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656B1 - 수처리용 여재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여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656B1
KR101850656B1 KR1020170133406A KR20170133406A KR101850656B1 KR 101850656 B1 KR101850656 B1 KR 101850656B1 KR 1020170133406 A KR1020170133406 A KR 1020170133406A KR 20170133406 A KR20170133406 A KR 20170133406A KR 101850656 B1 KR101850656 B1 KR 101850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water treatment
yarn
bamboo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노
영 김
이진상
김봉실
조상수
김진우
서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Priority to KR1020170133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50 내지 70중량%, 대나무 섬유 30 내지 50중량%를 포함하며, 중앙에 위치하면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고 있는 코어, 중앙의 외곽에 위치하면서, 대나무 섬유로 구성되고, 돌출된 섬유상 돌기의 형상을 하는 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처리용 여재에 대한 것으로, 상기 수처리용 여재는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스트레치하는 1단계, 상기 1단계를 거쳐 스트레치된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대나무 원사와 함께 감아서 세로로 한 줄을 만드는 2단계, 상기 폴리프로필렌 및 대나무 섬유로 함께 만들어진 줄을 묶는 3단계, 상기 3단계의 묶은 부위를 중심으로 커팅하는 4단계, 상기 4단계의 커팅된 개별 묶음을 가열하는 5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Description

수처리용 여재 {Filter media for water pollution}
본 발명은 수처리용 여재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과 대나무 섬유가 혼합 되어, 중앙에 위치한 코어 부분과 코어의 외곽부분에 위치한 셸로 구성되면서, 셸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부유오염물질의 제거 및 재사용을 위한 세척이 가능한 여재에 대한 것이다.
최근 녹조, 영양염류 및 화학독성물질이 이슈화되면서, 수질오염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속히 높아지고 있다. 수질오염을 유발하는 발생원은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비점오염원은 강우시 지표면에 노출된 오염물질이 우수로 인해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오염원으로 강우 초기에 유출량이 집중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강우 초기에 급속히 증가하는 유출량에 대응할 수 있도록 높은 플럭스의 수량을 처리하면서, 여름 등 상당한 빈도의 강우에 적합하도록 세척시간을 단축하여 재사용에 대한 용이성을 높이는 것이 기술개발의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었다. 비점오염원에서 초기우수는 지표면에 노출된 오염물질을 포함한 상태에서 공공수역으로 유입되어, 하전 및 호소의 오염물을 유발시키며, 또한 지하로 침투되어 지하수자원의 오염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유량이 급속히 증가하는 초기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지표면의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것이 수질오염 관리의 중요한 척도가 되어왔다.
이와 관련하여, 저류형과 와류형, 여과형의 다양한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가 개발되어 왔으며, 이중 상당한 크기의 설비면적이 요구되는 저류형 보다는 원심력을 이용하는 와류형과 여과형이 도심 지역의 비점오염원 처리에 적용되어왔다. 와류형의 경우, 수량이 급속히 불어나는 초기 우수 대응에는 유리한 부분이 있으나, 부유물질의 제거가 어렵고, 축적된 침전물이 와류를 통해 재부상하여 유실될 수 있어, 최근에는 여과형을 중심으로 도심 비점오염원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여과형은 부유물질 등의 비점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재를 이용하는 것에 특징을 두고 있으며, 상기 여재의 경우, 평막 형태의 필터를 이용하거나, 구형의 여재를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상기의 평막 필터는 급속히 증가하는 초기우수량을 짧은 시간내에 처리하기에는 상당한 강도의 압력이 걸리기 때문에, 비점오염원의 수질관리에는 부적합한 측면이 있다. 또한, 구형의 여재를 이용하는 경우, 복수의 여재간에 발생하는 공극으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정화대상물을 정상적으로 여과하지 못한 상태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상황이 발생함으로써, 정화 효율이 미흡한 단점을 나타내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8713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04179호 한국등록특허 제10-034815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1873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질오염물질의 정화시 처리되지 않고 유출되는 미처리 오염물질의 양을 최소화하고, 재사용이 용이한 여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는 복수 개의 여재가 함께 접촉할 경우, 여재간의 공극 발생을 최소화시켜, 수질오염물질의 정화시 처리되지 않고, 유출되는 미처리 오염물질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는 수질오염물질의 여과 이후, 세척 시간을 줄이고, 여재에 부착된 오염물질이 용이하게 탈착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는 