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446B1 - 전선 접속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선 접속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446B1
KR101850446B1 KR1020170003782A KR20170003782A KR101850446B1 KR 101850446 B1 KR101850446 B1 KR 101850446B1 KR 1020170003782 A KR1020170003782 A KR 1020170003782A KR 20170003782 A KR20170003782 A KR 20170003782A KR 101850446 B1 KR101850446 B1 KR 101850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reventing member
release preventing
terminal
conn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종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70003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선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선 접속용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 접속홀부가 구비되는 하우징와, 단자 접속홀부에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 터미널부와, 와이어 터미널부가 단자 접속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 및 이탈방지부재를 하우징에 고정하고, 와이어 터미널부와 단자 접속홀부의 결합상태를 검지하는 검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 접속용 커넥터{WIRE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전선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 터미널부의 접속불량을 방지하여 자동차의 오작동 및 안전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전선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탄소 에너지가 점차 고갈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국, 유럽, 일본, 한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에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의 경우에는 일반차량에 비해 고전압/고전류를 사용하게 되므로, 차량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량 내부의 부품에 안정적으로 공급 및 분배하기 위한 전기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자제어를 위하여 많은 부품들이 모듈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사용전류나 전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커넥터가 연결된 전선이나 통신선들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커넥터(CONNECTOR)는 자동차의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자동차의 부품에 장착되었을 때 전기적인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여러 가지 안전검사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통상의 커넥터는 상호 탈착되는 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을 구비하며, 상호 결합된 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이 고정부재의 결합을 통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 제20-0264075호(등록일:2002년01월30일, 명칭: 자동차용 커넥터 조립구조)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에 결합되는 와이어 터미널의 접속불량을 방지하여 자동차의 오작동 및 안전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전선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접속용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 접속홀부가 구비되는 하우징와, 상기 단자 접속홀부에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 터미널부와, 상기 와이어 터미널부가 상기 단자 접속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이탈방지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 터미널부와 상기 단자 접속홀부의 결합상태를 검지하는 검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단자 접속홀부와 연통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지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양단을 결속시키는 제1차락부 및 상기 하우징에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중앙을 결속시키는 제2차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차락부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걸림부 및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부에 결속되는 제1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후크부는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제1후크부가 슬라이드 삽입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후크부와 결속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차락부는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2걸림부 및 상기 제2걸림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2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접속용 커넥터는 하우징과 이탈방지부재의 결합에 의해 와이어 터미널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에 와이어 터미널부가 덜 삽입되었을 경우, 이탈방지부재가 결합되지 않으므로 와이어 터미널부의 덜 삽입 검증력을 향상시켜 자동차의 오작동 및 안전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용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용 커넥터의 이탈방지부재 결합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접속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용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용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용 커넥터의 이탈방지부재 결합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용 커넥터(100)는 하우징(110), 와이어 터미널부(120), 이탈방지부재(130) 및 검지고정부(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와이어 터미널부(120)가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단자 접속홀부(112)가 구비된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블럭 형태로 형성된다.
와이어 터미널부(120)는 단자 접속홀부(112)에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이러한 와이어 터미널부(120)는 터미널과 전선으로 형성되며, 터미널은 하우징(110)의 단자 접속홀부(112)에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 등을 통하게 해주는 역할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터미널에는 후술되는 이탈방지부재(130)와 대응되도록 단턱부(122)가 형성된다.
이탈방지부재(130)는 와이어 터미널부(120)가 단자 접속홀부(1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하우징(110)에는 단자 접속홀부(112)와 연통되고, 이탈방지부재(130)가 안착되는 안착홈부(115)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재(130)는 하우징(110)의 단자 접속홀부(112)와 대응되는 연통홀(132)이 형성된다.
검지고정부(140)는 이탈방지부재(130)를 하우징(110)에 고정하고, 와이어 터미널부(120)와 단자 접속홀부(112)의 결합상태를 검지한다. 이러한 검지고정부(140)는 하우징(110)에 이탈방지부재(130)의 양단을 결속시키는 제1차락부(150) 및 하우징(110)에 이탈방지부재(130)의 중앙을 결속시키는 제2차락부(160)를 포함한다.
