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402B1 - Hot air supply device for food garbage disposer - Google Patents

Hot air supply device for food garbage dispo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402B1
KR101850402B1 KR1020170064645A KR20170064645A KR101850402B1 KR 101850402 B1 KR101850402 B1 KR 101850402B1 KR 1020170064645 A KR1020170064645 A KR 1020170064645A KR 20170064645 A KR20170064645 A KR 20170064645A KR 101850402 B1 KR101850402 B1 KR 101850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densed water
heat
hot ai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6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정한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한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한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4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4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4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0083
    • B01F15/00175
    • B01F15/00396
    • B01F15/0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2Heating or cooling systems for heating the outside of the receptacle, e.g. heated jackets or bur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air supply apparatus for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 which a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hot air supply temperature of a hot air supply unit when the temperature inside a stirring tank reaches a set temperature value, the waste heat discharged from the stirring tank is mixed with the outside air after being heated in the stirring tank so as to be supplied to the hot air supply unit side, so it is possible to shorten a drying time of the food waste containing leachate and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Hot air supply device for food garbage dispose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air supply device for food garbage disposer,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반조 내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 값에 도달되면 열풍공급부의 열풍공급 온도를 제어부가 제어가능하도록 하고, 교반조로부터 배출되는 폐열을 교반조를 가열시킨 후 외기와 혼합시켜 열풍공급부측으로 공급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침출수가 포함된 음식물쓰레기 건조 처리에 따른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air supply device for a garbage dispo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t-air supply device for a garbage disposer which is capable of controlling a hot air supply temperature of a hot air supply part when a temperature inside a stirring tank reaches a set temperature value, Can be mixed with the outside air to be supplied to the hot air supply unit side by heating the stirring tank,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horten the drying time due to the drying process of the food waste containing the leachate and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Supply device.

일반적으로 음식쓰레기는, 가정 혹은 급식소, 음식점 등에서 주로 발생되어 대부분을 각종 뼈나 조개껍질과 같은 일반쓰레기와 함께 매립이나 소각시키고 있으며, 일부만을 가축사료 및 퇴비 등으로 재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Generally, food wastes are mainly generated in homes, food service centers, restaurants, etc., and most of them are buried or incinerated together with general waste such as various bones and shells, and only a part of them are recycled for livestock feed and compost.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가장 큰 문제점은 음식물 속에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이며, 이로 인해 쉽게 부패되어 심한 악취와 오수가 발생됨으로써, 장시간 보관이 어렵고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여 버리거나 처리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악취 등에 해충들이 모여들어 비위생적이었다.The biggest problem of the food garbage is that it contains a large amount of water in the food, which is easily corroded and bad odor and sewage are generat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store for a long time and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disposing food garbage is very troublesome It was unsanitary because pests gathered in bad smell.

또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단순히 지하에 매몰하는 경우에는 침출수를 비롯한 환경오염을 유발하며, 제한된 국토 면적으로 인해 장기적인 처리방법으로는 부적절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ood waste is simply buried in the ground, it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including leachate and it is an inadequate method for a long-term treatment due to a limited land area.

따라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수물과, 조리된 요리를 먹고 난 다음에 남아 버려지는 음식을 통상적으로 음식물쓰레기로 분류하는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에는 함수율이 50~95% 정도로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폐기하거나 혹은 재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분의 감량이 매우 중요하였다.Therefore, the auxiliary wate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oking food and the food left after eating the cooked food are usually classified as food waste. Such food waste has a water content of about 50 to 95% and a large amount of water Therefore, when the food waste is to be discarded or recycled, moisture loss is very important.