폴리프로필렌 50 내지 70중량%, 대나무 섬유 5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고, 중앙에 위치하면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고 있는 코어 ; 중앙의 외곽에 위치하면서, 대나무 섬유로 구성되고, 돌출된 섬유상 돌기의 형상을 하는 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의 비중은 0.8 내지 0.99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는 25℃의 물속에서 코어 대비 셸의 부피 확장 비율이 3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는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스트레치하는 1단계 ; 상기 1단계를 거쳐 스트레치된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대나무 원사와 함께 감아서 세로로 한 줄을 만드는 2단계 ; 상기 폴리프로필렌 및 대나무 섬유로 함께 만들어진 줄을 묶는 3단계 ; 상기 3단계의 묶은 부위를 중심으로 커팅하는 4단계 ; 상기 4단계의 커팅된 개별 묶음을 가열하는 5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의 제조방법 중 상기 1단계의 가열은 120℃ 내지 150℃의 열판에 의해 이루어지고, 스트레치는 180 내지 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의 제조방법 중 상기 2단계에서 폴리프로필렌과 대나무 원사가 함께 감아서 만들어지는 한 줄은 6500 내지 7000 데니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의 제조방법 중 상기 4단계의 가열은 회전원형통에 100℃ 내지 130℃의 온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는, 수중에서 함께 뭉쳐졌을때, 기존 여재는 여재간 공극이 발생하나,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는 대나무사로 구성된 섬유상 돌출부로 인해 여재간 공극이 발생하지 않아, 미처리 폐수의 유출량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는 밀도가 높고 중심부에 위치한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오염물질 제거가 일어나기 보다는 중심부의 외곽에 위치한 대나무 섬유로 구성된 돌출부에 의해 오염물질이 제거되며, 이에 따라 중심부 대비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외곽부는 세척시 오염물질의 탈착 또한 용이하게 일어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동상 여재의 경우, 물속에 잠긴 상태에서 대나무 섬유로 구성된 돌출부가 풀어지기 때문에, 부착된 부유물질이 더욱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 및 종래 기술의 수처리용 여재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에 대하여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에 나타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는 폴리프로필렌과 대나무 섬유로 구성되며, 폴리프로필렌과 대나무 섬유는 중앙의 코어(10)에 위치하고 있고, 이중 대나무 섬유는 중앙의 외곽부분에 돌출된 형태로 구성된다. 비점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는 수처리 여재는 물 보다 비중이 낮아 물속에서 부유가 가능해야 일정 수준의 유동성을 가지면서 실질적인 여과부피가 증대될 수 있으며, 특히 세척시 물속에서 확대가 용이해야 부착된 오염물질의 탈착이 쉬워진다. 이러한 이유로, 수처리용 여재는 일반적으로 무게가 가벼우면서, 비중이 낮고, 상기와 같이 경량화가 가능한 조건에서 재사용 기한을 연장하기 위한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에서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는 것은 고분자 소재 중 0.9 내지 0.92의 상당히 낮은 비중에 속하여, 물속에서 부유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면서, 인장강도, 굽힘강도, 강성 등 기계적 특징이 우수하여, 수처리용 여재로 적합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수처리용 여재에 사용된 대나무 섬유 역시, 비중이 0.8로 폴리프로필렌보다 더 낮은 비중이 가지고 있으며, 대나무 섬유 중심부에 있는 가늘고 긴 공동과 표면에 있는 홈에 의해 오염물질의 부착 제거에 상당히 유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처리용 여재에 이용된 대나무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대비 상대적으로 110℃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도 열적 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폴리프로필렌과 함께 이용시, 폴리프로필렌을 가열 성형하면서, 대나무 섬유는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조할 수 있어, 여재 성형에 상당히 유리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는 도 1에서와 같이, 코어(10) 부분에 폴리프로필렌과 대나무 섬유가 함께 위치하면서, 돌출부의 형상을 가지는 셸(20)에 대나무 섬유가 위치하여, 수 중 오염물질의 처리시, 돌출부의 형상을 가지는 셸(20)에서 우선적으로 오염물질의 제거가 일어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낮은 비중에서 물속에서 부유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돌출부를 구성하고 있는 대나무 섬유가 풀어져서 실질적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부피가 확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와 종래 기술의 수처리용 여재를 비교한 사진으로, 종래 기술의 수처리용 여재는 도 2에서처럼 돌출부가 없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는 코어(10)와 쉘로 구분되어, 외곽에 돌출부분을 구비함으로써 물속에서 부피가 확장될 수 있고, 탈착시의 용이성을 확보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에서 폴리프로필렌은 50 