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608B1 -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608B1
KR101850608B1 KR1020160094209A KR20160094209A KR101850608B1 KR 101850608 B1 KR101850608 B1 KR 101850608B1 KR 1020160094209 A KR1020160094209 A KR 1020160094209A KR 20160094209 A KR20160094209 A KR 20160094209A KR 101850608 B1 KR101850608 B1 KR 101850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plate
inclined surface
fixing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1612A (ko
Inventor
최성규
이태식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주)에트마
경원스프링주식회사
이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트마, 경원스프링주식회사, 이수원 filed Critical (주)에트마
Priority to KR1020160094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6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11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 저면이 교량의 일측에 배치된 제1상판 상부에 안착 배치되며, 일단 상면에는 제1상판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홈이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고, 교량의 타측에 배치된 제2상판에 대향되는 타단 면부에는 제1상판의 폭방향으로 경사지게 제1경사면이 형성된 이동판, 이동판에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일단 저면이 제2상판 상부에 고정 결합 설치된 상태로 타단 저면은 제1상판 상면에 안착 배치되며, 타단 상면에는 제1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체결홈이 형성되고, 이동판에 대향되는 타단 면부에는 제1경사면에 대칭상태로 밀착 배치되도록 제2상판의 폭방향으로 경사지게 제2경사면이 형성된 고정판, 제1체결홈을 통해 제1상판에 체결되면서, 이동판의 일단을 제1상판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제1상판에 결합되게 하는 제1고정부재, 제2체결홈을 통해 제1상판에 체결되면서, 고정판의 타단을 제1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1상판에 결합되게 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Extensable connecting device for contraction of abridge}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과 상판이 연결되는 부분에 상판의 팽창을 고려하여 구비하는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을 구축시에는 다수개의 교각 위에 각각 별도의 상판을 올리고, 이 각각의 상판을 서로 연결하여 도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판은 주위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하거나 수축하게 됨으로써, 파손의 염려가 발생하고, 상판과 상판 사이가 이격되는 경우에는 차량의 주행에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판과 상판 사이에 핑거조인트와 같은 신축 이음장치를 연결 설치한다.
그러나, 종래의 핑거조인트는, 상판과 상판 사이가 최대거리로 이격되는 경우, 핑거플레이트의 핑거 부분 사이에 틈이 발생함으로 인해 주행하는 차량에 충격을 주고 이로 인해 소음발생이 심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8314호(2004.07.29)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상판과 상판 사이가 최대거리로 이격되더라도 주행하는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발생도 억제시키는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단 저면이 교량의 일측에 배치된 제1상판 상부에 안착 배치되며, 일단 상면에는 상기 제1상판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홈이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교량의 타측에 배치된 제2상판에 대향되는 타단 면부에는 상기 제1상판의 폭방향으로 경사지게 제1경사면이 형성된 이동판, 상기 이동판에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일단 저면이 상기 제2상판 상부에 고정 결합 설치된 상태로 타단 저면은 상기 제1상판 상면에 안착 배치되며, 타단 상면에는 상기 제1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에 대향되는 타단 면부에는 상기 제1경사면에 대칭상태로 밀착 배치되도록 상기 제2상판의 폭방향으로 경사지게 제2경사면이 형성된 고정판, 상기 제1체결홈을 통해 상기 제1상판에 체결되면서, 상기 이동판의 일단을 상기 제1상판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1상판에 결합되게 하는 제1고정부재, 상기 제2체결홈을 통해 상기 제1상판에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판의 타단을 상기 제1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상판에 결합되게 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에는 상기 이동판과 상기 고정판을 상호 걸림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는, 제1상판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홈을 통해 제1고정부재가 제1상판에 체결되면서 이동판을 제1상판에 설치한다. 그리고, 이동판의 제1경사면에 고정판의 제2경사면을 마주보는 상태로 맞닿도록 밀착 배치한 상태에서 제1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체결홈을 통해 제2고정부재가 제1상판에 연결된 상태로 제2상판에 고정 상태로 결합 설치한 바, 교량의 제1상판 및 제2상판의 수축 및 팽창에 따라 이동판과 고정판이 맞닿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바, 제1상판과 제2상판 사이의 틈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발생도 억제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의 설치상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의 교량 제1상판 및 제2상판 수축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의 설치상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는, 이동판(100), 고정판(200), 제1고정부재(300), 제2고정부재(400)를 구비한 상태로 교량의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일측의 제1상판(10) 및 제2상판(20)을 연결하도록 제1상판(10) 및 제2상판(20)에 설치한다.