최근에는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감량 처리하는 건조처리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여기서 건조라 함은 액체의 수분을 기체화하여 물질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건조방식을 사용하는 건조장치로는 최근들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In recent years, a drying treatment method in which water in the food garbage is treated by the treatment of food garbage is mainly used. Here, drying means separating the liquid water from the material by gasification, Has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일례로 특허출원번호 10-2007-0130371호에 게시된 종래의 일반적인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는 음식물쓰레기와 수분흡수제를 혼합하는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에서 혼합되어 이송된 혼합물을 발효하는 배양탱크와, 상기 배양탱크에서 발효되어 이송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건조기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기는 그 내부에는 다수 개의 컨베이어가 상하로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거리 차를 두고 장착되어 상기 건조기에 투입된 혼합물이 윗 컨베이어에서 떨어져 아래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한 후 그 아래 컨베이어로 떨어지는 순서로 이동한 후 상기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건조기에는 건조공기 공급기가 장착되어 상기 건조기 내부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건조공기 공급기는,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와, 송풍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와, 상기 제습기를 거친 공기가 상기 건조기 내의 컨베이어의 아래에서 상부로 분출되도록 상기 건조기 내의 컨베이어아래로 연장된 분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흡수제는 밀기울, 콘코프, 비트펄프, 코코피트, 건조된 음식물쓰레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혼합기 내의 혼합물의 수분함량이 70±5부피%가 될 때까지 상기 수분흡수제와 음식물쓰레기를 혼합하고, 상기 배양탱크에는 공기공급기가 설치되어 호기성미생물의 대사를 촉진하여 대사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게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배양탱크에서는 혼합물이 30~40℃가 될 때까지 발효하고,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에는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의 직경은 0.01 내지 0.1mm이고, 상기 건조기에는 상기 건조기에서 발생한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제거기가 장착되며, 상기 악취제거기는 그 내부에 악취제거용 광촉매필터 또는 악취제거용 금속촉매필터가 장착되고, 상기 악취제거용 광촉매필터의 측부에는 상기 악취제거용 광촉매필터를 비춰주는 자외선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악취제거기는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서 송풍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기에서 공기의 수분을 응축시켜 수분을 분리하고, 냉각된 건조공기를 상기 악취제거기로 공급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For example, a conventional general food waste drying device disclosed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07-0130371 includes a mixer for mixing food waste and a water absorbent, a culture tank for fermenting the mixture mixed and transported in the mixer, And a dryer for drying the mixture transferred from the tank, wherein a plurality of conveyors are vertically disposed in the dryer, and the dryer is installed with a distance differe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mixture introduced into the dryer is separated from the upper conveyor And the drying air is supplied to the dryer, and the dry air is supplied to the dryer, and the dry air supplier supplies the dry air to the inside of the dryer, An air blower for blowing air, a dehumidifier for removing moisture from the blown air, And a branch pipe extending below the conveyor in the dryer such that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dehumidifier is spray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conveyor in the dryer, wherein the water absorb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ran, conch, bit pulp, coco peat, Wherein the water absorbent and the food waste are mixed until the water content of the mixture in the mixer becomes 70 ± 5% by volume, and the culture tank is provided with an air supply device for promoting metabolism of aerobic microorganisms, Wherein the fermentation is carried out until the mixture reaches 30 to 40 DEG C in the culture tank, and the belts of the conveyor are uniformly formed as a whole, and the diameter of the holes is 0.01 to 0.1 mm The dryer is equipped with a malodor removing unit for removing odors generated in the dryer, A photocatalyst filter for odor removal or a metal catalyst filter for removing malodor is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photocatalyst filter for removing odor, and an ultraviolet lamp for irradiating the photocatalyst filter for removing the malodor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malodor removal photocatalytic filter, And a cooler for cooling the air blown from the blower, wherein the cooler condenses the moisture of air in the cooler to separate moisture, and the cooled dry air is supplied to the malodor removing unit to remove odor consist of.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혼합기를 통하여 음식물쓰레기와 수분흡수제가 혼합된 혼합물의 건조를 건조공기 공급기를 통하여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건조기를 가열하지 않고 건조공기 공급기를 통하여 건조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되므로 그에 따른 전력소비가 만하질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general food waste drying apparatu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dry the mixture of the food waste and the water absorbent through the mixer through the dry air supply unit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drying air is continuously supplied through the drying air supply unit, and accordingly the power consumption is inevitable.

특허출원번호 10-2007-0130371호, 출원일; 2007년12월13일Patent Application No. 10-2007-0130371, filing date; December 13, 2007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교반조 내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 값에 도달되면 열풍공급부의 열풍공급 온도를 제어부가 제어가능하도록 하고, 교반조로부터 배출되는 폐열을 교반조를 가열시킨 후 외기와 혼합시켜 열풍공급부측으로 공급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침출수가 포함된 음식물쓰레기 건조 처리에 따른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t air supply system, which can control the hot air supply temperature of a hot air supply unit when a temperature inside a stirring tank reaches a set temperature value, The hot water supply device for the food garbage disposer is provided with the heating device for the food garbage disposer which is capable of shortening the drying time due to the drying process of the food waste containing the leachate and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like.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as the description proceed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는, 상면에 형성된 투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투입구용개폐도어가 갖추어져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설되는 것에 의해 투입구 하부에 위치되어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되, 바닥면은 폐열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침출수를 신속하게 증발시킬 수 있도록 폐열유동로가 형성된 교반조를 갖추어 구비되는 교반부와, 상기 교반부 일측면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의 침출수를 감지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수분감지센서와, 상기 수분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 값에 대응되게 교반부를 제어가능하도록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루어진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하우징에 내설된 교반부측으로 열풍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교반부의 후단 일측에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구비되는 히터부와, 상기 히터부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히터부측으로 공기를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열풍공급팬과, 상기 히터부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히터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측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가 히터부를 제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히터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교반부로 공급된 열기를 배출시켜 폐열유동로를 통과하여 교반부를 가열시킨 후, 열교환된 열교환공기를 외기와 혼합하여 열풍공급팬측으로 유입가능하게 구비되는 폐열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ice for supplying hot air for a garbage disposer, comprising: a housing including an inlet opening / closing door for opening / closing an inlet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bottom surface is provided with a stirring tank in which a waste heat flow path is formed so as to rapidly evaporate the leachate while shortening the drying time of the food waste by allowing waste heat to pass through the bottom surface A moisture sens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agitator to detect the leachate of food wast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gitator to control the agitator in response to the signal value sensed by the moisture sensor, And a control unit provided inside the one side A heater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a rear end of the stirring unit so as to be capable of supplying hot air to the side of the agitating unit housed in the housing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so as to be drivable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A temperature sensor disposed at a front side of the heater to sense a temperature of the heater an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to control the heater; And a waste heat supply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eater unit to discharge the heat supplied to the agitating unit, pass the waste heat flow path to heat the agitating unit, mix the heat exchanged heat exchange air with the outside air, .

또한, 상기한 히터부는, 짧은 시간에 교반부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예설정된 온도에 도달되면 절전가능하도록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각각 제어되도록 제1 및 제2히터부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도 각각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er unit may be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heater units to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so as to save power whe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reached while rai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irring unit in a short time, And a sensor is also installed and configured.