내지 70중량% 로 구성되며, 50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어 내구 기한이 짧아질 수 있으며, 70중량% 초과하는 경우, 비중이 높아져, 수중 부유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대나무 섬유의 경우, 30 내지 5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0중량% 미만이면, 돌출부의 면적이 작아져 오염물질의 부착 및 세척시 탈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대로, 대나무 섬유의 함량이 50중량% 초과하는 경우, 전체 함유량 중 대나무 섬유의 함유량이 높아져,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어 내구 연한이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는 폴리프로필렌 원사(30)를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스트레치하는 1단계 ; 상기 1단계를 거쳐 스트레치된 폴리프로필렌 원사(30)를 대나무 원사(40)와 함께 감아서 세로로 한 줄을 만드는 2단계 ; 상기 폴리프로필렌 및 대나무 섬유로 함께 만들어진 줄을 묶는 3단계 ; 상기 3단계의 묶은 부위를 중심으로 커팅하는 4단계 ; 상기 4단계의 커팅된 개별 묶음을 가열하는 5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의 1단계에서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원사(30)를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스트레치를 하는 것은 가열을 통해 폴리프로필렌을 팽팽하게 늘이는 것이며, 이후 온도가 상온으로 다시 낮아질 경우, 100℃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팽팽하게 당겨졌던 폴리프로필렌은 원래 상태로 돌아갈려는 특성 때문에 결과적으로 구불구불하게 굽어지는 형상이 된다. 따라서, 선형의 형태로 폴리프로필렌이 존재하지 않고, 구불구불한 형태로 폴리프로필렌이 존재하고 있어 폴리프로필렌 사이의 공극이 최대화될 수 있어, 수중 오염물질은 제거하면서, 물의 투과량은 증진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1단계의 가열은 120℃ 내지 150℃의 열판에 의해 이루어지고, 스트레치는 180 내지 3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온도가 120℃ 미만일 경우, 폴리프로필렌의 스트레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스트레치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되며, 150℃ 초과일 경우, 폴리프로필렌의 기계적 특성에 변형이 생기고,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의 스트레치가 180% 미만일 경우, 폴리프로필렌이 선상에서 구불구불하게 변형되어 형성되는 공극량이 부족하게 되고, 상기 변형의 유지기간이 짧아지게 되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의 스트레치가 320% 초과일 경우, 형성되는 공극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져, 수처리용 여재의 부피가 커지고, 미처리된 오염물질의 양이 많아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의 제조방법에서는 1단계의 스트레치 이후, 스트레치된 폴리프로필렌을 대나무 섬유와 함께 한 줄로 만드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여기에서 폴리프로필렌과 대나무 원사(40)가 함께 만들어지는 줄의 두께는 6500 내지 7000 데니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에서 6500 데니아 이하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아지고, 전체적인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7000 데니아 이상일 경우, 반대로 수처리용 여재의 크기가 커지고, 여재간 공극이 커질 수 있어 미처리된 오염물질이 유출될 가능성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2단계를 거친 폴리프로필렌 및 대나무 섬유가 함께 만들어진 줄은 3단계에서 일정한 길이별로 구분되어,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 짧은 줄로 묶어진다. 즉, 폴리프로필렌 및 대나무 섬유로 함께 만들어진 줄을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 짧은 줄로 묶어서 구획이 이루어지며, 이후 4단계에서는 상기 3단계의 묶은 부위를 중심으로 커팅이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상기의 커팅은 묶은 부위를 기준으로 좌우 10 내지 20mm에서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 커팅된 길이는 20 내지 40mm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커팅길이는 이후 5단계에서의 열처리 이후 만들어지는 여재의 크기와 코어(10) 및 셸(20) 부위의 크기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상기의 20mm보다 작아질 경우, 여재 및 셸(20)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아져, 수중 오염물질의 제거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여과시 압력손실이 커져 플럭스가 감소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대로, 커팅시의 길이가 40mm보다 커질 경우, 여재의 크기가 커지고, 셸(20)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져 수중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이 낮아지며, 탈착시간이 길어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에서 상기의 4단계를 거친 이후, 커팅된 묶음은 가열되며, 이때, 회전원형통에서 100℃ 내지 130℃의 온도로 가열이 이루어진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 원사(30)를 초당 1 미터의 속도로 이동하면서 120℃ 내지 150℃의 열판에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사(30)를 통과시켜서 스트레치를 실시하였으며, 300% 스트레치로 이루어졌다.