상기 이동판(100)은 상기 제1상판(10) 상부에 결합 설치하는 판 부재이다. 즉, 상기 이동판(100)의 일단 저면은 상기 제1상판(10) 상부에 안착 배치된 상태로 이후 설명될 제1고정부재(300)에 의해 상기 제1상판(10)에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판(100)은 제1고정부재(300)에 의해 상기 제1상판(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상판(10)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이동판(100)의 일단 상면에는 제1고정부재(300)를 삽입한 상태로 상기 제1상판(10)에 체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제1체결홈(110)이 관통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제1체결홈(110)은 상기 제1상판(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체결홈(110)의 연장된 길이만큼 상기 이동판(10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홈(110)의 상기 제1상판(10)의 길이방향으로의 연장길이는 상기 제1체결홈(110)에 삽입 배치되는 제1고정부재(300)의 축 부분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동판(100)이 상기 제1상판(10)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홈(110)에는 제1고정부재(300)의 헤드 하단부분을 걸림되게 하도록 안착턱부(110a)가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이동판(100)에는 상기 제1체결홈(110)에 제1고정부재(300)를 삽입 체결한 후, 상기 제1체결홈(110)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이동판(100) 상면에 결합되는 캡부재(도면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100)의 제2상판(20)에 대향되는 타단 면부, 보다 상세하게는 이후 설명될 고정판(200)의 제2경사면(220)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상기 제1상판(10)의 폭방향으로 경사지게 제1경사면(12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경사면(120)은 고정판(200)의 제2경사면(220)과 맞닿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상판(10) 및 상기 제2상판(20)의 길이변화시, 상기 이동판(100)이 상기 고정판(200)과 밀착된 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한다.
또한, 상기 이동판(100)의 제1경사면(120)에는 고정판(200)과 걸림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걸림부(13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이동판(100)의 걸림부(130)는 이후 설명될 고정판(200)의 걸림부(240)와 대응되게 걸림 결합됨으로써, 상기 이동판(100)의 제1경사면(120)과 고정판(200)의 제2경사면(220)을 밀착상태로 연결 유지하면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게 가이드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이동판(100)의 걸림부(130)는 걸림홈(132)이 형성된 걸림턱(131)을 상기 제1경사면(120)의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고정판(200)은 상기 제1상판(10)과 상기 제2상판(20)을 연결되도록 결합 설치하며, 상기 이동판(100)에 마주보는 면부는 상기 이동판(100)에 맞닿도록 배치하는 판 부재이다. 즉, 상기 고정판(200)은 상기 이동판(100)에 대향되게 배치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판(200)의 일단 저면은 상기 제2상판(20) 상면에 안착상태로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200)의 타단 저면은 상기 제1상판(10) 상면에 안착상태로 이후 설명될 제2고정부재(400)에 의해 상기 제1상판(10)에 상기 제1상판(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결합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판(200)의 타단 상면에는 제2고정부재(400)를 삽입한 상태로 상기 제1상판(10)에 연결상태로 체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체결홈(210)이 관통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제2체결홈(210)은 상기 제1상판(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체결홈(210)의 연장된 길이만큼 상기 고정판(200)이 상기 제1상판(10) 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체결홈(210)의 상기 제1상판(10)의 폭방향으로의 연장길이는 상기 제2체결홈(210)에 삽입 배치되는 제2고정부재(400)의 축 부분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판(200)이 상기 제1상판(10)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한다. 이같이, 상기 제2체결홈(210)은 상기 제1상판(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 상기 제1상판(10) 및 상기 제2상판(20)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른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고정판(200)이 상기 제1상판(10)과 상기 제2상판(20)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2상판(20)의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왕복 이동될 수 있게 가이드한다. 