그리고, 상기한 폐열공급수단의 구동은, 교반부의 내부의 온도가 일정 이상으로 상승된 후 구동되도록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히터부와 열풍공급팬의 구동이 시작된 후 5분~20분 후에 작동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of the waste heat supply means is operable after 5 to 20 minutes from the start of driving of the heater unit and the hot air supply fa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stirring unit is raised after being raised to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에 따르면, 교반조 내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 값에 도달되면 열풍공급부의 열풍공급 온도를 제어부가 제어가능하도록 하고, 교반조로부터 배출되는 폐열을 교반조를 가열시킨 후 외기와 혼합시켜 열풍공급부측으로 공급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침출수가 포함된 음식물쓰레기 건조 처리에 따른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ot air supply device for a garbage dispo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irring tank reaches the set temperature value, the hot air supply temperature of the hot air supply unit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Can be supplied to the hot air supply unit side by mixing with the outside air after heating the stirring tank. Thus, the drying time of the food garbage including the leachate can be shortened an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가 내설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우측 투영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가 설치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쓰레기저장제어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hot air supply device for a garbage dispo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food garbage disposer.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hot air supply device for a garbage dispo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food garbage disposer.
3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t air supply device for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4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having a hot air supply device for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hot air supply device for a garbage dispo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food garbage disposer.
6 is a right-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hot air supply device for a garbage dispo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garbage disposer.
7 is a view showing a food waste storage control means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equipped with a hot air supply device for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hot air supply device for a garbage dispo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200)는, 상면에 형성된 투입구(도면부호 생략)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투입구용개폐도어(111)가 갖추어져 구비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에 내설되는 것에 의해 투입구 하부에 위치되어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되, 바닥면은 폐열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침출수를 신속하게 증발시킬 수 있도록 폐열유동로가 형성된 교반조를 갖추어 구비되는 교반부(120)와, 상기 교반부(120) 일측면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의 침출수를 감지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수분감지센서(130)와, 상기 수분감지센서(130)로부터 감지된 신호 값에 대응되게 교반부(120)를 제어가능하도록 하우징(110)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루어진 음식물쓰레기 처리기(100)의 하우징(110)에 내설된 교반부(120)측으로 열풍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교반부(120)의 후단 일측에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구비되는 히터부(210)와, 상기 히터부(210)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히터부(210)측으로 공기를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열풍공급팬(220)과, 상기 히터부(210)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히터부(210)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측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가 히터부(210)를 제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온도감지센서(230)와, 상기 히터부(2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교반부(120)로 공급된 열기를 배출시켜 폐열유동로를 통과하여 교반부(120)를 가열시킨 후, 열교환된 열교환공기를 외기와 혼합하여 열풍공급팬(220)측으로 유입가능하게 구비되는 폐열공급수단(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hot air supply device 200 for a garbage dispo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provided with an inlet opening / closing door 111 for opening / closing an inlet port (not shown) And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so as to be able to stir the food waste plac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let port and to allow the bottom surface to pass the waste heat to shorten the drying time of the food waste, And a moisture sensor (not show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tirring part 120 to detect the leachate of food waste. The moisture sensor 120 is provided with a stirrer 120 having a waste heat flow path, And a control unit 120 for controlling the stirring unit 120 so as to control the stirring unit 120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value sensed by the moisture sensor 130. [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ar end of the agitator 120 so that hot air can be supplied to the agitator 120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100. [ A hot air supply fan 22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ter unit 210 and capable of supplying air to the heater unit 210, a heater unit 210 connected to the heater unit 210, A temperature sensor 230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heater 210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10 and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10 to control the heater 210, 210 to heat the air supplied to the agitating unit 120 to pass through the waste heat flow path to heat the agitating unit 120 and mix the heat exchanged heat exchange air with the outside air, As shown in Fig. It comprises the waste heat supplying means 240.

여기서, 상기한 히터부(210)는 짧은 시간에 교반부(12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예설정된 온도에 도달되면 절전가능하도록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각각 제어되도록 제1 및 제2히터부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230)도 각각 설치되어 구성된다.Here, the heater unit 210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heater units so as to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so as to save power whe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reached while rai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irring unit 120 in a short time And the temperature sensor 230 is also installed and configured.

또한, 상기한 폐열공급수단(240)의 구동은 교반부(120)의 내부의 온도가 일정 이상으로 상승된 후 구동되도록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히터부(210)와 열풍공급팬(220)의 구동이 시작된 후 5분~20분 후에 작동가능하게 구성된다.The driving of the waste heat supply means 240 may be performed by driving the heater unit 210 and the hot air supply fan 2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of the agitation unit 120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Lt; RTI ID = 0.0 > 5-20 minutes. ≪ / RTI >

한편, 상기한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배출구개폐수단(160)을 통하여 교반부(120)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내부로는 저장통을 인.입출시킬 수 있도록 일면은 개폐되게 형성되되, 상기 저장통으로 건조된 음식물쓰레기가 저장되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측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100) 및 열풍공급장치(200)를 제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음식물쓰레기저장제어수단(170)이 더 구비된다.Meanwhile, one side of the housing 110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stirring part 120 through the outlet opening / closing means 160, and one side of the housing 110 is opened / The controller senses that the food waste dried in the storage tank is stored and applies the same to the controller so that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ood waste processor 100 and the hot wind supply device 200 to control the food waste storage controller 170 .

또한, 상기한 하우징(110) 타측에는 상기 폐열공급수단(240)의 열교환기와 연결되어 열교환된 응축수를 분사시키는 것에 의해 응축수와 함께 배출되는 잔류 악취를 제거시킴과 아울러 겨울철 수증기의 배출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응축수분사수단(180)이 더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10 is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of the waste heat supplying means 240 to inject heat-exchanged condensed water to remove the residual odor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condensed water, and to suppress the discharge of water vapor in winter The condensed water injecting means 180 is provided.

