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442B1 - 차량용 멀티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멀티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442B1
KR101850442B1 KR1020160139534A KR20160139534A KR101850442B1 KR 101850442 B1 KR101850442 B1 KR 101850442B1 KR 1020160139534 A KR1020160139534 A KR 1020160139534A KR 20160139534 A KR20160139534 A KR 20160139534A KR 101850442 B1 KR101850442 B1 KR 101850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engaging
connectors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60139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Abstract

차량용 멀티박스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멀티박스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바디와, 수용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커넥터와, 커넥터와 바디를 결합하는 제1결합부 및 커넥터가 상호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멀티박스{MULTI-BOX FOR VEHICLE}
본 발명은 멀티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라인 커넥터의 고정구조를 개선하여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멀티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류 및 전기적 신호가 공급됨에 따라 작동되는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전장품은 와이어 하네스라고 불리는 개별적으로 절연된 복수개의 전선에 의해 배터리 및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거나 전기적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 전장품들은 예를 들어 차량의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의 시동 및 점화장치, 점등장치, 카오디오, 와이어 및 모터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기존 차량의 전장품과 배터리의 사이에는 릴레이와 퓨즈가 마련되며, 그 배터리 전원이 릴레이 및 퓨즈를 거쳐 전장품 측으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그 릴레이들은 릴레이박스에 통합적으로 조립되어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마련되고, 배터리의 메인 와이어 하네스에 연결되어 배터리와 인접된 곳에 배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한편, 차량의 전자화 및 지능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전장부하를 제어하기 위하여 많은 수의 릴레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사용되는 릴레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엔진룸박스나 실내박스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별도의 릴레이박스가 추가로 요구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30594호 (공개일 : 2009.12.24.)인 "차량용 멀티박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간의 체결구조를 적용하여 커넥터를 구획하는 격벽부를 삭제할 수 있어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박스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와 상기 바디를 결합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커넥터가 상호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바디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부 및 상기 제1결합홈부에 각각의 상기 커넥터가 결합되도록 상기 커넥터에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1결합홈부는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커넥터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부 및 상기 제2결합홈부에 결합되도록 이웃하는 상기 커넥터에 형성되는 제2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결합홈부와 상기 제2결합돌기는 상호 대응되는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박스는 바디의 수용부에 설치되는 커넥터가 상호 결합되는 체결구조에 의해 커넥터를 구획하는 격벽부를 삭제할 수 있어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커넥터는 상이한 형상을 지닌 제1결합부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탈방지부에 의해 커넥터의 임의적 분리를 방지할 수 있고,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박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박스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박스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박스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박스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박스(100)는 차체패널의 표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와이어 하네스를 접속한 복수개의 커넥터(120)를 고정 장착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박스(100)는 바디(110), 커넥터(120), 제1결합부(130) 및 제2결합부(140)를 포함한다.
바디(110)는 멀티박스(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차체패널(미도시)의 표면에 접하여 설치되고, 커넥터(1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5)가 구비된다. 커넥터(120)는 수용부(115)에 구비된다.
바디(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며, 커넥터(120)의 결합 개수에 따라 크기별로 제조될 수 있다. 물론, 바디(110)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커넥터(120)는 MAIN_FRNT, MAIN_FLRS, FRNT_FLRS의 3개의 커넥터(120)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커넥터(12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커넥터(120)의 개수는 2개 이상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1결합부(130)와, 제2결합부(140)는 바디(110)의 수용부(115)에 장착되게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결합부(130)는 커넥터(120)와 바디(110)를 결합하는 것으로서, 바디(110)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부(132) 및 제1결합홈부(132)에 각각의 커넥터(120)가 결합되도록 커넥터(120)에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134)를 포함한다.
제1결합홈부(132)는 바디(110)의 양측 내면에 형성되고, 제1결합돌기(134)는 커넥터(12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슬라이드 결합된다. 여기서, 커넥터(120) 각각에 대응되는 제1결합돌기(134)와 제1결합홈부(132)는 서로 상이한 개수로 형성된다. 이때, 제1결합돌기(134)는 커넥터(120)의 각각에 서로 다른 개수로 형성되고, 제1결합홈부(132)는 커넥터(120)가 적합하게 결합되는 위치에 제1결합돌기(134)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이는 커넥터(120)를 정확한 위치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용부(115)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넥터(120)의 양측면에는 1개의 제1결합돌기(134)가 형성되고, 중앙의 커넥터(120)의 양측면에는 2개의 제1결합돌기(134)가 형성되며, 하부의 커넥터(120)의 양측면에는 3개의 제1결합돌기(134)가 형성된다.
제2결합부(140)는 커넥터(120)를 상호 결합한다. 이러한 제2결합부(140)는 커넥터(120)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부(142) 및 제2결합홈부(142)에 결합되도록 이웃하는 커넥터(120)에 형성되는 제2결합돌기(144)를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 도 2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홈부(142)와 제2결합돌기(144)는 슬라이드 결합하도록 상호 대응되는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넥터(120)를 연속적으로 연결되게 안내한다.
제2결합홈부(142)와 제2결합돌기(144)의 형성위치는 상호 바뀌어도 무방하다.
제2결합홈부(142)와 제2결합돌기(144)는 커넥터(1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호 슬라이드 결합된다.
한편, 바디(110)로부터 커넥터(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50)가 구비된다. 이탈방지부(150)는 바디(110)의 상하부 내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홈(152)과, 이탈방지홈(152)에 각각 결합되도록 수용부(115)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넥터(120)의 상면과 수용부(115)의 하단에 결합되는 커넥터(120)의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154)를 포함한다. 이때, 이탈방지홈(152)과 이탈방지돌기(154)는 후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디(110)와 커넥터(120)의 조립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박스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20)는 MAIN_FRNT, MAIN_FLRS, FRNT_FLRS의 세 개의 커넥터(120)로 형성된다. 이러한 각각의 커넥터(120)는 제2결합부(14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즉, 커넥터(120)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부(142)와 제2결합돌기(144)가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중,하에 각각 위치되어 하나의 뭉치를 구성한다.
이후, 커넥터(120) 뭉치는 바디(110)의 수용부(115)에 결합된다. 이는 제1결합부(130)에 의해 가능하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커넥터(120)를 바디(110)의 수용부(115)로 슬라이드 삽입시키면, 각각의 커넥터(120)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134)가 바디(110)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부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커넥터(120) 각각에 대응되는 제1결합돌기(134)와 제1결합홈부(132)는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차별성에 의해 커넥터(120)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디(110)의 상하부 내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홈(152)에 커넥터(120)의 이탈방지돌기(154)가 서로 빗면으로 접하여 결합됨으로써, 커넥터(120)의 임의적 분리를 방지할 수 있고, 경사진 형상에 의해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박스에 의하면, 바디의 수용부에 설치되는 커넥터가 상호 결합되는 체결구조에 의해 커넥터를 구획하는 격벽부를 삭제할 수 있어 중량을 절감할 수 있고, 삭제된 격벽부 만큼의 공간확보로 인한 바디 전체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멀티박스 110 : 바디
115 : 수용부 120 : 커넥터
130 : 제1결합부 132 : 제1결합홈부
134 : 제1결합돌기 140 : 제2결합부
142 : 제2결합홈부 144 : 제2결합돌기
150 : 이탈방지부 152 : 이탈방지홈
154 : 이탈방지돌기

