, 에어챔버 내에 천정의 중앙에서 오염공기를 흡입하도록 공기청정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정화된 공기를 에어챔버로 배기시키도록 하고, 에어챔버로 배출된 공기가 다시 천정의 둘레에 형성된 방출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여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종래의 담배 재떨이는 담뱃불이 완전히 꺼진 경우에는 관계없으나, 부주의로 인하여 흡연자가 담뱃불이 완전히 꺼지지 아니한 상태에서 재떨이 내부에 꽁초를 버리는 경우에는 재떨이 내부나 그 주변에 있던 가연성 물질, 휴지나 가연성 쓰레기에 인화되어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아울러, 기존의 담배 재떨이는 악취로 인한 불쾌감을 유발하고, 자주 수거 후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담배꽁초를 투입하는 하우징 내측에 탈취기를 구비하여 담배꽁초에서 발생되는 유해성분을 필터링하여 제거하고, 담배냄새를 탈취함으로써, 흡연공간의 공기를 쾌적하게 하며 바닥 오염을 방지하고자 하는 담배꽁초 처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담배꽁초를 파쇄 후 교반액과 교반시켜 분해함으로써 처리량을 줄여 처리에 용이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담배꽁초를 호기성 미생물과 교반시켜 알갱이화 처리함으로써 거름으로 재활용 가능할 수 있어 재활용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담배꽁초 처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담배꽁초 처리기는: 담배꽁초를 집어넣는 투입구를 형성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투입된 담배꽁초를 파쇄하는 파쇄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파쇄된 담배꽁초를 교반액과 교반시키는 교반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악취를 정화하는 탈취부를 포함한다.
상기 파쇄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거치되고, 양측으로 개방되는 파쇄케이싱; 및 상기 파쇄케이싱의 내측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담배꽁초를 파쇄 후 상기 교반부 측으로 통과시키는 파쇄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교반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파쇄부 하측에 구비되어 파쇄된 담배꽁초와 호기성 미생물을 공급받는 교반케이싱; 및 상기 교반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파쇄된 담배꽁초와 교반액을 혼합시키는 교반윙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파쇄케이싱을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투입구를 형성하는 상부바디; 및 상기 상부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교반케이싱을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는 하부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교반케이싱 내부로 교반액을 공급하는 살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교반케이싱은 교반 처리된 담배꽁초를 배출하기 위해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하우징을 통해 개폐구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담배꽁초 처리기는 종래 기술과 달리 담배꽁초를 투입하는 하우징 내측에 탈취기를 구비하여 담배꽁초에서 발생되는 유해성분을 필터링하여 제거하고, 담배냄새를 탈취함으로써, 흡연공간의 공기를 쾌적하게 하며 바닥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담배꽁초를 파쇄 후 교반액과 교반시켜 분해함으로써 처리량을 줄여 처리에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담배꽁초를 호기성 미생물과 교반시켜 알갱이화 처리함으로써 거름으로 재활용 가능할 수 있어 재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처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처리기의 하우징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처리기의 파쇄부와 교반부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처리기의 파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처리기의 교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처리기의 배출구를 개방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처리기의 하우징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처리기의 파쇄부와 교반부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처리기의 파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처리기의 교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처리기의 배출구를 개방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담배꽁초 처리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처리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처리기의 하우징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처리기의 파쇄부와 교반부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처리기의 파쇄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처리기의 교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처리기의 배출구를 개방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처리기는 하우징(100), 파쇄부(200), 교반부(300) 및 살수부(5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담배꽁초 처리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측에 투입구(130)를 형성한다. 특히, 하우징(110)은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105)를 구비할 수 있다.
담배꽁초는 투입구(13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투입된다. 이때, 투입구(130)는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막고, 담뱃불을 쉽게 소화(消火)할 수 있도록 메쉬망(132)을 형성한다.
그리고, 파쇄부(200)는 투입구(130)를 통해 투입된 담배꽁초를 파쇄하는 역할을 하고, 교반부(300)는 파쇄된 담배꽁초를 호기성 미생물과 교반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하우징(100)은 상부바디(110)와 하부바디(120)를 포함한다. 상부바디(110)는 내측에 파쇄부(200)를 구비하고, 상측에 투입구(130)를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바디(120)는 내측에 교반부(300)를 구비하고, 바퀴(105)를 장착한다.