제1차락부(150)는 하우징(1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걸림부(152) 및 이탈방지부재(130)의 양단에 형성되어 제1걸림부(152)에 결속되는 제1후크부(155)를 포함한다. 제1후크부(155)는 이탈방지부재(130)의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걸림부(152)는 제1후크부(155)가 슬라이드 삽입되는 가이드홈(153) 및 가이드홈(153)의 단부에 형성되어 제1후크부(155)와 결속되는 걸림턱(154)을 포함한다. 걸림턱(154)은 2단으로 형성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재(130)는 전면에서 볼 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후크부(155)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누르는 하중에 의해 제1후크부(155)의 단부와 걸림턱(154)은 상호 결속된다.
그리고, 가이드홈(153)과 제1후크부(155)의 단면형상은 쇄기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가이드홈(153)의 폭은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고, 제1후크부(155)는 이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제1후크부(155)가 외부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차락부(160)는 하우징(1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2걸림부(162) 및 제2걸림부(162)에 결합되도록 이탈방지부재(13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2후크부(165)를 포함한다.
제2후크부(165)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제2걸림부(162) 또한, 제2후크부(165)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탈방지부재(130)의 양단을 하부로 가압하면, 제1차락부(150)가 결속되고, 이탈방지부재(130)의 중앙부를 가압하면 제2차락부(160)가 결속된다. 이때, 와이어 터미널부(120)의 덜삽입이 발생할 경우에는 제1차락부(150)와 제2차락부(160)가 체결되지 않으므로 이를 검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용 커넥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안착홈부(115)에 이탈방지부재(130)를 안착시킨다. 안착홈부(115)에 안착된 이탈방지부재(130)의 연통홀(132)은 하우징(110)의 단자 접속홀부(112)와 연통된다.
이때, 이탈방지부재(130)는 안착홈부(115)에 안착된 상태이며, 제1차락부(150)의 제1후크부(155)는 걸림턱(154)의 첫번째단에 결속되고, 제2차락부(160)는 체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후, 하우징(110)의 단자 접속홀부(112)에 와이어 터미널부(120)를 삽입한다. 와이어 터미널부(120)의 터미널은 단자 접속홀부(112)와 연통홀(132)을 통해 전측으로 끼움결합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이탈방지부재(130)의 가장자리를 하부로 가압하여 제1차락부(150)를 결속시키고, 이탈방지부재(130)의 중앙부를 하부로 가압하여 제2차락부(160)를 결속시킨다. 즉, 제1후크부(155)는 걸림턱(154)의 두번째단에 결속되고, 제2후크부(165)는 제2걸림부(162)에 결속된다.
이러한 제1,2차락부(150,160)의 결속에 의해 이탈방지부재(130)는 와이어 터미널부(120)의 단턱부(122)에 수용되고, 이로 인해 와이어 터미널부(120)는 단자 접속홀부(11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차락부(150)의 경우, 제1후크부(155)와 가이드홈(153)이 상호 대응되는 쇄기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후크부(155)의 슬라이드 삽입시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체결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와이어 터미널부(120)의 삽입시 덜삽입이 발생했을 경우 제1차락부(150)와 제2차락부(160)에 의해 이를 검지할 수 있다. 즉, 와이어 터미널부(120)의 단턱부(122)가 정확한 위치에 위치되지 않으므로 제1,2차락부(150,160)가 체결되지 않으므로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이탈방지부재(1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차락부(150)만 구비될 경우, 이탈방지부재(130)의 휨 발생이 가능하여 와이어 터미널부(120)의 덜삽입 상태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는데, 이탈방지부재(13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2차락부(160)에 의해 와이어 터미널부(120)의 덜삽입 검증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용 커넥터에 의하면, 하우징과 이탈방지부재의 결합에 의해 와이어 터미널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하우징에 와이어 터미널부가 덜 삽입되었을 경우, 이탈방지부재가 결합되지 않으므로 와이어 터미널부의 덜 삽입 검증력을 향상시켜 자동차의 오작동 및 안전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전선 접속용 커넥터 110 : 하우징
112 : 단자 접속홀부 115 : 안착홈부
120 : 와이어 터미널부 122 : 단턱부
130 : 이탈방지부재 132 : 연통홀
140 : 검지고정부 150 : 제1차락부
152 : 제1걸림부 153 : 가이드홈
154 : 걸림턱 155 : 제1후크부
160 : 제2차락부 162 : 제2걸림부
165 : 제2후크부

Claims (6)

  1. 복수의 단자 접속홀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단자 접속홀부에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 터미널부; 상기 와이어 터미널부가 상기 단자 접속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이탈방지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 터미널부와 상기 단자 접속홀부의 결합상태를 검지하는 검지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지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양단을 결속시키는 제1차락부; 및 상기 하우징에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중앙을 결속시키는 제2차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차락부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걸림부; 및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부에 