상기 열처리를 통해 스트레치된 폴리프로필렌 원사(30)와 BAMBOO사 30/1제품의 대나무 원사(40)를 여러겹으로 겹쳐서 7000 데니아가 되도록 1줄을 만들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사(30)와 대나무 원사(40)로 겹쳐서 만든 줄을 폴리프로필렌로 만든 짧은 줄로 중간 중간을 묶어서 구획하였다. 상기와 같이 폴리프로필렌로 만든 짧은 줄로 묶어서 구획된 묶음을 기준으로, 좌우 20mm 길이로 커팅하여, 총 길이 40mm의 묶음을 회전원통에 넣었다. 상기 회전원통을 온도 118℃로 30분간 가열하여 폴리프로필렌 원사(30)가 열에 의해 응축되면서 코어(10)가 구성되고, 상기 온도에서 응축되지 않는 대나무 원사(40)는 셸(20)의 형태로 구성된 수처리용 여재가 제조되었다.
실시예 2
상기의 실시예 1로 만들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를 우수 유입구와 정수 유출구를 가진 챔버에 설치하였으며, 상기 30cm × 30cm ×30cm 크기의 챔버내 여재는 폴리프로필렌 70중량%, 대나무 원사(40) 30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유입된 우수 중 부유물질의 평균농도는 533.8mg/L 이며, 유량 1.8 ㎥/hr에서 160분 동안 유입이 이루어졌다.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수처리용 여재에 의해 정화된 유출수 중 부유물질의 평균농도는 55.6mg/L로 평균 제거율 89.6% 로 나타났으며, 손실수두는 9.8cm로 나타났다.
구 분 20분 40분 60분 80분 100분 120분 140분 160분 평균
유입농도
(mg/L)
570 525 490 515 585 485 550 550 533.8
유출농도
(mg/L)
55 25 35 50 55 45 60 50 55.6
제거효율
(%)
90.4 95.2 92.9 90.3 90.6 90.7 90.7 90.9 91.5
손실수두
(cm)
0 1.0 2.0 4.0 5.0 6.0 8.5 9.8 -
실시예 3
상기의 실시예2 에서 실시예1에 의해 만들어진 수처리용 여재가 설치된 30cm × 30cm × 30cm 크기의 챔버내로 부유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우수를 1.8㎥/hr 유량으로 160분 동안 유입시킨 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역세척을 실시하였다. 공기공급량을 50L/min, 교반장치100rpm을 2분간 작동시킨 다음 정체수를 배출시킨 후 부유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여과수 0.144㎥를 수처리용 여재가 설치된 챔버내로 유입시켜서 다시 한번 상기와 같이 공기공급량을 50L/min, 교반장치100rpm을 2분간 작동시켜 세척이 완료된 후 역세수를 배출시키고 부유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시험수를 동일한 유량 및 시간으로 유입시켜 여재의 손실수두 회복능력을 측정한 결과 0.2cm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2 및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으로 실험이 실시되었으며, 상기 실시예 2와 실시예 3과는 달리 비교예 1에서는 폴리프로필렌으로만 구성된 제품이 이용되었으며, 여재의 손실수두 회복능력을 측정한 결과 2.5cm였다.