또한, 상기한 하우징(110)의 전면 일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배출이 완료됨을 화면을 통하여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알림시킬 수 있는 모니터(190)가 더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 a monitor 19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0 to inform the user that the discharge is completed through a screen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그리고, 상기한 모니터(190) 일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러 발생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장치 전체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비상스위치(195)가 더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 an emergency switch 195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nitor 190 to stop driving the entire apparatu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when an error occurs.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100)의 하우징(110)은, 첨부된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함체로 형성되되, 상면 전방부에는 음식물쓰레기를 내설된 교반부(120)측으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투입구와, 이의 투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투입구용개폐도어(111)가 갖추어져 있고, 저면 모서리부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부(도면부호 생략)가 갖추어져 구비된다. First, the housing 110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100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housing as shown in FIG. 4, and food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gitation unit 120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111 for opening / closing the inlet of the door, and a leg portion (not shown)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is provided at the bottom edge portion.

상기한 교반부(120)는 투입구 하부에 위치되게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tirring part 12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inlet, and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o stir the food waste.

즉, 상기한 교반부(120)는 도 1 내지 도 3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는 개구된 "U"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되, 바닥면은 폐열공급수단(240)을 통하여 공급되는 폐열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침출수를 신속하게 증발시킬 수 있도록 폐열유동로(미도시함)가 형성되고, 외측면 하부 일측에는 음식물쓰리기의 건조가 완료됨에 따른 이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구가 배출구개폐수단(160)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구비되는 교반조(121)와, 상기 교반조(121)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외주면에는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교반날(122a)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교반축(122)과, 상기 교반조(121)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교반축(12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교반축구동모터(123)와, 상기 수분감지센서(130) 일측에 위치되게 교반조(121) 일측면에 설치되어 교반조(12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측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가 열풍공급부(14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교반조내부온도감지센서(124)로 구성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S. 1 to 3 and FIGS. 5 and 6, the agitator 120 is formed to have a U-shaped cross section open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so as to accommodate the food wast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A waste heat flow path (not shown) is form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te water can be quickly evaporated while reducing the drying time of the food waste by passing the waste heat supplied through the waste heat supply means 240, A stirring tank 121 having an outlet opening and closing by an outlet opening and closing means 160 for discharging the foo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drying of the food waste, A stirring shaft 122 having a plurality of stirring blades 122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stir the charged food waste and a stirring shaft 12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irring tank 121, A stirring motor 121 for rotating the stirring shaft 122 by driving the stirring shaft 122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water control unit, And a stirrer internal temperature sensor 124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tirrer 121 for sen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irrer tank 121 and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supply unit 140 by the control unit.

상기한 수분감지센서(130)는 도 1과 도 5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부(120)의 교반조(121) 일측면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의 침출수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측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 장치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다.1, 5, and 6, the moisture sensor 13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gitating tank 121 of the agitator 120 to detect leachate of food waste and apply it to the controller So that the apparatus can be controlled.

이때, 상기 수분감지센서(130)는 5분~20분 단위로 침출수의 유무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측으로 인가가능하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moisture sensor 130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leachate in units of 5 minutes to 20 minutes and is able to apply the leachate to the control unit.

상기한 음식물쓰레기저장제어수단(170)은 하우징(110)의 일측에 배출구개폐수단(160)을 통하여 교반부(120)의 교반조(121)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건조 완료된 음식물쓰레기를 내설된 저장통측으로 저장시키면서 저장통에 건조된 음식물쓰레기가 예설정된 무게로 저장되면 이를 제어부측으로 인가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food garbage storage control means 170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110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stirring tank 121 of the stirring portion 120 through the outlet opening and closing means 160, When the food garbage is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side and the dried food garbage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weight, the control unit can apply the garbage to the control unit side.

즉, 상기한 음식물쓰레기저장제어수단(17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부(120)의 교반조(121)에 형성된 배출구와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은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배출구개폐수단(160)이 설치되어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안내관(171)과, 상기 안내관(171)에 내설되어 회전하는 것에 의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를 상부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송부(172)와, 상기 안내관(171)의 타단을 내부와 연통시켜 내부로 저장통을 인.입출시킬 수 있도록 일측면은 개폐도어가 갖추어져 구비되는 저장통수용체(173)와, 상기 저장통수용체(173)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송부(17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송부구동모터(174)와, 상기 저장통수용체(173)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저장통에 건조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저장되는 무게에 대응되게 하향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안착판(175)과, 상기 저장통수용체(173)의 내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안착판(175)의 하향 이동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측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 배출구개폐수단(160)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리미트스위치(176)로 구성된다.1 to 6, the food garbage storage control unit 17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stirring tank 121 of the stirring unit 120, and the other end of the food garbage storage control unit 170 is installed to be inclined upward A guide pipe 17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and provided with an outlet opening and closing means 16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A conveying part 172 provided to convey the dried food waste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and a conveying part 172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guide pipe 171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guide pipe 171, And a control unit 173 which is provided at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reservoir receptacle 173 and is driven to control the control unit to rotate the conveyance unit 172. [ A seating plate 175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73 and movable downward in accordance with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dried and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And a limit switch 176 provided below the inner surface of the reservoir receptacle 173 to sense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seating plate 175 and apply the applied downward force to th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outlet opening / do.

여기서, 상기한 배출구개폐수단(160)은 교반부(120)의 교반조(121) 일측면에 설치된 수분감지센서(130)로부터 인가된 감지신호 즉, 침출수를 감지하지 못한 신호를 제어부측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작동하여 교반조(121)의 배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게이트(161)와, 상기 게이트(161)에 일단이 연결된 피스톤(162)의 타단을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작동하는 것에 의해 인.입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실린더(163)로 구성된다.The outlet opening and closing means 160 applies a signal sensed by the moisture sensor 1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irring tank 121 of the stirring unit 120 to the control unit A gate 161 provided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of the stirring tank 121 by operati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by the control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piston 162 connected at one end to the gate 161, And a cylinder 163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ove in and out by correspondingly operating.