Claims (6)

  1. 수용부가 형성되는 바디;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커넥터;
    상기 커넥터와 상기 바디를 결합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커넥터가 상호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바디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부 및 상기 제1결합홈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커넥터에 각각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돌기는 상기 커넥터의 각각에 서로 다른 개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부는 상기 커넥터가 적합하게 결합되는 위치에 상기 제1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커넥터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부와, 상기 제2결합홈부가 형성된 커넥터와 이웃하는 커넥터에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홈부와 결합하는 제2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홈부와 상기 제2결합돌기는 슬라이드 결합하도록 상호 대응되는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를 연속적으로 연결되게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바디의 상하부 내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홈 및 상기 이탈방지홈에 결합되도록 상기 커넥터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박스.
KR1020160139534A 2016-10-25 2016-10-25 차량용 멀티박스 KR101850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534A KR101850442B1 (ko) 2016-10-25 2016-10-25 차량용 멀티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534A KR101850442B1 (ko) 2016-10-25 2016-10-25 차량용 멀티박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363A Division KR101890234B1 (ko) 2018-03-19 2018-03-19 차량용 멀티박스
KR1020180031364A Division KR101890235B1 (ko) 2018-03-19 2018-03-19 차량용 멀티박스
KR1020180031365A Division KR101890236B1 (ko) 2018-03-19 2018-03-19 차량용 멀티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442B1 true KR101850442B1 (ko) 2018-04-20

Family

ID=6208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534A KR101850442B1 (ko) 2016-10-25 2016-10-25 차량용 멀티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4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798B1 (ko) * 2011-06-09 2012-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중 체결수단을 갖는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798B1 (ko) * 2011-06-09 2012-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중 체결수단을 갖는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4235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and relay module
US10916876B2 (en) Terminal unit and connector
CN108475903B (zh) 用于线束的保护器和用于制造线束的方法
CN108290531B (zh) 线缆引导装置、布线装置、安全气囊模块、方向盘及车辆
US10833444B2 (en) Terminal unit and connector
US9963093B2 (en) Wire harness attachment structure and wiring unit
US9559503B2 (en) Electronic component unit
US10971851B2 (en) Miniaturized connector with a terminal holding member
JP2013218822A (ja) コネクタ組付け構造及びコネクタ組付け方法
US20190190197A1 (en) Power connector and power connector device
US9819123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wings displaceably mounted in surrounding portions of a support to facilitate alignment with a mating housing
KR101850442B1 (ko) 차량용 멀티박스
KR101890234B1 (ko) 차량용 멀티박스
KR101890236B1 (ko) 차량용 멀티박스
KR101890235B1 (ko) 차량용 멀티박스
WO2015098482A1 (ja) 電気回路装置
KR101850445B1 (ko) 방수 커넥터
US20150147902A1 (en)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
KR101820143B1 (ko) 배선장치
KR20190119280A (ko) 고전압 커넥터
KR101869543B1 (ko) 방수 커넥터
KR101869540B1 (ko) 방수 커넥터
KR101869546B1 (ko) 방수 커넥터
KR101530073B1 (ko) 차량용 멀티박스
KR101143590B1 (ko) 원터치 착탈 방식의 암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