이때, 상부바디(110)와 하부바디(120)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파쇄부(200)와 교반부(300)의 유지 보수작업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부바디(110)는 파쇄부(20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부바디(120)는 교반부(30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여기서, 상부바디(110)는 파쇄부(20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측에 베이스플레이트(112)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112)는 파쇄된 담배꽁초를 하부바디(120)의 교반부(300) 측으로 이동 허용하도록 통과홀(114)을 통공한다.
그리고, 하부바디(120)는 교반부(300)를 고정되게 장착하도록 내부가 형성된다. 물론, 상부바디(110)와 하부바디(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여기서, 파쇄부(200)는 파쇄케이싱(210) 및 파쇄유닛(220)을 포함한다.
파쇄케이싱(210)은 하우징(100)의 내측 바닥, 특히, 상부바디(110)의 하측에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112)에 구비되고, 양측으로 개방된다.
이때, 파쇄케이싱(210)의 하측 개방부는 통과홀(114)에 일치되도록, 파쇄케이싱(210)은 베이스플레이트(112)에 고정 설치된다. 아울러, 상부바디(110)는 내측에 위치한 파쇄케이싱(210)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다. 예로서, 상부바디(110)의 내부 공간은 파쇄케이싱(210)의 둘레면에 접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물론, 파쇄케이싱(2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파쇄유닛(220)은 파쇄케이싱(210)의 내측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담배꽁초를 파쇄 후 교반부(300) 측으로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파쇄유닛(220)은 압착롤러로 적용할 수 있다. 그래서, 파쇄유닛(220)은 파쇄케이싱(21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파쇄유닛(220)은 파쇄전동전달부(230)를 통해 회전된다. 여기서, 파쇄전동전달부(230)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고, 상부바디(110)와 베이스플레이트(112)에 연결 지지된다. 여기서, 파쇄전동전달부(230)는 구동모터 및 벨트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교반부(300)는 교반케이싱(310) 및 교반윙(320)을 포함한다.
교반케이싱(310)은 하우징(100)의 파쇄부(200) 하측 특히, 하부바디(120)의 내측에 구비되어 파쇄된 담배꽁초와 호기성 미생물을 공급받는다. 특히, 교반케이싱(310)은 하부바디(120)에 수납되어 고정된다. 물론, 교반케이싱(3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하부바디(120) 내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교반윙(320)은 교반케이싱(3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파쇄된 담배꽁초와 호기성 미생물을 혼합하며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화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거나, 담배꽁초와 교반액을 혼합하여 담배꽁초를 덩어리화 하여 배출 처리가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교반윙(320)은 교반축(322)의 둘레면에 복수 개 구비되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교반축(322)은 가동모터(33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이때, 가동모터(330)는 하부바디(12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된다.
교반윙(320)이 교반케이싱(310) 내부로 공급된 파쇄된 담배꽁초와 호기성 미생물을 교반함에 따라, 담배꽁초는 미립화 또는 알갱이화 처리되어 거름 등으로 재활용 가능하게 된다. 또는, 교반윙(320)이 교반케이싱(310) 내부로 공급된 파쇄된 담배꽁초와 교반액을 교반함에 따라, 담배꽁초는 덩어리화 처리되어 배출 처리가 용이하게 된다.
특히, 미생물공급부(400)가 호기성 미생물을 교반케이싱(310) 내부로 공급한다.
여기서, 미생물공급부(400)는 미생물저장통(410) 및 공급단속부(420)를 포함한다.
미생물저장통(410)은 하우징(10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호기성 미생물을 저장한다. 이때, 미생물저장통(410)은 하부바디(120)에 구비된 상태로 호기성 미생물을 강제 공급할 수도 있고, 상부바디(110)에 구비되어 저장된 호기성 미생물을 낙차를 이용하여 자연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공급단속부(420)는 미생물저장통(410)의 호기성 미생물이 교반케이싱(310)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는 것으로서, 밸브 또는 펌프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교반케이싱(310) 내부에서 파쇄된 담배꽁초가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분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살수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살수부(500)는 교반액저장통(510) 및 펌핑부재(520)를 포함한다.
교반액저장통(510)은 하우징(10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교반액을 저장한다. 여기서, 교반액은 물 또는 다양한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펌핑부재(520)는 교반액저장통(510)의 교반액을 하부바디(120) 내부로 펌핑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교반액저장통(510)은 상부바디(1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근접센서(600)를 구비할 수 있다. 근접센서(600)는 사용자가 하우징(100)에 근접됨을 인식한 후 일정시간 경과하게 되면, 파쇄전동전달부(230)와 가동모터(330)와 공급단속부(420) 및 펌핑부재(520)에 가동 신호를 전달한다.