결속되는 제1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후크부는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제1후크부가 슬라이드 삽입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후크부와 결속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2차락부는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2걸림부; 및 상기 제2걸림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2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은 2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후크부는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가장자리를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걸림턱의 첫번째단에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단자 접속홀부와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연통홀에 상기 와이어 터미널부를 끼움결합한 후,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가장자리를 재차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제1후크부를 상기 걸림턱의 두번째단에 결속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중앙부를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제2후크부를 상기 제2걸림부에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단자 접속홀부와 연통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용 커넥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03782A 2017-01-10 2017-01-10 전선 접속용 커넥터 KR101850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782A KR101850446B1 (ko) 2017-01-10 2017-01-10 전선 접속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782A KR101850446B1 (ko) 2017-01-10 2017-01-10 전선 접속용 커넥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137A Division KR101909055B1 (ko) 2018-03-16 2018-03-16 전선 접속용 커넥터
KR1020180031138A Division KR101909056B1 (ko) 2018-03-16 2018-03-16 전선 접속용 커넥터
KR1020180031139A Division KR101909057B1 (ko) 2018-03-16 2018-03-16 전선 접속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446B1 true KR101850446B1 (ko) 2018-04-20

Family

ID=6208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782A KR101850446B1 (ko) 2017-01-10 2017-01-10 전선 접속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4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011B1 (ko) * 2018-12-20 2020-02-13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KR102088899B1 (ko) * 2020-02-04 2020-03-13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KR102088900B1 (ko) * 2020-02-04 2020-03-13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KR102088898B1 (ko) * 2020-02-04 2020-03-13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011B1 (ko) * 2018-12-20 2020-02-13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KR102088899B1 (ko) * 2020-02-04 2020-03-13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KR102088900B1 (ko) * 2020-02-04 2020-03-13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KR102088898B1 (ko) * 2020-02-04 2020-03-13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446B1 (ko) 전선 접속용 커넥터
US9054457B2 (en) Connector for a safety restraint system
TWI424631B (zh) 電線對基板用連接器
US9673563B2 (en) Connector
US5391087A (en) Connector
US20090081908A1 (en) Connector With Redundant Terminal Locking
KR101648720B1 (ko)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WO2017026252A1 (ja) 嵌合検知機能を有する電気接続装置
US9595784B2 (en) Connector
US8403696B2 (en) Connector with a conductive shell with a flange with an integral locking portion for engagement with a mating connector
CN108123328B (zh) 用于安全约束系统的电连接器
US9054508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909056B1 (ko) 전선 접속용 커넥터
KR101794340B1 (ko) 차량용 커넥터
KR20160050339A (ko)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KR101909057B1 (ko) 전선 접속용 커넥터
KR101909055B1 (ko) 전선 접속용 커넥터
US20150219708A1 (en) Connector for a safety restraint system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9698517B2 (en) Connector with a wire cover having an opening for arranging wires pulled out from a housing of the connector
KR20150095842A (ko) 단자 접속 구조
KR101794339B1 (ko) 차량용 조인트 커넥터
US10797444B2 (en) High-voltage interlock system
KR101879868B1 (ko) 커넥터용 터미널 고정장치
KR101869538B1 (ko) 커넥터용 터미널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