구 분 20분 40분 60분 80분 100분 120분 140분 160분 평균
유입농도
(mg/L)
570 525 490 515 585 485 550 550 533.8
유출농도
(mg/L)
88 85 90 86 109 95 95 105 94.1
제거효율
(%)
84.6 83.82 81.6 83.3 81.4 80.4 82.7 80.9 82.4
손실수두
(cm)
0 0.9 1.7 3.2 4.3 5.0 6.5 7.8 -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의 상기 실시예 3과 비교예 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와 폴리프로필렌으로만 구성되고 돌출부를 구성하지 않은 유동상 여재의 세척 효율을 비교할 경우, 동일한 시간대에서 32% 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는 상기 실시예 3의 세척시간을 거친 후, 손실수두가 0.2cm 를 나타낸 반면, 폴리프로필렌으로만 구성되고, 돌출부를 가지지 않은 제품의 경우 손실수두는 2.5cm를 나타내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및 대나무 원사(40)로 구성되면서 돌출부를 가진 여재는 그렇지 않은 여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세척효율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 : 코어 20 : 셸
30 : 폴리프로필렌 원사 40 : 대나무 원사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스트레치하는 1단계 ;
    상기 1단계를 거쳐 스트레치된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대나무 원사와 함께 감아서 세로로 한 줄을 만드는 2단계 ;
    상기 폴리프로필렌 및 대나무 섬유로 함께 만들어진 줄을 묶는 3단계 ;
    상기 3단계의 묶은 부위를 중심으로 커팅하는 4단계 ; 및
    상기 4단계의 커팅된 개별 묶음을 가열하는 5단계를 포함하는 유동상 여재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1단계의 가열은 120℃ 내지 150℃의 열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상 여재 제조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1단계의 스트레치는 180 내지 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상 여재 제조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폴리프로필렌과 대나무 원사가 함께 감아서 만들어지는 한 줄은 6500 내지 7000 데니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상 여재 제조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4단계의 가열은 회전원형통에 100℃ 내지 130℃의 온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상 여재 제조방법.
KR1020170133406A 2017-10-13 2017-10-13 수처리용 여재 KR101850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406A KR101850656B1 (ko) 2017-10-13 2017-10-13 수처리용 여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406A KR101850656B1 (ko) 2017-10-13 2017-10-13 수처리용 여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656B1 true KR101850656B1 (ko) 2018-04-19

Family

ID=6208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406A KR101850656B1 (ko) 2017-10-13 2017-10-13 수처리용 여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6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150A (ko) * 2020-05-26 2021-12-03 도림이엔지 주식회사 유효공극 가변형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오염수 처리용 필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7730A (ja) * 2002-11-18 2004-06-17 Yasujima:Kk 竹繊維の加工方法
KR101429216B1 (ko) * 2014-05-28 2014-08-12 주식회사 동명 방사형 섬유사를 가진 부상성 섬유 여재 및 이를 이용한 상향류식 고속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7730A (ja) * 2002-11-18 2004-06-17 Yasujima:Kk 竹繊維の加工方法
KR101429216B1 (ko) * 2014-05-28 2014-08-12 주식회사 동명 방사형 섬유사를 가진 부상성 섬유 여재 및 이를 이용한 상향류식 고속여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150A (ko) * 2020-05-26 2021-12-03 도림이엔지 주식회사 유효공극 가변형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오염수 처리용 필터장치
KR102377990B1 (ko) * 2020-05-26 2022-03-24 도림이엔지 주식회사 유효공극 가변형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오염수 처리용 필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0871B2 (ja) 中空糸型逆浸透膜
US7735660B2 (en) Porous multilayered hollow fiber and filtration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orous multilayered hollow fiber
JP2000237548A (ja) 中空糸膜式蓄熱槽水浄化装置
JP2014231059A (ja) 浸漬濾過用中空糸膜、これを用いた浸漬濾過用中空糸膜モジュール、浸漬濾過装置、及び浸漬濾過方法
CN103663776B (zh) 一种造纸白水的循环处理方法和处理装置
KR101850656B1 (ko) 수처리용 여재
JP2008055282A (ja) ろ過システム
CN206345699U (zh) 一种具有长效反冲洗功能的多级复合超微滤膜滤芯
CN203513392U (zh) 一种造纸白水的循环处理装置
KR100458563B1 (ko) 여과장치용 구형 여재
KR102069531B1 (ko)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JP4437527B2 (ja) 膜ろ過モジュール
JP2008289959A (ja) 膜ろ過システム
CN201046933Y (zh) 矿井污水深度处理回用装置
CN210993153U (zh) 一种清洁过滤装置
KR101877142B1 (ko) 이온교환섬유를 이용한 하수의 필터링 방법
JP4649791B2 (ja) 濾過装置
CN103394239B (zh) 改性彗星纤维滤料的制备方法
JP2008289958A (ja) 膜ろ過システム
JP2006130496A (ja) 水処理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11056340A (ja) 膜ろ過システム
JP2008259995A (ja) 洗浄方法及びろ過装置
CN108423892A (zh) 组合式陶瓷膜及其组件和超滤装置
JP2000033210A (ja) 発電所復水濾過装置の運用方法
KR20140147330A (ko) 경사나선식 섬유여재 고정판 및 이를 이용하는 섬유여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