상기한 응축수분사수단(18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타측에 설치되어 폐열공급수단(240)의 열교환관(244)을 통하여 배출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상기 응축수와 함께 배출되는 잔류 악취를 제거시킴과 아울러 겨울철 수증기의 배출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1 to 6, the condensed water injecting means 18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10 and uses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eat exchanging tube 244 of the waste heat supplying means 240, And to suppress the emission of water vapor in winter.

즉, 상기한 응축수분사수단(180)은 하우징(110)의 타측에 폐열공급수단(240)의 열교환관(244) 타단을 일면 내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일면에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저면 모서리부에는 고정을 위한 고정다리(도면부호 생략)가 갖추어져 구비되는 응축수분사용하우징(181)과, 상기 응축수분사용하우징(18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면에는 열교환관(244)의 타단을 기밀유지되게 내측으로 수용하는 수용부(182)를 갖추어 상기 열교환관 통하여 유출되는 응축수를 저장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응축수저장부(183)와, 상기 응축수저장부(183) 내측에는 저장된 응축수를 수용부(182) 상면에서 내측으로 응축수공급관(184a)과 분사노즐(184b)을 통하여 분사시켜 배출되는 열기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축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잔류 악취를 제거가능하도록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게 구비되는 응축수공급펌프(184)와, 상기 응축수저장부(183)의 상면에 구비된 수용부(182)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응축수저장부(183)의 내부와 연통되어 미처리된 수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잔류수증기배출관(185)과, 상기 잔류수증기배출관(185)의 타단과 연결되는 것에 의해 응축수저장부(183) 일측에 설치되어 미처리된 수증기를 응축수로 처리하여 배출구(186a)를 통하여 배출가능하도록 배면에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구동팬(186b)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잔류수증기열교환부(186)로 구성된다.In other words, the condensed water injecting means 180 is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10 with an inlet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n inlet formed at the bottom edge of the heat exchange tube 244 for introducing the other end of the heat exchange tube 244 into the other 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heat exchange tube 244 is hermetically sea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81. The condensing water distributing housing 181 is provided with a fixing leg (not shown) A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83 provided inside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83 so as to store condensed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heat exchange pipe, So that the steam contained in the discharged air can be condensed and the residual odor can be removed by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A condensed water supply pump 184 driven to be driven by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183 and one end of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183 is fixed to one side of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183, The residual water vapor discharge pipe 185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sidual water vapor discharge pipe 185 to discharge condensed water from the unprocessed water vapor to the discharge port 186a, And a driving fan 186b which is driven to correspond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on the rear surface so as to be able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evaporator 182. [

또한, 상기한 응축수저장부(183)의 상면 타측에는 응축수의 저장 유무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측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가 응축수공급펌프(184)를 제어가능하도록 응축수감지센서부(187)가 더 구비된다.The condensed water detection sensor 187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183 so as to control the condensed water supply pump 184 by sensing whether the condensed water is stored or not, do.

그리고, 상기한 응축수저장부(183)의 일측면에는 일정 이상으로 응축수가 저장되면 배출구(186a)측으로 자동으로 배출가능하도록 일단은 응축수저장부(183)에 연결되고 타단은 배출구(186a)측에 연결된 응축수오버플로우관(188)이 더 구비된다. One end of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83 is connected to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83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86a side so that condensed water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86a side. And a connected condensate overflow pipe 188 is further provided.

다시 돌아와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turning to the drawings, a hot air supply apparatus for a garbage dispo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200)의 히터부(2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부(120)의 교반조(121) 후단 일측에 열풍공급관(211)을 통하여 연결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1 to 3, the heater unit 210 of the hot air supply device 200 for a food garbage dispo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irrer 121, And is connected through a supply pipe 211 so as to generate heat by being supplied with power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상기한 열풍공급팬(2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부(210) 일측에 폐열공급수단(240)의 열교환기(245)와 순환공급관(246)을 통하여 연결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히터부(141)측으로 폐열공급수단(15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와 외기를 혼합시켜 공급가능하도록 구동모터(도면부호 생략)를 포함하여 구비된다.1 to 3, the hot air supply fan 2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ter unit 210 through a heat exchanger 245 of a waste heat supply unit 240 and a circulation supply pipe 246, And a driving motor (not shown) for mix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waste heat supply means 150 and the outside air to the heater section 141 by driving the heater section 141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 section.

상기한 온도감지센서(2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부(21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히터부(210)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측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가 상기 히터부(210)를 제어가능하도록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emperature sensor 230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heater 210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10 and apply the sensed temperature to the controller So that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heater unit 210.

상기한 폐열공급수단(24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부(120)의 교반조(121)의 후단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열기를 교반조(121)의 폐열유동로측으로 공급가능하도록 하여 교반조(121)에 저장된 침출수를 신속하게 증발시키면서 음식물쓰레기를 짧은 시간안에 건조시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1 to 3, the waste heat supply unit 24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rear end of the stirring tank 121 of the stirring unit 120 to drive the waste heat supply unit 240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waste water stored in the agitation tank 121 is quickly evaporated and the food waste is dried in a short time to save energy.