여기서, 상기 제2체결홈(210)에는 제2고정부재(400)의 헤드 하단부분을 걸림되게 하도록 안착턱부(210a)가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고정판(200)에는 상기 제2체결홈(210)에 제2고정부재(400)를 삽입 체결한 후, 상기 제2체결홈(210)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고정판(200) 상면에 결합되는 캡부재(도면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200)의 일단 상면에는 제3고정부재(500)로 상기 제2상판(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3체결홈(230)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고정부재(500)는 상기 제3체결홈(230)에 삽입상태로 상기 제2상판(20)에 결합 체결되는 볼트부재만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볼트부재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추가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제3체결홈(230)의 직경은 상기 제3고정부재(500)의 축 부분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3고정부재(500)에 의해 상기 제2상판(20) 상에 상기 고정판(200)의 일단을 결합시킬 경우, 움직임이 없는 고정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3체결홈(230)에는 제3고정부재(500)의 헤드 하단부분을 걸림되게 하도록 안착턱부(230a)가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고정판(200)에는 상기 제3체결홈(230)에 제3고정부재(500)를 삽입 체결한 후, 상기 제3체결홈(230)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고정판(200) 상면에 결합되는 캡부재(도면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같이,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판(200)의 일단을 상기 제3고정부재(500)로 상기 제2상판(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2상판(20)에 용접 결합 또는 일체상태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상기 고정판(200)의 제1상판(10)에 대향되는 타단 면부, 보다 상세하게는 앞서 설명한 상기 이동판(100)의 제1경사면(120)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상기 제1경사면(120)에 대칭되도록 상기 제2상판(20)의 폭방향으로 경사지게 제2경사면(22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경사면(220)은 상기 이동판(100)의 제1경사면(120)과 맞닿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상판(10) 및 상기 제2상판(20)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른 길이 변화시, 상기 이동판(100)이 상기 고정판(200)과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200)의 제2경사면(220)에는 상기 이동판(100)과 걸림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걸림부(240)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판(200)의 걸림부(230)는 앞서 설명한 상기 이동판(100)의 걸림부(130)와 대응되게 걸림 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판(200)의 제2경사면(220)과 상기 이동판(100)의 제1경사면(120)을 밀착상태로 연결 유지하면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게 가이드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판(200)의 걸림부(240)는 걸림홈(242)이 형성된 걸림턱(241)을 상기 제2경사면(220)의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판(200)의 걸림홈(242)은 상기 이동판(100)의 걸림턱(131)에 대응되게 결합하고, 상기 고정판(200)의 걸림턱(242)은 상기 이동판(100)의 걸림홈(132)에 대응되게 결합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상기 이동판(100)을 상기 제1상판(10)에 결합되게 하는 부재이다. 즉,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상기 이동판(100)의 일단을 상기 제1상판(10)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1상판(10)에 체결 설치되도록 상기 제1체결홈(110)을 통해 삽입되면서 상기 제1상판(1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상기 제1체결홈(110)에 삽입상태로 상기 제1상판(10)에 결합 체결되는 볼트부재만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볼트부재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추가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상기 고정판(200)을 상기 제1상판(10)에 결합되게 하는 부재이다. 즉,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상기 고정판(200)의 타단을 상기 제1상판(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1상판(10)에 체결 설치되도록 상기 제2체결홈(210)을 통해 삽입되면서 상기 제1상판(1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상기 제2체결홈(210)에 삽입상태로 상기 제1상판(10)에 결합 체결되는 볼트부재만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볼트부재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추가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의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량의 제1상판(10) 및 제2상판(20)이 최대 길이로 팽창했을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상기 이동판(100)과 상기 고정판(200)의 상호 맞닿은 제1경사면(120)과 제2경사면(220)을 통해 밀림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판(200)이 상기 제1상판(10) 방향으로 밀림되면서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상기 제2체결홈(210)의 일측(211)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100)은 상기 제2상판(10) 방향으로 밀림되면서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상기 제1체결홈(110)의 일측(111) 위치에 배치된다.
이후, 상기 교량의 제1상판(10) 및 제2상판(20)이 수축했을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상기 이동판(100)과 상기 고정판(200)의 상호 맞닿은 제1경사면(120)과 제2경사면(220)을 통해 당김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이동판(100)은 상기 고정판(200)의 제2경사면(220)을 따라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판(200)이 상기 제2상판(20)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상기 제2체결홈(210)의 일측(211)에서 타측(212) 위치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100)은 상기 제1상판(10)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상기 제1체결홈(110)의 일측(111)에서 타측(112) 위치로 배치된다.