그래서, 투입구(130)로 투입되는 담배꽁초가 파쇄유닛(220)에 의해 파쇄된 후 교반윙(320)에 의해 교반된다. 이때, 공급단속부(420)는 호기성 미생물을 정량 공급하고, 펌핑부재(520)는 교반액을 정량 공급한다.
이때, 근접센서(600)는 파쇄전동전달부(230), 가동모터(330), 공급단속부(420) 및 펌핑부재(520)가 시차를 두고 가동될 수 있도록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탈취부(700)는 하우징(100) 내부의 악취를 정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하우징(100) 내측에 구비되는 이온발생기로 적용할 수 있다. 물론, 탈취부(700)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탈취부(700)는 근접센서(600)의 신호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담배꽁초가 투입구(130)로 투입 후, 담배꽁초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정화되며, 담배꽁초는 파쇄유닛(220)을 통과하면서 설정 크기로 파쇄된다.
그리고 나서, 파쇄된 담배꽁초와 호기성 미생물, 또는 파쇄된 담배꽁초와 교반액이 교반케이싱(310)으로 공급된 후 교반됨으로써, 담배꽁초는 미립화 또는 알갱이화 처리되거나 분해되어 부피가 줄어들게 된다. 물론, 교반케이싱(310)은 내부로 호기성 미생물과 교반액이 동시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교반케이싱(310) 내부에서 최종 처리된 담배꽁초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위해, 교반케이싱(310)은 배출구(800)를 형성하고, 하부바디(120)는 개방구(810)를 형성하며, 배출구(800)와 개방구(810)는 채널(910)로 연결된다. 즉, 채널(910)은 파이프 형상으로서, 배출구(800)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교반케이싱(310)과 개방구(810)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하부바디(120)의 가장자리를 연결한다.
그리고, 배출구(800)는 하우징(100) 특히 하부바디(120)를 통해 개폐구(900)에 의해 개폐된다. 즉, 개폐구(900)가 개방구(810)와 채널(910)을 통해 배출구(800)를 막게 된다.
더욱 상세히, 개폐구(900)는 샤프트(920)를 연장하고, 샤프트(920)는 캡(930)을 구비한다. 그래서, 사용자가 캡(930)을 잡고 샤프트(920)와 개폐구(900)를 채널(910)에 삽입한다. 캡(930)이 개방구(810)를 막음과 동시에, 개폐구(900)가 배출구(800)를 막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캡(930)을 잡고 당기면, 배출구(800)는 개방 된다. 이 후, 교반케이싱(310) 내부의 최종 처리된 담배꽁초는 배출 가능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교반케이싱(310)의 최종 처리된 담배꽁초를 배출하기 위해 근접센서(600)에 감지시, 근접센서(600)는 작동 정지되어야 한다.
그래서, 근접센서(600)가 사용자의 접근을 일정 시간 이후에도 감지시, 근접센서(600)는 작동 정지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즉, 근접센서(600)의 신호에 의해, 파쇄부(200), 교반부(300), 미생물공급부(400) 및 살수부(500)의 작동이 정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10: 상부바디
112: 베이스플레이트 114: 통과홀
120: 하부바디 130: 투입구
200: 파쇄부 210: 파쇄케이싱
220: 파쇄유닛 230: 파쇄전동전달부
300: 교반부 310: 교반케이싱
320: 교반윙 340: 가동모터
400: 미생물공급부 410: 미생물저장통
420: 공급단속부 500: 살수부
510: 교반액저장통 520: 펌핑부재
600: 근접센서 700: 탈취부
800: 배출구 810: 개방구
900: 개폐구 910: 채널
920: 샤프트 930: 캡
112: 베이스플레이트 114: 통과홀
120: 하부바디 130: 투입구
200: 파쇄부 210: 파쇄케이싱
220: 파쇄유닛 230: 파쇄전동전달부
300: 교반부 310: 교반케이싱
320: 교반윙 340: 가동모터
400: 미생물공급부 410: 미생물저장통
420: 공급단속부 500: 살수부
510: 교반액저장통 520: 펌핑부재
600: 근접센서 700: 탈취부
800: 배출구 810: 개방구
900: 개폐구 910: 채널
920: 샤프트 930: 캡
Claims (5)
- 담배꽁초를 집어넣는 투입구를 형성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투입된 담배꽁초를 파쇄하는 파쇄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파쇄된 담배꽁초를 교반액과 교반시키는 교반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악취를 정화하는 탈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파쇄부 하측에 구비되어 파쇄된 담배꽁초와 교반액을 공급받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교반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교반케이싱은 교반 처리된 담배꽁초를 배출하기 위해 배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하우징을 통해 개폐구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개폐구의 출입을 허용하기 위해 개방구를 형성하며,
상기 개폐구는 샤프트를 통해 캡을 연장 형성하여,
상기 개폐구가 상기 배출구를 막음과 연이어 상기 캡이 상기 개방구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꽁초 처리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거치되고, 양측으로 개방되는 파쇄케이싱; 및
상기 파쇄케이싱의 내측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담배꽁초를 파쇄 후 상기 교반부 측으로 통과시키는 파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는, 상기 교반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파쇄된 담배꽁초와 교반액을 혼합하며 담배꽁초를 뭉치는 교반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꽁초 처리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파쇄케이싱을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투입구를 형성하는 상부바디; 및