즉, 상기한 폐열공급수단(240)은 교반부(120)의 교반조(121) 상부 일측측과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은 교반조(121)의 폐열유동로 입구와 연통가능하게 설치되는 열배출관(241)과, 상기 열배출관(241)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교반조(121) 내부의 열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열기배출팬(242)과, 상기 열기배출팬(242) 하부에 설치되어 열기와 함께 배출되는 악취를 탈취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탈취기(243)와, 상기 교반조(121)의 폐열유동로 출구와 일단이 연통된 열교환관(244)의 타단을 내부로 배관시켜 외기 유입에 따른 열교환된 열교환공기를 열풍공급팬(220)측으로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열교환기(245)로 구성된다.The other end of the waste heat supply means 24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agitating tank 121 of the agitating unit 1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heat A heat exhausting fan 242 disposed on the heat exhausting pipe 241 to discharge heat from the inside of the agitation tank 121 by driving the control unit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deodorizer 243 disposed below the hot exhaust fan 242 to deodorize odors discharged along with the hot air, a heat exchange tube 244 connected to the waste heat flow passage outlet of the stirring tank 121 at one end, And a heat exchanger 245 arranged to supply the heat exchanged air to the hot air supply fan 220. [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가 설치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켜 처리하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하우징(110)의 투입구개폐도어(111)를 회동시켜 투입구를 개방시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시킨다.In the case where the food waste is dried using the food waste disposer equipped with the hot air supply device for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7, Closing door 111 is opened to open the loading port to feed the food waste.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투입으로 인해 교반부(120)의 교반조(121)에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침출수가 일정 이상으로 저장 즉, 교반조(121)의 일측면에 구비된 3개의 수분감지센서(130) 중 2개 이상에서 침출수를 감지하게 되면, 이를 제어부측으로 인가하게 된다.The three moisture sensors 1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gitating tank 121 store the leachate together with the food waste in the agitating tank 121 of the agitation unit 120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food waste, If the leachate is detected in two or more of the leachate, the leachate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10분 단위로 수분감지센서(130)로부터 인가된 감지신호에 대응되게 먼저, 교반부(120)와 히터부(210) 및 열풍공급팬(22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applies control signals for driving the stirring unit 120, the heater unit 210, and the hot air supply fan 220 in response to the sensing signal applied from the moisture sensor 130 in units of 10 minutes do.

그로 인해, 교반부(120)의 교반조(121)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는 교반되고 아울러 히터부(210) 및 열풍공급팬(220)의 작동에 의해 교반조(121)측으로 열풍이 공급된다.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stirring tank 121 of the stirring unit 120 is stirred and hot air is supplied to the stirring tank 121 side by the operation of the heater unit 210 and the hot air supply fan 220.

상기와 같이 교반조(121)측으로 열풍이 공급이 10분 정도 지속되면 제어부는 폐열공급수단(240)과 응축수분사수단(18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하게 된다.When the supply of the hot air to the stirring tank 121 is continued for about 10 minutes, the control unit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waste heat supply unit 240 and the condensed water spraying unit 180.

아울러, 교반조내부온도감지센서(124)가 교반조(12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측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교반조(121) 내부의 온도가 70℃ 이상이 되면 제어부는 제1,2히터부의 설정 온도값에 의해 간헐적으로 히터부(210)만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irring tank 121 becomes 70 ° C or higher by sen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irring tank 121 and applying the temperature to the control unit side, A control signal for intermittently driving only the heater section 210 is applied by the set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er section 2.

한편, 상기 교반조(121)로 공급된 열풍은 탈취기(243)를 통하여 교반조(121)를 가열시키기 위해 폐열유동로로 유입된 후 열교환기(245)를 통하여 열교환되면서, 외기와 함께 열교환된 열교환공기가 열풍공급팬(220)측으로 공급되는 순환을 행하게 된다.The hot air supplied to the stirring tank 121 flows into the waste heat flow path through the deodorizer 243 to heat the stirring tank 121 and is heat-exchang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245, Exchanged air is supplied to the hot air supply fan 220 side.

그로 인해, 가열된 교반조(121)로 인해 침출수와 음식물쓰레기는 단시간에 증발 및 건조된다.Therefore, the leachate and the food waste are evaporated and dried in a short time due to the heated stirring tank 121.

한편, 상기한 폐열공급수단(240)의 열교환기(245)에 의해 열교환된 응축수는 수증기가 포함된 열기와 함께 응축수분사수단(180)측으로 배출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densed water heat-exchanged by the heat exchanger 245 of the waste heat supply means 240 is discharged to the condensed water spraying means 180 together with the steam containing steam.

상기 응축수분사수단(180)측으로 수증기가 포함된 열기와 함께 배출된 수증기는 응축수저장부(183)에 저장되고, 상기 응축수가 일정 이상으로 저장되면, 응축수공급펌프(184)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저장된 응축수를 수증기측으로 분사시켜 잔류 악취를 제거하면서 수증기를 응축수로 변화시켜 저장시킨다.The condensed water injected by the condensed water injecting means 180 is stored in the condensed water storing portion 183 and the condensed water supplied by the condensed water supplying pump 184 is stored Condensate is injected into the water vapor side to remove residual odor and store water vapor as condensed water.

한편, 상기와 같이 교반부(120)의 교반조(121)를 통하여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면서 아울러 수분감지센서(130)에서 침출수를 감지못한 신호를 제어부측으로 인가하게 되면, 제어부는 배출구개폐수단(160)과 음식물쓰레기저장제어수단(170)이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food waste introduced through the agitating tank 121 of the agitating unit 120 is dried and a signal that can not detect the leachate from the moisture sensor 130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side, 160 and the food waste storage control means 170 are driven.

상기 제어신호의 인가로 배출구개폐수단(160)의 게이트(161)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 교반조(121)의 배출구가 개방되고, 그로 인해 건조된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By the movement of the gate 161 of the outlet opening / closing means 160 by the application of the control signal, the outlet of the stirring tank 121 is opened, and the dried food waste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는 안내관(171)의 내부에서 회전하고 있는 이송부(172)를 통하여 저장통수용체(173)에 내설된 저장통측으로 투입된다.The dried food wast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s introduced into the reservoir through the transfer part 172 rotating inside the guide pipe 171.