이후, 다시 교량의 제1상판(10) 및 제2상판(20)이 팽창할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판(100)은 상기 고정판(200)의 제2경사면(220)을 따라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교량의 제1상판(10) 및 제2상판(20)의 수축이나 팽창에 상관없이 상기 이동판(100)과 상기 고정판(200)의 상호 대향되는 제1경사면(120) 및 제2경사면(220)은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교량을 통해 주행하는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발생도 억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는, 상기 제1상판(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홈(110)을 통해 상기 제1고정부재(300)가 상기 제1상판(10)에 체결되면서 상기 이동판(100)을 상기 제1상판(10)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100)의 제1경사면(120)에 상기 고정판(200)의 제2경사면(220)을 마주보는 상태로 맞닿도록 밀착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상판(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체결홈(210)을 통해 상기 제2고정부재(400)가 상기 제1상판(10)에 연결상태로 상기 제2상판(20)에 고정 상태로 결합 설치한 바, 상기 교량의 제1상판(10) 및 제2상판(20)의 수축 및 팽창에 따라 상기 이동판(100)과 상기 고정판(200)이 맞닿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바, 상기 제1상판(10)과 상기 제2상판(20) 사이의 틈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발생도 억제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이동판 110: 제1체결홈
120: 제1경사면 130,240: 걸림부
131,241: 걸림턱 132,242: 걸림홈
200: 고정판 210: 제2체결홈
220: 제2경사면 230: 제3체결홈
300: 제1고정부재 400: 제2고정부재
500: 제3고정부재

Claims (3)

  1. 일단 저면이 교량의 일측에 배치된 제1상판 상부에 안착 배치되며, 일단 상면에는 상기 제1상판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홈이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교량의 타측에 배치된 제2상판에 대향되는 타단 면부에는 상기 제1상판의 폭방향으로 경사지게 제1경사면이 형성된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에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일단 저면이 상기 제2상판 상부에 고정 결합 설치된 상태로 타단 저면은 상기 제1상판 상면에 안착 배치되며, 타단 상면에는 상기 제1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에 대향되는 타단 면부에는 상기 제1경사면에 대칭상태로 밀착 배치되도록 상기 제2상판의 폭방향으로 경사지게 제2경사면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제1체결홈을 통해 상기 제1상판에 체결되면서, 상기 이동판의 일단을 상기 제1상판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1상판에 결합되게 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2체결홈을 통해 상기 제1상판에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판의 타단을 상기 제1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상판에 결합되게 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교량의 제1상판 및 제2상판이 최대 길이로 팽창하면서 상호 맞닿은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으로 밀림힘이 작용시, 상기 고정판이 제1상판 방향으로 밀림되면서 상기 제2고정부재는 제1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체결홈의 타측에서 일측 위치에 이동 배치되고, 상기 이동판은 제2상판 방향으로 밀림되면서 제1고정부재는 제1상판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홈의 타측에서 일측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교량의 제1상판 및 제2상판이 수축하면서 상호 맞닿은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을 통해 당김힘이 작용시, 상기 고정판이 제2상판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제2고정부재는 제1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체결홈의 일측에서 타측 위치에 이동 배치되고, 상기 이동판은 제1상판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제1고정부재는 제1상판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홈의 일측에서 타측 위치로 배치되면서, 상기 교량의 제1상판 및 제2상판의 수축이나 팽창에 상관없이 상기 이동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호 대향되는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은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에는 상기 이동판과 상기 고정판을 상호 걸림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된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
KR1020160094209A 2016-07-25 2016-07-25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 KR101850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09A KR101850608B1 (ko) 2016-07-25 2016-07-25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09A KR101850608B1 (ko) 2016-07-25 2016-07-25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612A KR20180011612A (ko) 2018-02-02
KR101850608B1 true KR101850608B1 (ko) 2018-04-19

Family

ID=6122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209A KR101850608B1 (ko) 2016-07-25 2016-07-25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6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177B1 (ko) * 2010-04-22 2010-10-07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보도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177B1 (ko) * 2010-04-22 2010-10-07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보도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612A (ko) 201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885B1 (ko) 충격 및 신축 완충 결합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완충형 스카이워크
US10617208B2 (en) Slide rail assembly
WO2014103146A1 (ja) 運動案内装置
US10544555B1 (en) Roadway barrier apparatus
US20150270665A1 (en) Slide rail assembly
CA2659906A1 (en) Wedge drive with positive-action return device
US20140367539A1 (en) Clip
KR101850608B1 (ko) 교량구조물용 신축 이음장치
CN107956771A (zh) 具有浮动支承件的夹子
KR102220374B1 (ko) 유간협착시 노면돌출방지 및 자동으로 유간이 보정되는 신축이음장치
KR101467197B1 (ko) 유동형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물 시공방법
JP2017040040A (ja) ポストスライド装置
CN105735119B (zh) 一种稳定性高的桥梁伸缩缝覆盖组件
KR101538959B1 (ko) 방수씰 기능이 개선된 신축이음장치
EP3514399B1 (en) Motion guidance device
KR20130073983A (ko)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JP2014151465A (ja) 成形用金型
KR101759666B1 (ko)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
KR101821185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분리형 스페리칼 베어링 받침
KR200374453Y1 (ko) 슬라이딩 장치
KR200275867Y1 (ko) 방호벽용 신축이음장치
KR101865828B1 (ko) 슬라이딩구조체를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
KR101774438B1 (ko) 교량의 이동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가이드 핑거를 갖는 핑거 조인트
CN105839528B (zh) 一种具有减振功能的桥梁伸缩缝覆盖装置
CN105735121B (zh) 一种用于桥梁伸缩缝的覆盖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