상기 상부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교반케이싱을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는 하부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꽁초 처리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교반케이싱 내부로 교반액을 공급하는 살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꽁초 처리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4819A KR101850700B1 (ko) | 2016-09-07 | 2016-09-07 | 담배꽁초 처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4819A KR101850700B1 (ko) | 2016-09-07 | 2016-09-07 | 담배꽁초 처리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7771A KR20180027771A (ko) | 2018-03-15 |
KR101850700B1 true KR101850700B1 (ko) | 2018-04-20 |
Family
ID=61660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4819A KR101850700B1 (ko) | 2016-09-07 | 2016-09-07 | 담배꽁초 처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070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7485A (ko) | 2020-01-30 | 2021-08-09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담배꽁초 포집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04857A (ja) * | 2002-04-16 | 2003-10-28 | Otsuki Takaharu | タバコ用灰皿 |
JP2004313051A (ja) | 2003-04-15 | 2004-11-11 | Yamatake Corp | 吸殻処理装置 |
KR101590067B1 (ko) * | 2015-06-11 | 2016-01-29 | 이동학 | 냄새 제거 가능한 담배꽁초 처리장치 |
KR101594488B1 (ko) * | 2014-03-13 | 2016-02-16 | 주식회사 효신디자인 | 자동소화 수 재떨이 |
-
2016
- 2016-09-07 KR KR1020160114819A patent/KR10185070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04857A (ja) * | 2002-04-16 | 2003-10-28 | Otsuki Takaharu | タバコ用灰皿 |
JP2004313051A (ja) | 2003-04-15 | 2004-11-11 | Yamatake Corp | 吸殻処理装置 |
KR101594488B1 (ko) * | 2014-03-13 | 2016-02-16 | 주식회사 효신디자인 | 자동소화 수 재떨이 |
KR101590067B1 (ko) * | 2015-06-11 | 2016-01-29 | 이동학 | 냄새 제거 가능한 담배꽁초 처리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7485A (ko) | 2020-01-30 | 2021-08-09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담배꽁초 포집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7771A (ko) | 2018-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112608A (ko) | 쓰레기 소멸기 | |
KR101850700B1 (ko) | 담배꽁초 처리기 | |
KR20210102536A (ko) | 사이클론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 |
KR100634022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 |
KR200427847Y1 (ko) | 음식물처리기 | |
KR102248862B1 (ko) | 음식물 쓰레기 분쇄 및 분해처리장치 | |
KR100510634B1 (ko) | 마이크로파음식물쓰레기처리기 | |
JPH11226108A (ja) | 脱臭機 | |
KR20180130833A (ko) |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 |
KR20150005183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JP2020049444A (ja) | 汚物処理装置 | |
KR200155149Y1 (ko) | 분말탈취제 투입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029459B1 (ko) | 이동식 간이 화장실의 비활성 구간에서의 인분 처리 장치 | |
KR102574971B1 (ko) | 산화촉매탈취 구조를 포함하는 미생물발효 음식물처리기 | |
KR101599008B1 (ko) |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 |
KR20140131728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자동 항균 및 탈취 유닛 | |
JPH07112113A (ja) | 脱臭装置 | |
KR100216182B1 (ko) | 분말 탈취제 투입방식의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 |
KR100198405B1 (ko) | 탈착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취장치 | |
KR20100025778A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
JPH07136629A (ja) | 生ごみ処理機 | |
KR0166928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 |
KR100704633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 |
KR20240146970A (ko) | 미생물 분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100434731B1 (ko) |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