상기 저장통측으로 건조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것에 의해 안착판(175)이 무게에 의해 하향 이동하고 그로 인해, 리미트스위치(176)가 작동하게 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176)의 작동신호가 제어부측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는 하우징의 전면에 갖추어진 모니터(190)측으로 음식물쓰레기의 건조가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한 후, 장치 전체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건조 처리가 완료된다. As the food waste dried on the storage container side is put into the storage container 175, the seating plate 175 is moved downward by its weight, so that the limit switch 176 is operated and an operation signal of the limit switch 176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side The control unit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monitor 190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to indicate that the drying of the food garbage is completed and then applies a control signal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entire device, Is complet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10 ; 하우징
120 ; 교반부 130 ; 수분감지센서
160 ; 배출구개폐수단 170 ; 음식물쓰레기저장제어수단
180 ; 응축수분사수단 190 ; 모니터
200 ;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
210 ; 히터부 220 ; 열풍공급팬
230 ; 온도감지센서 240 ; 폐열공급수단
100;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110; housing
120; A stirring part 130; Moisture Sensing Sensor
160; Outlet opening / closing means 170; Food waste storage control means
180; Condensate spray means 190; monitor
200; Hot air supply device for food garbage disposer
210; Heater unit 220; Hot air supply fan
230; Temperature sensing sensor 240; Waste heat supply means

Claims (4)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는,
상면에 형성된 투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투입구용개폐도어(111)가 갖추어져 구비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에 내설되는 것에 의해 투입구 하부에 위치되어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되, 바닥면은 폐열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침출수를 신속하게 증발시킬 수 있도록 폐열유동로가 형성된 교반조를 갖추어 구비되는 교반부(120)와, 상기 교반부(120) 일측면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의 침출수를 감지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수분감지센서(130)와, 상기 수분감지센서(130)로부터 감지된 신호 값에 대응되게 교반부(120)를 제어가능하도록 하우징(110)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루어진 음식물쓰레기 처리기(100)의 하우징(110)에 내설된 교반부(120)측으로 열풍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교반부(120)의 후단 일측에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구비되는 히터부(210)와;
상기 히터부(210)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히터부(210)측으로 공기를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열풍공급팬(220)과;
상기 히터부(210)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히터부(210)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측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가 히터부(210)를 제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온도감지센서(230)와;
상기 히터부(2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교반부(120)로 공급된 열기를 배출시켜 폐열유동로를 통과하여 교반부(120)를 가열시킨 후, 열교환된 열교환공기를 외기와 혼합하여 열풍공급팬(220)측으로 유입가능하게 구비되는 폐열공급수단(240)을 포함하되,
상기 히터부(210)는, 짧은 시간에 교반부(12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예설정된 온도에 도달되면 절전가능하도록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각각 제어되도록 제1 및 제2히터부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230)도 각각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폐열공급수단(240)은, 교반부(120)의 교반조(121) 상부 일측측과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은 교반조(121)의 폐열유동로 입구와 연통가능하게 설치되는 열배출관(241)과, 상기 열배출관(241)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교반조(121) 내부의 열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열기배출팬(242)과, 상기 열기배출팬(242) 하부에 설치되어 열기와 함께 배출되는 악취를 탈취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탈취기(243)와, 상기 교반조(121)의 폐열유동로 출구와 일단이 연통된 열교환관(244)의 타단을 내부로 배관시켜 외기 유입에 따른 열교환된 열교환공기를 열풍공급팬(220)측으로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열교환기(245)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타측에는, 폐열공급수단(240)의 열교환관(244)을 통하여 배출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상기 응축수와 함께 배출되는 잔류 악취를 제거시킴과 아울러 겨울철 수증기의 배출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응축수분사수단(180)이 더 구비되되, 상기 응축수분사수단(180)은 상기 열교환관(244) 타단을 일면 내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일면에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응축수분사용하우징(181)과, 상기 응축수분사용하우징(18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면에는 열교환관(244)의 타단을 기밀유지되게 내측으로 수용하는 수용부(182)를 갖추어 상기 열교환관 통하여 유출되는 응축수를 저장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응축수저장부(183)와, 상기 응축수저장부(183) 내측에는 저장된 응축수를 수용부(182) 상면에서 내측으로 응축수공급관(184a)과 분사노즐(184b)을 통하여 분사시켜 배출되는 열기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축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잔류 악취를 제거가능하도록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게 구비되는 응축수공급펌프(184)와, 상기 응축수저장부(183)의 상면에 구비된 수용부(182)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응축수저장부(183)의 내부와 연통되어 미처리된 수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잔류수증기배출관(185)과, 상기 잔류수증기배출관(185)의 타단과 연결되는 것에 의해 응축수저장부(183) 일측에 설치되어 미처리된 수증기를 응축수로 처리하여 배출구(186a)를 통하여 배출가능하도록 배면에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구동팬(186b)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잔류수증기열교환부(186)와, 상기 응축수저장부(183)의 상면 타측에 설치되어 응축수의 저장 유무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측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가 응축수공급펌프(184)를 제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응축수감지센서부(187)와, 상기 응축수저장부(183)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일정 이상으로 응축수가 저장되면 배출구(186a)측으로 자동으로 배출가능하도록 일단은 응축수저장부(183)에 연결되고 타단은 배출구(186a)측에 연결되어 구비된 응축수오버플로우관(18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
The hot air supply device for the food garbage disposer,
A housing 110 provided with an inlet opening / closing door 111 so as to open / close an inle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a housing 110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to stir the food waste plac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And a bottom surface of which is provided with a stirring tank 120 having a stirring tank having a waste heat flow path formed therein so that the drying time of the food wastes can be shortened by rapidly passing the waste heat through the waste heat, A water sensor 1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ter sensor 130 to detect leachate of food waste and a stirring part 120 corresponding to a signal value sensed by the moisture sensor 130. [ (110)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100) including a control unit provided inside one side of the housing (110) so as to be controllable A heater unit 21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ar end of the stirring unit 120 so as to be capable of supplying hot air to the stirring unit 120 by being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A hot air supply fan 22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ter unit 210 and capable of supplying air to the heater unit 210;
A temperature sensor 230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heater 210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10 and apply the generated temperature to the controller so that the controller can control the heater 210;
The heater unit 2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eater unit 210 and discharges heat supplied to the stirring unit 120. The heater unit 210 heats the agitating unit 120 through the waste heat flow path and mixes the heat exchanged air with the outside air, And a waste heat supply unit 240 installed to be able to flow into the fan 220,
The heater unit 210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heater units so as to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so as to save power whe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reached while rai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irring unit 120 in a short time And the temperature sensor 230 are also installed,
The waste heat supply means 240 is connected to one end of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agitating tank 121 of the agitator 1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heat exhaust pipe A heat exhausting fan 242 installed on the heat exhausting pipe 241 to discharge heat from the inside of the agitating tank 121 by driving the control unit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deodorizer 243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an 242 to deodorize odor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heat and a heat exchange tube 244 having one end communicated with the waste heat flow path outlet of the stirring tank 121 And a heat exchanger (245) for supplying the heat exchanged air to the hot air supply fan (220) by piping the other end to the inside of the hot air supply fan (220)
The remaining odor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condensed water can be remov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10 by using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eat exchange pipe 244 of the waste heat supply means 240, The condensing water injecting means 180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densing water use housing 181 having an inlet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for introducing the other end of the heat exchanging tube 244 to the inside thereof, And a receiving part 182 for receiving the other end of the heat exchange tube 244 in an airtight mann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81 for storing the condensed water and for storing the condensed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heat exchange tube And a condensed water supply pipe 184a and an injection nozzle 184b in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82. The condensed water supply pipe 184a and the injection nozzle 184b are provided inside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ortion 183, A condensate water supply pump 184 which is driven by control of the control unit so as to condense the steam contained in the heat discharged through the heater and to remove the residual odor, A residual water vapor discharge pipe 185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183 by being fixed at one side of the receiving unit 182 provided in the residual water vapor discharge pipe 185 for discharging untreated water vapor, And a driving fan 186b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83 by being connected to the other end to process the unprocessed water vapor as condensed water and to drive it to correspond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part on the rear surface so as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86a A condensed water heat exchanger 186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densed water storage 183 to sense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densed water stored therein, A condensed water detecting sensor 187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ndensed water storage 183 to control the condensed water supply pump 184 to control the condensed water supply pump 184, And a condensed water overflow pipe (188) connected to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83) at one end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86a) at the other end so as to be automatic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열공급수단(240)의 구동은, 교반부(120)의 내부의 온도가 일정 이상으로 상승된 후 구동되도록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히터부(210)와 열풍공급팬(220)의 구동이 시작된 후 5분~20분 후에 작동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e of the waste heat supply means 240 is started by driving the heater unit 210 and the hot air supply fan 2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of the agitation unit 120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And is operable after 5 to 20 minutes from the start of the operation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삭제delete
KR1020170064645A 2017-05-25 2017-05-25 Hot air supply device for food garbage disposer KR1018504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645A KR101850402B1 (en) 2017-05-25 2017-05-25 Hot air supply device for food garbage dispo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645A KR101850402B1 (en) 2017-05-25 2017-05-25 Hot air supply device for food garbage dispo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402B1 true KR101850402B1 (en) 2018-04-19

Family

ID=6208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645A KR101850402B1 (en) 2017-05-25 2017-05-25 Hot air supply device for food garbage dispo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40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0434A (en) 2002-03-08 2003-09-16 Sanyo Electric Co Ltd Drying-type garbage-treating apparatus
KR100926698B1 (en) * 2008-12-02 2009-11-17 주식회사 이엔아이씨 Food garbage dispos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0434A (en) 2002-03-08 2003-09-16 Sanyo Electric Co Ltd Drying-type garbage-treating apparatus
KR100926698B1 (en) * 2008-12-02 2009-11-17 주식회사 이엔아이씨 Food garbage dispo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741B1 (en) Device for organic waste
KR101118714B1 (en) Food treater which can recycle food waste
KR100219909B1 (en) Fermenting and drying apparatus for organic garbage, and fermenting drying method
KR100224502B1 (en) Appartus for composting sewage or excreta sludge
KR20170085795A (en) A stirring and drying equipment for manure handling system
KR101711371B1 (en) 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KR20180097819A (en) Food waste disposal device
KR101826974B1 (en) Condenser for food garbage disposal machine
KR100244389B1 (en) Microwave garbage processor
KR20100029961A (en) Drying apparatus and organic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826973B1 (en) disposal device for food waste
KR101850402B1 (en) Hot air supply device for food garbage disposer
KR19990014450A (en) Organic Waste Drying Vehicle
KR20170002828U (en) Device for organic waste
KR1002305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garbage
KR20180130833A (en) Deodorizing apparatus for food waste treatment
KR960016786B1 (en) Fertilizer apparatus
KR20130093389A (en) Resource conversion system of food refuse
KR20090030394A (en)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for restaurants
KR20090030395A (en)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for home
KR20170079908A (en) Food waste disposal system of continuous processing type
KR200217924Y1 (en) A moisture disposal device of food refuse
KR101826975B1 (en) Processing method of food waste
KR100983679B1 (en) Treating device for food garbage
KR0182839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fertilizer of domestic animal's excr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